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900A -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900A
KR20210007900A KR1020200085180A KR20200085180A KR20210007900A KR 20210007900 A KR20210007900 A KR 20210007900A KR 1020200085180 A KR1020200085180 A KR 1020200085180A KR 20200085180 A KR20200085180 A KR 20200085180A KR 20210007900 A KR20210007900 A KR 2021000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ncer
ultrasonic
yeast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457B1 (ko
Inventor
강민철
송경모
엄수진
이남혁
전현정
임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00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8Yeas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피부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현저하고, 화장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extract using ultrasonication having potent inhibiting activity for skin cancer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skin canc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암은 야외활동 증가와 같은 생활 패턴의 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유입량 증가로 인해 각종 유해물질이나 자외선의 노출 기회가 빈번해지고,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자외선 축적량이 많은 고령 인구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 환자수가 전 세계적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한편, 많은 피부암 환자들이 처음 피부에 암이 발생했을 때 단순히 피부염 또는 점이나 종기로 간과하기 때문에 병원을 늦게 방문하여 조기 발견이 어려우므로, 병의 완치가 어렵게 되고 가끔 생명을 잃는 경우가 있다. 피부암 중 흔하고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피부암으로는 기저(基底)세포 암종(Basal cell carcinoma, BCC)으로 약 80%에 달하며, 그밖에도 약 16%에 달하는 편평상피(扁平上皮)세포 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SCC), 그리고 약 4% 해당하는 흑색종(melanoma)이 있다. 기저세포암종(BCC)과 편평상피세포 암종(SCC)를 합쳐서 비흑색종성 암종(nonmelanoma skin cancer, NMSC)이라 일컫는다. 흑색종은 표피 내에 있는 멜라노사이트로부터 발생하는데, 대부분이 전이암이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암종이며, 2000년에는 47,000명이 새로운 흑색종으로 판명되었으며, 이 중 7,700명이 사망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R. T. Greenlee et al. Cancer J. Clin., 50: 7-33, 2000).
특히, 흑색종은 자외선의 만성적인 노출로 유발되기도 하지만, 극심한 선탠 등의 간헐적인 노출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흑색종은 다른 피부암보다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되더라도 재발이 흔하며, 생명을 단축할 수 있다. 피부병변은 황갈색이나 검은색을 띄는 반점이나 결절로 나타나며, 보통 중년 이후에 태양 노출부에 의해 잘 발생한다. 때로는 손, 발가락, 특히 엄지손가락, 발가락의 말단에서도 생기며, 손발톱에 검은 색의 세로줄이 보일 수 있는데, 이때에는 흑색종을 의심하여 철저한 조사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피부암의 치료 약물들이 단지 피부암의 증상만을 완화하는 것이고, 근본적인 치료약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현재까지는 피부암의 치료를 억제하는 치료제의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이고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피부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573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9686
본 발명의 목적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모(yeast)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모(yeast)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피부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각 추출 조건에 따라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각 추출 조건에 따라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에 대한 c-myc 및 cyclin D1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블럿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마우스에 B16F10 흑색종 세포주를 주입하여 종양을 형성시킨 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복강투여하고, 0, 2, 4 및 6일 후에 마우스에 형성된 종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n=2).
도 4는 마우스에 B16F10 흑색종 세포주를 주입하여 종양을 형성시킨 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복강투여하고, 0, 2, 4 및 6일 후에 마우스에 형성된 종양크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n=2).
도 5는 마우스에 B16F10 흑색종 세포주를 주입하여 종양을 형성시킨 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복강투여하고, 6일 후에 마우스의 종양조직 내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웨스턴블럿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n=3).
본 발명은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피부암은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유두종(papilloma), 암종(carcinoma),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기저세포암종(basal cell carcinoma) 및 방추세포암종(spindle cell carcinom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효모에 초음파를 처리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처리와 초음파 처리를 함께 수행하여 얻은 효모의 초음파 추출물이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0.1M 내지 0.2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85℃ 내지 95℃에서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피부암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암 억제 활성이 가지는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효모에 0.1M 내지 0.2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85℃ 내지 95℃에서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효모에 0.2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90℃ 에서 2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여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만일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를 0.1M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효모로부터 피부암 억제 활성을 갖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추출물의 추출이 미비한 문제가 있고, 반면 0.2M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높은 염기성 용액의 성질로 인해 추출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활성을 소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는 0.1M 내지 0.2M의 범위로 사용해야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2M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온도를 85℃ 미만에서 수행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 억제 활성이 미비한 문제가 있고, 95℃를 초과한 온도에서 수행하게 되면 활성 성분의 파괴 또는 변성이 유발될 수 있어, 이 역시 피부암 억제 활성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시간은 1.5시간 내지 2.5시간에서 수행할 수 있다.
1.5시간 미만으로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효모로부터 피부암 억제 활성을 갖는 유용 추출물의 추출이 미비해 질 수 있고, 2.5시간을 초과하여 처리할 경우에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 억제 활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효모로부터 피부암의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0.1M 내지 0.2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의 사용, 85℃ 내지 95℃의 온도,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의 초음파 처리 조건 하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건으로 수득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다른 종류의 암에 비해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이 월등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조건으로 수득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세포주에 처리한 후, 흑색종 세포주의 세포증식 억제능을 분석하였는데, 0.2M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90℃에서 2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이 월등히 우수한 세포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동일 조건에서 1시간 또는 3시간 동안 초음파를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에 비해서도 우수한 효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에 대한 피부암 억제 활성이 어떠한 기전을 통해 일어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내 c-myc 및 cyclin D1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c-myc의 발현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과 발현수준의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수준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피부암 세포의 세포주기에 관여하는 cyclin D1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하여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피부암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조성물의 외관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이용하여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 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피부암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고형물 함량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산제, 엑기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의 경구형, 제형, 연고, 도포제, 수액제의 외용제형 또는 정맥, 근육, 피하, 뇌혈관내 투여를 위한 멸균 주사용액 또는 좌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기타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약학적 활성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덱스트로즈, 락토즈, 수크로스, 전분,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아카시아 고무, 칼슘 실리케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알기네이트, 젤라틴,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물,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광물유,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결합제, 붕해제, 충진제, 증량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산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서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는데 빈번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방향제, 보존제, 습윤제, 감미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주사제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사가 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은 물, 염수, 수성 텍스트로스 및 관련 당 용액제, 비휘발성 오일,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글리콜류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상 담체 중에 유효량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균질하게 혼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가용화제, 항세균제, 킬레이트제, 완충제, 보존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포제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크림제, 연고제, 현탁제, 에멀젼 등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연고 또는 크림형으로 제조할 경우, 일반적인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베이스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시키고,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고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질병의 중증도, 약물제형, 건강상태, 투여경로 및 투여기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1 내지 10g/k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고,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피부암 억제 활성을 가진 효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추출 조건을 달리하여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NaOH가 각 농도별 (0.15 및 0.2M)로 용해된 수용액을 분말 형태의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주)셀텍에서 구입)에 첨가하고(효모양 기준 10배량(w/v)으로 NaOH 수용액 첨가), 시간별(1hr, 3hr, 5hr)로 초음파 처리하여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하였는데, 이때 상기 초음파 처리 조건은 20 kHz, 80% amplitude, 750 W, pulse 20 s on/10 s off 하에서 수행하였으며, 온도는 각각 90℃, 70℃ 및 50℃로 달리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각 수득한 모든 추출물은 HCl로 중화한 후 탈염하여 동결건조한 다음,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초음파 처리 없이 알칼리 용액만을 이용하여 수득한 효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능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 효모 초음파 추출물에 대한 피부암 억제 활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흑색종 세포주에 각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한 후, 세포증식 정도를 분석하였다. 세포증식 분석에 사용된 각 시료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B16F10 흑색종 세포주의 세포증식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간단히, B16F10 흑색종 세포주는 96 웰 플레이트에서 하나의 웰당 4 x 103 세포로 분주하였고, 세포 분주 3시간 후 각 초음파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다음, 37℃, 5% CO2 조건 하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3일 배양 후 Promega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MTS) 시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발색하여 세포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초음파를 처리하여 수득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2 ~ #13)은 초음파 처리 없이 알칼리 추출법으로 수득한 대조군(control, #1)에 비하여 흑색종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 특히, 0.2M 농도의 NaOH 수용액에서 2시간 동안 90℃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10, #11)은 다른 조건으로 수득한 추출물에 비하여 흑색종 세포주의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
한편, 상기 조건으로 수득한 본 발명의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0.2M 농도보다 낮은 농도인 0.15M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득한 추출물 및 0.2M 보다 높은 농도인 0.5M NaOH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득한 추출물에 비하여 피부암 세포주의 세포증식 억제 활성이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0.2M 농도의 NaOH 수용액, 2시간 동안 90℃의 온도에서 20 kHz, 80% amplitude, 750 W, pulse 20 s on/10 s off 조건으로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이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효모 초음파 추출물에 대한 Cyclin D1 발현수준 분석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효모 초음파 추출물이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 억제에 대한 세포 내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c-myc은 발암 유전자로 알려져 있고, Cyclin D1은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 처리 시, 흑색종 세포주에서 c-myc 및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수준 변화를 웨스턴블럿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특히, 0.15M 및 0.2M 농도의 NaOH 수용액에서 2시간 동안 90℃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은 다른 조건으로 수득한 추출물(0.2M NaOH 수용액, 3시간, 70℃에서 초음파 처리; 또는 0.2M NaOH 수용액, 3시간, 50℃에서 초음파 처리)에 비하여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다만, c-myc 의 발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2).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이 Cyclin D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암 세포주의 세포증식 억제하고,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in vivo 에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효모 초음파 추출물이 피부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모델에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하여 종양 크기 분석 및 종양조직 내 Cyclin D1 발현수준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6주령 BALB/c-nu 마우스가 실험에 사용되었고, 마우스는 구입 후 1주일 동안 적응시켰다. 이후, 각 마우스의 등쪽 피부조직에 B16F10 흑색종 세포주 (세포수: 5x105 개)를 주입하였다. 마우스의 등쪽 피부조직에 종양이 형성됨을 확인한 후, 효모 초음파 추출물 (500 mg/kg·body weight)을 2일에 1회씩 복강투여하였다.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투여 후 0, 2, 4 및 6일 후에 종양 크기를 분석하였고,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투여 후 6일 후에 종양조직 내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웨스턴블럿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크기가 현저하게 작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도 3). 특히,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6일 동안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종양크기가 약 593 mm3 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약 945 mm3)에 비하여 약 63% 정도로 종양크기가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또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종양 조직에서는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피부암 동물모델에서도 효모 초음파 추출물이 항암 활성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초음파 추출물은 효모에 초음파를 처리하여 제조된 것인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효모에 0.1 M 내지 0.2 M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85℃ 내지 95℃에서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암은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유두종(papilloma), 암종(carcinoma),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기저세포암종(basal cell carcinoma) 및 방추세포암종(spindle cell carcinom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효모(yeast)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효모(yeast)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은 0.1M 내지 0.2M의 농도로 첨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85℃ 내지 95℃에서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200085180A 2019-07-10 2020-07-10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 KR102448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3267 2019-07-10
KR1020190083267 2019-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900A true KR20210007900A (ko) 2021-01-20
KR102448457B1 KR102448457B1 (ko) 2022-09-28

Family

ID=7411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80A KR102448457B1 (ko) 2019-07-10 2020-07-10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8457B1 (ko)
WO (1) WO202100668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86B1 (ko) 2009-05-01 2011-10-05 주식회사 제이케이바이오테크 항암 및 면역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생산하는 신규한 펠리누스 균주
KR101365735B1 (ko) 2012-04-19 2014-0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모로 발효된 마늘의 헥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170055327A (ko) * 2015-11-11 2017-05-19 (주)엠앤씨생명과학 사카로미세스속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491A (en) * 1989-11-09 1993-06-29 Donzis Byron A Method for revitalizing skin by applying topically water insoluble glucan
KR100457270B1 (ko) * 2003-03-18 2004-11-16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효모변이주 아이에스투 유래 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함유하는 면역활성용 또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86B1 (ko) 2009-05-01 2011-10-05 주식회사 제이케이바이오테크 항암 및 면역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생산하는 신규한 펠리누스 균주
KR101365735B1 (ko) 2012-04-19 2014-0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모로 발효된 마늘의 헥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종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170055327A (ko) * 2015-11-11 2017-05-19 (주)엠앤씨생명과학 사카로미세스속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juan, H., et al., Advanced Material Research, 2012, vol. 455-456, pp. 477-482 (2012.01.24.) 1부.* *
Elwakkad, A., et al., Cogent Medicine, 2018, vol. 5, no. 1, pp. 1-27 (2019.05.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684A1 (ko) 2021-01-14
KR102448457B1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8344B2 (ja) 桔梗抽出物を含有する筋肉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US10576057B2 (en)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581721B2 (ja) 脂溶性ポリフェノール成分が増加した生薬組成物の製造方法、前記方法で製造された生薬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095917B1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7073024B (zh) 含人参皂苷f1的用于预防或治疗格列卫耐药性白血病的药学组合物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JP6615912B2 (ja) パナキサジオール類ジンセノサイド化合物を含む抗がん補助剤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51845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2448457B1 (ko) 피부암 억제 활성이 우수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암 억제용 조성물
KR101838379B1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44229B1 (ko) 천연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100544711B1 (ko) 항암효능을 갖는 비타민 k3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식품
KR102580918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4518B1 (ko) 대추잎 추출물, 또는 대추잎 및 가시오갈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835997B1 (ko) 알릴 설파이드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억제용 조성물
KR20230084852A (ko) 직장암에 대한 신보조화학방사선요법에서 미슬토 추출물의 종양 감축 용도
KR20240029547A (ko) 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3688A (ko) 약쑥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35121A (ko) 산두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