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578A -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578A
KR20190017578A KR1020170102631A KR20170102631A KR20190017578A KR 20190017578 A KR20190017578 A KR 20190017578A KR 1020170102631 A KR1020170102631 A KR 1020170102631A KR 20170102631 A KR20170102631 A KR 20170102631A KR 20190017578 A KR20190017578 A KR 2019001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otrusion
braking
gear wheel
bra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종
송윤정
박소영
김현지
이지원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578A/ko
Publication of KR2019001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a handle bar a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Hub brakes; dru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라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는, 수레바퀴를 제동시키는 장치로서, 외주면을 따라 톱니를 형성하고 상기 수레바퀴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기어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동부재; 상기 제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중 어느 하나도 상기 톱니와 접촉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상기 제동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 상기 제동부재의 제1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동부재의 제2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평지에서는 제동장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운전하고, 특히, 경사로에서는 수레가 운전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바퀴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BIDIRECTIONAL BRAKE APPARATUS FOR CARTWHEELS}
본 발명은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로에서 수레가 운전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의 운전을 제동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레는 물건이나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다. 오르막이나 내리막과 같은 경사로에서 무거운 짐을 싣고 수레를 운전하는 경우, 수레바퀴가 내리막으로 구르는 방향이나 속도를 제어하기 어렵고, 이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수레바퀴용 제동장치들은 수레바퀴의 타이어에 직접 접촉되거나, 수레바퀴의 회전축과 일체로 설치된 패드가 유압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되도록 하는 등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74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무거운 짐을 싣고 경사로를 운전하는 경우, 수레가 운전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바퀴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수레바퀴에 적용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의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는, 수레바퀴를 제동시키는 장치로서, 외주면을 따라 톱니를 형성하고 상기 수레바퀴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기어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동부재; 상기 제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중 어느 하나도 상기 톱니와 접촉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상기 제동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 상기 제동부재의 제1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동부재의 제2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기어휠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1 돌출부의 제1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기어휠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제1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평지에서는 상기 제동부재가 기어휠에 접촉되지 않도록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동장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운전하고, 경사로에서는 수레가 운전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바퀴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레바퀴용 제동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단순한 구조의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수레가 운전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바퀴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수레바퀴에 적용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대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평지 또는 경사로에서 수레를 운전할 때 수레바퀴가 회전 운동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동하고 해제시키는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가 설치된 손수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동부재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b는 제동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c는 제동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가 설치된 손수레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는 수레바퀴(W)가 회전 운동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동하기 위하여 수레바퀴 회전중심(120)과 손수레의 프레임(frame)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의 측면도이다.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는, 기어휠(100)과, 제동부재(200)와, 탄성부재(300)와, 조작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휠(100)은, 원형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외주면의 중심이 수레바퀴(W)의 수레바퀴 회전중심(120)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고, 외주면을 따라 톱니(110)를 형성하고 수레바퀴(W)와 함께 회전 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110)는 잇수 하나당 5cm 정도의 제동거리를 가지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수레바퀴(W)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기어휠(100)은, 10°이하의 경사로에서 설계하중인 85kg을 지지하면서 수레바퀴(W)를 제동할 수 있도록, 150mm 이상의 외경을 가지고, 20개의 톱니(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동부재(200)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b는 제동부재(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c는 제동부재(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10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동부재(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취할 수 있으나, 도 3과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회전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200)는 양쪽의 단변에 장변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210)는 제동부재(200)의 좌단변(도면 기준)에, 제2 돌출부(220)는 제동부재(200)의 우단변(도면 기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동부재(200)는 회전축(23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를 통해 기어휠(1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동부재(200)는 제1 돌출부(210)가 톱니(110)와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제2 돌출부(220)가 톱니(110)와 접촉하는 제2 위치와,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 중 어느 하나도 톱니(110)와 접촉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재(20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립 위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a는 제동부재(200)의 중립 위치를, 도 4b는 제동부재(200)의 제1 위치를, 도 4c는 제동부재(200)의 제2 위치를 도시한다.
제동부재(200)의 제1 돌출부(210)가 톱니(110)와 접촉하는 경우, 기어휠(100)은 일방향(C)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동부재(200)의 제2 돌출부(220)가 톱니(110)와 접촉하는 경우, 기어휠(100)은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일방향(C)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작동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에는 제동부재(200)의 중앙 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제1 접촉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에는 제동부재(200)의 중앙 측을 향하여 형성된 제2 접촉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면(240) 및 제2 접촉면(250)은 기어휠(100)이 회전 운동함에 따라 톱니(11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면(240)은 제동부재(200)의 양단부에서 장변과 수직하게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면(240)은, 도 4b와 같이 제동부재(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하면 톱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제동부재(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접촉면(240)은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하면 톱니(11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면(250)은 제1 돌출부(210) 및 제2 돌출부(220)의 돌출된 부분 말단으로부터 제동부재(200)의 장변 측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면(250)은, 도 4b와 같이 제동부재(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하면 톱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제동부재(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접촉면(250)은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하면 톱니(110)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제동부재(200)와 연결되고 제동부재(200)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길이와 장력이 조절된다.
조작부재(500)는, 탄성부재(300)와 연결되고,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동부재(200)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00)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는 각각의 일단이 제동부재(200)의 길이방향 양 말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부재(500) 일단과 함께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재(500)는 손잡이가 달린 조작레버(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레버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작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조절되며 발생하는 탄성력이 상기 제동부재(200)에 회전력으로 작용하고, 따라서, 상기 제동부재(200)의 돌출부가 기어휠(100)의 톱니(110) 사이 공간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된 제동부재 회전축(23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조작레버는, 제동부재(200)가 회전되는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작부재(5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탄성부재(300)가 연결되는 조작부재(500)의 일단을 감싸도록 고리모양을 형성하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레버를 통해 조작부재(500)는 제동부재(200)를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중립 위치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재(500)는, 조작레버와 접촉하여 제동부재(2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조작부재(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510)와, 제동부재(200)가 제2 위치에 고정되도록 조작부재(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520)와, 제동부재(200)가 중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조작부재(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중립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510)와, 제2 고정부(520)와, 중립고정부(530)는 조작레버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미도시)와 그 주변에 오목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의 위치를 상기 제1 고정부(510) 또는 제2 고정부(520)에 고정시키면, 제동부재(20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고정되고, 경사로에서 수레가 주행하는 전후 양방향으로 수레바퀴(W)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의 위치를 상기 중립고정부(530)의 위치에 고정시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부재가 기어휠(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평지에서는 제동장치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수레를 전후 양방향으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어휠(1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레버가 제1 고정부(510)에 위치한 경우, 제1 돌출부(2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작레버가 제1 고정부(510)에 위치하면 제1 돌출부(210)는 일단부가 기어휠(10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하면, 톱니(110)가 제1 돌출부(210)의 제1 접촉면(240)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제동부재(200)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1 돌출부(210)가 톱니(110)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일방향(C)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함에 따라 톱니(110)가 제동부재(200)에 가하는 모멘트는 제1 돌출부(210)를 톱니(110)가 접촉하지 못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하면, 톱니(110)가 제1 돌출부(210)의 제2 접촉면(250)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제동부재(200)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1 돌출부(210)가 톱니(110)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될 수 있다.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톱니(110)가 제동부재(200)에 가하는 모멘트는 제1 돌출부(210)를 톱니(110)가 접촉하지 못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조작레버가 제2 고정부(520)에 위치한 경우, 제2 돌출부(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작레버가 제2 고정부(520)에 위치하면 제2 돌출부(220)는 일단부가 기어휠(10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하면, 톱니(110)가 제2 돌출부(220)의 제1 접촉면(240)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제동부재(200)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2 돌출부(220)가 톱니(110)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기어휠(10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A)으로 회전함에 따라 톱니(110)가 제동부재(200)에 가하는 모멘트는 제2 돌출부(220)를 톱니(110)가 접촉하지 못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하면, 톱니(110)가 제2 돌출부(220)의 제2 접촉면(250)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제동부재(200)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제2 돌출부(220)가 톱니(110)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일방향(C)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될 수 있다. 기어휠(100)이 일방향(C)으로 회전함에 따라 톱니(110)가 제동부재(200)에 가하는 모멘트는 제2 돌출부(220)를 톱니(110)가 접촉하지 못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 접촉면(240) 및 제2 접촉면(250)에 완충부재를 적용하여 수레바퀴(W)가 회전 운동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W: 수레바퀴
100: 기어휠 110: 톱니
120: 수레바퀴 회전중심
200: 제동부재 210: 제1 돌출부
220: 제2 돌출부 230: 회전축
240: 제1 접촉면 250: 제2 접촉면
300: 탄성부재
500: 조작부재 510: 제1 고정부
520: 제2 고정부 530: 중립고정부
C: 일방향 A: 일방향과 반대방향

Claims (3)

  1. 수레바퀴를 제동시키는 장치로서,
    외주면을 따라 톱니를 형성하고 상기 수레바퀴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기어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일방향으로는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동부재;
    상기 제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중 어느 하나도 상기 톱니와 접촉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상기 제동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재;
    상기 제동부재의 제1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동부재의 제2 돌출부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기어휠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1 돌출부의 제1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되는,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기어휠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톱니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제1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기어휠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톱니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제2 접촉면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톱니와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되는,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KR1020170102631A 2017-08-11 2017-08-11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KR20190017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31A KR20190017578A (ko) 2017-08-11 2017-08-11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31A KR20190017578A (ko) 2017-08-11 2017-08-11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578A true KR20190017578A (ko) 2019-02-20

Family

ID=6556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631A KR20190017578A (ko) 2017-08-11 2017-08-11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7967A (zh) * 2021-01-13 2021-03-12 林统华 推车自动驻车装置
KR102649666B1 (ko) * 2023-12-28 2024-03-2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49Y1 (ko) 2014-04-28 2014-07-24 김일록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49Y1 (ko) 2014-04-28 2014-07-24 김일록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7967A (zh) * 2021-01-13 2021-03-12 林统华 推车自动驻车装置
KR102649666B1 (ko) * 2023-12-28 2024-03-2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251A (ko) 전방향 휠 조립체 및 전방향 차량
CN109153372B (zh) 用于坡路安全移动的智能制动器系统
KR20190017578A (ko) 수레바퀴용 양방향 제동장치
CN103717276B (zh) 用于滚轴轮滑鞋、滑板或类似物的制动装置
CN202529013U (zh) 婴儿车
JP2017226390A (ja) ブレーキキャリパー及びブレーキ装置
JP5002487B2 (ja) 手押し運搬車
CN104455089B (zh) 轻型电动车用的车轮制动器及防抱死制动装置
WO2002004285A1 (en) Wheelbarrow braking system
JP6511545B2 (ja) 傾斜路感知及び減速機能が備えられた制動装置
KR100576633B1 (ko) 자전거 제동장치
JP2000006776A (ja) 車両用拘束装置
JP7061248B2 (ja) ブレーキ機構
KR20090040962A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시스템
KR101352882B1 (ko) 전복방지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륜차
CN202863415U (zh) 一种液压履带式拖拉机制动系统
KR101394629B1 (ko) 트레일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KR20130140391A (ko) 복수의 전자 브레이크를 갖는 전동카트용 트랜스액슬
KR20170073579A (ko) 와전류를 이용한 과속방지용 바퀴
CN106428168A (zh) 一种刹车机构及含有该刹车机构的电动推车
KR101543987B1 (ko) 유아용 전동차의 제동장치
CN206202388U (zh) 一种刹车机构及含有该刹车机构的电动推车
JP2011178249A (ja) 手押台車
KR102121597B1 (ko) 비상용 급브레이크 장치
KR200224174Y1 (ko) 수레차용 자동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