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827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827A
KR20210006827A KR1020190141528A KR20190141528A KR20210006827A KR 20210006827 A KR20210006827 A KR 20210006827A KR 1020190141528 A KR1020190141528 A KR 1020190141528A KR 20190141528 A KR20190141528 A KR 20190141528A KR 20210006827 A KR20210006827 A KR 2021000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op toy
rotation
acceleration senso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1000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과제] 흥취성이 풍부한 이동 모양으로 팽이 완구를 동작시킨다. [해결 수단] 팽이 완구(1)는, 회전축(24)과, 회전축(2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21)와, 상기 팽이 완구(1)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27)와, 가속도 센서(28)의 출력에 근거하여,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런처로부터 발사시켜서 소정의 필드 내에서 회전시키고, 상대방의 것과 충돌시켜 노는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
또, 이런 종류의 팽이 완구로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가동부가 동체(胴體)에 부착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팽이 완구에서는, 자신의 회전이나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에 수반하여 가동부가 그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대하여, 가동부의 이동에 의한 2 단계의 공격을 계속 내보낼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250202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팽이 완구에서는,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 모양은 변화하지만, 필드 내에서의 돌아다니는 방법은 런처로부터의 발사 조건에 의존한 단조로운 움직임인 상태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흥취성이 풍부한 이동 모양으로 동작하는 팽이 완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회전축을 가지는 팽이 완구로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팽이 완구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서,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서로의 모터 구동 패턴이 다른 복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 구동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터에 대하여, 구동 방향의 변환과, 구동 시간과, 구동 타이밍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4 수단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팽이 완구가 발사된 직후의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의 변환 횟수, 구동 시간,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1개의 수치를 크게 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5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6 수단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
중량 방향의 변위를 더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에 의하면, 팽이 완구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흥취성이 풍부한 이동 모양으로 팽이 완구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a) 축부의 단면 사시도이며, (b) 축부의 단면도이다.
[도 4] (a) 기판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b) 기판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기판 상의 개략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6]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터 구동 신호의 타임 차트이다.
[도 8]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터 구동 신호의 타임 차트이다.
[도 9] 필드 내에서의 팽이 완구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이른바 팽이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이 팽이 완구(1)는, 하부 구조를 구성하여 드라이버가 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동체(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축부(10)와 동체(40)로 분해시켜 승리로 하는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2. 세부 구성》
2-1. 동체(40)에 대해
도 2는, 팽이 완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동체(40)는, 동주체(胴主體)(41)와, 추(42)와, 칩(43)을 구비하고, 이것들을 조립하여 동체(40)가 구성되어 있다.
동주체(41)는, 상하 방향에 따른 팽이 완구(1)의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주체(41)의 외주부에는, 시계 회전 측으로 회전하는 날개차 모양(羽根車狀)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선(Ax)에 따른 방향을 「축 방향」, 축선(Ax)에 수직인 방향을 「지름 방향」,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둘레 방향(周方向)」이라고 한다.
동주체(41)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원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공(41a)의 내주면 하단에는, 기울기 전후의 부위 2개소 각각에,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붙인(張出) 조(爪)(4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후측의 하나만 도시).
또, 동주체(41)에는, 후술하는 축부(10)의 설편(12b)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상 슬릿(41c)이, 원공(41a)보다 지름 방향 외측의 좌우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41c)의 둘레 방향 길이는 설편(12b)을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2-2. 축부(10)에 대해
도 3의 (a), (b)는, 축부(10)의 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의 (a), (b)는, 축부(10)가 구비하는 후술의 기판(20)을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a), (b)에 나타내듯이, 축부(10)는, 상면이 개구된 하부 케이스(11)와, 이 하부 케이스(11)의 상면 개구를 덮는 상부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1)에는, 그 하측의 대략 전면을 덮도록, 하부 커버(13)가 나사(vis)(14)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 커버(13)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하측 반부의 대략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는, 하방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단원통형(短圓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의 상면 중앙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긴(長尺) 돌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a)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설편(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2a)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개구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c)의 내측에는 원통체(15)가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 원통체(15)의 상단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돌출부(12a)의 상단보다 조금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원통체(15)는 돌출부(12a)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에 칼날부(鍔部)를 가지고 있고, 이 칼날부가 돌출부(12a)의 이면(하면)에 나사(vis)(16)로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체(15)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내붙인 조(15a)가 전후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12c)의 내측에는, 원통체(15)의 상부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가동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1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17)는, 원통체(15)의 주위에 감아 돌린 코일 스프링(18)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고(付勢), 정상 상태(常態)에서는, 상면이 원통체(15)의 상면과 대략 평평한(面一) 상태로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 및 상부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기판(20)이 수용되어 있다.
기판(20)은, 도 3의 (a), (b) 및 도 4의 (a), (b)에 나타내듯이,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의 하면에는, 모터(21)와, 전지(22)와, 스위치(23)가 실장되어 있다.
모터(21)는, 축선(Ax) 상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모터(21)는, 굴곡판 모양의 모터 접점(21a)을 통해 기판(20)과 접속되어 있다. 모터(21)의 하단으로부터는 축선(Ax)에 따른 모터축(21b)이 연장되어 있고, 이 모터축(21b)이 회전축(24)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24)은, 선단(하단)이 하부 케이스(11) 및 하부 커버(13)로부터 하방으로 노출하고 있다. 모터(21)는 이 회전축(24)을 회전 구동한다. 또, 모터(21)는, 하부 케이스(11)에 하향으로 눌러지도록 하고, 스프링(25)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스프링(25)은, 모터(21)와 기판(20)의 접점임과 동시에, 회전축(24)에 작용하는 상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 옵저버로서 기능한다.
전지(22)는, 모터(21)나 후술의 LED(26) 등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튼 전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전지(22)가, 축선(Ax) 회전의 둘레 상에 등배치가 되도록, 기판(20) 하면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23)는, 모터(21)에 의한 회전축(24)의 구동의 켜고 끄기를 실시하는 ON/OFF 스위치이며, 유저에게 조작되는 조작부(23a)가 하부 케이스(11) 및 하부 커버(13)로부터 하방으로 노출하고 있다.
기판(20)의 상면에는, LED(26)와 가속도 센서(27)가 실장되어 있다.
LED(26)는, 예를 들면, 모터(21)에 의한 회전 구동의 ON/OFF 상태를, 점등/비점등으로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이다. 또, LED(26)의 점등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12)의 적어도 일부 등을 투명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도 센서(27)는, 축선(Ax)에 평행한 축과, 이 축에 직교하는 2축과의,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다. 이 가속도 센서(27)는, 기판(20)의 상면 중앙 중 축선(Ax) 상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축선(Ax) 상에서는 가속도를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팽이 완구(1)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도 5는, 팽이 완구(1)(기판(20) 상)의 개략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듯이, 기판(20)에는 제어 회로(28)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 회로(28)는 기억부(29)를 가지고 있다. 기억부(29)에는, 복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은,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후술하듯이, 서로 다른 복수의 모터 구동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것이 기억부(29)에 기억되어 있다.
제어 회로(28)는, 기판(20) 상의 각부를 동작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28)는, 전지(22)로부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스위치(23)의 ON/OFF 상태에 따라 LED(26)를 점등/소등하는 것 외에, 가속도 센서(27)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기억부(29)로부터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을 읽고, 상기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 근거하여 모터(21)를 구동한다.
《3.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또, 동체(40)의 조립은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축부(10)의 설편(12b)을 동체(40)의 호상 슬릿(41c)의 시계 회전측의 단부에 합치시키도록 하고, 축부(10)를 동체(40)에 하방으로부터 가깝게 한다. 이 때, 축부(10)의 조(15a)와 동체(40)의 조(41b)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축부(10)를 동체(40) 측으로 누른다. 그러면,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8)이 줄어들고, 축부(10)의 조(15a)가 동체(40)의 조(41b)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설편(12b)이 상기 단부와는 반대측의 반시계 회전측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축부(10)를 동체(40)에 대해서 회전시킨다. 그러면, 축부(10)의 조(15a)와 동체(40)의 조(41b)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8)의 부세력에 의해서, 축부(10)의 조(15a)의 하면과 동체(40)의 조(41b)의 상면이 맞닿는다. 이 상태, 즉 축부(10)의 조(15a)의 하면과 동체(40)의 조(41b)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축부(10)와 동체(4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를 조립할 수 있다.
《4. 놀이 방법》
4-1. 기본적인 놀이 방법
계속하여,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팽이 완구(1)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놀이 방법의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키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싸움을 실시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charge)는, 도 6에 나타내는 런처(80)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런처(8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스파이럴 용수철로 일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원판의 주위에 말아 감은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81)로 빼면, 원판이 회전되어, 팽이 홀더(8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83)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포크(84)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84)는 동체(40)의 호상 슬릿(41c)에 끼워진다. 그리고, 런처(80)의 핸들(81)을 완전히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8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포크(84)의 경사면(84a)을 따라서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83)로부터 벗겨진다.
또한, 도 7에서 부호 82는 팽이 홀더(83)에 대해서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82)는 팽이 홀더(83)에 팽이 완구(1)를 장착했을 때에 팽이 완구(1)의 상면에 밀려 팽이 홀더(83) 내에 잠긴다. 이 로드(82)는 예를 들면 팽이 완구(1)의 착탈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필드(F)(도 9 참조)에서 시계 회전으로 회전(자전)한다. 이 팽이 완구(1)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스침 등에 의해서, 동체(40)에는, 축부(1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동체(40)가 축부(1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동체(40)에 대해서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나가고, 마침내는 결합 해제 위치까지 도달한다. 그러면, 동체(40)의 조(41b)가 축부(10)의 조(15a)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8)의 부세력에 의해서 동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반(離反)하고, 팽이 완구(1)는 분해된다.
4-2. 모터에 의한 회전 구동
계속하여, 모터(21)에 의한 팽이 완구(1)의 회전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터 구동 신호의 타임 차트이며, 도 8은,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터 구동 신호의 타임 차트이다. 도 9는, 필드(F) 내에서의 팽이 완구(1)의 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서는, 축부(10)의 스위치(23)를 ON으로 하면, 모터(21)에 의해 회전축(24)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23)가 ON 상태로 런처(80)에 의해 팽이 완구(1)가 발사되면, 제어 회로(28)가,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이 회전을 검지하고,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모터 제어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제어 회로(28)는,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팽이 완구(1)의 운동 정보를 검출한다. 이 운동 정보에는, 회전 방향, 회전 속도(축선(Ax) 회전의 자전 속도), 낙하 이동량(중량 방향의 변위)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제어 회로(28)는, 런처(80)로부터의 발사 직후(필드(F)로의 착지 전)의 팽이 완구(1)의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기억부(29)에 기억된 복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읽어낸다.
복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은, 주로 필드(F) 내에서의 팽이 완구(1)의 돌아다니는 방법이 서로 다른 복수의 모터 구동 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모터 구동 패턴으로서, 공격형과 방어형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
4-2a.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3 종류(약슛, 중슛, 강슛)가 설정되어 있다. 각 패턴(슛)의 「약·중·강」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대한 공격의 강도를 의미한다. 제어 회로(28)는, 검출한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상대형의 팽이 완구(1)에 대한 공격이 강한 모터 구동 패턴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을 선택한다. 즉, 제어 회로(28)는, 발사 직후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제1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약슛을 선택하고, 제1 속도 이상이며 제2 속도(>제1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중슛을 선택하고, 제2 속도 이상의 경우에는 강슛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28)는,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팽이 완구(1)의 착지를 검지한 후, 선택한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 대응하는 모터 구동 패턴으로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 중, 약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2초 후부터 6초간만 정회전 방향(회전 방향과 동 방향;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여 팽이 완구(1)를 가속한다. 그 후, 제어 회로(28)는, 소정 회전수(예를 들면 1500rpm)까지 회전이 떨어졌을 때에,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여 회전을 지속시킨다.
중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3초 후부터 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회전 방향과 역 방향;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시계 회전 방향)의 모터 구동을 소정 횟수(또는 소정 시간) 반복한다. 정회전 방향의 모터 구동에서는 팽이 완구(1)가 가속하고, 역회전 방향의 모터 구동에서는 팽이 완구(1)가 감속한다. 이것에 의해, 팽이 완구(1)는, 그 공전 방향을 순차적으로 반전시키면서 불규칙하게 필드(F) 내를 돌아다닌다(도 9의 (a)).
강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2초 후부터 6초간만 역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함으로써, 상대형의 팽이 완구(1)와는 역 방향으로 공전하여 상기 상대방과의 충돌을 반복한다. 그 후, 제어 회로(28)는, 소정 회전수 이하로 회전이 떨어질 때까지,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여 계속 가속한다(도 9의 (b)).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모터 구동 패턴에서도, 모터(21)는 일정한 구동력(출력)으로 구동된다. 이 구동력은, 팽이 완구(1)의 회전에 대해서 너무 크면 밸런스를 무너뜨려 넘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너무 크지 않은 적당한 출력치가 설정된다. 또, 소정 회전수(예를 들면 100rpm) 이하까지 회전이 떨어졌을 경우에, 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설정은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에서도 동일하다.
4-2b.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공격형과 동일하게,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3 종류(약슛, 중슛, 강슛)가 설정되어 있다. 각 패턴(슛)의 「약·중·강」은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대한 공격의 강도를 의미한다. 제어 회로(28)는, 검출한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상대형의 팽이 완구(1)에 대한 공격이 강한 모터 구동 패턴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을 선택한다. 즉, 제어 회로(28)는, 발사 직후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제1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약슛을 선택하고, 제1 속도 이상이며 제2 속도(>제1 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중슛을 선택하고, 제2 속도 이상의 경우에는 강슛을 선택한다. 이 경우의 제1 속도 및 제2 속도는, 공격형의 모터 구동 패턴의 선택시와 달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 회로(28)는,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팽이 완구(1)의 착지를 검지한 후, 선택한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 대응하는 모터 구동 패턴으로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한다.
방어형의 모터 구동 패턴 중, 약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후에 소정 회전수(예를 들면 1500rpm)까지 회전이 떨어졌을 때에,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여 회전을 지속시킨다.
중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3초 후부터 15초간만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팽이 완구(1)를 상대방의 팽이 완구(1)보다 필드(F)의 외주측에서 공전시키고, 상대방과의 충돌을 회피시킨다.
강슛에서는, 제어 회로(28)는, 착지 3초 후부터 소정 회전수로 회전이 떨어질 때까지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고, 중슛과 동일하게 필드(F)의 외주측에서 공전시킨다. 그 후, 더 회전이 떨어졌을 때에, 정회전 방향으로 모터(21)를 구동하여 회전을 지속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 의하면, 상기 팽이 완구(1)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회전축(24)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21)의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팽이 완구(1)를 불규칙하게 돌아다니게 하거나 회전을 지속시키거나 하여, 흥취성이 풍부한 이동 모양으로 팽이 완구(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패턴으로서, 약·중·강의 각 슛을 각각 가지는 공격형과 방어형의 2 종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상기 모터 구동 패턴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28)가, 모터(21)에 대하여, 그 구동 방향의 변환과, 구동 시간과, 구동 타이밍과, 상기 모터(21)의 회전 속도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제어를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 회로(28)는, 팽이 완구(1)가 발사된 직후의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모터(21)의 구동 방향의 변환 횟수, 구동 시간, 상기 모터(21)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1개의 수치를 크게 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정한 구동력으로의 구동이 아니고, 모터 출력을 변화시켜도 좋다.
다시 말하면, 모터(21)의 동작은, 검출된 팽이 완구(1)의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제어되면 좋고, 그 구체적인 제어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운동 정보로서, 팽이 완구(1)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와, 낙하 이동량이 검출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검출되는 운동 정보는, 적어도 팽이 완구(1)의 회전 속도를 포함하면 좋다. 이 경우, 낙하 이동량의 정보를 얻을 수 없지만, 각 모터 구동 패턴으로의 제어 개시의 기준을, 팽이 완구(1)의 착지가 아니고, 회전 개시로 하면 좋다. 또, 회전 방향의 정보도 얻을 수 없지만, 모터(21)에 의한 구동 방향에 관해서, 시계 회전 방향과 반시계 회전 방향의 어느 하나를 정회전 방향으로 하는지, 각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에서 미리 설정해 두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각 모터 구동 패턴에 관해서, 시계 회전 방향과 반시계 회전 방향의 각각을 정회전 방향으로 하는 2개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부(29)에 기억하게 하고, 유저가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어느 쪽을 정회전 방향으로 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가속도 센서(27)의 출력에 근거하여,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낙하 이동량 이외의 운동 정보를 검출하고, 이 운동 정보에 근거하여 모터(21)의 동작을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팽이 완구(1)의 편차 회전을 검출하고, 이 편차 회전을 억제하도록 모터(21)를 제어하거나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격형과 방어형의 어느 하나의 모터 구동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유저 조작에 의해, 이들 공격형과 방어형을 변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부로부터 제어 회로(28)로의 액세스 수단(예를 들면 외부 접속 단자)을 설치하고, 기억부(29) 내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290)을 고쳐 쓰기 가능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1 팽이 완구
10 축부
11 하부 케이스
12 상부 케이스
13 하부 커버
20 기판
21 모터
22 전지
23 스위치
24 회전축
25 스프링
27 가속도 센서
28 제어 회로
29 기억부
290 모터 구동 프로그램
80 런처
Ax 축선
F 필드

Claims (7)

  1. 회전축을 가지는 팽이 완구로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팽이 완구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서로의 모터 구동 패턴이 다른 복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모터 구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모터 구동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터에 대하여, 구동 방향의 변환과, 구동 시간과, 구동 타이밍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팽이 완구가 발사된 직후의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상기 모터의 구동 방향의 변환 횟수, 구동 시간,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1개의 수치를 크게 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 중량 방향의 변위를 더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90141528A 2019-07-09 2019-11-07 팽이 완구 KR20210006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7502 2019-07-09
JP2019127502A JP6664763B1 (ja) 2019-07-09 2019-07-09 コマ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827A true KR20210006827A (ko) 2021-01-19

Family

ID=700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28A KR20210006827A (ko) 2019-07-09 2019-11-07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64763B1 (ko)
KR (1) KR202100068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8562B (zh) * 2021-11-15 2023-05-23 东南大学 一种外壳交替旋转型电驱动陀螺
CN115475392A (zh) * 2022-09-02 2022-12-16 深圳市宜克电子商务有限公司 陀螺及充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202B2 (ko) 1982-09-27 1987-10-23 Kawasaki Steel 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202B2 (ko) 1982-09-27 1987-10-23 Kawasaki Steel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10677A (ja) 2021-02-04
JP6664763B1 (ja)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8086B2 (ja) 遠隔制御コマ玩具
US7427225B2 (en) Remote control toy top
US6066026A (en) Remote controlled simulated tire amusement device
US7980971B2 (en) Self-propelled football with internally ducted fan and electric motor
US8187126B2 (en) Self-propelled football with internally ducted fan and electric motor
US7677232B2 (en) Multiple projectile-firing toy gun with separate target-launching mechanism
KR20210006827A (ko) 팽이 완구
JPH048381A (ja) 体感ゲーム機
WO1995009682A1 (en) Toy assembly
WO2017020391A1 (zh) 一种滚轮陀螺玩具
JP3464193B2 (ja) 遠隔操作可能なコマ玩具装置
CN104707336B (zh) 一种自转启动的电动陀螺玩具
CN208389364U (zh) 玩具发射器及玩具组件
CN108479083A (zh) 陀螺仪及其使用方法
JPH08131662A (ja) 弾丸発射機構搭載車両玩具
JP2020137556A (ja) コマ玩具
JP2003181152A (ja) ロボット玩具
JP3235037U (ja) カード吐出玩具
CN110270100B (zh) 玩具发射器及玩具组件
US2922367A (en) Missile with trajectory affecting means
US6296542B1 (en) Toy
JP2008220852A (ja) 弾球遊技機
JP2003210854A (ja) 衝撃を感知して発光する遊戯独楽
JP6051424B2 (ja) 弾球遊技機
JPH0623356Y2 (ja) 時限装置付動作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