KR102640962B1 -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962B1
KR102640962B1 KR1020230056404A KR20230056404A KR102640962B1 KR 102640962 B1 KR102640962 B1 KR 102640962B1 KR 1020230056404 A KR1020230056404 A KR 1020230056404A KR 20230056404 A KR20230056404 A KR 20230056404A KR 102640962 B1 KR102640962 B1 KR 10264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late
worm wheel
rotor body
excavator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887A (ko
Inventor
윤승훈
여한수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86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using adapters, i.e. additional element to mount between the coupler and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 바디와 웜휠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로터 바디와 웜휠 사이에 베어링 플레이트가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로터 바디와 웜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마모 발생시에는 전체 부품을 교체할 필요없이 최소 부품만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웜휠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웜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터 바디에 대한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웜휠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하부커플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와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웜휠과의 마모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거나 조절볼트의 조절 작업으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모로 인한 웜휠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에도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웜휠의 회전력이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TILT ROTATOR DEVICE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터 바디와 웜휠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로터 바디와 웜휠 사이에 베어링 플레이트가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로터 바디와 웜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마모 발생시에는 전체 부품을 교체할 필요없이 최소 부품만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웜휠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웜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터 바디에 대한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웜휠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하부커플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와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웜휠과의 마모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거나 조절볼트의 조절 작업으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모로 인한 웜휠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에도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웜휠의 회전력이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위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킷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굴삭기는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붐이 상하 회동되고, 붐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아암이 붐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아암에 설치된 제3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버킷이 회전되어, 아암의 회전반경 변화 및 버킷의 회전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는 제1,2,3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작동되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굴삭기의 주행동작이나 선회동작이 어려운 공간 즉, 협소한 공간내에서의 작업시, 일방향에 대한 굴착작업만이 이루어질 뿐, 굴착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5697호 "굴착기용 분해조립형 틸트 로테이터 장치"(등록일자 : 2021.02.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결합하는 퀵커플러와; 상기 퀵커플러의 하측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받아 회전토크를 출력하는 틸팅부와; 상기 틸팅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틸팅부의 작동 시 좌우 방향으로 틸팅운동하고, 그 하부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로테이팅부와; 상기 로테이팅부에 고정되어 로테이팅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고, 다수의 외부 장착장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어뎁터를 구비한다.
기존 굴삭기 틸트 로테이터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2957호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등록일자 : 2015.12.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암 단부에 설치되는 버킷의 틸팅 및 로테이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쇄장치를 통해 무겁거나 부피가 커서 운반이 어려운 물체를 절단 또는 파쇄한 후 운반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굴삭기의 틸트 로테이터는 로테이팅 동작시 서로 접촉되어 있던 로터 바디의 내측면과 웜휠의 하측면이 마모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로테이터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로터 바디와 웜휠의 마모로 인한 부품 교환시 웜휠 또는 로터 바디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5697호 "굴착기용 분해조립형 틸트 로테이터 장치"(등록일자 : 2021.02.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2957호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등록일자 : 2015.12.30)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로터 바디와 웜휠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로터 바디와 웜휠 사이에 베어링 플레이트가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로터 바디와 웜휠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마모 발생시에는 전체 부품을 교체할 필요없이 최소 부품만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웜휠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플레이트가 웜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터 바디에 대한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웜휠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하부커플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와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웜휠과의 마모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거나 조절볼트의 조절 작업으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모로 인한 웜휠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에도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웜휠의 회전력이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100)를 구비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로테이터는, 웜기어가 배치되는 로터 바디와; 상기 로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웜기어에 기어 맞물림 결합되는 웜휠; 및 상기 웜휠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와, 외주면에 상기 로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베어링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돌부와,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결합돌부의 하측을 지지하여 회전동작시 상기 결합돌부를 상승동작시키는 조절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웜휠은 상기 웜기어의 회전 구동시 연동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상기 웜휠과 하부커플러를 축결합하는 회전축을 통해 하부커플러측에 전달하여 하부커플러와 연결된 어태치먼트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베어링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웜휠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웜휠의 하부면과 로터 바디가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웜휠의 회전시 로터 바디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마모로 인한 부품 교체시 로터 바디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를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웜휠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하부커플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베어링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와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웜휠과의 마모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거나 조절볼트의 조절 작업으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모로 인한 웜휠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에도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하부 베어링 플레이트로 구분되어 웜휠의 회전력이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터 바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굴삭기 틸트 로테이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베어링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의 승강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틸트 로테이터(100)를 구비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로서,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는, 웜기어(150)가 배치되는 로터 바디(200)와;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웜기어(150)에 기어 맞물림 결합되는 웜휠(300); 및 상기 웜휠(300)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와, 외주면에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체결되는 나사산(402)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로 이루어진 베어링 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웜기어(150) 및 웜휠(300)이 내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웜휠(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면에 상기 웜기어(150)와 연동 회전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이 상기 웜휠(300)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환형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체결되도록 나사산(40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플레이트(400)의 하부면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내주면과 외주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폭방향(원주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공(410)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공(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공(407)을 통해 체결되도록 결합되고 나사 체결에 의한 조임력으로 상기 슬롯공(410)을 압축시키는 체결볼트(420)에 의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슬롯공(410)의 높이 간극이 축소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430)과, 상기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의 하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43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돌부(440)와,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하부에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결합돌부(440)의 하측을 지지하여 회전동작시 상기 결합돌부(440)를 상승동작시키는 조절볼트(450)를 구비한다.
상기 웜휠(300)은 상기 웜기어(150)의 회전 구동시 연동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하부커플러(500)측에 전달하여 하부커플러(500)와 연결된 어태치먼트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상기 웜휠(300)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절볼트(450)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어 상기 웜휠(300)의 회전동작시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상방향 상승동작으로 상기 웜휠(300)과의 간극을 없앨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5의 미설명부호 "550"는 하부커플러(500)와 상기 웜휠(300)을 축결합하는 회전축(55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로터 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된 웜기어(150)의 회전 구동시 웜휠(300)이 연동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상기 웜휠(300)과 하부커플러(500)를 축결합하는 회전축(550)을 통해 하측에 위치한 하부커플러(500)측에 전달하고, 상기 하부커플러(500)와 연결된 어태치먼트(미도시)를 360˚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02)은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체결된다.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상기 나사산(402)이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웜휠(300)의 하부면이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의 상측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터 바디(200)에 대한 웜휠(3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는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와의 연결 구조의 특성상 상기 웜휠(300)의 회전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가 연동 회전되더라도 회전력을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측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가 로터 바디(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결합된 베어링 플레이트(400)를 이용하여 웜휠(300)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웜휠(300)의 하부면과 로터 바디(20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웜휠(300)의 회전시 로터 바디(200)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여 마모로 인한 부품 교체시 로터 바디(200)가 아닌 베어링 플레이트(400)를 교체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웜휠(300)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하부커플러(5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베어링 플레이트(400)의 구조를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와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로 구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웜휠(300)과의 마모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만을 교체하거나 조절볼트(450)의 조절 작업으로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의 높이를 조절하여 마모로 인한 웜휠(300)과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에도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만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400B)로 구분되어 웜휠(300)의 회전력이 나사산(402)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틸트 로테이터 150 : 웜기어
200 : 로터 바디 210 : 체결나사산
300 : 웜휠 400 : 베어링 플레이트
400A :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 400B :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
402 : 나사산 410 : 슬롯공
420 : 체결볼트 430 : 결합홈
440 : 결합돌부 450 : 조절볼트
500 : 하부커플러 550 : 회전축

Claims (2)

  1. 틸트 로테이터(100)를 구비한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는, 웜기어(150)가 배치되는 로터 바디(200)와;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웜기어(150)에 기어 맞물림 결합되는 웜휠(300); 및
    상기 웜휠(300)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와, 외주면에 상기 로터 바디(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산(210)과 체결되는 나사산(402)이 형성된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로 이루어진 베어링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는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430)과, 상기 상부 베어링 플레이트(400A)의 하측면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430)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돌부(440)와, 상기 하부 베어링 플레이트(400B)의 하부에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결합돌부(440)의 하측을 지지하여 회전동작시 상기 결합돌부(440)를 상승동작시키는 조절볼트(4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웜휠(300)은 상기 웜기어(150)의 회전 구동시 연동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상기 웜휠(300)과 하부커플러(500)를 축결합하는 회전축(550)을 통해 하부커플러(500)측에 전달하여 하부커플러(500)와 연결된 어태치먼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KR1020230056404A 2021-11-02 2023-04-28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KR10264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404A KR102640962B1 (ko) 2021-11-02 2023-04-28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5A KR102558578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KR1020230056404A KR102640962B1 (ko) 2021-11-02 2023-04-28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5A Division KR102558578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87A KR20230063887A (ko) 2023-05-09
KR102640962B1 true KR102640962B1 (ko) 2024-02-27

Family

ID=86408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5A KR102558578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KR1020230056404A KR102640962B1 (ko) 2021-11-02 2023-04-28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5A KR102558578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8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29B1 (ko) * 2023-09-14 2024-01-29 양계환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KR102648586B1 (ko) * 2023-11-16 2024-03-18 (주)상보 포설 어태치먼트와 이를 포함하는 고화재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화재 포설방법과 표층고화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2855A (ja) 2015-12-30 2019-01-31 ヴェスタス ウィンド システムズ エー/エス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KR102184166B1 (ko)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957B1 (ko) 2014-06-20 2016-01-19 배정희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
KR102215697B1 (ko) 2019-04-04 2021-02-15 정경래 굴착기용 분해조립형 틸트 로테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2855A (ja) 2015-12-30 2019-01-31 ヴェスタス ウィンド システムズ エー/エス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KR102184166B1 (ko)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87A (ko) 2023-05-09
KR102558578B1 (ko) 2023-07-24
KR20230063712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962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US5382084A (en) Milling drum with internal drive motor
KR102236361B1 (ko)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US20090050379A1 (en) Track vehicle having drive and suspension systems
AU2021101828A4 (en) Hydraulic rotary quick coupling device for oi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53450A1 (en)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CA2690530A1 (en) Fixing arrangement for a work piece
KR101446006B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US7584806B2 (en) Implement lift cylinder support
JP2006219871A (ja)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2007009598A (ja)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KR102539313B1 (ko) 교체식 마모장치가 내장된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102629729B1 (ko)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KR102272286B1 (ko) 굴삭기용 커플러
KR101984477B1 (ko)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KR100956998B1 (ko) 건설기계용 버켓 고정 구조
JP6898268B2 (ja) 建設機械
JP5074130B2 (ja) 建設機械
RU2811051C2 (ru) Конвей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ов и проходческая машина
KR100615000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JP2019105104A (ja) ショベル
CN214887047U (zh) 具有良好适应性的分体式破碎机构及其安装结构
JP4539987B2 (ja) 建設機械
KR102354497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KR102633341B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붐 조립체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