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781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781A
KR20210004781A KR1020190141540A KR20190141540A KR20210004781A KR 20210004781 A KR20210004781 A KR 20210004781A KR 1020190141540 A KR1020190141540 A KR 1020190141540A KR 20190141540 A KR20190141540 A KR 20190141540A KR 20210004781 A KR20210004781 A KR 2021000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art
movable
top toy
stat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반도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1000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팽이 완구의 동체를 흥취성이 풍부한 변화 모양으로 변화시킨다. [해결 수단] 팽이 완구(1)는, 동체(40)와 축부(10)를 구비한다. 동체(40)는,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가동 부품(61)과, 제1 가동 부품(61)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제1 가동 부품(6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제2 가동 부품(62)을 가진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체와 축부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가동부가 동체에 부착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팽이 완구에서는, 자신의 회전이나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에 수반하여 가동부가 그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대하여, 가동부의 이동에 의한 2 단계의 공격을 계속 내보낼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250202호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팽이 완구에서는, 가동부가 그 이동 범위 내를 단순하게 이동할 뿐이므로, 동체 상태에 변화가 부족하고, 그 점에서 흥취성이 결여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체가 흥취성이 풍부한 변화 모양으로 변화하는 팽이 완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동체와 축부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로서,
상기 동체는,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가동 부품과,
상기 제1 가동 부품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가동 부품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제2 가동 부품,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제1 가동 부품은,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동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불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서,
상기 제1 가동 부품은, 상기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불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1 수단~제3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상기 팽이 완구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 측으로 힘이 가해지고(付勢)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4 수단에서,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코일 용수철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 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1 수단~제5 수단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제2 가동 부품 중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맞닿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이동이 규제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이 이동 가능한 제2 상태와의,
적어도 2개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6 수단에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상기 제2 가동 부품 중 상기 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맞닿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이동이 규제된 제3 상태로, 더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수단은, 제1 수단~제7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서로 동수(同數)인 것이, 상기 동체의 외주부에서 상기 동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수단은, 제1 수단~제8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보다 고탄성의 재료로 구성된 고탄성부를 외주부에 갖고,
상기 고탄성부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으로부터 점차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에 의하면, 팽이 완구의 동체가,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가동 부품과, 상기 제1 가동 부품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제1 가동 부품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제2 가동 부품을 구비한다. 즉, 이 동체에서는, 제1 가동 부품이 단계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 제1 가동 부품에 규제되거나 하여 제2 가동 부품의 가동 범위가 변화한다.
따라서, 팽이 완구의 동체를 흥취성이 풍부한 변화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며, (b)는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동체를 상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동체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a) 칩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b) 칩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제1 가동 부품의 이동 구조(래칫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동체의 둘레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동체 중 상층 부재의 투명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8]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상층 부재 및 하층 부재에 대한 제1 가동 부품 및 제2 가동 부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동체의 평면도이다.
[도 10] 상층 부재 및 하층 부재에 대한 제1 가동 부품 및 제2 가동 부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동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1의 (b)는,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이른바 팽이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이 팽이 완구(1)는,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도 1의 (b)와 같이 분해시켜 승리하는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2. 세부 구성》
2-1. 축부(10)에 대해
도 2는, 팽이 완구(1) 중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을 단면으로 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도면에 나타내듯이, 축부(10)는, 하단부에 회전축(11), 상하 중간부에 날(鍔)(12),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11), 날(12) 및 원통부(13)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재료는 합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제나 고무 그 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날(12)의 하방 부분은, 상기 날(12)로부터 회전축(11)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역원추 모양(逆圓錐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12) 및 원통부(13)에는, 상하 방향에 따른 팽이 완구(1) 전체의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축(11)의 축선(Ax)(이하, 단지 「축선(Ax)」이라고 한다.)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구멍(15)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날(12) 및 원통부(13)에는, 날(12)의 좌우에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다(도 2에는 좌측의 것만 도시). 이 돌출부(16)는, 날(12)의 상하에 위치하고, 그 외면은 날(12)의 외주면과 대략 평평한(面一)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주체(14)가 입설되어 있다. 이 원주체(14)의 상단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보다 조금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주체(14)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내붙인(張出) 조(爪)(17)가 전후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10)는, 원통부(13) 내측에 설치되어 원주체(14)의 상부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가동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부재(18)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내붙인 돌출편(18a)이 전후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편(18a)은, 구멍(15)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 부재(1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 부재(18)는, 원주체(14)의 주위에 감아 돌린 코일 스프링(19)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정상 상태(常態)에서는, 돌출편(18a)이 구멍(15) 상연에 맞닿고 있다.
이 가동 부재(18)의 상면(18b)에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조(凸條)(20)가 좌우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도 2에는 좌측의 것만 도시).
2-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플라이 휠이 이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거의 원환판 모양(圓環板狀)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날(12)이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단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좌우 각각 상방을 향해서 내붙인 역 U자 모양의 돌출부(31)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도 2에는 좌측의 것만 도시). 각 돌출부(31)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6)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요부(凹部)(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돌출부(3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설편(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 휠을 대신하여 혹은 플라이 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요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이용해도 좋다.
2-3. 동체(40)에 대해
도 3은, 상측에서 본 동체(4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하측에서 본 동체(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체(40)에 부착되는 칩(57)의 사시도이다. 또, 도 6은, 동체(40)가 구비하는 제1 가동 부품(61)의 이동 구조(래칫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동체(40)의 둘레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동체(40) 중 후술하는 상층 부재(50)의 투명부(53)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동체(40)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원반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동체(40)는, 상층 부재(50), 중층 부재(60), 하층 부재(70)를 가지는 3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동체(40)는, 상층 부재(50)와 하층 부재(70)가, 중층 부재(60)(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에 협지하면서, 서로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선(Ax)에 따른 방향을 「축 방향」, 축선(Ax)에 수직인 방향을 「지름 방향」,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또, 특별히 사전 양해가 없는 한, 「시계 회전」 또는 「반시계 회전」은, 팽이 완구(1)를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서의 둘레 방향 중 시계 회전 또는 반시계 회전의 방향을 말한다.
2-3a. 상층 부재(50)에 대해
상층 부재(50)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층 부재(50)는, 평면에서 보면 좌우가 약간 폭이 좁게(幅狹) 형성됨과 동시에, 시계 회전측으로 회전하는 날개차 모양의 요철을 그 외주면이나 외주측의 표면에 가지고 있다.
상층 부재(50)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3)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상 슬릿(51)이, 좌우 2개소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51)의 둘레 방향 길이는 설편(33)을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상층 부재(50)의 상면에는, 대략 호상의 표면 파트(52)가, 외주측의 전후 2개소에 1개씩 부착되어 있다. 각 표면 파트(52)의 하면에는 2개의 감합 돌기(嵌合突起)(52a)가 입설되어 있고, 상층 부재(50)의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2개의 관통공(50a)에 상기 감합 돌기(52a)가 끼워 맞춤(嵌合)으로써, 각 표면 파트(52)가 상층 부재(50)에 부착된다.
또, 상층 부재(50) 중, 외주측의 좌우 2개소는, 그 하측의 중층 부재(60) 및 하층 부재(70)를 시인 가능한 투명부(53)로 되어 있다(도 7 참조).
상층 부재(50)의 하면에는, 2개의 제1 보스(54a)와, 4개의 제2 보스(54b)가 입설되어 있다. 제1 보스(54a)는, 지름 방향의 중간 정도보다 약간 외주측의 좌우 2개소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2 보스(54b)는, 제1 보스(54a)보다 내주측의 전후 2개소에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보스(54a) 및 제2 보스(54b)의 각각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나사혈(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보스(54a)는, 하방에서 보면 반시계 회전측으로, 후술의 부세(付勢) 용수철(621)을 지지하기 위한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다.
또, 상층 부재(5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중층 부재(60)의 제1 가동 부품(61)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55a) 및 가이드 홈(55b)이, 전후 2개소에 1 조(組)씩 설치되어 있다. 각 조의 가이드 돌기(55a)와 가이드 홈(55b)은, 둘레 방향에 따른 원호상의 돌기 또는 홈부(溝部)이며, 서로 동일한 정도 또한 중복되지 않는 소정의 중심각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층 부재(5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중층 부재(60)의 제2 가동 부품(62)을 가이드하기 위한 2개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가, 좌우 2개소에 1 조씩 설치되어 있다. 각 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는,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접선 방향에 따른 직선 모양의 돌기이며, 제1 보스(54a)를 타넘은 전후 양측의 동일 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층 부재(50)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칩(57)이 장착된다.
칩(57)은 평면에서 보면 전후에 장척(長尺)인 접형(蝶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칩(57)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7a)가 좌우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7a)는, 상층 부재(50)의 구멍부(50b)와 하층 부재(70)의 원공(圓孔)(71)의 좌우 양측 부분에 상방으로부터 삽통되고(도 3, 4 참조), 하단면을 동체(40)의 하방으로 노출시킨다. 이 돌출부(57a)의 하단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부(凸部)를 둘레 방향으로 연달아서 형성되고, 축부(10)의 철조(20)에 맞물리는 기복부(57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칩(57)의 전후 양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계지편(57c)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칩(57)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2-3b. 하층 부재(70)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하층 부재(70)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층 부재(70)는, 평면에서 보면 크기가 상층 부재(50)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하층 부재(70)의 기울기 전후 좌우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고탄성부(70a)의 각각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층 부재(50)보다 외주 측으로 돌출(노출)하고 있다(도 10 참조). 이 고탄성부(70a)는, 상기 고탄성부(70a)를 제외한 하층 부재(70) 본체나, 후술의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보다 고탄성의 고무 소재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층 부재(70) 본체의 외주부에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되어 있다.
하층 부재(70)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 축으로 하는 원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공(71)의 내주면 하단에는, 기울기 전후의 부위 2개소 각각에,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내붙인 조(71a)가 돌설되어 있다.
하층 부재(70) 중, 원공(71)보다 지름 방향 외측의 좌우 2개소 각각에는, 호상 슬릿(72)이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72)은, 상층 부재(50)의 호상 슬릿(51)과 대응하는 둘레 방향 위치 및 둘레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층 부재(70)에는, 2개의 제1 관통공(73a)과, 4개의 제2 관통공(7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관통공(73a) 및 제2 관통공(73b)은,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 및 제2 보스(54b)와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통공(73a) 및 제2 관통공(73b)은, 각각 대응하는 보스와 동일한 평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상면 측에는, 대응하는 보스의 하단이 끼워 맞춰지는 스팟 페이스 홀(spot face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관통공(73a) 및 제2 관통공(73b)에 하방으로부터 삽통시킨 나사(91)를, 대응하는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 및 제2 보스(54b)의 나사공에 나합시킴으로써, 상층 부재(50)와 하층 부재(70)가 체결 고정된다. 다만,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는, 후술하는 제2 가동 부품(62)의 관통공(62a)에 삽통시킨 상태로, 제1 관통공(73a)에 나사 체결된다.
하층 부재(7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중층 부재(60)의 제1 가동 부품(61)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75a) 및 가이드 홈(75b)이, 전후 2개소에 1 조씩 설치되어 있다. 각 조의 가이드 돌기(75a) 및 가이드 홈(75b)은, 상층 부재(50)의 가이드 돌기(55a) 및 가이드 홈(55b)과 대응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55a) 및 가이드 홈(55b)과 대략 동일한 평면 위치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가이드 돌기(75a)는, 상층 부재(50)의 가이드 돌기(55a)보다 중심각 범위가 약간 짧다.
또, 하층 부재(7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중층 부재(60)의 제2 가동 부품(62)을 가이드하기 위한 2개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홈(76)이, 좌우 2개소에 1 조씩 설치되어 있다. 각 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홈(76)은, 상층 부재(50)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와 평행한 직선 모양의 홈부이며, 서로 소정의 틈새를 개재(介在)시키면서 동일 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하층 부재(70)에는, 후술하는 제1 가동 부품(61)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조 부재(77)가, 외주측의 전후 2개소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 조 부재(77)는, 대략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층 부재(70)의 상면에 끼워 맞춰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조 부재(77)는, 후술의 제1 가동 부품(61)의 기어부(611)와 맞물려 래칫 기구를 이루는 훅부(771)를 가지고 있다. 훅부(771)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반시계 회전으로 연장한 대들보 모양(梁狀)으로 형성되고, 시계 회전측의 단부를 기단으로서 상하로 탄성 변위한다. 또, 훅부(771)는, 선단에 상방으로의 돌기(771a)를 가지고 있다. 돌기(771a)는, 훅부(771)의 기단측보다 완만한 경사면, 선단측보다 험준한 경사면을 갖고, 이것들이 상단에서 매끄럽게 교차하는 측면에서 보면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훅부(771)에 소망한 탄성이나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하층 부재(70)(본체)와는 별체의 조 부재(77)에 상기 훅부(771)를 설치하고 있다. 다만, 하층 부재(70) 본체에 요구되는 강도 등의 다른 특성과 훅부(771)의 상기 특성을 양립할 수 있다면, 하층 부재(70) 본체에 일체적으로 훅부(771)를 설치해도 좋다.
또, 하층 부재(70)에는, 칩(5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78)가, 전후 2개소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동체(40)에서는, 칩(57)이 상층 부재(50)의 상면 중앙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이 칩(57)의 피계지편(57c)(도 5 참조)이 상층 부재(50)의 전후 양측의 틈새로부터 하층 부재(70)의 상면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고정 부재(78)는, 하층 부재(70)에 대해서 지름 방향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위치의 전환에 의해, 칩(57)의 피계지편(57c)에 걸림이 벗겨져서(係脫) 상기 칩(57)을 고정 또는 해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부재(78)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2-3c. 중층 부재(60)에 대해
중층 부재(6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가동 부품(61)과, 2개의 제2 가동 부품(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제1 가동 부품(61)과 2개의 제2 가동 부품(62)은, 동체(40)의 외주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축선(Ax)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에 지지되어 있다.
이 중 제1 가동 부품(61)은, 동체(40)의 외주부의 전후 2개소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가동 부품(61)은, 중심각 90도 미만의 대략 원호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가동 부품(61)의 외주면은,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의 외주면과 지름 방향 위치가 대략 일치하고 있고,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의 위치에 따라, 상층 부재(50)나 하층 부재(70)로부터 부분적으로 외주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제1 가동 부품(61)의 상면에는, 호상 홈(61a) 및 호상 돌기(61b)가 형성되어 있다. 호상 홈(61a)은, 반시계 회전측의 대략 반부에 걸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원호상의 홈부이다. 호상 돌기(61b)는, 시계 회전측의 단부에 설치된 원호상의 돌기이다. 이들 호상 홈(61a) 및 호상 돌기(61b)는, 상층 부재(50)의 가이드 돌기(55a) 및 가이드 홈(55b)에 대응하고 있고, 호상 홈(61a)이 가이드 돌기(55a)에, 호상 돌기(61b)가 가이드 홈(55b)에, 각각 슬라이딩(摺動)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춰진다.
한편, 각 제1 가동 부품(61)의 하면에는, 호상 홈(61c) 및 호상 돌기(61d)가 형성되어 있다. 호상 홈(61c)은, 반시계 회전측의 대략 반부보다 약간 짧은 범위에 걸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원호상의 홈부이다. 호상 돌기(61d)는, 시계 회전측의 단부에 설치된 원호상의 돌기이며, 상면의 호상 돌기(61b)와 동일한 평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호상 홈(61c) 및 호상 돌기(61d)는, 하층 부재(70)의 가이드 돌기(75a) 및 가이드 홈(75b)에 대응하고 있고, 호상 홈(61c)이 가이드 돌기(75a)에, 호상 돌기(61d)가 가이드 홈(75b)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춰진다.
이와 같이, 각 제1 가동 부품(61)은, 상면에서는 호상 홈(61a) 및 호상 돌기(61b)가 상층 부재(50)의 가이드 돌기(55a) 및 가이드 홈(55b)에, 하면에서는 호상 홈(61c) 및 호상 돌기(61d)가 하층 부재(70)의 가이드 돌기(75a) 및 가이드 홈(75b)에, 각각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부품(61)은,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제1 가동 부품(61)의 하면에는, 둘레 방향에 따른 크라운 기어 모양의 기어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611)가 가지는 각 이빨(611a)은, 도 6에 나타내듯이, 반시계 회전측(CCW측; 도 6의 좌측)의 면이 보다 험준하고, 시계 회전측(CW측; 도 6의 우측)의 면이 보다 완만하게 형성된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이빨(611a)의 시계 회전측의 면은, 조 부재(77)의 돌기(771a)에서의 동일한 측의 면보다 약간 험준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611)는, 조 부재(77)의 훅부(771) 선단의 돌기(771a)와 맞물려 래칫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래칫 기구에 의해, 제1 가동 부품(61)의 위치는, 훅부(771)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771a)가 기어부(611)와 맞물리는(이빨(611a)의 사이에 위치한다) 위치로 규제된다. 즉, 돌기(771a)가 기어부(611)와 맞물린 상태로부터, 제1 가동 부품(61)이 하층 부재(70)에 대해서 반시계 회전(도 6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훅부(771)가 하방으로 탄성변형하여 이빨(611a)을 타넘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상태까지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이 이동한다. 또, 제1 가동 부품(61)을 시계 회전으로 돌리려고 해도, 훅부(771)를 하방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1 가동 부품(61)을 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제1 가동 부품(61)은, 가장 시계 회전측에 위치한 초기 상태로부터 단계적으로, 소정의 중심각 범위에 걸쳐, 불가역적으로 반시계 회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이, 전부 5 단계에 걸쳐 중심각 약 25도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가동 부품(6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동체(40)의 외주부의 좌우 2개소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가동 부품(62)은,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가동 부품(62)의 외주면은,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의 외주면과 지름 방향 위치가 대략 일치하면서, 이들 상층 부재(50)나 하층 부재(70)보다 약간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제2 가동 부품(62)의 평면에서 보면 중앙에는, 상하로의 관통공(62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62a)은, 상기 제2 가동 부품(6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62a)은, 반시계 회전측의 일단면이,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에 대응한 평면에서 보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계 회전측의 타단면에는, 부세 용수철(코일 용수철)(621)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6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가동 부품(62)의 상면에는, 관통공(62a)의 전후 양측으로, 상기 제2 가동 부품(62)의 길이 방향에 따른 2개의 직선형 홈(6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직선형 홈(62c)은, 상층 부재(50)의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춰지게 되어 있다.
한편, 각 제2 가동 부품(62)의 하면에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2개의 직선형 돌기(62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직선형 돌기(62d)는, 하층 부재(70)의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홈(76)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1조의 직선 모양 가이드 홈(76)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2 가동 부품(62)은, 상면에서는 직선형 홈(62c)이 상층 부재(50)의 직선 모양 가이드 돌기(56)에, 하면에서는 직선형 돌기(62d)가 하층 부재(70)의 직선 모양 가이드 홈(76)에, 각각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제2 가동 부품(62)은,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에 대하여, 상기 제2 가동 부품(62)의 길이 방향, 즉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접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제2 가동 부품(62)의 관통공(62a) 내에는,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가 삽통된다. 이 때, 관통공(62a) 내에는, 시계 회전측의 타단면과,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와의 사이에, 부세 용수철(621)이 배치된다. 부세 용수철(621)은, 일단을 지지 돌기(62b)에 지지된 상태로, 관통공(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축하도록 배치된다. 즉, 이 부세 용수철(621)은, 상층 부재(50)에 대하여, 관통공(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시계 회전측으로, 제2 가동 부품(62)에 힘을 가한다. 각 제2 가동 부품(62)은, 부세 용수철(621)에 힘이 가해져서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가 관통공(62a) 내의 일단면에 맞닿은 상태(도 9(a) 참조)로부터, 반시계 회전측으로 이동하여 부세 용수철(621)이 완전히 줄어든 상태(도 10 참조)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5mm이동한다. 이 제2 가동 부품(62)의 가동 범위(단체(單體)에서의 전 범위)는, 그 둘레 방향의 양측으로 이웃이 되는 2개의 제1 가동 부품(61)의 각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고 있다.
또, 제2 가동 부품(62) 중, 관통공(62a)의 주변부는, 상층 부재(50)의 투명부(53)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저(플레이어)는, 도 7에 나타내듯이, 관통공(62a) 내에서 신축하는 부세 용수철(621)의 상태 등을, 투명부(53)를 통해서 상방으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다.
《3.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전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또, 축부(10)와 동체(40) 각각의 조립은 완료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동체(40)에는 칩(57)이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우선, 축부(10)의 돌출부(16)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요부(32)에 합치시키도록 하고,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춤 상태로 조립한다. 다음으로, 이 조립체를 동체(40)에 하방으로부터 가깝게 한다. 이 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3)을 동체(40)의 호상 슬릿(51, 72)의 시계 회전측의 단부에 합치시킨다. 이 상태는,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하층 부재(70))의 조(71a)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체(40) 측에 누른다(押壓). 그러면, 우선, 성능 가변 링(30)이 동체(40)의 하면에 꽉 눌러진다. 또한,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9)이 줄어들고, 축부(10)의 조(17)가 동체(40)의 조(71a)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동체(40)에 대해서 설편(33)이 상기 단부와는 반대측의 반시계 회전측의 단부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축부(10)의 조(17)와 동체(40)의 조(71a)가 상하로 겹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9)의 부세력에 의해서, 축부(10)의 조(17)의 하면과 동체(40)의 조(71a)의 상면이 맞닿는다. 이 상태, 즉 축부(10)의 조(17)의 하면과 동체(40)의 조(71a)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것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가 결합되고, 팽이 완구(1)를 조립할 수 있다.
《4. 놀이 방법》
4-1. 기본적인 놀이 방법
계속하여,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팽이 완구(1)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놀이 방법의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키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배틀을 실시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는, 도 8에 나타내는 런처(80)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런처(8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스파이럴 용수철로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원판의 주위에 말아 돌린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81)로 빼면, 원판이 회전되고, 팽이 홀더(8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83)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포크(84)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전달되고,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84)는 동체(40)의 호상 슬릿(51, 72)에 끼워진다. 그리고, 런처(80)의 핸들(81)을 완전히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8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으로,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포크(84)의 경사면(84a)에 모방하여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83)로부터 벗겨진다.
또한, 도 8에서 부호 82는 팽이 홀더(83)에 대해서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82)는 팽이 홀더(83)에 팽이 완구(1)를 장착했을 때에 팽이 완구(1)의 상면에 밀려 팽이 홀더(83) 내에 잠긴다. 이 로드(82)는 예를 들면 팽이 완구(1)의 착탈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필드에서 시계 회전으로 회전한다. 이 팽이 완구(1)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스침 등에 의해서, 동체(40)에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동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동체(40)에 대해서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간다. 이 때, 축부(10)의 철조(20)와, 상층 부재(50)에 장착된 칩(57)의 기복부(57b)가 맞물리고 있고, 축부(10)의 철조(20)에는 코일 스프링(19)의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이들 철조(20)와 기복부(57b)가 저항 요소로서 작용하면서 맞물림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동체(40)와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간다. 그리고, 축부(10)와 동체(40)가 결합 해제 위치까지 도달하면, 동체(40)의 조(71a)가 축부(10)의 조(17)로부터 벗겨지기 때문에, 축부(10) 내의 코일 스프링(19)의 부세력에 의해서 동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반(離反)한다. 그 결과, 팽이 완구(1)는, 도 1의 (b)에 나타낸 것처럼 분해된다.
4-2. 동체(40)의 변화 모양
계속하여, 팽이 완구(1)의 사용에 수반하는 동체(40)의 변화 모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에 대한 중층 부재(60)(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동체(40)의 평면도이다. 또,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움직임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상층 부재(50)를 2점 쇄선으로 외연(外緣)만 나타내고,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외연을 굵은 선(太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의 (b) 및 도 10에서는, 2개의 제1 가동 부품(61)이 동일하게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2개의 제1 가동 부품(61)은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사용에 따라서, 중층 부재(60)(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위치나 가동 범위가 점차 바뀜으로써 동체(40)가 변화하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의 충돌 모양도 변해간다.
구체적으로, 아직 그다지 사용되지 않은 초기 상태의 팽이 완구(1)(동체(40))에서는, 도 9의 (a)에 나타내듯이, 제1 가동 부품(61)이 그 가동 범위 중 시계 회전측(회전 방향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그 시계 회전측의 단면이 제2 가동 부품(62)의 반시계 회전측의 단면과 접촉하고 있다. 한편, 제2 가동 부품(62)은, 부세 용수철(621)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부세 용수철(621)이 관통공(62a)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어 상층 부재(50)의 제1 보스(54a)가 상기 관통공(62a) 내의 반시계 회전측의 일단면에 맞닿고 있고, 그 가동 범위 중 가장 시계 회전측(회전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가동 부품(62)은, 반시계 회전측의 단면이 제1 가동 부품(61)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할 수 없다.
이 초기 상태(변화 전)에서는, 하층 부재(70)의 고탄성부(70a)는 그 대부분이 제1 가동 부품(61) 또는 제2 가동 부품(62)에 덮여 있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의 충돌은, 오로지 제1 가동 부품(61) 또는 제2 가동 부품(62)에 의한 단순한 충돌 모양이 된다.
초기 상태에서 제1 가동 부품(61)이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충돌하면(혹은 이 충돌을 반복하고),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은, 조 부재(77)의 훅부(771)와 기어부(611)로 구성되는 래칫 기구에 의해, 도 9의 (b)에 나타내듯이, 상층 부재(50) 및 하층 부재(70)에 대해서 단계적이고 불가역적으로 반시계 회전측(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부품(61)의 시계 회전측의 단면이 제2 가동 부품(62)의 반시계 회전측의 단면으로부터 이간한다. 그 때문에, 제2 가동 부품(62)은, 반시계 회전측의 단면이 제1 가동 부품(61)과 맞닿을 때까지(제1 가동 부품(61)이 상기 제2 가동 부품(62)의 이동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관통공(62a) 내의 부세 용수철(621)이 완전히 줄어들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부세 용수철(62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변화 도중 상태에서는, 각 제1 가동 부품(61)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의 시계 회전측으로부터 하층 부재(70)의 고탄성부(70a)가 노출한다. 그 때문에, 이 노출한 2개소의 고탄성부(70a)에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충돌함으로써, 초기 상태보다 강한 공격을 계속 내보낼 수 있다. 또한, 부세 용수철(621)에 의해 시계 회전측(즉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에 힘이 가해진 제2 가동 부품(62)이 이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2 가동 부품(62)과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충돌했을 때에, 부세 용수철(621)에 의해 충돌 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혹은, 부세 용수철(621)의 부세력이 강한 경우에는, 이 부세력에 의해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뒤집을 수 있다.
제1 가동 부품(61)이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의 충돌을 반복하여 더 반시계 회전측으로 불가역적으로 이동해 가면, 제1 가동 부품(61)의 반시계 회전측의 단면이 제2 가동 부품(62)의 시계 회전측의 단면과 맞닿는다. 그러면, 제2 가동 부품(62)은, 부세 용수철(62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1 가동 부품(61)에 밀려 반시계 회전측으로 이동하여 가고, 그 가동 범위가 점차 좁아져 간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마침내는 관통공(62a) 내에서 부세 용수철(621)이 완전히 줄어들고, 제2 가동 부품(62)이 더 이상 반시계 회전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모두가 각각의 가동 범위(이웃이 되는 가동 부품과의 간섭을 고려한 실제의 가동 범위) 중 가장 반시계 회전측에 위치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 완전히 변화된 상태가 된다.
이 변화 후 상태에서는, 각 제2 가동 부품(62)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2 가동 부품(62)의 시계 회전측으로부터, 변화 도중 상태에서 먼저 노출하고 있던 것과는 다른 하층 부재(70)의 고탄성부(70a)가 노출한다. 그 때문에, 이 노출한 4개소의 고탄성부(70a)에서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충돌함으로써, 상술한 변화 도중 상태보다 더 강한 공격을 계속 내보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 의하면, 동체(40)가,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가동 부품(61)과,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제1 가동 부품(6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제2 가동 부품(62)을 구비한다. 즉, 이 동체(40)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이 단계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 제1 가동 부품(61)에 규제되어 제2 가동 부품(62)의 가동 범위가 변화한다.
따라서, 동체(40)를 흥취성이 풍부한 변화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을 지지하는 하층 부재(70)가,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보다 고탄성의 재료로 구성된 고탄성부(70a)를 외주부에 가지고 있고, 이 고탄성부(70a)는,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가동 부품(61)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62)로부터 점차 노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의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대하여 고탄성부(70a)에 의한 강한 공격을 계속 내보낼 수 있도록, 동체(40)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이 래칫 기구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제1 가동 부품(61)은,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이동 방향이나 기구·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이 래칫 기구에 의해 불가역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이동은 불가역적이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유희 중에서 이동한 제1 가동 부품(61)을 유저가 수동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1 가동 부품(61)은,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편, 그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동 부품(61)과 상층 부재(50) 또는 하층 부재(70)의 각각에, 제1 가동 부품(61)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상대적으로 방해하는 접촉부를 설치하는 등 하면 좋다. 이 구조는 래칫 기구와 병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동 부품(62)이,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접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중의 시계 회전측(회전 방향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제2 가동 부품(62)은, 제1 가동 부품(61)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이 가동 범위가 제1 가동 부품(61)로 규제되거나 되지 않거나 하여 변화하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제2 가동 부품(62)의 이동 방향이나 그 중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 말하면, 제2 가동 부품(62)은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기구에 의한 제1 가동 부품(61)의 이동에 의해 동체(40) 상태가 복수 단계에 변화(진화)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동체(40)는, 제1 가동 부품(61)이 제2 가동 부품(62)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맞닿아서 제2 가동 부품(62)의 이동이 규제된 제1 상태와, 제1 상태로부터 제1 가동 부품(61)이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가동 부품(62)이 이동 가능한 제2 상태의, 적어도 2개 상태로 변화할 수 있으면 좋다. 다만, 동체(40)는, 제2 상태로부터 제1 가동 부품(61)이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제2 가동 부품(62)의 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맞닿고, 제2 가동 부품(62)의 이동이 규제된 제3 상태로, 더 변화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이 2개씩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들 제1 가동 부품(61) 및 제2 가동 부품(62)은, 서로 동수이면, 그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팽이 완구(1)의 회전 방향이 시계 회전인 것으로 했지만, 이 회전 방향은 반시계 회전이어도 좋다. 다만, 그 경우에, 회전 방향에 의존하는 형상·구조(예를 들면, 부세 용수철(621)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나, 래칫 기구에 의한 제1 가동 부품(61)의 이동 방향 등)를 둘레 방향으로 반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팽이 완구
10 축부
40 동체
50 상층 부재
53 투명부
54a 제1 보스
60 중층 부재
61 제1 가동 부품
62 제2 가동 부품
62a 관통공
70 하층 부재
70a 고탄성부
73a 제1 관통공
77 조 부재
611 기어부
611a 이빨
621 부세 용수철
771 훅부
771a 돌기
Ax 축선

Claims (9)

  1. 동체와 축부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로서,
    상기 동체는,
    소정의 가동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가동 부품과,
    상기 제1 가동 부품의 가동 범위와 일부가 중복하는 가동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가동 부품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가 변화하는 제2 가동 부품,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품은,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동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품은, 상기 래칫 기구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불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상기 팽이 완구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 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코일 용수철에 의해 상기 회전 방향 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제2 가동 부품 중 상기 팽이 완구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맞닿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이동이 규제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이 이동 가능한 제2 상태의,
    적어도 2개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가동 부품이 상기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상기 제2 가동 부품 중 상기 회전 방향측의 단부에 맞닿고,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이동이 규제된 제3 상태로, 더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은, 서로 동수의 것이, 상기 동체의 외주부에서 상기 동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보다 고탄성의 재료로 구성된 고탄성부를 외주부에 갖고,
    상기 고탄성부는,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가동 부품 및 상기 제2 가동 부품으로부터 점차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90141540A 2019-07-04 2019-11-07 팽이 완구 KR202100047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4869 2019-07-04
JP2019124869A JP6656683B1 (ja) 2019-07-04 2019-07-04 コマ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81A true KR20210004781A (ko) 2021-01-13

Family

ID=699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40A KR20210004781A (ko) 2019-07-04 2019-11-07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56683B1 (ko)
KR (1) KR202100047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2334B (zh) * 2022-04-14 2024-04-05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一种配重环结构和陀螺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202B2 (ko) 1982-09-27 1987-10-23 Kawasaki Steel 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202B2 (ko) 1982-09-27 1987-10-23 Kawasaki Steel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10422A (ja) 2021-02-04
JP6656683B1 (ja)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417B1 (ko) 코마 완구
JP6111365B1 (ja) コマ玩具
JP5959773B1 (ja) コマ玩具
JP6250202B1 (ja) コマ玩具
US9566529B1 (en) Toy top
KR102332707B1 (ko) 팽이 완구
JP5990354B1 (ja) コマ玩具
KR20210004781A (ko) 팽이 완구
JP6904543B2 (ja) コマ玩具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5959711B1 (ja) コマ玩具
JP2020058684A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JP3194179U (ja) ゲーム玩具
JP6554649B1 (ja) コマ玩具
JP6807069B1 (ja) コマ玩具
JP6915811B2 (ja) コマ玩具
JP6704593B1 (ja) コマ玩具
AU2008200690B2 (en) Joining apparatus with rotatable magnet therein having separation preventing means including a sealing lid and built-up type toy with the same
JP6608289B2 (ja) シューティング玩具
JP5762364B2 (ja) コード式刈払機の刈払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