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46A -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246A
KR20230134246A KR1020220031311A KR20220031311A KR20230134246A KR 20230134246 A KR20230134246 A KR 20230134246A KR 1020220031311 A KR1020220031311 A KR 1020220031311A KR 20220031311 A KR20220031311 A KR 20220031311A KR 20230134246 A KR20230134246 A KR 2023013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wear
excavator
housing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22003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246A/ko
Priority to CN202310243606.7A priority patent/CN116752593A/zh
Publication of KR2023013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부커플링부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하부커플링부는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한다. 동력전달부는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돌출 블록이 내주를 따라 돌출된 하우징과,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 플랜지와 하측 플랜지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돌출 블록의 상측과 하측으로 진입되는 회전 전달체, 및 회전 전달체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다. 구동부는 회전 전달체를 회전시킨다. 회전 전달체는 상측 플랜지가 형성된 제1 회전 전달체와, 하측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1 회전 전달체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커플링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 전달체와, 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의 외주면에 장착된 제1 마모부재, 및 돌출 블록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의 상측 플랜지 하면에 장착된 제2 마모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ROTATING TYPE QUICK COUPL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의 작업용도에 따라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교체 가능하게 하는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토목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착기는 버켓(bucket)을 이용한 땅파기 작업,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암반 파쇄작업,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물 파쇄 및 철근·빔 절단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파지물(고철, 나무, 돌 등) 운반 작업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인 어태치먼트는 작업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굴착기의 암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수동으로 교체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시간 및 노동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별도의 커플러를 굴착기의 암대 끝단부에 설치하여 어태치먼트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퀵커플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좁은 공간, 특정 자세에서 작업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해,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되는 상부 커플링부와,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하부커플링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어태치먼트를 착탈할 수 있는 하부커플링부로 이루어져 하부커플링부에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식 커플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편의성을 위해 여러 기능이 추가되고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동력전달부의 기어 파손, 구조물 파손, 빠른 마모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및 기능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동력전달부 전체의 내구성 증대와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는 상부커플링부와, 하부커플링부와, 동력전달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부커플링부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하부커플링부는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한다. 동력전달부는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돌출 블록이 내주를 따라 돌출된 하우징과,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 플랜지와 하측 플랜지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돌출 블록의 상측과 하측으로 진입되는 회전 전달체, 및 회전 전달체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다. 구동부는 회전 전달체를 회전시킨다. 회전 전달체는 상측 플랜지가 형성된 제1 회전 전달체와, 하측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1 회전 전달체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커플링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 전달체와, 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의 외주면에 장착된 제1 마모부재, 및 돌출 블록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의 상측 플랜지 하면에 장착된 제2 마모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마모부재가 회전 전달체의 제1 회전 전달체에 구비되어 회전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모를 지연시켜 제1 회전 전달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마모부재가 마모되더라도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되어 제1 회전 전달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동력전달부 전체의 내구성 증대와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정비에 따른 손실비용 감소와 작업능률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력전달부 및 구동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 회전 전달체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좌측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력전달부 및 구동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 회전 전달체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좌측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는 상부커플링부(100)와, 하부커플링부(200)와, 동력전달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부커플링부(100)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상부커플링부(100)는 상측에 상호 이격된 연결플레이트(110)들과, 각 양단이 연결플레이트(110)들에 고정된 연결핀(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플링부(100)는 연결핀(120)들에 의해 굴착기의 암대와 H-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커플링부(200)는 상부커플링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커플링부(200)에는 어태치먼트가 착탈된다. 하부커플링부(200)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부커플링부(200)는 고정후크가 어태치먼트의 고정후크용 결합핀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가동후크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가동후크용 결합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동됨으로써,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300)는 하우징(310)과, 회전 전달체(320), 및 슬라이딩 베어링(330)을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상부커플링부(100)의 하면에 고정된다. 하우징(310)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측과 하측이 각각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개구 주변이 하측 개구 주변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상부커플링부(100)의 하면에 볼트부재(301)로 볼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돌출 블록(311)이 내주를 따라 돌출된다. 돌출 블록(311)은 상부커플링부(100)보다 하부커플링부(2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 블록(311)은 하우징(310)의 내주를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속되게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블록(311)은 하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가 하우징(310)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틈새조절용 홈의 하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는 심부재(317)에 의해 틈새조절용 홈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커플링부(200)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하부커플링부(200)를 회전 지지할 수 있다.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는 하부커플링부(200)의 회전시 하부커플링부(200) 대신 마모되어 하부커플링부(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심부재(317)는 틈새조절용 홈의 상측 공간에 수용되어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탈방지플레이트(318)는 심부재(317)와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가 틈새조절용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틈새조절용 홈의 출입구를 막음으로써, 그 출입구를 통한 심부재(317)와 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316)의 이탈을 방지한다.
회전 전달체(320)는 하부커플링부(2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 플랜지(321)와 하측 플랜지(322)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돌출 블록(311)의 상측과 하측으로 진입된다. 회전 전달체(320)는 구동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하부커플링부(200)를 함께 회전시킨다.
회전 전달체(320)는 상측 플랜지(321)와 하측 플랜지(322) 사이에 하우징(310)의 돌출 블록(311)을 끼움으로써, 하우징(31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측 플랜지(321)와 하측 플랜지(322)는 회전 전달체(320)의 외주를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속되게 돌출될 수 있다. 회전 전달체(320)의 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내마모부재(341)가 하우징(310)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일부 끼워진 상태로 회전 전달체(320)의 외주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마모부재(341)는 하우징(310)에 대한 회전 전달체(320)의 회전시 하우징(310)의 상측 내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내마모부재(342)는 하측 플랜지(322)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일부 끼워진 상태로 돌출 블록(311)의 하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내마모부재(342)는 하우징(310)에 대한 회전 전달체(320)의 회전시 하측 플랜지(322)의 상면과 돌출 블록(311)의 하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씰부재(351)가 회전 전달체(320)와 상부커플링부(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씰부재(352)가 하측 플랜지(322)와 하우징(3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330)은 회전 전달체(320)가 하우징(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한다. 슬라이딩 베어링(330)은 상측 플랜지(321)와 하우징(310)의 돌출 블록(31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전달체(320)가 하우징(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330)은 돌출 블록(311)의 상면과 내주면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회전 전달체(320)를 회전시킨다. 구동부(400)는 회전 전달체(320)를 360°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전달체(320)가 볼트부재(302)로 볼팅되어 고정된 하부커플링부(200)를 함께 360°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식 퀵커플러가 좁은 공간, 특정 자세에서 더욱 쉽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구동부(400)는 케이싱(410)과, 웜샤프트(420)와, 구름 베어링(430)들과, 모터(440), 및 커버들(451, 45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410)은 내부공간을 갖고, 양단이 개구되며, 회전 전달체(320)를 향한 부위가 트인 형태로 하우징(310)에 형성된다. 웜샤프트(420)는 케이싱(410) 내에서 회전 전달체(320)의 웜기어와 치합된다.
구름 베어링(430)들은 웜샤프트(420)의 양단을 커버들(451, 452)에 대해 회전 지지한다. 모터(440)는 케이싱(410)에 지지된 상태로 웜샤프트(420)를 회전시킨다. 커버들(451, 452)은 케이싱(410)의 양단 개구를 덮는다. 제3,4 씰부재(461, 462)가 커버들(451, 452)과 웜샤프트(4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전달체(320)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와, 제2 회전 전달체(320b)와, 제1 마모부재(360), 및 제2 마모부재(370)를 포함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상측 플랜지(321)가 형성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외주를 따라 웜샤프트(420)와 치합되는 웜기어가 형성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중공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 전달체(320b)는 하측 플랜지(322)가 형성된다. 제2 회전 전달체(320b)는 중공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 전달체(320b)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커플링부(200)에 고정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2 회전 전달체(320b)에 볼트부재(303)로 볼팅될 수 있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하우징(31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제2 회전 전달체(320b)는 하우징(310)의 하측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전달체(320)는 하우징(310)의 돌출 블록(311)을 사이에 두고 제1,2 회전 전달체(320a, 320b)가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310)에 대한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전달체(320a)가 제2 회전 전달체(320b)에 대해 용이하게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으므로, 제1,2 마모부재(360, 37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하우징(310)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회전시 제1 회전 전달체(320a) 대신 마모되어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마모부재(360)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장착된 제1 내마모부재(341)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내마모부재(341)와 접촉된 상태로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회전에 따른 마찰에 의해 제1 내마모부재(34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지연시키고,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마모부재(36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일정 단면적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사각형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높이가 내,외주면 간의 두께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의 외주면은 제1 내마모부재(341)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갖고 제1 내마모부재(341)와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내마모부재(341)와 제1 회전 전달체(320a) 간의 접촉을 방지한 상태로 제1 내마모부재(341)와 접촉되어 회전 마찰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윤활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컨대 TP601(OILO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P601(OILON)은 MC 나일론(Mono Cast Nylon)에 액체 윤활제를 첨가하여 영구적으로 윤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소재로서, 마찰계수가 낮고 내구성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1 마모부재(360)를 안착시켜 장착하는 제1 장착홈(36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장착홈(361)은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상측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장착홈(361)은 상측에 제1 마모부재(360)를 출입시키는 크기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장착홈(361)은 상측 개구를 통해 제1 마모부재(360)를 손쉽게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장착홈(361)은 제1 마모부재(360)의 외주면이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외주면과 단차 없이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1 마모부재(360)를 끼우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장착홈(361)은 제1 마모부재(360)를 하우징(310)의 내주면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키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착탈기구에 의해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다. 제1 착탈기구는 제1 마모부재(360)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마모된 제1 마모부재를 손쉽게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제1 착탈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볼트(362a)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에는 제1 체결홀(362b)들이 제1 볼트(362a)들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다. 제1 체결홀(362b)은 제1 마모부재(360)에 제1 볼트(362a)를 통과시키는 크기로 수평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 체결홀(362b)은 제1 마모부재(360)의 둘레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1 장착홈(361) 내의 수직면에 제1 체결홀(362b)들과 각각 대응되게 제1 나사홈(362c)들이 형성된다. 제1 나사홈(362c)은 제1 볼트(362a)와 나사 결합된다.
제1 볼트(362a)는 제1 나사홈(362c)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를 제1 체결홀(362b)에 인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체결홀(362b)이 제1 볼트(362a)의 헤드를 인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마모부재(360)가 제1 장착홈(36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볼트(362a)는 제1 마모부재(360)의 제1 체결홀(362b)을 통과해서 제1 나사홈(362c)에 조여짐에 따라 제1 마모부재(360)를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볼트(362a)는 제1 나사홈(362c)으로부터 풀려 제1 체결홀(362b)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1 마모부재(360)를 제1 회전 전달체(320a)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착탈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제1 회전 전달체는 고정핀을 끼움 결합하는 홈을 구비할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회전방지기구에 의해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가 제1 회전 전달체(320a)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1 내마모부재(341)와 마찰될 때, 제1 회전방지기구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한 제1 마모부재(360)의 회전 방향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제1 착탈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방지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회전방지핀(36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모부재(360)는 내주면에 상측이 개구되고 설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홈(36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1 장착홈(361) 내의 수직면에 상측이 개구되고 설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외측 홈(363c)을 구비할 수 있다.
내측 홈(363b)은 상측 개구를 통해 제1 회전방지핀(363a)의 한쪽 절반을 끼우도록 형성된다. 외측 홈(363c)은 상측 개구를 통해 제1 회전방지핀(363a)의 둘레 중 다른 쪽 절반을 끼우도록 형성된다. 내,외측 홈(363b, 363c)은 바닥면에 제1 회전방지핀(363a)의 하단을 지지한 상태로 제1 회전방지핀(363a)을 완전히 인입시킬 수 있는 깊이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방지핀(363a)이 내,외측 홈(363b, 363c)에 끼워짐으로써, 제1 마모부재(360)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돌출 블록(311)의 상면과 마주하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상측 플랜지(321)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2 마모부재(370)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회전시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상측 플랜지(321) 대신 마모되어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2 마모부재(370)는 돌출 블록(311)의 상면과 내주면에 걸쳐 장착된 슬라이딩 베어링(330)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슬라이딩 베어링(330)과 접촉된 상태로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회전에 따른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330)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모를 지연시키고,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2 마모부재(37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일정 단면적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사각형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내,외주면 간의 두께가 높이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의 하면은 슬라이딩 베어링(33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갖고 슬라이딩 베어링(33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마모부재(370)는 슬라이딩 베어링(330)과 상측 플랜지(321) 간의 접촉을 방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베어링(330)과 접촉되어 회전 마찰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제1 마모부재(36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2 마모부재(370)를 안착시켜 장착하는 제2 장착홈(37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착홈(371)은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상측 플랜지(321) 하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 장착홈(371)은 상측 플랜지(321)의 내측을 향한 옆 부위가 개구되고, 개구된 부위를 통해 제2 마모부재(370)의 내주면을 제2 회전 회전체(320b)의 외주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2 장착홈(371)은 제2 마모부재(370)의 하면이 상측 플랜지(321)의 하면과 단차 없이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제2 마모부재(370)를 끼우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 장착홈(371)은 제2 마모부재(370)를 슬라이딩 베어링(330)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키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제2 착탈기구에 의해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다. 제2 착탈기구는 제2 마모부재(370)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마모된 제2 마모부재를 손쉽게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제2 착탈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볼트(372a)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에는 제2 체결홀(372b)들이 제2 볼트(372a)들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다. 제2 체결홀(372b)은 제2 마모부재(370)에 제2 볼트(372a)를 통과시키는 크기로 수직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 체결홀(372b)은 제2 마모부재(370)의 둘레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2 장착홈(371) 내의 수평면에 제2 체결홀(372b)들과 각각 대응되게 제2 나사홈(372c)들이 형성된다. 제2 나사홈(372c)은 제2 볼트(372a)와 나사 결합된다.
제2 체결홀(372b)은 제2 볼트(372a)의 헤드를 인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 볼트(372a)는 제2 나사홈(372c)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를 제2 체결홀(372b)에 인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마모부재(370)가 제2 장착홈(37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볼트(372a)는 제2 마모부재(370)의 제2 체결홀(372b)을 통과해서 제2 나사홈(372c)에 조여짐에 따라 제2 마모부재(370)를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볼트(372a)는 제2 나사홈(372c)으로부터 풀려 제2 체결홀(372b)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2 마모부재(370)를 제1 회전 전달체(320a)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착탈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으로 구성되고, 제1 회전 전달체는 고정핀을 끼움 결합하는 홈을 구비할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제2 회전방지기구에 의해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가 제1 회전 전달체(320a)와 함께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베어링(330)과 마찰될 때, 제2 회전방지기구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한 제2 마모부재(370)의 회전 방향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제2 착탈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회전방지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회전방지핀(37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모부재(370)는 상면에 설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상측 홈(37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 전달체(320a)는 제2 장착홈(371) 내의 수평면에 설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하측 홈(373c)을 구비할 수 있다. 상측 홈(373b)은 제2 회전방지핀(373a)의 하측 부위를 끼우도록 형성된다. 하측 홈(373c)은 제2 회전방지핀(373a)의 상측 부위를 끼우도록 형성된다. 제2 회전방지핀(373a)이 상,하측 홈(373b, 373c)에 끼워짐으로써, 제2 마모부재(370)는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대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의하면, 제1,2 마모부재(360, 370)가 제1 회전 전달체(320a)에 구비되어 회전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모를 지연시켜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의하면, 제1,2 마모부재(360, 370)가 마모되더라도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되어 제1 회전 전달체(320a)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동력전달부(300) 전체의 내구성 증대와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정비에 따른 손실비용 감소와 작업능률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상부커플링부
110..연결플레이트 120..연결핀
200..하부커플링부
300..동력전달부
301, 302, 303..볼트부재 310..하우징
311..돌출 블록 316..틈새조절용 내마모부재
317..심부재 318..이탈방지플레이트
320..회전 전달체 320a..제1 회전 전달체
320b..제2 회전 전달체 321..상측 플랜지
322..하측 플랜지 330..슬라이딩 베어링
341..제1 내마모부재 342..제2 내마모부재
351..제1 씰부재 352..제2 씰부재
360..제1 마모부재 361..제1 장착홈
362a..제1 볼트 362b..제1 체결홀
362c..제1 나사홈 363a..제1 회전방지핀
363b..내측 홈 363c..외측 홈
370..제2 마모부재 371..제2 장착홈
372a..제2 볼트 372b..제2 체결홀
372c..제2 나사홈 373a..제2 회전방지핀
373b..상측 홈 373c..하측 홈
400..구동부
410..케이싱 420..웜샤프트
430..구름 베어링 440..모터
451, 452..커버 461..제3 씰부재
462..제4 씰부재

Claims (6)

  1.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되는 상부커플링부;
    상기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하는 하부커플링부;
    상기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돌출 블록이 내주를 따라 돌출된 하우징과, 상기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 플랜지와 하측 플랜지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돌출 블록의 상측과 하측으로 진입되는 회전 전달체, 및 상기 회전 전달체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지지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회전 전달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전달체는,
    상기 상측 플랜지가 형성된 제1 회전 전달체와,
    상기 하측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전달체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커플링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 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회전 전달체의 외주면에 장착된 제1 마모부재, 및
    상기 돌출 블록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회전 전달체의 상측 플랜지 하면에 장착된 제2 마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모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된 제1 내마모부재와 접촉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마모부재는 상기 돌출 블록의 상면과 내주면에 걸쳐 장착된 슬라이딩 베어링과 접촉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전달체는 상기 제1,2 마모부재를 각각 안착시켜 장착하는 제1,2 장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마모부재는 제1,2 착탈기구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전달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마모부재는 제1,2 회전방지기구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전달체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마모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1020220031311A 2022-03-14 2022-03-14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20230134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11A KR20230134246A (ko) 2022-03-14 2022-03-14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N202310243606.7A CN116752593A (zh) 2022-03-14 2023-03-14 挖掘机用旋转式快速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11A KR20230134246A (ko) 2022-03-14 2022-03-14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46A true KR20230134246A (ko) 2023-09-21

Family

ID=8794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311A KR20230134246A (ko) 2022-03-14 2022-03-14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4246A (ko)
CN (1) CN116752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03B1 (ko) * 2023-11-07 2024-02-20 (주)진성산업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03B1 (ko) * 2023-11-07 2024-02-20 (주)진성산업 충격에 강하고 회전이 용이한 선회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52593A (zh)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361B1 (ko)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US4932145A (en) Excavating tooth point and adapter assembly with additional wear prevention elements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20230134246A (ko)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A2702963C (en) Pinned connections
RU2669704C2 (ru) Защитная накладка кромки ковша драглайна
AU2011238634B2 (en) DCM circle shoe having angled wear insert
RU25603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с износостойкой футеровкой
AU2015308757A1 (en) Hammerless pin assembly
RU2683607C2 (ru) Защитный сегмент кромки ковша драглайна
KR102640962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JP2007009598A (ja)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KR102539313B1 (ko) 교체식 마모장치가 내장된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WO2000035585A1 (en) A mineral breaker
KR102418636B1 (ko)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US11905686B2 (en) Replaceable wear plate
CN214887047U (zh) 具有良好适应性的分体式破碎机构及其安装结构
CN212549983U (zh) 采煤机用破碎机铰接安装结构
KR960004408B1 (ko) 회전식 콘크리트 면삭기 및 그에 사용되는 초경팁
CN219101340U (zh) 破碎装置及泥水平衡盾构机
CN214390532U (zh) 一种冲击式破碎机的抛料头装置、转子及冲击式破碎机
CN111173071B (zh) 铲斗侧刃保护机构
WO1989004719A1 (en) Rotary crusher
JP2008063860A (ja) 杭頭リング、この杭頭リングを使用した杭及びこの杭の製法
JPH05272527A (ja) ピン用ガード付き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