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208B1 -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208B1
KR101339208B1 KR1020070073290A KR20070073290A KR101339208B1 KR 101339208 B1 KR101339208 B1 KR 101339208B1 KR 1020070073290 A KR1020070073290 A KR 1020070073290A KR 20070073290 A KR20070073290 A KR 20070073290A KR 101339208 B1 KR101339208 B1 KR 10133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eering wheel
steering
cam shaf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303A (ko
Inventor
이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2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19/0659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combined with means for creating non-linear characteristics, e.g. cams; Means for creating different velocity on forward and revers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홀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볼트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는 양단에 가변 브라켓이 고정된 캠축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캠축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캠축과 회전축을 각각 결합하며,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부, 스티어링 휠, 캠축, 회전축, 조향축, 가변수단, 가변 브라켓, 볼트, 연결부, 고정수단, 조임기어부, 멈춤부, 제1, 제2기어부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Mounting Structure A Steering Column }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브라켓이 회전함으로 인해 제1, 제2기어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2기어부와 결합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된 볼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스티어링 휠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캠축 중앙부에 형성된 조임 기어부와 멈춤부가 맞물려 고정 결합됨으로 인해 스티어링 휠의 이동 각도를 고정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은 운전자의 평균신장을 기준으로 조작장치들이 설계되어 있고, 이 조작 장치를 조절하여 운전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컬럼이 형성된다.
도 1 또는 도 2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을 도시한 것으로 51은 한쌍의 수직부를 나타낸다.
상기 한 쌍의 수직부(51)의 상부에 가이드 홀(4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44)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회전축(54)이 볼트(56)로 관통 결합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4)의 중앙부분에 조향축케이스(46) 하부가 결합되며, 상기 조향축케이스(46)의 내측에 조향축(42)을 형성하되, 상기 조향축(42)은 상부 끝단에 스티어링 휠(41)의 중앙부가 설치되고, 하부 끝단에는 결합부(43)를 형성하여 스티어링 휠(4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차륜을 회전할 수 있게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와 결합된다.
삭제
삭제
상기 한쌍의 수직부(51)의 하부에는 끼움홀(5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53)에는 캠축(6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캠축(61)의 양단에 각각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변 브라켓(52)이 고정된다.
상기 가변 브라켓(52)이 상,하로 회전시 캠축(61)이 회전되며, 상기 캠측(61)이 회전할 때, 회전축(54)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부(57)가 수직부(51)의 내측에 캠축(61)과 회전축(54)을 연결한다.
상기 캠축(61)의 중앙부에는 조향볼트(미도시)가 형성되며, 가변 브라켓(52)이 상,하로 회전시 조향볼트에 결합되어 캠축(61)을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시(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종래 기술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가변 브라켓(52)를 상,하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변 브라켓(52)과 용접 결합된 캠축(61)이 가변 브라켓(52)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캠축(61)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캠축(61)과 회전축(54)을 연결하는 연결부(57)가 캠축(6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54)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54)이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축(54)의 중앙부에 결합된 조향축(42)이 상,하로 회전하면서 스티어링 휠(41)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회전축(54)이 가이드 홀(44)를 따라서 캠축(6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54)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축(54)의 양단에 체결된 볼트(56)가 느슨해져서 스티어링 휠(41)이 상,하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캠축(61)의 양단에 용접으로 가변 브라켓(52)을 고정함으로 상기 가변 브라켓(52)과 캠축(61)의 양단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캠축(61)의 중앙부분에 캠축(61)을 회전 및 고정시키기 위해 조향볼트에 고정부시가 결합하므로, 캠축(61)의 안착부의 지지력이 약해져서 스티어링 휠(41)이 유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홀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볼트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는 양단에 가변 브라켓이 고정된 캠축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캠축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캠축과 회전축을 각각 결합하며,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캠축의 양단에 제1기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제1기어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2기어부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볼트로 각각 체결시킴으로,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함으로 인해 제1, 제2기어부가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부와 결합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된 볼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스티어링 휠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캠축 중앙부에 형성된 조임 기어부와 멈춤부가 맞물려 고정 결합됨으로 인해 스티어링 휠의 이동 각도를 고정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홀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볼트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는 양단에 가변 브라켓이 고정된 캠축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캠축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캠축과 회전축을 각각 결합하며,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캠축의 양단에 제1기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제1기어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2기어부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볼트로 각각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축의 양단에 가변 브라켓을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축을 고정하여 스티어링 휠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캠축의 중앙부에 상호 대칭으로 조임 기어부를 형성하며, 상기 조임 기어부와 맞물려 결합되어 캠축이 회전함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고정부를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캠축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부 내측에 멈춤홈이 형성된 멈춤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홀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볼트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는 양단에 가변 브라켓이 고정된 캠축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에는 회전축과 캠축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외측에 캠축과 회전축을 각각 결합하며,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캠축의 양단에 제1기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제1기어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2기어부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볼트로 각각 체결시킴으로,
상기 가변 브라켓이 회전함으로 인해 제1, 제2기어부가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부와 결합된 회전축이 가이드 홀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된 볼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스티어링 휠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캠축 중앙부에 형성된 조임 기어부와 멈춤부가 맞물려 고정 결합됨으로 인해 스티어링 휠의 이동 각도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대형 버스의 스티어링 휠(1)을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1)의 저면 중앙부에 조향축(2)을 결합하고, 상기 조향축(2)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부(3)에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4)이 형성된다.
상기 조향축(2)의 외부 둘레에 조향축 케이스(5)를 형성하고, 상기 조향축 케이스(5)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상부 케이스(6)를 형성하여 한 쌍의 수직부(11)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향축 케이스(5)와 일체형으로 상부 케이스(6)를 형성하기 때문에,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조향축(2)이 수직부(11)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직부(11)의 상부에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가이드 홀(13)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홀(13)을 따라서 회전축(15)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15)이 가이드 홀(13)에 안내되며, 상기 회전축(15)의 양단은 볼트(16a)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부(11)의 내측면에는 연결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7)의 상부 중앙에 회전축(15)을 관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17)의 하부 중앙에는 캠축(31)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캠축(31)은 양단이 수직부(1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끼움홀(14)에 결합되며, 상기 캠축(31)의 양단에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 브라켓(12)이 볼트(16)를 통하여 고정된다.
즉, 가변 브라켓(12)이 볼트(16)로 캠축(31)의 양단에 체결되어 종래의 용접 결합부보다 결합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부호 21은 가변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가변수단(21)은 수직부(11)의 외측에 캠축(31)과 회전축(15)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변수단(21)은 캠축(31)의 양단에 제1기어부(22)를 결합하고, 상기 제1기어부(22)와 맞물려 제2기어부(23)가 회전축(15)에 결합된다.
삭제
상기 제1기어부(22)와 제2기어부(23)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상기 캠축(31)과 회전축(15)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가변 브라켓(12)을 상,하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변 브라켓(1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 제2기어부(22,23)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부(2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15)이 회전되면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캠축(31)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수단(32)의 작동으로 인하여 캠축(31)을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캠축(31)의 고정으로 인하여 도 5의 (a) 또는 (b)에서 도시된 것처럼 스티어링 휠(1)이 가변된 각도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2)은 캠축(31) 중앙부에 서로 대칭되는 조임 기어부(34)를 형성하며, 상기 조임 기어부(34)와 맞물려 결합되어 캠축(3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내,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캠축(31)을 고정하도록 고정부(36)와 조임 기어부(34)를 맞물려 결합한다.
상기 캠축(31)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양측으로 멈춤홈(35)이 형성된 멈춤부(33)를 형성하여, 고정부(36)가 내측으로 회전 이동할 때, 멈춤홈(35)에 결합되어 캠축(31)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수직부(11)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13)에 회전축(15)이 안내되고, 상기 회전축(15)의 양단은 볼트(16a)로 체결된다.
상기 수직부(11)의 하부 중앙에는,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고정수단(32)이 형성된 캠축(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캠축(31)의 양단에 가변 브라켓(12)을 볼트(16)로 체결한다.
상기 고정수단(32)은 캠축(31) 중앙부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조임 기어부(34)와 맞물리도록 고정부(36)를 결합한다.
상기 캠축(31)의 중앙부 양단에는 고정부(36)가 내,외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결합되어 캠축(3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멈춤부(33)를 결합한다.
즉, 가변 브라켓(12)의 상,하 회전에 의해 캠축(31)이 회전하면, 캠축(31)의 중앙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조임 기어부(34)를 따라서 고정부(36)가 캠축(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부(36)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는 캠축(31)의 중앙부에 형성된 멈춤홈(35)에 결합되어 캠축(31)을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36)는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에, 수직부(11) 내측에 연결부(17)를 통하여 결합된 캠축(31)과 회전축(15)에 의해 조향 각도가 가변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가변 브라켓(12)을 상부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가변 브라켓(12)이 상부로 회전함에 따라서 제1,제2기어부(22,23)는 일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부(23)의 양단에 결합된 회전축(15)은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도 5의 (a)에서 도시된 것처럼 스티어링 휠(1)의 조향각을 하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기어부(22)도 일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부(22)가 일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축(31)도 회전한다.
상기 캠축(31)과 맞물려 결합된 고정부(36)는 조임 기어부(34)를 따라서 외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연결부(17)의 양측을 고정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1)의 가변된 각도를 고정한다.
한편, 가변 브라켓(12)을 하부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 5의 (b)에서 도시된 것처럼, 가변 브라켓(1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 제2기어부(22,23)도 서로 맞물려 회전 이동하고, 상기 제2기어부(23)가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회전축(15)에 결합된 스티어링 휠(1)은 상측으로 조향각을 가변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22)와 결합된 캠축(31)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캠축(31)과 결합 형성된 고정부(36)는 캠축(3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캠축(31)의 중앙부에 결합된 멈춤부(33)에 결합되면서 스티어링 휠(1)의 조향각이 상부로 가변된 각도를 고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조향 휠의 변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가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의 가변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의 가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의 가변장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 휠, 2: 조향축,
3: 결합부, 4: 결합홀,
5: 조향축케이스, 6: 상부 케이스,
11: 수직부, 12: 가변 브라켓.
13: 가이드 홀, 14: 끼움홀,
15: 회전축, 16,16a: 볼트,
17: 연결부, 21: 가변수단,
22: 제1기어부, 23: 제2기어부,
31: 캠축, 32: 고정수단,
33: 멈춤부, 34: 조임기어부,
35: 멈춤홈, 36: 고정부,

Claims (5)

  1. 가이드 홀(13)이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축(15)을 볼트(16a)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부(11)의 하부에는 양단에 가변 브라켓(12)이 고정된 캠축(31)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11)의 내측에는 회전축(15)과 캠축(31)을 연결하여 상기 가변 브라켓(1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17)가 형성된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1)의 외측에 캠축(31)과 회전축(15)을 각각 결합하며, 상기 가변 브라켓(1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축(15)이 가이드 홀(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1)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변수단(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21)은
    상기 캠축(31)의 양단에 제1기어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어부(22)와 맞물려 제1기어부(2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제2기어부(23)를 상기 회전축(15)의 양단에 볼트(16a)로 각각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1)의 양단에 가변 브라켓(12)을 볼트(16)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1)을 고정하여 스티어링 휠(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2)은
    상기 캠축(31)의 중앙부에 상호 대칭으로 조임 기어부(34)를 형성하며, 상기 조임 기어부(34)와 맞물려 결합되어 캠축(31)이 회전함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고정부(36)를 결합하며, 상기 고정부(36)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캠축(31)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부 내측에 멈춤홈(35)이 형성된 멈춤부(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KR1020070073290A 2007-07-23 2007-07-23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KR10133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90A KR101339208B1 (ko) 2007-07-23 2007-07-23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90A KR101339208B1 (ko) 2007-07-23 2007-07-23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03A KR20090010303A (ko) 2009-01-30
KR101339208B1 true KR101339208B1 (ko) 2013-12-09

Family

ID=4048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290A KR101339208B1 (ko) 2007-07-23 2007-07-23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1385A (zh) * 2014-11-14 2015-03-11 苏州震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锁紧式多向调节柱管组件
CN106741125A (zh) * 2016-11-25 2017-05-31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方向机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396A (ja) * 1988-10-31 1992-03-12 フジ アウトテク アーベー 車両用ハンドルロッド支持装置
KR19990025171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KR20070027970A (ko) * 2005-08-30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장치
KR20070082366A (ko) * 2006-02-16 2007-08-21 주식회사 만도 양방향 캠을 구비한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396A (ja) * 1988-10-31 1992-03-12 フジ アウトテク アーベー 車両用ハンドルロッド支持装置
KR19990025171A (ko) * 1997-09-11 1999-04-06 오상수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와 텔리스코픽 구조
KR20070027970A (ko) * 2005-08-30 2007-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장치
KR20070082366A (ko) * 2006-02-16 2007-08-21 주식회사 만도 양방향 캠을 구비한 조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1385A (zh) * 2014-11-14 2015-03-11 苏州震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锁紧式多向调节柱管组件
CN106741125A (zh) * 2016-11-25 2017-05-31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方向机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03A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71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ユニット支持構造
JP5037160B2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連結構造
CA2540424A1 (en) Structure of attaching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3904825B2 (ja) ダイカストサブフレームに取付ける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KR101339208B1 (ko)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구조
JP3333125B2 (ja) 騎乗型四輪不整地走行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3228528B1 (en) Seat attachment structure of saddle riding vehicle
EP3225524A2 (en) Swing arm of saddle riding vehicle
EP3225525B1 (en) Swing arm of saddle riding vehicle
EP3225514B1 (en) Stand support structure of saddle riding vehicle
KR100966950B1 (ko) 자동차용 너클과 타이로드의 결합장치
US20080007090A1 (en) Canopy Of Working Vehicle
KR20080007973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CN101468658A (zh) 汽车用倾斜和缩进式转向管柱
KR200384083Y1 (ko) 자전거 뒷바퀴 요동장치
KR200395779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KR101294049B1 (ko) 타이로드와 너클 마운팅의 결합 구조.
JP2010221885A (ja) 自動二輪車
KR100440311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쇽업소버와 어퍼암 장착구조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05221323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532719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支持装置
KR100783690B1 (ko) 차량의 리어현가장치
KR20080067825A (ko)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H03440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