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543A -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543A
KR20210010543A KR1020207036147A KR20207036147A KR20210010543A KR 20210010543 A KR20210010543 A KR 20210010543A KR 1020207036147 A KR1020207036147 A KR 1020207036147A KR 20207036147 A KR20207036147 A KR 20207036147A KR 20210010543 A KR20210010543 A KR 2021001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utting
polygonal
cutting edge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067B1 (ko
Inventor
히로토 사이토
쇼우지로우 도우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ublication of KR2021001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22Cutting tools with chip-break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23C5/1027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23C5/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05Hexagonal
    • B23C2200/0411Hexagonal irre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1Rake or top surfaces with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 B23C2200/323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by chip-breaking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1Fixation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9Double-sid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C2240/24Connection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일방이 레이크면이 되었을 때에 타방이 착좌면이 되는 2 개의 다각형면 (12) 과, 플랭크면 (14) 이 형성되는 측면 (13) 과, 레이크면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절삭날 (15) 을 갖는 다각형 판상의 인서트 본체 (11) 를 구비하고, 인서트 본체 (11) 는 2 개의 다각형면 (12) 의 중심을 통과하는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는 장착공 (16) 을 갖고, 인서트 중심선 (L) 에 관하여 회전 대칭 형상이고 2 개의 다각형면 (12) 에 관하여 표리 반전 대칭 형상이며, 절삭날 (15) 은 다각형면 (12) 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코너날 (15a)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 (15b) 을 구비하고, 2 개의 다각형면 (12) 에 있어서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는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의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 (18) 가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본 발명은, 날끝 교환식의 엔드밀 등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 및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6월 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1039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인서트 본체가 3 개의 모서리부를 구비한 2 개의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2 개의 삼각형면을 갖는 삼각형 판상의 절삭 인서트, 및 이 절삭 인서트의 1 개의 삼각형면을 레이크면으로 하여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게 하고, 이 1 개의 삼각형면의 1 개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코너날을 공구 본체의 외주측을 향하게 함과 함께, 이 1 개의 코너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을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측을 향하게 하고, 추가로 이 주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절삭날 (와이퍼날) 을 공구 본체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평면 상에 대략 위치시켜,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 통과되는 클램프 나사에 의해 인서트 장착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서는, 공구 본체의 선단측으로 향해져 공구 본체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후단측을 향하게 되는 주절삭날에 의해, 이 주절삭날의 공구 본체 내주측이나 상기 와이퍼날에서는 두께가 얇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되게 되므로, 공구 본체를 높은 이송량으로 송출해도 절삭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금형 등의 가공에 있어서 효율적인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 특허문헌 1 에는, 경사 절삭 가공에 있어서 Z 축 방향으로의 절입량을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제 1 부절삭날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부절삭날도 절삭날로서 작용하게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983901호 (B)
그런데,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를 장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의한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에 있어서는, 양호한 절삭 부스러기 배출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특허문헌 1 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형 등의 피삭재에 포켓을 음각하는 경사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이 컨트롤되어 있지 않으면, 포켓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공구 본체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상기 1 개의 코너날의 타단으로부터 공구 본체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부절삭날 (제 2 부절삭날) 과 포켓의 내벽면 사이에 절삭 부스러기가 말려 들어가기 쉬워져, 이 부절삭날에 결손이 발생해 버려, 인서트 본체를 장착공 둘레로 회전시켜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레이크면에 돌기상 등의 칩 브레이커를 형성하고, 이 칩 브레이커에 절삭 부스러기를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저항을 부여하여,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을 컨트롤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가 2 개의 삼각형면을 갖고 표리 반전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삼각형면의 절삭날을 사용한 후에는 인서트 본체를 표리 반전시켜 다시 장착함으로써, 타방의 삼각형면의 절삭날을 사용하도록 한 양면형 절삭 인서트에서는, 쓸데없이 레이크면에 칩 브레이커를 형성하면, 통상적으로는 상기 장착공의 중심을 통과하는 인서트 중심선에 수직인 평면인 인서트 본체의 보스면과, 공구 본체의 인서트 장착 시트의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는 바닥면의 밀착 면적이 작아져,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이 저해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고,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 포켓의 음각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라도 절삭 부스러기의 말려 들어감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절삭 인서트, 및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는, 다각형상을 이루어 일방이 레이크면이 되었을 때에 타방이 착좌면이 되는 2 개의 다각형면과, 이들 2 개의 다각형면의 둘레에 배치되어 그 다각형면의 상기 레이크면과 교차하는 플랭크면이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레이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갖는 다각형 판상의 인서트 본체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인서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는 장착공을 갖고, 상기 인서트 중심선에 관하여 회전 대칭 형상임과 함께,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에 관하여 표리 반전 대칭 형상이고, 상기 절삭날은, 상기 다각형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코너날과, 이 코너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공의 개구부에는, 이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의 상기 다각형면에 형성된 보스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주절삭날의 내주측 영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 인서트가, 상기 장착공에 삽입 통과되는 클램프 나사가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는 바닥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상기 2 개의 다각형면 중 일방의 다각형면을 레이크면으로 하여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게 함과 함께, 타방의 다각형면의 상기 보스면을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상기 바닥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일방의 다각형면의 1 개의 상기 코너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외주측을 향하게 함과 함께, 이 1 개의 상기 코너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1 개의 상기 주절삭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측을 향하게 하여 장착되고,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나사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상기 타방의 다각형면의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있어서는, 인서트 본체의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공의 개구부에, 이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의 상기 다각형면에 형성된 보스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주절삭날의 내주측 영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돌기부를 칩 브레이커로서 작용시켜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다. 특히, 돌기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부에 슬라이딩 접촉시킨 절삭 부스러기를 돌기부끼리의 사이의 부분으로 안내하여 유출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이렇게 하여 돌기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음으로써, 상기 보스면을, 장착공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돌기부끼리의 사이까지 공구 본체의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돌기부는 보스면의 가장 내주측의 장착공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어, 보스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인서트 장착 시트의 바닥면과의 밀착 면적이 작아지지 않으므로, 한층 확실하게 절삭 인서트의 장착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그 최돌부가, 상기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스면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돌기부의 최돌부가, 일정한 길이로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확실하게 절삭 부스러기를 돌기부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유출 방향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절삭 부스러기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돌기부의 마모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최돌부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이란, 예를 들어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개개의 최돌부의 길이가, 장착공의 개구부 전체 둘레의 원둘레 길이에 대해, 5 % ∼ 8 % 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을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최돌부는 일정한 돌출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둘레 방향으로 최돌부와 최돌부보다 약간 낮은 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돌단을 갖는 파상 (波狀) 의 돌기부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돌기부는, 마찬가지로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최돌부가, 상기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시에 주절삭날에 의해 생성되어 레이크면의 내주측으로 유출되는 절삭 부스러기를, 역시 확실하게 돌기부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유출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 부스러기가 클램프 나사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프 나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서트 본체가,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이 각각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삼각형 판상인 경우에는, 상기 최돌부는, 상기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상기 코너날측을 향하여,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15°∼ 40°의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각도 범위는, 인서트 본체를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에 장착한 경우에, 주절삭날 중 공구 본체의 내주측에 위치하여 두께가 얇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되는 부분으로서, 그와 같은 부분에 있어서 주절삭날의 내주측 영역에 돌기부 중 최돌부를 배치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 전체의 유출 방향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함과 함께, 절삭 저항의 가일층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두께가 두꺼운 절삭 부스러기에 의해 돌기부가 마모되는 것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날이, 상기 코너날의 타단으로부터, 그 코너날의 타단측에 인접하는 다른 절삭날에 연장되는 부절삭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부절삭날을, 적어도 상기 코너날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상기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도록 형성함과 함께, 이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그 다각형면과는 반대의 다각형면측을 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부절삭날의 날끝각을 크게 확보하여 절삭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금형 등의 피삭재에 포켓을 음각 가공하는 경우에,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이 충분히 컨트롤되지 않아 상기 1 개의 코너날로부터 공구 본체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부절삭날측을 향하여 절삭 부스러기가 흘러 포켓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만약 말려 들어갔다고 해도, 부절삭날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부에, 상기 보스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조부를, 상기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의 상기 부절삭날을 따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을,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측을 향하는 상기 돌조부의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음각 가공의 경우에 절삭 부스러기가 상기 부절삭날측을 향하여 흘러도, 절삭 부스러기는 부절삭날과 포켓의 내벽면 사이에 말려 들어가기 전에, 보스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조부의 내주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을 받음으로써 컬되므로, 말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경사면은, 보스면으로부터 다각형면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반대의 다각형면측을 향하는 모따기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상기 보스면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중심선에 수직인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다각형면에,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상기 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이 경사부와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절삭날의 레이크각을 정각 (正角) 측으로 크게 하여 예리한 날카로움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시의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이 경사부에, 상기 주절삭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급경사부와, 이 제 1 급경사부의 상기 주절삭날측에 이어지고 그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급경사부보다 완만한 구배로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완경사부와, 이 완경사부의 상기 주절삭날측에 이어지고 그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완경사부보다 급구배로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급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제 2 급경사부로부터 완경사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흐를 때나, 완경사부로부터 제 1 급경사부에 절삭 부스러기가 흐를 때에도 절삭 부스러기에 저항을 부여할 수 있어, 특히 고이송 가공시의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고,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 포켓의 음각 가공을 실시해도 절삭 부스러기의 말려 들어감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절삭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인서트 중심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화살선 V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2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인서트 중심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공의 개구부와 절삭날 주변의 보스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공구 본체의 바닥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내는 공구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있어서의 A 부의 확대도이다.
도 14 는, 도 10 에 있어서의 화살선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0 에 있어서의 화살선 Y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0 에 있어서의 화살선 Z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가 도 9 에 나타내는 공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바닥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8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있어서의 A 부의 확대도이다.
도 22 는, 도 18 에 있어서의 화살선 X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3 은, 도 18 에 있어서의 화살선 Y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4 는, 도 18 에 있어서의 화살선 Z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은, 도 2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인서트 중심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에 있어서의 화살선 V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8 은, 도 26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9 는, 도 26 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30 은, 도 26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31 은, 도 26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은, 도 3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인서트 중심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4 는, 도 33 에 있어서의 화살선 V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5 는, 도 33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6 은, 도 33 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37 은, 도 33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38 은, 도 33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은, 도 3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인서트 중심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1 은, 도 40 에 있어서의 화살선 V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2 는, 도 40 에 있어서의 화살선 W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3 은, 도 40 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44 는, 도 40 에 있어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45 는, 도 40 에 있어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9 내지 도 16 은, 이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구 본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7 내지 도 24 는, 이 공구 본체에 상기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된 다각형 판상의 인서트 본체 (11) 를 구비하고, 이 인서트 본체 (1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다각형면 (12) 이 각각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삼각형 판상으로서,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들 2 개의 다각형면 (12) 의 중심을 통과하는 인서트 중심선 (L) 에 관하여 회전 대칭 형상임과 함께, 2 개의 다각형면 (12) 에 관하여 표리 반전 대칭 형상이다.
이들 2 개의 다각형면 (12)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 (21) 에 장착되었을 때에, 일방의 다각형면 (12) 이 레이크면이 됨과 함께, 타방의 다각형면 (12) 은 공구 본체 (21) 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대한 착좌면이 된다. 이들 2 개의 다각형면 (12) 의 둘레에 배치되는 인서트 본체 (11) 의 측면 (13) 에는, 2 개의 다각형면 (12) 의 레이크면과 교차하는 플랭크면 (14) 이 형성되고, 이들 레이크면 (다각형면 (12))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절삭날 (15) 이 형성된다. 또, 2 개의 다각형면 (12) 의 중앙부에는, 인서트 본체 (11) 를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장착하기 위한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한 단면 원형의 장착공 (16) 이, 인서트 본체 (11) 를 상기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관통하여 개구되어 있다.
절삭날 (15) 은,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면 (12) 의 3 개의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원호 등의 볼록 곡선상을 이루는 코너날 (15a) 과, 이 코너날 (15a) 의 일단 (도 2 에 있어서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측의 단부) 으로부터 코너날 (15a) 에 접하여 연장되는 직선상 또는 코너날 (15a) 이 이루는 볼록 곡선보다 곡률 반경이 큰 볼록 곡선상의 주절삭날 (15b) 과, 이 주절삭날 (15b) 의 일단에 있어서 주절삭날 (15b) 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 또는 주절삭날 (15b) 이 이루는 볼록 곡선보다 곡률 반경이 큰 볼록 곡선상의 와이퍼날 (15c)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절삭날 (15) 은 추가로, 코너날 (15a) 의 타단으로부터 코너날 (15a) 에 접하여 연장되는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선상의 부절삭날 (15d)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부절삭날 (15d) 은 1 개의 절삭날 (15) 의 타단측 (도 2 에 있어서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측) 에 인접하는 다른 1 개의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코너날 (15a), 주절삭날 (15b), 와이퍼날 (15c) 및 부절삭날 (15d) 의 경계는,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2 개의 곡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절삭날 사이의 경계점은, 곡률 반경이 10 % 이상 변화했을 때의 중심점으로 한다. 이 때의 곡률 반경은, 인서트 중심선 (L) 을 기준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직선이 절삭날과 교차하는 위치를 1 ∼ 5 도의 간격으로 측정한다. 곡선과 직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절삭날 사이의 경계점은, 곡선과 직선의 접점으로 한다. 이 때의 직선은 곡선의 접선이다. 2 개의 직선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절삭날 사이의 경계점은, 2 개의 직선의 교차점을 경계점으로 한다.
플랭크면 (14) 은, 인서트 본체 (11) 의 측면 (13) 중, 2 개의 다각형면 (12) 측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플랭크면 (14) 사이에는,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인서트 구속면 (17) 이,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인서트 구속면 (17)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중심선 (L) 에 평행한 평면상으로서, 주절삭날 (15b) 과 부절삭날 (15d) 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인서트 구속면 (17) 사이에 있어서 코너날 (15a) 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볼록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레이크면이 되는 상기 다각형면 (12) 에는, 상기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에, 인서트 중심선 (L) 에 수직인 평면상의 보스면 (12a) 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공 (16) 은 이 보스면 (12a) 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보스면 (12a) 보다 다각형면 (12) 의 외주측의 절삭날 (15) 측에는, 이 보스면 (12a) 으로부터 절삭날 (15) 측을 향함에 따라 인서트 중심선 (L) 방향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서 인서트 본체의 외측) 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 (12b)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 (15) 중, 코너날 (15a) 및 주절삭날 (15b) 의 전체 길이와, 부절삭날 (15d) 중 코너날 (15a) 에 접하는 부분이 경사부 (12b) 와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 (12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 (15b)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는, 보스면 (12a) 으로부터 주절삭날 (15b) 측을 향함에 따라 일정한 경사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고, 주절삭날 (15b) 측에 포지티브 랜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 부절삭날 (15d) 의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부분은, 상기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절삭날 (15) 은, 코너날 (15a) 의 상기 일단 주변이 보스면 (12a) 으로부터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고, 이 코너날 (15a) 의 일단으로부터 주절삭날 (15b) 과 부절삭날 (15d) 을 따라 멀어짐에 따라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후퇴하여, 부절삭날 (15d) 의 보스면 (12a) 의 영역이 형성된 부분과 와이퍼날 (15c) 의 부분에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가장 후퇴하고 있다.
그리고, 다각형면 (12) 에 있어서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 즉 보스면 (12a) 에 대한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는, 이 보스면 (12a) 에 대해 인서트 중심선 (L)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서 인서트 본체의 외측) 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 (18) 가, 다각형면 (12) 의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있어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은,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면 (12) 상의 주절삭날 (15b) 보다 다각형면 (12) 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의 영역이고, 또한, 주절삭날 (15b) 의 일단 (주절삭날 (15b) 의 제 1 단부) 과 다각형면 (12) 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M1) 그리고 주절삭날 (15b) 의 타단 (주절삭날 (15b) 의 제 2 단부) 과 다각형면 (12) 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M2) 사이에 놓이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복수의 주절삭날 (15b) 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부 영역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 (18) 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돌기부 (18)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 (15b)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다각형면 (12) 의 내주측을 향함에 따라 보스면 (12a) 에 접하는 오목 원호 등의 오목 곡선을 그리면서 상승하고, 이어서 이 오목 곡선에 접하는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을 그리며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된 후에 후퇴하여, 장착공 (16) 의 개구부 내주에 접하고 있다.
여기서, 도 8 의 백색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내는 선도 A 는,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의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보스면 (12a) 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의 길이의 대략 1/2 의 위치를 0°로 하여, 도 2 에 있어서의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으로 5°씩의 위치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돌출 높이를, 이 반시계 방향측의 부절삭날 (15d) 에 교차하는 다른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의 길이의 대략 1/2 의 위치까지의 120°의 범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8 의 선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 (18) 는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보스면 (12a) 으로부터 서서히 돌출되어 가장 돌출된 돌출 높이의 최돌부 (18a) 에 도달하고, 이 가장 돌출된 일정한 돌출 높이인 채로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된 후,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서서히 후퇴하여 돌출 높이가 보스면 (12a) 의 높이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이 돌기부 (18) 는, 보스면 (12a) 으로부터 서서히 돌출된 후에 일정한 돌출 높이와 일정한 길이를 갖지 않고 서서히 후퇴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보스면 (12a) 으로부터 돌출된 후에, 일정한 돌출 높이와 일정한 길이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고 후퇴한 후에 다시 돌출되는, 도 8 에 삼각 표시의 선도 C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복수의 돌단을 갖는 파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8 의 선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 (18) 는, 보스면 (12a) 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상기 최돌부 (18a) 가,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포함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즉, 돌기부 (18) 에 있어서의 최돌부 (18a) 는,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날 (15a) 의 일단과 인서트 중심선 (L) 을 연결하는 직선 (M1) 과, 코너날 (15a) 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일단과 인서트 중심선 (L) 을 연결하는 직선 (M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돌기부 (18) 의 최돌부 (18a) 의 보스면 (12a) 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예를 들어 0.1 ㎜ 에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15 ㎜ 정도까지의 범위이다.
또, 도 8 의 흑색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내는 선도 B 는, 마찬가지로 1 개의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의 길이의 대략 1/2 의 위치의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을 0°의 위치로 하여, 도 2 에 있어서의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으로 5°씩의 위치의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절삭날 (15) 의 주변 부분의 보스면 (12a) 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부분의 돌출 높이를, 상기 다른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의 길이의 대략 1/2 의 위치까지의 120°의 범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동 도 8 에 부호 15a ∼ 15d 로 나타내는 영역은, 각각 절삭날 (15) 중 코너날 (15a) 의 영역, 주절삭날 (15b) 의 영역, 와이퍼날 (15c) 의 영역, 및 부절삭날 (15d) 의 영역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면 (12a) 의 외주부에, 이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을 따라, 보스면 (12a) 에 대해 (보스면 (12a) 으로부터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서 인서트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조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부 (19) 도 돌기부 (18) 와 마찬가지로, 부절삭날 (15d)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각형면 (12) 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다각형면 (12) 의 내주측으로부터 보스면 (12a) 에 접하는 오목 원호 등의 오목 곡선을 그리면서 보스면 (12a)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승하고, 이어서 다각형면 (12) 의 내주측의 오목 곡선에 접하는 볼록 원호 등의 볼록 곡선을 그리면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된 후에 다각형면 (12) 의 외주측에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후퇴하고, 다시 당해 다각형면 (12) 과는 반대의 다각형면 (12) 측으로 경사지는 직선상의 경사면 (19a) 을 개재하여 플랭크면 (14) 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은, 이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된 부절삭날 (15d) 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의 위치는, 보스면 (12a) 및 와이퍼날 (15c) 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의 위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도 8 의 선도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조부 (19) 도, 부절삭날 (15d) 의 코너날 (15a) 에 이어지는 부분의 레이크면으로부터 일정한 돌출 높이와 일정한 길이로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후, 이 부절삭날 (15d) 에 교차하는 상기 다른 절삭날 (15) 의 와이퍼날 (15c) 을 향하여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서서히 후퇴하여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단 보스면 (12a) 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돌조부 (19) 에 있어서의 최돌부 (19b) 의 돌출 높이는, 돌기부 (18) 에 있어서의 최돌부 (18a) 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된 인서트 본체 (11) 를 갖는 절삭 인서트는, 분말 야금 기술의 기본적인 공정을 따라 제조된다. 즉, 인서트 본체 (11) 가 초경합금제인 경우에는, 탄화텅스텐 분말과 코발트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크롬이나 탄탈 등을 부성분으로 하는 과립상의 조립 분말을 사용하여, 금형을 사용한 분말 프레스 성형을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프레스 성형체는, 적절한 분위기와 온도로 제어된 소결로 내에서 소정의 시간 소결함으로써, 인서트 본체 (11) 가 되는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인서트 본체 (11) 의 기본적 형상은 상기 금형의 설계에 의해 반영되고, 인서트 본체 (11) 의 상세 형상인 돌기부 (18) 나 돌조부 (19), 경사부 (12b), 혹은 후술하는 완경사부나 급경사부의 형상은 금형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도 9 내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날끝 교환식 엔드밀 등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 (21) 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 17 내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구성한다. 이 공구 본체 (21) 는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개략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절삭 가공시에는 그 후단부가 공작 기계의 주축에 파지되어 축선 (O) 둘레로 공구 회전 방향 (T) 으로 회전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장착된 상기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 의해 피삭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한다.
공구 본체 (21) 의 선단부 외주에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의 칩 포켓 (23) 이 형성되어 있어, 인서트 장착 시트 (22) 는, 이들 칩 포켓 (23) 의 공구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의 선단부 외주에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구 회전 방향 (T) 측을 향하는 평면상의 바닥면 (22a) 과, 이 바닥면 (22a) 으로부터 공구 회전 방향 (T) 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인서트 본체 (11) 의 상기 인서트 구속면 (17) 에 맞닿음 가능한 복수의 평면상의 벽면 (22b)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 (22a) 에는, 상기 장착공 (16) 에 삽입 통과된 클램프 나사 (24) 가 비틀어 넣어지는 나사공 (22c)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나사공 (22c) 의 개구부의 둘레에는, 인서트 본체 (11) 의 착좌면이 되는 상기 타방의 다각형면 (12) 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18) 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 (22d)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 오목부 (22d) 는, 공구 회전 방향 (T) 측에서 보았을 때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공 (22c)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오목부의 주변에, 복수 (3 개) 의 돌기부 (18) 를 수용하는 복수 (3 개) 의 초승달형의 오목부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상기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본체 (11) 의 일방의 다각형면 (12) 을 레이크면으로 하여 공구 회전 방향 (T) 측을 향하게 함과 함께, 타방의 다각형면 (12) 의 보스면 (12a) 을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a) 에 밀착시키고, 이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된 돌기부 (18) 를 수용 오목부 (22d) 에 수용시켜 착좌된다. 이 때, 이 일방의 다각형면 (12) 의 1 개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코너날 (15a) 은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이 코너날 (15a)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 (15b) 은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다.
또, 이렇게 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착좌된 상태에서,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주절삭날 (15b) 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퍼날 (15c) 은, 축선 (O) 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오목각이 2°이하가 되도록 배치된다. 즉, 와이퍼날 (15c) 은, 축선 (O) 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이 평면에 대해 2°이하의 각도로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을 향함에 따라 후단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착좌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본체 (11) 의 장착공 (16) 에 삽입 통과한 클램프 나사 (24) 가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a) 의 나사공 (22c) 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고정된다. 이 때, 인서트 본체 (11) 의 절삭에 사용되지 않는 절삭날 (15) 에 이어지는 측면 (13) 의 인서트 구속면 (17) 은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벽면 (22b) 에 맞닿아져, 인서트 중심선 (L) 둘레의 인서트 본체 (11) 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절삭 인서트가 장착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통상적인 절삭시에는 축선 (O) 둘레로 회전되면서 그 축선 (O) 에 수직인 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로지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으로 돌출된 코너날 (15a) 과, 이 코너날 (15a) 의 일단에 이어지는 주절삭날 (15b) 및 와이퍼날 (15c) 에 의해 피삭재를 절삭한다. 또, 경사 절삭 가공에 의한 포켓의 음각 가공 등에서는 공구 본체 (21) 는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도 송출되어, 상기 와이퍼날 (15c) 과 교차하는 부절삭날 (15d) 에 의해서도 절삭이 실시된다.
여기서, 주절삭날 (15b) 은 직선상 또는 코너날 (15a) 보다 곡률 반경이 큰 볼록 곡선상을 이루고 있고, 와이퍼날 (15c) 도 직선상 또는 주절삭날 (15b) 이 이루는 볼록 곡선보다 곡률 반경이 큰 볼록 곡선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의 두께가 얇아, 공구 본체 (21) 를 높은 이송량으로 송출해도 절삭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있어서는, 인서트 본체 (11) 의 2 개의 다각형면 (12) 에 있어서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 이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의 다각형면 (12) 에 형성된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 (18) 가,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주절삭날 (15b) 에 의해 생성되어 다각형면 (12) 의 내주측으로 유출되는 절삭 부스러기를, 이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위치하는 돌기부 (18) 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그 절삭 부스러기에 저항을 부여하여 그 유출 방향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돌기부 (18) 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의 돌기부 (18) 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저항이 부여된 절삭 부스러기를, 도 2 에 있어서 그 돌기부 (18) 의 반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돌기부 (18) 끼리의 사이의 부분으로 안내하여 컬시켜,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으로 돌출된 코너날 (15a) 로부터 공구 본체 (21) 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측으로는 향하지 않도록 유출 방향을 컨트롤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포켓의 음각 가공시에 절삭 부스러기가 코너날 (15a) 로부터 공구 본체 (21) 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과 포켓의 내벽면 사이에 말려 들어가 그 부절삭날 (15d) 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복수의 돌기부 (18) 는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간격을 둔 부분에서는 다각형면 (12) 의 보스면 (12a) 을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 도달하도록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a) 도 나사공 (22c) 의 개구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 (18) 가 형성되어 있어도, 돌기부 (18) 가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인서트 본체 (11) 의 보스면 (12a) 과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a) 의 밀착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돌기부 (18) 가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절삭 부스러기가 돌기부 (18) 에 닿은 채가 되어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 구성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게다가, 돌기부 (18) 는, 보스면 (12a) 의 가장 내주측의 장착공 (16) 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어, 보스면 (12a) 의 외주측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a) 과의 밀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서트 본체 (11) 를 확실하게 인서트 장착 시트 (22) 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절삭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돌기부 (18) 의 보스면 (12a) 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최돌부 (18a) 가, 장착공 (16) 의 개구부의 둘레에 일정한 돌출 높이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절삭날 (15b) 에 의해 폭이 넓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된 경우는 물론, 폭이 좁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되어도 확실하게 돌기부 (18) 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유출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 부스러기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돌기부 (18) 의 마모도 억제하여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절삭 부스러기 처리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부 (18) 의 최돌부 (18a) 와 절삭날 (15) 중에서 가장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날 (15a) 의 일단) 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의 고저차는 0.4 ㎜ ∼ 1.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저차가 0.4 ㎜ 를 하회하면 절삭 부스러기의 흐름이나 배출성을 유효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는 한편, 고저차가 1.0 ㎜ 를 상회하는 인서트 본체를 제조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최돌부 (18a) 가, 인서트 본체 (11) 의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2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날 (15a) 의 일단과 인서트 중심선 (L) 을 연결하는 직선 (M1) 과, 코너날 (15a) 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일단과 인서트 중심선 (L) 을 연결하는 직선 (M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시에 주절삭날 (15b) 에 의해 생성되어 레이크면이 되는 다각형면 (12) 을 상기 직선 (M1, M2) 을 걸치도록 하여 내주측으로 유출되는 절삭 부스러기를, 한층 확실하게 돌기부 (18) 의 최돌부 (18a) 에 슬라이딩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최돌부 (18a) 에 절삭 부스러기를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절삭 부스러기가 클램프 나사 (24)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은 피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 나사 (24) 의 마모를 막아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서트 본체 (11) 가, 본 실시형태와 같이 2 개의 다각형면 (12) 이 각각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삼각형 판상인 경우에는, 돌기부 (18) 의 최돌부 (18a) 는, 상기 직선 (M1, M2) 사이 중에서도,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코너날 (15a) 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일단과 인서트 중심선 (L) 을 연결하는 직선 (M2) 으로부터, 그 주절삭날 (15b) 이 이어지는 코너날 (15a) 측을 향하여,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하여 15°∼ 40°의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각도 범위는, 삼각형 판상의 인서트 본체 (11) 를 공구 본체 (21) 에 장착한 경우에, 주절삭날 (15b) 중에서도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에 위치하여 두께가 얇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되는 부분이며, 그와 같은 부분에 있어서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 영역에 돌기부 (18) 중 최돌부 (18a) 를 배치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 전체의 유출 방향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 저항의 가일층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두께가 두꺼운 절삭 부스러기가 돌기부 (18) 의 최돌부 (18a) 를 찰과함으로써 돌기부 (18) 가 조기에 마모되어 버리는 것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는, 절삭날 (15) 이, 코너날 (15a) 의 타단으로부터, 그 코너날 (15a) 의 타단측에 인접하는 다른 절삭날 (15) 에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경사 절삭 가공에 의해 금형 등의 피삭재에 포켓을 음각 가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주절삭날 (15b) 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절삭날 (15d) 도 절삭에 사용된다. 그리고, 이 부절삭날 (15d) 은,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이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다각형면 (12) 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그 다각형면 (12) 과는 반대의 다각형면 (12) 측을 향하는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절삭날 (15d) 의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부절삭날 (15d) 의 날끝각을 크게 하여 절삭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삭재에 포켓을 음각 가공할 때에, 돌기부 (18) 에 의해 절삭 부스러기의 유출 방향을 충분히 컨트롤할 수 없어,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으로 향해진 코너날 (15a) 로부터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측을 향하여 절삭 부스러기가 흘러 포켓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만약 말려 들어가도, 이 부절삭날 (15d) 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서트 본체 (11) 를 회전시켜 다시 장착하여 새로운 절삭날 (15) 를 사용하여 음각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 새로운 절삭날 (15) 의 부절삭날 (15d) 이 결손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인서트 본체 (11) 에 형성된 복수의 절삭날 (15) 을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을 상기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하는 데에, 다각형면 (12) 의 외주부에,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되는 돌조부 (19) 를, 이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의 부절삭날 (15d) 을 따라 형성하고, 경사면 (19a) 을, 다각형면 (12) 의 외주측을 향하는 돌조부 (19) 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음각 가공시에 절삭 부스러기가 상기 부절삭날 (15d) 측으로 흘러도, 절삭 부스러기는 부절삭날 (15d) 과 포켓의 내벽면 사이에 말려 들어가기 전에, 보스면 (12a) 으로부터 돌출된 돌조부 (19) 의 내주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을 받음으로써 컬되어 처리되므로, 절삭 부스러기가 말려 들어가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부절삭날 (15d) 의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하는 데에, 다각형면 (12) 의 외주부에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되는 돌조부 (19) 를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의 부절삭날 (15d) 을 따라 형성하여, 이 돌조부 (19) 의 외주면을 경사면 (19a) 으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돌조부 (19) 를 형성하지 않고, 도 25 내지 도 3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있어서의 다각형면 (12) 의 외주부에,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보스면 (12a) 에 대해 돌출되지 않고 반대의 다각형면 (12) 측으로 경사지는 모따기상의 경사면 (19a) 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 (19a) 과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부절삭날 (15d) 의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따기상의 경사면 (19a) 을 형성하여 플랭크면 (14) 과의 교차 능선부에 부절삭날 (15d) 을 형성해도, 보스면 (12a) 의 영역에 있어서의 부절삭날 (15d) 의 날끝각은 크게 확보하여 절삭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만약 절삭 부스러기가 포켓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말려 들어가도 부절삭날 (15d) 에 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25 내지 도 31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나, 후술하는 제 3,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배치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면 (12a) 이 인서트 중심선 (L) 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반면, 다각형면 (12) 의 외주부에는 절삭날 (15) 측을 향함에 따라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 (12b) 가 형성되어 있고, 코너날 (15a) 과 주절삭날 (15b), 및 부절삭날 (15d) 의 코너날 (15a) 에 접하는 부분은, 이 경사부 (12b) 와 플랭크면 (14)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코너날 (15a) 이나 주절삭날 (15b) 의 레이크각을 정각측으로 크게 하여 예리한 날카로움을 확보할 수 있어,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시의 절삭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사부 (12b) 가, 절삭날 (15) 측에 포지티브 랜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보스면 (12a) 으로부터 절삭날 (15) 측을 향함에 따라 일정한 경사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지만, 도 32 내지 특히 도 38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경사부 (12b) 는, 주절삭날 (15b)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보스면 (12a) 으로부터 주절삭날 (15b) 측을 향함에 따라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급경사부 (20a) 와, 이 제 1 급경사부 (20a) 의 주절삭날 (15b) 측에 이어지고, 주절삭날 (15b) 측을 향함에 따라 제 1 급경사부 (20a) 보다 완만한 구배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는 완경사부 (20b) 와, 이 완경사부 (20b) 의 주절삭날 (15b) 측에 이어지고, 주절삭날 (15b) 측을 향함에 따라 완경사부 (20b) 보다 급구배로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급경사부 (20c)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제 1, 제 2 급경사부 (20a, 20c) 및 완경사부 (20b) 를 구비함으로써, 제 2 급경사부 (20c) 로부터 완경사부 (20b) 에 절삭 부스러기가 흐를 때나, 완경사부 (20b) 로부터 제 1 급경사부 (20a) 에 절삭 부스러기가 흐를 때에 절삭 부스러기에 저항을 부여할 수 있어, 특히 고이송 가공에 있어서 절삭날 (15) 에서 보스면 (12a) 까지의 거리나 인서트 중심선 (L) 방향의 고저차가 큰 경우라도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제 2 급경사부 (20a, 20c) 와 완경사부 (20b) 의 접속 부분은, 주절삭날 (15b)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의 곡선상으로 매끄럽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제 1, 제 2 급경사부 (20a, 20c) 및 완경사부 (20b) 는, 경사부 (12b) 에 형성된 절삭날 (15) 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 절삭날 (15) 에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상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9 내지 도 45 는, 본 발명의 절삭 인서트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단부로부터 코너날 (15a) 측을 향함에 따라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레이크각이 점차 증대하는 제 1 영역과, 이 제 1 영역으로부터 코너날 (15a) 측을 향함에 따라 레이크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 2 영역과, 이 제 2 영역으로부터 코너날 (15a) 과 부절삭날 (15d)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에서 부절삭날 (15d) 측을 향함에 따라 레이크각이 제 1 영역보다 작은 범위로 점차 증대하는 제 3 영역을 갖고 있고, 이 제 3 영역에 있어서의 레이크각이 15°∼ 18°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절삭날 (15) 은, 상기 제 3 영역으로부터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부절삭날 (15d) 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보다 큰 변화율로 레이크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 4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레이크각이 15°∼ 25°의 범위여도 된다. 그리고 또한, 인서트 본체 (11) 는, 2 개의 다각형면 (12) 이 각각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삼각형 판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에 있어서 레이크각이 최대가 되는 위치는,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라 다각형면 (12) 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단부와 인서트 중심선 (L) 을 통과하는 직선으로부터 인서트 중심선 (L) 을 중심으로 코너날 (15a) 측을 향하여 15°∼ 45°의 각도 범위 내여도 된다.
이와 같은 제 4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특히 고절입 가공에 있어서, 공구 본체 (21) 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1 개의 주절삭날 (15b) 의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으로 향해진 코너날 (15a), 및 이 코너날 (15a) 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절삭날 (15d) 의 코너날 (15a) 측의 부분까지가 오로지 절삭에 사용되게 된다.
여기서, 코너날 (15a) 과는 반대측의 주절삭날 (15b) 의 단부로부터 코너날 (15a) 측을 향하는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의 부분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절삭 부스러기가 생성되는 반면, 제 4 실시형태의 절삭 인서트에서는 이 부분이 인서트 중심선 (L) 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레이크각이 점차 증대하는 제 1 영역으로 되어 있어, 두께가 얇은 절삭 부스러기에 대한 절삭날 강도는 확보하면서, 주절삭날 (15b) 에 예리한 날카로움을 부여하여 폭넓게 생성되는 절삭 부스러기 전체를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 (축선 (O) 측) 으로 안내하도록, 즉 돌기부 (18) 측으로 안내하도록 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절삭 부스러기 처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영역으로부터 주절삭날 (15b) 의 코너날 (15a) 측을 향하는 부분은, 상기 레이크각이 점차 감소하는 제 2 영역으로 되어 있어, 절삭 부스러기의 두께가 공구 본체 (21) 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두꺼워져 절삭 부하나 응력이 커지는 반면, 절삭날 강도를 확보하여 결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 2 영역으로부터 코너날 (15a) 과 부절삭날 (15d)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은, 부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레이크각이 제 1 영역보다 작은 범위로 점차 증대하는 제 3 영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 본체 (21) 의 최외주에 위치하게 되는 이 제 3 영역에서는, 제 2 영역을 거쳐 감소한 상기 레이크각에 의해 절삭날 강도는 유지하면서, 상기 레이크각을 부절삭날 (15d)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대시킴으로써, 절삭 부스러기를 작은 컬 직경으로 공구 본체 (21) 의 내주측으로 말려 들게 할 수 있어, 제 1 영역에 의한 절삭 부스러기 배출성의 향상과 더불어 절삭 부스러기의 말려 들어감을 방지하여 양호한 가공면 품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3 영역에 있어서의 절삭날 (15) 의 상기 레이크각이 15°∼ 18°의 범위로 되어 있으므로, 한층 확실하게 절삭날 강도를 확보하면서 절삭 부스러기의 말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 장착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고, 고이송 가공이나 고절입 가공, 포켓의 음각 가공을 실시해도 절삭 부스러기의 말려 들어감에 의한 절삭날의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절삭을 실시할 수 있다.
11 : 인서트 본체
12 : 다각형면
12a : 보스면
12b : 경사부
13 : 측면
14 : 플랭크면
15 : 절삭날
15a : 코너날
15b : 주절삭날
15c : 와이퍼날
15d : 부절삭날
16 : 장착공
17 : 인서트 구속면
18 : 돌기부
18a : 돌기부 (18) 의 최돌부
19 : 돌조부
19a : 경사면
19b : 돌조부 (19) 의 최돌부
20a : 제 1 급경사부
20b : 완경사부
20c : 제 2 급경사부
21 : 공구 본체
22 : 인서트 장착 시트
22a :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바닥면
22b : 인서트 장착 시트 (22) 의 벽면
22c : 나사공
22d : 수용 오목부
23 : 칩 포켓
24 : 클램프 나사
L : 인서트 중심선
O : 공구 본체 (21) 의 축선
T : 공구 회전 방향

Claims (9)

  1. 다각형상을 이루어 일방이 레이크면이 되었을 때에 타방이 착좌면이 되는 2 개의 다각형면과, 이들 2 개의 다각형면의 둘레에 배치되어 그 다각형면의 상기 레이크면과 교차하는 플랭크면이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레이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갖는 다각형 판상의 인서트 본체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인서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서트 본체를 관통하는 장착공을 갖고, 상기 인서트 중심선에 관하여 회전 대칭 형상임과 함께,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에 관하여 표리 반전 대칭 형상이고,
    상기 절삭날은, 상기 다각형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코너날과, 이 코너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주절삭날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공의 개구부에는, 이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된 보스면에 대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주절삭날의 내주측 영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최돌부가, 상기 장착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가장 돌출된 최돌부가, 상기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상기 2 개의 다각형면이 각각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 삼각형 판상이고,
    상기 최돌부는, 상기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코너날의 일단과는 반대측의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과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상기 코너날측을 향하여, 상기 인서트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15°∼ 40°의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상기 코너날의 타단으로부터, 그 코너날의 타단측에 인접하는 다른 절삭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절삭날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 부절삭날은, 적어도 상기 코너날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상기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이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그 다각형면과는 반대의 다각형면측을 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플랭크면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보스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조부가, 상기 보스면의 영역에 연장되는 부분의 상기 부절삭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다각형면의 외주측을 향하는 상기 돌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면은, 상기 인서트 중심선에 수직인 평면으로 됨과 함께,
    상기 다각형면에는,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상기 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주절삭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보스면으로부터 상기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급경사부와, 이 제 1 급경사부의 상기 주절삭날측에 이어지고 그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 1 급경사부보다 완만한 구배로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완경사부와, 이 완경사부의 상기 주절삭날측에 이어지고 그 주절삭날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완경사부보다 급구배로 상기 인서트 중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급경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9.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에,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가, 상기 장착공에 삽입 통과되는 클램프 나사가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는 바닥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인서트 본체는, 상기 2 개의 다각형면 중 일방의 다각형면을 레이크면으로 하여 공구 회전 방향을 향하게 함과 함께, 타방의 다각형면의 상기 보스면을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상기 바닥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일방의 다각형면의 1 개의 상기 코너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외주측을 향하게 함과 함께, 이 1 개의 상기 코너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1 개의 상기 주절삭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측을 향하게 하여 장착되고,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나사공의 개구부의 둘레에, 상기 타방의 다각형면의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0207036147A 2018-06-08 2019-04-19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407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0398 2018-06-08
JPJP-P-2018-110398 2018-06-08
PCT/JP2019/016814 WO2019235084A1 (ja) 2018-06-08 2019-04-19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43A true KR20210010543A (ko) 2021-01-27
KR102407067B1 KR102407067B1 (ko) 2022-06-08

Family

ID=6876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147A KR102407067B1 (ko) 2018-06-08 2019-04-19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5034B2 (ko)
EP (1) EP3812071A4 (ko)
JP (1) JP6989012B2 (ko)
KR (1) KR102407067B1 (ko)
CN (1) CN112512736B (ko)
WO (1) WO2019235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5840B (zh) * 2020-05-21 2021-07-09 株洲华锐精密工具股份有限公司 切削刀片
WO2022137422A1 (ja) * 2020-12-24 2022-06-30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回転切削工具用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回転切削工具
CN117226158B (zh) * 2023-11-13 2024-03-05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切削刀片及其切削刀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834A (ja) * 2011-12-12 2013-09-09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14083632A (ja) * 2012-10-23 2014-05-12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14087881A (ja) * 2012-10-30 2014-05-15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50030217A (ko) * 2012-07-06 2015-03-19 이스카 엘티디. 회전 절삭 공구 및 회전 절삭 공구용 가역 절삭 인서트
JP5983901B1 (ja) 2014-11-21 2016-09-06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6930C (en) * 1990-02-27 1996-01-09 Hitoshi Fukuoka Cutting insert
US5193947A (en) * 1991-03-04 1993-03-16 Gte Valenite Corporation High depth, low force cutting insert
JPH1119817A (ja) 1997-05-02 1999-01-26 Synx Kk スローアウェイ式のスカラップカッター
SE9801501L (sv) * 1998-04-29 1999-01-11 Sandvik Ab Skär för skalsvarvning
SE515070C2 (sv) * 1999-10-22 2001-06-05 Sandvik Ab Dubbelnegativt skär till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CN101513679B (zh) 2004-09-29 2012-04-04 京瓷株式会社 不重磨插入物
AT9432U1 (de) * 2006-05-03 2007-10-15 Ceratizit Austria Gmbh Schneideinsatz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EP2119523A4 (en) 2007-03-12 2017-01-11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Insert for thread cutting
IL182343A0 (en) * 2007-04-01 2007-07-24 Iscar Ltd Cutting insert and tool for milling and ramping at high feed rates
US8337123B2 (en) 2007-05-28 2012-12-25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cutting tool
EP2450139B1 (en) 2009-06-29 2019-03-27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t product using the same
JP5498502B2 (ja) * 2009-10-28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03124609B (zh) * 2010-09-27 2015-08-19 株式会社钨钛合金 切削刀片以及切削工具
KR101239036B1 (ko) * 2011-01-17 2013-03-04 대구텍 유한회사 직각 가공용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한 밀링 커터
WO2012147924A1 (ja) * 2011-04-28 2012-11-0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9770767B2 (en) * 2011-05-31 2017-09-26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DE102011116942B4 (de) * 2011-10-26 2013-06-20 Kennametal Inc. Wendeschneidplatte
US8858130B2 (en) * 2012-04-24 2014-10-14 Kennametal Inc. Indexable circular cutting insert
JP5812208B2 (ja) * 2012-09-20 2015-11-1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JP5773085B2 (ja) * 2012-09-27 2015-09-0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DE102014102800A1 (de) * 2013-03-04 2014-09-04 Kennametal India Limited Schneideinsatz mit assymetrischem Spanformer
EP3117938B1 (en) * 2014-04-22 2021-08-04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US10406608B2 (en) * 2015-01-19 2019-09-10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pocket with uninterrupted and continuous seating surface perimeter
US9776258B2 (en) * 2015-03-04 2017-10-03 Kennametal Inc. Double-sided, trigon cutting insert with rounded minor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therefor
JP6696181B2 (ja) * 2016-01-13 2020-05-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DE102016109452A1 (de) * 2016-05-23 2017-11-23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platte für ein Fräswerkzeug und Fräswerkzeug
EP3263257A1 (en) * 2016-06-30 2018-01-03 Ceratizit Luxembourg Sàrl Milling cutter
DE112017003488T5 (de) * 2016-07-11 2019-04-25 Kyocera Corporation Schneideinsatz, Schneidwerkzeug und Verfahren des Herstellens eines maschinell-bearbeiteten Produkts
EP3338931B1 (en) * 2016-09-27 2024-05-29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US10110802B2 (en) 2016-12-30 2018-10-23 Axis Ab Historical gaze heat map for a video stream
CN207188816U (zh) 2017-07-04 2018-04-06 株洲欧科亿数控精密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温合金半精加工的可转位切削刀片
CN107598200A (zh) 2017-10-13 2018-01-19 株洲欧科亿数控精密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钢类车削刀片
CN110087808B (zh) * 2017-11-02 2020-07-14 三菱日立工具株式会社 切削刀片及可转位刀片式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6834A (ja) * 2011-12-12 2013-09-09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50030217A (ko) * 2012-07-06 2015-03-19 이스카 엘티디. 회전 절삭 공구 및 회전 절삭 공구용 가역 절삭 인서트
JP2014083632A (ja) * 2012-10-23 2014-05-12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14087881A (ja) * 2012-10-30 2014-05-15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5983901B1 (ja) 2014-11-21 2016-09-06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7170A1 (en) 2021-08-05
CN112512736A (zh) 2021-03-16
WO2019235084A1 (ja) 2019-12-12
KR102407067B1 (ko) 2022-06-08
EP3812071A1 (en) 2021-04-28
JP6989012B2 (ja) 2022-01-05
JPWO2019235084A1 (ja) 2021-03-11
EP3812071A4 (en) 2022-03-23
CN112512736B (zh) 2023-10-10
US11945034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809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EP2412464B1 (en) Milling cutter
JP7248892B2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および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のエンドミル本体
KR20210010543A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JP2017124464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11115896A (ja) 切削インサート
KR20190034266A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H059818U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ツプ
JP487697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KR20190062589A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2008200831A (ja) 切削インサート
JP5056215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3956666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498335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JP2017159440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4910781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685225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41713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3773999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746487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102657830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JP6965754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CN108136521B (zh) 切削刀片及切削工具
JP7473835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7260747B2 (ja) 切削インサート、刃先交換式ボール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