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603B1 -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603B1
KR102638603B1 KR1020230152366A KR20230152366A KR102638603B1 KR 102638603 B1 KR102638603 B1 KR 102638603B1 KR 1020230152366 A KR1020230152366 A KR 1020230152366A KR 20230152366 A KR20230152366 A KR 20230152366A KR 102638603 B1 KR102638603 B1 KR 10263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uter race
race
seating groove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낙수
Original Assignee
(주)진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산업 filed Critical (주)진성산업
Priority to KR102023015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에 의해 외부레이스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됨에 따라, 외부레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레이스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레이스의 하단에 제1베어링부가 구비되고 외부레이스의 상단에 제2베어링부가 구비됨에 따라 선회드라이브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작업성 향상은 물론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에 의해 외부레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레이스의 회전기어와 구동모터의 모터기어부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에 보강지지베어링부가 구비됨에 따라,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고 외부레이스의 회전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slewing drive stronging against impact and in which rotation facilitates}
본 발명은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붐에 연결되는 항타기, 집게 등 장비에 가해지는 충격 전달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충격에 강하고, 장비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회드라이브는, 회전시 토크를 전달하고 방사상 및 축방향 부하를 안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기어박스를 일컫는 것으로, 선회 드라이브들은 기어장치, 베어링, 밀봉재, 하우징, 모터 및 다른 보조 부품들을 마감된 기어박스내에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회드라이브는, 굴삭기 등 장비의 동작시 발생되는 비정상 모멘트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외력을 분산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외부레이스와, 외부 레이스의 방사상 내주면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링 형상의 내부레이스 및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 베어링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레이스는 고정되고 외부 레이스와 치합되는 웜구동체의 동작에 의해 외부레이스가 회전된다.
종래 안출된 바 있는 선회드라이브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10-2381889호인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굴삭기 버켓의 회전동작과 틸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굴삭기 버켓의 연결체에 연결되는 선회 드라이브 내측에 틸팅보강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버켓의 회전동작은 물론 버켓의 틸팅동작시에 발생되는 외력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회드라이브의 파손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선회드라이브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틸팅보강체와 선회드라이브가 동시에 굴삭기 버켓의 연결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틸팅동작시에 발생된 외력이 선회드라이브에 집중되지 않고 틸팅보강체에 의해 분산 지지되어 선회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외력이 선회드라이브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 지지될 수 있어 선회드라이브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선회드라이브의 경우, 내부레이스와 외부레이스 사이에 1개의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중, 장비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 전달된 충격이 그대로 선회드라이브에 전달되어 선회드라이브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부가 내부레이스의 측면과 외부레이스의 측면 사이에 위치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베어링부의 복수개 베어링볼을 내부레이브와 외부레이스의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하여 선회드라이브를 조립하는 작업이 어려워 선회드라이브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내부레이스와 외부레이스의 마주보는 측면 중앙 둘레부를 따라 1개의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리면서 회전하거나 틸팅작업을 하는 장비의 회전동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381889호(2022.03.29.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19076호(2017.03.16. 등록)
본 발명은 기어부가 구비되는 외부레이스와 외부레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레이스의 하단에 제1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외부레이스의 상단에 제2베어링부를 구비하여, 장비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 사이에 보강지지베어링부를 구비하여 외부레이스는 물론 내부레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 지지하도록 하여 충격에 대한 대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 및 보강지지베어링부에 의해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리면서 틸팅 및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는, 구동모터의 모터기어부와 치합되는 회전기어가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외부레이스와 상기 외부레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레이스와 상기 내부레이스를 장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레이스의 하단과 외부레이스의 하단을 연결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레이스의 상단과 고정브라켓을 연결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베어링부는, 내부레이스에 대해 외부레이스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레이스의 외측 하단 둘레부를 따라 돌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플랜지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과, 상기 외부레이스의 내측 하단 둘레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 상단에 안착되는 제2베어링지지플랜지와, 상기 제2베어링지지플랜지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상기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베어링안착홈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과 제2베어링안착홈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1베어링볼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 제1베어링볼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1볼끼움구멍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베어링부는, 고정브라켓에 대해 외부레이스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레이스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3베어링안착홈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반원형의 제4베어링안착홈과,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과 제4베어링안착홈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2베어링볼과, 상기 외부레이스의 상단과 고정브라켓이 하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 제2베어링볼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2볼끼움구멍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2베어링지지링으로 구비되는 선회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외부레이스의 내측면 둘레부와 내부레이스의 외측면 둘레부 사이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부레이스의 제2베어링지지플랜지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지지하고 외부레이스의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강지지베어링부가 구비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에 의해 외부레이스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됨에 따라, 외부레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레이스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레이스의 하단에 제1베어링부가 구비되고 외부레이스의 상단에 제2베어링부가 구비됨에 따라 선회드라이브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작업성 향상은 물론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베어링부와 제2베어링부에 의해 외부레이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레이스의 회전기어와 구동모터의 모터기어부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에 보강지지베어링부가 구비됨에 따라, 외부레이스와 내부레이스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고 외부레이스의 회전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의 조립상태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의 일부생략 구성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터(10)의 모터기어부(11)와 치합되는 회전기어(21)가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외부레이스(20)와,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레이스(30)와 상기 내부레이스(30)를 장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40)으로 이루어진 선회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는, 외부레이스(20)가 구동모터(10)의 동력전달에 의해 내부레이스(30)에 대해 회전되는 것으로, 이 때, 외부레이스(20) 또는 내부레이스(30) 중 어느 하나를 굴삭기의 붐대 하단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를 굴삭기에 연결되는 장비에 연결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굴삭기에 연결된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외부레이스(20)와 내부레이스(3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외부레이스(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함에 따라 외부레이스(20)의 회전기어(21)가 구동모터(10)의 모터기어부(11)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회드라이브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작업성 향상은 물론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내부레이스(30)의 하단과 외부레이스(20)의 하단을 연결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을 연결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6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베어링부(50)는, 내부레이스(30)에 대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레이스(30)의 외측 하단 둘레부를 따라 돌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52)과,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 하단 둘레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 상단에 안착되는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상기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5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베어링안착홈(54)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과 제2베어링안착홈(54)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1베어링볼(55)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1볼끼움구멍(56)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링(57)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의 하부측이 안착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베어링안착홈(5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과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베어링안착홈(54)은,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에 하부측이 안착된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의 상부측이 안착되어 위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베어링부(50)는, 외부레이스(20)가 회전될 때 상기 제1베어링부(50)에 의해 외부레이스(20)의 하단과 내부레이스(30)가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레이스(20)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이 각각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위치되는 제1베어링지지링(57)의 제1볼끼움구멍(56)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과 제2베어링안착홈(54)에 위치되어 끼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시에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을 제1베어링부(50)의 제1베어링안착홈(54)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안착시키면 됨에 따라, 선회드라이브를 조립할 때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베어링부(60)는, 고정브라켓(40)에 대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상기 고정브라켓(40)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반원형의 제4베어링안착홈(62)과,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제4베어링안착홈(62)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2베어링볼(63)과,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2볼끼움구멍(64)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2베어링지지링(65)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은, 외부레이스(20)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반원으로 파인 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4베어링안착홈(62)은 고정브라켓(40)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반원으로 파인 홈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제4베어링안착홈(62)에 의해 상기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이 각각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제2베어링지지링(65)의 제2볼끼움구멍(64)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제4베어링안착홈(62)에 위치되어 끼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시에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을 제2베어링부(60)의 제3베어링안착홈(61)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안착시키면 됨에 따라, 선회드라이브를 조립할 때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베어링부(50)가 내부레이스(30)의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외부레이스(20)의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레이스(20)의 하단을 지지하고, 제2베어링부(60)가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레이스(20)의 상단을 지지함에 따라, 회전되는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외부레이스(20)의 회전기어(21)가 구동모터(10)의 모터기어부(11)로부터 어긋나거나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면(20a) 둘레부와 내부레이스(30)의 외측면(30a) 둘레부 사이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상면에 안착되는 보강지지베어링부(70)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보강지지베어링부(70)는, 볼베어링, 리니어베어링, 롤러베어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지지베어링부(70)가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면(20a) 둘레부와 내부레이스(30)의 외측면(30a) 둘레부 사이에 위치되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레이스(20)의 외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레이스(20)와 내부레이스(30)의 상부측은 물론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전달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레이스(20)와 내부레이스(30)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레이스(20)의 회전 동작이 보강지지베어링부(70)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구동모터 11 : 모터기어부
20 : 외부레이스 20a : 외부레이스 내측면
21 : 회전기어 30 : 내부레이스
30a : 내부레이스 외측면 40 : 고정브라켓
50 : 제1베어링부 51 : 제1베어링지지플랜지
52 : 제1베어링안착홈 53 : 제2베어링지지플랜지
54 : 제2베어링안착홈 55 : 제1베어링볼
56 : 제1볼끼움구멍 57 : 제1베어링지지링
60 : 제2베어링부 61 : 제3베어링안착홈
62 : 제4베어링안착홈 63 : 제2베어링볼
64 : 제2볼끼움구멍 65 : 제2베어링지지링
70 : 보강지지베어링부

Claims (4)

  1. 구동모터(10)의 모터기어부(11)와 치합되는 회전기어(21)가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외부레이스(20)와,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레이스(30)와 상기 내부레이스(30)를 장비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4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레이스(30)의 하단과 외부레이스(20)의 하단을 연결 지지하는 제1베어링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을 연결 지지하는 제2베어링부(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베어링부(50)는, 내부레이스(30)에 대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레이스(30)의 외측 하단 둘레부를 따라 돌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52)과,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 하단 둘레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 상단에 안착되는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와, 상기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상기 반원형의 제1베어링안착홈(5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베어링안착홈(54)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베어링안착홈(52)과 제2베어링안착홈(54)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1베어링볼(55)과, 상기 제1베어링지지플랜지(51)와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 제1베어링볼(55)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1볼끼움구멍(56)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1베어링지지링(57)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베어링부(60)는, 고정브라켓(40)에 대해 외부레이스(2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반원형의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상기 고정브라켓(40)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반원형의 제4베어링안착홈(62)과, 상기 제3베어링안착홈(61)과 제4베어링안착홈(62) 둘레부를 따라 끼움 구비되는 복수개 제2베어링볼(63)과,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상단과 고정브라켓(40)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 제2베어링볼(63)이 각각 끼움 지지되는 제2볼끼움구멍(64)이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2베어링지지링(65)으로 구비되는 선회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외부레이스(20)의 내측면(20a) 둘레부와 내부레이스(30)의 외측면(30a) 둘레부 사이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부레이스(20)의 제2베어링지지플랜지(53)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외부레이스(20)와 내부레이스(30)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 지지하고 외부레이스(20)의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강지지베어링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베어링부(70)는,
    볼베어링, 리니어베어링, 롤러베어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KR1020230152366A 2023-11-07 2023-11-07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KR10263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366A KR102638603B1 (ko) 2023-11-07 2023-11-07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366A KR102638603B1 (ko) 2023-11-07 2023-11-07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603B1 true KR102638603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366A KR102638603B1 (ko) 2023-11-07 2023-11-07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6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7119A1 (en) * 2000-07-07 2002-03-28 Schleinitz Thilo W.-D.V. Lockable bearing unit
KR20150005782A (ko) * 2013-07-05 2015-01-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주 접선력으로 구동되는 고토크 회전장치
KR101719076B1 (ko) 2015-12-29 2017-03-23 양승훈 선회 드라이브
KR101846973B1 (ko) * 2017-01-03 2018-04-09 최인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20230134246A (ko) *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7119A1 (en) * 2000-07-07 2002-03-28 Schleinitz Thilo W.-D.V. Lockable bearing unit
KR20150005782A (ko) * 2013-07-05 2015-01-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주 접선력으로 구동되는 고토크 회전장치
KR101719076B1 (ko) 2015-12-29 2017-03-23 양승훈 선회 드라이브
KR101846973B1 (ko) * 2017-01-03 2018-04-09 최인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102381889B1 (ko) 2020-08-18 2022-03-31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20230134246A (ko) *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6912B2 (ja) 追加アクチュエータが受動リンクに配置されたパラレルリンクロボット
KR101719076B1 (ko) 선회 드라이브
CN104066975B (zh) 带有具有非均一刚度的支撑结构的叶片轴承及其制造方法
CN107263458A (zh) 机器人的旋转轴结构
US20120174691A1 (en) Linear actuator
CN1101109A (zh) 用于驱动机器或设备部件转动的蜗轮蜗杆传动机构
CN102177355B (zh) 用于使两个同轴的连接元件能扭转地联接的装置
KR102638603B1 (ko)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CN102203465B (zh) 一种用于重型船用变速器的轴承装置
US11945528B2 (en) Hip joint mechanism and humanoid robot
KR102381889B1 (ko)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JP6220105B1 (ja) 外部駆動型の関節構造体
US4446977A (en) Roller support for load handling devices
CN112227938A (zh) 传动箱、动力头及旋挖钻机
JP2011236944A (ja) 軸受装置
CN106357039A (zh) 外伸轴定位结构及电机传动结构
JPWO2019167645A1 (ja) 線状体用巻き取り巻き戻し機構
EP3249250B1 (en) A rotatable joint for a suspension arm of a control device or similar apparatus
KR200496769Y1 (ko) 선회드라이브의 틸팅보강구조
CN219563089U (zh) 机械臂传动组件、末端关节机械臂和机械臂结构
KR101643392B1 (ko) 병렬 구조의 중공형 액츄에이터
KR101034332B1 (ko) 선체 구조물과 스러스터 리셉터클의 일체화 구조
CN211275481U (zh) 一种弹跳筛的传动装置
CN215171896U (zh) 一种回转减速机与工程机械
JP2012215268A (ja) 直線作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