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556Y1 - 킥보드의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킥보드의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556Y1
KR200247556Y1 KR2020010017449U KR20010017449U KR200247556Y1 KR 200247556 Y1 KR200247556 Y1 KR 200247556Y1 KR 2020010017449 U KR2020010017449 U KR 2020010017449U KR 20010017449 U KR20010017449 U KR 20010017449U KR 200247556 Y1 KR200247556 Y1 KR 200247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friction plate
rear wheel
driv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이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환 filed Critical 이성환
Priority to KR2020010017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556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 놀이기구인 킥보드의 주행중 정지수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킥보드의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브레이크 마찰판(60)을 그 하향 돌출된 상,하폭을 앞부분(a)에서 뒷부분(b)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하여 제동시 큰폭으로 하향돌출된 마찰판의 앞부분이 뒷바퀴(40)의 외주연에 먼저 마찰되어 회전력을 적당히 수용하면서 그 충격을 분산, 흡수하고, 계속하여 하향 돌출폭이 작은 뒷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마찰되게 함으로서 최종 뒷바퀴의 구동을 완전히 멈추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마찰판의 마모를 억제하는 한편, 특히 킥보드의 급제동을 피하고 일단 감속후 정지 하도록 함으로서 킥보드의 안정된 제동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어린이들이 킥보드를 고속 주행하는데 따른 킥보드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신체적 상해를 예방한다.

Description

킥보드의 브레이크 {Brake of kickboard}
본 고안은 주행 놀이기구인 킥보드의 주행중 정지수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킥보드의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같이 킥보드는 전방에 핸들이 구비된 답판과 그리고 이 답판을 중심으로 앞,뒤에 바퀴가 구성된 것으로 사용시 한쪽발은 답판에 안착하고 다른 한쪽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킥보드는 주로 어린이 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바, 이와같은 어린이의 경우 고속 주행하는 경우가 많고 또 주위가 산만하므로 항상 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킥보드의 효과적인 제동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통상 뒷바퀴에 구성되는 브레이크는 뒷바퀴 상부에 일단의 편축으로 회동되는 호형의 누름판 및 이 누름판의 내측에 마찰판이 장착된 구조로서 정지시에는 상기 누름판을 하방으로 눌러주면 누름판은 일측 축봉을 편축으로 하여 회동되고 이에따라 그 내측에 장착된 마찰판이 뒷바퀴의 상면에 밀착되어 뒷바퀴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누름판은 뒷바퀴에 제동을 가하기 위한 1차적인 구조물이며 실질적으로 제동을 수행하는 구조는 누름판 내측에 장착된 마찰판인바, 이 마찰판의 구조에 따라 효과적인 뒷바퀴의 제동이 이루어진다.
종래 킥보드의 브레이크 마찰판은 제동력을 고려하여 뒷바퀴와의 마찰시 뒷부분부터 먼저 닿게 하는바. 이와같은 종래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는 뒷바퀴와 먼저 마찰되는 마찰판 뒷부분이 뒷바퀴의 회전력에 대한 충격을 흡수, 분산하기위해 상하폭을 크게 구성하고 있으며 하향 돌출폭이 작은 마찰판의 앞부분은 실제로 제동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 킥보드의 브레이크는 그 작동시 하방으로 크게 돌출된 마찰판의 뒷부분이 뒷바퀴와 급작스럽게 마찰되므로 제동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대적 반발에 의한 급정거로 인하여 킥보드의 전복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방으로 크게 돌출된 뒷부분이 급작스러운 마찰의 반복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얼마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찰판의 제동기능을 상실하게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최근에는 이를 고려하여 브레이크 작동, 즉, 누름판을 하방으로 눌러주면 그 내측의 마찰판 저면 전체가 뒷바퀴의 외주연에 일시에 마찰되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마찰판의 마모방지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으나 급정거는 크게 해소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킥보드의 고속 주행중 안정된 제동은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브레이크 마찰판의 하향 돌출폭을 앞부분에서 뒤쪽으로 점차 축소되게 구성하여 제동시 큰폭으로 하향돌출된 앞부분이 먼저 마찰되도록 하되 이때 그 내면의 호형면이 뒷바퀴의 외주연을 감싸는 상태로 그리고 뒷바퀴의 회전력을 부드럽게 수용하면서 마찰되게 하는 한편, 뒷바퀴가 점진적으로 마찰판의 뒷부분에 이르면서 최종적으로는 마찰판 전체가 뒷바퀴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뒷바퀴와 마찰판의 급작스러운 마찰을 피하면서 부드럽고 강하게 마찰되도록 하고 특히 킥보드를 일단 감속시킨 다음, 정지되도록 함으로서 마찰판의 마모를 억제함과 아울러 킥보드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구성도
도 2a,b,c는 본 고안 브레이크의 순차적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답판 20 : 핸들축
30 : 앞바퀴
40 : 뒷바퀴 50 : 누름판
60 : 마찰판 a : 앞부분 b: 뒷부분
70 : 편축
답판(10)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핸들축(20) 및 앞바퀴(3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뒷바퀴(40) 및 그 상부에 일단의 편축(70)으로 회동되는 누름판(50) 그리고 누름판(50)의 내측에 하향 돌출된 마찰판(60)을 장착하여된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60)의 하향 돌출구조를 앞부분(a)에서부터 뒷부분(b)으로 점차 축소되게 구성하여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행중 정지 하고자 할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 일측 다리를 이용하여 누름판(50)을 하방으로 눌러주면 누름판(50)은 일단의 편축 (70)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그 내측에 하향 돌출구조로 장착된 마찰판(60)이 뒷바퀴(40)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뒷바퀴(4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제동수단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마찰판(60)이 그 하향 돌출폭이 앞부분(a)은 크게 확대되어 있고 뒷부분(b)으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 2a,b,c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하향 돌출폭이 확대된 마찰판(60)의 앞부분(a)이 뒷바퀴(40)에 먼저 닿게되는바, 이때 가해지는 충격은 그 돌출폭의 확대 구조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분산, 흡수되게 되고 또한 마찰판(60)의 내측 호형면이 뒷바퀴(40)의 외주연을 감싸는 상태로마찰되게 된다. 이는 뒷바퀴(40)와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는 것과 함께 뒷바퀴의 회전을 부드럽게 수용하면서 그리고 한편으로는 강하게 밀착하는 효과를 가진다. 계속하여 누름판(50)의 지속적인 누름으로 인하여 마찰판(60)은 그 하향 돌출폭이 작은 뒤쪽(b)에 이르면서 점진적으로 뒷바퀴(40)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그 접촉면적을 확대해 나가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마찰판(60)전체가 뒷바퀴(40)에 강하게 밀착되어 뒷바퀴(4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뒷바퀴(40)와의 최초 마찰시 뒷바퀴(40)의 회전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 흡수하면서 뒷바퀴(40)의 회전을 급제동 하지 않고 적당히 수용하면서 그리고 부드럽고 강하게 감싸는 상태로 밀착되는 것이며 특히 마찰판(60)을 점진적으로 뒷바퀴(40)에 밀착시키면서 최종적으로는 하향 돌출폭이 작은 마찰판(60)의 뒷부분(b)에 의해 뒷바퀴(40)를 강력히 압착함에 따라 강한 제동력을 가하게 되고 이때는 마찰판(60)전체가 뒷바퀴(40)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서 완전한 제동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최초 뒷바퀴(40)와의 마찰시 뒷바퀴(40)의 회전력을 감속시킴에 따라 킥보드의 속력이 줄어들고 이어 마찰판(60)의 점진적인 마찰에 의해 뒷바퀴(40)의 회전력은 점차적으로 그리고 일층 더 감속되는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마찰판(60)의 폭이 작은 뒤부분(b)과의 밀착, 그리고 이와동시에 이루어지는 마찰판(60)전체의 밀착에 의해 뒷바퀴(40)의 구동은 완전히 정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마찰판(60)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과 함께 급제동을 해소하기 때문에 킥보드의 전복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물론 이와같은 브레이크 작동시 누름판(50)의 누름동작이 실제적으로는 극히 단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제동거리가 결코 길지는 않으며 따라서누름판(50)의 작동시 킥보드는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속되면서 신속히 멈추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레이크는 극히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고 또 마찰판의 마모를 최소화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킥보드의 주행중 급제동을 해소함으로서 이에따른 어린이들의 전복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신체적 상해를 예방하는 한편, 이와함께 마찰판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킥보드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Claims (1)

  1. 답판(10)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핸들축(20) 및 앞바퀴(30)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뒷바퀴(40) 및 그 상부에 일단의 편축(70)으로 회동되는 누름판(50) 그리고 누름판(50)의 내측에 하향 돌출된 마찰판(60)을 장착하여된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60)의 하향 돌출구조를 앞부분(a)에서부터 뒷부분(b)으로 점차 축소되게 구성하여 뒷바퀴(60)가 마찰판(60)의 앞부분(a)부터 뒷부분(b)에 점진적으로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브레이크.
KR2020010017449U 2001-06-12 2001-06-12 킥보드의 브레이크 KR200247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49U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06-12 킥보드의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49U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06-12 킥보드의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556Y1 true KR200247556Y1 (ko) 2001-10-17

Family

ID=7308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49U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06-12 킥보드의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11A (ko) 2018-02-19 2019-08-28 박종관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KR20210007405A (ko) 2019-07-11 2021-01-20 박종관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KR20230063079A (ko) * 2021-11-01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11A (ko) 2018-02-19 2019-08-28 박종관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KR20210007405A (ko) 2019-07-11 2021-01-20 박종관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KR20230063079A (ko) * 2021-11-01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KR102616923B1 (ko) 2021-11-01 2023-12-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7556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
JP4946706B2 (ja) ペダル装置
KR20190017578A (ko)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KR100576633B1 (ko) 자전거 제동장치
JP2002250373A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N206287991U (zh) 优化型碰碰车驱动底座
KR20100031303A (ko) 자동차용 전동브레이크 장치
KR20230089091A (ko) 안전 유모차
KR200247539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 장치
JP3100104B2 (ja) 滑降用乗物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KR101629796B1 (ko) 자전거용 트레일러
KR200222765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
KR100362513B1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 브레이크
KR200234294Y1 (ko) 미니 스쿠터의 브레이크 장치
GB2296299A (en) Caliper assembly for a disc brake
KR19980040008U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캘리퍼
KR200223480Y1 (ko) 미니 스쿠터의 브레이크 장치
KR200234329Y1 (ko) 퀵보드의 제동장치
KR200225590Y1 (ko) 미니 스쿠터의 승강식 브레이크 장치
JP3078163U (ja) キックボードのブレーキ構造
KR100626340B1 (ko) 인라인스케이트
KR20050036573A (ko) 차량의 보조 제동장치
KR200150535Y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스토퍼
KR19980051577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