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405A -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 Google Patents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405A
KR20210007405A KR1020190083821A KR20190083821A KR20210007405A KR 20210007405 A KR20210007405 A KR 20210007405A KR 1020190083821 A KR1020190083821 A KR 1020190083821A KR 20190083821 A KR20190083821 A KR 20190083821A KR 20210007405 A KR20210007405 A KR 2021000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eering
damper
fluid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619B1 (ko
Inventor
박종관
Original Assignee
박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관 filed Critical 박종관
Priority to KR102019008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8Steerin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장애물이나 턱에 앞바퀴가 걸려서 핸들이 갑자기 틀어지면서 탑승자가 균형을 잡지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이 임의로 꺾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킥보드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핸들의 조향작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조향대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대는 내입부에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유체가 수용된 내입부에는 조향대와 연동하여 작동하여 작동하는 유체조절부가 설치되되, 유체조절부는 격벽에 의하여 유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조향대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된 유체가 바이패스되어 핸들이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조향되려고 할 때 유체조절부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그 움직임이 제동되어, 핸들의 임의 조향을 막아주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핸들이 일정범위 이상 회전하게 되면 댐퍼 내측에 존재하는 유로확장부에 의하여 유체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핸들의 스윙강도가 변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은 조향대가 핸들바에 연동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본체는 핸들의 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본체는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핸들축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에 대응하게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전동 킥보드에서 핸들 부속을 분리하지 않고도 볼트조임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A kickboard damper to prevent arbitrary steering of the steering wheel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에 장착되어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킥보드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의 장애물이나 턱에 앞바퀴가 걸려서 핸들이 갑자기 틀어지면서 탑승자가 균형을 잡지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이 임의로 꺾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킥보드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모터를 적용한 전동킥보드가 일상 생활에서 취미 또는 이동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동킥보드는 수평형상의 발판과, 발판 전,후단에 장착되는 앞바퀴 및 뒷바퀴, 그리고 발판전단에 장착되어 킥보드의 운행방향을 전환하면서 조향하는 핸들이 장착되며, 레저용도로 주로 사용되는데 성능이 일정수순 이상되는 기종은 출퇴근용이나 이동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발판 위에 서서 두 발이 앞뒤로 놓이거나 또는 발판의 폭이 넓은 대형 기종인 경우에는 양옆으로 놓인 상태로도 이동하며, 전동 킥보드의 운행속도는 15Km/h에서부터 65Km/h에 달할 만큼 빠른 속도로 운행한다.
그런데 전동킥보드는 사용자가 발판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퀴의 크기가 매우 작을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하여 작은 장애물이라도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매우 큰 위험요소가 된다.
즉,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하는 상황일 경우 노면에 형성된 과속방지턱이나 걸림턱을 통과할 때, 보드의 앞바퀴가 순간적으로 들려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앞바퀴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핸들이 쉽게 꺾여버린다.
이때, 탑승자는 단순히 보드 위에 서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을 뿐임므로, 핸들이 꺾어서 돌아가버리면 탑승자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두 발이 보드 밖으로 이탈하여 다치거나 혹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것이다.
KR 20-0231579 Y1 KR 20-0247556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 킥보드를 운행중 노면에 형성된 걸림턱이나 장애물에 의하여 앞바퀴가 들리거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핸들이 갑자기 꺾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한 댐퍼를 제공하고, 전동킥보드의 핸들을 분해하지 않고도 전동 킥보드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핸들의 조향작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조향대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대는 내입부에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유체가 수용된 내입부에는 조향대와 연동하여 작동하여 작동하는 유체조절부가 설치되되, 유체조절부는 격벽에 의하여 유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조향대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된 유체가 바이패스되어 핸들이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조향되려고 할 때 유체조절부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그 움직임이 제동되어, 핸들의 임의 조향을 막아주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핸들이 일정범위 이상 회전하게 되면 댐퍼 내측에 존재하는 유로확장부에 의하여 유체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핸들의 스윙강도가 변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향대가 핸들바에 연동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본체는 핸들의 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본체는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핸들축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에 대응하게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전동 킥보드에서 핸들 부속을 분리하지 않고도 볼트조임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킥보드용 댐퍼에 의하면, 핸들의 조향각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는 감쇠력에 의하여 운행중 돌발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댐퍼를 제공하고, 이러한 댐퍼를 기존의 전동 킥보드에 간단하게 추가 설치하여 안전한 운행은 물론, 전동킥보드의 기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댐퍼의 추가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댐퍼의 이상작동이나 기능저하시 댐퍼만을 분리하여 간편하게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가능하며, 수리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퍼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핸들 조작에 따른 유체 변화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7 및 도 8은 유체조절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전동 킥보드에 댐퍼가 장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댐퍼가 장착된 상태에서 핸들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댐퍼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동 킥보드가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퍼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조향대과 본체가 분해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핸들 조작에 따라 조향대의 동작과 이에 따른 유체조절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과 도 8은 유체조절부의 유통홀 및 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9 및 도 10은 상기 댐퍼가 전동 킥 보드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댐퍼가 전동 킥 보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핸들의 조향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4는 댐퍼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핸들의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퍼(1)는 노면에 형성된 과속방지턱이나 걸림턱을 통과할 때 앞바퀴(100)가 들려지면서 갑자기 핸들(120)이 스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핸들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조향대(10)와, 조향대가 장착되는 본체(20)와, 본체에 내장되되 조향대와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조향대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1)는 핸들의 스윙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움작이는 조향대(10)가 구비되고, 내입부(22a) 안쪽에 유체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는, 조향대(10)의 움직임에 따라 격벽(32)에 의해 분리 구획된 유체가 바이패스(By-pass)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체을 이동시켜주는 유체조절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를 운행 중에 장애물 등에 걸려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핸들이 임의로 돌아가려고 할 때, 상기 유체조절부(30)에 의해 랙(lag)이 걸리면서 스윙(Swing)되려고 하는 것을 막아주어 안전 운전되게 한 것이다.
이때 조향대(10)는, 본체(20)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본체(20)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연결대(12)의 전단부 양측으로는 핸들이 장착된 핸들바 내면에 밀착되게 밀대(14)가 구비됨으로써 조향대(10)가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12)는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 위치한 유체조절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대(12)의 중앙에는 유량조절부의 연동축(31a)이 삽입되는 체결홀(12a)이 형성되어, 도 4 내지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맞춰 조향대(10)도 시계방향으로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춰 상기 연결대(12)에 연결된 밀대(14)도 좌,우로 회전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작동이 발생한다.
이때 본체(20)는 유체을 수용하고 있는 바디(22)의 상단에 조절레버가 형성된 덮개(24)가 조립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22)에는 유체을 수용하기 위한 내입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입부(22a) 안쪽에는 유체주입부(30)가 안착되는 관통홀(2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입부(22a) 하단에는 오일 등의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2d)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주입구(22d)는 유체의 주입량을 육안으로 식별하고 원활한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주입구가 형성되어 일측의 주입구로는 오일을 주입하고, 타측의 주입구로는 배기가 이루어지면서 오일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주입구의 플로어 상태를 측정하여 적정 오일의 주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주입구는 내경이 나선구조로 되어있어 오일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볼팅에 의하여 주입구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울러, 유체조절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조절기(35)에 의해 상기 바디(22) 외측에 위치한 조절레버(36)와 연결된 상태에서, C링(38)이 끼워지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에 대응하는 덮개(24)에는 상기 유체조절부(30)의 상단이 안착되는 또 다른 관통홀(24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조절레버(36)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조절레버(36)는 다단으로 단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조절레버에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작동하는 볼베어링(미도시)을 장착하고, 조절레버의 회동범위 내에는 볼베어링이 안착되도록 복수의 홈을 마련함으로써 조절레버를 회전시킬 때 볼베어링이 홈에 안착되면서 오피리스가 승,하강되는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단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임의로 단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36)는 일측에 방향표지를 형성하고, 덮개(24)의 상면에는 단수표시부를 형성하면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조정된 단수를 탑승자가 육안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본체와 덮개에는 유체조절부 안착시 밀폐를 위해 탄성력 있는 연질의 오링(3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조절부(30)는 조향대(10)의 움직임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3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31)에는 내입부(22a)의 유체을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으로 분리 구획하는 격벽(32)이 상기 몸통의 회전에 맞춰 일측영역의 유체을 밀쳐내거나 혹은 당겨주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몸통(31)에는 격벽(32)을 중심으로 일측영역의 유체을 타측영역으로 혹은 타측영역의 유체을 일측영역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유통홀(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따라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작시 상기 연결대(12)가 움직이게 되면, 내입부(22a) 안쪽에 위치한 유체조절부(30)의 몸통(31) 역시 회전하고, 이때 상기 몸통(31)에 형성된 격벽(32) 함께 회전하면서 일측영역의 유체을 타측영역으로 밀어내려고 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일측영역의 유체는 몸통에 형성된 유통홀을 통해 바이패스(By-pass)되면서 타측영역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이때 바이패스(By-pass) 시켜주는 유통홀(33)의 크기가 작아 과부하가 걸리면서 일측영역의 유체이 타측영역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갑자기 핸들이 스윙되려는 상황에 놓이더라도 과부하가 걸리면서 핸들이 임의로 갑자기 스윙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유체조절부(30)의 유통홀(33)은 격벽(32)을 중심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의 유통홀(33)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몸통(31) 내측에는 유통홀을 통하여 유체가 이동할 때 유체를 버퍼링하고 있는 격실(34)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격실(34)에는 조절레버(36)에 의해 승/하강하는 오리피스 조절기(35)가 설치되어, 격실(34)의 내공간 면적 및 유로의 크기가 넓어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바이패스되는 유체의 양이나 시간을 조절하여 버퍼링 강도를 조절하고 핸들의 스윙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유체조절부(30)가 장착되어 작동하는 내입부 안쪽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2)의 움직임에 맞춰 유체가 이동하는 또 다른 통로인 한 쌍의 유로확장부(22b)를,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로확장부(22b) 사이의 간격을 격벽(3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이격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윙되려고 할 때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스윙강도를 가지고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앞바퀴가 일자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격벽(32)이 내입부(22a)의 중심 센터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핸들을 회전시킬 때 바이패스 되는 유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스윙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하고, 반대로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면 센터에 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유체의 양이 많아지면서 스윙강도가 점점 더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유로확장부(22b)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만곡률을 점점 크게하여 격벽(32)이 양끝단으로 갈수록 유로폭이 점차 확장되도록 하면 핸들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하면 할수록 이동하는 유체의 양이 점차 많아지면서 스윙강도가 점점더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회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32)에는 유체에 의한 작동불량을 방지하고 유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하여 가이드홈부(32b)가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유로확장부(22b)와 가이드홈부(32b)에 의하여 유체의 일부가 수용되므로 격벽이 내입부(22a)에서 양 끝단에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회동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댐퍼의 한정된 크기 내에서 격벽의 회동범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대(10)가 핸들(120)의 회전조작이 이루어지는 핸들바(122)에 장착되어 핸들과 연동되고, 상기 본체(20)는 핸들의 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축 장착부(140)에 장착되어 핸들을 조향하면 본체(20)를 기준으로 조향대(10)가 좌,우 회동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본체(20)를 스티어링 축 장착부(180)에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댐퍼의 추가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향대(10)는 연결대(12)의 전단부 양측으로는 핸들이 장착된 핸들바 내면에 밀착되게 밀대(14)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조향대(10)가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본체(20)에는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핸들축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에 대응하게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에서 핸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볼트조임에 의하여 추가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스티어링 축 장착부의 체결공과 본체(20)의 체결공(26)의 위치를 동일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전동 킥 보드 조립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댐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댐퍼가 고장나거나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 볼트만을 풀어서 간편하게 댐퍼를 분리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점검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향대(10)와 본체(20)는 상기와 같이 볼트 조립구조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되는 구조이면서도 이격된 상태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핸들바(142)의 사이에 수납될 수 있도록 그 폭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를 킥보드에 장착한 상태에서 댐퍼가 간섭되지 않으므로 전동 킥보드의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전동 킥보드에 댐퍼를 간편하게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능향상이 가능하고, 운행중 장애물이나 충격에 의하여 갑자기 핸들이 돌아가려고 할 때, 상기 유체조절부(30)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스윙(Swing)되려고 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돌발 상황발생시 탑승자가 균형을 잃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일이 없이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조향대 12: 연결대 12a: 체결홀
14: 밀대
20: 본체 22: 바디 22a: 내입부
22b: 유로확장부 22c: 관통홀 22d: 주입구
24: 덮개 24a: 관통홀
30: 유체조절부 31: 몸통 32: 격벽
33: 유통홀 34: 격실 35: 오리피스 조절기
36: 조절레버 37: 오링 38: C링
100: 앞바퀴 120: 핸들 122: 핸들바
140: 스티어링 축 장착부

Claims (9)

  1. 핸들의 조향작동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조향대(10)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대는 내입부(22a)에 유체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유체가 수용된 내입부에는 조향대(10)와 연동하여 작동하여 작동하는 유체조절부(30)가 설치되되, 유체조절부(30)는 격벽(32)에 의하여 유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조향대의 움직임에 따라 분리된 유체가 바이패스되어 핸들이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조향되려고 할 때 유체조절부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핸들의 임의 조향을 막아주어 안전 운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대(10)는 핸들(120)의 회전조작이 이루어지는 핸들바(122)에 연동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는 핸들의 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축 장착부(140)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20)는 스티어링 축 장착부에 핸들축을 조립하기 위한 체결공에 대응하게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전동 킥보드에서 핸들을 분리하지 않고도 볼트조임에 의하여 추가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연결대(12)의 전단부 양측으로는 핸들이 장착된 핸들바 내면에 밀착되게 밀대(14)가 구비됨으로써 조향대(10)가 핸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12)는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 위치한 유체조절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핸들의 스윙에 따라 조향대(1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움직이면서 내입홈(22a) 안쪽에 위치된 유체조절부(30)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움직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대(10)와 본체(20)는 이격된 상태로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핸들바(142)의 사이에 수납되어 댐퍼를 장착한 상태로 전동 킥보드의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30)는 조향대(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31)에,
    상기 내입부(22a)의 유체를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으로 분리구획하는 한편 상기 몸통의 회전에 의해 일측영역의 유체을 밀어내거나 혹은 당겨주는 격벽(32)을 중심으로,
    일측영역의 유체을 타측영역으로 혹은 타측영역의 유체을 일측영역으로 바이 패스시키기 위한 한 쌍의 유통홀(3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30)의 유통홀(33)은 각각 격벽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하면서 상기 몸통(31) 내측에 유체를 버퍼링하고 있는 격실(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34)에는 조절레버(36)에 의해 승/하강하는 오리피스 조절기(35)가 설치되어, 격실(34)의 크기가 넓어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바이패스되는 유체의 량이나 시간을 조절하여 핸들의 스윙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22a) 안쪽에는 일측과 타측에 유로확장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의 유로확장부과 타측의 유로확장부 사이의 간격이 격벽(3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이격되어 있어,
    상기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윙되었을 때 보다 중앙에 있을 때 상대적으로 더 큰 스윙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확장부는 센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점차 유로폭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되어질 때 스윙강도가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KR1020190083821A 2019-07-11 2019-07-11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KR10227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21A KR102274619B1 (ko) 2019-07-11 2019-07-11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21A KR102274619B1 (ko) 2019-07-11 2019-07-11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05A true KR20210007405A (ko) 2021-01-20
KR102274619B1 KR102274619B1 (ko) 2021-07-06

Family

ID=7430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21A KR102274619B1 (ko) 2019-07-11 2019-07-11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90Y1 (ko) * 2000-09-25 2001-04-16 문영범 킥보드 쿠션 장치
KR200231579Y1 (ko) 2001-02-19 2001-07-19 류시경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10-17 이성환 킥보드의 브레이크
US20080105506A1 (en) * 2002-06-10 2008-05-08 Norman Ralph S Stabilizer
KR20090009490A (ko) * 2007-07-20 2009-01-23 조재영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킥보드
JP2011156916A (ja) * 2010-01-29 2011-08-18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
KR101603435B1 (ko) * 2014-10-13 2016-03-14 윤임식 킥보드
CN206691291U (zh) * 2017-04-10 2017-12-01 天津富士达科技有限公司 一种前双轮滑板车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90Y1 (ko) * 2000-09-25 2001-04-16 문영범 킥보드 쿠션 장치
KR200231579Y1 (ko) 2001-02-19 2001-07-19 류시경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10-17 이성환 킥보드의 브레이크
US20080105506A1 (en) * 2002-06-10 2008-05-08 Norman Ralph S Stabilizer
KR20090009490A (ko) * 2007-07-20 2009-01-23 조재영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킥보드
JP2011156916A (ja) * 2010-01-29 2011-08-18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
KR101603435B1 (ko) * 2014-10-13 2016-03-14 윤임식 킥보드
CN206691291U (zh) * 2017-04-10 2017-12-01 天津富士达科技有限公司 一种前双轮滑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19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525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10946922B2 (en) Ride-on toy vehicle configured to tilt and drift
US10766562B2 (en) Forecarriage of a rolling motor vehicle
ES2693922T3 (es) Vehículo
EP3481707B1 (en) Tilting forecarriage of a motor vehicle and a related motor vehicle
US8768570B2 (en) Wheel cover system for a 3-wheeled motorcycle
JP5159881B2 (ja) オートバイサイドカー
EP3290315B1 (en) Leaning cargo multi-wheeler
KR20210007405A (ko)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US20180319242A1 (en) Lockable tilting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20040045394A1 (en) Structure restraining movement of a handle of a children's cycle
KR102099001B1 (ko)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CN105667663B (zh) 一种正常与摇摆可变的三轮车
KR10128268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SE523592C2 (sv) Motorcykel med stödhjulsarrangemang
CN208306839U (zh) 一种电动卡丁车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EP3487755B1 (en) A head tube and a combination of a head tube and a fork crown or a stem for a cycle
KR20070036986A (ko) 점핑 자전거
US8789641B1 (en) Suspension for a scooter
JP2010132187A (ja) 雪上車
KR101339208B1 (ko)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KR200348158Y1 (ko) 접철기능을 갖는 자전거의 조향 핸들
KR100733836B1 (ko) 탄성바가 형성된 레저용 바퀴
US4582490A (en) Swivel stand for driving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