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611A -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 Google Patents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611A
KR20190099611A KR1020180019252A KR20180019252A KR20190099611A KR 20190099611 A KR20190099611 A KR 20190099611A KR 1020180019252 A KR1020180019252 A KR 1020180019252A KR 20180019252 A KR20180019252 A KR 20180019252A KR 20190099611 A KR20190099611 A KR 2019009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handle
damper
kickboar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001B1 (ko
Inventor
박종관
Original Assignee
박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관 filed Critical 박종관
Priority to KR102018001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 F16F7/023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F16F7/026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being different according to direction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전동 킥보드의 댐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면에 형성된 걸림턱이나 충돌로 앞바퀴가 들려 졌을 때 핸들이 갑자기 일측으로 꺾임되면서 균형을 잡지 못하여 낙상되거나 혹은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일들을 방지할 수 있는 킥보드의 댐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Kickboard's damper}
본 발명 전동 킥보드의 댐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면에 형성된 걸림턱이나 충돌로 앞바퀴가 들렸을 때 핸들이 갑자기 일측으로 꺾임되면서 균형을 잡지 못하여 낙상되거나 혹은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일들을 방지할 수 있는 킥보드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킥보드는 보드 하단에 앞바퀴와 뒷바퀴가 달린 킥보드를 기본 형태를 취하고 거기에 전동관련 장치와 방향전환 가능한 핸들을 달라 전기의 힘으로 달릴 수 있는 탈것으로, 보통 레저용으로 사용하는데 성능이 일정수준 이상 되는 기종은 출퇴근용이나 이동수단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통상 사용자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드 위에 서서 두 발이 프리(Free)하게 놓인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통상 전동 킥보드는 평균속도 25Km/h 내외의 속도로 빠르게 이동한다.
이때 보드의 하단에 형성된 앞바퀴와 뒷바퀴는 사용자가 발판 위에 서서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높이고 작을 수밖에 없으며, 그 속도도 15Km/h에서부터 65Km/h에 달할 만큼 빠르게 이동하면서,
노면에 형성된 과속방지턱이나 걸림턱을 통과할 때, 보드의 앞바퀴가 순간적으로 들려지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앞바퀴가 공중에 떠 있기 때문에 쉽게 핸들이 일측으로 꺾임될 수밖에 없고, 이때 탑승자는 단순히 보드 위에 서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일 뿐이기 때문에,
쉽게 탑승자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두 발이 보드 밖으로 이탈하여 다치거나 혹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것이다.
KR 20-0231579 Y1 KR 20-0247556 Y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동 킥보드가 노면에 형성된 걸림턱이나 충돌로 앞바퀴가 들리더라도 핸들이 갑자기 일측으로 꺾임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 운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핸들의 스윙축이 삽입되는 크라운 뭉치에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유량의 양이 조절되는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핸들이 갑자기 일측으로 스윙되려고 할 때 댐퍼 내측에 존재하는 유량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그 움직임이 제동되어, 안전 주행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이 일정범위 이상 회전하게 되면 댐버 내측에 존재하는 유량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핸들의 스윙강도가 변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드의 스윙축이 삽입되는 크라운 뭉치에 댐퍼를 설치하여 핸들이 갑자기 꺾임되려고 하는 것을 잡아 줌으로써, 돌발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핸들이 최대한 주행 방향을 유지하고 있게 하여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앞바퀴가 들려질 때 핸들의 움직임이 제동되면서 탑승자가 균형을 잃지 않도록 지지해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버의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버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핸들 조작에 따른 유량 변화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8과 도 9는 유량조절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바디의 슬라이드홈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전동 킥보드에 댐버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버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로드암과 본체가 분해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핸들 조작에 따라 로드암의 동작과 이에 따른 유량조절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유량조절부의 유통홀 및 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이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 내지 도 15은 상기 댐퍼가 전동 킥 보드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댐퍼(1)는 노면에 형성된 과속방지턱이나 걸림턱을 통과할 때 앞바퀴(160)가 들려지면서 갑자기 핸들(140)이 스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댐버(1)는 핸들의 스윙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움작이는 로드암(10)이,
내입부(22a) 안쪽에 유량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는, 로드암(10)의 움직임에 따라 격벽(32)에 의해 분리 구획된 유량이 바이패스(By-pass)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량을 이동시켜주는 유량조절부(30)가 설치되어,
갑자기 핸들이 돌아가려고 할 때, 상기 유량조절부(30)에 의해 랙(lag)이 걸리면서 스윙(Swing)되려고 하는 것을 막아주어 안전 운전되게 한 것이다.
이때 로드암(1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삽입된 스윙암(130)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브라켓(11)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연결로드(1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12)의 끝단에는 회동하는 연결암(13)이, 상기 브라켓(11)과 마주보게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암(13)은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 위치한 유량조절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브라켓(11)의 중앙에는 스윙암(130)이 삽입되는 체결홀(1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1a)의 테두리에는 브라켓(11)을 사이에 두고 스윙암(130)과 스윙기어(110)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결합부(11b)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 하단의 체결홀(11a) 테두리에는 스윙기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11c)이 형성되어,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브라켓(11) 하단에 스윙기어(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1)의 체결홀(11a) 안쪽으로 스윙암(130)이 끼워졌을 때,
고정수단이 상기 스윙암(130)과 브라켓(11)을 관통하여 스윙기어(110)에 체결되면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140)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맞춰 스윙기어(110)가 장착된 브라켓(11)도 같이 시계방향으로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춰 상기 브라켓(11)에 연결된 연결로드(12)도 전후방향으로 당김되면서 혹은 밀림되면서 연결암(13)을 반시게방향으로 혹은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는 것이다.
이때 본체(20)는 유량을 수용하고 있는 바디(22)와, 상기 로드암(10)이 설치되는 커버체(21)가 조립되면서 형성된 것이고,
이때 바디(22)에는 크라운 뭉치(12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 내입된 안착부(22e)와 함께 유량을 수용하기 위한 내입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입부 (22a)안쪽에는 유량주입부(30)가 안착되는 관통홀(2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통홀(22c) 위에 안착된 유량조절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조절기(35)에 의해 상기 바디(22) 외측에 위치한 조절나사(36)와 연결된 상태에서, C링(38)이 끼워지면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에 대응하는 커버체(21)에는 상기 유량조절부(30)의 상단이 안착되는 또 다른 관통홀(21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연결암(13)이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본체와 커버체에는 유량조절부 안착시 밀폐를 위해 탄성력 있는 연질의 오링(3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30)는 연결암(13)의 움직임에 따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3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통(31)에는 내입부(22a)의 유량을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으로 분리 구획하는 격벽(32)이 상기 몸통의 회전에 맞춰 일측영역의 유량을 밀쳐내거나 혹은 당겨주도록 되어 있고,
이때 상기 몸통(31)에는 격벽(32)을 중심으로 일측영역의 유량을 타측영역으로 혹은 타측영역의 유량을 일측영역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유통홀(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작시 상기 연결암(11)이 움직이게 되면, 내입부(22a) 안쪽에 위치한 유량조절부(30)의 몸통(31) 역시 회전하고,
이때 상기 몸통(31)에 형성된 격벽(32) 역시 같이 회전하면서 일측영역의 유량을 타측영역으로 밀어내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일측영역의 유량은 몸통에 형성된 유통홀을 통해 바이패스(By-pass)되면서 타측영역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이때 바이패스(By-pass) 시켜주는 유통홀(33)의 크기가 작아 과부하가 걸리면서 일측영역의 유량이 타측영역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음으로, 갑자기 핸들이 스윙되려는 상황에 놓이더라도 과부하가 걸리면서 핸들이 스윙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유량조절부(30)의 유통홀(33)은 격벽(32)을 중심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의 유통홀(33)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통(31) 내측에 유량을 버퍼링하고 있는 격실(34)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격실(34)에는 조절나사(36)에 의해 승/하강하는 오리피스 조절기(35)가 설치되어, 격실(34)의 크기가 넓어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바이패스되는 유량의 량이나 시간을 조절하여 핸들의 스윙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입부 안쪽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1)의 움직임에 맞춰 유량이 이동하는 또 다른 통로인 한 쌍의 슬라이드홈(22b)을,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22b) 사이를 격벽(3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이격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윙되려고 할 때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스윙강도를 가지고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은 센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하면 할수록 이동하는 유량의 양이 많아지면서 스윙강도가 점점더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회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갑자기 핸들이 돌아가려고 할 때, 상기 유량조절부(30)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스윙(Swing)되려고 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돌발 상황발생시 탑승자가 균형을 잃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 위험한 상황에 놓이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1:댐퍼 10:로드암
11:브라켓 11a:체결홀
11b:결합부 11c:체결홈
12:연결로드 13:연결암
20:본체 21:커버
21a:관통홀 21b:안착홀
22:바디 22a:내입부
22b:슬라이드홈 22c:관통홀
22d:주입구 22e:안착부
30:유량조절부 31:몸통
32:격벽 33:유통홀
34:격실 35:오리피스 조절기
36:조절나사 37:오링
38:c링 110:스윙기어
120:크라운 뭉치 130:스윙암
140:핸들 150:보드
160:바퀴 170:봉

Claims (7)

  1. 핸들의 스윙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로드암(10)이,
    내입부(22a) 안쪽에 유량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본체(20) 안쪽의 내입부(22a)에는 로드암(10)의 움직임에 따라 격벽(32)에 의해 분리된 유량이 바이패스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유량조절부(30)가 설치됨으로써,
    갑자기 핸들이 스윙되려고 할 때 유량조절부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면서 핸들이 스윙되지 않게 막아줘서 안전 운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암(1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삽입된 스윙암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브라켓(11)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연결로드(12)에 의해,
    본체(20)의 내입홈(22a)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암(13)과 마주보게 연결되면서,
    핸들의 스윙에 따라 로드암(10)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움직이면서 내입홈(22a) 안쪽에 위치된 유량조절부(30)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움직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30)는 로드암(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통(31)에,
    상기 내입부(22a)의 유량을 일측영역과 타측영역으로 분리구획하는 한편 상기 몸통의 회전에 의해 일측영역의 유량을 밀어내거나 혹은 당겨주는 격벽(32)을 중심으로,
    일측영역의 유량을 타측영역으로 혹은 타측영역의 유량을 일측영역으로 바이 패스시키기 위한 한 쌍의 유통홀(3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30)의 유통홀(33)은 각각 격벽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하면서 상기 몸통(31) 내측에 유량을 버퍼링하고 있는 격실(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34)에는 조절나사(36)에 의해 승/하강하는 오리피스 조절기(35)가 설치되어, 격실(34)의 크기가 넓어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바이패스되는 유량의 량이나 시간을 조절하여 핸들의 스윙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22a) 안쪽에는 일측과 타측에 슬라이드홈(22b)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의 슬라이드홈과 타측의 슬라이드홈 사이는 격벽(3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이격되어 있어,
    상기 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윙되었을 때 보다 중앙에 있을 때 상대적으로 더 큰 스윙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센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되어질 때 스윙강도가 약해지면서 부드럽게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댐퍼.


KR1020180019252A 2018-02-19 2018-02-19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KR10209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252A KR102099001B1 (ko) 2018-02-19 2018-02-19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252A KR102099001B1 (ko) 2018-02-19 2018-02-19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11A true KR20190099611A (ko) 2019-08-28
KR102099001B1 KR102099001B1 (ko) 2020-04-08

Family

ID=6777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252A KR102099001B1 (ko) 2018-02-19 2018-02-19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262A (ko) 2021-08-05 2023-02-14 정정훈 전동 킥보드의 댐퍼 탈부착용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579Y1 (ko) 2001-02-19 2001-07-19 류시경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10-17 이성환 킥보드의 브레이크
JP2004316897A (ja) * 2003-03-31 2004-11-11 Honda Motor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6022946A (ja) * 2004-06-09 2006-01-26 Showa Corp ロータリダン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579Y1 (ko) 2001-02-19 2001-07-19 류시경 킥보드의 브레이크 구조
KR200247556Y1 (ko) 2001-06-12 2001-10-17 이성환 킥보드의 브레이크
JP2004316897A (ja) * 2003-03-31 2004-11-11 Honda Motor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6022946A (ja) * 2004-06-09 2006-01-26 Showa Corp ロータリ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01B1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525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10434860B2 (en) Kart
EP297730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icycle saddle angle in seated position while driving
US20140058600A1 (en) Electric-powered self-balancing unicycle
US8768570B2 (en) Wheel cover system for a 3-wheeled motorcycle
WO2008117602A1 (ja) 車両
JP2012148631A (ja) 車両
JP5159881B2 (ja) オートバイサイドカー
JP5263058B2 (ja) 搭乗姿勢保持機構及び同軸二輪車
KR20120005621A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스쿠터
KR20190099611A (ko)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CN108327840B (zh) 自行车的自主平衡系统、自行车和自行车智能控制方法
EP1260431B1 (en) Vehicle having a steering damper system
KR101730127B1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102274619B1 (ko)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의 임의 꺾임을 방지하는 킥보드용 댐퍼
KR101602197B1 (ko) 허벅지 조향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
ITMI20132174A1 (it) Velocipede ad assetto variabile
RU201712589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зды сидя, монтируемое к гироскутеру, с выставляемым колесом, как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точкой опоры и с управлением
KR20160011823A (ko) 차량용 시트장치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CN204623719U (zh) 一种通过前叉与车梯联动防转结构控制前叉转动的自行车
JP2013112234A (ja) 車両
CN106114710A (zh) 一种电动平衡车
KR20160136835A (ko) 개선된 핸들부 구조를 갖는 2륜 이동 장치
JP2013112235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