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73B1 - 굴삭기 - Google Patents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73B1
KR102107773B1 KR1020190139940A KR20190139940A KR102107773B1 KR 102107773 B1 KR102107773 B1 KR 102107773B1 KR 1020190139940 A KR1020190139940 A KR 1020190139940A KR 20190139940 A KR20190139940 A KR 20190139940A KR 102107773 B1 KR102107773 B1 KR 10210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ucket
assembly
key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영
송정섭
서영교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몸체와, 몸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어셈블리와, 이동어셈블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어셈블리와, 땅을 파거나 깍는 버킷이 포함된 작업어셈블리와, 구동어셈블리와 작업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어셈블리와, 이동어셈블리 또는 작업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무선조종기 등으로 구성되며, 버킷에는 교체 가능한 투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키를 통하여 보다 쉽고 안전하게 투스를 교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투스를 보다 짧은 주기로 교체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굴삭기는 항시 높은 굴삭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Excavator}
본 발명은 땅을 파는 굴착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 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투스가 구비되는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땅을 파는 굴착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 작업 등에 이용된다.
통상의 굴삭기는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땅을 파는 등의 작업을 하는 작업 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굴삭기의 버킷은 마모가 발생하게되면 버킷을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마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버킷투스에 투스를 장착함으로서 버킷의 마모를 방지한다.
통상의 투스는 결합핀을 삽입하고, 결합핀을 해머로 타격함으로서 버킷과 결합된다.
따라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0615524호 에서는, 해머를 사용하지 않고 투스를 버킷과 결합 할 수 있도록 개량된 투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결합 볼트와 결합 핀을 사용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61552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투스가 구비되는 굴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사 체결을 통하여 보다 쉽고 안전하게 투스를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내부에 부품을 수용 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어셈블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땅을 파거나 깍는 작업어셈블리와, 상기 몸체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와 작업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어셈블리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어셈블리 또는 작업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무선조종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생성되는 회전을 감속 제어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속기에서 제어된 회전력을 상기 이동어셈블리로 전달하는 회전축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의 선단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바퀴와, 상기 몸체의 후단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아이들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종속바퀴와, 상기 종속바퀴가 상기 구동바퀴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무한궤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어셈블리는, 땅을 파거나 깍는데 사용되는 버킷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버킷이 상기 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지지하는 암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암의 유동을 제어하는 암실린더와, 상기 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킷의 유동을 제어하는 버킷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암실린더 또는 버킷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유압유닛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킷에는, 상기 버킷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킷투스와, 상기 버킷투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버킷투스는, 상기 버킷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스와 결합되는 삽입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스는, 상기 삽입부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고정키에 의해 삽입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키와 나사 결합되는 돌출나사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키의 일면에는, 상기 돌출나사와 나사 체결되는 탭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스에는,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결합홈과, 상기 고정키가 관통하는 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삽입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조종기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동어셈블리 또는 작업어셈블리를 제어 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모된 투스를 교체 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스가 나사 체결에 의해 버킷투스와 결합됨으로 해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기존의 투스는 결합핀을 해머로 타격함으로서 결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투스가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해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투스가 나사 체결에 의해 버킷투스와 결합됨으로, 보다 쉽게 투스를 교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어셈블리와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킷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킷투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체결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선조종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어셈블리와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내부에 부품을 수용 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을 가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어셈블리(3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어셈블리(3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어셈블리(2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땅을 파거나 깍는 작업어셈블리(400)와, 상기 몸체(10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작업어셈블리(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어셈블리(110)와, 상기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어셈블리(300) 또는 작업어셈블리(400)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무선조종기(1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2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210)로부터 생성되는 회전을 감속 제어하는 감속기(220)와, 상기 감속기(220)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속기(220)에서 제어된 회전력을 상기 이동어셈블리(300)로 전달하는 회전축(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모터(210)와 감속기(220) 등이 수용 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몸체(100)의 상부에는, 암(420)과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몸체암결합부(101)가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암결합부(101)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암결합부(101)는, 아래에서 설명할 암(420)과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100)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다양한 부품과 결합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몸체(100)의 내부에는, 구동어셈블리(200)가 두개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좌측(도 3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제1구동어셈블리(201)와, 우측(도 3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제2구동어셈블리(20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201)와 제2구동어셈블리(202)는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구동어셈블리(2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모터(21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210)는,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작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모터(210)의 좌측(도 2에서)에는, 감속기(2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220)는, 각기 다른 잇수를 가지는 기어(gear)가 다수개 구비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220)는, 상기 모터(210)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 속도를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감속기(220)는, 상기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축(23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감속기(220)의 좌측(도 2에서)에는, 회전축(23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30)은, 일부가 상기 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230)은, 상기 모터(210)에서 생산한 동력을 상기 감속기(220)로부터 전달 받아 도 1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동어셈블리(300)는, 상기 몸체(100)의 선단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3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바퀴(310)와, 상기 몸체(100)의 후단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아이들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종속바퀴(320)와, 상기 종속바퀴(320)가 상기 구동바퀴(31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무한궤도(33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230)의 끝단에는, 구동바퀴(31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바퀴(3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 평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를 지면과 이격 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바퀴(310)는, 상기 무한궤도(330)(caterpillar)와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요철(凹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구동바퀴(310)는, 상기 회전축(2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함으로서, 상기 몸체(100)가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구동바퀴(310)는, 상기 몸체(100)의 선단 양 측면에 한개씩 구비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좌측(도 3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제1구동바퀴(311)와 우측(도 3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제2구동바퀴(312)가 구비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의 좌측(도 3에서 우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바퀴(311)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좌측(도 3에서 우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어셈블리(201)와 결합되어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100)의 우측(도 3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제2구동바퀴(312)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우측(도 3에서 좌측)에 구비되는 제2구동어셈블리(202)와 결합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제1구동바퀴(31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2구동바퀴(310)만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2구동바퀴(31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구동바퀴(310)만 회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굴삭기는,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201)와 제2구동어셈블리(20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서 방향 전환이 가능 할 것이다.
상기 종속바퀴(320)는, 상기 몸체(100)의 후단 양 측면에 한개씩 구비된다.
즉, 제1구동바퀴(311)로부터 우측(도 2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1 종속바퀴(320)와, 제2구동바퀴(312)로부터 우측(도 2에서)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2 종속바퀴(3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속바퀴(320)는, 상기 무한궤도(330)(caterpillar)와 결합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요철(凹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몸체(100)는, 몸체(100)의 전후좌우 4개의 바퀴가 구비됨으로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등 전복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한궤도(330)는, 복수개의 강판(鋼板) 조각을 벨트(belt)처럼 연결 또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무한궤도(3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10)와 종속바퀴(320)의 외륜에 결합되고 접지 면적과 마찰력을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310)의 회전력은, 상기 무한궤도(330)를 통하여 상기 종속바퀴(320)에 전달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종속바퀴(320)는, 아이들링(idling)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310)와 종속바퀴(320)가 두개씩 구비됨으로 무한궤도(330)는 두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어셈블리(300)는, 상기 무한궤도(330)를 포함 함으로서 바퀴에 비하여 접지 면적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어셈블리(300)는, 요철(凹凸)이 심한 도로나 진흙에서도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 할 것이다.
상기 작업어셈블리(400)는, 땅을 파거나 깍는데 사용되는 버킷(41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버킷(410)이 상기 몸체(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지지하는 암(42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암(420)의 유동을 제어하는 암실린더(430)와, 상기 암(4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킷(410)의 유동을 제어하는 버킷실린더(44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암실린더(430) 또는 버킷실린더(440)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유압유닛(4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420)은, 선단프레임(422)과 후단프레임(42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단프레임(421)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암결합부(101)를 통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후단프레임(421)에는, 상기 암실린더(43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후단결합부(421')가 구비된다. 즉, 후단결합부(421')는, 상기 후단프레임(421)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단프레임(422)은, 상기 후단프레임(42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단프레임(421)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은 선단프레임(422)에는, 상기 버킷실린더(44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선단결합부(422')가 구비된다. 즉, 선단결합부(422')는, 상기 선단프레임(42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암(420)은, 상기 버킷(410)이 상기 몸체(10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를 가지고 지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암(420)의 선단에는, 버킷(410)이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8 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킷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킷투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스의 체결 예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킷(410)은, 굴삭을 진행하는 굴삭판(411)과, 굴삭된 모래 또는 돌 등을 수용하는 수용판(412)과, 상기 굴삭판(411)과 수용판(412)을 연결 및 지지하는 방지판(41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굴삭판(411)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지면과 접하여 굴삭을 진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용판(412)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굴삭판(411)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지판(413)은, 삼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굴삭판(411)과 수용판(412)을 연결 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방지판(413)은, 상기 굴삭판(411)과 수용판(412)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굴삭판(411)과 수용판(412)을 연결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판(412)의 하부에는, 암(420)과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버킷암결합부(414)와, 버킷실린더(44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버킷실린더결합부(415)가 형성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판(412)의 하부에는 버킷암결합부(414)가 외측(도 1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버킷실린더결합부(415)는 상기 버킷암결합부(414)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도 1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킷(410)에는, 상기 버킷(41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킷투스(460)와, 상기 투스(5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스(500)가 구비된다.
상기 굴삭판(411)의 선단(도 4에서 좌측)에는 버킷투스(460)가 구비된다.
상기 버킷투스(460)는, 상기 굴삭판(411)의 선단(도 4에서 좌측)에서 전방(도 4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킷투스(460)는, 상기 버킷(41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61)와, 상기 지지부(46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부(46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61)는, 상기 굴삭판(411)의 선단(도 4에서 좌측)에서 전방(도 4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461)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각 모서리 부분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461)는, 상기 삽입부(46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62)는 상기 지지부(461)의 선단(도 7에서 좌측)에서 전방(도 7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462)는, 상기 지지부(461)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461)의 선단(도 7에서 좌측)에는 단차면(463)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면(463)은 상기 투스(500)의 후단과 접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삽입부(462)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각 모서리 부분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삽입부(462)의 선단(도 4에서 좌측)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버킷투스(460)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투스(500)가 상기 삽입부(462)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투스(500)의 외면과 상기 지지부(461)의 외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500)의 외면과 상기 지지부(461)의 외면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스(500) 후단부의 폭과 높이는 상기 지지부(461)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462)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키(600)가 삽입되는 키홈(464)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홈(464)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키(600)와 나사 결합되는 돌출나사(465)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삽입부(462)의 상면에는, 키홈(464)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464)은, 상기 삽입부(462)의 상면에서 하측(도 7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키홈(464)은, 상기 키홈(464)을 평면도로 보았을 때 원형 평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키홈(464)은, 상기 고정키(60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고정키(60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키홈(464)의 바닥면 중앙에는, 돌출나사(46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나사(465)는, 상기 키홈(464)의 바닥면에서 상측(도 7에서)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나사(465)는, 상기 돌출나사(465)를 평면도로 보았을 때 원형 평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돌출나사(465)의 외륜부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가 더 형성된다.
또한, 돌출나사(465)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게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돌출나사(465)의 직경과 높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탭홈(610)의 직경과 깊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돌출나사(465)는, 상기 고정키(60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버킷투스(460)는, 상기 굴삭판(411)의 선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버킷투스(460)는, 상기 투스(500)가 결합되고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부(462)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462)에 체결되는 고정키(600)에 의해 삽입부(462)의 외면에 결합된다.
상기 투스(500)에는, 상기 삽입부(462)가 수용되는 결합홈(510)과, 상기 고정키(600)가 관통하는 키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삽입부(46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투스(5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스(500)의 상면과 하면은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 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는, 상기 버킷(410)이 굴삭을 진행 할 경우 상기 투스(500)가 가장 먼저 닿아 지면에 균열을 생성하거나 상기 버킷(410)이 지면 또는 굴에 보다 쉽게 진입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투스(500)는, 상기 버킷(410)과 결합되어 굴삭을 진행하는 부분으로 마모가 쉽게 발생 할 것이다. 따라서, 투스(500)는, 상기 버킷(410)보다 강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투스(500)는, 마모가 진행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소모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스(500)에는, 결합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투스(500)의 배면에서 내측(도 5에서 좌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510)은, 상기 삽입부(46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를 감싸도록 결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홈(510)의 깊이는, 상기 투스(500)가 버킷투스(460)에 결합 되었을 때 투스(500)의 배면이 상기 단차면(463)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삽입부(462)에 결합된 투스(500)를 분리 시키기 위해서는 좌측(도 8에서) 방향으로만 이동시켜 분리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투스(500)의 상면에는 키홀(520)이 형성된다.
상기 키홀(520)은, 상기 투스(500)의 상면에서 결합홈(510)까지 하측(도 5에서)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키홀(520)은, 상기 고정키(60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고정키(60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키홀(520)은, 상기 고정키(600)에 의하여 상기 투스(500)가 상기 삽입부(462)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키홀(520)은 상기 키홈(46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상기 투스(500)를 삽입부(462)에 결합 하였을 때 상기 키홈(464)과 키홀(520)은 상하(도 8에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투스(500)는, 상기 버킷투스(460)의 개수에 대응되어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스(500)를 상기 삽입부(46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키(6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키(600)의 외형은, 원형 막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키(600)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고정키(600)의 일면에는, 상기 돌출나사(465)와 나사 체결되는 탭홈(610)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고정키(600)의 저면에는, 탭홈(610)이 형성된다.
상기 탭홈(610)은, 상기 고정키(600)의 저면에서 상측(도 6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탭홈(610)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나사(465)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탭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탭홈(610)은, 상기 돌출나사(465)와 대응되는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고정키(600)의 상면에는, 렌치홈(6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렌치홈(620)은, 상기 고정키(600)의 상면에서 하측(도 6에서)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렌치홈(620)은, 육각 또는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렌치홈(620)은, 육각렌치 또는 사각렌치 등의 도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고정키(600)는, 상기 키홈(464)에 삽입되고 육각렌치 등의 도구를 사용함으로서 나사 결합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키(600)는, 상기 고정키(600)가 상기 키홈(464)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462)와 결합된 투스(500)의 상면과 고정키(60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키(600)가 투스(500)의 외부로 연장 될 경우 굴삭 시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어 굴삭력이 저감되거나 고정키(600)가 파손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고정키(600)는 , 상기 고정키(600)가 상기 키홈(464)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462)와 결합된 투스(500)의 상면과 고정키(60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지 않고 상기 고정키(600)의 높이가 더 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 할 것이다. 단, 상기 고정키(600)의 높이가 적어도 키홈(464)의 깊이 보다는 크게 구성하여 상기 투스(500)가 삽입부(462)로부터 이탈이 방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투스(500)는, 상기 고정키(600)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462)에서 이탈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510)의 선단(도 8에서 좌측)과 상기 삽입부(462)의 선단(도 8에서 좌측)이 밀착 하였을 때, 상기 투스(500)의 선단으로부터 키홀(464)의 측면까지의 최단 좌우(도 8에서) 거리가 상기 투스(500)의 선단으로부터 고정키(600)의 외면 까지의 최단 좌우(도 8에서) 거리보다 짧도록 구성하여 상기 키홀(464)과 고정키(600) 사이에는 항상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투스(500)의 적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에 삽입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스(500)를 삽입부(462)에 끼우게 되면 상기 키홈(464)과 상기 키홀(520)이 상하로 대응되게 위치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키(600)를 상기 키홈(464)에 삽입하고 육각렌치 등의 도구에 의하여 회전시켜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를 감싸도록 결합됨으로 상기 투스(5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좌측(도 8에서)으로 이동시켜서 분리하는 것만 가능 할 것이다.
이 때, 상기 고정키(600)가 상기 키홈(464)에 결합됨으로 상기 투스(500)는 좌측(도 8에서)으로의 이동이 제한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에서 이탈되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투스(500)를 삽입부(462)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투스(500)와 삽입부(462) 간에 약간의 흔들거림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흔들거림은 상기 고정키(600)와 상기 키홀(520) 간 이격공간(a)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격공간(a)은 굴삭 진행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키(60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굴삭이 진행되면 상기 투스(500)는 지면과 닿아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굴삭 충격에 의하여 상기 투스(500)와 버킷투스(460)는 완전 밀착하게 될 것이다. 즉, 투스(500)에 형성된 삽입홀(462)의 선단(도 8에서 좌측)은 삽입부(462)의 선단과 밀착 하거나 상기 투스(500)의 후단(도 8에서 우측)은 단차면(463)과 밀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키(600)는 상기 이격공간(a)에 의하여 투스(500)와는 접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키(600)는 파손되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은 좌우(도 8에서) 흔들거림은, 상기 고정키(600)의 우측(도 8에서 우측)에 형성되는 이격공간(a)을 최소화함으로서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버킷(410)은, 상기 버킷암결합부(414)를 통하여 상기 선단프레임(422)의 선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버킷(410)은, 지면 또는 굴을 굴삭하고 굴삭된 모래 또는 돌 등을 수용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암실린더(430)가 구비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실린더(430)의 바디 후단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 상부에 결합되고 암실린더(430)의 실린더로드 선단은 상기 후단결합부(421')에 결합된다.
상기 암실린더(430)의 실린더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암(42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암(420)의 회전으로 인하여 버킷(410)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단프레임(422)의 상부에는, 버킷실린더(440)가 구비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실린더(440)의 바디 후단은 상기 선단결합부(422')에 결합되고 버킷실린더(440)의 실린더로드 선단은 상기 버킷실린더결합부(415)에 결합된다.
상기 버킷실린더(440)의 실린더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버킷(4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버킷(410)과 지면 또는 굴 등의 각도를 조정하여 굴삭을 진행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압유닛(450)은, 유압 오일을 내부에 수용 또는 저장하는 유압탱크(453)와, 동력을 생산하는 유압모터(451)와, 상기 유압모터(451)의 동력을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유압펌프(45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탱크(453)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유압탱크(453)는, 유압 오일을 내부에 수용 또는 저장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유압모터(451)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모터(451)는,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에서 전압을 인가 받아 작동 되고 동력을 생산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유압모터(451)의 우측(도 2에서)에는, 유압펌프(452)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펌프(452)는, 상기 유압탱크(453)로부터 급유된 오일과 상기 유압모터(451)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이용하여 압력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렇듯 변환된 압력에너지는 상기 암실린더(430)와 버킷실린더(440)에 이용된다.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는, 상기 몸체(100)의 후단에 구비되고, 외형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터리어셈블리(110)에는, 다수개의 배터리가 구비 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긴 가동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어셈블리(110)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다양한 금속과 전해액으로 이루어지므로 고중량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어셈블리(110)는, 굴삭기에 이용되는 모터(210)와 유압모터(451) 등 다양한 부품에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버킷(410)과, 상기 버킷(410)을 연결 및 지지하는 암(420)으로 인하여 굴삭기의 무게 중심은 전방(도 1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될 것이다. 특히, 상기 버킷(410)에 굴삭된 모래 또는 돌 등이 실어지게 될 경우 굴삭기의 무게 중심은 더욱 전방(도 1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될 것이다.
상기 작업어셈블리(400)에 의하여 전방으로 치우친 무게 중심은,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를 상기 몸체(100)의 후단에 구비함으로서 보완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를 상기 몸체(100)의 후단에 구비함으로서 불필요한 무게추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굴삭기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필요 시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무게추를 추가 하는 것도 가능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를 상기 몸체(100)의 후단에 구비함으로서, 통상의 굴삭기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높이가 낮은 굴 등의 작업 환경에도 굴삭기가 보다 쉽게 진입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에는, 무선조종기(120)로 굴삭기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이 포함된다.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에는, 제어시스템(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작동하며, 상기 무선조종기(12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어셈블리(200), 이동어셈블리(300), 작업어셈블리(400)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선조종기(120)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서 조작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고 상기 무선조종기(120)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상기 배터리어셈블리(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시스템이 수신한다. 이처럼 제어시스템이 무선조종기(120)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함으로서 굴삭기는 제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무선조종기(120)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기 쉬운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굴삭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무선조종기(120)는, 한 쌍의 조이스틱(1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이스틱(121)은, 상기 무선조종기(12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무선조종기(120)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조종기(120)의 좌측(도 9에서) 조이스틱(121)은, 상기 구동어셈블리(200)와 이동어셈블리(300)를 제어 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조이스틱(121)을 전후로 움직일 경우 굴삭기가 전진 또는 후진하고, 좌우로 움직일 경우 굴삭기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도록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조종기(120)의 우측(도 9에서) 조이스틱(121)은, 상기 작업어셈블리(400)를 제어 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조이스틱(121)을 전후로 움직일 경우 굴삭기의 암(420)이 시계 방향(도 1에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우로 움직일 경우 버킷(410)이 시계 방향(도 1에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조종기(120)에는, 굴삭기의 전방등을 켜는 등 다양한 버튼을 추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시스템과 무선조종기(120)의 무선 연결 방식으로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였으나,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도 무선 연결이 가능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무선조종기(120)를 작동함으로서 무선조종기(120)는 작동 신호를 생성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동 신호는, 배터리어셈블리(110)에 구비되는 제어시스템(미도시)에서 수신하게 되고 제어시스템은 작동 신호를 기반으로 굴삭기를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어시스템은 수신한 작동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210)를 구동 시킬 수 있을 것이며 모터(210)는 동력을 생성하게 될 것이다.
생성된 동력은 감속기(220)로 전달되고, 감속기(220)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회전축(230)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회전축(23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축(230)이 회전함으로서 회전축(230)에 구비된 상기 구동바퀴(310)는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굴삭기는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구동어셈블리(201)와 제2구동어셈블리(20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도 가능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시스템은 수신한 작동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유압모터(451)를 구동 시킬 수 있을 것이며 유압모터(451)는, 동력을 생성하게 될 것이다.
생성된 동력은 유압펌프(452)로 전달되고, 유압펌프(452)는 유압모터(451)로부터 전달받은 동력과 유압탱크(453)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이용하여 압력에너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암실린더(430) 또는 버킷실린더(440)는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을 것이다. 암실린더(430)가 전진 또는 후진 함에 따라 상기 암(420)은 상기 몸체암결합부(101)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 할 것이다. 즉, 상기 암(420)의 선단에 구비된 버킷(410)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버킷실린더(440)가 전진 또는 후진 함에 따라 상기 버킷(410)은 상기 버킷암결합부(41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 할 것이다. 즉, 상기 버킷(410)이 지면에 닿는 각도를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작동되는 굴삭기는, 지면 또는 굴 등을 파는 등의 작업을 반복하게 될 경우 지면과 접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버킷(410)에서 마모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굴삭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마모는 지면 또는 굴과 가장 먼저 닿는 버킷투스(460)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버킷투스(460)에 투스(500)를 결합함으로서 버킷투스(460)가 아닌 투스(500)에서 마모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상기 버킷투스(460)에 마모가 발생하게 될 경우 버킷(41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지만 상기 투스(500)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소모품의 일종으로 보다 효율적인 비용으로 교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투스(500)를 교체 하는 것이 버킷(410) 전체를 교체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적인 측면을 덜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교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굴삭력을 항시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몸체 101. 몸체암결합부
110. 배터리어셈블리 120. 무선조종기
121. 조이스틱 200. 구동어셈블리
201. 제1구동어셈블리 202. 제2구동어셈블리
210. 모터 220. 감속기
230. 회전축 300. 이동어셈블리
310. 구동바퀴 311. 제1구동바퀴
312. 제2구동바퀴 320. 종속바퀴
330. 무한궤도 400. 작업어셈블리
410. 버킷 411. 굴삭판
412. 수용판 413. 방지판
414. 버킷암결합부 415. 버킷실린더결합부
420. 암 421. 후단프레임
421'. 후단결합부 422. 선단프레임
422'. 선단결합부 430. 암실린더
440. 버킷실린더 450. 유압유닛
451. 유압모터 452. 유압펌프
453. 유압탱크 460. 버킷투스
461. 지지부 462. 삽입부
463. 단차면 464. 키홈
465. 돌출나사 500. 투스
510. 결합홈 520. 키홀
600. 고정키 610. 탭홈
620. 렌치홈 a. 이격공간

Claims (5)

  1.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어셈블리(300)와, 땅을 파거나 깍는 버킷(410)이 구비되는 작업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버킷(410)에는, 상기 버킷(41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버킷투스(460)와, 상기 버킷투스(4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스(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킷투스(460)는, 상기 버킷(41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61)와, 상기 지지부(46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투스(500)와 결합되는 삽입부(46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투스(500)는, 상기 삽입부(462)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부(462)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462)에 체결되는 고정키(600)에 의해 삽입부(462)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462)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키(600)가 삽입되는 키홈(464)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홈(464)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키(600)와 나사 결합되는 돌출나사(465)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키(600)의 일면에는 상기 돌출나사(465)와 나사 체결되는 탭홈(610)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500)에는,
    상기 삽입부(462)가 수용되는 결합홈(510)과, 상기 고정키(600)가 관통하는 키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10)은 상기 삽입부(46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KR1020190139940A 2019-11-05 2019-11-05 굴삭기 KR10210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40A KR102107773B1 (ko) 2019-11-05 2019-11-05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40A KR102107773B1 (ko) 2019-11-05 2019-11-05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73B1 true KR102107773B1 (ko) 2020-05-07

Family

ID=7073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940A KR102107773B1 (ko) 2019-11-05 2019-11-05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86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이스쿠스 모듈형 소형 건설 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910Y2 (ja) * 1980-12-22 1985-09-17 三国 慶耿 刈取機の刈取物排除装置
KR100615524B1 (ko) 2005-03-25 2006-08-28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JP2008277581A (ja) * 2007-04-27 2008-11-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磁気吸着装置
KR20150137348A (ko) * 2014-05-29 2015-12-09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N206706886U (zh) * 2017-04-12 2017-12-05 深圳市鸿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挖掘机斗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910Y2 (ja) * 1980-12-22 1985-09-17 三国 慶耿 刈取機の刈取物排除装置
KR100615524B1 (ko) 2005-03-25 2006-08-28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켓용 투스
JP2008277581A (ja) * 2007-04-27 2008-11-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磁気吸着装置
KR20150137348A (ko) * 2014-05-29 2015-12-09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N206706886U (zh) * 2017-04-12 2017-12-05 深圳市鸿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挖掘机斗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865A (ko) *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이스쿠스 모듈형 소형 건설 장비
KR102458900B1 (ko) 2020-07-09 2022-10-26 주식회사 이스쿠스 모듈형 소형 건설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564B (zh) 用于对岩石进行作业的方法及设备
CN207959327U (zh) 工具系统和适配件
KR101846973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US10508542B2 (en) Excavation assembly for use in excavator
KR102107773B1 (ko) 굴삭기
CN105765131A (zh) 用于铲斗的衬垫系统
JP2011017166A (ja) 建設機械の分解組立装置
EP1847652A1 (en) Excavation device
US11584456B2 (en) Undercarriage assembly for a machine
CN109469134B (zh) 一种挖掘机
KR20210054165A (ko) 굴삭기
US8621770B1 (en) Excavating apparatus employing swivel adapter with gear bearings having gears with divergent thickness
NO163245B (no) Boreutstyr for horisontal boring i fjell med lav pallhoeyde
CN212249847U (zh) 旋挖钻头和具有其的旋挖机
CN109695266B (zh) 一种松土器及其控制方法
CN201486562U (zh) 矿井、隧道挖掘机
CN112942465A (zh) 一种电力工程用杆坑开挖装置
CN221144313U (zh) 一种液压方桩钻头
CN217419788U (zh) 一种用于路基边坡防护结构开槽的新型铣挖机
CN210177568U (zh) 一种前趾开挖装置
CN215835873U (zh) 一种便于使用的园林施工用挖穴机
CN218060519U (zh) 一种挖掘机配重总成
CN218580726U (zh) 一种道路工程建设用多功能挖掘机
JP4416537B2 (ja) 溝の掘削工法
CN113774977B (zh) 一种具有辅助支撑功能的土木工程用震动式基坑深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