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973B1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973B1
KR101846973B1 KR1020170000704A KR20170000704A KR101846973B1 KR 101846973 B1 KR101846973 B1 KR 101846973B1 KR 1020170000704 A KR1020170000704 A KR 1020170000704A KR 20170000704 A KR20170000704 A KR 20170000704A KR 101846973 B1 KR101846973 B1 KR 10184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eating portion
worm
excavator
whe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최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호 filed Critical 최인호
Priority to KR102017000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을 위하여 굴삭기 암에 설치되는 웜드라이버를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로 각각 나누어 결합함으로써, 베어링의 설치관련 작업시, 외륜휠부재에 베어링을 안착시킨 후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를 결합하여 쉽게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Worm drivers for excavators-type attachmen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된 제1 통공부(110)와, 내측둘레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외측둘레에 톱니부(130)가 형성되는 외륜휠부재(100);와,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제1 통공부(110)에 삽입되는 연결로드부(210)와,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외측둘레에 “L”형상으로 함몰된 제2 베어링안착부(220)가 형성되는 내륜휠부재(200);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공사, 석축공사, 조경공사시 땅을 파거나 파쇄하거나, 목재, 토사 또는 암석 등을 운반할 경우에는 불도저, 그레이더,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사용한다.
이러한 중장비 중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굴삭기는 주행체의 주행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크롤라 굴삭기와 타이어식 휠 굴삭기로 구분된다. 크롤라 굴삭기는 휠 굴삭기에 비해 작업이 안정적이며 작업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장비 중량 1톤 부터 100톤 이상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각 작업 현장에 폭 넓게 사용되며, 휠 굴삭기는 크롤라 굴삭기에 비해 타이어 지지 방식으로 인해 작업시 안정성은 떨어지나, 도로 주행이 가능하여 운반 트레일러 없이 작업장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과 이동을 빈번하게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 할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의 어태치먼트들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한편, 굴삭기의 암에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중 집게 나 크라샤, 오랜지그랩, 회전링크 등이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이용한 웜드라이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웜드라이버는 유압모터의 웜기어와 연결되어 유압에 따라 회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같은 웜드라이버는 작업의 효율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웜기어를 가지는 기계 및 시설 부분의 회전추진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44542호)”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웜기어를 가지는 기계 및 시설 부분의 회전추진장치”는 웜휠(4)이 웜(3)과의 연동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톱니바퀴(6)의 양쪽(6a, 6b)에 별도의 롤러베어링(10),(11),(12) 개개와 함께 설치되어 있고, 샤시나 기초위에 그 케이스(2)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웜(3)이 수동으로 혹은 하나의 추진체 모터에 의해 회전속도에 이동 가능하고, 웜휠(4)이 케이스(2)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해 있는 웜기어(1)를 가지고 샤시나 기초 위에 기계나 시설의 회전 추진장치를 설비하는데 있어서, 케이스(2)가 기초부(2a)와 그 위에 평평하게 고정 가능한 정면(6a, 6b)과 함께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정면96a, 6b)이나 맞물려 있지 않은 웜휠(4)의 측벽이 기초 및 뚜껑부를 관철하며 회전하게 될 부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어 있는 접속소켓(7)을 구비하고 있으며, 롤러베어링의 두 개의 외부링(12)이 케이스(2)의 기초부와 뚜껑부(2a, 2b)의 그때마다의 벽에 그리고 두 개의 부수적인 내부링(10)이 그때그때의 벽에 부착되고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웜기어를 가지는 기계 및 시설 부분의 회전추진장치”는 케이스와 웜휠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베어링을 케이스와 웜휠사이에 설치가 어려워 제조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형상의 베어링을 적용함으써, 작업시 발생하는 수직하중에 의해 베어링이 쉽게 파손되어 회전추진장치로서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어링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위해 베어링이 안착되는 공간에 윤활유를 주입하는 경우, 별도의 주입구가 존재하지 않아 주입구를 통공하여 윤활유를 주입한 후 통공된 부분을 용접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주입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445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을 위하여 굴삭기 암에 설치되는 웜드라이버를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로 각각 나누어 결합함으로써, 베어링의 설치관련 작업시, 외륜휠부재에 베어링을 안착시킨 후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를 결합하여 쉽게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베어링부재를 지름과 높이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제작하고, 베어링부재의 배치를 세운상태와 눕힌상태를 번갈아가며 반복배치함으로써, 작업시 발생하는 수직하중에 의해 베어링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용 어태치먼트가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로드부의 내측에 베어링부재가 안착되는 제2 베어링안착부까지 통공된 윤활유주입공을 더 형성함으로써, 외부에로부터 연결되는 윤활유공급부재를 통해 베어링부재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베어링부재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는, 중앙에 관통된 제1 통공부(110)와, 내측둘레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외측둘레에 톱니부(130)가 형성되는 외륜휠부재(100);와,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제1 통공부(110)에 삽입되는 연결로드부(210)와,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외측둘레에 “L”형상으로 함몰된 제2 베어링안착부(220)가 형성되는 내륜휠부재(200);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300)는, 지름(D)과 높이(H)의 치수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의 배치는,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세운상태(K)와 눕힌상태(P)를 번갈아가며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의 측면까지 통공되어 윤활유(미도시)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주입되도록 윤활유주입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주입공(211)에는 상기 윤활유(미도시)가 저장된 윤활유공급부재(500)와 연결되도록 연결피팅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을 위하여 굴삭기 암에 설치되는 웜드라이버를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로 각각 나누어 결합함으로써, 베어링의 설치관련 작업시, 외륜휠부재에 베어링을 안착시킨 후 외륜휠부재와 내륜휠부재를 결합하여 쉽게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부재를 지름과 높이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제작하고, 베어링부재의 배치를 세운상태와 눕힌상태를 번갈아가며 반복배치함으로써, 작업시 발생하는 수직하중에 의해 베어링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용 어태치먼트가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로드부의 내측에 베어링부재가 안착되는 제2 베어링안착부까지 통공된 윤활유주입공을 더 형성함으로써, 외부에로부터 연결되는 윤활유공급부재를 통해 베어링부재에 윤활유가 공급되어 베어링부재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와 중장비용 집게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와 중장비용 회전링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와 웜기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의 전체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는 크게, 외륜휠부재(100), 내륜휠부재(200), 베어링부재(3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플링(미도시)과 결합되는 링크브라켓을 포함하는 외부하우징(700) 내에 설치되고, 유압모터와 연결된 웜기어(600)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와 결합되는 회전링크 또는 집게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는 필요에 따라 집게 외 굴삭기 암에 결합되는 크라샤, 브레이커, 회전링크 등의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와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외륜휠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륜휠부재(100)는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윔기어(60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통공부(110), 제1 베어링안착부(120), 톱니부(130) 및 제1 나사공(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통공부(110)는 후술할 연결로드부(210)가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커버부재(400)가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1 통공부(110)에 결합된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 통공부(110)에 결합된 상기 연결로드부(210)와 상기 커버부재(400)의 중앙에는 상기 센터조인트(미도시)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제2 통공부(213)과 제3 통공부(410)가 각각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는 상기 외륜휠부재(100)의 내측둘레에 “⊂”형상으로 함몰되어 후술할 베어링부재(300)의 일부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2 베어링안착부(220)와 호환하여 상기 베어링부재(300)가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후술할 내륜휠부재(20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톱니부(130)는 상기 외륜휠부재(10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일종의 톱니기어로서, 상기 웜기어(600)와 접촉하여 상기 웜기어(6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륜휠부재(100)가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나사공(140)은 상기 외륜휠부재(100)의 상부에 다수개 타공되어 상기 굴삭기 암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내륜휠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륜휠부재(200)는 도 3, 도 4,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외륜휠부재(100)의 내측 및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요소로서, 연결로드부(210), 제2 베어링안착부(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로드부(210)는 상기 제1 통공부(11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윤활유주입공(211), 연결피팅부(212), 제2 통공부(213) 및 제2 나사공(2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윤활유주입공(211)은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내측면부터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의 측면까지 통공되는 구성요소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미도시)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주입되어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피팅부(212)는 상기 윤활유주입공(2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윤활유(미도시)가 저장된 윤활유공급부재(500)와 원활하게 연결시키는 일종의 피팅(fifing)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공부(213)는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중앙에 통공되는 일종의 구멍으로서, 상기 제3 통공부(410)와 연계되어 상기 센터조인트(미도시)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1)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나사공(214)는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상부에 다수개 타공되어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3 나사공(411)과 연계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내륜휠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00)는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외측둘레에 “L”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일부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에 상기 베어링부재(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공부(110)에 상기 연결로드부(210)을 삽입시키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베어링부재(300)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0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00)에 안착되어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상기 내륜휠부재(2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베어링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부재(300)는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상기 내륜휠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형상은 지름(D)과 높이(H)의 치수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의 배치는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세운상태(K)와 눕힌상태(P)를 번갈아가며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서,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세울 경우에는,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상면 및 하면이 면(面) 접촉되어 수직하중에 대응하고, 상기 베어링부재(300)를 눕힌 경우에는,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곡면부분이 선(線) 접촉되어 굴러갈 수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며, 작업시 상기 굴삭기 암(미도시), 상기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에 발생하는 수직하중으로부터 상기 베어링부재(3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상, 하부 둘레는 라운딩처리하여 상기 베어링부재(300)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 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10: 집게
100: 외륜휠부재 110: 제1 통공부
120: 제1 베어링안착부 130: 톱니부
140: 제1 나사공
200: 내륜휠부재 210: 연결로드부
211: 윤활유주입공 212: 연결피팅부
213: 제2 통공부 214: 제2 나사공
220: 제2 베어링안착부
300: 베어링부재
D: 베어링부재(300)의 지름
H: 베어링부재(300)의 높이
K: 베어링부재(300)가 세워져 있는 상태
P: 베어링부재(300)가 눕혀져 있는 상태
400: 커버부재 410: 제3 통공부
411: 제3 나사공
500: 윤활유공급부재
600: 웜기어
700: 외부하우징

Claims (3)

  1. 중앙에 관통된 제1 통공부(110)와, 내측둘레에 “⊂”형상으로 함몰된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외측둘레에 톱니부(130)가 형성되는 외륜휠부재(100);
    상기 외륜휠부재(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제1 통공부(110)에 삽입되는 연결로드부(210)와,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외측둘레에 “L”형상으로 함몰된 제2 베어링안착부(220)가 형성되는 내륜휠부재(200);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베어링부재(300)는, 지름(D)과 높이(H)의 치수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상, 하부의 가장자리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라운딩처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와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안착되는 베어링부재(300)의 배치는, 상기 베어링부재(300)의 세운상태(K)와 눕힌상태(P)를 번갈아가며 반복되며,
    상기 연결로드부(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의 측면까지 통공되어 윤활유(미도시)가 상기 제1 베어링안착부(120) 및 상기 제2 베어링안착부(220)에 주입되도록 윤활유주입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유주입공(211)에는 상기 윤활유(미도시)가 저장된 윤활유공급부재(500)와 연결되도록 연결피팅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웜드라이버(1).





  2. 삭제
  3. 삭제
KR1020170000704A 2017-01-03 2017-01-03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KR10184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04A KR101846973B1 (ko) 2017-01-03 2017-01-03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04A KR101846973B1 (ko) 2017-01-03 2017-01-03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973B1 true KR101846973B1 (ko) 2018-04-09

Family

ID=6197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04A KR101846973B1 (ko) 2017-01-03 2017-01-03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1941821B1 (ko) * 2018-07-18 2019-01-23 윤길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킨 포크레인용 회전링크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20220002173U (ko) * 2021-03-03 2022-09-14 양승훈 선회드라이브의 틸팅보강구조
KR102638603B1 (ko) * 2023-11-07 2024-02-20 (주)진성산업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59B1 (ko) * 2009-03-13 2009-12-1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506335B1 (ko) * 2013-12-10 2015-04-07 임승진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1564966B1 (ko) * 2014-05-08 2015-11-02 성보 피앤티 주식회사 선회 감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59B1 (ko) * 2009-03-13 2009-12-10 주식회사 필엔지니어링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506335B1 (ko) * 2013-12-10 2015-04-07 임승진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1564966B1 (ko) * 2014-05-08 2015-11-02 성보 피앤티 주식회사 선회 감속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21B1 (ko) * 2018-07-18 2019-01-23 윤길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킨 포크레인용 회전링크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102381889B1 (ko) * 2020-08-18 2022-03-31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20220002173U (ko) * 2021-03-03 2022-09-14 양승훈 선회드라이브의 틸팅보강구조
KR200496769Y1 (ko) 2021-03-03 2023-04-19 양승훈 선회드라이브의 틸팅보강구조
KR102638603B1 (ko) * 2023-11-07 2024-02-20 (주)진성산업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973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KR101928795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988296B1 (ko)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1195476B1 (ko) 틸팅 및 회전가능한 굴삭기용 락 드릴 장치
US8631595B2 (en) Excavating apparatus with swivel mount employing swivel adapter with gear bearings having gears with divergent thickness
CN105723032A (zh) 土工作业工具以及用于土工作业的方法
US10508542B2 (en) Excavation assembly for use in excavator
KR102119788B1 (ko) 굴삭기 버킷 틸팅유닛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US11584456B2 (en) Undercarriage assembly for a machine
US8621770B1 (en) Excavating apparatus employing swivel adapter with gear bearings having gears with divergent thickness
KR20130070744A (ko) 자유회전되는 아암을 가지는 소형 굴삭기
GB2417478A (en) A boom assembly for an excavation vehicle
KR102107773B1 (ko) 굴삭기
KR102431480B1 (ko) 집게 유닛을 구비하는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20210098836A (ko) 굴삭기용 평탄화 작업장치
NO163245B (no) Boreutstyr for horisontal boring i fjell med lav pallhoeyde
JP3680957B2 (ja) 掘削作業車両
RU2283467C1 (ru) Инженерная гусеничная машина на базовом танковом шасси
JPH0151612B2 (ko)
KR200176043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굴삭기
KR101124473B1 (ko) 다목적 중장비
US20220018086A1 (en) Handheld Excavator
CN210288523U (zh) 一种适合侧壁作业的挖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