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948A -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 Google Patents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948A
KR20210006948A KR1020207035034A KR20207035034A KR20210006948A KR 20210006948 A KR20210006948 A KR 20210006948A KR 1020207035034 A KR1020207035034 A KR 1020207035034A KR 20207035034 A KR20207035034 A KR 20207035034A KR 20210006948 A KR20210006948 A KR 2021000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
chloro
methyl
mmol
oxazep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그랜트 케틀
샤란지트 카우르 바갈
앤드류 존 이서턴
숀 마이클 필러리
그래임 리처드 롭
스캇 깁슨 라몬트
폴 데이빗 케미트
프레데릭 울프 골드버그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0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8/1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loxapine, staurosp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244

본 명세서는 또한 이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및 중간체,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세포 증식성 장애의 치료에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본 명세서는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소정의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암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 방법에서 상기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또한 상기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관여되는 방법 및 중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KRAS, NRAS 및 HRAS 유전자는 82% 내지 90%의 전반적 서열 동일성을 공유하는, Ras 단백질 또는 Ras로 본원에서 총칭되는, 가깝게 관련된 소형 GTP아제 단백질 KRas, NRas 및 HRas 세트를 인코딩한다. Ras 단백질은 세포 증식, 생존 및 분화를 조절하기 위해 세포-표면 수용체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 경로의 중추적 성분이다. Ras는 불활성 GDP-결합 상태 및 활성 GTP-결합 상태 간을 사이클링하는 분자적 스위치로 기능한다. Ras의 GDP/GTP 사이클은 GTP에 대해 GDP의 교환을 촉진하는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인자(GEF), 예컨대 Sos1 및 Sos2, 그리고 GTP를 GDP로 가수분해하는 Ras의 내인성 GTP아제 활성을 자극하는 GTP아제 활성화 단백질(GAP), 예컨대 NF-1 및 p120RasGAP에 의해 세포에서 철저히 조절된다.
Ras 단백질은 188 내지 189 아미노산 길이이며, 뉴클레오타이드에 결합하는 p-루프 영역, 및 조절 및 효과기 단백질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한 스위치 I 및 스위치 II 영역을 함유하는 고도 보존된 N-말단 G-도메인을 갖는다. Ras 단백질의 C-말단 영역은 보다 분기성이며 번역-후 프레닐화 변형을 위해 필요한 보존된 카복실 말단 CAXX 박스 모티프를 포함하여 Ras와 막의 연합을 조절하는 요소를 함유한다. GTP에 결합 시, Ras의 스위치 I 및 스위치 II 영역은 그 상호작용 및 효과기 단백질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형태적 변화를 거쳐 하류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한다. Ras의 가장 잘 특징화된 효과기는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경로의 활성을 조절하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Raf이다. PI3K 경로는 Ras 하류의 또 다른 중요한 효과기 경로로, 클래스 I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의 p110 촉매성 서브유닛이 Ras와 상호작용한다. RalGDS, Tiam1, PLC-ε 및 Rassf1을 포함하는 Ras의 다른 효과기도 설명되었다(Cox,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14, 13:828-851).
RAS 돌연변이는 암에서 빈번하게 확인되며 모든 인간 암의 대략 30%가 KRAS, NRAS 또는 HRAS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갖는다. 종양형성 Ras는 배타적으로는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Ras의 글리신 12, 글리신 13 또는 글루타민 61에서 돌연변이와 연관된다. 이들 잔기는 Ras의 활성 부위에 위치하며 돌연변이는 내인성 및/또는 GAP-촉매 GTP아제 활성을 손상시켜 GTP 결합된 Ras의 형성 및 하류 효과기 경로의 비정상적 활성화를 선호한다. KRAS는 암에서 가장 빈번하게 돌연변이된 RAS 유전자이며, NRAS에 이어 HRAS가 뒤따른다. 췌장암(약 90% 유병률), 결장직장암(약 40% 유병률) 및 비-소세포 폐암(약 30% 유병률)을 포함하여, KRAS에서 높은 빈도의 활성화 돌연변이를 나타내는 몇몇 종양 유형이 존재한다. KRAS 돌연변이는 다발성 골수종, 자궁암, 담관암, 위암, 방광암, 확산성 큰 B 세포 림프종, 횡문근육종, 피부 편평상피세포 암종, 자궁경부암, 정소 배 세포암 등을 포함하는 다른 암 유형에서도 확인된다.
Ras의 잔기 12에서 글리신에서 시스테인으로의 돌연변이(G12C 돌연변이)는 코돈 12에서 G.C에서 T.A로의 염기 전환으로 생성되며, 암 유형에 걸쳐 모든 KRAS의 14%, 모든 NRAS의 2% 및 모든 HRAS 돌연변이의 2%를 차지하는 RAS 유전자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돌연변이이다. G12C 돌연변이는 KRAS 돌연변이체 비-소세포 폐암에서 특히 증가되어 대략 절반이 상기 돌연변이를 수반하며, 이는 담배 연기에 의해 형성되는 DNA 부가물과 연관되었다. G12C 돌연변이가 폐암과만 연관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KRAS 돌연변이체 결장직장암의 8%를 포함하여 다른 RAS 돌연변이체 암 유형에서도 확인된다.
현재까지, 치료적 사용을 위해 승인된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의 억제제는 없었다. 따라서 임상적 사용에 적합한 요구되는 약학 특성을 보유하는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의 새로운 억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항종양 활성을 보유하며, 악성 질환으로부터 일어나는 제어되지 않는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최소한,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의 억제제로서 작용하여 항-종양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고리 A는 페닐 및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은 각각의 경우 C1-4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4알콕시, C1-3플루오로알킬, C1-3플루오로알콕시, 시아노 및 아세틸레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Y는 CH2 또는 CH2CH2이고;
R2는 시아노, 할로, C1-4알킬, C1-4알콕시 또는 C1-3플루오로알킬이고;
R3은 F, Me, Et, MeO 또는 C1-2플루오로알킬이고;
R4는 H 또는 Me이고;
R5는 H 또는 Me이고;
R6은 H 또는 CH2NMe2이고;
단, Y가 CH2이고, R2가 Cl이고, R3이 F이고, A가 페닐이고, b가 2이고, 기 R1이 F 및 OH이고 각각 바이아릴 결합에 대해 오르소이고, R4 및 R6이 둘 다 H인 경우, R5는 Me이다.
추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암을 앓는 대상체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약제, 예를 들어 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그 사용, 예를 들어 암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지침을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추가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소정 종양 세포에서 증식 및 생존의 핵심 매개체인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의 억제로부터 유래된다고 여겨지는,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as G12C 돌연변이체 단백질에 결합하고 그 정상 기능을 억제하는 능력으로 인해,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항종양제로서, 특히 종양 성장 및 생존의 억제 및 전이성 종양 성장의 억제를 야기하는 포유류 암 세포의 증식, 생존, 이동, 파종 및 침습의 선택적 억제제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고형 종양 질환의 봉쇄 및/또는 치료에서 항증식제 및 항침습제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G12C 돌연변이체 Ras의 억제에 민감하며 종양 세포의 증식 및 생존을 야기하는 세포-신호전달에 관여되는 종양의 방지 또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상부 피페라진 고리 상에 위치한 아크릴아미드 모티프를 통해 G12C 돌연변이체 Ras와 상호작용한 후 이에 공유결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한 결합에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음)은 G12C Ras 단백질이 이의 활성, 친-증식성/친-생존 확인에 접근하는 능력을 손상시키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기 Y(아래 도면에서 별표로 표시됨)에 결합되는 피페라진 고리의 탄소 원자의 입체화학이 Ras G12C 억제 활성의 핵심 결정인자인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각각의 거울상이성질체 간 Ras G12C 억제 활성은 크게 변한다. 본원에서 본 명세서에 따른 화합물의 특정 논의를 위해, 아래 도면에 나타낸 넘버링이 계속 사용될 것이지만, 화학적 명명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의 명칭이 항상 상기 명명 관례를 따르지는 않는다. 따라서 기 O-Y는 퀴나졸린의 C-5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C-5 테터링 기로 언급될 수 있다. 기 R2, A 및 R3은 각각 퀴나졸린 모티프의 C-6, C-7 및 C-8에 부착된다. 기 A는 방향족 기이므로, 퀴나졸린의 C-7 및 A 간 결합은 바이아릴 결합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Y가 결합된 탄소의 입체화학적 배치의 중요성에 부가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화합물은 방향족 고리 A에 퀴나졸린 고리의 C-7을 연결하는 바이아릴 결합 주위의 제한된 회전으로 인해 회전장애이성질체성이다. 퀴나졸린 고리의 C-6에서 치환기 R2 및 퀴나졸린 고리의 C-8에서 치환기 R3의 도입은 치환기 R1과 함께, 분리될 수 있고 저장에 대해 안정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안정한 회전장애이성질체 형태를 제공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Ras G12C 돌연변이체 단백질의 억제제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각각의 개별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활성은 큰 폭으로 변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원에서 보고된 실시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회전장애이성질체쌍 간에 10배 이상 그리고 때때로 100배 이상의 활성 차이가 관찰된다. 회전장애이성질체 간 활성 차이는 치환기 R2 및 R3이 G12C Ras 돌연변이체 단백질로의 결합을 위한 이의 최적 형태로 또는 이와 가까운 형태로 기 A 및 A 상의 치환기(들) R1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표적 단백질에 대한 억제제의 결합을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를 낮추는 유리한 능력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특히 바람직한 거울상이성질체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형태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Ras G12C 돌연변이체 단백질의 매우 강력한 억제제일 수 있음이 확립되었다. 키랄 원료의 입체화학적 배치가 합성을 통해 유지되는 거울상선택적 합성이 수행된 경우, 바람직한 거울상이성질체가 아래의 도면에 예시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적 활성은 피페라진으로부터 Y로의 결합의 입체화학적 배치가 Y = CH2인 시스템 및 Y = CH2CH2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이한 경우 전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합성이 라세믹 방식으로 수행된 후 산물이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되고 이어서 가장 활성이 큰 화합물이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대칭 피페라진 탄소에서 동일한 입체화학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혹을 피하기 위해, 본 개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이성질체 및 회전장애이성질체를 포괄한다. 최적 Ras G12C 억제 활성을 제공하는 입체화학적 배열을 갖는 화합물이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구현예임이 이해될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3
[화학식 I]
Figure pct00004
상기 나타낸 입체화학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대 입체화학을 갖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퀴나졸린 고리의 C-5를 피페라진 고리에 테터링하는 기 O-Y가 없는 화합물에 비해 G12C Ras 돌연변이체 단백질의 억제제로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상기에 부가하여, 피페라진 고리 상의 치환기(즉 R4 또는 R5)의 도입이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대사 프로필을 개선할 수 있음이 추가로 결정되었다. R5가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에 관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R5에서 메틸기의 도입은 생체내 연구에서 경구 생체이용률을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유리하게 관찰되었고, 이는 설치류에서 글루타치온으로의 표적을 벗어난 반응성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다르게는 동일한 화합물에서, R5 메틸기의 도입은 0에서 30%로 경구 생체이용률 개선 및 제거율의 30배 감소를 유도하였다. 경구 생체이용률에서의 상기 차이는 래트에서 31%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갖는 실시예 4(R5가 Me인 화합물, 아래 참고) 및 래트에서 0%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갖는 R5가 H인 대응 화합물(본원에서 청구되지 않으며, WO2018/206539에 보고됨)에서 나타난다(두 화합물 간 제거율에서의 유의미한 효과가 또한 관찰되어 실시예 4는 29 ㎖/분/㎏을 cf R5 탈메틸 화합물은 962 ㎖/분/㎏의 Cl을 가짐 -- 래트 혈중 상기 화합물의 짧은, 12분, 반감기를 반영하는 수치). R5에서 메틸기의 도입은 또한 세포 투과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실시예 4, 58 Papp 1E-6 ㎝/s의 Caco AB, R5가 H인 대응 화합물은 5.8 Papp 1E-6 ㎝/s를 가짐). Y = CH2CH2인 경우, R5 메틸기의 도입은 마찬가지로 우수한 세포 투과도, 우수한 경구 생체이용률 및 낮은 제거율을 제공한다(예로, 아래의 실시예 39 참고, 72 Papp 1E-6cm/s, F(래트) 75%, Cl(래트) 22 ㎖/분/㎏). 따라서 R5 메틸화는 증강된 약동학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Y = CH2CH2인 경우, R5 기의 입체화학도 G12C 돌연변이체 Ras 상에서의 선택적 억제 효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G12C 돌연변이체 Ras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 본원에 기재된다. 생화학 및 세포 기반 검정에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강력한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 결합제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특히 G12C 돌연변이된 KRas, NRas 또는 HRas 단백질을 발현하는 암, 예컨대 췌장암, 결장직장암, 자궁암, 담관암, 위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정소 배 세포암 및 비-소세포 폐암 및 다발성 골수종, 확산성 큰 B 세포 림프종, 횡문근육종 및 피부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다. 세포 증식, 생존 및 분화를 조절하기 위해 세포-표면 수용체로부터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 경로의 중추적 성분인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에 대한 결합에서, 본 명세서에 따른 화합물은 세포, 예컨대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을 발현하는 종양 세포의 세포 증식, 생존 및 분화를 억제하거나 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한 선택적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상기 화합물을 환자, 예를 들어 이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예를 들어 과증식성 질환, 예컨대 암을 앓는 환자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에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문헌[Concise Dictionary of Biomedicine and Molecular Biology, Juo, Pei-Show, 2nd ed., 2002, CRC Press; The Dictionary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3rd ed., 1999, Academic Press; 및 the Oxford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Revised, 2000, Oxford University Press]은 당업자에게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여러 용어의 일반 사전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가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소정 용어가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정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적절하게 나타난다.
단위, 접두어, 및 기호는 이의 국제 단위 체계(SI) 허용 형태로 표시된다. 수치 범위는 범위를 정의하는 수치를 포함한다.
용어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을 허용하기 위한 형태이고, 조성물이 투여될 대상체에 허용 불가능하게 독성인 추가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제조물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성물은 멸균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것이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 또는 "치료하다" 또는 "경감시키는" 또는 "경감시키다"와 같은 용어는 (1) 진단받은 병리적 상태 또는 또는 장애를 근치하고, 늦추고, 그 증상을 줄이고, 및/또는 그 진행을 정지시키는 치료적 조치 및 (2) 표적화된 병리적 상태 또는 장애를 방지하고/하거나 그 발생을 늦추는 예방적 또는 방지적 조치를 모두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자들에는 이미 장애를 갖는 자들; 장애를 갖기 쉬운 자들; 및 장애가 방지되어야 하는 자들이 포함된다. 소정 양태에서, 환자가, 예로, 소정 유형의 암의 전체적인, 부분적인, 또는 일시적인 진정을 나타내는 경우, 대상체는 본 개시의 방법에 따라 암에 대해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용어 "대상체"는 특정 치료의 수신체가 될, 비제한적으로 인간,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물(예로, 포유류)을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용어 "대상체" 및 "환자"는 인간 대상체에 관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고리 A는 페닐 및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은 2개의 융합 고리를 포함하며, 1개, 2개, 3개 또는 4개 N 원자, 또는 1개 O 원자, 또는 1개 S 원자, 또는 1개 N 원자 및 1개 S 원자, 또는 1개 N 원자 및 1개 O 원자, 또는 2개 N 원자 및 1개 S 원자, 또는 2개 N 원자 및 1개 O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기를 나타낸다.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에는 두 융합 고리가 모두 방향족인 기, 또는 하나의 융합 고리가 방향족이고, 나머지 융합 고리는 부분 또는 완전 포화된 기가 포함된다. 상기 부분 또는 완전 포화 융합 고리는 또한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는 방향족 고리 또는 포화 고리에 존재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 A는 [6,6] 또는 [6,5] 고리계이며, 적합한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의 예에는 인돌릴, 벤조푸라닐, 벤조티에닐, 벤족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인다졸릴, 아자인돌릴, 아자인다졸릴, 피롤로[1,2-b]피리다지닐 및 피롤로[2,3-b]피리디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및 나프티리디닐 그리고 이의 부분 포화 유도체가 포함된다.
R1은 각각의 경우 C1-4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4알콕시, C1-3플루오로알킬, C1-3플루오로알콕시, 시아노 및 아세틸레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의혹을 피하기 위해, C1-4알킬은 1개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 걸쳐, 예를 들어 알콕시, 플루오로알킬 및 플루오로알콕시기에 대한, 수치 하위첨자의 사용은 상기 사용과 일치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는 F, Cl, Br 또는 I로부터 선택되는 원자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특히 기 R2 및 R1에 대한 할로기, F 및 Cl이 바람직한 할로기이다.
기 R2는 시아노, 할로, C1-4알킬, C1-4알콕시 또는 C1-3플루오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R2 기의 예에는 Cl, 메틸 및 시아노, 예를 들어 Cl이 포함된다. 기 R3은 F, Me, Et, MeO 또는 C1-2플루오로알킬, 예를 들어 F, Me 또는 MeO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Y는 CH2이며, R2는 Cl이고, R3은 F이고, A는 페닐이고, b는 2이고, 기 R1은 F 및 OH이며 각각 바이아릴 결합에 대해 오르소이고, 또한 R4 및 R6이 둘 다 H인 경우, 기 R5는 Me이다(그리고 H가 아님). 따라서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이 아니며 본원에서 청구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Figure pct00005
의혹을 피하기 위해, 여러 치환기가 주어진 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치환기는 주어진 기 내로부터 동일한 치환기 또는 상이한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고리 A가 (R1)b로 치환된 페닐이고, b가 2인 경우, 2개의 R1 치환기는 예를 들어 둘 다 플루오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예를 들어 하나는 플루오로 및 하나는 하이드록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추가 의혹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
Figure pct00006
"의 사용은 상이한 기 간의 부착점을 표시한다.
상기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7
식 중,
고리 A는 페닐 및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은 각각의 경우 C1-4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4알콕시, C1-3플루오로알킬, C1-3플루오로알콕시, 시아노 및 아세틸레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Y는 CH2 또는 CH2CH2이고;
R2는 시아노, 할로, C1-4알킬, C1-4알콕시 또는 C1-3플루오로알킬이고;
R3은 F, Me, Et, MeO 또는 C1-2플루오로알킬이고;
R4는 H 또는 Me이고;
R5는 H 또는 Me이고;
R6은 H 또는 CH2NMe2이고;
단, Y가 CH2이고, R2가 Cl이고, R3이 F이고, A가 페닐이고, b가 2이고, 기 R1이 F 및 OH이고 각각 바이아릴 결합에 대해 오르소이고, R4 및 R6이 둘 다 H인 경우, R5는 Me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H2인 화학식 Ia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Y가 CH2CH2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또는 Ib의 화합물은 기 R2가 Cl, Me, 또는 CN(시아노)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c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c의 화합물은 기 R2가 Cl인 화학식 Id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또는 Id의 화합물은 기 R3이 F, Me 또는 MeO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e의 화합물은 기 R3이 F인 화학식 If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또는 If의 화합물은 기 R4가 H인 화학식 Ig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또는 Ig의 화합물은 기 R5가 H인 화학식 Ih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또는 Ig의 화합물은 기 R5가 Me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Ig, Ih 또는 Ii의 화합물은 기 R6이 H인 화학식 Ij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Ig, Ih, Ii 또는 Ij의 화합물은 기 A가 페닐인 화학식 Ik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k의 화합물은 정수 b가 2 또는 3이고 적어도 하나의 R1 기가 OH인 화학식 Il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k 또는 Il의 화합물은 적어도 2개의 치환기 R1이 바이아릴 결합에 대해 오르소인 화학식 Im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k의 화합물은 기 A(R1)b
Figure pct00008
이고, 선택적으로 R1이 Me, F, Cl 및 CN(시아노)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n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n의 화합물에서 R1 기는 Me, Cl 및 CN으로부터 선택된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k의 화합물은 기 A(R1)b
Figure pct00009
인 화학식 Io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 Ia, Ib, Ic, Id, Ie, If, Ig, Ih, Ii 또는 Ij의 화합물은 기 A가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p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p의 화합물은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q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0
구현예에서, 화학식 Ip의 화합물은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r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1
구현예에서, 화학식 Ip의 화합물은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s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2
구현예에서, 화학식 Ip의 화합물은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기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t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3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즉 임의의 화학식 I, Ia, Ib... 내지 It의 화합물은 입체화학이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Iu 또는 Iv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u]
Figure pct00014
[화학식 Iv]
Figure pct00015
.
구현예에서, 화학식 Iu의 화합물은 Y = CH2인 화학식 Iui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Y = CH2CH2인 화학식 Ivi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즉 임의의 화학식 I, Ia, Ib... 내지 Ivi의 화합물은 R4가 H이고 R5가 Me인 화학식 Iw의 화합물이다.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각각의 거울상이성질체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7-[(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1-[(8aS,11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5-[(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1H-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1-[(6aS,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R,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S,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및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연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하나 이상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90%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과량(d.e.%)으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본 명세서의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연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하나 이상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90%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 과량(ee.%) 및 90%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과량(de.%)으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무정형 형태, 결정형 형태, 또는 반-결정형 형태로 제조되거나, 사용되거나, 공급될 수 있고, 임의의 주어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수화된 형태(예로 반-수화물, 1-수화물, 2-수화물, 3-수화물 또는 다른 화학양론의 수화물) 및/또는 용매화된 형태를 포함하는, 하나를 초과하는 결정형/다형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임의의 모든 이러한 고체 형태를 포괄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추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이후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생기는 원자의 모든 동위원소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동위원소에는 동일한 원자 번호를 갖지만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 원자가 포함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소의 동위원소에는 삼중수소 및 중수소가 포함된다. 탄소의 동위원소에는 13C 및 14C가 포함된다. 동위원소로 표지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적 기법에 의해 또는 이전에 채택된 비-표지된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로 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동반되는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산 부가 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산-부가 염, 예를 들어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의 산-부가 염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추가로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인간 또는 동물 신체 내에서, 상기 인간 또는 동물 신체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 후 형성되는 염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공동-결정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공동-결정이 본 명세서의 하나의 양태를 형성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약학적 맥락에서 사용하기 위해, 다량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서, 선택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하나 이상의 다른 입체이성질체 형태와 함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90%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과량(de%)으로 조성물 내에 존재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보통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투여형으로,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러한 염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 제조물 형태로, 경구 또는 정맥내 경로를 통해 투여될 것이다. 치료받을 장애 및 환자, 그리고 투여 경로에 따라, 조성물은 다양한 용량으로, 예를 들어 1 ㎎ 내지 1000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술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 제형은 단위 투여형으로 편리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 분야에 널리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 약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캡슐, 예를 들어 2-피스 경성 셸 캡슐 또는 연성 엘라스틱 젤라틴(SEG) 캡슐 형태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1 ㎎ 내지 1000 ㎎의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약제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 효과의 생성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고형 종양 질환의 봉쇄 및/또는 치료에서 침습방지제로서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 효과의 생성을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 효과의 생성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고형 종양 질환의 봉쇄 및/또는 치료에서 침습방지제로서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동물에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증식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어구 "유효량"은 치료받을 증상 및/또는 상태를 유의미하게 그리고 긍정적으로 변형하기(예로, 긍정적 임상 반응을 제공하기) 충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약학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활성 성분의 유효량은 주치의의 지식 및 전문성 내에서, 치료받는 특정 상태, 상태의 중증도, 치료 기간, 동시 치료법의 성질, 채택되는 특정 활성 성분(들), 이용되는 특정 약학적으로-허용 가능한 부형제(들)/담체(들) 등의 요인에 따라 변할 것이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동물에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고형 종양 질환의 봉쇄 및/또는 치료에 의한 침습-방지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암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암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동물에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암의 방지 또는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고형 종양 질환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고형 종양 질환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동물에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고형 종양 질환 의 방지 또는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의 억제에 민감한 종양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의 억제에 민감한 종양의 방지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동물에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12C 돌연변이체 Ras의 억제에 민감한 종양의 방지 또는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선택적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선택적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12C 돌연변이체 Ras에 대해 선택적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G12C 돌연변이체 Ras에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 본원에서 기재된다. 생화학 및 세포 기반 검정에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강력한 G12C 돌연변이체 Ras 단백질 결합제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특히 G12C 돌연변이된 KRas, NRas 또는 HRas 단백질을 발현하는 암, 예컨대 췌장암, 결장직장암, 자궁암, 담관암, 위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정소 배 세포암 및 비-소세포 폐암 및 다발성 골수종, 확산성 큰 B 세포 림프종, 횡문근육종 및 피부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비-소세포 폐암 또는 결장직장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 또는 결장직장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소세포 폐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유방암 또는 부인과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 따르면, 비-소세포 폐암 또는 결장직장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원에서 정의된 항암 치료는 단독 치료법으로서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부가하여, 통상적 수술 또는 방사선치료법 또는 화학치료법이 관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암의 연합 치료를 위한 추가 항-종양 성분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또 다른 항-종양 제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조합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추가 구현예에서, 또 다른 항-종양 제제와 조합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주로 온혈 동물(인간 포함)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가치를 갖지만, 이들은 또한 G12C 돌연변이체 Ras를 억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우 언제든지 유용하다. 따라서, 이들은 새로운 생물학적 평가의 개발 및 새로운 약리학적 제제의 탐색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리학적 표준으로서 유용하다.
또 다른 구현예는 환자의 G12C KRas, HRas 또는 NRas 돌연변이 상태 및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에 대한 잠재적 감수성 간 연관성 확인에 기반한다. 이어서 Ras 억제제,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다른 치료법에 내성이 있을 수 있는 G12C KRas, HRas 또는 NRas 돌연변이를 갖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한 환자, 특히 암 환자를 선택하기 위한 기회, 방법 및 도구를 제공한다. 선택은 처리될 종양 세포가 야생형 또는 G12C 돌연변이체 KRAS, HRAS 또는 NRAS 유전자를 보유하는지 여부에 기반한다. 따라서 G12C KRAS, HRAS 또는 NRAS 유전자 상태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 선택이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성공적 치료에 감수성인 것으로 확인된 환자가 이러한 화합물로 치료받을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방법은 첫 번째 환자 선택 단계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단계를 포괄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환자로부터의 종양 세포-함유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환자의 종양 세포-함유 샘플에서 RAS 유전자가 야생형(위치 12에 글리신) 또는 돌연변이체(위치 12에 시스테인) KRas, HRas 또는 NRas 단백질을 인코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에 기반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 방법은 이러한 환자 선택 방법을 포괄할 수 있다.
방법에는 실제 환자 샘플 단리 단계가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환자로부터 이전에 단리된 종양 세포-함유 샘플에서 RAS 유전자가 야생형(위치 12에 글리신) 또는 돌연변이체(위치 12에 시스테인) KRas, HRas 또는 NRas 단백질을 인코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에 기반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환자는 종양 세포 DNA가 G12C 돌연변이체 KRAS 유전자를 갖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구현예에서, 환자는 종양 세포 DNA가 G12C 돌연변이체 HRAS 유전자를 갖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구현예에서, 환자는 종양 세포 DNA가 G12C 돌연변이체 NRAS 유전자를 갖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로의 치료를 위해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KRAS 유전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양 세포를 갖는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HRAS 유전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양 세포를 갖는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NRAS 유전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양 세포를 갖는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12C 돌연변이체 KRAS, HRAS 또는 NRAS 유전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양 세포를 갖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G12C 돌연변이체 KRAS, HRAS 또는 NRAS 유전자를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양 세포를 갖는 암의 방지 및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성질이 완전히 이해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기재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생물학적 검정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 검정을 사용하였다.
KRasG12C 기능적 검정
내부적으로 불활성 GDP 로딩된 바이오틴화 KRasG12C 단백질을 발현하고, 정제하고, GDP 로딩하였다. 모든 효소 및 기질 용액은 20 mM HEPES(pH 7.5), 5 mM MgCl2, 150 mM NaCl, 및 0.01% Tween 20 함유 검정 완충액 중 제조하였다. 10 nM GDP 로딩된 바이오틴화 KRasG12C 및 37.5 ng/㎖ 스트렙타비딘 유로퓸 크립테이트(Cisbio)를 검정 완충액 중 제조하고, 5 ㎕를 4 hr 동안 인큐베이션된 샘플 및 DMSO 중 제조된 평가 및 참조 샘플을 함유하는 384 폴리스티렌, Hibase, 중간 결합 흰색 검정 플레이트(Greiner, #784075)의 각 웰 내로 분배하였다. 별도 혼합물에 20 nM GST-Raf Ras 결합 도메인(GST-Raf RBD, 내부적으로 정제함) 및 4 ㎍/㎖ 항-GST XL665 항체(Cisbio)를 50 mM 칼륨 플루오라이드 및 0.05 ㎎/㎖ BSA를 함유하는 검정 완충액 중 제조하고 4시간 동안 평형화한 후, 0.6 μM 구아노신 5'-[γ-티오]트리포스페이트(GTPγS, Sigma) 0.08 μM SOS(내부적으로 정제함)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5 ㎕의 GST-RAF RBD 혼합물을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 내로 분배하였다. 상기 첨가는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반응 및 불활성 GDP 로딩된 KRasG12C의 활성 GTPγS KRasG12C로의 전환을 개시한다. 이는 유로퓸 및 XL665를 매우 가깝게 하여 증가된 FRET 신호가 HTRF 필터 모듈이 장착된 Pherastar(BMG) 플레이트 판독장치 상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활성 GTPγS KRasG12C와 GST-Raf RBD 간 특이적 결합 상호작용을 통해 동시적으로 검출된다. 뉴클레오타이드 교환 공정의 억제를 통해 KRas의 활성화를 방지하거나, 활성 KRas:Raf RBD 결합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임의의 화합물은 감소된 FRET 신호를 일으킬 것이다. IC50 값을 Genedata screener(Basel, Switzerland)에 피팅된 정상화된 용량-반응 반응 FRET 데이터 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KRasG12C 질량 분광측정 부가물형성 검정
내부적으로 불활성 GDP 로딩된 바이오틴화 KRasG12C 단백질을 발현하고, 정제하고, GDP 로딩하였다. 효소 용액은 20 mM HEPES(pH 7.5), 5 mM MgCl2, 150 mM NaCl 함유 검정 완충액 중 제조하였다. 4 μM GDP 로딩된 바이오틴화 KRasG12C를 검정 완충액 중 제조하고 50 ㎕를 500 nl의 1 mM 평가 화합물(최종 농도 10 μM)을 함유하는 96웰 폴리프로필렌 검정 플레이트(Greiner, #651201)의 각 웰 내로 첨가하고, 이를 4시간 동안 반응하도록 둔 후 50 ㎕ 1% 포름산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한 후, Xevo G2 QTOF(Waters) 및 Acquity LC 시스템(Waters) 상에서 판독하였다. 10 ㎕의 샘플을 3분 구배로 작동시키며 Xbridge BEH300; C4; 3.5 ㎛; 2.1 × 50 ㎜ 칼럼(Waters) 상에 주입하였다. 블랭크 샘플을 각각의 평가 샘플 사이에 흘렸다.
데이터를 Mass Lynx 소프트웨어(Waters)에서 분석하고, 총 이온수(TIC) 추적을 사용하고 용출된 단백질 피크 데이터를 조합하였다. 조합된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MaxEnt1 방법을 사용해서 데콘볼루션하였다. 아포-단백질 KRasG12C(APO) 및 KRAS + 상대 cmpd 질량(부가물)에 대한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부가물의 백분율을 하기 계산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부가물% = 100 * (부가물 피크의 면적 / (APO + 부가물 피크의 합)
표 A에 나타낸 데이터를 실시예에 대해 생성하였다(아래의 데이터는 단회 실험의 결과 또는 2회 이상 실험의 평균일 수 있음).
[표 A]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실시예
이제 본 명세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음과 같이 하기 실시예에서 예시될 것이다:
(i)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합성은 상온, 즉 17℃ 내지 25℃ 범위에서,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수행하였다;
(ii) 증발은 회전 증발에 의해 또는 Genevac 설비 또는 Biotage v10 증발장치를 진공 하에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워크업 절차는 여과에 의한 잔여 고체의 제거 후 수행하였다;
(iii)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Merck Kieselgel 실리카(Art. 9385) 상에서 또는 역상 실리카(Fluka 실리카 겔 90 C18) 상에서 또는 Silicycle 카트리지(40 ㎛ 내지 63 ㎛ 실리카, 4 g 내지 330 g 중량) 상에서 또는 Grace resolv 카트리지(4 g 내지 120 g) 상에서 또는 RediSep Rf 1.5 플래시 칼럼 상에서 또는 RediSep Rf 고성능 Gold 플래시 칼럼(150 g 내지 415 g 중량) 상에서 또는 RediSep Rf Gold C18 역상 칼럼(20 ㎛ 내지 40 ㎛ 실리카) 상에서 또는 Interchim puriFlash 카트리지(50 ㎛ 실리카, 4 g 내지 800 g) 상에서 수동으로 또는 자동화되어 Isco CombiFlash Companion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iv) 분취용 역상 HPLC는 ZMD 또는 ZQ ESCi 질량 분광측정계 및 Waters X-Terra 또는 Waters X-Bridge 또는 Waters SunFire 역상 칼럼(C-18, 5마이크론 실리카, 19 ㎜ 또는 50 ㎜ 지름, 100 ㎜ 길이, 유속 40 ㎖/분)이 피팅된 Waters 기기(600/2700 또는 2525) 상에서 물(1% 암모니아 함유) 및 아세토니트릴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 또는 물(0.1% 포름산 함유) 및 아세토니트릴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vi) 존재하는 경우, 수율이 반드시 획득 가능한 최대치인 것은 아니다;
(vii)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최종 산물의 구조는 핵 자기 공명(NMR) 분광측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NMR 화학적 이동값은 델타 척도 상에서 측정하였다[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은 Bruker Avance 500(500 MHz), Bruker Avance 400(400 MHz), Bruker Avance 300(300 MHz) 또는 Bruker DRX(300 MHz)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음]; 측정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온에서 수행하였다; 하기 약어를 사용하였다: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m, 다중선; dd, 이중선의 이중선; ddd, 이중선의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bs, 넓은 신호;
(viii)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최종 산물은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어 질량 분광측정(LCMS 또는 UPLC)으로 특징화하였다; 일반적으로, 역상 C18 실리카를 유속 1 ㎖/분으로 사용하였고 검출은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에 의해 그리고 파장 범위 220 nm 내지 320 nm를 기록하는 UV 흡광도에 의해 수행하였다. 분석용 UPLC는 CSH C18 역상 실리카 상에서, 치수가 2.1 × 50 ㎜이고 입자 크기가 1.7마이크론인 Waters XSelect CSH C18 칼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 예를 들어 용매 A로 물(0.1% 포름산 또는 0.1% 암모니아를 함유) 및 용매 B로 아세토니트릴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구배 분석을 채택하였다. 전형적인 2분 분석용 UPLC 방법은 1.3분에 걸쳐, 대략 1 ㎖/분으로, 각각 용매 A 및 B의 97:3 혼합물로부터 용매 A 및 B의 3:97 혼합물까지의 용매 구배를 채택할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보고된 분자 이온은 [M+H]+에 해당한다; 여러 동위원소 패턴을 갖는 분자(Br, Cl 등)에 있어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보고된 값은 최저 동위원소 질량에 대해 수득된 것이다;
(ix) 이온 교환 정제는 일반적으로 SCX-2(Biotage)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x) 반응이 마이크로파의 사용을 언급하는 경우, 하기 마이크로파 반응기: Biotage Initiator, Personal Chemistry Emrys Optimizer, Personal Chemistry Smithcreator 또는 CEM Explorer 중 하나를 사용하였다;
(xi) 중간체 순도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측정, LCMS, UPLC/MS, HPLC 및/또는 NMR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xii) 하기 약어를 사용하였다:
DCM 디클로로메탄
DCE 1,2-디클로로에탄
DEA 디에틸아민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시드
d.e. 부분입체이성질체 과량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HATU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Cl 염화수소산
HCOOH 포름산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CPBA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NMR 핵 자기 공명
IPA/i-PrOH 이소프로판올
Pd-C 활성탄 상 팔라듐
Pd118 디클로로[1,1'-비스(디-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RuPhos Pd G3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2'-아미노-1,1'-바이페닐)]팔라듐(II) 메탄설포네이트
scCO2 초임계 CO2
SFC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TBM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R 체류 시간
화합물은 다르게는 이의 IUPAC 명칭으로 언급하거나 ACD Labs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ACD/ChemSketch 2017을 사용하여 명명하였다.
Tert -부틸 ( S )-3-((( tert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18
DCM(10 ㎖) 중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53 g, 10.17 mmol)의 용액을 공기 하에 5분의 기간에 걸쳐 20℃에서 DCM(50 ㎖) 중 (S)-4-N-Boc-2-하이드록시메틸-피페라진(2 g, 9.25 mmol) 및 트리에틸아민(2.58 ㎖, 18.49 mmol)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6시간 동안 20℃에서 교반한 후 증발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중 0% 내지 5% Et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S)-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84 g, 93%)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0.00 (s, 6H), 0.84 (s, 9H), 1.40 (s, 9H), 2.48 (s, 1H), 2.6 - 2.87 (m, 3H), 2.92 (d, 1H), 3.41 (dd, 1H), 3.52 (s, 1H), 3.85 (s, 2H).
( E )- N -(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19
나트륨 설페이트(23.24 g, 163.62 mmol),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4.97 g, 71.59 mmol) 및 2,2,2-트리클로로에탄-1,1-디올(5.07 g, 30.68 mmol)을 물(103 ㎖)에 용해시켰다. 물(8.21 ㎖), EtOH(14.36 ㎖) 및 진한 HCl(3.49 ㎖) 중 3-브로모-2,5-디플루오로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5 g, 20.45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6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침전을 형성하였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후, 진공 하에 건조하여 (E)-N-(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5.3 g, 93%)를 베이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 MHz, DMSO) 7.51 (ddd, 1H), 7.78 (s, 1H), 7.85 (ddd, 1H), 10.08 (s, 1H), 12.43 (s, 1H). m/z: ES- [M-H]- 277.
6-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2,3-디온
Figure pct00020
(E)-N-(3-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7.62 g, 27.31 mmol)를 60℃에서 가열된 황산(68.3 ㎖)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얼음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6-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2,3-디온(5.1 g, 71%)을 암적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 MHz, DMSO) 7.38 (dd, 1H), 11.91 (s, 1H). m/z: ES- [M-H]- 260 / 262.
2-아미노-4-브로모-3,6-디플루오로벤조산
Figure pct00021
과산화수소(H2O 중 30%)(9.70 ㎖, 95 mmol)를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H2O 중 2 M)(86 ㎖, 171 mmol) 중 6-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2,3-디온(4.98 g, 19 mmol)에 적가하였다. 반응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과량의 과산화수소를 과량의 나트륨 설파이트로 켄칭하고, 혼합물을 pH 7까지 중화하였다. 생성된 갈색 침전을 여과 제거하고 잔여 용액을 진한 HCl로 pH 2까지 산성화하였다. 생성된 크림색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2-아미노-4-브로모-3,6-디플루오로벤조산(3.10 g, 65%)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 MHz, DMSO) 6.71 (1H, dd), 6.84 (2H, s), 13.37 (1H, s). m/z: ES- [M-H]- 250 & 252.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 H )-온
Figure pct00022
에탄올(49 ㎖) 중 포름이미드아미드 아세테이트(15.35 g, 147.47 mmol) 및 2-아미노-4-브로모-3,6-디플루오로벤조산(3.1 g, 12.29 mmol)을 1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 건조하고 EtOAc(100 ㎖)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염수로 순차 세척하였다(2 × 150 ㎖).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2.9 g, 90%)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 MHz, DMSO) 7.73 (dd, 1H), 8.17 (s, 1H), 12.62 (s, 1H). m/z: ES- [M-H]- 258 & 260.
Tert -부틸 ( S )-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 tert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3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1-일)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2.59 g, 4.98 mmol)를 DMA(13.72 ㎖) 중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1 g, 3.83 mmol) 및 DIPEA(1.61 ㎖, 9.19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반응 혼합물을 수중으로 붓고, EtOAc(100 ㎖)로 추출하고, 포화 염수(100 ㎖)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S)-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0.66 g, 30%)를 담황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0.10 (s, 6H), 0.72 (s, 9H), 1.49 (s, 9H), 3.02 (s, 1H), 3.27 (d, 1H), 3.35 - 3.47 (m, 1H), 3.66 (s, 1H), 3.77 - 3.85 (m, 1H), 3.91 (d, 1H), 4.17 (d, 2H), 4.32 (s, 1H), 7.22 - 7.31 (m, 1H), 8.65 (s, 1H). m/z: ES+ [M+H]+ 573 & 575.
Tert -부틸 ( S )-10-브로모-9-플루오로-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4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HF 중 1 M)(1.37 ㎖, 1.37 mmol)를 THF(3.2 ㎖) 중 tert-부틸 (S)-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0.66 g, 1.14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65℃에서 가열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EtOAc(100 ㎖)로 희석하고, 물(100 ㎖), 포화 염수(100 ㎖)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tert-부틸 (S)-10-브로모-9-플루오로-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H)-카복실레이트(0.54 g, 100% 초과)를 베이지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1.49 (s, 9H), 3.07 (s, 2H), 3.1 - 3.2 (m, 1H), 3.84 (ddt, 1H), 3.98 - 4.24 (m, 2H), 4.30 (dd, 1H), 4.38 (dd, 1H), 5.06 (d, 1H), 7.14 (d, 1H), 8.65 (s, 1H). m/z: ES+ [M+H]+ 439 / 441.
7-브로모-6-요오도-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Figure pct00025
7-브로모-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5.7 g, 26.88 mmol)을 0℃에서 황산(60 ㎖)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N-요오도숙신이미드(9.07 g, 40.32 mmol)를 한 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2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내로 붓고, 침전이 형성되도록 유도하였다. 침전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 × 200 ㎖). 유기상 및 수상이 모두 침전을 함유하였다. 유기상을 10% Na2S2O3(200 ㎖)로 세척하여 과량의 요오드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나트륨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7-브로모-6-요오도-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7.2 g, 79%)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4.11 (2H, s), 7.43 (1H, d), 7.83 (1H, d), 8.90 (1H, s). m/z: ES+ [M+H]+ = 338.
7-브로모-6-메틸-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Figure pct00026
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클로라이드(0.706 g, 1.01 mmol)를 질소 하에 톨루엔/H2O(50 ㎖)(3:1 비) 중 칼륨 카보네이트(2.78 g, 20.12 mmol), 2,4,6-트리메틸-1,3,5,2,4,6-트리옥사트리보리난(0.631 g, 5.03 mmol) 및 7-브로모-6-요오도-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3.4 g, 10.0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칼럼: Enantiocel-C1, 5*25 ㎝, 5 ㎛; 이동상 A: CO2: 70, 이동상 B: MeOH-분취용: 30; 유속: 160 ㎖/분; 220 nm; rT 1: 7.38; rT 2: 8.53).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7-브로모-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420 ㎎, 45.7%)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42 (3H, s), 4.27 (2H, s), 7.46 (1H, d), 7.55 (1H, d), 8.63 1H, s). m/z: ES+ [M+H]+ = 226.
[(8a S )-10-( Tert -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
Figure pct00027
Pd(dppf)Cl2·CH2Cl2(335 ㎎, 0.41 mmol)를 질소 하에 1,4-디옥산(20 ㎖) 중 tert-부틸 (8aS)-5-브로모-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900 ㎎, 2.05 mmol),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1041 ㎎, 4.10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503 ㎎, 5.1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4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700 ㎎, 85%)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85 - 4.68 (8H, m), 5.37 (1H, s), 7.49 (1H, d), 8.64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405.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8
메탄설포네이토(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i-프로폭시-1,1'-바이페닐)(2-아미노-1,1'-바이페닐-2-일)팔라듐(II)(129 ㎎, 0.15 mmol)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1,4-디옥산/H2O(0.5 ㎖)(3:1 비) 중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i-프로폭시-1,1'-바이페닐(72.2 ㎎, 0.15 mmol), 칼륨 카보네이트(428 ㎎, 3.10 mmol),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626 ㎎, 1.55 mmol) 및 7-브로모-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350 ㎎, 1.5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DCM 중 6%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470 ㎎, 60%)를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24 (3H, d), 2.99 - 3.35 (3H, m), 3.48 - 3.97 (1H, m), 4.02 - 4.29 (2H, m), 4.35 - 4.58 (4H, m), 5.08 - 5.27 (1H, m), 6.06 (1H, s), 6.92 (1H, d), 7.46 (1H, d), 7.53 1H, d), 8.72 (1H, s). m/z: ES+ [M+H]+ = 506.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9
N-클로로숙신이미드(186 ㎎, 1.39 mmol) 및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470 ㎎, DMF(0.5 ㎖) 중 0.93)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HCOOH) 중 0% 내지 35%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60 ㎎, 52%)를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45 (9H, s), 2.09 (3H, d), 2.98 - 3.47 (3H, m), 3.81 - 4.17 (3H, m), 4.37 (2H, s), 4.61 - 4.68 (2H, m), 4.83 - 4.94 (1H, m), 7.61 (1H, d), 8.51 (1H, d), 8.64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540.
7-[(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30
1,4-디옥산 중 HCl(5 ㎖, 20 mmol)을 실온에서 MeOH(3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3-옥소-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60 ㎎, 0.48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분취용 HPLC(칼럼: Xselect CSH OBD 칼럼 30*150 ㎜ 5 ㎛ n; 이동상 A: 물(0.1% HCOOH), 이동상 B: ACN; 유속: 60 ㎖/분; 구배: 8분 내에 10% B에서 20% B로; 254/220 nm; rT: 7.03분, 7.97분) 및 MeCN을 용출액으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7-[(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의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회전장애이성질체 1)(80 ㎎, 38%)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8 (3H, s), 2.77 (2H, d), 2.99 - 3.14 (3H, m), 4.01 (1H, s), 4.36 (2H, s), 4.42 - 4.59 (2H, m), 4.96 (1H, d), 7.55 - 7.65 (1H, m), 8.15 (1H, s), 8.48 (1H, s), 8.57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40.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회전장애이성질체 2)(70 ㎎, 33%)를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9 (3H, s), 2.74 - 2.92 (2H, m), 3.08 (3H, m), 3.93 (1H, d), 4.36 (2H, s), 4.46 - 4.59 (2H, m), 4.93 (1H, d), 7.55 - 7.68 (1H, m), 8.17 (1H, s), 8.49 (1H, s), 8.57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40.
7-[(8a S )-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
Figure pct00031
DMF(0.2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16.46 ㎎, 0.18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0.3 ㎖) 중 DIPEA(0.064 ㎖, 0.36 mmol) 및 7-[(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80 ㎎, 0.1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NH4OH) 중 0% 내지 35%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7-[(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1)(19 ㎎, 21%)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8 (3H, s), 3.01 - 3.13 (1H, m), 3.32 - 3.53 (2H, m), 4.09 - 4.53 5H, m), 4.54 - 4.72 (2H, m), 4.76 - 5.04 (1H, m), 5.77 (1H, d), 6.19 (1H, d), 6.77 - 6.98 (1H, m), 7.56 - 7.66 (2H, m), 8.48 (1H, s), 8.62 (1H, s). m/z: ES+ [M+H]+ = 494.
7-[(8a S )-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
Figure pct00032
DMF(0.2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14.40 ㎎, 0.16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0.3 ㎖) 중 DIPEA(0.056 ㎖, 0.32 mmol) 및 7-[(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70 ㎎, 0.1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NH4OH) 중 0% 내지 3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7-[(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2)(27.0 ㎎, 34.4%)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10 (3H, s), 2.97 - 3.30 (2H, m), 3.36 - 3.57 (1H, m), 3.98 - 4.56 (5H, m), 4.58 - 4.72 (2H, m), 4.76 - 5.00 (1H, m), 5.76 (1H, d), 6.19 (1H, d), 6.78 - 6.98 (1H, m), 7.56 - 7.68 (2H, m), 8.50 (1H, s), 8.62 (1H, s). m/z: ES+ [M+H]+ = 494.
메틸 N -벤질- D -세리네이트
Figure pct00033
TEA(44.8 ㎖, 321.38 mmol)를 0℃에서 메탄올(250 ㎖) 중 메틸 D-세리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50 g, 321.38 mmol) 및 벤즈알데하이드(33 ㎖, 321.3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24 g, 634.39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0 ㎖)로 켄칭하고, DCM(3 × 100 ㎖)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N-벤질-D-세리네이트(40 g, 60%)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51 (2H, s), 3.48 (1H, dd), 3.65 (1H, dd), 3.76 - 3.84 (5H, m), 3.92 (1H, d), 7.36 (5H, m). m/z: ES+ [M+H]+ = 210.
메틸 N -( tert -부톡시카보닐)- L -알라닐- N -벤질- D -세리네이트
Figure pct00034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5.66 g, 114.70 mmol)를 0℃에서 THF(100 ㎖) 중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L-알라니네이트(27.1 g, 143.37 mmol) 및 N-메틸모르폴린(11.6 g, 114.7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온도가 25℃까지 오르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THF(100 ㎖) 중 N-벤질-D-세리네이트(20 g, 95.58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후,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L-알라닐-N-벤질-D-세리네이트(16 g, 44%)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2 (3H, d), 1.44 (9H, s), 3.74 (3H, s), 3.91 (2H, d), 4.06 (1H, m), 4.53 - 4.63 1H, m), 4.72 (1H, m), 4.84 (1H, m), 5.28 (1H, m), 7.31 - 7.45 (5H, m).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381.
(3 R ,6 S )-1-벤질-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
Figure pct00035
TFA(20 ㎖, 259.60 mmol)를 25℃에서 DCM(200 ㎖) 중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L-알라닐-N-벤질-D-세리네이트(10 g, 26.2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고,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고, 추출하고,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3R,6S)-1-벤질-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4.8 g, 74%)을 노란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0 (3H, d), 3.49 (1H, s), 3.80 (1H, d), 3.91 (1H, dd), 3.98 - 4.08 (2H, m), 4.37 (1H, d), 5.34 (1H, d), 7.23 - 7.41 (5H, m).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249.
[(2 S ,5 S )-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
Figure pct00036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5.26 g, 138.55 mmol)를 0℃에서 THF(75 ㎖) 중 (3R,6S)-1-벤질-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4.3 g, 17.32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을 5시간 동안 6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9 ㎖), 15% NaOH 수용액(8.7 ㎖) 및 물(2.9 ㎖)로 별도 켄칭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100 ㎖)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한 후 [(2S,5S)-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3.8 g, 100%)을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98 (3H, d), 2.06 (3H, m), 2.35 - 2.43 (1H, m), 2.72 - 2.82 (2H, m), 3.03 - 3.08 (2H, m), 3.14 (1H, d), 3.48 (1H, dd), 4.03 (1H, dd), 4.18 (1H, d), 7.30 - 7.40 (5H, m). m/z: ES+ [M+H]+ = 221.
Tert -부틸 (2 S ,5 S )-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7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9.06 ㎖, 39.03 mmol)를 25℃에서 DCM(200 ㎖) 중 [(2S,5S)-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4.3 g, 19.52 mmol) 및 TEA(4.08 ㎖, 29.2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하룻밤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한 후,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10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2S,5S)-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3 g, 53%)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2 (3H, d), 1.49 (9H, s), 1.68 (1H, s), 2.35 (1H, s), 2.81 (2H, m), 3.28 (1H, dd), 3.61 - 3.83 (4H, m), 4.02 (1H, d), 4.09 (1H, s), 7.34 (5H, d). m/z: ES+ [M+H]+ = 321.
Tert -부틸 (2 S ,5 S )-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8
10% Pd-C(0.11 g, 1.03 mmol)를 질소 하에 실온에서 EtOH(5 ㎖) 중 tert-부틸 (2S,5S)-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3 g, 10.3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수소로 퍼징하고 24시간 동안 25℃에서 1대기압의 수소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DCM(20 ㎖)으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후, 산물 tert-부틸 (2S,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2 g, 93%)를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0 - 1.27 (3H, m), 1.48 (9H, s), 2.40 (2H, s), 2.51 - 2.56 (1H, m), 3.07 (2H, m), 3.23 (1H, m), 3.52 (1H, m), 3.66 - 3.76 (2H, m), 4.07 - 4.22 (1H, m). m/z: ES+ [M+H]+ = 231.
Tert -부틸 (2 S ,5 S )-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9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575 g, 14.37 mmol)를 실온에서 THF(40 ㎖) 중 tert-부틸 (2S,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0.882 g, 3.83 mmol) 및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1 g, 3.8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20 ㎖)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30 ㎖), 유기층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2S,5S)-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 g, 55%)를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7 (3H, d), 1.49 (9H, s), 3.56 (1H, dd), 3.66 (1H, dd), 3.85 (1H, dd), 4.11 (1H, m), 4.24 - 4.32 (2H, m), 4.46 (1H, dd), 4.64 (1H, dd), 7.17 (1H, d), 8.62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471.
Tert -부틸 (8a S ,11 S )-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0
2,3,4,6,7,8,9,10-옥타하이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291 ㎎, 1.91 mmol)을 0℃에서 tert-부틸 (2S,5S)-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900 ㎎, 1.91 mmol) 및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1-일)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994 ㎎, 1.9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HCOOH) 중 0% 내지 10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S)-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88 ㎎, 45%)를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7 (3H, d), 1.49 (9H, s), 3.56 (1H, dd), 3.66 (1H, dd), 3.85 (1H, dd), 4.11 (1H, m), 4.24 - 4.32 (2H, m), 4.46 (1H, dd), 4.64 (1H, dd), 7.17 (1H, d), 8.62 (1H, s). m/z: ES+ [M+H]+ = 453.
Tert -부틸 (8a S ,11 S )-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1
N-클로로숙신이미드(110 ㎎, 0.83 mmol)를 실온에서 DMF(7.5 ㎖) 중 tert-부틸 (8aS,11S)-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40 ㎎, 0.7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HCOOH) 중 50% 내지 10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S)-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10 ㎎, 85%)를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9 (3H, d), 1.49 (9H, s), 3.49 - 3.57 (1H, m), 3.67 (1H, dd), 3.91 (1H, dd), 4.14 (1H, dd), 4.25 - 4.35 (1H, m), 4.38 (1H, dd), 4.62 - 4.76 (2H, m),8.68 (1H, s). m/z: ES+ [M+H]+ = 487.
Tert -부틸 (3 S ,13a S )-11-클로로-9-플루오로-10-(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3-메틸-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2
칼륨 카보네이트(54.4 ㎎, 0.39 mmol)를 질소 하에 실온에서 물(2 ㎖) 및 1,4-디옥산(8 ㎖)(1:4 비) 중 tert-부틸 (8aS,11S)-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96 ㎎, 0.20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77 ㎎, 0.49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18.37 ㎎, 0.04 mmol) 및 RuPhos-Pd-G3(32.9 ㎎, 0.04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7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8 ㎎, 27%)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6 (3H, d), 1.53 (9H, s), 3.61 - 3.74 (2H, m), 3.83 (1H, m), 4.00 (1H, m), 4.32 (2H, m), 4.46 (1H, m), 4.57 (1H, m), 6.73 (1H, d), 6.93 (1H, d), 7.29 - 7.36 (1H, m), 8.2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519.
2-[(8aS,11S)-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043
HCl(2 ㎖, 65.83 mmol)을 25℃에서 MeOH(2 ㎖) 중 tert-부틸 (3S,13aS)-11-클로로-9-플루오로-10-(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3-메틸-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H)-카복실레이트(40 ㎎, 0.0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1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8aS,11S)-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25 ㎎, 77%)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30℃) 1.26 (3H, d), 2.88 (1H, dd), 2.97 - 3.04 (1H, m), 3.04 - 3.15 (2H, m), 3.28 (1H, dd), 4.07 (1H, m), 4.47 - 4.57 (1H, m), 4.57 - 4.65 (1H, m), 5.20 (1H, dd), 6.69 - 6.77 (1H, m), 6.79 (1H, m), 7.33 (1H, m), 8.5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19.
1-[(8a S ,11 S )-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3)
Figure pct00044
DIPEA(0.021 ㎖, 0.12 mmol)를 0℃에서 THF(2 ㎖) 중 2-[(8aS,11S)-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25 ㎎, 0.06 mmol)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5.4 ㎎, 0.0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한 후, 미정제 산물을 물(0.1% NH4HCO3) 중 0% 내지 6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8aS,11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3)(16 ㎎, 57%)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23 (3H, d), 3.89 (3H, m), 4.24 - 4.58 (4H, m), 4.71 (1H, d), 5.75 (1H, dd), 6.20 (1H, dd), 6.68 - 6.98 (3H, m), 7.35 (1H, m), 8.57 (1H, s), 10.28 (1H, s). m/z: ES+ [M+H]+ = 473.
메틸 N -벤질- D -세리네이트
Figure pct00045
TEA(44.8 ㎖, 321.38 mmol)를 0℃에서 메탄올(250 ㎖) 중 메틸 D-세리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50 g, 321.38 mmol) 및 벤즈알데하이드(33 ㎖, 321.3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24 g, 634.39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0 ㎖)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고(3 × 100 ㎖), 유기층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N-벤질-D-세리네이트(40 g, 60%)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51 (2H, s), 3.48 (1H, dd), 3.65 (1H, dd), 3.76 - 3.84 (5H, m), 3.92 (1H, d), 7.36 (5H, m). m/z: ES+ [M+H]+ = 210.
메틸 N -( tert -부톡시카보닐)- D -알라닐- N -벤질- D -세리네이트
Figure pct00046
N-메틸모르폴린(14.5 g, 143.37 mmol)을 0℃에서 THF(100 ㎖) 중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D-알라니네이트(27.1 g, 143.37 mmol) 및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9.58 g, 143.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d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THF(100 ㎖) 중 메틸 N-벤질-D-세리네이트(20 g, 95.5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D-알라닐-N-벤질-D-세리네이트(18 g, 50%)를 무색 액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30℃) 1.30 (3H, d), 1.44 (9H, s), 3.73 (3H, s), 3.82 (1H, m), 4.06 - 4.20 (1H, m), 4.32 (1H, m), 4.66 (1H, m), 4.73 (2H, d), 5.31 (1H, d), 7.30 - 7.44 (5H, m).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381.
(3 R ,6 R )-1-벤질-6-(하이드록시메틸)-3-메틸피페라진-2,5-디온
Figure pct00047
TFA(40 ㎖, 519.19 mmol)를 DCM(400 ㎖) 중 메틸 N-(tert-부톡시카보닐)-D-알라닐-N-벤질-D-세리네이트(18 g, 47.3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나트륨 카보네이트로 염기성화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출하고,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HCOOH) 중 0% 내지 60% MeOH의 용출 구배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3R,6R)-1-벤질-6-(하이드록시메틸)-3-메틸피페라진-2,5-디온(5.6 g, 46%)을 무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30℃) 1.61 (3H, d), 3.26 (1H, s), 3.80 - 4.27 (5H, m), 5.33 (1H, d), 7.25 - 7.53 (6H, m). m/z: ES+ [M+H]+ = 249.
[(2 S ,5 R )-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
Figure pct00048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3.42 g, 90.22 mmol)를 질소 하에 0℃에서 THF(50 ㎖) 중 (3R,6R)-1-벤질-6-(하이드록시메틸)-3-메틸피페라진-2,5-디온(2.8 g, 11.28 mmol)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시간 동안 6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3.3 ㎖), 15% NaOH 수용액(9.9 ㎖) 및 물(9.9 ㎖)로 별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켜 [(2S,5R)-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2.4 g, 97%)을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03 (3H, d), 2.59 (1H, dd), 2.69 (1H, d), 3.03 (2H, m), 3.15 - 3.20 (1H, m), 3.24 (1H, m), 3.82 - 3.91 (3H, m), 4.10 (1H, m), 7.33 - 7.39 (5H, m).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221.
tert -부틸 (2 R ,5 S )-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9
트리에틸아민(3.51 g, 34.72 mmol)을 25℃에서 DCM(230 ㎖) 중 [(2S,5R)-1-벤질-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5.1 g, 23.15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0.1 g, 46.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하룻밤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2R,5S)-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1 g, 42%)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9 (3H, d), 1.48 (9H, s), 2.32 (2H, m), 2.42 (1H, d), 2.62 - 2.71 (1H, m), 3.15 (1H, d), 3.24 (1H, t), 3.50 (1H, d), 3.87 (1H, d), 3.99 (1H, m), 4.18 (2H, d), 7.34 (5H, m). m/z: ES+ [M+H]+ = 321.
Tert -부틸 (2 R ,5 S )-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0
10% Pd-C(1.030 g, 9.67 mmol)를 질소 하에 25℃에서 에탄올(20 ㎖) 중 tert-부틸 (2R,5S)-4-벤질-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1 g, 9.67 mmol)에 한 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4시간 동안 25℃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DCM(100 ㎖)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한 후, tert-부틸 (2R,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2 g, 99%)를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2 (3H, d), 1.48 (9H, s), 2.32 (2H, s), 2.69 - 2.83 (2H, m), 2.86 (1H, dd), 2.97 (1H, dd), 3.49 - 3.59 (1H, m), 3.62 - 3.74 (1H, m), 3.80 (1H, s), 4.20 (1H, s). m/z: ES+ [M+H]+ = 231.
Tert -부틸 (2 R ,5 S )-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1
나트륨 하이드라이드(326 ㎎, 8.14 mmol)를 실온에서 THF(50 ㎖) 중 tert-부틸 (2R,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500 ㎎, 2.17 mmol) 및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567 ㎎, 2.1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4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60% MeCN의 용출 구배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2R,5S)-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95 ㎎, 39%)를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3 (3H, d), 1.50 (9H, s), 3.10 (2H, m), 3.25 (1H, m), 4.06 (3H, m), 4.29 (2H, m), 7.05 (1H, d), 8.10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471.
Tert -부틸 (8a S ,11 R )-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2
2,3,4,6,7,8,9,10-옥타하이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111 ㎎, 0.73 mmol)을 0℃에서 아세토니트릴(35 ㎖) 중 tert-부틸 (2R,5S)-5-{[(7-브로모-8-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345 ㎎, 0.73 mmol) 및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1-일)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381 ㎎, 0.7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4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6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R)-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92 ㎎, 58%)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8.67 (s, 1H), 7.21 (d, 1H), 5.26 - 5.03 (m, 1H), 4.41 (s, 2H), 4.14 (d, 1H), 3.97 (d, 1H), 3.82 (s, 1H), 3.45 - 3.19(m, 2H), 1.52 (s, 9H), 1.13 (d, 3H). m/z: ES+ [M+H]+ = 453.
Tert -부틸 (8a S ,11 R )-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3
N-클로로숙신이미드(56.6 ㎎, 0.42 mmol)를 실온에서 DMF(4 ㎖) 중 tert-부틸 (8aS,11R)-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92 ㎎, 0.4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90% CH3CN의 용출 구배로, C18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R)-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84 ㎎, 89%)를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4 (3H, d), 1.50 (9H, s), 3.26 - 3.74 (2H, m), 4.02 - 4.73 (5H, m), 5.16 - 5.44 (1H, m), 8.77 (1H, s). m/z: ES+ [M+H]+ = 487.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 -데 ]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2)
Figure pct00054
RuPhos-Pd-G3(240 ㎎, 0.29 mmol)을 질소 하에 1,4-디옥산/H2O(10 ㎖)(4:1 비) 중 tert-부틸 (8aS,11R)-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700 ㎎, 1.44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559 ㎎, 3.58 mmol), 칼륨 카보네이트(595 ㎎, 4.31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134 ㎎, 0.2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4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하기를 산출하였다:
담황색 고체로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250 ㎎, 34%). 1H NMR (400 MHz, CDCl3, 30℃) 1.12 (3H, s), 1.49 (9H, s), 3.19 - 3.63 (3H, m), 3.75 - 3.87 (1H, m), 3.93 - 4.18 (1H, m), 4.22 - 4.63 (2H, m), 4.67 - 5.06 (1H, m), 6.73 (1H, t), 6.89 (1H, d), 7.24 - 7.36 (1H, m), 8.5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519.
담황색 고체로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270 ㎎, 36%). 1H NMR (400 MHz, CDCl3, 30℃) 1.07 - 1.20 (3H, m), 1.52 (9H, s), 3.14 - 3.53 (3H, m), 3.77 - 3.91 (1H, m), 3.95 - 4.18 (1H, m), 4.29 - 4.57 (2H, m), 5.03 - 5.24 (1H, m), 6.76 (1H, t), 6.90 (1H, d), 7.27 - 7.37 (1H, m), 8.5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519.
2-[(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055
1,4-디옥산 중 4 M HCl의 용액(5 ㎖, 20 mmol)을 MeOH(2 ㎖) 중 상기 수득된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50 ㎎, 0.48 mmol)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2-[(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HCl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400 ㎎, 183%)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30℃) 1.43 (3H, d), 3.53 - 3.64 (1H, m), 3.66 (1H, d), 3.74 (4H, d), 3.93 - 4.04 (1H, m), 4.13 (1H, s), 6.73 - 6.86 (2H, m), 7.32 - 7.43 (1H, m), 8.83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19.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
Figure pct00056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46.1 ㎎, 0.51 mmol)를 0℃에서 THF(5 ㎖) 중 2-[(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HCl(400 ㎎, 0.88 mmol) 및 DIPEA(227 ㎎, 1.7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NH4HCO3) 중 0% 내지 3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130 ㎎, 31%)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12 (3H, dd), 3.10 - 3.21 (0.5H, m), 3.50 - 3.60 (1.5H, m), 3.98 - 4.14 (1H, m), 4.21 - 4.77 (4H, m), 4.89 - 5.06 (1H, m), 5.70 - 5.80 (1H, m), 6.04 - 6.23 (1H, m), 6.77 - 6.92 (3H, m), 7.32 - 7.42 (1H, m), 8.63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73.
2-[(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57
1,4-디옥산 중 4 M HCl의 용액(5 ㎖, 20 mmol)을 MeOH(3 ㎖) 중 상기 수득된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70 ㎎, 0.52 mmol)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2-[(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HCl(400 ㎎, 169%)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산물을 추가 정제 없이 직접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30℃) 1.43 (3H, d), 3.55 - 3.60 (1H, m), 3.63 - 3.68 (1H, m), 3.71 - 3.80 (4H, m), 3.90 - 4.00 (1H, m), 4.10 (1H, s), 6.73 - 6.86 (2H, m), 7.32 - 7.46 (1H, m), 8.83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19.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5
Figure pct00058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43.7 ㎎, 0.48 mmol)를 0℃에서 THF(5 ㎖) 중 2-[(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HCl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400 ㎎, 0.88 mmol), 및 DIPEA(227 ㎎, 1.7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NH4HCO3) 중 0% 내지 3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160 ㎎, 38%)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11 (3H, dd), 3.16 (0.5H, t), 3.41 - 3.61 (1.5H, m), 3.93 - 4.07 (1H, m), 4.20 - 4.83 (4H, m), 4.88 - 5.05 (1H, m), 5.70 - 5.80 (1H, m), 6.13 - 6.24 (1H, m), 6.76 - 6.93 (3H, m), 7.36 (1H, q), 8.59 (1H, s), 10.27 (1H, s). m/z: ES+ [M+H]+ = 473.
6-아미노-2-브로모-3-메틸벤조산
Figure pct00059
3 N NaOH(80 ㎖, 79.15 mmol) 및 4-브로모-5-메틸-1H-인돌-2,3-디온(19 g, 79.15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가열하였다. 용액에 과산화수소(18 ㎖, 176.22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혼합물을 5℃까지 냉각한 후 진한 HCl로 pH 5까지 산성화하였다. 용액을 증발 건조한 후 메탄올(100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6-아미노-2-브로모-3-메틸벤조산(18 g, 99%)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21 (3H, s), 6.71 (1H, d), 7.07 (1H, d). 3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 230.
5-브로모-6-메틸퀴나졸린-4(3 H )-온
Figure pct00060
6-아미노-2-브로모-3-메틸벤조산(15 g, 65.2 mmol)을 포름아미드(45 ㎖)에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200℃까지 가열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H(200 ㎖)로 희석하였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H(20 ㎖)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5-브로모-6-메틸퀴나졸린-4(3H)-온(9 g, 58%)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47 (3H, s), 7.56 (1H, d), 7.74 (1H, d), 8.04 (1H, s), 12.24 (1H, s). m/z: ES+ [M+H]+ = 239.
5-브로모-4-메톡시-6-메틸퀴나졸린
Figure pct00061
PyBOP(6.53 g, 12.55 mmol)를 25℃에서 DMF(20 ㎖) 중 5-브로모-6-메틸퀴나졸린-4(3H)-온(2 g, 8.37 mmol) 및 DIPEA(2.92 ㎖, 16.73 mmol)에 한 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6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탄올 중 나트륨 메톡사이드(1.506 g, 8.37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16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에 붓고, EtOAc로 추출하고(2 × 100 ㎖),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물 중 5% 내지 8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5-브로모-4-메톡시-6-메틸퀴나졸린(1.5 g, 71%)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55 (3H, s), 4.11 (3H, s), 7.83 1H, d), 7.90 (1H, d), 8.75 (1H, s). m/z: ES+ [M+H]+ = 254.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2
RuPhos-Pd-G3(51.7 ㎎, 0.06 mmol)을 질소 하에 1,4-디옥산(0.4 ㎖) 및 물(0.1 ㎖)(4:1 비) 중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250 ㎎, 0.62 mmol), 5-브로모-4-메톡시-6-메틸퀴나졸린(188 ㎎, 0.74 mmol),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디-i-프로폭시-1,1'-바이페닐(28.9 ㎎, 0.06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214 ㎎, 1.5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DCM 중 0% 내지 5%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55%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50 ㎎, 46%)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46 (9H, s), 2.11 (3H, d), 2.16 - 2.37 (2H, m), 2.52 - 3.56 (6H, m), 3.86 - 5.05 (4H, m), 7.74 (1H, d), 7.84 (1H, d), 7.99 (1H, s), 8.11 (1H, s), 8.71 (1H, s). m/z: ES+ [M+H]+ = 533.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3
N-클로로숙신이미드(36.1 ㎎, 0.27 mmol)를 아세토니트릴(0.5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20 ㎎, 0.23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미정제 산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00 ㎎, 100% 초과)를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z: ES+ [M+H]+ = 567.
5-[(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 H )-온
Figure pct00064
DCM 중 보론 트리브로마이드(2 ㎖, 2 mmol)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4-메톡시-6-메틸퀴나졸린-5-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90 ㎎, 0.34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NH4HCO3) 중 0% 내지 5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5-[(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H)-온(50 ㎎, 33%)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6 (3H, d), 2.60 - 2.83 (2H, m), 2.94 - 3.12 (3H, m), 3.17 (1H, d), 3.83 - 4.16 (1H, m), 4.37 - 4.60 (2H, m), 4.88 - 5.00 (1H, m), 7.72 (1H, d), 7.84 (1H, d), 8.04 (1H, s), 8.54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53.
5-[(8a S )-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 H )-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6)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7)
Figure pct00065
DMF(2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9 ㎎, 0.10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3 ㎖) 중 5-[(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H)-온(45 ㎎, 0.10 mmol) 및 DIPEA(0.035 ㎖, 0.2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NH4OH) 중 0% 내지 48%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칼럼: CHIRALPAK IA 2*25 ㎝, 5 ㎛; 이동상 A: Hex:DCM=3:1(10 mM NH3-MeOH)-HPLC, 이동상 B: EtOH--HPLC; 유속: 14 ㎖/분; 구배: 15분 내에 50 B에서 50 B로; 220/254 nm; tR 1: 9.761; tR 2: 12.395).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5-[(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H)-온의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6)(7 ㎎, 14%)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5 (3H, s), 2.98 - 3.14 (1H, m), 3.33 - 3.57 (2H, m), 4.00 - 4.52 (3H, m), 4.52 - 4.72 (2H, m), 4.73 - 4.97 (1H, m), 5.72 - 5.80 (1H, m), 6.15 - 6.24 (1H, m), 6.75 - 7.03 1H, m), 7.74 (1H, d), 7.85 (1H, d), 8.05 (1H, s), 8.61 (1H, s), 12.01 (1H, s). m/z: ES+ [M+H]+ = 407.
동일한 화합물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7)를 흰색 고체(7 ㎎, 14%)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7 (3H, s), 3.00 - 3.26 (1H, m), 3.33 - 3.59 (2H, m), 4.00 - 4.57 (3H, m), 4.57 - 4.74 (2H, m), 4.78 - 4.96 (1H, m), 5.72 - 5.80 (1H, m), 6.15 - 6.24 (1H, m), 6.84 - 6.89 (1H, m), 7.74 (1H, d), 7.86 (1H, d), 8.05 (1H, s), 8.61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07.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
Figure pct00066
THF(45 ㎖) 중 4-브로모-5-메틸-1H-벤즈이미다졸(CAS No: 952511-48-7; 1.06 g, 5.02 mmol), 3,4-디하이드로-2H-피란(2.3 ㎖, 25.11 mmol) 및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0.143 g, 0.75 mmol)의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질소 하에 6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농축하고, EtOAc(150 ㎖)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75 ㎖), 및 포화 염수(50 ㎖)로 순차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1.08 g, 72.9%)을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66 - 1.8 (3H, m), 2.06 - 2.18 (3H, m), 2.53 (3H, s), 3.68 - 3.78 (1H, m), 4.05 - 4.14 (1H, m), 5.45 (1H, dd), 7.17 (1H, d), 7.35 (1H, d), 8.06 (1H, s). [M+H]+ 295, 297.
Tert-부틸 (8a S )-4-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및 [(8aS)-10-( tert -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
Figure pct00067
디클로로메탄(0.335 g, 0.41 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3.12 g, 12.29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0.804 g, 8.20 mmol)와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복합체를 질소 하에 디옥산(65 ㎖) 중 tert-부틸 (8aS)-5-브로모-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8 g, 4.10 mmol)의 교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증발시키고, EtOAc(150 ㎖), 및 물(75 ㎖)/포화 염수(50 ㎖) 간에 분할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피나콜 에스테르 및 보론산의 혼합물(4.10 mmol로 추정됨)로 방치 시 응고되는 갈색 오일로 산출하였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 [M+H]+ 405 (보론산) 및 487 (피나콜 에스테르).
Tert-부틸 (8a S )-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8
RuPhos Pd G3(0.306 g, 0.37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171 g, 0.37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1.011 g, 7.32 mmol)를 디옥산(100 ㎖) 및 물(25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1.95 g, 4.02 mmol) 및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1.08 g, 3.66 mmol)의 교반 탈기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배출하고(5사이클), 90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EtOAc(150 ㎖)로 희석하고, 물(75 ㎖)/포화 염수(75 ㎖)로 세척하고,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100 ㎖)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DCM 중 0% 내지 5%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09 g, 99%)를 갈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1.69 - 1.8 (3H, m), 2.08 - 2.21 (3H, m), 2.33 (3H, d), 3.01 - 3.31 (3H, m), 3.71 - 3.9 (2H, m), 4.13 3H, d), 4.34 - 4.54 (2H, m), 5.08 (1H, d), 5.44 - 5.55 (1H, m), 7.05 (1H, dt), 7.26 - 7.29 (1H, m), 7.46 - 7.54 (1H, m), 7.99 (1H, dd), 8.68 (1H, d). m/z (ES+), [M+H]+ 575.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69
1-클로로피롤리딘-2,5-디온(0.534 g, 4.00 mmol)을 rt에서 DMF(20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09 g, 3.6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7 h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물(25 ㎖)로 희석하고, EtOAc(125 ㎖)를 첨가하고, 에멀션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추가 세척하고(2 × 100 ㎖), 상 분리 카트리지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DCM 중 0% 내지 8%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고 회전장애이성질체를 분취용 HPLC(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에 의해,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0.342 g, 17.9%)을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1.58 (s, 9H), 2.23 및 2.29 (s, 3H*), 2.98 - 3.33 (m, 3H), 3.48 (brs, 0.6H), 3.84 - 4.05 (m, 1H), 4.05 - 4.23 (m, 1H), 4.37 - 4.59 (m, 2H), 4.59 - 4.93 (br s, 1H), 5.01 (d, J = 12.9 Hz, 0.4H), 7.23 및 7.29 (d, 1H*), 7.49 및 7.78 (d, J = 8.3 Hz, 1H), 7.93 및 7.94 (s, 1H*), 8.25 및 8.67 (s, 1H*), 9.71 및 11.73 (br s, 1H*) *벤즈이미다졸 NH에서 호변이체가 2:1의 비로 관찰되었음. 19F NMR (376 MHz, CDCl3, 30℃) -126.93, -124.43. m/z (ES+), [M+H]+ 525,527.
동일한 화합물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 회전장애이성질체 2(0.185 g, 9.69%)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1.57 (s, 9H), 2.23 및 2.24 (s, 3H*), 2.93 - 3.4 (m, 3H), 3.76 - 3.88 (m, 1H), 4.03 - 4.30 (m, 2H), 4.36 - 4.51 (m, 1.5H), 4.57 (d, J = 13.2 Hz, 0.5H), 4.93 - 5.06 (m, 0.5H), 5.09 - 5.25 (m, 0.5H), 7.22 및 7.30 (d, J = 8.3 Hz, 1H*), 7.49 및 7.79 (d, J = 8.3 Hz, 1H*), 7.94 (s, 1H), 8.24 및 8.68 (s, 1H*), 9.82 및 11.94 (br s, 1H*). *벤즈이미다졸 NH에서 호변이체가 2:1의 비로 관찰되었음. 19F NMR (376 MHz, CDCl3, 30℃) -127.08, -123.84, m/z (ES+), [M+H]+ 525, 527.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70
MeOH(1 ㎖) 중 디옥산 중 4 M HCl(1.4 ㎖, 5.64 mmol)을 MeOH(1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185 ㎎, 0.3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SCX 칼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147 ㎎, 98%)를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2.15 (s, 3H), 2.75-2.97 (m, 2H), 3.04-3.23 (m,, 3H), 4.06 (br s, 1H), 4.57 (m, 2H), 4.99 (d, J = 12.8 Hz, 1H), 7.21 (d, J = 8.3 Hz, 1H), 7.51-7.57 및 7.62-7.67 (m, 1H*), 8.09 (s, 1H), 8.60 (s, 1H), 12.18 및 12.48 (s, 1H*), *벤즈이미다졸 NH에서 호변이체가 1:1의 비로 관찰되었음. 19F NMR (376 MHz, DMSO) -127.77, 128.21 ppm(호변이체 비 1:1). m/z (ES+), [M+H]+ 425,427.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071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상술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 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산물 회전장애이성질체 1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2.17 및 2.18 (3H, s*), 2.7 - 2.88 (2H, m), 2.97 - 3.18 (3H, m), 3.96 (1H, br s), 4.49 (1H, dd), 4.57 - 4.66 (1H, m), 4.9 - 5.0 (1H, m), 7.16 - 7.29 (1H, m), 7.54 및 7.65 (1H, d*), 8.08 (1H, d), 8.58 (1H, d), 12.15 및 12.47 (1H, s), *벤즈이미다졸 NH에서 호변이체가 1:1의 비로 관찰되었고, NH 피페라진은 관찰되지 않음. 19F NMR (376 MHz, DMSO) -128.38, -128.10 ppm(호변이체 비 1:1), m/z (ES+), [M+H]+ 425,427.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8)
Figure pct00072
DCM(0.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26 ㎖, 0.32 mmol)의 용액을 -70℃까지 냉각된 DCM(5 ㎖)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137 ㎎, 0.32 mmol) 및 트리에틸아민(0.090 ㎖, 0.64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0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DCM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MSO로 희석하고,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얕은 구배: 25% 내지 50% MeCN).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8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17.8 ㎎, 11.5%). 1H NMR (400 MHz, DMSO, 30℃) 2.16 (3H, s), 3.01 - 3.17 (1H, m), 3.42 - 3.54 (1H, m), 4.04 - 4.24 (2H, m), 4.28 - 4.57 (2H, m), 4.66 (2H, s), 4.81 - 4.99 (1H, m), 5.77 (1H, dd), 6.20 (1H, dd), 6.79 - 6.97 (1H, m), 7.22 (1H, d), 7.60 (1H, d), 8.09 (1H, s), 8.64 (1H, s), 12.25 (1H brs), m/z (ES+), [M+H]+ 479, 481.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9)
Figure pct00073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9)을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8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는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2.18 (3H, s), 2.98 - 3.2 (1H, m), 3.4 - 3.56 (2H, m), 4.06 - 4.56 (3H, m), 4.56 - 4.97 (3H, m), 5.77 (1H, d), 6.20 (1H, d), 6.87 (1H, s), 7.14 - 7.29 (1H, m), 7.54 및 7.66 (1H, d*), 8.09 (1H, d), 8.64 (1H, d), 12.16 및 12.49 (1H, s*), *벤즈이미다졸 NH에서 호변이체가 1:1의 비로 관찰되었음. 19F NMR (376 MHz, DMSO, 30℃) -128.18, -127.94 ppm(호변이체 비 1:1), m/z (ES+), [M+H]+ 479,481.
8-브로모-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Figure pct00074
질소 분위기 하에 무수 DMF(50 ㎖) 중 8-브로모이소퀴놀린-1(2H)-온(2.5 g, 11.16 mmol)의 교반 용액에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0.669 g, 16.7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2-(클로로메톡시)에틸)트리메틸실란(2.96 ㎖, 16.7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추가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260 ㎎, 6.5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을 5분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2-(클로로메톡시)에틸)트리메틸실란(2.96 ㎖, 16.74 mmol)을 (1.2 ㎖, 7.12 ㎖)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을 물(150 ㎖)의 첨가로 켄칭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2 × 100 ㎖). 유기층으로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오렌지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2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브로모-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H)-온(2.76 g, 69.8%)을 방치 시 고화되는 노란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0.00 (9H, s), 0.86 - 0.97 (2H, m), 3.63 (2H, dd), 5.33 2H, s), 6.66 (1H, d), 7.56 (2H, dd), 7.68 (1H, dd), 7.78 (1H, dd).
8-(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Figure pct00075
PdCl2(dppf).DCM(0.403 g, 0.49 mmol)을 1,4-디옥산(35 ㎖) 중 8-브로모-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H)-온(1.4 g, 3.95 mmol),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2.308 g, 9.09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1.94 g, 19.76 mmol)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5분 동안 탈기한 후 16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50 ㎖), 물(25 ㎖), 2 M 수성 Na2CO3(2 × 25 ㎖) 및 염수(25 ㎖)로 순차 세척하였다. 유기 부분을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25%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H)-온(0.938 g, 59.1%)을 노란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00 (9H, d), 0.98 (2H, d), 1.47 (12H, s), 3.6 - 3.69 (2H, m), 5.41 (2H, s), 6.51 (1H, d), 7.16 (1H, d), 7.50 (2H, ddd), 7.59 - 7.65 (1H, m). m/z: ES+ [M+H]+ 402.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1-옥소-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2-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76
8-(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이소퀴놀린-1(2H)-온(0.928 g, 2.31 mmol), {2',6'-비스[(프로판-2-일)옥시][1,1'-바이페닐]-2-일}(디사이클로헥실)포스판(0.108 g, 0.23 mmol), RuPhos-Pd-G3(0.193 g, 0.23 mmol), 칼륨 카보네이트(0.959 g, 6.94 mmol) 및 tert-부틸 (8aS)-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095 g, 2.31 mmol)를 조합하였다. 디옥산(16 ㎖) 및 물(4 ㎖)의 탈기 혼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3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추가 16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이 냉각되도록 한 후 질소로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추가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108 g, 0.23 mmol) 및 RuPhos Pd G3(0.193 g, 0.23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24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100 ㎖)로 희석하고, 물(50 ㎖) 및 염수(50 ㎖)로 세척하고,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옥소-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2-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500 g, 32.4%)를 베이지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00 (9H, s), 1.63 (9H, s), 3.02 - 3.35 (3H, m), 3.56 - 3.63 2H, m), 3.78 - 4.34 (4H, m), 4.4 - 4.71 (3H, m), 5.04 (1H, d), 5.26 (1H, dd), 5.39 (1H, dd), 6.64 (1H, dd), 7.23 - 7.37 (2H, m), 7.70 (1H, d), 7.78 (1H, td), 8.71 (1H, s). m/z: ES+ [M+H]+ 668, 670.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 H )-온
Figure pct00077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8 ㎖, 36.34 mmol)을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THF(2 ㎖) 및 물(0.2 ㎖) 중 tert-부틸 (13aS)-11-클로로-9-플루오로-10-(1-옥소-2-((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2-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8-일)-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H)-카복실레이트(0.50 g, 0.7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0분 동안 마이크로파에서 105℃에서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공비증류하였다(3 × 5 ㎖). 미정제 산물을 MeOH로 로딩하고 메탄올로 세척하며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H)-온(0.287 g, 88%)을 베이지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71 - 2.97 (2H, m), 3.05 - 3.22 (3H, m), 3.84 - 4.2 (2H, m), 4.43 - 4.67 (2H, m), 5.02 (1H, t), 6.72 (1H, d), 7.22 - 7.39 (2H, m), 7.84 - 7.91 (2H, m), 8.64 (1H, dd), 11.11 (1H, d). m/z: ES+ [M+H]+ 438, 440.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 H )-온(실시예 10)
Figure pct00078
-78℃에서 DCM(16.4 ㎖), IPA(4.1 ㎖) 및 피리딘(0.106 ㎖, 1.31 mmol) 중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H)-온(287 ㎎, 0.66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3.8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56 ㎖, 0.69 mmol)의 용액을 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DCM(0.5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7.9 ㎕, 0.1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2 ㎖)에 이어 DMSO(4 ㎖)를 첨가하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25% 내지 50% 구배)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미정제 산물을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3 × 주입, 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순수한 분획을 증발시켜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H)-온(45.0 ㎎, 13.96%)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3.03 - 3.36 (2H, m), 3.38 - 3.68 (1H, m), 3.83 - 4.13 2H, m), 4.42 - 4.61 (2H, m), 4.61 - 4.81 (1H, m), 4.98 - 5.13 (1H, m), 5.80 (1H, d), 6.38 (1H, d), 6.59 (2H, dd), 7.01 (1H, dd), 7.21 - 7.33 (1H, m), 7.67 (1H, dt), 7.75 (1H, td), 8.55 - 9.04 (2H, m). m/z: ES+ [M+H]+ 492, 494.
3-브로모-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 H -인다졸
Figure pct00079
3-브로모-1H-인다졸(5 g, 25.38 mmol)을 질소 하에 DMF(100 ㎖) 중 현탁액으로 교반한 후 0℃까지 냉각하였다.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1.218 g, 30.45 mmol)를 적가하고 반응을 15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2-(클로로메톡시)에틸)트리메틸실란(5.39 ㎖, 30.45 mmol)을 적가한 후 반응이 16시간에 걸쳐 실온에 도달하도록 두었다. 반응을 NH4Cl(50 ㎖)로 켄칭하고 물(300 ㎖) 및 에틸 아세테이트(300 ㎖)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2 × 200 ㎖),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오일을 헵탄 중 0% 내지 1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4.33 g, 52.1%)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00 (9H, s), 0.9 - 0.99 (2H, m), 3.57 - 3.69 (2H, m), 5.75 (2H, s), 7.26 - 7.37 (1H, m), 7.53 1H, ddd), 7.62 (1H, d), 7.67 - 7.76 (1H, m).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 H -인다졸
Figure pct00080
3-브로모-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3.80 g, 11.61 mmol)을 탈기된 1,4-디옥산(50 ㎖) 및 칼륨 아세테이트(4.56 g, 46.44 mmol) 중에 용해시키고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3.83 g, 15.09 mmol) 및 Pd(dppf)Cl2.DCM 복합체(1.7 g, 2.32 mmol)를 교반하며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6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한 후 추가 8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물(60 ㎖) 및 DCM(60 ㎖) 간에 분할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DCM(2 × 60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조합하고,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진한 색의 잔류물을 산출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헵탄 중 0% 내지 4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물 함유 분획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2.44 g, 56.1%)을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00 (9H, s), 0.93 (2H, d), 1.50 (12H, s), 3.63 2H, dd), 5.92 (2H, s), 7.32 (1H, s), 7.48 (1H, ddd), 7.70 (1H, d), 8.14 - 8.23 (1H, m).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 H -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81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0.553 g, 1.48 mmol), {2',6'-비스[(프로판-2-일)옥시][1,1'-바이페닐]-2-일}(디사이클로헥실)포스판(0.049 g, 0.11 mmol), RuPhos-Pd-G3(0.088 g, 0.11 mmol), 칼륨 카보네이트(0.292 g, 2.11 mmol) 및 tert-부틸 (8aS)-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50 g, 1.06 mmol)를 조합하였다. 디옥산(10 ㎖) 및 물(2.5 ㎖)의 탈기 혼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3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100 ㎖)로 희석하고, 물(35 ㎖) 및 염수(35 ㎖)로 순차 세척한 후,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유기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헵탄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물 함유 분획을 조합하고 농축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50 g, 66.5%)를 노란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0.00 (9H, s), 0.94 - 0.99 (2H, m), 1.59 (9H, s), 3.13 - 3.35 (3H, m), 3.66 - 3.76 (2H, m), 3.99 (1H, s), 4.1 - 4.32 (2H, m), 4.59 (2H, qd), 5.12 (1H, d), 5.94 (2H, s), 7.31 (1H, d), 7.56 (1H, ddd), 7.63 (1H, d), 7.76 (1H, d), 8.80 (1H, s). m/z: ES+ [M+H]+ 641, 643.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1 H -인다졸-3-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Figure pct00082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 ㎖, 25.96 mmol)을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THF(1.4 ㎖) 및 물(0.14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60 ㎎, 0.5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분 동안 105℃에서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공비증류하였다(3 × 5 ㎖). 미정제 산물을 MeOH로 로딩하고 메탄올로 세척하며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메탄올계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1H-인다졸-3-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20 ㎎, 95%)을 베이지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7 - 2.93 (2H, m), 3.06 - 3.24 (3H, m), 3.86 - 4.25 (1H, m), 4.53 - 4.78 (2H, m), 5.08 (1H, d), 7.19 - 7.34 (1H, m), 7.54 (1H, ddd), 7.61 (1H, d), 7.76 (1H, d), 8.70 (1H, s), 13.6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N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11, 413.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1 H -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11)
Figure pct00083
-78℃에서 DCM(11.7 ㎖), IPA(4.1 ㎖) 및 피리딘(0.08 ㎖, 1.00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1H-인다졸-3-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05 ㎎, 0.50 mmol)의 용액에 5분에 걸쳐 디클로로메탄(2.8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42 ㎖, 0.52 mmol)의 용액을 -78℃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DCM(0.5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7.9 ㎕, 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DCM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2 ㎖)를 첨가하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25%~50% 구배)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2 × 주입, 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시켜 1-[(8aS)-6-클로로-4-플루오로-5-(1H-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27.0 ㎎, 11.64%)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3.16 (1H, d), 3.48 (2H, d), 4.14 - 4.23 (1H, m), 4.29 - 4.58 (2H, m), 4.66 - 4.81 (2H, m), 4.87 - 5.02 (1H, m), 5.82 (1H, dd), 6.26 (1H, dd), 6.92 (1H, s), 7.2 - 7.29 (1H, m), 7.47 - 7.52 (1H, m), 7.56 (1H, d), 7.72 (1H, d), 8.71 (1H, s), 13.62 (1H, s). m/z: ES+ [M+H]+ 465,467.
(2-하이드록시-6-메틸페닐)보론산
Figure pct00084
n-부틸 리튬의 용액(헥산 중 1.6 M, 18.38 ㎖, 29.41 mmol)을 THF(100 ㎖) 중 -78℃에서 2-브로모-3-메틸페놀(2.5 g, 13.37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실온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2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까지 냉각하고 트리메틸 보레이트(2.474 ㎖, 22.19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3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이 실온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16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2 M HCl 수용액(100 ㎖)을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DCM(150 ㎖)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부분을 DCM(150 ㎖)으로 추출하고 조합한 유기 부분으로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노란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헵탄(20 ㎖)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DCM(10 ㎖)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2-하이드록시-6-메틸페닐)보론산(0.811 g, 39.9%)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2O, 30℃) 2.30 (3H, s), 6.69 (1H, t), 6.81 (1H, d), 7.18 (1H, t). 3개의 교환 가능한 O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151.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리도[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85
(2-하이드록시-6-메틸페닐)보론산(0.305 g, 2.01 mmol), {2',6'-비스[(프로판-2-일)옥시][1,1'-바이페닐]-2-일}(디사이클로헥실)포스판(0.049 g, 0.11 mmol), RuPhos-Pd-G3(0.088 g, 0.11 mmol), 칼륨 카보네이트(0.438 g, 3.17 mmol) 및 tert-부틸 (8aS)-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5 g, 1.06 mmol)를 반응 튜브에서 조합하였다. 디옥산(12 ㎖) 및 물(3 ㎖)의 탈기 혼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90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100 ㎖)로 희석하고, 물(35 ㎖) 및 염수(35 ㎖)로 순차 세척하고,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켜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헵탄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산물 함유 분획을 증발시켜 고체를 산출하고 이를 키랄 SFC에 의해 정제하여(Phenomenex A1,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30% 2-프로판올 + 0.1% DEA/70% scCO2, 유속: 9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리도[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65 ㎎, 62%, d.e. 100%)을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45 (9H, s), 1.97 (3H, s), 3.05 - 3.2 (2H, m), 3.22 - 3.27 (1H, m), 3.94 (1H, d), 4 - 4.14 (2H, m), 4.61 (2H, qd), 4.85 (1H, d), 6.81 (2H, dd), 7.18 (1H, t), 8.59 (1H, s), 9.44 (1H, s). m/z: ES+ [M+H]+ 501, 503. 동일한 화합물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2(151 ㎎, 57%, d.e. 100%)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51 (9H, s), 2.00 (3H, s), 3.12 - 3.26 (2H, m), 3.25 - 3.32 (1H, m), 4.00 (1H, d), 4.10 (2H, ddd), 4.67 (2H, d), 4.91 (1H, d), 6.87 (2H, d), 7.17 - 7.31 (1H, m), 8.65 (1H, s), 9.50 (1H, s). m/z: ES+ [M+H]+ 501, 503.
2-[(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86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리도[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150 ㎎, 0.30 mmol)를 MeOH(1.6 ㎖) 중에 교반한 후 하이드로겐 클로라이드(1,4-디옥산 중 4 N)(1.6 ㎖, 6.4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2(91 ㎎, 76%)를 베이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95 (3H, s), 2.66 - 2.8 (2H, m), 2.86 - 3.13 (4H, m), 3.82 - 3.98 (1H, m), 4.47 (1H, dd), 4.55 (1H, dd), 4.93 (1H, d), 6.80 (2H, d), 7.17 (1H, t), 8.55 (1H, s), 9.43 (1H, s). m/z: ES+ [M+H]+ 401, 403.
2-[(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087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상기 회전장애이성질체 2와 유사한 방식으로,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리도[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탈보호하여 제조하였다. 회전장애이성질체 1(120 ㎎, 91%)을 베이지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1 (3H, s), 2.71 - 2.88 (2H, m), 3.08 (4H, dt), 3.98 (1H, dd), 4.52 (1H, dd), 4.62 (1H, dd), 4.99 (1H, d), 6.81. m/z: ES+ [M+H]+ 401, 403.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12)
Figure pct00088
-78℃에서 DCM(5.3 ㎖), IPA(1.9 ㎖) 및 피리딘(0.037 ㎖, 0.45 mmol) 중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91 ㎎, 0.23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52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22 ㎕, 0.27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DCM(0.5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7.9 ㎕, 0.1 mmol)의 추가 스톡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만들고 DCM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2 ㎖) 및 DMSO(1 ㎖)를 첨가하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25% 내지 50% 구배)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2 × 주입, 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시켜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11(29.9 ㎎, 29%, d.e. 100%)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0 (3H, s), 3.08 - 3.23 (1H, m), 3.44 - 3.55 (1H, m), 4.09 - 4.17 (1H, m), 4.18 - 4.62 (3H, m), 4.67 - 4.74 (2H, m), 4.85 - 4.99 (1H, m), 5.82 (1H, dd), 6.25 (1H, dd), 6.86 (2H, d), 6.89 - 6.99 (1H, m), 7.19 - 7.29 (1H, m), 8.66 (1H, s), 9.52 (1H, s). m/z: ES+ [M+H]+ 455, 457.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3)
Figure pct00089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3)을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메틸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1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을 흰색 고체로 단리하였다(45 ㎎, 32%, d.e. 99%). 1H NMR (400 MHz, DMSO, 30℃) 2.02 (3H, s), 3.07 - 3.22 (1H, m), 3.41 - 3.53 (1H, m), 4.05 - 4.29 (2H, m), 4.29 - 4.61 (2H, m), 4.65 - 4.76 (2H, m), 4.84 - 4.98 (1H, m), 5.82 (1H, dd), 6.25 (1H, dd), 6.85 (2H, d), 6.89 - 7.03 (1H, m), 7.23 (1H, t), 8.66 (1H, s), 9.52 (1H, s). m/z: ES+ [M+H]+ 455, 457.
(2 E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14)
Figure pct00090
DIPEA(287 ㎕, 1.65 mmol)를 질소 하에 실온에서 DMA(24.5 ㎖) 중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2(222 ㎎, 0.55 mmol), HATU(250 ㎎, 0.66 mmol) 및 (E)-4-(디메틸아미노)부트-2-엔오산.HCl 염(100 ㎎, 0.60 mmol)에 한 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80 ㎖)로 붓고, EtOAc로 추출하고(3 × 80 ㎖) 염수(80 ㎖)로 세척하였다. 유기 부분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50 ㎜ 지름, 100 ㎜ 길이)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14(72.0 ㎎, 25.4%, d.e. 100%)를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17 (6H, s), 2.99 - 3.16 (3H, m), 3.41 (1H, s), 4.02 - 4.2 (2H, m), 4.23 - 4.54 (2H, m), 4.55 - 4.75 (2H, m), 4.75 - 4.95 (1H, m), 6.63 - 6.72 (2H, m), 6.76 (1H, t), 6.83 (1H, d), 7.33 (1H, q), 8.61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O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516, 518.
(2 E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5)
Figure pct00091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15를 2-[(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1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5를 고체로 단리하였다(85 ㎎, 37%, d.e. 99%). 1H NMR (400 MHz, DMSO, 30℃) 2.23 (6H, s), 3.02 - 3.25 (3H, m), 3.42 - 3.62 (1H, m), 4.05 - 4.3 (2H, m), 4.3 - 4.59 (2H, m), 4.63 - 4.79 (2H, m), 4.85 - 5.02 (1H, m), 6.68 - 6.8 (2H, m), 6.8 - 6.95 (2H, m), 7.40 (1H, q), 8.67 (1H, s), 10.25 (1H, s). m/z: ES+ [M+H]+ 516, 518.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
Figure pct00092
2,2-디에톡시에탄-1-아민(3.77 ㎖, 25.95 mmol)을 무수 톨루엔(14 ㎖) 중 2-브로모-3-메틸벤즈알데하이드(4.92 g, 24.72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10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실온까지 냉각되도록 한 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공비증류하고(3 × 15 ㎖) 축합으로 잔여수를 제거하였다. 노란색 미정제 오일 잔류물을 DCM(21 ㎖) 중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하였다. 알루미늄 트리클로라이드(10.88 g, 81.57 mmol)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된 암적색 현탁액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며 방치한 후 18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내로 적가하고(150 g, 주의, 매우 발포성임) DCM(100 ㎖)으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 수성 NaOH 용액(약 120 ㎖)으로 조심스럽게 염기성화하였다. 생성된 에멀션을 물(500 ㎖) 및 DCM(700 ㎖)으로 추가 희석하고, 별도 깔때기에서 진탕한 후 1시간의 기간에 걸쳐 층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물(400 ㎖) 및 염수(400 ㎖)를 첨가하고 층을 분리한 후 수성층을 DCM-MeOH(5:2; 2 × 500 ㎖)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로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4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3.30 g, 60.1%)을 오렌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64 (3H, s), 7.49 - 7.63 (2H, m), 7.69 (1H, d), 8.55 (1H, d), 9.67 (1H, s). m/z: ES+ [M+H]+ 222.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 2-옥사이드
Figure pct00093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4.00 g, 17.83 mmol)을 0℃에서 DCM(150 ㎖) 중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3.3 g, 14.86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30분 후, 얼음조를 제거하고 교반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의 포화 용액(50 ㎖)으로 켄칭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부분을 DCM(3 × 30 ㎖)으로 추출하고 조합한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 2-옥사이드(3.54 g, 100%)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57 (3H, s), 7.61 (1H, d), 7.92 (1H, d), 7.98 (1H, d), 8.17 - 8.26 (1H, m), 8.85 (1H, s). m/z: ES+ [M+H]+ 240.
8-브로모-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
Figure pct00094
트리에틸아민(2.072 ㎖, 14.87 mmol)을 0℃에서 8-브로모-7-메틸이소퀴놀린 2-옥사이드(1.77 g, 7.43 mmol) 및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574 ㎖, 7.43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용융 얼음조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을 0℃까지 냉각하고 추가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86 ㎖, 1.5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3.1 ㎖, 3당량)을 첨가한 후 반응을 실온에서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100 ㎖) 중에 용해시키고 물(50 ㎖) 및 염수(50 ㎖)로 순차 세척하였다. 유기 부분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2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브로모-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1.1 g, 58%)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60 (3H, s), 4.10 (3H, s), 7.17 (1H, d), 7.47 (1H, d), 7.56 (1H, d), 7.94 (1H, d). m/z: ES+ [M+H]+ 254.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95
RuPhos-Pd-G3(152 ㎎, 0.18 mmol), {2',6'-비스[(프로판-2-일)옥시][1,1'-바이페닐]-2-일}(디사이클로헥실)포스판, 칼륨 카보네이트(504 ㎎, 3.64 mmol), 8-브로모-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459 ㎎, 1.82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735 ㎎, 1.82 mmol)을 질소 하에 조합한 후 탈기된 디옥산(40 ㎖) 및 탈기된 물(1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60분 동안 80℃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EtOAc(125 ㎖)로 희석하고, 물(50 ㎖) 및 포화 염수(25 ㎖)로 순차 세척하였다. 수성 부분을 EtOAc(75 ㎖)로 추가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7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40 g 실리카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793 ㎎, 82%)를 갈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20 (3H, s), 3.08 - 3.24 (3H, m), 3.55 (3H, d), 3.90 (1H, d), 4.09 - 4.19 (2H, m), 4.31 - 4.39 (1H, m), 4.43 - 4.55 (1H, m), 5.14 (1H, s), 6.81 (1H, d), 7.24 (1H, d), 7.59 (1H, d), 7.74 (1H, d), 7.95 (1H, d), 8.71 (1H, s). m/z ES+ [M+H]+ 532.
Tert -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96
N-클로로숙신이미드(173 ㎎, 1.30 mmol)를 실온에서 DMF(7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690 ㎎, 1.3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0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N-클로로숙신이미드(30 ㎎, 0.22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5분 동안 120℃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한 후 반응 혼합물을 RP 칼럼(150 g C18 RF gold) 상으로 로딩한 뒤 변형제로서 포름산 0.1%를 함유하는 수중 40% 내지 80% MeCN의 구배로 용출하여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를 베이지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고체를 MeOH(2 ㎖) 중에 용해시키고 키랄 SFC를 사용해서 정제하여(Phenomenex C2,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30% MeOH + 0.1% NH3 / 70% scCO2, 유속: 10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UV @ 220 nm)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25 ㎎, 34%, d.e. 98%)을 첫 번째 용출 피크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17 (3H, s), 3.03 - 3.24 (3H, m), 3.56 (3H, s), 3.82 - 4.02 (1H, m), 4.02 - 4.31 (2H, m), 4.39 - 4.6 (2H, m), 4.82 - 5.23 (1H, m), 7.27 (1H, s), 7.63 (1H, d), 7.78 (1H, d), 7.96 (1H, d), 8.71 (1H, s). m/z ES+ [M+H]+ 566. 두 번째 용출 피크는 동일한 화합물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120 ㎎, 33%, d.e. 97%)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17 (3H, s), 3.11 - 3.3 (3H, m), 3.56 (3H, s), 3.97 (1H, s), 4.06 - 4.25 (2H, m), 4.39 - 4.48 (1H, m), 4.51 - 4.65 (1H, m), 4.98 - 5.14 (1H, m), 7.27 (1H, s), 7.63 (1H, d), 7.78 (1H, d), 7.96 (1H, d), 8.71 (1H, s). m/z: ES+ [M+H]+ 566.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097
마이크로파 바이알을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25 ㎎, 0.22 mmol), 리튬 클로라이드(46.8 ㎎, 1.10 mmol),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210 ㎎, 1.10 mmol) 및 무수 DMF(4 ㎖)로 충전하였다. 마이크로파 바이알을 밀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조사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칼럼을 MeOH로 세척한 후, 원하는 산물을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100 ㎎, 100%)을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14 (3H, s), 2.95 (1H, s), 3.07 - 3.19 (4H, m), 3.89 (1H, d), 4.41 (1H, dd), 4.52 (1H, dd), 5.06 (1H, d), 6.50 (1H, d), 6.93 (1H, d), 7.57 (1H, d), 7.63 (1H, d), 8.57 (1H, s), 8.6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N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52, 454.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098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회전장애이성질체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원하는 회전장애이성질체 2(95 ㎎, 99%)를 회백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14 (3H, s), 2.88 - 2.95 (1H, m), 3 - 3.2 (4H, m), 3.84 - 3.96 (1H, m), 4.40 (1H, dd), 4.48 (1H, dd), 5.07 (1H, dd), 6.49 (1H, d), 6.89 (1H, d), 7.56 (1H, d), 7.58 - 7.67 (1H, m), 8.65 (1H, s), 9.09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N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52, 454.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6)
Figure pct00099
-78℃에서 디클로로메탄(3 ㎖), 2-프로판올(1 ㎖) 및 트리에틸아민(0.031 ㎖, 0.22 mmol) 중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 g, 0.22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19 ㎖, 0.2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25% 내지 50% 구배)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55 g, 49.1%, d.e. 96%)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3 (3H, s), 3.01 - 3.13 (1H, m), 3.36 - 3.56 (1H, m), 4.07 - 4.26 (2H, m), 4.26 - 4.53 (2H, m), 4.53 - 4.69 (2H, m), 4.77 - 4.97 (1H, m), 5.76 (1H, dd), 6.20 (1H, dd), 6.59 (1H, dd), 6.81 - 6.98 (1H, m), 7.09 - 7.15 (1H, m), 7.72 (2H, s), 8.60 (1H, s), 10.89 (1H, d). m/z: ES+ [M+H]+ 506, 508.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17)
Figure pct00100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17)를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95 ㎎, 0.21 mmol)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7(52 ㎎, 49%, d.e. 95.8%)을 흰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05 (3H, s), 3.02 - 3.23 (1H, m), 3.50 (1H, d), 4 - 4.23 (2H, m), 4.29 - 4.57 (2H, m), 4.57 - 4.73 2H, m), 4.75 - 4.96 (1H, m), 5.76 (1H, dd), 6.20 (1H, dd), 6.59 (1H, d), 6.8 - 6.98 (1H, m), 7.09 - 7.17 (1H, m), 7.72 (2H, s), 8.60 (1H, s), 10.89 (1H, d). m/z: ES+ [M+H]+ 506, 508.
4-브로모-5-메틸-1 H -벤조트리아졸
Figure pct00101
물(6 ㎖) 중 나트륨 니트레이트(1.132 g, 16.41 mmol)의 용액을 0℃에서 아세트산(20 ㎖) 및 물(8 ㎖) 중 3-브로모-4-메틸벤젠-1,2-디아민(2.0 g, 9.95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3 × 15 ㎖)로 세척하고 50℃에서 진공 오븐 중에 건조하여 4-브로모-5-메틸-1H-벤조트리아졸(1.51 g, 72%)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51 (3H, s), 7.43 (1H, d), 7.80 (1H, s), 15.99 (1H, s). m/z: ES+ [M+H]+ 212, 214.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 H -벤조트리아졸
Figure pct00102
3,4-디하이드로-2H-피란(0.774 ㎖, 8.49 mmol)을 20℃에서 DCM(16 ㎖) 중 4-브로모-5-메틸-1H-벤조트리아졸(1.5 g, 7.07 mmol) 및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0.269 g, 1.41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H-벤조트리아졸(1.150 g, 54.9%)을 갈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52℃) 1.6 - 1.7 (2H, m), 1.75 - 1.88 (1H, m), 2 - 2.2 (2H, m), 2.39 - 2.46 (1H, m), 2.53 (3H, s), 3.74 - 3.93 (2H, m), 6.15 (1H, dd), 7.49 - 7.57 (1H, m), 7.81 (1H, d).
Tert-부틸 (8a S )-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03
RuPhos-Pd-G3(152 ㎎, 0.18 mmol), {2',6'-비스[(프로판-2-일)옥시][1,1'-바이페닐]-2-일}(디사이클로헥실)포스판(85 ㎎, 0.18 mmol), 칼륨 카보네이트(504 ㎎, 3.64 mmol),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H-벤조트리아졸(540 ㎎, 1.82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735 ㎎, 1.82 mmol)을 질소 하에 조합하고 탈기된 1,4-디옥산(40 ㎖) 및 탈기된 물(10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 1분 동안 질소로 탈기한 후 90분 동안 80℃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한 후 EtOAc(125 ㎖)로 희석하고 물(50 ㎖) 및 포화 염수(25 ㎖)로 순차 세척하였다. 수성 부분을 EtOAc(75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850 ㎎, 81%)를 갈색 검으로 증발 건조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d), 1.68 - 1.91 (3H, m), 2.12 - 2.3 (2H, m), 2.34 - 2.43 (3H, m), 2.58 (1H, dd), 3.16 (3H, dt), 3.87 (3H, ddt), 4.05 - 4.2 (2H, m), 4.32 - 4.57 (2H, m), 5.10 (1H, d), 6.06 (1H, dd), 7.08 - 7.18 (1H, m), 7.45 (1H, d), 7.68 - 7.77 (1H, m), 8.70 (1H, s). m/z: ES+ [M+H]+ 576.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04
N-클로로숙신이미드(174 ㎎, 1.30 mmol)를 실온에서 DMF(5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메틸-1-(옥산-2-일)-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850 ㎎, 1.1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7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EtOAc(50 ㎖)로 희석하고, 물(25 ㎖) 및 포화 염수(25 ㎖)로 순차 세척하였다. 조합한 유기 부분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물 갈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DCM 중 0% 내지 8%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80 ㎎, 61.2%)를 검으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 [M+H]+ 526, 528.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Figure pct00105
질소 하에 0℃에서 디클로로메탄(10 ㎖) 중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의 혼합물로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380 ㎎, 0.72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 ㎖, 39.1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SCX 칼럼에 적용하고, 메탄올로 철저히 세척한 후 산물을 메탄올 중 1 M 암모니아를 사용해서 용출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을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의 혼합물(240 ㎎, 79%)로서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 [M+H]+ 426, 428.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8)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19)
Figure pct00106
-78℃에서 DCM(16.4 ㎖), IPA(4.1 ㎖) 및 피리딘(0.091 ㎖, 1.13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3.4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48 ㎖, 0.59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0.55 ㎖) 중 추가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7.77 ㎕, 0.096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며 두었다. 반응 혼합물이 실온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DMSO(4 ㎖) 중에 용해시키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5% 내지 30% 구배)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2 × 주입)(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순수한 분획을 증발시켜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고체를 MeOH(2 ㎖) 중에 용해시키고 키랄 SFC를 사용해서 정제하여(Phenomenex C1, 30 × 250 ㎜, 5 마이크론, 이동상: 40% MeOH + 0.1% NH3/60% scCO2, 유속: 9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UV @ 220 nm)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18)(11 ㎎, 8%, d.e. 79%)을 첫 번째 용출 피크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25 (3H, s), 3.16 - 3.32 (1H, m), 3.44 - 3.66 (2H, m), 3.93 - 4.08 (2H, m), 4.5 - 4.57 (2H, m), 4.74 (2H, s), 5.84 (1H, dd), 6.42 (1H, dd), 6.59 (1H, dd), 7.34 (1H, d), 7.98 (1H, s), 8.36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N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80, 482.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19)을 두 번째 용출 피크로 수득하였다(7 ㎎, 5.1%, d.e. 79%). 1H NMR (400 MHz, CDCl3, 30℃) 2.25 (3H, s), 3.13 (2H, s), 3.40 (1H, s), 3.89 (1H, s), 4.07 (1H, s), 4.50 (1H, s), 4.62 (1H, dd), 4.76 (1H, s), 5.19 (1H, d), 5.84 (1H, d), 6.40 (1H, d), 6.61 (1H, dd), 7.35 (1H, d), 7.98 (1H, s), 8.3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NH 신호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80, 482.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07
4-브로모-5-플루오로-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1H-벤즈이미다졸(0.257 g, 0.86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40 g, 0.09 mmol), 칼륨 카보네이트(0.237 g, 1.72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347 g, 0.86 mmol)을 디옥산(5 ㎖) 및 물(1.5 ㎖)의 탈기 혼합물 중에 조합하였다. 이어서 RuPhos Pd G3(0.072 g, 0.0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6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플루오로-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97 g, 100%)를 갈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1.64 - 1.84 (4H, m), 2.06 - 2.3 (2H, m), 2.55 (1H, d), 2.89 - 3.29 (3H, m), 3.97 - 4.25 (3H, m), 4.29 - 4.57 (3H, m), 5.11 (1H, d), 5.75 (1H, dd), 7.12 (1H, d), 7.30 (1H, t), 7.66 (1H, dd), 7.87 (1H, s), 8.72 (1H, s). m/z (ES+), [M+H]+ 579.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Figure pct00108
N-클로로숙신이미드(0.115 g, 0.86 mmol)를 DMF(2.86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97 g, 0.86 mmol)의 교반 용액에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추가 N-클로로숙신이미드(0.115 g, 0.86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검을 DCM(10 ㎖) 중에 용해시킨 후 TFA(10 ㎖)를 20℃에서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0.328 g, 89%)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3.02 - 3.21 (4H, m), 4.06 (1H, s), 4.33 - 4.82 (2H, m), 5.01 (1H, s), 7.44 (1H, t), 7.65 - 7.87 (2H, m), 7.92 (1H, d), 8.62 (1H, s), 13.41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것은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29.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0)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1)
Figure pct00109
-78℃에서 DCM(10 ㎖), 2-프로판올(2.0 ㎖) 및 트리에틸아민(0.106 ㎖, 0.76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0.325 g, 0.76 mmol)의 용액에 DCM(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72 g, 0.8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만들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4OH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흰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Phenomonex C4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10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순수한 분획을 건조시켜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12 ㎎, 3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MeOD, 30℃) 3.14 - 3.25 (1H, m), 3.36 - 3.72 (2H, m), 3.99 - 4.41 (2H, m), 4.44 - 4.66 (3H, m), 5.09 (1H, d), 5.82 (1H, dd), 6.29 (1H, dd), 6.66 - 6.96 (1H, m), 7.37 (1H, t), 7.72 (2H, d), 8.6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83.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14 ㎎, 42%)를 또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30℃) 3.33 - 3.72 (3H, m), 4.05 - 4.41 (2H, m), 4.46 - 4.69 (3H, m), 5.09 (1H, d), 5.82 (1H, dd), 6.29 (1H, dd), 6.79 - 6.96 (1H, m), 7.33 - 7.47 (1H, m), 7.62 - 7.83 (2H, m), 8.6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83.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10
2-브로모-1-플루오로-3-메틸-4-니트로벤젠(CAS 1427502-92-8; 0.440 g, 1.88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70 g, 0.15 mmol), 칼륨 카보네이트(0.416 g, 3.01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608 g, 1.50 mmol)을 디옥산(10 ㎖) 및 물(3 ㎖)의 탈기된 혼합물 중에 조합하였다. 이어서 RuPhos Pd G3(0.126 g, 0.15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22 g, 54.6%)를 갈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0 (9H, d), 2.96 - 3.27 (3H, m), 3.48 (3H, s), 3.75 - 3.97 (1H, m), 4.29 - 4.59 (3H, m), 5.11 (1H, d), 6.82 (1H, d), 7.12 - 7.23 (1H, m), 8.04 (1H, dd), 8.71 (1H, s). m/z (ES+), [M+H]+ 548.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11
N-클로로숙신이미드(0.608 g, 4.55 mmol)를 DMF(15.18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2.338 g, 4.55 mmol)의 교반 용액에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상온까지 냉각하고 휘발물을 진공 중에 제거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339 g, 53.7%)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34 (3H, d), 2.94 - 3.43 (3H, m), 3.78 - 4.01 (1H, m), 4.02 - 4.29 (2H, m), 4.36 - 4.65 (2H, m), 5.03 (1H, s), 7.12 - 7.23 (1H, m), 8.12 (1H, dd), 8.71 (1H, s). m/z (ES+), [M+H]+ 548.
Tert -부틸 (8a S )-5-(3-아미노-6-플루오로-2-메틸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12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6-플루오로-2-메틸-3-니트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337 g, 2.44 mmol)를 IPA(15 ㎖) 및 물(3 ㎖) 중에 용해시켰다. 철(0.681 g, 12.20 mmol)에 이어 암모늄 클로라이드(0.653 g, 12.20 mmol)를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시간 동안 8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한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50 ㎖)에 이어 메탄올(50 ㎖)로 세척하였다. 조합한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DCM(50 ㎖)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100 ㎖) 및 포화 수성 NaCl(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tert-부틸 (8aS)-5-(3-아미노-6-플루오로-2-메틸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483 g, 117%)를 갈색 검으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1.91 (3H, d), 2.95 - 3.34 (3H, m), 3.58 (2H, s), 3.76 - 4 (1H, m), 4.01 - 4.28 (2H, m), 4.37 - 4.61 (2H, m), 4.87 - 5.08 (1H, m), 6.77 (1H, dd), 6.90 (1H, t), 8.69 (1H, s). m/z (ES+), [M+H]+ 571.
Tert -부틸 (8a S )-5-(1-아세틸-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13
아세트산 무수물(0.047 ㎖, 0.50 mmol)을 클로로포름(20 ㎖) 중 tert-부틸 (8aS)-5-(3-아미노-6-플루오로-2-메틸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103 g, 0.20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0.049 g, 0.50 mmol)에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70℃까지 가열한 후, 18-크라운-6(0.013 g, 0.05 mmol) 및 이소펜틸 니트라이트(0.107 ㎖, 0.80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반응을 물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층을 농축한 후,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5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5-(1-아세틸-5-플루오로-1H-인다졸-4-일)-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074 g, 65.2%)를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80 (3H, s), 2.97 - 3.38 (3H, m), 4.06 - 4.28 (3H, m), 4.32 - 4.69 (2H, m), 4.82 - 5.2 (1H, m), 7.4 - 7.53 (1H, m), 7.80 (1H, d), 8.57 (1H, dd), 8.73 (1H, s). m/z (ES+), [M+H]+ 571.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14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9.94 ㎖, 19.88 mmol)를 THF(15 ㎖) 및 MeOH(3 ㎖)의 혼합물 중 tert-부틸 (8aS)-5-(1-아세틸-5-플루오로-1H-인다졸-4-일)-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135 g, 1.9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분홍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Phenomonex C1 3 × 50 ㎜, 3마이크론,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2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분획을 증발시켜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로서,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87 ㎎, 3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95 - 3.34 (3H, m), 3.83 - 4.03 1H, m), 4.03 - 4.34 (2H, m), 4.50 (1H, dd), 4.59 (1H, dd), 5.05 (1H, d), 7.33 (1H, t), 7.60 (1H, dd), 7.78 (1H, s), 8.73 (1H, s), 10.31 (1H, s). m/z (ES+), [M+H]+ 529.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또한 수득하였다(180 ㎎, 36%).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9 - 3.41 (3H, m), 3.82 - 3.98 (1H, m), 4 - 4.33 (2H, m), 4.44 - 4.63 (2H, m), 5.04 (1H, d), 7.33 (1H, t), 7.60 (1H, dd), 7.76 (1H, s), 8.73 (1H, s), 10.33 (1H, s). m/z (ES+), [M+H]+ 529.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15
TFA(1 ㎖)를 20℃에서 DCM(2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87 g, 0.3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52 g, 100%)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71 - 2.89 (2H, m), 2.95 - 3.15 (2H, m), 3.87 - 4.21 (2H, m), 4.45 - 4.73 (2H, m), 4.98 (1H, d), 7.36 - 7.49 (1H, m), 7.69 - 7.86 (2H, m), 8.60 (1H, s), 13.41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29.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16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회전장애이성질체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원하는 회전장애이성질체 2는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2.63 - 2.88 (3H, m), 2.91 - 3.14 (2H, m), 3.8 - 4 (1H, m), 4.41 - 4.72 (2H, m), 4.95 (1H, d), 7.43 (1H, t), 7.65 - 7.89 (2H, m), 8.59 (1H, s), 13.4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것은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29.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2)
Figure pct00117
-78℃에서 디클로로메탄(5 ㎖), 2-프로판올(1 ㎖) 및 트리에틸아민(0.049 ㎖, 0.35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52 g, 0.35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34 g, 0.37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만들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4OH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실시예 22, 1-((13aS)-11-클로로-9-플루오로-10-(5-플루오로-1H-인다졸-4-일)-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65 g, 38%)을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3.17 (2H, s), 3.35 - 3.56 (1H, m), 3.95 - 4.24 (2H, m), 4.26 - 4.56 (1H, m), 4.57 - 4.78 (2H, m), 4.77 - 5 (1H, m), 5.76 (1H, dd), 6.19 (1H, dd), 6.86 (1H, s), 7.44 (1H, t), 7.67 - 8.01 (2H, m), 8.65 (1H, s), 13.42 (1H, s). m/z (ES+), [M+H]+ 483.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3)
Figure pct00118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3)를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2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3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3.36 - 3.55 (2H, m), 3.97 - 4.24 (2H, m), 4.27 - 4.57 (2H, m), 4.59 - 4.77 (2H, m), 4.78 - 5.01 (1H, m), 5.76 (1H, dd), 6.19 (1H, dd), 6.7 - 7.07 (1H, m), 7.44 (1H, t), 7.68 - 7.83 (2H, m), 8.65 (1H, s), 13.41 (1H, s). m/z: ES+ [M+H]+ 483.
4-브로모-5-플루오로-1-메틸-1 H -벤조[ d ]이미다졸
Figure pct00119
요오도메탄(2 ㎖, 32.13 mmol)을 4-브로모-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CAS 1360962-58-8; 1.834 g, 8.53 mmol), 칼륨 카보네이트(2.4 g, 17.06 mmol) 및 IPA(50 ㎖)의 교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미정제 산물을 DCM 중 0% 내지 7%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위치선택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산출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추가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7-브로모-6-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0.180 g, 9%)을 흰색 고체로 및 원하는 4-브로모-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0.195 g, 10%)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27℃) 4.14 (3H, s), 7.05 - 7.12 (1H, m), 7.65 (1H, dd), 7.79 (1H, s). m/z (ES+), [M+H]+ 229.
Tert -부틸 (8a S )-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20
4-브로모-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0.190 g, 0.83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39 g, 0.08 mmol), 칼륨 카보네이트(0.229 g, 1.66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335 g, 0.83 mmol)을 디옥산(5 ㎖) 및 물(1.5 ㎖)의 탈기 혼합물 중에 조합하였다. RuPhos Pd G3(0.069 g, 0.08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16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에 이어 EtOAc 중 1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329 g, 78%)를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87 - 3.33 3H, m), 3.75 - 3.87 (1H, m), 3.89 (3H, s), 3.99 - 4.25 (2H, m), 4.3 - 4.55 (2H, m), 5.08 (1H, d), 7.15 - 7.3 (2H, m), 7.41 (1H, dd), 7.90 (1H, s), 8.70 (1H, s). m/z (ES+), [M+H]+ 509.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21
N-클로로숙신이미드(0.086 g, 0.65 mmol)를 DMF(2.2 ㎖) 중 tert-부틸 (8aS)-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329 g, 0.65 mmol)의 교반 용액에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에 이어 EtOAc 중 1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Phenomonex A1,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45% IPA + 0.1% DEA/55% scCO2, 유속: 8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분획을 건조하여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61 ㎎, 3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89 - 3.27 (3H, m), 3.76 - 3.95 (4H, m), 3.99 - 4.31 (2H, m), 4.36 - 4.68 (2H, m), 5.00 (1H, d), 7.15 - 7.3 (1H, m), 7.38 - 7.57 (1H, m), 7.86 (1H, s), 8.68 (1H, d). m/z (ES+), [M+H]+ 543.
동일한 화합물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또한 단리하였다(58 ㎎, 35%).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85 - 3.4 (3H, m), 3.75 - 3.94 (4H, m), 4.01 - 4.28 (2H, m), 4.4 - 4.66 (2H, m), 5.00 (1H, d), 7.23 (1H, d), 7.46 (1H, dd), 7.88 (1H, s), 8.69 (1H, s). m/z (ES+), [M+H]+ 543.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22
TFA(0.5 ㎖)를 20℃에서 DCM(1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0.058 g, 0.11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0.043 g, 91%)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m/z (ES+), [M+H]+ 443.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23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고,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2.63 - 2.88 (3H, m), 2.91 - 3.14 (2H, m), 3.8 - 4 (1H, m), 4.41 - 4.72 (2H, m), 4.95 (1H, d), 7.43 (1H, t), 7.65 - 7.89 (2H, m), 8.59 (1H, s), 13.40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것은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29.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4)
Figure pct00124
-78℃에서 디클로로메탄(1 ㎖), 2-프로판올(0.2 ㎖) 및 트리에틸아민(0.014 ㎖, 0.10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0.043 g, 0.10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9.23 ㎎, 0.1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만들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4OH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24(0.026 g, 53.9%)를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3.34 - 3.57 (2H, m), 3.90 (3H, s), 4.03 - 4.23 (2H, m), 4.26 - 4.55 (2H, m), 4.59 - 4.75 (2H, m), 4.78 - 4.99 (1H, m), 5.76 (1H, dd), 6.19 (1H, dd), 6.61 - 6.99 (1H, m), 7.24 - 7.43 (1H, m), 7.76 (1H, dd), 8.23 1H, s), 8.63 (1H, s). m/z (ES+), [M+H]+ 497.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 H -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5)
Figure pct00125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5)을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2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5는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3.35 - 3.55 (2H, m), 3.90 (3H, s), 4.01 - 4.24 (2H, m), 4.25 - 4.56 (2H, m), 4.56 - 4.77 (2H, m), 4.78 - 5.01 (1H, m), 5.76 (1H, dd), 6.19 (1H, dd), 6.69 - 7.04 (1H, m), 7.22 - 7.52 (1H, m), 7.76 (1H, dd), 8.22 (1H, s), 8.63 (1H, s). m/z: ES+ [M+H]+ 497.
2-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
Figure pct00126
트리에틸아민(8.87 ㎖, 63.63 mmol)을 상온에서 DMF(35 ㎖) 중 2-브로모-1,3-디플루오로-4-니트로벤젠(CAS 103977-78-2; 5.05 g, 21.21 mmol) 및 암모늄 카보네이트(2.04 g, 21.2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1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3 × 50 ㎖). 조합한 유기층을 물(3 × 100 ㎖), 염수(100 ㎖)로 세척하고,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2-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5.35 g, 107%)을 노란색 고체로 얻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6.55 (1H, dd), 6.90 (2H, s), 8.21 (1H, dd). m/z: ES+ [M+H]+ 233.
Tert -부틸 (8a S )-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27
2-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아닐린(0.538 g, 2.29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107 g, 0.23 mmol), 칼륨 카보네이트(0.633 g, 4.58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926 g, 2.29 mmol)을 디옥산(10 ㎖) 및 물(3.0 ㎖)의 탈기 혼합물 중에 조합하였다. RuPhos Pd G3(0.192 g, 0.23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16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850 g, 72.1%)를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0 (9H, d), 2.86 - 3.32 (3H, m), 3.76 - 3.98 (1H, m), 4 - 4.26 (2H, m), 4.27 - 4.55 (2H, m), 4.92 - 5.23 (1H, m), 6.31 (2H, d), 6.52 - 6.67 (1H, m), 6.85 - 6.97 (1H, m), 8.31 (1H, dd), 8.70 (1H, d). m/z (ES+), [M+H]+ 515.
Tert -부틸 (8a S )-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28
N-클로로숙신이미드(0.108 g, 0.81 mmol)를 DMF(2.69 ㎖) 중 tert-부틸 (8aS)-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15 g, 0.81 mmol)의 교반 용액에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1시간 동안 110℃에서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3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105 g, 23.71%)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77 - 3.41 (3H, m), 3.73 - 4.34 (3H, m), 4.37 - 4.62 (2H, m), 5.04 (1H, s), 6.17 (2H, d), 6.62 (1H, ddd), 8.36 (1H, dd), 8.71 (1H, d). m/z (ES+), [M+H]+ 549
Tert -부틸 (8a S )-6-클로로-5-(2,3-디아미노-6-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29
Tert-부틸 (8aS)-5-(2-아미노-6-플루오로-3-니트로페닐)-6-클로로-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187 g, 0.34 mmol)를 IPA(3 ㎖) 및 물(0.5 ㎖) 중에 용해시켰다. 철(0.095 g, 1.70 mmol)에 이어 암모늄 클로라이드(0.091 g, 1.70 mmol)를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시간 동안 8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상온까지 냉각한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로 세척하고 조합한 여액을 포화 수성 NaHCO3(100 ㎖)에 이어 포화 NaCl(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tert-부틸 (8aS)-6-클로로-5-(2,3-디아미노-6-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177 g, 100%)를 노란색 고체로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3 (9H, d), 2.91 - 3.36 (5H, m), 3.47 (2H, d), 3.73 - 4.03 (1H, m), 3.99 - 4.29 (2H, m), 4.35 - 4.68 (2H, m), 4.78 - 5.17 (1H, m), 6.55 (1H, t), 6.68 - 6.86 (1H, m), 8.70 (1H, s). m/z (ES+), [M+H]+ 519.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30
물(0.5 ㎖) 중 나트륨 니트라이트(0.038 g, 0.55 mmol)를 8℃에서 아세트산(2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5-(2,3-디아미노-6-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177 g, 0.34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이 상온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50 ㎖)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100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갈색 고체를 얻었다. 잔류물을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ID,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30% MeOH + 0.1% NH3/70% scCO2, 유속: 9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켜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43 ㎎, 2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82 - 3.19 (3H, m), 3.82 - 4.03 1H, m), 4.04 - 4.44 (3H, m), 4.57 (1H, dd), 5.22 (1H, d), 7.23 (1H, d), 8.14 (1H, dd), 8.24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530.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38 ㎎, 24%)를 또한 SFC 정제로부터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2.93 - 3.44 (3H, m), 3.66 (1H, s), 3.8 - 4.24 (3H, m), 4.47 (2H, s), 7.22 (1H, d), 8.13 (1H, dd), 8.28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530.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31
TFA(0.5 ㎖)를 20℃에서 DCM(1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43 g, 0.0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33 g, 95%)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m/z (ES+), [M+H]+ 430.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32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회전장애이성질체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원하는 산물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m/z: ES+ [M+H]+ 430.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6)
Figure pct00133
-78℃에서 DCM(1 ㎖), 2-프로판올(0.2 ㎖) 및 TEA(10.70 ㎕, 0.08 mmol)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33 g, 0.08 mmol)의 용액에 DCM(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7.30 ㎎, 0.0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만들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4OH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8 ㎎의 흰색 고체(포르메이트 염)를 산출하였다. 상기 고체를 DCM(25 ㎖) 중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포화 나트륨 하이드로겐 카보네이트 용액(25 ㎖)과 교반하였다.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실시예 26,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7.5 ㎎, 20.1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2.72 - 3.26 (3H, m), 3.26 - 3.47 (1H, m), 3.69 - 4.2 (2H, m), 4.22 - 4.86 (3H, m), 5.03 - 5.42 (1H, m), 5.82 (1H, d), 6.38 (1H, d), 6.58 (1H, t), 8.12 (1H, s), 8.31 (1H, s). m/z (ES+), [M+H]+ 484.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 H -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7)
Figure pct00134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7)를 (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2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7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3.08 - 3.75 (4H, m), 3.82 - 4.08 (2H, m), 4.28 - 4.6 (3H, m), 4.6 - 4.94 (1H, m), 5.85 (1H, d), 6.43 (1H, d), 6.49 - 6.67 (1H, m), 8.13 (1H, dd), 8.38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것은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84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
Figure pct00135
2,2-디에톡시에탄-1-아민(6.07 ㎖, 41.77 mmol)을 무수 톨루엔(20 ㎖) 중 2-브로모-3-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CAS 891180-59-9; 8.479 g, 41.77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되도록 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잔류물을 DCM(30 ㎖) 중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하였다. 알루미늄 트리클로라이드(18.38 g, 137.83 mmol)를 일부씩 첨가하고 생성된 암적색 현탁액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며 둔 후 1시간에 걸쳐 상온까지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내로 붓고 DCM으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 수성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DCM으로 추출하고, 조합한 유기 추출물로 상 분리장치 카트리지를 통과시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0% 내지 4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2.23 g, 23.6%)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7.52 (1H, t), 7.64 (1H, d), 7.81 (1H, dd), 8.62 (1H, d), 9.63 (1H, s). m/z: ES+ [M+H]+ 228.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 2-옥사이드
Figure pct00136
mCPBA(0.523 g, 2.34 mmol)를 상온에서 DCM(10 ㎖) 중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0.44 g, 1.9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100 ㎖)으로 희석하고 포화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세척하였다(2 × 100 ㎖).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 2-옥사이드(0.466 g, 99%)를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7.38 (1H, dd), 7.66 (1H, d), 7.76 (1H, dd), 8.16 (1H, dd), 9.09 - 9.2 (1H, m). m/z: ES+ [M+H]+ 242.
8-브로모-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
Figure pct00137
트리에틸아민(0.924 ㎖, 6.63 mmol)을 0℃에서 8-브로모-7-플루오로이소퀴놀린 2-옥사이드(0.802 g, 3.31 mmol) 및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333 ㎖, 4.3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상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며 두었다. 추가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333 ㎖, 4.31 mmol) 및 트리에틸아민(0.924 ㎖, 6.63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2 h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50 ㎖) 중에 용해시키고 물(50 ㎖)에 이어 염수(5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25%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브로모-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0.386 g, 45.5%)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4.11 (3H, s), 7.21 (1H, d), 7.42 (1H, dd), 7.67 (1H, dd), 7.99 (1H, d). m/z: ES+ [M+H]+ 258.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38
8-브로모-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0.251 g, 0.98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46 g, 0.10 mmol), 칼륨 카보네이트(0.271 g, 1.96 mmol) 및 [(8aS)-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396 g, 0.98 mmol)을 디옥산(5 ㎖) 및 물(1.5 ㎖)의 탈기 혼합물 중에 조합하였다. RuPhos Pd G3(0.082 g, 0.10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2시간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525 g, 100%)를 갈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89 - 3.32 (3H, m), 3.64 (3H, d), 3.76 - 3.98 (1H, m), 3.99 - 4.25 (2H, m), 4.31 - 4.57 (2H, m), 5.13 (1H, s), 6.94 (1H, d), 7.28 (1H, d), 7.52 (1H, t), 7.85 (1H, dd), 8.01 (1H, d), 8.70 (1H, s). m/z: ES+ [M+H]+ 536.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39
N-클로로숙신이미드(0.137 g, 1.03 mmol)를 DMF(4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525 g, 0.98 mmol)의 교반 용액에 한 번에 첨가하고 반응을 30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상온까지 냉각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갈색 검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7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IG,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45% MeOH + 0.1% NH3 / 65% scCO2, 유속: 10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산물 함유 분획을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로 증발시켜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32 ㎎, 2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2 (9H, s), 3 - 3.3 (3H, m), 3.63 (3H, s), 3.97 (1H, s), 4.16 (2H, s), 4.37 - 4.63 (2H, m), 5.08 (1H, d), 7.31 (1H, s), 7.56 (1H, t), 7.90 (1H, dd), 8.02 (1H, d), 8.71 (1H, s). m/z: ES+ [M+H]+ 570.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245 ㎎, 42%)를 또한 SFC 정제로부터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3.05 - 3.42 (3H, m), 3.63 3H, s), 3.83 - 4.04 (1H, m), 4.05 - 4.32 (2H, m), 4.38 - 4.69 (2H, m), 5.03 1H, s), 7.30 (1H, d), 7.56 (1H, t), 7.90 (2H, dd), 8.02 (1H, d), 8.71 (1H, s). ES+ [M+H]+ 570.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40
마이크로파 바이알을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132 ㎎, 0.23 mmol), 리튬 클로라이드(49.1 ㎎, 1.16 mmol),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220 ㎎, 1.16 mmol) 및 무수 DMF(4 ㎖)로 충전하였다. 마이크로파 바이알을 밀봉하고 30분 동안 120℃에서 마이크로파에서 조사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MeOH 중에 로딩하며 SCX 칼럼(10 g)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칼럼을 MeOH로 세척한 후,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13aS)-11-클로로-9-플루오로-1,2,3,4,13,13a-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106 ㎎, 100%)을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2.84 - 3.21 (5H, m), 3.47 (1H, s), 3.78 - 4.01 (1H, m), 4.36 (1H, dd), 4.51 (1H, dd), 5.06 (1H, d), 6.50 (1H, d), 6.91 (1H, d), 7.51 (1H, t), 7.66 (1H, dd), 8.65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56.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41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151 ㎎, 77%), 회백색 고체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7-플루오로-1-메톡시이소퀴놀린-8-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기재된 상기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원하는 회전장애이성질체 2는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2.89 - 3.21 (5H, m), 3.78 - 4.01 (1H, m), 4.32 - 4.57 (2H, m), 5.06 (1H, d), 6.51 (1H, d), 6.95 (1H, d), 7.52 (1H, t), 7.67 (1H, dd), 8.65 (1H, s). 2개의 교환 가능한 H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56.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28)
Figure pct00142
-78℃에서 디클로로메탄(3 ㎖), 2-프로판올(1 ㎖) 및 트리에틸아민(0.032 ㎖, 0.23 mmol) 중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06 g, 0.23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22 g, 0.2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5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함)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78℃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이 되게 하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으로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3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3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 실시예 28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0.066 g, 55.7%)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94 - 3.14 (2H, m), 3.99 - 4.22 (3H, m), 4.23 - 4.52 (1H, m), 4.52 - 4.75 (2H, m), 4.74 - 5 (1H, m), 5.75 (1H, dd), 6.18 (1H, dd), 6.68 (1H, d), 6.86 (1H, s), 7.19 (1H, d), 7.78 (1H, t), 7.93 (1H, dd), 8.60 (1H, s). m/z: ES+ [M+H]+ 510.
8-[(8a S )-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 H )-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29)
Figure pct00143
실시예 29,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0.083 g, 49%)의 흰색 고체를 8-[(8aS)-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28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9는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2.93 - 3.2 (1H, m), 3.35 - 3.58 (2H, m), 4.02 (1H, d), 4.09 - 4.75 (4H, m), 4.86 (1H, dd), 5.75 (1H, dd), 6.19 (1H, dd), 6.68 (1H, d), 6.76 - 7.02 (1H, m), 7.19 (1H, d), 7.79 (1H, t), 7.94 (1H, dd), 8.61 (1H, s), 11.01 (1H, s). m/z: ES+ [M+H]+ 510.
Tert -부틸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44
Pd118(0.086 g, 0.13 mmol)을 디옥산(15 ㎖) 및 2 M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2.90 ㎖, 5.81 mmol)의 혼합물 중 (5-메틸-1H-인다졸-4-일)보론산(CAS 1245816-10-7; 0.418 g, 2.37 mmol) 및 tert-부틸 (S)-10-브로모-11-클로로-9-플루오로-3,4,13,13a-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2(1H)-카복실레이트(0.5 g, 1.06 mmol)의 탈기된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30 ㎖),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Phenomenex C1, 30 × 250 ㎜, 5마이크론, 이동상: 40% MeOH + 0.1% NH3 / 60% scCO2, 유속: 10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산물 함유 분획을 증발시켜 첫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58 ㎎, 4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23 (3H, s), 2.95 - 3.37 (3H, m), 3.74 - 4.01 (1H, m), 4.16 (2H, s), 4.36 - 4.69 (2H, m), 5.04 (1H, d), 7.36 (1H, d), 7.50 (1H, d), 7.58 (1H, s), 8.71 (1H, s), 10.83 (1H, s). m/z: ES+ [M+H]+ 525.
동일한 화합물의 두 번째 용출 회전장애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2(34 ㎎, 29%)를 또한 회백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9H, s), 2.23 (3H, s), 2.98 - 3.4 (3H, m), 3.95 (1H, d), 4.17 (2H, s), 4.42 - 4.68 (2H, m), 5.05 (1H, d), 7.38 (1H, d), 7.51 (1H, d), 7.60 (1H, s), 8.72 (1H, s), 10.34 (1H, s). m/z: ES+ [M+H]+ 525.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45
질소 하에 0℃에서 디클로로메탄(2 ㎖) 중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2(0.151 g, 0.29 mmol)의 용액에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 13.0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5 g SCX 칼럼으로 적용하고 메탄올로 철저히 세척한 후 산물을 메탄올 중 1 M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용출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13aS)-11-클로로-9-플루오로-10-(5-메틸-1H-인다졸-4-일)-1,2,3,4,13,13a-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0.122 g, 100%)를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m/z: ES+ [M+H]+ 425.
(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46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0.116 g, 100%)의 회백색 고체를 tert-부틸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 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산물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m/z: ES+ [M+H]+ 425.
(2 E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30)
Figure pct00147
DIPEA(150 ㎕, 0.86 mmol)를 상온에서 DMA(1.2 ㎖) 중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2(122 ㎎, 0.29 mmol),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31 ㎎, 0.34 mmol) 및 (E)-4-(디메틸아미노)부트-2-엔산.HCl 염(52.3 ㎎, 0.32 mmol)에 한 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로 붓고, EtOAc 내로 추출하고(2 × 25 ㎖), 염수(20 ㎖)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Mg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NH3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50 mm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실시예 30(79 ㎎, 51%),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2.14 (3H, s), 2.17 (6H, s), 3.03 - 3.09 (3H, m), 3.38 - 3.53 (2H, m), 3.92 - 4.21 (2H, m), 4.22 - 4.42 (1H, m), 4.43 - 4.56 (1H, m), 4.56 - 4.76 (2H, m), 4.75 - 4.97 (1H, m), 6.42 - 6.78 (2H, m), 7.37 (1H, d), 7.5 - 7.65 (2H, m), 8.63 (1H, s). m/z: ES+ [M+H]+ 536.
(2 E )-1-[(8a S )-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31)
Figure pct00148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31)(68 ㎎, 47%), 흰색 고체를 (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부터 시작해서, 실시예 30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1은 하기를 나타내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 2.17 (3H, s), 2.21 (6H, s), 3.27 - 3.61 (5H, m), 4.03 - 4.28 (3H, m), 4.34 (1H, d), 4.60 (1H, dd), 4.69 (1H, dd), 4.78 - 4.94 (1H, m), 6.5 - 6.78 (2H, m), 7.36 (1H, d), 7.50 (1H, s), 7.57 (1H, d), 8.62 (1H, s). m/z: ES+ [M+H]+ 536.
메틸 N -벤질- D -알라니네이트
Figure pct00149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27.1 g, 716.44 mmol)를 0℃에서 MeOH(250 ㎖) 중 메틸 D-알라니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5 g, 179.11 mmol), 벤즈알데하이드(18.15 ㎖, 179.11 mmol) 및 트리에틸아민(49.9 ㎖, 358.22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하룻밤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200 ㎖)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고(3 × 100 ㎖)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10% 내지 3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N-벤질-D-알라니네이트(15 g, 43%)를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30℃) 1.35 (3H, d), 2.07 (1H, s), 3.32 - 3.47 (1H, m), 3.69 (1H, d), 3.75 (3H, s), 3.82 (1H, d), 7.29 - 7.43 (5H, m). m/z: ES+ [M+H]+ = 194.
메틸 (3 R )-4-{벤질[(2 S )-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 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150
2-메틸프로필 카보노클로리데이트(0.848 g, 6.21 mmol)를 0℃에서 THF(4 ㎖) 중 (2R)-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톡시-4-옥소부탄산(1.407 g, 5.69 mmol) 및 N-메틸모르폴린(0.628 g, 6.21 mmo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THF(4 ㎖) 중 메틸 N-벤질-D-알라니네이트(1 g, 5.17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20 ㎖),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4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3R)-4-{벤질[(2S)-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0.52 g, 24%)를 무색 액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39 (9H, s), 1.47 (3H, s), 2.62 (1H, dd), 2.72 (1H, dd), 3.54 (1H, s), 3.67 (3H, s), 3.68 (3H, s), 4.25 (1H, d), 4.75 (2H, s), 4.98 (1H, s), 7.37 (5H, d). m/z: ES+ [M+H]+ = 423.
메틸 [(2 R ,5 S )-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
Figure pct00151
TFA(1 ㎖)를 실온에서 DCM(5 ㎖) 중 메틸 (3R)-4-{벤질[(2S)-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500 ㎎, 1.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포화 나트륨 카보네이트 중에 현탁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DCM으로 추출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4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메틸 [(2R,5S)-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330 ㎎, 96%)를 노란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1 (3H, d), 2.87 (1H, dd), 3.27 (1H, dd), 3.77 (3H, s), 3.97 (1H, m), 4.11 (1H, d), 4.50 (1H, dd), 5.26 (1H, d), 7.28 - 7.46 (5H, m), 7.65 (1H, s). m/z: ES+ [M+H]+ = 291.
2-[(2 R ,5 S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
Figure pct00152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하이드라이드(2.56 g, 67.51 mmol)를 0℃에서 THF(50 ㎖) 중 메틸 [(2R,5S)-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2.45 g, 8.44 mmol)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3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DCM으로 희석하고 물(2.56 ㎖) 및 15% NaOH(7.68 ㎖)로 켄칭한 후, 여과하고 증발시켜 2-[(2R,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1.8 g, 91%)을 방치 시 고화되는 무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08 (1H, d), 1.15 (3H, d), 1.45 - 1.53 (2H, m), 1.68 - 1.81 (1H, m), 2.17 - 2.27 (1H, m), 2.54 - 2.65 (1H, m), 2.65 - 2.73 (1H, m), 2.87 - 2.98 (2H, m), 3.10 (1H, d), 3.72 - 3.79 (2H, m), 4.12 (1H, d), 7.29 - 7.36 (5H, m).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235.
5-{2-[(2 R ,5 S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8-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153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888 g, 22.19 mmol)를 25℃에서 THF(40 ㎖) 중 2-[(2R,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1.3 g, 5.55 mmol)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2.172 g, 8.3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 ㎖)로 켄칭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3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5-{2-[(2R,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8 g, 68%)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8 (3H, d), 1.35 (1H, q), 1.92 (1H, d), 2.56 (2H, dq), 2.73 - 3.04 (2H, m), 3.18 (2H, dd), 3.51 (2H, s), 3.75 - 4.00 (1H, m), 4.18 - 4.45 (2H, m), 6.84 (1H, d), 7.27 - 7.38 (5H, m), 8.51 (1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75.
(6a R ,9 S )-8-벤질-2-브로모-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
Figure pct00154
테트라클로로메탄(1.827 ㎖, 18.93 mmol)을 25℃에서 DCE(0.5 ㎖) 중 5-{2-[(2R,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8 g, 3.79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98 g, 11.3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한 후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2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6aR,9S)-8-벤질-2-브로모-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1.6 g, 92%)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0.93 - 1.36 (3 H, m), 1.55 - 2.37 (2 H, m), 2.65 - 3.26 (3 H, m), 3.34 - 3.69 (2 H, m), 3.73 - 4.82 (5 H, m), 7.17 (3 H, s), 7.30 (3 H, s), 7.43 (1 H, s). m/z: ES+ [M+H]+ = 457.
(6aR,9S)-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
Figure pct00155
N-클로로숙신이미드(657 ㎎, 4.92 mmol)를 25℃에서 MeCN(10 ㎖) 중 (6aR,9S)-8-벤질-2-브로모-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750 ㎎, 1.64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 중 0% 내지 40% MeOH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6aR,9S)-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550 ㎎, 68%)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56 (3 H, td), 1.85 - 1.94 (2 H, m), 2.92 - 3.33 (2 H, m), 3.47 - 4.47 (7 H, m), 4.73 1 H, s), 7.26 - 7.73 (5 H, m), 8.80 (1 H, s). m/z: ES+ [M+H]+ = 491.
2-[(6a R ,9 S )-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2
Figure pct00156
RuPhos-Pd-G3(85 ㎎, 0.10 mmol)을 질소 하에 1,4-디옥산/물(10 ㎖)(4:1 비) 중 (6aR,9S)-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500 ㎎, 1.02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396 ㎎, 2.54 mmol), 칼륨 카보네이트(422 ㎎, 3.05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47.4 ㎎, 0.1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100℃에서 교반한 후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6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6aR,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65.0 ㎎, 12.22%)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30℃) 0.97 - 1.07 (3 H, m), 1.16 - 1.22 (3 H, m), 1.64 - 1.76 (1 H, m), 2.77 - 2.87 (1 H, m), 3.06 - 3.19 (1 H, m), 3.36 - 3.53 (2 H, m), 3.84 - 3.93 (1 H, m), 4.03 - 4.62 (3 H, m), 6.68 - 6.82 (2 H, m), 7.17 - 7.50 (7 H, m), 8.38 (1 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523. 여기에 2-[(6aR,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55 ㎎, 10%)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가 담황색 산물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3OD, 30℃) 1.19 (3 H, d), 1.75 - 1.92 (1 H, m), 2.30 - 2.46 (3 H, m), 2.78 - 2.86 (1 H, m), 3.09 - 3.13 (1 H, m), 3.44 - 3.57 (1 H, m), 3.79 - 3.98 (4 H, m), 4.23 - 4.57 (1 H, m), 6.68 - 6.81 (2 H, m), 7.21 - 7.42 (7 H, m), 8.48 (1 H, s). 1개의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523.
2-[(6a R ,9 S )-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57
THF(5 ㎖) 중 2-[(6aR,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50 ㎎, 0.10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111 ㎖, 0.48 mmol) 및 탄소 상 10% 팔라듐(20.35 ㎎, 0.02 mmol)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1대기압의 수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5 ㎖)로 희석하고 1,4-디옥산 중 4 M HCl(2 ㎖, 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6aR,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40 ㎎, 97%)를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산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z: ES+ [M+H]+ = 433.
1-[(6a R ,9 S )-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32
Figure pct00158
DMF(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8.36 ㎎, 0.09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2.000 ㎖) 중 2-[(6aR,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2(40 ㎎, 0.09 mmol) 및 DIPEA(0.032 ㎖, 0.1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4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32)(17 ㎎, 37%)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13 - 1.22 (3H, m), 1.98 (1H, dd), 2.20 - 2.38 (1H, m), 3.41 - 3.69 (2H, m), 3.88 - 4.33 (3H, m), 4.45 - 4.52 (1H, m), 4.53 - 5.07 (2H, m), 5.74 (1H, d), 6.18 (1H, d), 6.75 - 6.87 (3H, m), 7.34 (1H, q), 8.45 (1H, s), 10.19 (1H, s). m/z: ES+ [M+H]+ = 487.
2-((3S,14aR)-11-클로로-9-플루오로-3-메틸-1,3,4,13,14,14a-헥사하이드로-2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10-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59
THF(5 ㎖) 중 2-[(6aR,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55 ㎎, 0.11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122 ㎖, 0.53 mmol) 및 10% 탄소 상 팔라듐(22.38 ㎎, 0.02 mmol)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1대기압의 수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eOH(5 ㎖)로 희석하고 1,4-디옥산 중 4 M HCl(2 ㎖, 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2-[(6aR,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1(40 ㎎, 88%)을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산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z: ES+ [M+H]+ = 433.
1-[(6a R ,9 S )-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33
Figure pct00160
DMF(1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8.36 ㎎, 0.09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2.000 ㎖) 중 2-[(6aR,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회전장애이성질체 1(40 ㎎, 0.09 mmol) 및 DIPEA(0.032 ㎖, 0.18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TFA) 중 0% 내지 30% MeCN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25 ㎎, 56%)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33)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17 (3H, d), 1.98 - 2.05 (1H, m), 2.24 - 2.34 (1H, m), 3.52 - 3.77 (2H, m), 3.93 - 4.38 (3H, m), 4.48 - 5.09 (3H, m), 5.76 (1H, d), 6.18 (1H, d), 6.77 - 6.89 (3H, m), 7.37 (1H, q), 8.55 (1H, s). 하나의 교환 가능한 것은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 487.
7-브로모-4-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
Figure pct00161
옥살릴 디클로라이드(2.74 ㎖, 31.26 mmol)를 실온에서 DCM(150 ㎖) 중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2.04 g, 7.82 mmol) 및 DMF(0.030 ㎖, 0.39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추가 옥살릴 디클로라이드(1.0 ㎖)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추가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여전히 LCMS에 의해 약 30% SM을 함유하는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여, 혼합물을 DCM(150 ㎖) 중에 현탁하고 옥살릴 디클로라이드(2.74 ㎖, 31.26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노란색 고체, 2.1 g으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Tert -부틸 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2
DIPEA(5.24 ㎖, 30.06 mmol)를 실온에서 MeCN(100 ㎖) 중 tert-부틸 3-(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73 g, 7.51 mmol) 및 7-브로모-4-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2.1 g, 7.51 mmol)의 교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고, 약 30분 후 현탁액이 발생하였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MeCN으로 세척하고(3 × 20 ㎖) 진공 하에 건조하여 원하는 산물, 2.64 g을 산출하였다. 하룻밤 동안 방치 시, 원하는 산물의 두 번째 수확물, 300 ㎎을 단리하여 tert-부틸 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94 g, 83%)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43 (9H, s), 1.71 - 1.82 (2H, m), 2.86 (1H, s), 3.18 (1H, s), 3.37 - 3.51 (2H, m), 3.72 (1H, d), 3.97 (2H, d), 4.36 (1H, s), 4.70 (1H, s), 7.75 (1H, dd), 8.62 (1H, s) OH는 관찰되지 않음, m/z (ES+), [M+H]+ 473, 475.
Tert -부틸 2-브로모-1-플루오로-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3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6.2 ㎖, 6.21 mmol, THF 중 1 M 용액)를 질소 하에 실온에서 NMP(100 ㎖) 중 tert-부틸 4-(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일)-3-(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94 g, 6.2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5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물(100 ㎖)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추출하고(3 × 200 ㎖), 유기층을 조합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2 × 150 ㎖),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이를 DCM(3 ㎖) 및 MeOH(0.5 ㎖) 중에 현탁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DCM(2 ㎖)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tert-부틸 2-브로모-1-플루오로-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0.854 g, 30%)를 크림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57 (9H, s), 2.01 - 2.16 (1H, m), 2.23 - 2.35 (1H, m), 3.34 - 3.53 (2H, m), 3.68 - 3.86 (2H, m), 3.91 - 4.11 (2H, m), 4.32 (1H, t), 4.54 (1H, dd), 4.81 (1H, s), 7.40 (1H, d), 8.59 (1H, s), m/z (ES+), [M+H]+ 453, 455.
Tert -부틸 1-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4
디클로로메탄(155 ㎎, 0.189 mmol)과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복합체,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1.45 g, 5.69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373 ㎎, 3.8 mmol)를 질소 하에 디옥산(45 ㎖) 중 tert-부틸 2-브로모-1-플루오로-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861 ㎎, 1.9 mmol)의 교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7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증발시키고, EtOAc(150 ㎖), 및 물(75 ㎖)/포화 염수(50 ㎖) 간에 분할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 tert-부틸 1-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2.3 g)를 산출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m/z (ES+), [M+H]+ 501.
Tert -부틸 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5
RuPhos Pd G3(159 ㎎, 0.19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89 ㎎, 0.19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525 ㎎, 3.80 mmol)를 디옥산(20 ㎖) 및 물(5 ㎖) 중 8-브로모-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479 ㎎, 1.90 mmol) tert-부틸 1-플루오로-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1.9 mmol)의 교반 탈기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배출하고(5사이클), 90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EtOAc(75 ㎖)로 희석하고, 물(50 ㎖)/포화 염수(50 ㎖)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EtOAc(75 ㎖)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7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619 ㎎, 60%)를 베이지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50 (9H, s), 1.65 - 1.77 (1H, m), 1.95 - 2.1 (3H, m), 2.22 (3H, d), 3.4 - 3.57 (5H, m), 3.64 - 3.78 (2H, m), 3.95 - 4.07 (1H, m), 4.22 (1H, t), 4.38 (1H, dt), 6.81 - 6.86 (1H, m), 7.24 (1H, d), 7.59 (1H, dd), 7.73 (1H, d), 7.95 (1H, dd), 8.63 (1H, s). m/z (ES+), [M+H]+ 546.
Tert -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66
1-클로로피롤리딘-2,5-디온(167 ㎎, 1.25 mmol)을 실온에서 DMF(6 ㎖) 중 tert-부틸 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619 ㎎, 1.1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물(25 ㎖)로 희석하고, EtOAc 내로 추출하고(75 ㎖), 포화 염수(5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상 분리 카트리지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헵탄 중 0% 내지 80% EtOAc의 용출 구배로,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485 ㎎, 74%)를 담황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Chiralpak IC, 30 × 250 ㎜, 5마이크론 칼럼,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9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220 nm에서 UV 검출을 사용하는 키랄 SFC에 의한 추가 정제로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의 첫 번째 용출 이성질체(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 명명됨)(63.7 ㎎, 13%)를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49 (9H, s), 1.98 (1H, s), 2.19 (3H, s), 2.25 (1H, s), 3.54 (3H, s), 3.57 - 3.95 (6H, m), 4.45 (3H, s), 7.27 (1H, d), 7.63 (1H, d), 7.78 (1H, d), 7.96 (1H, d), 8.67 (1H, s), 19F NMR (376 MHz, CDCl3, 30℃) -128.46, -128.02, m/z (ES+), [M+H]+ 580;582. 키랄 분석 Chiralpak IC,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온도 40℃, rT 1.49분. 여기에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의 두 번째 용출 이성질체(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로 명명됨)(32.6 ㎎, 7%)가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Cl3, 30℃) 1.49 (9H, s), 1.99 - 2.11(1H, m), 2.19 (3H, s), 2.22 - 2.3 (1H, m), 3.56 (3H, s), 3.59 - 3.91 (6H, m), 4.24 - 4.59 (3H, m), 7.27 (1H, d), 7.64 (1H, d), 7.78 (1H, d), 7.96 (1H, d), 8.68 (1H, s), 19F NMR (376 MHz, CDCl3, 30℃) -129.30, -128.54, m/z (ES+), [M+H]+ 580;582. 키랄 분석 Chiralpak IC, 3.0 × 150 ㎜, 3 마이크론 칼럼,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온도 40℃, rT 1.66분. 여기에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의 세 번째 용출물(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 명명됨)(42.6 ㎎, 9%)이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Cl3, 30℃) 1.49 (9H, s), 2 - 2.11 (1H, m), 2.19 (3H, s), 2.25 (1H, s), 3.56 (3H, s), 3.61 - 3.87 (6H, m), 4.27 - 4.53 (3H, m), 7.25 - 7.29 (1H, m), 7.64 (1H, d), 7.78 (1H, d), 7.96 (1H, d), 8.68 (1H, s), 19F NMR (376 MHz, CDCl3, 30℃) -129.34, -128.54, m/z (ES+), [M+H]+ 580, 582. 키랄 분석 Chiralpak IC,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온도 40℃, rT 2.79분. 여기에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의 네 번째 용출물(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 명명됨)(68.5 ㎎, 14%)이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Cl3, 30℃) 1.49 (9H, s), 1.92 - 2.03 (1H, m), 2.19 (3H, s), 2.21 - 2.32 (1H, m), 3.54 (3H, s), 3.4 - 3.95 (6H, m), 4.21 - 4.54 (3H, m), 7.27 (1H, d), 7.63 (1H, d), 7.78 (1H, d), 7.96 (1H, d), 8.67 (1H, s), 19F NMR (376 MHz, CDCl3, 30℃) -128.02, -128.46, m/z (ES+), [M+H]+ 580;582. 키랄 분석 Chiralpak IC,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이동상: 45% MeOH + 0.1% NH3/5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온도 40℃, rT 4.11분.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67
DMF(1.0 ㎖) 중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39 ㎎, 0.07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의 용액을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63.9 ㎎, 0.34 mmol) 및 리튬 클로라이드(14 ㎎, 0.34 mmol)에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30 ㎎, 96%)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크림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91 - 2.04 (1H, m), 2.16 (3H, s), 2.44 - 2.58 (1H, m), 2.94 - 3.02 (3H, m), 3.12 - 3.21 (1H, m), 3.4 - 3.47 (1H, m), 3.84 (1H, s), 4.32 - 4.5 (2H, m), 4.85 (1H, s), 6.52 (1H, d), 6.93 (1H, d), 7.58 (1H, d), 7.65 (1H, d), 8.44 (1H, s), 8.56 (1H, s), NH는 나타나지 않음, m/z (ES+), [M+H]+ 466,468.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68
DMF(2 ㎖) 중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81 ㎎, 0.14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의 용액을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133 ㎎, 0.70 mmol) 및 리튬 클로라이드(29 ㎎, 0.70 mmol)에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56 ㎎, 86%)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 - 1.93 (1H, m), 2.04 (3H, s), 2.66 - 2.75 (2H, m), 2.81 (2H, d), 3.04 (1H, d), 3.33 - 3.45 (1H, m), 3.72 (1H, d), 4.23 - 4.36 (1H, m), 4.36 - 4.47 (1H, m), 4.74 (1H, s), 6.58 (1H, d), 7.05 - 7.18 (1H, m), 7.70 (2H, s), 8.42 (1H, s), 10.87 (1H, d), NH는 나타나지 않음, 19F NMR (376 MHz, DMSO, 30℃) -131.44, m/z (ES+), [M+H]+ 466,468.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169
DMF(1.2 ㎖) 중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74 ㎎, 0.13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의 용액을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121 ㎎, 0.64 mmol) 및 리튬 클로라이드(27 ㎎, 0.64 mmol)에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46 ㎎, 77%)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크림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 - 1.93 (1H, m), 2.04 (3H, s), 2.66 - 2.75 (2H, m), 2.81 (2H, d), 3.04 (1H, d), 3.33 - 3.45 (1H, m), 3.72 (1H, d), 4.23 - 4.36 (1H, m), 4.36 - 4.47 (1H, m), 4.74 (1H, s), 6.58 (1H, d), 7.05 - 7.18 (1H, m), 7.70 (2H, s), 8.42 (1H, s), 10.87 (1H, d), 피페라진 NH는 나타나지 않음, 19F NMR (376 MHz, DMSO, 30℃) -131.44, m/z (ES+), [M+H]+ 466,468.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170
DMF(1.1 ㎖) 중 tert-부틸 3-클로로-1-플루오로-2-(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카복실레이트(44 ㎎, 0.08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의 용액을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72.1 ㎎, 0.38 mmol) 및 리튬 클로라이드(16 ㎎, 0.38 mmol)에 첨가하고 마이크로파 튜브 내로 밀봉하였다. 반응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120℃에서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고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35 ㎎, 99%)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담황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2 - 1.94 (1H, m), 2.04 (3H, s), 2.66 - 2.74 (2H, m), 2.79 - 2.89 (2H, m), 3.05 (1H, d), 3.35 - 3.45 (1H, m), 3.69 (1H, d), 4.29 (1H, t), 4.42 (1H, d), 4.75 (1H, s), 6.58 (1H, d), 7.08 - 7.18 (1H, m), 7.66 - 7.76 (2H, m), 8.42 (1H, s), 10.86 (1H, d), NH 피페라진은 나타나지 않음, 19F NMR (376 MHz, DMSO, 30℃) -132.19, m/z (ES+), [M+H]+ 466,468.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34
Figure pct00171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5.41 ㎕, 0.07 mmol)를 DCM(2 ㎖) 중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31 ㎎, 0.07 mmol) 및 트리에틸아민(9.27 ㎕, 0.07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0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얕은 구배: 30% 내지 60% MeCN. 검출 UV @ 254 nm.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19.3 ㎎, 56%)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1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9 - 2.01 (1H, m), 2.05 (3H, s), 2.14 - 2.27 (1H, m), 3.64 - 3.95 (6H, m), 4.29 - 4.57 (3H, m), 5.73 (1H, s), 6.17 (1H, d), 6.59 (1H, d), 6.80 (1H, s), 7.14 (1H, d), 7.72 (2H, d), 8.52 (1H, s), 10.87 (1H, s), 19F NMR (376 MHz, DMSO, 30℃) -131.09, -130.89, m/z (ES+), [M+H]+ 520,522. 분석용 키랄 SFC 분석을 Phenomonex C3,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용출액 20% MeOH + 0.1% NH3/80%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rT 0.84분 상에서 수행하였다.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35
Figure pct00172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5.41 ㎕, 0.07 mmol)를 -70℃까지 냉각된 DCM(2 ㎖) 중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31 ㎎, 0.07 mmol) 및 트리에틸아민(9.27 ㎕, 0.07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0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얕은 구배: 30% 내지 60% MeCN. 검출 UV @ 254 nm.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22.8 ㎎, 66%)의 거울상이성질체 1, 회전장애이성질체 2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2 - 2 (1H, m), 2.06 (3H, s), 2.15 - 2.29 (1H, m), 3.64 - 3.98 (6H, m), 4.31 - 4.58 (3H, m), 5.66 - 5.8 (1H, m), 6.16 (1H, dd), 6.59 (1H, d), 6.79 (1H, dd), 7.08 - 7.17 (1H, m), 7.71 (2H, s), 8.51 (1H, s), 10.89 (1H, d), 19F NMR (376 MHz, DMSO, 30℃) -130.46, -130.25, m/z (ES+), [M+H]+ 520,522. 분석용 키랄 SFC 분석을 Phenomonex C3,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용출액 30% MeOH + 0.1% NH3/70%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rT 1.29 분 상에서 수행하였다.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36
Figure pct00173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8.02 ㎕, 0.10 mmol)를 -70℃까지 냉각된 DCM(2 ㎖) 중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46 ㎎, 0.10 mmol) 및 트리에틸아민(14 ㎕, 0.10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얕은 구배: 30% 내지 60% MeCN. 검출 UV @ 254 nm.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1(23.5 ㎎, 46%)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90 (1H, s), 2.06 (3H, s), 2.23 (1H, d), 3.61 - 3.99 (6H, m), 4.28 - 4.59 (3H, m), 5.66 - 5.79 (1H, m), 6.16 (1H, dd), 6.59 (1H, d), 6.79 (1H, dd), 7.09 - 7.16 (1H, m), 7.71 (2H, s), 8.51 (1H, s), 10.89 (1H, d), 19F NMR (376 MHz, DMSO, 30℃) -130.46, -130.25, m/z (ES+), [M+H]+ 520,522. 분석용 키랄 SFC 분석을 Phenomonex C3,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용출액 25% MeOH + 0.1% NH3/7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rT 1.30 분 상에서 수행하였다.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37
Figure pct00174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6.10 ㎕, 0.08 mmol)를 -70℃까지 냉각된 DCM(2 ㎖) 중 8-(3-클로로-1-플루오로-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35 ㎎, 0.08 mmol) 및 트리에틸아민(10.47 ㎕, 0.08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미정제 산물을 물(1 부피%의 NH4OH(H2O 중 28% 내지 30%) 함유) 및 MeCN의 극성이 감소하는 혼합물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CSH C18 OBD 칼럼, 30 × 100 ㎜ id, 5마이크론 입자 크기). 얕은 구배: 30% 내지 60% MeCN. 검출 UV @ 254 nm.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의 거울상이성질체 2, 회전장애이성질체 2(13.3 ㎎, 34%)를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85 - 2.02 (1H, m), 2.05 (3H, s), 2.16 - 2.27 (1H, m), 3.62 - 3.99 (6H, m), 4.29 - 4.57 (3H, m), 5.68 - 5.77 (1H, m), 6.17 (1H, d), 6.59 (1H, d), 6.71 - 6.86 (1H, m), 7.08 - 7.19 (1H, m), 7.65 - 7.78 (2H, m), 8.52 (1H, s), 10.87 (1H, s), 19F NMR (376 MHz, DMSO, 30℃) -131.09, -130.89, m/z (ES+), [M+H]+ 520,522. 분석용 키랄 SFC 분석을 Phenomonex C3, 3.0 × 150 ㎜, 3마이크론 칼럼, 용출액 25% MeOH + 0.1% NH3/75% scCO2, 유속: 2.0 ㎖/분, BPR 120 bar, 칼럼 온도 40℃, rT 0.89분 상에서 수행하였다.
2-아미노-4-브로모-5-클로로-3,6-디플루오로벤조산
Figure pct00175
N-클로로숙신이미드(5.30 g, 39.68 mmol)를 rt에서 진한 H2SO4(80 ㎖) 중 2-아미노-4-브로모-3,6-디플루오로벤조산(5 g, 19.84 mmol)에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16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얼음 내로 부었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2-아미노-4-브로모-5-클로로-3,6-디플루오로벤조산(4.50 g, 79%)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7.78 (2H, br s). m/z: ES+ [M+H]+ = 286.
7-브로모-6-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176
2-아미노-4-브로모-5-클로로-3,6-디플루오로벤조산(4.5 g, 15.71 mmol)을 rt에서 iPrOH(40 ㎖) 및 에탄올(40 ㎖) 중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19.63 g, 188.5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하룻밤 동안 100℃에서 교반한 후 rt까지 냉각하고, 수중으로 붓고,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400 ㎖)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7-브로모-6-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3.70 g, 80%)을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8.20 (1H, s), 12.67 (1H, s). m/z: ES+ [M+H]+ = 295.
메틸 N -벤질- D -알라니네이트
Figure pct00177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11.0 g, 291 mmol)를 0℃에서 MeOH(1 ℓ) 중 메틸 D-알라니네이트(30 g, 290 mmol), 트리에틸아민(162 ㎖, 1160 mmol) 및 벤즈알데하이드(61.7 g, 581.8 mmol)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200 ㎖)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고(3 × 100 ㎖),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30% EtOAc) 메틸 N-벤질-D-알라니네이트(42.1 g, 75%)를 무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31 (3H, d), 3.54 (3H, s), 4.02-4.07 (1H, m), 4.53 (2H, s), 7.22-7.26 (5H, m). m/z: ES+ [M+H]+ = 194.
메틸 (3 S )-4-{벤질[(2 R )-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178
4-메틸모르폴린(12.6 g, 124 mmol)을 0℃에서 THF(250 ㎖) 중 (2S)-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톡시-4-옥소부탄산(30.7 g, 124 mmol) 및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5.55 g, 113.8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한 후 0℃에서 THF(250 ㎖) 중 메틸 N-벤질-D-알라니네이트(20 g, 10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6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50% EtOAc) 메틸 (3S)-4-{벤질[(2R)-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4.9 g, 11%)를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47 (9H, s), 1.47-1.52 (3H, s), 2.39-2.54 (1H, m), 2.64-2.89 (1H, m), 3.44-3.64 (7H, m), 3.93-4.29 (1H, m), 4.57-4.90 (2H, m), 7.01-7.76 (6H, m). m/z: ES+ [M+H]+ = 423.
메틸 [(2 S ,5 R )-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
Figure pct00179
TFA(8.94 ㎖, 116 mmol)를 0℃에서 DCM(50 ㎖) 중 메틸 (3S)-4-{벤질[(2R)-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4.9 g, 1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물을 포화 수성 Na2CO3(100 ㎖) 중에 용해시키고 2 h 동안 rt에서 교반한 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수중 0% 내지 70% MeOH), 메틸 [(2S,5R)-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2.8 g, 83%)를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43 (3H, d), 2.73-2.98 (2H, m), 3.64 (3H, s), 3.65-3.72 (1H, m), 4.07-4.21 (1H, m), 4.51 (1H, t), 4.84-5.07 (1H, m), 7.22-7.41 (5H, m), 8.30 (1H, s). m/z: ES+ [M+H]+ = 291.
2-[(2 S ,5 R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
Figure pct00180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2.93 g, 77.2 mmol)를 0℃에서 THF(50 ㎖) 중 메틸 [(2S,5R)-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2.8 g, 9.6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h 동안 0℃에서, 이어서 다시 2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7.8 ㎖) 및 15% NaOH(23.5 ㎖)로 켄칭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노란색 오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수중 0% 내지 55% MeOH), 2-[(2S,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2.02 g, 89%)을 무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9 (3H, d), 1.16-1.43 (2H, m), 1.48-1.69 (1H, m), 2.01-2.24 (1H, m), 2.29-2.40 (1H, m), 2.47-2.63 (2H, m), 2.70-2.85 (1H, m), 2.93-3.11 (1H, m), 3.25-3.58 (4H, m), 4.00 (1H, d), 7.24-7.38 (5H, m). m/z: ES+ [M+H]+ = 235.
5-{2-[(2 S ,5 R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181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725 g, 18.1 mmol)를 0℃에서 THF(200 ㎖) 중 2-[(2S,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2.142 g, 7.2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7-브로모-6-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2.14 g, 7.2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 ㎖)로 켄칭하고 2 M HCl로 pH = 7까지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200 ㎖)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60% MeCN) 5-{2-[(2S,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75 g, 47%)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1.30 (3H, d), 1.83-2.02 (2H, m), 2.88-2.96 (1H, m), 2.97-3.07 (1H, m), 3.17-3.25 (1H, m), 3.66-3.97 (4H, m), 3.97-4.04 (1H, m), 4.04-4.11 (1H, m), 4.15-4.27 (1H, m), 7.26-7.36 (5H, m), 8.22 (1H, s). m/z: ES+ [M+H]+ = 509.
(6a S ,9 R )-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
Figure pct00182
테트라클로로메탄(1.609 ㎖, 16.67 mmol)을 rt에서 1,2-디클로로에탄(50 ㎖) 중 5-{2-[(2S,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7 g, 3.33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62 g, 10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80% MeCN), (6aS,9R)-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0.68 g, 42%)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1.15 (3H, d), 1.75-1.90 (1H, m), 2.29-2.56 (3H, m), 2.80-2.85 (1H, m), 3.05-3.21 (2H, m), 3.46-3.56 (1H, m), 3.71-3.92 (2H, m), 4.25-4.50 (2H, m), 7.25-7.37 (5H, m), 8.44 (1H, s). m/z: ES+ [M+H]+ = 491.
2-[(6a S ,9 R )-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183
RuPhos-Pd-G3(187 ㎎, 0.22 mmol)을 1,4-디옥산/H2O(30 ㎖, 4:1 비) 중 (6aS,9R)-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550 ㎎, 1.12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436 ㎎, 2.80 mmol), Na2CO3(474 ㎎, 4.47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104 ㎎, 0.2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80% 내지 100% EtOAc) 2-[(6aS,9R)-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480 ㎎, 82%)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0.95-1.03 (3H, m), 1.85-1.90 (2H, m), 2.30-2.54 (1H, m), 2.74-2.92 (1H, m), 3.05-3.19 (1H, m), 3.48-3.51 (1H, m), 3.77-4.19 (3H, m), 4.31-4.52 (3H, m), 7.05-7.13 (1H, m), 7.22-7.42 (5H, m), 7.46-7.54 (2H, m), 8.48 (1H, s). m/z: ES+ [M+H]+ = 523.
2-((3 R ,14a S )-11-클로로-9-플루오로-3-메틸-1,3,4,13,14,14a-헥사하이드로-2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10-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184
THF(10 ㎖) 중 10% 탄소 상 팔라듐(1.02 g, 0.96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222 ㎖, 0.96 mmol) 및 2-[(6aS,9R)-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500 ㎎, 0.96 mmol)을 1 h 동안 1 atm의 수소 분위기 하에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DCM(10 ㎖) 중에 용해시키고 1,4-디옥산 중 4 M HCl(1.2 ㎖, 4.7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40% MeCN) 2-((3R,14aS)-11-클로로-9-플루오로-3-메틸-1,3,4,13,14,14a-헥사하이드로-2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10-일)-3-플루오로페놀(350 ㎎, 85%)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0.98-1.16 (3H, m), 1.74-1.90 (1H, m), 1.95-2.05 (1H, m), 2.56-2.81 (1H, m), 2.89-3.01 (1H, m), 3.01-3.45 (2H, m), 3.61-3.70 (1H, m), 3.86-4.06 (1H, m), 4.20-4.31 (2H, m), 6.73-6.88 (2H, m), 7.34-7.35 (1H, m), 8.64 (1H, s), 10.20 (1H, s). m/z: ES+ [M+H]+ = 433.
1-[(6a S ,9 R )-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38;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39)
Figure pct00185
DMF(0.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32.2 ㎎, 0.36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3.0 ㎖) 중 2-((3R,14aS)-11-클로로-9-플루오로-3-메틸-1,3,4,13,14,14a-헥사하이드로-2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10-일)-3-플루오로페놀(220 ㎎, 0.51 mmol) 및 DIPEA(0.133 ㎖, 0.76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h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 ㎖)로 켄칭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1% NH4HCO3) 중 0% 내지 40% MeCN), 2개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얻은 후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IE, 2×25 ㎝, 5 ㎛; 이동상 A: Hex(8 mmol/ℓ NH3.MeOH)--HPLC, 이동상 B: EtOH--HPLC; 유속: 20 ㎖/분; 구배: 16분 내에 30 B에서 30 B로; 220/254 nm; RT1: 9.899; RT2: 13.349).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하여 첫 번째 회전장애이성질체 1, 1-[(6aS,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38, 33 ㎎, 13%)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12-1.23 (3H, m), 1.82-2.06 (1H, m), 3.15-3.27 (0.5H, m), 3.43-3.72 (1.5H, m), 3.86-4.04 (2H, m), 4.19-4.52 (3H, m), 4.54-5.08 (2H, m), 5.74 (1H, d), 6.18 (1H, d), 6.73-6.93 (3H, m), 7.34-7.35 (1H, m), 8.45 (1H, s), 10.15 (1H, s). m/z: ES+ [M+H]+ = 487. 여기에 회전장애이성질체 2, 1-[(6aS,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39, 33 ㎎, 13%)이 흰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DMSO) 1.18-1.28 (3H, m), 1.83-2.15 (1H, m), 3.13-3.27 (0.5H, m), 3.43-3.69 (1.5H, m), 3.88-4.04 (2H, m), 4.19-4.52 (3H, m), 4.55-5.05 (2H, m), 5.74 (1H, d), 6.18 (1H, d), 6.74-6.97 (3H, m), 7.34-7.35 (1H, m), 8.45 (1H, s), 10.19 ( H, d). m/z: ES+ [M+H]+ = 487.
메틸 (3 S )-4-{벤질[(2 S )-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186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5.55 g, 113.84 mmol)를 0℃에서 THF(100 ㎖) 중 (2R)-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톡시-4-옥소부탄산(30.7 g, 124 mmol) 및 4-메틸모르폴린(12.56 g, 124.1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한 후 THF(10 ㎖) 중 메틸 N-벤질-D-알라니네이트(20 g, 100 mmol)의 용액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0 ㎖)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100 ㎖),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10% 내지 25% EtOAc) 메틸 (3R)-4-{벤질[(2R)-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5.6 g, 13%)를 노란색 액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1.34 (9H, s), 1.45 (3H, d), 2.53-2.66 (1H, m), 2.77-2.94 (1H, m), 3.65 (3H, s), 3.67 (3H, s), 3.97-4.09 (1H, m), 4.65-4.76 (1H, m), 4.80-4.95 (1H, m), 5.01-5.07 (1H, m), 7.17-7.52 (5H, m). m/z: ES+ [M+H]+ = 423.
메틸 [(2 R ,5 R )-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
Figure pct00187
1,4-디옥산 중 4 M HCl(4.97 ㎖, 19.9 mmol)을 rt에서 MeOH(20 ㎖) 중 메틸 (3R)-4-{벤질[(2R)-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5.6 g, 13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2CO3(50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rt에서 교반한 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수중 0% 내지 70% MeOH) 메틸 [(2R,5R)-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2.5 g, 65%)를 무색 액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1.53 (3H, d), 2.82-3.05 (2H, m), 3.74 (3H, s), 3.87-4.01 (1H, m), 4.37 (1H, d), 4.41-4.47 (1H, m), 5.06 (1H, d), 7.18-7.41 (5H, m). m/z: ES+ [M+H]+ = 291.
2-[(2 R ,5 R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
Figure pct00188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2.61 g, 68.89 mmol)를 0℃에서 THF(50 ㎖) 중 메틸 [(2R,5R)-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2.5 g, 8.6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h 동안 0℃에서 이어서 다시 4 h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6 ㎖) 및 15% 수성 NaOH(7.8 ㎖)로 켄칭하고, DCM(200 ㎖)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증발 건조하여 2-[(2R,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1.8 g, 89%)을 노란색 액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1.11 (3H, d), 1.57-1.83 (2H, m), 2.35-2.44 (2H, m), 2.69-2.80 (2H, m), 2.85-2.98 (2H, m), 3.44 (1H, d), 3.52-3.64 (2H, m), 3.73 (1H, d), 7.19-7.39 (5H, m). m/z: ES+ [M+H]+ = 235.
5-{2-[(2 R ,5 R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189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447 g, 18.6 mmol)를 0℃에서 THF(50 ㎖) 중 2-[(2R,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1.745 g, 7.4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7-브로모-6-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2.2 g, 7.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h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 ㎖)로 켄칭하고, 2 M HCl로 pH = 7까지 산성화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200 ㎖),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이를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70% MeCN) 5-{2-[(2R,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8 g, 47%)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1.11 (3H, m), 1.68-1.87 (1H, m), 1.87-2.11 (1H, m), 2.28-2.42 (2H, m), 2.66-2.86 (3H, m), 2.85-3.17 (2H, m), 3.86-4.09 (2H, m), 4.10-4.20 (1H, m), 7.25-7.34 (5H, m), 8.16 (1H, s). m/z: ES+ [M+H]+ = 509.
(6a R ,9 R )-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
Figure pct00190
테트라클로로메탄(1.703 ㎖, 17.65 mmol)을 rt에서 1,2-디클로로에탄(20 ㎖) 중 5-{2-[(2R,5R)-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8 g, 3.53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78 g, 10.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90% MeOH) (6aR,9R)-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0.42 g, 24%)을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14-1.25 (3H, m), 2.11-2.21 (1H, m), 2.35-2.41 (1H, m), 2.56-2.67 (2H, m), 2.96-3.12 (2H, m), 3.54-3.62 (2H, m), 3.68-3.77 (1H, m), 3.95-4.06 (1H, m), 4.23-4.44 (1H, m), 4.93-5.04 (1H, m), 7.07-7.36 (5H, m), 8.38 (1H, s). m/z: ES+ [M+H]+ = 491.
2-[(6a R ,9 R )-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191
RuPhos-Pd-G3(119 ㎎, 0.14 mmol)을 1,4-디옥산/H2O(15 ㎖; 4:1 비) 중 (6aR,9R)-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350 ㎎, 0.71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277 ㎎, 1.78 mmol), Na2CO3(302 ㎎, 2.85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66.4 ㎎, 0.1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60% 내지 80% EtOAc) 2-[(6aR,9R)-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365 ㎎, 98%)을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1.02 (3H, d), 1.81-1.94 (1H, m), 2.23-2.32 (1H, m), 2.49-2.79 (3H, m), 3.03-3.18 (2H, m), 3.79-3.92 (1H, m), 4.12-4.20 (1H, m), 4.40-4.52 (2H, m), 5.13-5.21 (1H, m), 6.65-6.81 (3H, m), 7.27-7.37 (5H, m), 8.36 (1H, s). m/z: ES+ [M+H]+ = 523.
2-[(6a R ,9 R )-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192
THF(20 ㎖) 중 10% 탄소 상 팔라듐(712 ㎎, 0.67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311 ㎖, 1.34 mmol) 및 2-[(6aR,9R)-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350 ㎎, 0.67 mmol)을 1 h 동안 1 atm의 수소 분위기 하에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20 ㎖)으로 희석하였다. 1,4-디옥산 중 4 M HCl(0.84 ㎖, 3.3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칼럼을 7 M NH3/MeOH로 용출하여 2-[(6aR,9R)-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310 ㎎, 100% 초과)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8 (3H, d), 1.35-1.71 (5H, m), 1.74-2.29 (1H, m), 3.10-3.31 (2H, m), 3.95-4.20 (1H, m), 4.30-4.56 (1H, m) 6.63 (1H, d), 6.71-6.82 (1H, m), 6.85-7.01 (1H, m), 8.48 (1H, s). m/z: ES+ [M+H]+ = 433.
1-[(6a R ,9 R )-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0;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41)
Figure pct00193
DMF(0.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43.1 ㎎, 0.48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2.5 ㎖) 중 2-[(6aR,9R)-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300 ㎎, 0.69 mmol) 및 DIPEA(0.12 ㎖, 0.69 mmol)의 교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h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0.5 ㎖)로 켄칭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40% MeCN) 2개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얻은 후 이를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IA, 2×25 ㎝, 5 ㎛; 이동상 A:Hex--HPLC, 이동상 B: IPA--HPLC; 유속: 20 ㎖/분; 구배: 18분 내에 30 B에서 30 B로; 254/220 nm; RT1: 9.284; RT2: 13.389). 이로써 회전장애이성질체 1, 1-[(6aR,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40, 5 ㎎, 1%)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CN) 1.18-1.33 (3H, m), 1.67-1.81 (1H, m), 2.26-2.33 (1H, m), 2.93-3.48 (2H, m), 3.48-4.47 (3H, m), 4.53-4.83 (3H, m), 5.49-5.74 (1H, m), 6.05 (1H, d), 6.42-6.62 (1H, m), 6.74-6.96 (2H, m), 7.30-7.44 (1H, m), 8.47 (1H, s). m/z: ES+ [M+H]+ = 487. 여기에 회전장애이성질체 2, 1-[(6aR,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실시예 41, 30 ㎎, 9%)이 흰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3CN) 1.16-1.38 (3H, m), 1.70-1.80 (1H, m), 2.25-2.40 (1H, m), 2.92-3.44 (2H, m), 3.56-4.46 (3H, m), 4.57-4.76 (3H, m), 5.48-5.70 (1H, m), 6.05 (1H, d), 6.48-6.59 (1H, m), 6.78-6.91 (2H, m), 7.34 -7.44 (1H, m), 8.40-8.51 (1H, m). m/z: ES+ [M+H]+ = 487.
메틸 N -벤질- L -알라니네이트
Figure pct00194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11.01 g, 290.92 mmol)를 0℃에서 MeOH(1 ℓ) 중 메틸 L-알라니네이트(30 g, 290 mmol), 트리에틸아민(162 ㎖, 1160 mmol) 및 벤즈알데하이드(61.7 g, 582 mmol)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200 ㎖)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고(3 × 100 ㎖),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 건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30% EtOAc) 메틸 N-벤질-L-알라니네이트(45 g, 80%)를 무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1.33 (3H, d), 3.32-3.46 (1H, m), 3.74 (3H, s), 4.66 (2H, s), 7.34-7.45 (5H, m). m/z: ES+ [M+H]+ = 194.
메틸 (3 S )-4-{벤질[(2S)-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 tert -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Figure pct00195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9.44 g, 142.3 mmol)를 0℃에서 THF(50 ㎖) 중 (2S)-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메톡시-4-옥소부탄산(32 g, 130 mmol) 및 4-메틸모르폴린(15.7 g, 155.2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한 후, THF(20 ㎖) 중 메틸 N-벤질-L-알라니네이트(25 g, 130 mmol)의 용액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고(3 × 200 ㎖),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노란색 액체를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0% 내지 30% EtOAc) 메틸 (3S)-4-{벤질[(2S)-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20 g, 37%)를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1.31-1.38 (3H, m), 1.45 (9H, s), 2.77-3.09 (2H, m), 3.46 (2H, s), 3.59-3.72 (6H, m), 4.49-4.72 (1H, m), 5.16-5.21 (1H, m), 7.29-7.43 (5H, m). m/z: ES+ [M+H]+ = 423.
메틸 [(2 S ,5 S )-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
Figure pct00196
TFA(54 g, 470 mmol)를 rt에서 DCM(100 ㎖) 중 메틸 (3S)-4-{벤질[(2S)-1-메톡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3-[(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20 g, 4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 h 동안 rt에서 교반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물을 포화 수성 NaHCO3(200 ㎖) 중에 재용해시켰다. 용액을 2 h 동안 rt에서 교반한 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수중 0% 내지 60% MeCN) 메틸 [(2S,5S)-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6.5 g, 47%)를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1.50 (3H, d), 2.68-2.81 (2H, m), 3.70-3.71 (1H, m), 3.74 (3H, s), 3.97-4.06 (1H, m), 4.41-4.54 (1H, m), 5.25-5.31 (1H, m), 7.22-7.37 (6H, m). m/z: ES+ [M+H]+ = 291.
2-[(2 S ,5 S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
Figure pct00197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6.80 g, 179 mmol)를 0℃에서 THF(20 ㎖) 중 메틸 [(2S,5S)-4-벤질-5-메틸-3,6-디옥소피페라진-2-일]아세테이트(6.5 g, 22 mmol)의 용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5 h 동안 0℃에서, 이어서 다시 4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6.5 ㎖) 및 15% 수성 NaOH(19.5 ㎖)로 켄칭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DCM으로 세척하여(3 × 100 ㎖) 증발 후 2-[(2S,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4.6 g, 88%)을 담황색 액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1.07 (3H, d), 1.42-1.50 (1H, m), 2.25-2.32 (1H, m), 2.34-2.44 (2H, m), 2.65-2.87 (3H, m), 2.92-3.05 (2H, m), 3.35-3.48 (1H, m), 3.69-3.82 (3H, m), 4.71 (1H, s), 7.32-7.35 (3H, m), 7.37-7.40 (2H, m). m/z: ES+ [M+H]+ = 235.
5-{2-[(2 S ,5 S )-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198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85 g, 21 mmol)를 0℃에서 THF(20 ㎖) 중 2-[(2S,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탄-1-올(2 g, 8.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7-브로모-6-클로로-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2.52 g, 8.5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 h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 ㎖)로 켄칭하고 2H HCl로 pH = 7까지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 × 100 ㎖). 유기층을 조합하고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DCM 중 0% 내지 10% MeOH) 5-{2-[(2S,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4 g, 32%)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17 (3H, d), 2.14-2.25 (1H, m), 2.46-2.51 (2H, m), 2.71-2.94 (3H, m), 3.11-3.25 (1H, m), 3.45 (1H, d), 3.69 (1H, d), 3.89-4.24 (3H, m), 7.31-7.45 (5H, m, 8.19 (1H, s). m/z: ES+ [M+H]+ = 509.
(6a S ,9 S )-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
Figure pct00199
테트라클로로메탄(1.33 ㎖, 13.7 mmol)을 rt에서 1,2-디클로로에탄(20 ㎖) 중 5-{2-[(2S,5S)-4-벤질-5-메틸피페라진-2-일]에톡시}-7-브로모-6-클로로-8-플루오로퀴나졸린-4-올(1.4 g, 2.8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16 g, 8.24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HCO3) 중 0% 내지 80% MeCN) (6aS,9S)-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0.45 g, 33%)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20 (3H, d), 1.58-1.81 (1H, m), 2.14-2.24 (1H, m), 2.40-2.45 (1H, m), 2.63-2.71 (2H, m), 3.06-3.21 (3H, m), 3.61-3.86 (1H, m), 4.03-4.10 (1H, m), 4.19-4.49 (1H, m), 5.01-5.12 (1H, m), 7.31-7.45 (5H, m), 8.40 (1H, s). m/z: ES+ [M+H]+ = 491.
2-[(6a S ,9 S )-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200
RuPhos-Pd-G3(153 ㎎, 0.18 mmol)을 1,4-디옥산/H2O(8 ㎖)(4:1 비) 중 (6aS,9S)-8-벤질-2-브로모-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450 ㎎, 0.92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357 ㎎, 2.29 mmol), Na2CO3(388 ㎎, 3.66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85 ㎎, 0.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석유 에테르 중 40% 내지 60% EtOAc) 2-[(6aS,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260 ㎎, 54%)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20 (3H, d), 0.94 (3H, d), 1.54-1.79 (3H, m), 2.26-2.31 (1H, m), 2.67-2.71(1H, m), 3.03-3.19 (2H, m), 3.36-3.62 (1H, m), 3.81-3.85 (1H, m), 4.03-4.05 (1H, m), 4.28-4.45 (2H, m), 6.64 (1H, d), 6.73-6.87 (1H, m), 7.18-7.28 (1H, m), 7.29-7.38 (5H, m), 8.42 (1H, s), 10.16 (1H, d). m/z: ES+ [M+H]+ = 523.
2-[(6a S ,9 S )-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201
THF(10 ㎖) 중 10% 탄소 상 팔라듐(509 ㎎, 0.48 mmol),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0.111 ㎖, 0.48 mmol) 및 2-[(6aS,9S)-8-벤질-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250 ㎎, 0.48 mmol)을 1 h 동안 1 atm 및 rt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을 통해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10.00 ㎖)으로 희석하고 TFA(0.37 ㎖, 4.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7 M NH3/MeOH로의 용출로 2-[(6aS,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200 ㎎, 97%)을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40 (3H, d), 1.88-1.99 (1H, m), 2.63-2.78 (1H, m), 3.17-3.30 (4H, m), 4.02-4.09 (1H, m), 4.37-4.50 (2H, m), 5.07-5.15 (1H, m), 6.78 (1H, t), 6.89 (1H, d), 7.34-7.45 (1H, m), 8.51 (1H, s), 10.30 (1H, s). m/z: ES+ [M+H]+ = 433.
1-[(6a S ,9 S )-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 H -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2;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43)
Figure pct00202
DMF(0.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37.6 ㎎, 0.42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3.0 ㎖) 중 2-[(6aS,9S)-3-클로로-1-플루오로-9-메틸-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3-플루오로페놀(200 ㎎, 0.46 mmol) 및 DIPEA(0.12 ㎖, 0.69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 ㎖)로 켄칭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1% NH4HCO3) 중 0% 내지 40% MeCN) 2개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얻은 후 칼럼: (R,R)Whelk-01, 21.1×250 ㎜, 5 ㎛; 이동상 A: Hex(8 mmol/ℓ NH3.MeOH)--HPLC, 이동상 B: EtOH-HPLC; 유속: 20 ㎖/분; 구배: 20분 내에 50 B에서 50 B로; 220/254 nm; RT1: 12.723; RT2: 15.375 상에서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로써 1-[(6aS,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42, 25 ㎎, 25%)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3CN) 1.13-1.35 (3H, m), 1.63-1.87 (1H, m), 2.24-2.46 (1H, m), 2.87-3.46 (2H, m), 3.50-4.09 (2H, m), 4.15-4.81 (4H, m), 5.46-5.66 (1H, m), 6.04 (1H, d), 6.53 (1H, dd), 6.76-6.94 (2H, m), 7.29-7.48 (1H, m), 8.35 (1H, d). m/z: ES+ [M+H]+ = 487. 여기에 1-[(6aS,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43, 8 ㎎, 8%)가 흰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3CN) 1.13-1.35 (3H, m), 1.52-1.86 (2H, m), 2.90-4.09 (4H, m), 4.13-4.89 (4H, m), 5.48-5.70 (1H, m), 6.06 (1H, d), 6.55 (1H, dd), 6.75-6.98 (2H, m), 7.26-7.47 (1H, m), 8.49 (1H, s). m/z: ES+ [M+H]+ = 487.
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아닐린
Figure pct00203
N-클로로숙신이미드(2.76 g, 20.67 mmol)를 rt에서 MeCN(20 ㎖) 중 3-브로모-4,5-디플루오로아닐린(4.3 g, 21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하룻밤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MeCN(1% NH4HCO3) 중 0% 내지 20% MeOH) 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아닐린(3.5 g, 70%)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5.80 (2H, s), 6.82 (1H, dd). m/z: ES+ [M+H]+ = 242.
2- N -(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204
물(40 ㎖), EtOH(70 ㎖) 및 11.65 M HCl(30 ㎖) 중 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아닐린(3.5 g, 14.44 mmol), 클로랄 수화물(1.27 g, 18.4 mmol) 및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1 g, 43.3 mmol)의 용액을 rt에서 물(400 ㎖) 중 나트륨 설페이트(13.94 g, 98.17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rt까지 냉각하고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2-N-(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4 g, 88%)를 베이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7.61 (1H, s), 8.05 (1H, s), 8.51 (1H, dd), 8.95 (1H, s).
6-브로모-7-클로로-4,5-디플루오로-1H-인돌-2,3-디온
Figure pct00205
2-N-(3-브로모-2-클로로-4,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이미노)아세트아미드(4 g, 13 mmol)를 rt에서 진한 H2SO4(30 ㎖, 560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rt까지 냉각한 후 혼합물을 얼음 상으로 붓고, 형성된 침전을 여과해내고,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하여 6-브로모-7-클로로-4,5-디플루오로-1H-인돌-2,3-디온(3.7 g, 98%)을 암적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1.81 (1H, s). m/z: ES- [M+H]- = 294.
2-아미노-4-브로모-3-클로로-5,6-디플루오로벤조산
Figure pct00206
과산화수소(6.37 ㎖, 62.4 mmol)를 rt에서 2 M NaOH(56.2 ㎖, 112 mmol) 중 6-브로모-7-클로로-4,5-디플루오로-1H-인돌-2,3-디온(3.7 g, 1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과량의 Na2SO3로 켄칭하였다. 수성층을 2 M HCl로 pH 7까지 조정하고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수중 0% 내지 50% MeOH) 2-아미노-4-브로모-3-클로로-5,6-디플루오로벤조산(2.85 g, 80%)을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5.83 (2H, s). m/z: ES+ [M+H]+ = 286.
7-브로모-8-클로로-5,6-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
Figure pct00207
포름이미드아미드 아세테이트(12.43 g, 119.4 mmol)를 rt에서 에탄올(20 ㎖) 및 이소프로판올(20 ㎖) 중 2-아미노-4-브로모-3-클로로-5,6-디플루오로벤조산(2.85 g, 9.9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100 ㎖) 중에 현탁하였다. 침전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3 × 10 ㎖), 진공 하에 건조하여 7-브로모-8-클로로-5,6-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1.9 g, 65%)을 황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8.23 (1H, s). m/z: ES+ [M+H]+ = 295.
tert -부틸 (3 S )-3-{[(7-브로모-8-클로로-6-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08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86 g, 21 mmol)를 rt에서 THF(40 ㎖) 중 tert-부틸 (3S)-3-(하이드록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244 g, 5.75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분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7-브로모-8-클로로-5,6-디플루오로퀴나졸린-4-올(1.7 g, 5.75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 ㎖)로 켄칭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 HCl로 pH = 7까지 조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TFA) 중 0% 내지 65% MeOH) tert-부틸 (3S)-3-{[(7-브로모-8-클로로-6-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65 g, 58%)를 갈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35 (9H, s), 2.62-3.07 (2H, m), 3.11-3.19 (2H, m), 3.20-3.76 (1H, m), 3.80-3.88 (1H, m), 3.98-4.29 (3H, m), 8.23 (1H, s). m/z: ES+ [M+H]+ = 491.
tert -부틸 (8a S )-5-브로모-4-클로로-6-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09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49 g, 6.71 mmol)를 rt에서 아세토니트릴(20 ㎖) 중 tert-부틸 (3S)-3-{[(7-브로모-8-클로로-6-플루오로-4-하이드록시퀴나졸린-5-일)옥시]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65 g, 3.36 mmol) 및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스-7-엔(1.01 ㎖, 6.71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표준 워크업 후, 미정제 산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포름산) 중 0% 내지 40% MeCN) tert-부틸 (8aS)-5-브로모-4-클로로-6-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82 g, 52%)를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1.52 (9H, s), 1.82-2.04 (3H, m), 3.03-3.56 (3H, m), 3.96-5.27 (3H, m), 8.82 (1H, s). m/z: ES+ [M+H]+ =473.
tert -부틸 (8a S )-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10
RuPhos-Pd-G3(70.6 ㎎, 0.08 mmol)을 1,4-디옥산/H2O(5 ㎖; 4:1 비) 중 tert-부틸 (8aS)-5-브로모-4-클로로-6-플루오로-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400 ㎎, 0.84 mmol), (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329 ㎎, 2.11 mmol), 칼륨 카보네이트(350 ㎎, 2.53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39.4 ㎎, 0.0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60% EtOAc)에 이어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TFA) 중 0% 내지 35% MeOH) tert-부틸 (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50 ㎎, 35%)를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1.53 (9H, s), 3.22-3.35 (2H, m), 3.88-4.00 (1H, m), 4.04-4.22 (3H, m), 4.45-4.64 (2H, m), 4.92-5.06 (1H, m), 6.57 (1H, d), 6.77 (1H, t), 6.88 (1H, d), 8.71 (1H, d). m/z: ES+ [M+H]+ = 505.
2-[(8a S )-4-클로로-6-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
Figure pct00211
1,4-디옥산 중 4 M HCl(2 ㎖, 66 mmol)을 MeOH(0.5 ㎖) 중 tert-부틸 (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50 ㎎, 0.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TFA) 중 0% 내지 38% MeOH)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이를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7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여 2-[(8aS)-4-클로로-6-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20 ㎎, 99%)을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3.05-3.20 (1H, m), 3.27-3.46 (3H, m), 3.49-3.63 (1H, m), 4.22-4.36 (1H, m), 4.60-4.81 (2H, m), 5.04-5.19 (1H, m), 6.74-6.92 (2H, m), 7.29-7.44 (1H, m), 8.69 (1H, s), 10.36 (1H, s). m/z: ES+ [M+H]+ = 405.
1-[(8a S )-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4;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45)
Figure pct00212
DMF(0.5 ㎖) 중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26.82 ㎎, 0.29 mmol)의 용액을 0℃에서 DMF(2.00 ㎖) 중 2-[(8aS)-4-클로로-6-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3-플루오로페놀(120 ㎎, 0.29 mmol) 및 DIPEA(0.1 ㎖, 0.58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0℃에서 교반하고 C18-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물(0.1% NH4OH) 중 0% 내지 40% MeOH) 2개의 회전장애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얻은 후 이를 칼럼: CHIRAL ART 셀룰로스-SB S-5 ㎛, 2×25 ㎝, 5 ㎛; 이동상 A: MTBE(10 mM NH3-MeOH)--HPLC, 이동상 B: IPA--HPLC; 유속: 20 ㎖/분; 구배: 22분 내에 30 B에서 30 B로; 254/220 nm; RT1: 13.164; RT2: 18.688) 상에서 분취용 키랄-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로써 1-[(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44, 32 ㎎, 24%)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2.98-3.20 (1H, m), 3.39-3.55 (1H, m), 4.03-4.19 (2H, m), 4.26-4.53 (2H, m), 4.58-4.74 (2H, m), 4.76-4.93 (1H, m), 5.76 (1H, dd), 6.19 (1H, dd), 6.76-6.94 (3H, m), 7.30-7.41 (1H, m), 8.63 (1H, s), 10.16-10.30 (1H, m). m/z: ES+ [M+H]+ = 459. 여기에 1-[(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45, 22 ㎎, 16%)가 흰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DMSO) 2.96-3.18 (1H, m), 3.37-3.57 (2H, m), 4.02-4.54 (3H, m), 4.61-4.74 (2H, m), 4.74-4.91 (1H, m), 5.76 (1H, dd), 6.19 (1H, dd), 6.69-6.94 (3H, m), 7.28-7.40 (1H, m), 8.63 (1H, s), 10.36 (1H, s). m/z: ES+ [M+H]+ = 459.
메틸 N -[(벤질옥시)카보닐]- D -세릴- D -알라니네이트
Figure pct00213
DCM(573 ㎖) 중 메틸 D-알라니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21 g, 130.5 mmol) 및 ((벤질옥시)카보닐)-D-세린(31.2 g, 130.5 mmol)의 현탁액을 얼음조에서 냉각하고 3-(((에틸이미노)메틸렌)아미노)-N,N-디메틸프로판-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 g, 160 mmol)를 첨가하였다. DIPEA(80 ㎖, 460 mmol)를 20분에 걸쳐 적가한 후 용액을 하룻밤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무색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EtOAc(375 ㎖)중에 용해시키고 1:1 물/수성 포화 NaHCO3(470 ㎖)로 세척하였다. 유기 부분을 수집하고, 수성 부분을 추가 EtOAc(375 ㎖)로 세척하였다. 조합한 유기층을 수성 2 M HCl(250 ㎖), 염수(25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농축하여 메틸 N-[(벤질옥시)카보닐]-D-세릴-D-알라니네이트(38.8 g, 92%)를 무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MeOD, 30℃) 1.38 (3H, d), 3.70 (3H, d), 3.77 (2H, q), 4.24 (1H, t), 4.45 (1H, q), 5.11 (2H, s), 7.23 - 7.44 (5H, m). m/z: ES+ [M+H]+ 325.
(3 R ,6 R )-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
Figure pct00214
메틸 N-[(벤질옥시)카보닐]-D-세릴-D-알라니네이트(38.76 g, 119.5 mmol)에 10% 탄소 상 팔라듐(1.925 g, 9.32 mmol), MeOH(130 ㎖) 및 사이클로헥센(78 ㎖, 77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메탄올(45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h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고온인 동안), 고온 메탄올로 세척하였다(2 × 150 ㎖). 여액을 농축하여 흰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아세토니트릴(170 ㎖)로 분쇄하고, 여과하고, 아세토니트릴(86 ㎖)로 세척하고, 1 h 동안 4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여 (3R,6R)-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16.09 g, 85%)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30℃) 1.32 (3H, d), 3.51 (1H, ddd), 3.67 - 3.78 (2H, m), 3.81 (1H, dddd), 5.05 (1H, t), 7.83 (1H, s), 8.08 (1H, s).
[(2 S ,5 R )-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215
(3R,6R)-3-(하이드록시메틸)-6-메틸피페라진-2,5-디온(14.77 g, 93.39 mmol)에 보란-THF 복합체(THF 중 1 M)(700 ㎖, 700 mmol)를 냉각하며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 시, 혼합물을 rt가 되게 한 후 18 h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가 되게 한 후 얼음조에서 냉각하였다. MeOH(185 ㎖)를 적가한 후 수성 5 M HCl(49 ㎖, 250 mmol)을 적가하였다. 첨가 시, 혼합물을 2 h 동안 7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이 rt까지 냉각되도록 한 후 얼음조에서 냉각하였다. 플라스크 벽 상에 검이 형성되었다. 용매를 경사분리하여 검을 남기고 THF(100 ㎖)로 긁어내었다. THF를 경사분리하고 생성된 검을 톨루엔으로 공비증류하여(3 × 100 ㎖) [(2S,5R)-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9.88 g, 52%)를 무색 반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30℃) 1.40 (3H, d), 3.14 (1H, dd), 3.26 (1H, dd), 3.32 - 3.39 (2H, m), 3.55 - 3.61 (1H, m), 3.69 - 3.76 (2H, m), 3.92 (1H, dd), 5.59 (1H, s), 9.97 (4H, d).
tert -부틸 (2 R ,5 S )-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16
[(2S,5R)-5-메틸피페라진-2-일]메탄올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9.88 g, 48.64 mmol)를 메탄올(50 ㎖) 중에 현탁하고 얼음조에서 냉각하였다. 트리에틸아민(21.02 ㎖, 150.8 mmol)을 첨가한 후 메탄올(75 ㎖) 중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25.5 g, 117 mmol)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용액을 30분 동안 얼음조에서 교반한 후 rt가 되게 하고 이어서 18 h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에탄올(200 ㎖)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1.5 M KOH(162 ㎖, 24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하룻밤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rt까지 냉각하고 수성 1 M HCl(약 150 ㎖)을 사용하여 pH 10으로 만들었다. 용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3 × 200 ㎖) 조합한 유기층을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tert-부틸 (2R,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9.5 g, 85%)를 무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0 (3H, d), 1.46 (9H, s), 2.00 (2H, d), 2.75 (2H, dd), 2.83 (1H, dd), 2.96 (1H, dd), 3.45 - 3.54 (1H, m), 3.62 - 3.7 (1H, m), 3.77 (1H, s), 4.18 (1H, s). m/z: ES+ [M+H]+ 321.
tert -부틸 (2 R ,5 S )-5-{[(7-브로모-8-플루오로-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17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액, 3.3 g, 82.55 mmol)를 rt에서 분자체(10 g)로 THF(340 ㎖) 중 tert-부틸 (2R,5S)-5-(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8.45 g, 36.7 mmol) 및 7-브로모-5,8-디플루오로퀴나졸린-4(3H)-온(9.58 g, 36.7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15분 동안 교반한 후 4 h 동안 6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rt까지 냉각되도록 한 후 물(50 ㎖)로 켄칭하였다. 분자체를 셀라이트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디에틸 에테르(100 ㎖)로 세척하였다. 조합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고 pH를 수성 2 M HCl로 pH 8까지 조정하였다.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2 × 200 ㎖). 조합한 추출물을 건조하고(MgSO4) 농축하여 tert-부틸 (2R,5S)-5-{[(7-브로모-8-플루오로-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0.88 g, 100% 초과)를 담갈색 폼으로 산출하였다. m/z: ES+ [M+H]+ 471.
tert -부틸 (8a S ,11 R )-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18
2,3,4,6,7,8,9,10-옥타하이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15.33 ㎖, 102.5 mmol)을 0℃에서에서 아세토니트릴(400 ㎖) 중 tert-부틸 (2R,5S)-5-{[(7-브로모-8-플루오로-4-옥소-3,4-디하이드로퀴나졸린-5-일)옥시]메틸}-2-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19.32 g, 40.99 mmol) 및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1-일)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27.7 g, 53.3 mmol)의 교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5분 동안 0℃에서, 이어서 16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EtOAc(50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300 ㎖) 및 염수(150 ㎖)로 순차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이를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헵탄 중 0% 내지 80%) tert-부틸 (8aS,11R)-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6.59 g, 36%)를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1 (3H, d), 1.49 (9H, s), 3.18 - 3.4 (2H, m), 3.75 (1H, d), 4.11 (1H, s), 4.34 (3H, d), 5.03 (1H, d), 7.16 (1H, d), 8.63 (1H, s). m/z: ES- [M-H]- 453.
tert -부틸 (8a S ,11 R )-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19
N-클로로숙신이미드(0.551 g, 4.13 mmol)를 rt에서 DMF(15 ㎖) 중 tert-부틸 (8aS,11R)-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7 g, 3.75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3 h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rt까지 냉각되도록 하고 현탁액을 물(57 ㎖)로 희석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19 ㎖)로 세척하고, 16 h 동안 50℃에서 진공 하에 건조하여 tert-부틸 (8aS,11R)-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67 g, 91%)를 노란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3 (3H, s), 1.50 (9H, s), 3.35 (2H, d), 3.81 (1H, s), 4.04 (1H, d), 4.44 (3H, dd), 4.95 (1H, s), 8.64 (1H, s). m/z: ES+ [M+H]+ 487.
[(8a S ,11 R )-10-( tert -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
Figure pct00220
디클로로메탄과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복합체(252 ㎎, 0.31 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2353 ㎎, 9.27 mmol) 및 칼륨 아세테이트(606 ㎎, 6.18 mmol)를 디옥산(45 ㎖) 중 tert-부틸 (8aS,11R)-5-브로모-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4 g, 3.09 mmol)의 교반 탈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7 h 동안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하고, 증발시키고, EtOAc(125 ㎖), 및 물(75 ㎖) 간에 분할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5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8aS,11R)-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3.09 mmol로 추정됨)을 방치 시 고화되는 갈색 오일로 산출하였다. m/z ES+ [M+H]+ 419.
tert -부틸 (8a S ,11 R )-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21
[(8aS,11R)-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0.862 g, 2.06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96 g, 0.21 mmol), RuPhos Pd-G3(0.172 g, 0.21 mmol), 칼륨 카보네이트(0.569 g, 4.12 mmol) 및 4-브로모-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0.608 g, 2.06 mmol)을 조합하였다. 1,4-디옥산(15 ㎖) 및 물(4.5 ㎖)의 탈기 혼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2 h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EtOAc(90 ㎖)로 희석하고, 2 M 수성 Na2CO3(2 × 45 ㎖), 염수(45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헵탄 중 0% 내지 100% EtOAc에 이어 DCM 중 0% 내지 8% 1 M 메탄올계 암모니아) tert-부틸 (8aS,11R)-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08 g, 89%)를 갈색 폼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4 (3H, d), 1.50 (9H, d), 1.74 (3H, d), 2.09 - 2.24 (3H, m), 2.34 (3H, d), 3.34 (2H, d), 3.71 - 3.84 (2H, m), 4.02 - 4.24 (2H, m), 4.26 - 4.52 (3H, m), 4.99 - 5.23 (1H, m), 5.44 - 5.58 (1H, m), 7.05 (1H, dt), 7.27 - 7.29 (1H, m), 7.50 (1H, dd), 7.99 (1H, t), 8.66 (1H, d). m/z (ES+), [M+H]+ 589.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및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22
tert-부틸 (8aS,11R)-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1.08 g, 1.83 mmol)를 DMF(6 ㎖) 중에 용해시킨 후, N-클로로숙신이미드(0.294 g, 2.20 mmol)를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1 h 동안 100℃에서 가열한 후 rt까지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의 혼합물(1.83 mmol로 추정됨)을 갈색 검으로 산출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z ES+, [M+H]+ 539 (THP기 비포함) 및 m/z (ES+), [M+H]+ 623 (THP기 포함).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Figure pct00223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옥산-2-일)-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의 혼합물(1.83 mmol로 추정됨)을 IPA 중 6 M HCl(35 ㎖, 1.8 mmol) 중에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2 h 동안 70℃에서 교반한 후 휘발물을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SCX 칼럼을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원하는 산물을 1 M NH3/MeOH를 사용하여 칼럼으로부터 용출하여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801 ㎎, 100%)을 갈색 폼으로 얻었다. m/z ES- [M-H]- 437.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프로프-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6; 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47)
Figure pct00224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400 ㎎, 0.91 mmol)을 교반하며 rt에서 DCM(12 ㎖) 및 IPA(2.5 ㎖) 중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127 ㎖, 0.91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에서 냉각한 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78 ㎖, 0.96 mmol)를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을 5분 동안 rt에서 교반한 후 DCM을 진공 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물(0.1% 포름산 함유) 및 MeCN의 혼합물(10%에서 30%까지의 구배)을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ODB 칼럼, 5 μ 실리카, 30 ㎜ 지름, 100 ㎜ 길이).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켜 거의 건조하였다. 생성된 용액 약 5 ㎖을 2 M 수성 K2CO3(20 ㎖)로 처리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3 × 20 ㎖). 조합한 추출물을 물(10 ㎖) 및 염수(10 ㎖)로 세척하고,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과시키고 증발 건조하여 회백색 유리질 고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여(칼럼: Chiralpak OD, 20 × 250 ㎜, 5 ㎛, 이동상: 45% MeOH + 0.1% NH3 / 55% scCO2, 유속: 6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46, 26 ㎎, 12%, d.e. 99%)을 흰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1 (3H, d), 2.20 (3H, s), 3.25 - 3.6 (2H, m), 3.99 - 4.13 1H, m), 4.22 - 4.46 (1H, m), 4.59 - 4.78 (3H, m), 4.99 (1H, d), 5.72 (1H, dd), 6.16 (1H, dd), 6.74 - 6.9 (1H, m), 7.22 (1H, d), 7.49 - 7.7 (1H, m), 8.02 (1H, s), 8.61 (1H, s), 11.47 - 12.41 (1H, m). m/z (ES+), [M+H]+ 493, 495. 여기에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의 회전장애이성질체 2(실시예 47, 11 ㎎, 4%, d.e. 99%)가 뒤따랐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1 (3H, d), 2.20 (3H, s), 3.25-3.6 (2H, m), 3.99-4.13 (1H, m), 4.22-4.46 (1H, m), 4.59-4.78 (3H, m), 4.99 (1H, d), 5.72 (1H, dd), 6.16 (1H, dd), 6.74-6.9 (1H, m), 7.22 (1H, d), 7.49-7.7 (1H, m), 8.02 (1H, s), 8.61 (1H, s), 11.47-12.41 (1H, m). m/z (ES+), [M+H]+ 493, 495.
tert -부틸 (8a S ,11 R )-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25
RuPhos Pd G3(110 ㎎, 0.13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61.6 ㎎, 0.13 mmol), 칼륨 카보네이트(365 ㎎, 2.64 mmol), 8-브로모-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333 ㎎, 1.32 mmol) 및 [(8aS,11R)-10-(tert-부톡시카보닐)-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보론산(552 ㎎, 1.32 mmol)을 조합한 후 탈기된 디옥산(15 ㎖) 및 탈기된 물(4.5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 h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한 후 EtOAc(125 ㎖)로 희석하고, 물(50 ㎖) 및 염수(25 ㎖)로 세척한 후, 수성층을 EtOAc(75 ㎖)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산물을 산출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헵탄 중 0% 내지 70% EtOAc) tert-부틸 (8aS,11R)-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890 ㎎, 100% 초과)를 갈색 폼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8 (3H, s), 1.57 (9H, s), 2.22 (3H, s), 3.21 - 3.46 (2H, m), 3.55 (3H, d), 3.83 (1H, s), 4 - 4.19 (1H, m), 4.24 - 4.62 (3H, m), 4.92 - 5.32 (1H, m), 6.81 (1H, d), 7.24 (1H, dd), 7.59 (1H, d), 7.74 (1H, d), 7.95 (1H, d), 8.68 (1H, s).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26
tert-부틸 (8aS,11R)-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720 ㎎, 1.32 mmol)를 DMF(4.5 ㎖) 중에 용해시킨 후 N-클로로숙신이미드(176 ㎎, 1.32 mmol)를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30분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추가 N-클로로숙신이미드(70 ㎎, 0.52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0.5 h 동안 1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되도록 한 후, 변형제로서 포름산 0.1%를 함유하는 수중 40% 내지 80% MeCN의 구배로 용출하며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150 g C18 RF GOLD) 베이지색 폼을 얻었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IC, 20 × 250 ㎜, 5 ㎛, 이동상: 45% MeOH + 0.1% NH3 / 65% scCO2, 유속: 6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이로써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82 ㎎, 21%, d.e. 98.4%)을 베이지색 폼으로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30℃) 1.21 (3H, d), 1.51 (9H, s), 2.19 (3H, s), 3.35 (2H, d), 3.56 (3H, s), 3.81 - 4.42 (3H, m), 4.45 - 4.71 (2H, m), 4.97 - 5.26 (1H, m), 7.26 - 7.28 (1H, m), 7.63 (1H, d), 7.78 (1H, d), 7.96 (1H, d), 8.65 - 8.71 (1H, m). m/z (ES+), [M+H]+ 580, 582. 여기에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100 ㎎, 26%, d.e. 99%)가 베이지색 폼으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CDCl3, 30℃) 1.14 - 1.28 (3H, m), 1.51 (9H, s), 2.20 (3H, s), 3.33 (2H, s), 3.55 (3H, s), 3.82 - 4.41 (3H, m), 4.45 - 4.61 (2H, m), 4.94 (1H, d), 7.27 (1H, s), 7.63 (1H, d), 7.78 (1H, d), 7.96 (1H, d), 8.68 (1H, s). m/z (ES+), [M+H]+ 580, 582.
8-[(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227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82 ㎎, 0.14 mmol), 리튬 클로라이드(30 ㎎, 0.71 mmol),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134 ㎎, 0.71 mmol) 및 무수 DMF(2.6 ㎖)의 혼합물을 30분 동안 120℃에서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교반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MeOH 중 로딩하며 SCX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칼럼을 1 M NH3/MeOH를 사용해서 용출하여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72 ㎎, 100% 초과)을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30℃) 1.21 (3H, d), 2.11 (3H, s), 2.94-2.99 (1H, m), 3.48-3.59 (1H, m), 4.03 (1H, dq), 4.55 (2H, dd), 4.87 (2H, dd), 6.68 (1H, d), 7.11 (1H, d), 7.64-7.75 (2H, m), 8.46 (1H, s). m/z (ES+), [M+H]+ 466, 468.
8-[(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228
표제 화합물을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1-메톡시-7-메틸이소퀴놀린-8-일)-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 단리하였다(84 ㎎, 100% 초과). 1H NMR (400 MHz, MeOD, 30℃) 1.22 (3H, d), 2.12 (3H, s), 2.95 (1H, dd), 3.38 - 3.49 (1H, m), 4.02 (1H, dq), 4.38 - 4.63 (2H, m), 4.99 (1H, dd), 6.67 (1H, d), 7.10 (1H, d), 7.65 - 7.76 (2H, m), 8.46 (1H, s). m/z ES+, [M+H]+ 466.
8-[(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48)
Figure pct00229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65.2 ㎎, 0.14 mmol)을 교반하며 rt에서 DCM(5 ㎖) 및 IPA(1 ㎖) 중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0.02 ㎖, 0.1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78℃에서 냉각한 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012 ㎖, 0.15 mmol)를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rt까지 가온되도록 하고, DCM(20 ㎖)으로 희석하고, 물(20 ㎖)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상 분리장치)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1% NH3 함유) 및 MeCN(25% 내지 50% 구배)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XSelect CSH C18칼럼, 5 μ 실리카, 30 × 100 mm). 이로써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48, 37 ㎎, 51%, d.e. 9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1 (3H, d), 2.07 (3H, s), 3.33 (1H, s), 3.50 (1H, dd), 4.03 (1H, dd), 4.32 (1H, s), 4.62 (3H, d), 5.00 (1H, dd), 5.72 (1H, dd), 6.15 (1H, dd), 6.55 (1H, d), 6.81 (1H, dd), 7.09 (1H, d), 7.66 - 7.78 (2H, m), 8.56 (1H, s), 10.55 (1H, s). m/z ES+, [M+H]+ 520, 522.
8-[(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 H )-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49)
Figure pct00230
표제 화합물을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실시예 49, 46 ㎎, 53%, d.e. 99%)을 회백색 고체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1 (3H, d), 2.08 (3H, s), 3.27 (1H, s), 3.51 (1H, dd), 3.95-4.08 (1H, m), 4.33 (1H, s), 4.63 (3H, d), 4.97 (1H, dd), 5.72 (1H, dd), 6.15 (1H, dd), 6.55 (1H, d), 6.81 (1H, dd), 7.09 (1H, d), 7.64-7.77 (2H, m), 8.56 (1H, s), 10.55 (1H, s). m/z ES+, [M+H]+ 520, 522.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231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8 ㎎, 2.48 mmol)을 MeOH(20 ㎖) 중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한 후, MeOH(20 ㎖) 중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541 ㎎, 2.48 mmol)의 용액을 0.5 h에 걸쳐 적가하였다. 용액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한 후 18 h에 걸쳐 rt에 도달하도록 두었다. 세슘 카보네이트(808 ㎎, 2.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30분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잔류물을 EtOAc(50 ㎖) 및 물(20 ㎖) 간에 분할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상을 EtOAc로 추출하였다(2 × 50 ㎖). 조합한 유기상을 건조하고(상 분리장치)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물(0.1% 포름산 함유) 및 MeCN(구배 15% 내지 55%)을 사용하여 REDISEP GOLD 150 g C18 카트리지로 정제하였다. 원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시켜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에멀션(150 ㎖)을 2 M K2CO3 수용액(50 ㎖)으로 처리한 후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130 ml × 3).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상 분리장치) 진공 중에 증발시켜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를 노란색 검으로 산출하였다. 이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여(칼럼: Phenomenex C2, 20 × 250 ㎜, 5 ㎛, 이동상: 45% MeOH + 0.1% NH3 / 55% scCO2, 유속: 6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145 ㎎, 21%, d.e. 9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 1.15 (3H, d), 1.48 (9H, s), 2.19 (3H, s), 3.28 (1H, t), 3.51 (1H, dd), 3.96 - 4.08 (2H, m), 4.28 - 4.4 (1H, m), 4.54 - 4.72 (2H, m), 4.88 - 4.99 (1H, m), 7.22 (1H, d), 7.60 (1H, d), 8.02 (1H, s), 8.59 (1H, s). m/z ES+, [M+H]+ 539, 541. 여기에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267 ㎎, 40%, d.e. 99%)가 회백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DMSO, 100℃) 1.14 (3H, d), 1.48 (9H, s), 2.21 (3H, s), 3.21 - 3.38 (1H, m), 3.43 - 3.57 (1H, m), 3.91 - 4.13 (2H, m), 4.27 - 4.38 (1H, m), 4.64 (2H, d), 4.93 (1H, dd), 7.22 (1H, d), 7.59 (1H, s), 8.01 (1H, s), 8.59 (1H, s). m/z (ES+), [M+H]+ 539, 541.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232
DCM(5 ㎖) 중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145 ㎎, 0.27 mmol)의 용액에 TFA(1.13 ㎖, 1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 h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SCX 칼럼으로 적용하고 메탄올로 철저히 세척하였다. 산물을 메탄올 중 1 M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1(108 ㎎, 91%)을 회백색 고체로 산출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30℃) 1.21 (3H, d), 2.22 (3H, s), 2.98 (1H, dd), 3.32 - 3.34 (1H, m), 3.51 (1H, dd), 4.04 (1H, dq), 4.49 - 4.62 (2H, m), 4.93 (2H, dd), 7.29 (1H, d), 7.62 (1H, d), 8.06 (1H, s), 8.50 (1H, s). m/z (ES+), [M+H]+ 439, 441.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233
표제 화합물을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187 ㎎, 86%)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30℃) 1.19 (3H, d), 2.24 (3H, s), 2.86 - 3.04 (1H, m), 3.22 - 3.29 (1H, m), 3.46 - 3.54 (1H, m), 3.96 - 4.1 (1H, m), 4.54 (2H, d), 4.95 (2H, dd), 7.28 (1H, d), 7.62 (1H, d), 8.03 (1H, s), 8.50 (1H, s). m/z (ES+), [M+H]+ 439, 441.
(2 E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50)
Figure pct00234
DIPEA(129 ㎕, 0.74 mmol)를 rt에서 DMA(1.1 ㎖) 중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1(108 ㎎, 0.25 mmol),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2 ㎎, 0.30 mmol) 및 (E)-4-(디메틸아미노)부트-2-엔오산.HCl 염(44.8 ㎎, 0.27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로 붓고, EtOAc 내로 추출하고(3 × 20 ㎖), 유기 추출물을 건조하고(상 분리장치) 진공 중에 농축하여 미정제 산물을 얻었다. 이를 물(0.1% NH3 함유) 및 MeCN(25% 내지 55% 구배)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50 ㎜ 지름, 100 ㎜ 길이). 이로써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50, 42 ㎎, 31%, d.e.9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0 (3H, d), 2.20 (3H, s), 2.22 (6H, s), 3.09 (2H, d), 3.33 - 3.48 (1H, m), 3.54 (1H, d), 4.03 (1H, s), 4.23 - 4.45 (1H, m), 4.56 - 4.8 (3H, m), 4.98 (1H, dd), 6.54 - 6.81 (2H, m), 7.22 (1H, d), 7.60 (1H, d), 8.02 (1H, s), 8.60 (1H, s), 12.02 (1H, s). m/z ES+, [M+H]+ 550, 552.
(2 E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51)
Figure pct00235
표제 화합물을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실시예 51, 63 ㎎, 27%)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00℃) 1.19 (3H, d), 2.21 (3H, s), 2.22 (6H, s), 3.09 (2H, d), 3.29 - 3.59 (2H, m), 3.89 - 4.11 (1H, m), 4.37 (1H, s), 4.52 - 4.77 (3H, m), 4.96 (1H, d), 6.48 - 6.78 (2H, m), 7.23 (1H, d), 7.60 (1H, s), 8.01 (1H, s), 8.60 (1H, s), 12.15 (1H, s). m/z ES+, [M+H]+ 550, 552.
tert -부틸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카복실레이트(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236
tert-부틸 (8aS,11R)-5-브로모-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0.4 g, 0.82 mmol),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38 g, 0.08 mmol), RuPhos Pd G3(0.069 g, 0.08 mmol), 칼륨 카보네이트(0.340 g, 2.46 mmol), (5-메틸-1H-인다졸-4-일)보론산(173 ㎎, 0.98 mmol) 및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0.038 g, 0.08 mmol)을 반응 튜브에서 조합하였다. 디옥산(9.14 ㎖) 및 물(3.04 ㎖)의 탈기 혼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1분 동안 탈기한 후 0.5 h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이 rt까지 냉각되도록 하고, 10분 동안 탈기한 후 추가 디사이클로헥실(2',6'-디이소프로폭시-[1,1'-바이페닐]-2-일)포스판(38 ㎎, 0.08 mmol), RuPhos Pd-G3(0.069 g, 0.08 mmol) 및 (5-메틸-1H-인다졸-4-일)보론산(144 ㎎, 0.8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20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rt까지 냉각되도록 하였다. EtOAc(30 ㎖)를 첨가하고 전체를 물로 세척하였다(2 × 20 ㎖). 조합한 수성층을 EtOAc(30 ㎖)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부분을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진공 중에 농축하여 오렌지색 잔류물을 산출하였다. 이를 플래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헵탄 중 0% 내지 100% EtOAc). 이로써 잔류물을 얻고 이를 SF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칼럼: Chiralpak OD, 20 × 250 ㎜, 5 ㎛, 이동상: 30% MeOH + 0.1% NH3 / 70% scCO2, 유속: 60 ㎖/분, 120 bar, 칼럼 온도: 40℃). 이로써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104 ㎎, 46%, d.e. 9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MeOD, 30℃) 1.14-1.26 (3H, m), 1.51 (9H, s), 2.22 (3H, s), 3.38-3.57 (2H, m), 3.96-4.06 (1H, m), 4.06-4.15 (1H, m), 4.43 (1H, s), 4.59-4.68 (2H, m), 5.08-5.33 (1H, m), 7.42 (1H, d), 7.52 (1H, s), 7.58 (1H, d), 8.55 (1H, s). m/z (ES+), [M+H]+ 539, 541. 여기에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101 ㎎, 44%, d.e. 99%)가 회백색 고체로 뒤따랐다. 1H NMR (400 MHz, MeOD, 30℃) 1.09-1.22 (3H, m), 1.51 (9H, s), 2.21 (3H, s), 3.36-3.57 (2H, m), 3.93-4.04 (1H, m), 4.04-4.17 (1H, m), 4.42 (1H, s), 4.64 (2H, d), 5.15 (1H, dd), 7.42 (1H, d), 7.54 (1H, s), 7.58 (1H, d), 8.55 (1H, s). m/z ES+, [M+H]+ 539, 541.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회전장애이성질체 1)
Figure pct00237
DCM(4 ㎖) 중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1(104 ㎎, 0.19 mmol)의 용액에 TFA(0.813 ㎖, 10.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 h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 중 1 M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해서 산물을 용출하며 SCX 칼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로써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1(83 ㎎, 98%)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MeOD, 30℃) 1.23 (3H, d), 2.21 (3H, s), 2.99 (1H, dd), 3.35-3.41 (2H, m), 3.51 (1H, dd), 4.07 (1H, dq), 4.57 (2H, d), 4.96 (1H, dd), 7.41 (1H, d), 7.53 (1H, s), 7.58 (1H, d), 8.52 (1H, s). m/z (ES+), [M+H]+ 441.
(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회전장애이성질체 2)
Figure pct00238
표제 화합물을 tert-부틸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카복실레이트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86 ㎎, 100% 초과)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30℃) 1.22 (3H, d), 2.21 (3H, s), 2.99 (1H, dd), 3.35-3.41 (2H, m), 3.49-3.57 (1H, m), 4.03-4.14 (1H, m), 4.58 (2H, d), 4.93 (1H, dd), 7.41 (1H, d), 7.53 (1H, s), 7.58 (1H, d), 8.52 (1H, s). m/z (ES+), [M+H]+ 441.
(2 E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1, 실시예 52)
Figure pct00239
DIPEA(99 ㎕, 0.57 mmol)를 RT에서 DMA(0.85 ㎖) 중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1(83 ㎎, 0.19 mmol),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86 ㎎, 0.23 mmol) 및 (E)-4-(디메틸아미노)부트-2-엔오산.HCl 염(34.5 ㎎, 0.21 mmol)에 한 번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 h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로 붓고, EtOAc 내로 추출하고(3 × 20 ㎖), 건조하고(상 분리장치)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미정제 산물을 물(0.1% NH3 함유) 및 MeCN(25% 내지 55% 구배)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여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Waters XSelect CSH C18 칼럼, 5 μ 실리카, 50×100). 이로써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회전장애이성질체 1(실시예 52, 48 ㎎, 46%, d.e. 99%)을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1 (3H, d), 2.19 (3H, s), 2.22 (6H, s), 3.09 (2H, d), 3.55 (2H, dd), 4.05 (1H, dd), 4.36 (1H, s), 4.68 (3H, d), 4.98 (1H, dd), 6.47-6.79 (2H, m), 7.38 (1H, d), 7.45-7.71 (2H, m), 8.60 (1H, s), 12.86 (1H, s). m/z (ES+), [M+H]+ 550, 552.
(2 E )-1-[(8a S ,11 R )-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 H -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 H )-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회전장애이성질체 2, 실시예 53)
Figure pct00240
표제 화합물을 (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 회전장애이성질체 2로부터 시작해서, 대응 회전장애이성질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실시예 53, 45 ㎎, 42%, d.e. 99%)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100℃) 1.20 (3H, d), 2.18 (3H, s), 2.22 (6H, s), 3.09 (2H, d), 3.37 (1H, s), 3.57 (1H, dd), 4-4.12 (1H, m), 4.35 (1H, s), 4.59-4.76 (3H, m), 4.95 (1H, dd), 6.56-6.75 (2H, m), 7.38 (1H, d), 7.47-7.65 (2H, m), 8.60 (1H, s), 12.87 (1H, s). m/z ES+, [M+H]+ 550, 552.

Claims (19)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pct00241

    (식 중,
    고리 A는 페닐 및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1은 각각의 경우 C1-4알킬, 할로, 하이드록시, C1-4알콕시, C1-3플루오로알킬, C1-3플루오로알콕시, 시아노 및 아세틸레닐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Y는 CH2 또는 CH2CH2이고;
    R2는 시아노, 할로, C1-4알킬, C1-4알콕시 또는 C1-3플루오로알킬이고;
    R3은 F, Me, Et, MeO 또는 C1-2플루오로알킬이고;
    R4는 H 또는 Me이고;
    R5는 H 또는 Me이고;
    R6은 H 또는 CH2NMe2이고;
    단, Y가 CH2이고, R2가 Cl이고, R3이 F이고, A가 페닐이고, b가 2이고, 기 R1이 F 및 OH이고 각각 바이아릴 결합에 대해 오르소이고, R4 및 R6이 둘 다 H인 경우, R5는 Me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24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리 A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243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R4가 H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R6이 H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Y가 CH2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 Y가 CH2CH2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Cl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F인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H이고 R5가 Me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1-[(8aS,11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11-메틸-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5-[(8aS)-10-아크릴로일-6-클로로-4-플루오로-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6-메틸퀴나졸린-4(3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이소퀴놀린-1(2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1H-인다졸-3-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하이드록시-6-메틸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메틸-1H-벤조[d]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6-클로로-4-플루오로-5-(5-플루오로-1H-벤조트리아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6-클로로-4-플루오로-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플루오로이소퀴놀린-1(2H)-온; 및 (2E)-1-[(8aS)-6-클로로-4-플루오로-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R,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8-[3-클로로-1-플루오로-8-(프로프-2-에노일)-6,6a,7,8,9,10-헥사하이드로-5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2-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1-[(6aS,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R,9R)-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6aS,9S)-3-클로로-1-플루오로-2-(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9-메틸-5,6,6a,7,9,10-헥사하이드로-8H-피라지노[1',2':5,6][1,5]옥사조시노[4,3,2-데]퀴나졸린-8-일]프로프-2-엔-1-온;
    1-[(8aS)-4-클로로-6-플루오로-5-(2-플루오로-6-하이드록시페닐)-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프로프-2-엔-1-온;
    8-[(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10-(프로프-2-에노일)-8,8a,9,10,11,12-헥사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5-일]-7-메틸이소퀴놀린-1(2H)-온;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벤즈이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및
    (2E)-1-[(8aS,11R)-6-클로로-4-플루오로-11-메틸-5-(5-메틸-1H-인다졸-4-일)-8a,9,11,12-테트라하이드로피라지노[2',1':3,4][1,4]옥사제피노[5,6,7-데]퀴나졸린-10(8H)-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제12항에 있어서,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약제가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KRAS, NRAS 또는 HRAS G12C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를 갖는 치료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암을 앓는 치료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07035034A 2018-05-08 2019-05-07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KR20210006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8321P 2018-05-08 2018-05-08
US62/668,321 2018-05-08
US201862754814P 2018-11-02 2018-11-02
US62/754,814 2018-11-02
PCT/EP2019/061754 WO2019215203A1 (en) 2018-05-08 2019-05-07 Tetracyclic heteroaryl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948A true KR20210006948A (ko) 2021-01-19

Family

ID=664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034A KR20210006948A (ko) 2018-05-08 2019-05-07 테트라사이클릭 헤테로아릴 화합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11407765B2 (ko)
EP (1) EP3790884A1 (ko)
JP (1) JP7138724B2 (ko)
KR (1) KR20210006948A (ko)
CN (1) CN112074520A (ko)
AU (1) AU2019267008B2 (ko)
BR (1) BR112020021467A2 (ko)
CA (1) CA3098261A1 (ko)
CL (1) CL2020002866A1 (ko)
CO (1) CO2020013564A2 (ko)
CR (1) CR20200532A (ko)
DO (1) DOP2020000201A (ko)
EC (1) ECSP20070854A (ko)
JO (1) JOP20200281A1 (ko)
MA (1) MA52560A (ko)
MX (1) MX2020011910A (ko)
NI (1) NI202000078A (ko)
PE (1) PE20211795A1 (ko)
PH (1) PH12020551870A1 (ko)
SG (1) SG11202010953QA (ko)
TW (1) TW202012415A (ko)
UY (1) UY38221A (ko)
WO (1) WO20192152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576A1 (ko) * 2022-09-23 2024-03-28 일동제약(주) Kras 저해 물질로서 신규한 퀴나졸린 화합물
WO2024063578A1 (ko) * 2022-09-23 2024-03-28 일동제약(주) 신규한 테트라헤테로사이클 화합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31156A1 (en) * 2019-03-05 2020-09-10 Astrazeneca Ab Fused tricyclic compound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WO2020221239A1 (zh) * 2019-04-28 2020-11-05 劲方医药科技(上海)有限公司 氧杂氮杂喹唑啉-7(8h)-酮类化合物,其制法与医药上的用途
MX2022005359A (es) 2019-11-04 2022-06-02 Revolution Medicines Inc Inhibidores de ras.
AU2020379731A1 (en) 2019-11-04 2022-05-05 Revolution Medicines, Inc. Ras inhibitors
EP4055028A1 (en) 2019-11-04 2022-09-14 Revolution Medicines, Inc. Ras inhibitors
WO2021108683A1 (en) 2019-11-27 2021-06-03 Revolution Medicines, Inc. Covalent ras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U2020402701B2 (en) * 2019-12-11 2024-03-14 Eli Lilly And Company KRas G12C inhibitors
TWI799871B (zh) * 2020-05-27 2023-04-21 大陸商勁方醫藥科技(上海)有限公司 三環并環類化合物,其製法與醫藥上的用途
AU2021293228A1 (en) 2020-06-18 2023-02-09 Revolution Medicines, Inc. Methods for delaying, preventing, and treating acquired resistance to RAS inhibitors
CN113980032B (zh) * 2020-07-27 2023-06-16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稠合四环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AU2021344830A1 (en) 2020-09-03 2023-04-06 Revolution Medicines, Inc. Use of SOS1 inhibitors to treat malignancies with SHP2 mutations
KR20230067635A (ko) 2020-09-15 2023-05-16 레볼루션 메디슨즈, 인크. 암의 치료에서 ras 억제제로서 인돌 유도체
WO2022133345A1 (en) 2020-12-18 2022-06-23 Erasca, Inc. Tricyclic pyridones and pyrimidones
CN114685531A (zh) * 2020-12-25 2022-07-01 武汉誉祥医药科技有限公司 四并环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应用
TWI824405B (zh) * 2021-02-09 2023-12-01 美商建南德克公司 四環氧氮呯化合物及其用途
CN117083280A (zh) * 2021-03-07 2023-11-17 北京加科思新药研发有限公司 Kras g12d抑制剂的稠环衍生物
CA3211725A1 (en) * 2021-03-17 2022-09-22 Tao Jiang Pyrimidine-fused cyc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17083281A (zh) * 2021-03-24 2023-11-17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嘧啶并杂环类化合物及其应用
WO2022206723A1 (zh) * 2021-03-30 2022-10-06 浙江海正药业股份有限公司 杂环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医药上的用途
JP2024513881A (ja) * 2021-04-08 2024-03-27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キサゼピン化合物及びがんの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WO2022235870A1 (en) 2021-05-05 2022-11-10 Revolution Medicines, Inc. Ras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O2022235864A1 (en) 2021-05-05 2022-11-10 Revolution Medicines, Inc. Ras inhibitors
BR112023024646A2 (pt) * 2021-06-21 2024-03-05 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 Co Ltd Composto tetacíclico fundido, método de preparação do mesmo e aplicação do mesmo na medicina
WO2023274383A1 (zh) * 2021-07-02 2023-01-05 上海迪诺医药科技有限公司 Kras g12d抑制剂及其应用
WO2023001123A1 (zh) * 2021-07-19 2023-01-26 上海艾力斯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吡啶并嘧啶衍生物
AU2022314009A1 (en) * 2021-07-23 2024-01-25 Suzhou Zanrong Pharma Limited Kras g12d inhibitors and uses thereof
TW202315626A (zh) * 2021-08-31 2023-04-16 大陸商勁方醫藥科技(上海)有限公司 嘧啶并環類化合物及其製法和用途
WO2023031781A1 (en) 2021-09-01 2023-03-09 Novartis Ag Pharmaceutical combinations comprising a tead inhibitor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WO2023046135A1 (en) * 2021-09-27 2023-03-30 Jacobio Pharmaceuticals Co., Ltd. Polycyclic fused ring derivatives and use thereof
AR127308A1 (es) 2021-10-08 2024-01-10 Revolution Medicines Inc Inhibidores ras
AU2022371727A1 (en) * 2021-10-22 2024-05-02 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 Co., Ltd. Nitrogen-containing tetracyc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edical use thereof
TW202325298A (zh) * 2021-11-01 2023-07-01 大陸商江蘇恆瑞醫藥股份有限公司 含氮的四環化合物、其製備方法及其在醫藥上的應用
WO2023103906A1 (zh) * 2021-12-07 2023-06-15 贝达药业股份有限公司 Kras g12d抑制剂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23114954A1 (en) 2021-12-17 2023-06-22 Genzyme Corporation Pyrazolopyrazine compounds as shp2 inhibitors
WO2023126822A1 (en) 2021-12-28 2023-07-06 Astrazeneca Uk Limited Combin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 and rasg12c inhibitor
EP4227307A1 (en) 2022-02-11 2023-08-16 Genzyme Corporation Pyrazolopyrazine compounds as shp2 inhibitors
CN114539073A (zh) * 2022-02-18 2022-05-27 郑州萃智医药科技有限公司 3-溴-2-氯-4,6-二氟苯胺的合成方法
WO2023172940A1 (en) 2022-03-08 2023-09-14 Revolution Medicines, Inc. Methods for treating immune refractory lung cancer
WO2023205701A1 (en) 2022-04-20 2023-10-26 Kumquat Biosciences Inc. Macrocyclic heterocycles and uses thereof
WO2023240263A1 (en) 2022-06-10 2023-12-14 Revolution Medicines, Inc. Macrocyclic ras inhibitors
WO2024031088A1 (en) * 2022-08-05 2024-02-08 Kumquat Bioscience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4032703A1 (en) * 2022-08-11 2024-02-15 Beigene, Ltd. Heterocyclic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with
WO2024041621A1 (en) * 2022-08-25 2024-02-29 Jacobio Pharmaceuticals Co., Ltd. K-ras mutant protein inhibitors
WO2024085661A1 (en) * 2022-10-18 2024-04-25 Ildong Pharmaceutical Co., Ltd. Novel triheterocyclic compounds
WO2024102421A2 (en) 2022-11-09 2024-05-16 Revolution Medicines, Inc. Compounds, complex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of their us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9563B (zh) 2012-04-10 2018-12-21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治疗癌症的组合物和方法
US9745319B2 (en) 2013-03-15 2017-08-29 Araxes Pharma Llc Irreversible covalent inhibitors of the GTPase K-Ras G12C
EP2970121B1 (en) 2013-03-15 2017-12-13 Araxes Pharma LLC Covalent inhibitors of kras g12c
CN106488910B (zh) 2013-10-10 2020-07-31 亚瑞克西斯制药公司 Kras g12c的抑制剂
JO3556B1 (ar) 2014-09-18 2020-07-05 Araxes Pharma Llc علاجات مدمجة لمعالجة السرطان
AR102094A1 (es) 2014-09-25 2017-02-01 Araxes Pharma Llc Inhibidores de proteínas kras con una mutación g12c
BR112017021869A2 (pt) 2015-04-10 2018-12-11 Araxes Pharma Llc compostos quinazolina substituídos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WO2016168540A1 (en) 2015-04-15 2016-10-20 Araxes Pharma Llc Fused-tricyclic inhibitors of kra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993013A1 (en) 2015-07-22 2017-01-26 Araxes Pharma Llc Substituted quinazol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g12c mutant kras, hras and/or nras proteins
EP3356347A1 (en) 2015-09-28 2018-08-08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WO2017058728A1 (en) 2015-09-28 2017-04-06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WO2017058915A1 (en) 2015-09-28 2017-04-06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EP3356339A1 (en) 2015-09-28 2018-08-08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EP3356354A1 (en) * 2015-09-28 2018-08-08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US10882847B2 (en) 2015-09-28 2021-01-05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WO2017058768A1 (en) 2015-09-28 2017-04-06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CN108779097A (zh) 2015-11-16 2018-11-09 亚瑞克西斯制药公司 包含取代的杂环基的2-取代的喹唑啉化合物及其使用方法
CA3024523A1 (en) 2016-05-18 2017-11-23 Mirati Therapeutics, Inc. Kras g12c inhibitors
US10280172B2 (en) 2016-09-29 2019-05-07 Araxes Pharma Llc Inhibitors of KRAS G12C mutant proteins
EP3523289A1 (en) 2016-10-07 2019-08-14 Araxes Pharma LLC Heterocycl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ra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UE056777T2 (hu) 2016-12-22 2022-03-28 Amgen Inc Benzizotiazol-, izotiazolo[3,4-b]piridin-, kinazolin-, ftálazin-, pirido[2,3-d]piridazin- és pirido[2,3-d]pirimidin-származékok mint KRAS G12C inhibitorok tüdõ-, hasnyálmirigy- vagy vastagbélrák kezelésére
US20200385364A1 (en) 2017-01-26 2020-12-10 Araxes Pharma Llc Fused n-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274093B2 (en) 2017-01-26 2022-03-15 Araxes Pharma Llc Fused bicyclic benzoheteroaromat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8140513A1 (en) 2017-01-26 2018-08-02 Araxes Pharma Llc 1-(3-(6-(3-hydroxynaphthalen-1-yl)benzofuran-2-yl)azetidin-1yl)prop-2-en-1-one derivatives and similar compounds as kras g12c modulators for treating cancer
CN110382482A (zh) 2017-01-26 2019-10-25 亚瑞克西斯制药公司 稠合的杂-杂二环化合物及其使用方法
WO2018140599A1 (en) 2017-01-26 2018-08-02 Araxes Pharma Llc Benzothiophene and benzothiazol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136308B2 (en) 2017-01-26 2021-10-05 Araxes Pharma Llc Substituted quinazoline and quinazolino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OP20190186A1 (ar) 2017-02-02 2019-08-01 Astellas Pharma Inc مركب كينازولين
AR111776A1 (es) 2017-05-11 2019-08-21 Astrazeneca Ab Heteroarilos inhibidores de las proteínas ras mutantes de g12c
JOP20190272A1 (ar) 2017-05-22 2019-11-21 Amgen Inc مثبطات kras g12c وطرق لاستخدامها
WO2018218069A1 (en) 2017-05-25 2018-11-29 Araxes Pharma Llc Quinazoli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mutant kras, hras or nras
US10745385B2 (en) 2017-05-25 2020-08-18 Araxes Pharma Llc Covalent inhibitors of KRAS
CN110869357A (zh) 2017-05-25 2020-03-06 亚瑞克西斯制药公司 化合物及其用于治疗癌症的使用方法
JP7150823B2 (ja) 2017-09-08 2022-10-11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KRas G12Cの阻害剤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HUE061599T2 (hu) 2017-11-15 2023-07-28 Mirati Therapeutics Inc KRas G12C inhibotorok
TW201938561A (zh) 2017-12-08 2019-10-01 瑞典商阿斯特捷利康公司 化學化合物
TW201942115A (zh) 2018-02-01 2019-11-01 美商輝瑞股份有限公司 作為抗癌藥之經取代的喹唑啉和吡啶並嘧啶衍生物
TW201942116A (zh) 2018-02-09 2019-11-01 美商輝瑞股份有限公司 作為抗癌劑之四氫喹唑啉衍生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576A1 (ko) * 2022-09-23 2024-03-28 일동제약(주) Kras 저해 물질로서 신규한 퀴나졸린 화합물
WO2024063578A1 (ko) * 2022-09-23 2024-03-28 일동제약(주) 신규한 테트라헤테로사이클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20002866A1 (es) 2021-02-12
SG11202010953QA (en) 2020-12-30
WO2019215203A1 (en) 2019-11-14
US20210221823A1 (en) 2021-07-22
JOP20200281A1 (ar) 2020-11-05
US11407765B2 (en) 2022-08-09
TW202012415A (zh) 2020-04-01
DOP2020000201A (es) 2020-11-30
EP3790884A1 (en) 2021-03-17
JP2021532061A (ja) 2021-11-25
CO2020013564A2 (es) 2020-11-10
JP7138724B2 (ja) 2022-09-16
BR112020021467A2 (pt) 2021-01-19
CA3098261A1 (en) 2019-11-14
AU2019267008B2 (en) 2022-02-17
NI202000078A (es) 2021-02-16
MA52560A (fr) 2021-03-17
ECSP20070854A (es) 2020-12-31
PH12020551870A1 (en) 2021-07-26
AU2019267008A1 (en) 2021-01-07
UY38221A (es) 2019-10-31
CR20200532A (es) 2020-12-23
CN112074520A (zh) 2020-12-11
MX2020011910A (es) 2021-01-29
PE20211795A1 (es)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8724B2 (ja) 四環式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
JP7453989B2 (ja) 抗癌剤として有用な縮合三環式化合物
US10597405B2 (en) Chemical compounds
TWI637945B (zh) 可作為抗癌劑之經取代碳環核苷衍生物
CN105732636B (zh) 杂芳化合物及其在药物中的应用
CN102459272B (zh) 对P110δ具有选择性的为PI3K抑制剂的二环嘧啶化合物和使用方法
JP2022508108A (ja) Kras g12c阻害剤
JP2020519589A (ja) G12c変異型rasタンパク質を阻害する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
AU2022232523A1 (en) Kras g12d inhibitors
JP2016537366A (ja) カゼインキナーゼ1d/e阻害剤としての置換された4,5,6,7−テトラヒドロピラゾロ[1,5−a]ピラジン誘導体
WO2014188173A1 (en) Pyrazolopyrimid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bruton's tyrosine kinase
JP7406674B2 (ja) スピロ環化合物
TW202140499A (zh) 巨環rip2-激酶抑制劑
CN112521372B (zh) 一种细胞凋亡蛋白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006013A1 (zh) 新型parp7抑制剂及其应用
TW202346295A (zh) 作為iap拮抗劑的三環雜環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