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36B1 -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36B1
KR102418636B1 KR1020200072139A KR20200072139A KR102418636B1 KR 102418636 B1 KR102418636 B1 KR 102418636B1 KR 1020200072139 A KR1020200072139 A KR 1020200072139A KR 20200072139 A KR20200072139 A KR 20200072139A KR 102418636 B1 KR102418636 B1 KR 10241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transmission
lower coupling
coupling part
excavator
transmiss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411A (ko
Inventor
송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20007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부커플링부와, 하부커플링부와, 동력전달부, 및 1개 이상의 안전기구를 포함한다. 상부커플링부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하부커플링부는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한다. 동력전달부는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볼트부재들로 고정되는 회전 전달체를 구비한다. 안전기구는 볼트부재들의 문제 발생시, 회전 전달체로부터 하부커플링부의 이격 거리를 설정 거리만큼 제한하여, 회전 전달체에 대한 하부커플링부의 이탈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ROTATING TYPE QUICK COUPL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의 작업용도에 따라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교체 가능하게 하는 회전식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토목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착기는 버켓(bucket)을 이용한 땅파기 작업,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암반 파쇄작업,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물 파쇄 및 철근·빔 절단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파지물(고철, 나무, 돌 등) 운반 작업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인 어태치먼트는 작업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굴착기의 암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수동으로 교체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시간 및 노동이 많이 소요되었다.
최근에는 별도의 커플러를 굴착기의 암대 끝단부에 설치하여 어태치먼트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퀵커플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좁은 공간, 특정 자세에서 작업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해,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되는 상부 커플링부와,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하부커플링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어태치먼트를 착탈할 수 있는 하부커플링부로 이루어져 하부커플링부에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식 커플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회전식 퀵커플러는 상부커플링부와 동력전달부의 하우징이 고정체로 고정되고, 하부커플링부 상면에 동력전달부의 회전전달체와 볼트부재들로 고정된다. 그런데, 볼트부재들의 문제 발생시, 예컨대 볼트부재의 풀림 또는 과토크 또는 소재 불량 등으로 인해 모든 볼트부재의 파손 발생시 하부커플링부가 이탈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볼트부재가 회전식 퀵커플러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전조 증상을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볼트부재들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쉽게 조치할 수 있게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는 상부커플링부와, 하부커플링부와, 동력전달부, 및 1개 이상의 안전기구를 포함한다. 상부커플링부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하부커플링부는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한다. 동력전달부는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볼트부재들로 고정되는 회전 전달체를 구비한다. 안전기구는 볼트부재들의 문제 발생시, 회전 전달체로부터 하부커플링부의 이격 거리를 설정 거리만큼 제한하여, 회전 전달체에 대한 하부커플링부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양상으로, 안전기구는 회전 전달체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 및 머리부를 회전 전달체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커플링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안전기구는 회전 전달체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와, 머리부를 회전 전달체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커플링부를 관통해서 인출되도록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부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연장부를 하부커플링부에 고정하도록 연장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연장부의 나사탭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연장부의 고정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안전기구는 하부커플링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머리부, 및 머리부를 하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회전 전달체에 나사 체결되도록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부재들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회전 전달체에 대한 하부커플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하부커플링부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외부에서 볼트부재의 파손에 따른 하부커플링부의 이격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볼트부재의 문제 발생시 안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기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안전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안전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 안전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볼트부재의 문제 발생시 안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기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는 상부커플링부(110)와, 하부커플링부(120)와, 동력전달부(130), 및 1개 이상의 안전기구(140)를 포함한다.
상부커플링부(110)는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된다. 상부커플링부(110)는 상측에 상호 이격된 연결플레이트(111)들과, 각 양단이 연결플레이트(111)들에 고정된 연결핀(1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플링부(110)는 연결핀(112)들에 의해 굴착기의 암대와 H-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커플링부(120)는 상부커플링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커플링부(120)에는 어태치먼트가 착탈된다. 하부커플링부(120)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부커플링부(120)는 고정후크가 어태치먼트의 고정후크용 결합핀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가동후크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가동후크용 결합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동됨으로써,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30)는 하우징(131)과, 회전 전달체(136)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상부커플링부(110)의 하면에 고정된다. 하우징(131)은 볼트부재들에 의해 상부커플링부(110)의 하면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측과 하측이 각각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31)은 내부공간에 회전 전달체(136)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돌출 블록(132)이 내주를 따라 돌출된다. 돌출 블록(132)은 상부커플링부(110)보다 하부커플링부(12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 블록(132)은 하우징(131)의 내주를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연속되게 돌출될 수 있다. 돌출 블록(132)은 하면이 수평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전달체(136)는 하부커플링부(120)의 상면에 볼트부재(130a)들로 고정된다. 회전 전달체(136)는 상측 플랜지(137)와 하측 플랜지(138)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돌출 블록(132)의 상측과 하측으로 진입된다. 회전 전달체(136)는 상측 플랜지(137)와 하측 플랜지(138) 사이에 하우징(131)의 돌출 블록(132)을 끼움으로써, 하우징(13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전달체(136)는 구동부(1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 구동함에 따라 하부커플링부(120)를 함께 회전시킨다. 구동부(150)는 회전 전달체(136)를 360°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전달체(136)가 볼트부재(130a)들로 볼팅되어 고정된 하부커플링부(120)를 함께 360°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식 퀵커플러가 좁은 공간, 특정 자세에서 더욱 쉽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회전 전달체(136)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기어 샤프트와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샤프트는 외주면에 회전 전달체(136)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된다. 여기서, 기어들은 각각 웜 기어일 수 있다. 회전 모터는 기어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전달체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들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전달체(136)는 슬라이딩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하우징(310)에 대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안전기구(140)는 볼트부재(130a)들의 문제 발생시,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설정 거리만큼 제한하여,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하부커플링부(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볼트부재(130a)의 풀림 또는 과토크 또는 소재 불량 등으로 인해 모든 볼트부재(130a)들이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하부커플링부(12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안전기구(140)는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설정 거리까지만 이격되도록 제한함으로써,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하부커플링부(120)는 안전기구(140)에 의해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설정 거리까지만 이격된 상태로 매달려 있게 되므로, 하부커플링부(12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외부에서 볼트부재(130a)의 파손에 따른 하부커플링부(120)의 이격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기구(140)는 몸체부(141)와 머리부(142) 및 나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41)는 회전 전달체(136)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회전 전달체(136)는 몸체부(141)를 끼우는 관통홀을 갖는다. 관통홀은 일정 지름을 갖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41)는 일정 단면적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이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부(141)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41)는 관통홀에 반경방향으로 좌우 흔들림 없이 끼워질 수 있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머리부(142)는 몸체부(141)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141)의 상단에 형성된다. 머리부(142)는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게 되므로,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하부커플링부(120)의 이격시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될 수 있다.
머리부(142)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머리부(142)는 상면에 조작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조작용 홈에 전동 드라이버 등을 끼워서 안전기구(140)를 하부커플링부(120)에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다.
나사부(143)는 머리부(142)를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커플링부(120)에 나사 체결되도록 몸체부(141)의 하단에 형성된다. 하부커플링부(120)는 나사부(143)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을 갖는다. 체결홀은 내면에 나사부(143)와 체결되는 나사탭을 갖는다.
나사부(143)는 몸체부(141)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갖고 몸체부(14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143)와 몸체부(141)의 경계 부위는 단턱(140a)을 가질 수 있다. 단턱(140a)은 나사부(143)가 체결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홀의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됨으로써,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머리부(142)의 이격 거리를 설정 거리로 손쉽게 맞출 수 있게 한다. 머리부(142)의 이격 거리는 단턱(140a)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기구(140)는 평상시에 머리부(142)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전달체(136)와 하부커플링부(120)에 조립되어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30a)들의 파손시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면, 나사부(143)가 하부커플링부(120)와 함께 하강하면서 몸체부(141)가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머리부(142)도 이격 거리만큼 하강하여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됨으로써,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하부커플링부(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기구(140)는 볼트부재(130a)보다 회전 전달체(136)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안전기구(14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회전 전달체(136)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안전기구(140)들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기구(240)는 몸체부(241)와, 머리부(242)와, 연장부(243), 및 고정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41)는 회전 전달체(136)를 관통하여 끼워진다. 머리부(242)는 몸체부(241)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다. 몸체부(241)와 머리부(242)는 전술한 예의 몸체부(141)와 머리부(14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243)는 머리부(242)를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하부커플링부(120)를 관통해서 인출되도록 몸체부(241)의 하단으로부터 몸체부(241)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연장된다.
하부커플링부(120)는 연장부(243)를 끼우는 삽입홀을 갖는다. 삽입홀은 일정 지름을 갖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홀이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연장부(243)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243)는 삽입홀에 반경방향으로 좌우 흔들림 없이 끼워질 수 있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43)와 몸체부(241)의 경계 부위는 단턱(240a)을 가질 수 있다. 단턱(240a)은 연장부(243)가 하부커플링부(120)의 삽입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홀의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됨으로써,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머리부(242)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머리부(242)의 이격 거리는 단턱(240a)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재(244)는 연장부(243)를 하부커플링부(120)에 고정하도록 연장부(243)에 결합된다. 연장부(243)의 상측 부위가 단턱(240a)에 의해 하부커플링부(120)의 삽입홀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44)는 연장부(243)의 하측 인출 부위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장부(243)는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때 하부커플링부(120)와 함께 하강함으로써, 머리부(242)가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 상측 주변에 걸림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243)는 인출 부위에 나사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244)는 연장부(243)의 나사탭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기구(340)의 연장부(343)는 고정홀을 가지며, 고정부재(344)는 연장부(343)의 고정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기구(340)의 몸체부(341)와 머리부(342)는 전술한 예의 몸체부(241)와 머리부(24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343)와 몸체부(341)의 경계 부위는 단턱(340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전기구들(240, 340)도 전술한 예의 안전기구(140)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 전달체(136)에 대한 하부커플링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기구(440)는 하부커플링부(12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441)와, 몸체부(441)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몸체부(441)의 하단에 형성되는 머리부(442), 및 머리부(442)를 하부커플링부(120)로부터 하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회전 전달체(136)에 나사 체결되도록 몸체부(441)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플링부(120)는 몸체부(441)를 끼우는 관통홀을 갖는다. 관통홀은 일정 지름을 갖고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441)는 일정 단면적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이 원형 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부(441)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441)는 관통홀에 반경방향으로 좌우 흔들림 없이 끼워질 수 있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나사부(443)는 몸체부(441)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갖고 몸체부(4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443)와 몸체부(441)의 경계 부위는 단턱(440a)을 가질 수 있다. 단턱(440a)은 나사부(443)가 회전 전달체(136)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홀의 하측 주변에 걸림 처리됨으로써, 하부커플링부(120)에 대한 머리부(442)의 이격 거리를 설정 거리로 손쉽게 맞출 수 있게 한다. 머리부(442)의 이격 거리는 단턱(440a)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기구(440)는 평상시에 머리부(442)가 하부커플링부(120)로부터 하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전달체(136)와 하부커플링부(120)에 조립되어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30a)들의 파손시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면, 회전 전달체(136)의 관통홀 주변이 머리부(442)에 걸림 처리됨으로써, 하부커플링부(120)가 회전 전달체(13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안전기구(440)는 나사부(443) 대신 전술한 예의 연장부(243, 34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43, 343)는 회전 전달체(136)를 관통해서 인출된 상태로 고정부재(244, 344)에 의해 회전 전달체(136)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상부커플링부 120..하부커플링부
130..동력전달부 130a..볼트부재
131..하우징 136..회전 전달체
140, 240, 340, 440..안전기구 141, 241, 341, 441..몸체부
142, 242, 342, 442..머리부 143, 443..나사부
243, 343..연장부 244, 344..고정부재

Claims (6)

  1. 굴착기의 암대에 연결되는 상부커플링부;
    상기 상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어태치먼트를 착탈하는 하부커플링부;
    상기 상부커플링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부커플링부의 상면에 볼트부재들로 고정되는 회전 전달체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볼트부재들의 문제 발생시, 상기 회전 전달체로부터 상기 하부커플링부의 이격 거리를 설정 거리만큼 제한하여, 상기 회전 전달체에 대한 상기 하부커플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안전기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기구들은 상기 회전 전달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볼트부재들에 인접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회전 전달체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를 상기 회전 전달체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커플링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회전 전달체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상기 회전 전달체로부터 상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커플링부를 관통해서 인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보다 작은 횡단면적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상기 하부커플링부에 고정하도록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나사탭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고정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구는,
    상기 하부커플링부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보다 큰 횡단면적으로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를 상기 하부커플링부로부터 하방으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회전 전달체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1020200072139A 2020-06-15 2020-06-15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10241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39A KR102418636B1 (ko) 2020-06-15 2020-06-15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39A KR102418636B1 (ko) 2020-06-15 2020-06-15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11A KR20210155411A (ko) 2021-12-23
KR102418636B1 true KR102418636B1 (ko) 2022-07-07

Family

ID=7917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39A KR102418636B1 (ko) 2020-06-15 2020-06-15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108B2 (ja) * 1990-01-31 2000-02-0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表面温度制御方法
JP2000199513A (ja) * 1999-01-07 2000-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落下防止ボルト及び落下防止ボルトを用いた加工装置
KR101783958B1 (ko) *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108U (ja) * 1994-07-01 1995-01-17 株式会社ミクロ アタツチメント反転用取付装置
KR100678649B1 (ko) * 2004-10-06 2007-0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108B2 (ja) * 1990-01-31 2000-02-0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鋳片の表面温度制御方法
JP2000199513A (ja) * 1999-01-07 2000-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落下防止ボルト及び落下防止ボルトを用いた加工装置
KR101783958B1 (ko) *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411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559B2 (en) Hammerless pin assembly
KR102236361B1 (ko)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EP2929940A1 (en) Inner crushing shell retaining assembly
US9995022B2 (en) Wing shroud for a dragline lip
EP2913441A1 (en) A locking device for the wear assembly of an earth moving machine
AU2014334132B2 (en) Gyratory crusher spider arm shields
KR200469473Y1 (ko) 굴삭기용 퀵커플러
KR102418636B1 (ko)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EP2631371B1 (en) Screening bucket
EP2698204B1 (en) Crusher feed hopper wear protection cassette
WO2007098542A1 (en) Bucket
KR20230134246A (ko)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US20140367133A1 (en) Hydraulic rotator converter for a hydraulic impact hammer and method
KR102585931B1 (ko)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N102481580B (zh) 具有无齿轮电动机的磨碎机的衬里的结构和方法
KR200265082Y1 (ko) 분쇄수단을 갖는 굴삭기용 버킷
EP3184174A1 (en) Gyration-type crusher
KR20140001675U (ko) 굴삭기 버켓용 와셔
CN215630288U (zh) 一种挖掘机破碎锤防砰落装置
JP4971033B2 (ja) ワンサイドボルトの撤去工具
CN217800107U (zh) 一种水下液压螺母拆除装置
KR200273781Y1 (ko) 임팩트 크러셔의 해머 고정핀 취외용 지그
KR200268382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브레이커
WO2018072847A1 (en) System for exchangeable upper and lower crush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