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945A -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945A
KR20210007945A KR1020207024434A KR20207024434A KR20210007945A KR 20210007945 A KR20210007945 A KR 20210007945A KR 1020207024434 A KR1020207024434 A KR 1020207024434A KR 20207024434 A KR20207024434 A KR 20207024434A KR 20210007945 A KR20210007945 A KR 2021000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decomposition
alcohol
waste polyester
decomposition
transest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008B1 (ko
Inventor
화위 팡
티엔위엔 리
은빈 주
두빈 왕
궈칭 위
진청 천
지엔퉁 우
지엔화 천
성요우 린
Original Assignee
아반트가르드(상하이)인바이런먼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반트가르드(상하이)인바이런먼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반트가르드(상하이)인바이런먼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solvents, plasticisers or unreacted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an ester group with a hydroxy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80Phthalic acid esters
    • C07C69/82Terephtha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08J11/2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J11/2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화학적 방법을 통해 회수하여 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 폴리에스테르 회수 이용 기술분야에 속한다. 연속 피딩, 연속 알코올 분해 공법을 사용하여, 재료가 용융 상태에서 균일상 알코올 분해가 진행되도록 하여, 필요한 알코올 분해 시간이 짧고, 둘 이상의 알코올 분해 솥을 직렬 연결하여 연속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알코올 분해물의 제품 품질이 안정적이다. 아울러,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EG 사용량을 최적화 하여, 알코올 분해 단계가 완료된 후 증류 농축이 필요 없이 알코올 분해물이 직접 에스테르 교환 솥에 진입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므로 순수한 DMT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본 발명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화학적 방법을 통해 회수하여 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 폴리에스테르 회수 이용 기술분야에 속한다.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는 생산량이 가장 큰 합성 섬유 재료로서 섬유, 방직 원단, 의류, 폴리에스테르 병, 필름, 시트 등 제품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환경 보호 의식이 높아지고 자원 절약 및 지속가능한 요구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제품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투리 조각 및 폴리에스테르 제품 사용 후의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할지가 해결이 시급한 문제이며, 폐기 폴리에스테르 회수 이용은 친환경 방직 발전 방향이다.
현재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회수 방법에는 주로 물리적 회수와 화학적 회수가 있다. 물리적 회수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이나 재상 제품의 성능이 차하다. 화학적 회수 방법에는 주로 가수분해법, 알코올분해법, 암모니아 분해법, 아민 분해법, 열 분해법 및 다른 분해법이 있다. 화학적 회수 방법의 하나의 중요한 방향은 폐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에틸렌 글리콜(EG)로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또는 올리고머를 형성한 다음, 메탄올 중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다이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에틸렌 글리콜을 생성하고, 정제를 통해 순수한 DMT를 얻어 폴리에스테르 생산용 원료로 사용하고, 메탄올과 에틸렌 글리콜은 정제, 재순환을 통해 반응 시스템에 사용됨으로써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순환 이용을 실현한다.
미국 특허 US6706843B1는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회수하여 DMT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상기 특허는 폐기 폴리에스테르 중량의 0.5-20배의 EG를 이용하여 촉매가 존재하고 온도가 175℃ - 190℃인 조건에서 폐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알코올 분해를 진행한 다음, 알코올 분해물을 증류 농축하여 EG를 증발시키고, 농축 후의 알코올 분해물 중 EG와 폐기 폴리에스테르 중량비가 0.5-2가 되도록 제어한다. 농축 후의 알코올 분해물은 다시 메탄올과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DMT를 생성하고, 증류 정제를 거쳐 순수한 DMT를 제조한다. 이 기술은 고체 상태 폴리에스테르와 EG의 알코올 분해 반응을 이용하고, 알코올 분해 반응은 고체-액체 비균일상 반응으로서 반응 시간이 길고, 동시에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알코올 분해에 사용되는 EG 량이 크다. 따라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잘 진행하기 위해서는, 최종 산물에 혼입된 필요없는 EG 등이 DMT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알코올 분해 산물 중 일부 EG를 증류시켜야 하고, 알코올 분해물을 농축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여 생산 에너지가 증가되고 농축 기기를 배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존재하는 고체-액체 비균일상 알코올 분해 반응 시간이 길고 제품 불순물이 많으며 농축 기기를 배치해야 하여 에너지 소모가 크고 인공적인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자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을 제공하고,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에 대해 건조, 산소 제거 처리를 진행하여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얻는 재료 전처리 단계;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 알코올 분해제 및 알코올 분해 촉매를 용융 상태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1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용융체 A를 얻고, 상기 용융체 A를 상기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2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알코올 분해물을 얻는 알코올 분해 단계;
상기 알코올 분해물, 에스테르 교환제,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용융 상태로 에스테르 교환 솥에 공급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DMT 조품을 얻는 에스테르 교환 단계; 및
DMT 조품의 결정화, 분리 및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과 제2 알코올 분해 솥은 직렬 연결된다.
선행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 방법은 연속 피딩, 연속 알코올 분해 공법을 사용하여, 재료가 용융 상태에서 균일상 알코올 분해가 진행되도록 하여, 필요한 알코올 분해 시간이 짧고, 둘 이상의 알코올 분해 솥을 직렬 연결하여 연속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알코올 분해물의 제품 품질이 안정적이다. 아울러,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EG 사용량을 최적화 하여, 알코올 분해 단계가 완료된 후 증류 농축이 필요 없이 알코올 분해물이 직접 에스테르 교환 솥에 진입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므로 농축 기기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의 공법 흐름 모식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의 기술 내용, 구조 특징,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에 대해 건조, 산소 제거 처리를 진행하여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얻는 재료 전처리 단계;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 알코올 분해제 및 알코올 분해 촉매를 용융 상태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1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용융체 A를 얻고, 상기 용융체 A를 상기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2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알코올 분해물을 얻는 알코올 분해 단계;
상기 알코올 분해물, 에스테르 교환제,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용융 상태로 에스테르 교환 솥에 공급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DMT 조품을 얻는 에스테르 교환 단계; 및
DMT 조품의 결정화, 분리 및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과 제2 알코올 분해 솥은 직렬 연결된다
발명자는 대량의 연구를 거쳐, 폐기 폴리에스테르가 건조 및 산소 제거 처리를 거치지 않으면 함수률 및 그 표면 산소 함유율이 후속적인 알코올 분해 반응의 정도 및 반응 산물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통상적인 공법으로 건조 수분 제거, 산소 제거 처리를 거치면 자연적인 환경에서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함수률이 2 %로부터 300ppm 이하로 하강될 수 있고, 얻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가 스크류 용융 시 부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감소하여 후속적인 제품의 순도 및 반응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 알코올 분해제 및 알코올 분해 촉매를 용융 상태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1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고, 예를 들면 스크류를 사용하여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가열하여 이가 용융 상태에서 회전 추진하는 방식으로 용융하면서 피딩되도록 하고, 스크류의 회전 속도로 용융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수송량을 조절하며,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알코올 분해 솥의 액위로 제어하여 알코올 분해 솥의 액위의 상대적인 안정을 실현한다. 알코올 분해제 및 알코올 분해 촉매도 액상 상태로 함께 계량 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정량으로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공급되고, 제1 알코올 분해 솥 내에서 알코올 분해 반응을 완료한 후 용융체 A를 얻는다. 상기 용융체 A가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직렬 연결된 상기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진입하여 제2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고, 마찬가지로 수송 펌프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용융체 A의 수송량을 제어하고, 수송 펌프의 회전 속도는 제2 알코올 분해 솥 내의 액위로 제어하여 제2 알코올 분해 솥 내이 액위의 상대적인 안정을 실현한다. 대량의 연구를 거쳐,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사용하는 좋은 점은 알코올 분해 반응을 철저하게 진행하고 알코올 분해 정도의 일치성을 보장함으로써, 에스테르 교환 단계에서 얻은 DMT 수율과 순도가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형태는 알코올 분해 회수 효과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데, 알코올 분해 솥에 진입하기 전에, 용융 후 형태를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고, 여과 단계를 거쳐 불용성 불순물을 제거하여, 알코올 분해 회수의 수율 및 반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속적인 반응 에너지 및 기기 원가를 최대한으로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들어간 용융체 A는 제1차 알코올 분해를 거쳐 그 몰질량 및 점도가 더 낮기에, 용융체 A가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들어가기 전의 여과기 여과 정밀도를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들어가기 전의 여과기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 분해 단계 전에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에 대해 여과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알코올 분해제의 중량 배합비 관계는 탈중합 반응에 일정한 영향이 있고, 알코올 분해제의 용량이 너무 크면 알코올 분해물에 과량의 알코올 분해제가 혼합되고 알코올 분해물에 다른 부산물이 생성되게 할 수 있고, 알코올 분해제의 용량이 너무 낮으면 알코올 분해가 철저하지 못하고 알코올 분해물에 많은 긴 사슬 폐기 폴리에스테르가 더 함유될 수 있다. 이 두가지 경우는 모두 알코올 분해물의 제품 품질 안정성에 영향을 주기에 후속적인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영향을 준다. 이밖에, 중단 공급은 생성된 알코올 분해물 품질 안정성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는 바, 계량 조건에서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해야만 생성된 알코올 분해물의 제품 품질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알코올 분해제는 1:1-2의 중량비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된다.
또한, 알코올 분해 반응에 필요한 알코올 분해 촉매 용량은 알코올 분해물에 대해 아주 큰 영향을 주는 바, 첨가한 알코올 분해 촉매 용량을 하나의 적절한 범위로 제어해야만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알코올 분해 효율을 보장하고 촉매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의 첨가량은 0.3wt% - 3.0wt%이다.
발명자는 또 연구를 통해, 알코올 분해제와 알코올 분해 촉매가 액체 상태로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진입한 후, 정량 관계로 최적의 -COOH 및 -OH 비율의 액체 상태까지 혼합한 다음, 정량 범위의 불용성 불순물을 제거한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반응함으로써 필요한 중합도의 알코올 분해물을 불가역적으로 얻을 수 있게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우선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를 알코올 분해제에 용해시켜 알코올 분해액을 얻고, 상기 알코올 분해액과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함께 제1 알코올 분해솥에 연속 투입하며, 알코올 분해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 첨가량은 10wt% - 70wt%이다.
또한, 알코올 분해 솥 내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모두 산물의 품질 안정성에 일정한 작용을 일으킨다. 알코올 분해 솥의 온도는 알코올 분해 솥 외부의 가열 맨틀 및 내부 가열 코일 파이프 내에 열원 매체를 연결하고 열원 매체의 량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실현된다. 알코올 분해 온도가 너무 낮으면 알코올 분해 반응의 진행에 불리하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 내의 알코올 분해 온도는 180℃ - 200℃, 알코올 분해 시간은 40 min - 90 min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알코올 분해 솥 내의 알코올 분해 온도는 180℃ - 200℃, 알코올 분해 시간은 40 min - 90 min이다.
또한, 알코올 분해 촉매의 종류는 알코올 분해 반응에 일정한 영향 작용이 있고, 대량을 연구를 거쳐 탄산칼륨과 아연 아세테이트가 폴리에스테르 알코올 분해 시 바람직한 알코올 분해 촉매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자가 대량의 연구를 거쳐 발견한 바에 따르면,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형태는 스크류 압출기의 가열 추진 피딩 과정에 대해 큰 영향이 있다. 따라서 탈중합할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치밀화 가공을 거쳐 5-10mm×5-10mm의 균일한 과립 재료로 만들면, 폐기 폴리에스테르가 스크류 압출기에 쉽게 수송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치밀화 공법은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바, 예를 들면 반용융(半熔融) 마찰 치밀화, 용융 조립 치밀화 등 공법을 사용하여 폐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전처리를 진행한다. 이해할 것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플레이크,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스테르 섬유, 폐기 방직품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에 대해 치밀화 공법을 거쳐 가공된 균일한 과립 재료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고, 가공 후의 페기 폴리에스테르 균일 과립을 직접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과제의 해결수단의 기술 내용, 구조 특징,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아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원료는 균일한 폐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이고, 평균 입경 ≤ 10mm, 수분 함량 ≤ 0.5 %이다. 폐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는 하이레벨 빈(5)에 의해 회전 피딩기(6)를 거쳐 스크류 압출기(7)에 들어가 용융된 후, 여과기(8)를 거쳐 여과되어 불용융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융 상태로 알코올 분해 솥(21)에 연속 공급된다. 스크류 압출기(7)의 용융 온도는 275℃, 여과기(8)의 여과 정밀도는 150 μm이다.
용융 상태 폐기 폴리에스테르는 1000 kg/h의 속도로 제1 알코올 분해 솥(21)에 연속 공급되고, 용융 상태 재료의 수송량은 스크류 압출기(7)의 회전 속도로 조절한다. 상기 회전 속도는 제1 알코올 분해 솥(21)의 액위로 제어하여 알코올 분해 솥(21) 액위의 상대적인 안정을 실현하고, 중앙 제어 시스템을 통해 상기 액위-회전 속도 수치를 설정한다.
EG 저장 탱크(1) 내의 EG, 알코올 분해 촉매 저장 탱크(3) 내의 알코올 분해 촉매는 각각 계량 펌프(2), 알코올 분해 촉매 계량 펌프(4)를 통해 수송되어 알코올 분해 솥(21)에 들어간다. 계량 펌프(2) 및 알코올 분해 촉매 계량 펌프(4)의 회전 속도와 폐기 폴리에스테르 스크류(9)의 회전 속도를 고정 비율로 조절한다. EG의 피딩 속도는 1500 kg/h이고, 알코올 분해 촉매인 탄산칼륨과 알코올 분해제인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 용액 중 탄산칼륨의 질량 농도는25 %, 탄산칼륨 용액의 피딩 속도는 80 kg/h이다.
알코올 분해 솥(21) 내에 동일한 성분의 알코올 분해 재료2000 kg이 포함된다. 폐기 폴리에스테르가 용융 상태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된 후 교반기(23)의 교반 조건에서 원래 있던 재료, 새로 들어온 EG, 새로 들어온 알코올 분해 촉매가 균일하게 혼합되고, 용융 상태로 균일상 알코올 분해가 발생한다. 알코올 분해 온도는 190℃, 재료 정류 시간(알코올 분해 시간)은 60 min이다.
제1 알코올 분해 솥(21) 중의 재료는 용융체 펌프(26)를 거쳐, 여과기(27)에서 여과된 후 제2 알코올 분해 솥(31)에 연속 공급되어 알코올 분해를 계속하여 진행한다. 수송 펌프(26)의 회전 속도는 제2 알코올 분해 솥(31)의 액위를 통해 제어하여, 제2 알코올 분해 솥(31) 내 액위의 상대적인 안정을 실현한다. 여과기(27)의 여과 정밀도는 80 μm이다. 제2 알코올 분해 솥(31) 내 온도를 195℃, 알코올 분해 시간을 50 min로 제어한다. 샘플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알코올 분해물 중 BHET 모노머 함량은 75 %이고, 모노머, 다이머, 트라이머, 및 테트라머의 총 함량은 97 %이다.
알코올 분해 솥(21) 내 알코올 분해물은 정량으로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연속 첨가되고, 메탄올, 에스테르 교환 촉매와 알코올 분해물은 고정 비율로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투입된다. 알코올 분해 재료와 메탄올은 촉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에스테르 교환을 진행하여 DMT 조품을 생성한다. 메탄올, 상기 알코올 분해물의 중량비는 초기 폐기 폴리에스테르:메탄올=1:2로 환산되고, 촉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며, 에스테르 교환 반응 온도는 75℃, 반응 시간은 70 min이다.
알코올 분해 촉매는 탄산칼륨이고, 탄산칼륨 용량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량의 2.0wt%,이며 탄산칼륨은 EG 용액의 형태로 첨가되고, EG 용액 중 탄산칼륨의 농도는 25 %이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산물은 DMT 결정기에 진입하고, 재료의 온도를 40℃ 이하로 강하시켜 DMT 결정을 석출시킨다. 여과하여 DMT 조품 여과 케이크 및 여과액을 얻는다. DMT 조품 여과 케이크를 메탄올로 여러 차례 세척하여 DMT 여과 케이크를 얻는다. DMT 여과 케이크는 6.65 Kpa 진공, 온도200℃ 에서 짧은 경로 증류 시스템을 통해 정제를 거쳐 순수한 DMT를 얻는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 회수 방법으로 얻은 DMT 순도는 99.5 %, 수율은 92 %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연속 알코올 분해 방법으로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회수하고, 다른 점은 에스테르 교환 촉매가 탄산칼륨의 메탄올 용액이고, 탄산칼륨 농도가 25 %라는 것이다. 본 방법으로 얻은 DMT 순도는 99.5 %, 수율은 92 %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연속 알코올 분해 방법으로 폐기 폴리에스테르를 회수하고, 다른 점은 원료가 폐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이를 5-10mm×5-10mm의 플레이크로 가공한다는 것이다. 본 방법으로 얻은 DMT 순도는 99.5 %, 수율은 92.5 %이다.
비교예 1
원료는 페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이고, 평균 입경 ≤ 10mm, 수분 함량 ≤ 0.5 %이다.
실시예 1-3과 다른 점은, 알코올 분해 반응에 필요한 재료가 알코올 분해 솥에 들어가는 방식은 간헐적 피딩 방식이다. 동일한 성분의 알코올 분해 재료 2000 kg이 포함된 알코올 분해 솥(21) 내에 1500 kg의 EG, 25 % 탄산칼륨 용액80 kg를 투입하고, 교반 조건에서 폐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1000 kg를 투입한다. 온도를 점차 190℃까지 상승하여 알코올 분해 반응을 진행하고, 190℃에서의 반응 시간은 60 min이다. 샘플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알코올 분해물 중 BHET 모노머 함량은 57 %이고, 모노머, 다이머, 트라이머, 및 테트라머의 총 함량은 74 %이다.
알코올 분해 솥(21) 중 재료는 여과기(27)에서 여과 후 한번에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들어가고, 알코올 분해 솥(21) 중 잔여 2000 kg는 다음번 알코올 분해에 사용된다. 여과기(27)의 여과 정밀도는 80 μm이다.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메탄올2000 kg 및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첨가하고, 촉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며, 반응 온도는 75℃, 반응 시간은 70 min이다. 촉매는 탄산칼륨이고, 탄산칼륨 용량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량의 2.0 %,이며 탄산칼륨은 EG 용액의 형태로 첨가되고, EG 용액 중 촉매의 농도는 25 %이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산물은 DMT 결정기에 진입하고, 재료의 온도를 40℃ 이하로 강하시켜 DMT 결정을 석출시킨다. 여과하여 DMT 조품 여과 케이크 및 여과액을 얻는다. DMT 조품 여과 케이크를 메탄올로 여러 차례 세척하여 DMT 여과 케이크를 얻는다. DMT 여과 케이크는 6.65 Kpa 진공, 온도200℃ 에서 짧은 경로 증류 시스템을 통해 정제를 거쳐 순수한 DMT를 얻는다. 얻은 DMT 순도는 99.4 %, 수율은 82 %이다.
비교예 2
원료는 페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이고, 평균 입경 ≤ 10mm, 수분 함량 ≤ 0.5 %이다. 비교예 2와 비교예 1은 유사하게 모두 간헐전 피딩 방식을 사용하여 알코올 분해 반응을 진행한다.
동일한 성분의 알코올 분해 재료 2000 kg이 포함된 알코올 분해 솥(21) 내에 2500 kg의 EG, 25 % 탄산칼륨 용액80 kg를 투입하고, 교반 조건에서 폐기 폴리에스테르 과립 재료1000 kg를 투입한다. 온도를 점차 190℃까지 상승하여 알코올 분해 반응을 진행하고, 190℃에서의 반응 시간은 120 min이다. 샘플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알코올 분해물 중 BHET 모노머 함량은 74 %이고, 모노머, 다이머, 트라이머, 및 테트라머의 총 함량은 89 %이다.
알코올 분해 솥(21) 중 재료는 여과기(27)에서 여과 후 한번에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들어가고, 알코올 분해 솥(21) 중 잔여 2000 kg는 다음번 알코올 분해에 사용된다. 여과기(27)의 여과 정밀도는 80 μm이다. 에스테르 교환 솥(41)에 메탄올2000 kg 및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첨가하고, 촉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며, 반응 온도는 75℃, 반응 시간은 70 min이다. 촉매는 탄산칼륨이고, 탄산칼륨 용량은 폐기 폴리에스테르 량의 2.0 %,이며 탄산칼륨은 EG 용액의 형태로 첨가되고, EG 용액 중 촉매의 농도는 25 %이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산물은 DMT 결정기에 진입하고, 재료의 온도를 40℃ 이하로 강하시켜 DMT 결정을 석출시킨다. 여과하여 DMT 조품 여과 케이크 및 여과액을 얻는다. DMT 조품 여과 케이크를 메탄올로 여러 차례 세척하여 DMT 여과 케이크를 얻는다. DMT 여과 케이크는 6.65 Kpa 진공, 온도200℃ 에서 짧은 경로 증류 시스템을 통해 정제를 거쳐 순수한 DMT를 얻는다. 얻은 DMT 순도는 99.4 %, 수율은 78 %이다.
1: 알코올 분해제 저장 탱크;
2: 알코올 분해제 계량 펌프;
21: 제1 알코올 분해 솥;
22: 제1 알코올 분해 솥 모터;
23: 제1 알코올 분해 솥 교반기;
24: 제1 알코올 분해 솥 정류탑;
25: 제1 탑 상부 응축기;
26: 제1 재료 수송 계량 펌프;
27: 용융체 A 여과기;
3: 알코올 분해 촉매 저장 탱크;
31: 제2 알코올 분해 솥;
32: 제2 알코올 분해 솥 모터;
33: 제2 알코올 분해 솥 교반기;
34: 제2 알코올 분해 솥 정류탑;
35: 제2 탑 상부 응축기;
36: 제2 재료 수송 계량 펌프;
37: 알코올 분해물 여과기;
4: 알코올 분해 촉매 계량 펌프;
41: 에스테르 교환 솥;
5: 폐기 폴리에스테르 호퍼;
6: 회전 피딩기;
7: 스크류 압출기;
8: 여과기.

Claims (10)

  1.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에 있어서,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에 대해 건조, 산소 제거 처리를 진행하여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얻는 재료 전처리 단계;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 알코올 분해제 및 알코올 분해 촉매를 용융 상태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1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용융체 A를 얻고, 상기 용융체 A를 상기 제2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하여 제2차 알코올 분해를 진행하여 알코올 분해물을 얻는 알코올 분해 단계;
    상기 알코올 분해물, 에스테르 교환제, 에스테르 교환 촉매를 용융 상태로 에스테르 교환 솥에 공급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DMT 조품을 얻는 에스테르 교환 단계; 및
    DMT 조품의 결정화, 분리 및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과 제2 알코올 분해 솥은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 단계 전에,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에 대해 여과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제는 에틸렌 글리콜이고,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알코올 분해제는 1.0:1.0-2.0의 중량비로 함께 제1 알코올 분해 솥에 연속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는 탄산칼륨 또는 아연 아세테이트이고,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의 첨가량은 0.3wt% - 3.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우선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를 알코올 분해제에 용해시켜 알코올 분해 촉매액을 얻고, 알코올 분해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알코올 분해 촉매 첨가량은 10wt% - 7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코올 분해 솥과 제2 알코올 분해 솥 내의 반응 공법 조건은 모두 알코올 분해 온도 180℃ - 200℃, 알코올 분해 시간 40 min - 9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제는 메탄올이고,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에스테르 교환제의 중량비는 1.0: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촉매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이고,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에스테르 교환 촉매의 첨가량은 0.2wt% - 5.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에스테르 교환 촉매의 첨가량은 0.3wt% - 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공법 조건은 반응 온도 60℃ - 80℃, 반응 시간 30 min - 90 min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KR1020207024434A 2019-07-10 2020-02-24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KR10248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17806.8 2019-07-10
CN201910617806.8A CN110527138B (zh) 2019-07-10 2019-07-10 一种废旧聚酯的连续醇解回收方法
PCT/CN2020/076451 WO2021004068A1 (zh) 2019-07-10 2020-02-24 一种废旧聚酯的连续醇解回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45A true KR20210007945A (ko) 2021-01-20
KR102488008B1 KR102488008B1 (ko) 2023-01-11

Family

ID=6865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434A KR102488008B1 (ko) 2019-07-10 2020-02-24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2452B2 (ko)
EP (1) EP3786225A4 (ko)
JP (1) JP7071526B2 (ko)
KR (1) KR102488008B1 (ko)
CN (1) CN110527138B (ko)
MY (1) MY193379A (ko)
WO (1) WO2021004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1137B (zh) * 2019-07-10 2020-06-26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材料连续醇解连续酯交换回收方法
CN110483279B (zh) * 2019-07-10 2020-08-14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材料的回收方法
CN110527138B (zh) * 2019-07-10 2020-07-03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的连续醇解回收方法
CN111569887B (zh) * 2020-06-02 2021-12-03 江南大学 一种磁性微球在有色废弃聚酯醇解回收中的应用
CN112341315A (zh) * 2020-11-05 2021-02-09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连续醇解后得到的气相物质的脱水方法
CN112321394A (zh) * 2020-11-06 2021-02-05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从回收液中得到乙二醇和二甘醇的方法及设备
CN112354202A (zh) * 2020-11-06 2021-02-12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从精馏釜残中得到dmt的方法及设备
CN112646134B (zh) * 2020-12-10 2023-01-20 北京服装学院 有色废旧聚酯纺织品连续制备可纺级无色再生聚酯的方法
CN112608514A (zh) * 2020-12-14 2021-04-06 浙江理工大学 一种废旧聚酯醇解法制备抗菌再生聚酯的方法
IT202100019076A1 (it) * 2021-07-19 2023-01-19 Milano Politecnico Processo industriale di depolimerizzazione di pet contenuto in fibre artificiali e naturali
CN113698665A (zh) * 2021-08-24 2021-11-26 中华全国供销合作总社天津再生资源研究所 一种针对废电冰箱聚氨酯泡棉资源化的方法
CN114805766A (zh) * 2022-04-26 2022-07-29 福建赛隆科技有限公司 一种pbt及其废旧pet聚酯或/和pet-pbt混合聚酯制备pbt的方法
CN117185931A (zh) * 2022-05-31 2023-12-08 科泽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由废旧聚酯连续化制备高纯bhet单体的工艺及系统
CN117486720A (zh) * 2023-11-06 2024-02-02 浙江佳人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旧纺织品化学法循环再生过程中dmt再熔回收工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807A (ja) * 1998-09-14 2000-03-28 Nkk Corp 大型プラスチック含有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3033916A (ja) * 2001-07-26 2003-02-04 Mitsui Chemicals Engineering Co Ltd 含水固形物の固液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055300A (ja) * 2001-08-17 2003-02-26 Is:Kk ビス−β−ヒドロキシエチル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法
WO2009010435A2 (en) * 2007-07-13 2009-01-22 Ustav Chemickych Procesu Akademie Ved Ceske Republiky Method for the chemical depolymerization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N102532815A (zh) * 2011-12-06 2012-07-04 上海聚友化工有限公司 一种废聚酯纺织品回收再利用的方法
KR101347906B1 (ko) * 2013-02-27 2014-01-08 (주) 시온텍 폴리에스터 폐기물의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JP2015021054A (ja) * 2013-07-18 2015-02-02 帝人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オレフィンとポリアルキレン芳香族ジカルボキシレートとの混合物からの有効成分回収方法
KR20150105781A (ko) * 2014-03-10 2015-09-18 (주) 시온텍 폴리에스터 폐기물의 재생장치
CN108003380A (zh) * 2017-12-21 2018-05-08 福建荔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材料回收及利用超声进行表面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2557B1 (en) * 1999-02-10 2002-10-29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cycling polyesters
MXPA02003928A (es) * 1999-10-22 2002-10-23 Teijin Ltd Metodo para la separacion y recuperacion de tereftalato de dimetilo y etilenglicol a partir de residuo de poliester.
JP2002249557A (ja) * 2001-02-23 2002-09-06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6335856A (ja) * 2005-06-01 2006-12-14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ポリエステルの解重合方法、その方法を用いたポリエステルモノマーの回収方法
JP2007186549A (ja) * 2006-01-11 2007-07-26 Cien Kk 繊維補強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の分解方法、燃料、再合成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再生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KR101099009B1 (ko) * 2009-10-09 2011-1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에스터 폐기물의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CN106167544A (zh) * 2016-06-28 2016-11-30 安徽徽隆包装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回收利用系统
CN108727630A (zh) * 2018-04-24 2018-11-02 弘暖纤科技(北京)有限公司 再生pet熔体或切片、超轻隔热保温再生涤纶纺织品及其制备方法
CN110527138B (zh) * 2019-07-10 2020-07-03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的连续醇解回收方法
CN110511137B (zh) * 2019-07-10 2020-06-26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材料连续醇解连续酯交换回收方法
CN110483279B (zh) * 2019-07-10 2020-08-14 艾凡佳德(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聚酯材料的回收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6807A (ja) * 1998-09-14 2000-03-28 Nkk Corp 大型プラスチック含有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3033916A (ja) * 2001-07-26 2003-02-04 Mitsui Chemicals Engineering Co Ltd 含水固形物の固液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055300A (ja) * 2001-08-17 2003-02-26 Is:Kk ビス−β−ヒドロキシエチル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法
WO2009010435A2 (en) * 2007-07-13 2009-01-22 Ustav Chemickych Procesu Akademie Ved Ceske Republiky Method for the chemical depolymerization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N102532815A (zh) * 2011-12-06 2012-07-04 上海聚友化工有限公司 一种废聚酯纺织品回收再利用的方法
KR101347906B1 (ko) * 2013-02-27 2014-01-08 (주) 시온텍 폴리에스터 폐기물의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JP2015021054A (ja) * 2013-07-18 2015-02-02 帝人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オレフィンとポリアルキレン芳香族ジカルボキシレートとの混合物からの有効成分回収方法
KR20150105781A (ko) * 2014-03-10 2015-09-18 (주) 시온텍 폴리에스터 폐기물의 재생장치
CN108003380A (zh) * 2017-12-21 2018-05-08 福建荔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聚酯材料回收及利用超声进行表面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1526B2 (ja) 2022-05-19
CN110527138B (zh) 2020-07-03
CN110527138A (zh) 2019-12-03
US11572452B2 (en) 2023-02-07
EP3786225A1 (en) 2021-03-03
US20210040287A1 (en) 2021-02-11
MY193379A (en) 2022-10-07
KR102488008B1 (ko) 2023-01-11
WO2021004068A1 (zh) 2021-01-14
EP3786225A4 (en) 2021-10-27
JP2021532197A (ja)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945A (ko) 폐기 폴리에스테르의 연속 알코올 분해 회수 방법
KR102488125B1 (ko)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회수 방법
KR102488012B1 (ko) 폐기 폴리에스테르 재료의 연속 알코올 분해 연속 에스테르 교환 회수 방법
CN111088545B (zh) 一种阳离子染料可染的再生仿棉聚酯纤维的制备方法
CN114437328A (zh) 一种废旧pet材料制备pet切片的方法及制品
CN103304788B (zh) 一种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聚酯树脂的制备方法
CN102746270A (zh) 一种回收聚乳酸制备精制级丙交酯的方法
CN109293623A (zh) 一种回收聚乳酸制备精制级丙交酯的方法
CN104072755A (zh) 锦纶6三釜聚合新工艺
CN113387920A (zh) 从乳酸低聚物到高光学纯度聚合级丙交酯的连续生产方法及装置
CN110862520A (zh) 一种利用碱减量废水中的对苯二甲酸制备pet的方法
CN113501753B (zh) 一种基于相转移催化剂合成二甲酸钾的方法
JP2000053801A (ja) 芳香族ジカルボン酸の回収方法
CN110791063B (zh) 一种含微孔的废聚酯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18943A (zh) 一种气体发泡制备含微孔的废聚酯颗粒的方法
CN103614784B (zh) 一种聚酯瓶片增粘方法
CN220245995U (zh) 一种含pet材料的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