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739A -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 Google Patents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739A
KR20210004739A KR1020190081607A KR20190081607A KR20210004739A KR 20210004739 A KR20210004739 A KR 20210004739A KR 1020190081607 A KR1020190081607 A KR 1020190081607A KR 20190081607 A KR20190081607 A KR 20190081607A KR 20210004739 A KR20210004739 A KR 20210004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rame
toner cartridge
image form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태
김준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8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739A/ko
Priority to US17/414,130 priority patent/US20220121150A1/en
Priority to PCT/US2019/067917 priority patent/WO2021006924A1/en
Priority to CN201980095748.5A priority patent/CN113748383A/zh
Publication of KR2021000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커버가 형성된 본체, 본체에 형성되어,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위치에 안착시키는 위치결정부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의 외부인 제1 위치와 본체의 내부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및 커버에 연결되어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제2 위치에 위치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위치결정부재와 접촉하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INSTALL TONER CATRIDGE USING HOLDER}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 상에 흑백 화상이나 컬러 화상을 현상 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교체형 토너 카트리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해 본체 내측에 다수의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의 외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의 내부 제2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의 내부 제3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2c의 A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a의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 홀더, 연결부재, 위치결정부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a는 도 2b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 홀더, 연결부재, 위치결정부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토너 카트리지와 위치결정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도 2c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 홀더, 연결부재, 위치결정부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b는 도 7a에서 토너 카트리지와 위치결정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슬라이딩 부재가 제1 위치인 경우 슬라이딩 부재의 핸들과 로킹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슬라이딩 부재가 제2 위치인 경우 슬라이딩 부재의 핸들과 로킹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이미지의 형성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이미지와 관련된 다양한 작업(e.g. 인쇄, 스캔, 복사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Television)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토너 카트리지(30, 도 2a 참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에서 제공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매체(이하, '용지'라 함)(미도시)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슬라이딩 부재(50, 도 2a 참조)가 인출되는 개구(O, 도 2a 참조)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커버(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커버(20)의 개폐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부재(50, 도 2a 참조)의 인입 및 인출에 연동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0)가 안정적으로 본체(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커버(20)의 개폐에 연동하는 다수의 동작은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동작과, 토너 카트리지(30)에 구비된 감광 드럼이 전사 유닛(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 에 접촉 및 이격되는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의 외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의 내부 제2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의 내부 제3 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1)가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를 갖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구현 시에 화상형성장치(1)는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30)만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의 외부인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50)는 본체(10) 내부에 일부 걸쳐진 상태일 수도 있다. 즉, 제1 위치는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제1 안착홈(56)에 안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0)는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의 외부인 제1 위치와 본체(10)의 내부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부재(50)에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본체(10)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본체(10)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 각각은 토너 보틀(미도시)과 현상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보들은 토너(또는 현상제)를 보관하는 통이며,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 각각의 토너 보틀에는 서로 다른 색상(C, M, Y, K)의 토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현상 롤러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를 감광 드럼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가 슬라이딩 부재(50)에 지지된 상태로 본체(10)의 내부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시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위치는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제2 안착홈(62)에 안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너 카트리지(30)에 구비된 감광 드럼이 전사 유닛(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 에 접촉 및 이격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는 커버(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를 위치결정부재(100)와 접촉하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홀더(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부재(50)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이후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홀더(60)의 동작에 의하여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도 2c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0)의 감광 드럼이 중간 전사 벨트(40)와 접촉하는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 시 홀더(60)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0)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6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와 홀더(60)에 의해 각 위치에서의 이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가 본체(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30)의 이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20)는 하단이 본체(10)에 힌지 연결되며, 슬라이딩 부재(50)를 인출할 때 도 2a와 같이 커버(20)의 상단을 본체(10) 외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본체(10)의 개구(O)를 개방할 수 있다.
커버(20)는 커버 레버(21)에 의해 연결부재(7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 레버(21)는 상단부가 커버(20)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21a)가 연결부재(70)의 장공(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레버(21)는 커버(20)를 열면 하단부(21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부재(70)를 +X 방향으로 당기고, 커버(20)를 닫으면 하단부(21a)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부재(70)를 -X 방향으로 밀어 줌으로써, 슬라이딩 부재(50)의 가이드 레일(52)을 X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홀더(60)와 상호 캠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7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71)는 홀더(60)의 가이드 홈(61)에 삽입되어 캠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71)는 가이드 홈(6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70)는 가이드트레이로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60)는 연결부재(70)가 +X 방향으로 이동하면 +Z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부재(70)가 -X 방향으로 이동하면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홀더(60)는 연결부재(70)를 통해 커버(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를 열면 연결부재(70)가 인출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홀더(60)는 캠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71)에 의해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커버(20)를 닫으면 연결부재(70)가 인입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때 홀더(60)는 캠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71)에 의해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70)와 홀더(60)의 구체적인 연결 구조는 후술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 내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40)가 슬라이딩 부재(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홀더(60)에 의해 지지되어 중간 전사 벨트(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40)의 상측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101)이 형성된 위치결정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100)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가 화상 형성 위치에 안착되도록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 각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할 때, 제3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 각각의 일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32)는 위치결정부재(100)의 위치결정홈(10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30)는 위치결정부재(100)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100)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의 하측 일부를 지지하는 위치 결정 돌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돌기(32)는 화상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위치 결정 돌기(32)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토너 카트리지(30)는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는 제2 위치에서 슬라이딩 부재(50)에 형성된 제1 안착홈(56)으로부터 홀더(60)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62)으로 전달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30)는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31)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안착홈(56) 또는 홀더(60)의 제2 안착홈(62)에 지지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재(100)에 안착된 각 토너 카트리지(30)의 감광 드럼은 중간 전사 벨트(40)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40)의 벨트는 감광 드럼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쇄 매체에 가시 화상을 전사할 수 있다.
홀더(60)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위치결정부재(1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토너 카트리지(30)를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수직 방향 이동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부재(100)에 안착된 토너 카트리지(30)는 위치결정부재(100)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5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50)는 슬라이딩 부재(5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안착홈(56)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면(55)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1)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본체(10)의 내부에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측부 프레임(51-1) 및 제2 측부 프레임(5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부 프레임(51-1) 및 제2 측부 프레임(51-2)은 각각 슬라이딩 부재(50)의 인입 방향,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프레임(53)과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부재(50)는 제2 안착홈(62)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를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제2 지지면(54)을 가지고 슬라이딩 부재(5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프레임(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53)은 제1 프레임(51)에 대하여 제1 방향(-X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안착홈(56)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53)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인입 및 인출 동작과 연동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53)은 슬라이딩 부재(50)가 인입 방향(-X)으로 이동하면 반대 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 부재(50)가 인출 방향(+X)으로 이동하면 반대 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53)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면(54)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면(54)의 일 측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제2 지지면(54)의 일 측면과 슬라이딩 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지지면(55)과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안착홈(56)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지지면(54)은 제2 프레임(53)의 이동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도 2a 참조) 또는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없는 지지 해제 위치(도 2c 참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0)는 일단이 슬라이딩 부재(5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5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프레임(53)을 인입 방향(-X)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 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가압 부재(57)는 제2 프레임(53)을 제2 방향(Q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부재(57)는 제2 프레임(53)의 일단과 제1 프레임(5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프레임(53)을 제1 방향(-X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53)의 구체적인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프레임(53)의 외측면에는 연결부재(70)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5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가이드 레일(5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부재(5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커버(20)와 홀더(6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70)는 커버(20)를 열면 +X 방향으로 이동하고,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부재(50)를 +X 방향으로 당기고, 커버(20)를 닫으면 연결부재(70)는 -X 방향으로 이동하고,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부재(50)를 -X 방향으로 밀어 줄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가이드 레일(52)을 X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1)에서 커버(20)의 개폐에 연동하여 홀더(6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5a, 5b를 참조하여, 홀더, 연결부재(7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70)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60)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2c의 A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연결부재(70)는 일 측에 커버 레버(21)와 연결되는 장공(72)이 형성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7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장공(72)에 결합된 커버 레버(21)에 의해 커버(20)와 연결될 수 있고, 커버(2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71)는 연결부재(70)의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71) 각각은 후술하는 홀더(60)에 형성된 가이드 홈(6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홀더(60)와 가이드 돌기(71)와 가이드 홈(61)에 의해 상호 캠 접촉할 수 있다.
홀더(60)는 커버(20)에 움직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60)는 커버(20)가 열리는 경우 상승하고, 커버(20)가 닫히는 경우 하강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토너 카트리지(30)를 홀더(60)와 연결된 제2 위치에서 위치결정부재(100)와 연결된 제3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홀더(60)는 각 가이드 돌기(71)가 캠 접촉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가이드 홈(61)은 홀더(60)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61)의 경사 방향은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슬라이딩 부재(50) 인출 방향(X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홀더(60)는 본체(10) 내부에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60)는 본체(10) 내에서 슬라이딩 부재(50)의 인입출 방향(X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71)와 가이드 홈(61)의 캠 접촉에 의해 홀더(60)는 가이드 돌기(71)의 X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전달 받아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60)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의 캠고리(64) 및 캠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캠고리(64) 및 캠돌기(63)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캠고리(64) 및 캠돌기(63) 각각은 본체(10)의 프레임에 형성된 캠걸림부(14) 및 캠홈(13)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캠걸림부(14)와 캠홈(13)은 홀더(6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프레임에 수직 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캠걸림부(14)에 결합된 캠고리(64)는 캠걸림부(14)를 따라 Z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캠홈(13)에 결합된 캠돌기(63)는 캠홈(13)을 따라 Z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홀더(60)는 커버(20)에 연결되어 커버(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제2 위치에 위치하는 토너 카트리지(30)를 위치결정부재(100)와 접촉하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제2 위치에 배치된 토너 카트리지(30)를 슬라이딩 부재(50)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홀더(60)의 상측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안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60)는 각 제2 안착홈(62)에 일단이 삽입된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홀더(60)는 토너 카트리지(3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1)가 삽입되는 제2 안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홀더(60)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a의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50), 홀더(60), 연결부재(70), 위치결정부재(10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7a는 도 2b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50), 홀더(60), 연결부재(70), 위치결정부재(10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도 7b는 도 7a에서 토너 카트리지(30)와 위치결정부재(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a는 도 2c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50), 홀더(60), 연결부재(70), 위치결정부재(10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도 8b는 도 7a에서 토너 카트리지(30)와 위치결정부재(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연결부재(70)와 상호 캠 접촉하도록 배치된 홀더(60)는 연결부재(70)가 X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홀더(60)는 Z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6를 참조하면, 홀더(60)는 연결부재(70)를 통해 커버(2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20)를 열면 연결부재(70)가 인출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 돌기(71)가 +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홈(61)의 하단부 일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홀더(60)는 가이드 홈(61)의 하단부를 향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71)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캠고리(64)와 캠돌기(63)에 의해 이동력이 본체(10)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어 홀더(60)는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므로, 가이드 돌기(71)는 가이드 홈(61)의 일단에 배치되고, 캠고리(64) 및 캠돌기(63)는 캠걸림부(14)와 캠홈(13)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53)의 제2 지지면(54)과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지지면(55)에 사이에 형성된 제1 안착홈(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면(54)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수평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안착홈(56)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부재(50)가 인출 방향(+X)으로 이동하면 제2 지지면(54)은 -X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지면(55)과 인접한 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토너 카트리지(30)는 제2 지지면(54)과 제1 지지면(55) 사이에 형성된 제1 안착홈(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30)는 제1 안착홈(56)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50)에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부재(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제1 위치에서 제2 프레임(53)은 가압 부재(57, 도 9a 참조)에 의해 제2 방향(Q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53)의 제2 지지면(54)은 홀더(60)의 제2 안착홈(62)의 상부로 이동하며,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제2 안착홈(62)의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제1 위치에서 제2 지지면(54)은 제2 안착홈(62)의 상부에 배치되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를 제2 안착홈(62)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7a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30)를 포함한 슬라이딩 부재(5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제1 위치에서, 슬라이딩 부재(5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30)를 포함한 슬라이딩 부재(50)는 본체(10) 내부에 탑재된 상태일 수 있으며, 연결부재(7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50)는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0)가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X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제2 프레임(53)은 제2 프레임(53)의 가압 부재(57)가 배치된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가압 돌기(미도시)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53) 및 제2 프레임(53)의 제2 지지면(54)은 제2 방향(P 방향)으로 일부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지지면(54)은 홀더(60)의 제2 안착홈(62)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2 방향(P 방향)으로 일부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면(54)은 슬라이딩 부재(50)가 인입 방향(-X)으로 이동하면 +X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지면(55)과 이격되는 지지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면(55)과 제2 지지면(54)이 분리되어 제1 안착홈(56)이 해제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는 제2 안착홈(6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한 지지가 해제됨에 따라 홀더(6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위치에서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어 홀더(60)의 제2 안착홈(62)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60)는 커버(20)의 움직임에 따라 연결부재(70)가 이동함으로써 움직이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제2 위치에서 커버(20)는 여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홀더(60)는 이동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위치에서, 슬라이딩 부재(50)가 본체(10)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30)가 홀더(6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안착홈(62)에서의 돌출부(31)의 안착 위치는 제1 안착홈(56)에서의 안착 위치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 및 도 8a를 참조할 때, 커버(20)가 닫힘으로써, 연결부재(70)가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70)의 가이드 돌기(71)를 통해 연결된 홀더(60)가 하측 방향(-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홀더(60)는 가이드 돌기(71)의 이동력을 가이드 돌기(71)가 삽입되어 움직이는 가이드 홈(61)을 통해 전달받아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홀더(60)의 일측면에 형성된 캠고리(64) 및 캠돌기(63)가 본체(10)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캠걸림부(14)와 캠홈(13)에 삽입되어 이동함으로써, 홀더(60)는 수직 방향(Z 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커버(20)를 완전히 닫으면 연결부재(70)가 인입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 돌기(71)가 -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홈(61)의 상단부 일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홀더(60)는 가이드 홈(61)의 상단부를 향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71)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캠고리(64)와 캠돌기(63)에 의해 이동력이 본체(10)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어 홀더(60)는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이므로, 가이드 돌기(71)는 가이드 홈(61)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배치되고, 캠고리(64) 및 캠돌기(63)는 캠걸림부(14)와 캠홈(13)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가 개방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슬라이딩 부재(50)가 이동할 때, 슬라이딩 부재(50)는 가이드 레일(5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할 때, 커버(2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가 됨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한 홀더(60)의 이동 거리는 토너 카트리지(30)의 이동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커버(20)가 열린 경우 슬라이딩 부재(50)에 인접하는 제4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커버(20)가 닫힌 경우 위치결정부재(100)에 인접하여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위치결정부재(100)의 화상 형성 위치로 위치하게 되는 제5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홀더(60)는 커버(20)의 개폐 동작에 다라, 슬라이딩 부재(50)와 인접하고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한 제4 위치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30)가 위치결정부재(10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제5 위치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홀더(60)의 제2 안착홈(62)에 삽입된 제2 위치에서, 커버(20)가 닫힘에 따라 홀더(60)는 수직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토너 카트리지(30)의 위치 결정 돌기(32)가 위치결정부재(100)의 위치결정홈(101)에 지지되게 되며, 홀더(60)는 토너 카트리지(30)와 분리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30)는 홀더(60)의 움직임에 의해서만 제3 위치인 화상 형성 상태가 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위치결정부재(100)에 지지됨으로써, 화상 형성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상태가 움직이는 구성인 홀더(6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에 고정된 위치결정부재(100)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는 안정적인 화상 형성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위치에서 커버(20)가 완전히 닫힌 제3 위치로 슬라이딩 부재(50)가 이동할 때, 슬라이딩 부재(50)는 홀더(60)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50)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구분되어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50)가 본체(10) 내부의 구조들과 필요 이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50)의 안정적인 이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30)와 다른 구성들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토너 카트리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토너 카트리지(30)와 중간 전사 벨트(40)의 안정적인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30)가 제3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50)가 인출 방향(+X)으로 이동하면 도 6과 같이 제2 지지면(54)은 -X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지면(55)과 제1 안착홈(56)을 형성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30)는 홀더(60)에서 슬라이딩 부재(50)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부재(50)와 함께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부재(50)의 핸들(90)과 로킹 부재(80)의 연동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슬라이딩 부재(50)가 제1 위치인 경우 슬라이딩 부재(50)의 핸들(90)과 로킹 부재(80)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b는 슬라이딩 부재(50)가 제2 위치인 경우 슬라이딩 부재(50)의 핸들(90)과 로킹 부재(80)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50)는 핸들(90) 및 핸들(90)과 제2 프레임(53)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안착홈(56)을 해제하도록 제2 프레임(53)을 고정시키며, 제1 안착홈(56)을 형성하도록 제2 프레임(53)과 이격되는 로킹 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로킹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50)의 핸들(90)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턱(58)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로킹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50)의 상측에는 핸들(9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부재(50)의 내측에 슬라이딩 부재(50)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부재(80)는 핸들(90)의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부재(50)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핸들(90)은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부재(5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 돌기(9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90)은 슬라이딩 부재 인입 방향 및 인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핸들(90)은 내측으로 접촉 돌기(9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돌기(92)는 경사진 캠면(92a)을 가질 수 있다.
로킹 부재(80)는 핸들(90)의 접촉 돌기(92)가 결합되는 요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82)에는 접촉 돌기(92)의 캠면(9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면(82a)이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80)는 핸들(90)을 슬라이딩 부재(50) 인출 방향(+X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킹 부재(80)가 핸들(9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프레임(53)을 인입 방향(-X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압 부재(57)가 제2 프레임(53)을 인입 방향(-X)으로 밀어줄 수 있다.
한편, 로킹 부재(80)는 핸들(90)을 슬라이딩 부재(50)의 인입 방향(-X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킹 부재(80)는 핸들(90)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프레임(53)을 지지하는 가압 부재(57)의 가압력을 제한하여 제2 프레임(53)이 인출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53)은 제2 프레임(53)의 일단부에 제2 프레임(53)을 제1방향(-X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지지하는 가압 부재(5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할 때, 제2 프레임(53)은 제2 프레임(53)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턱(58)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부재(80)의 지지 리브(83)는 제2 프레임(53)의 지지턱(58)과 간섭된다. 이에 따라, 가압 부재(57)는 압축된 지지 리브(83)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프레임(53)의 제2 지지면(54)이 제2 안착홈(62)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는 제2 안착홈(62) 상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할 때, 사용자는 핸들(90)을 +X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90)의 접촉 돌기(92)는 +X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캠면(92a)은 로킹 부재(80)의 슬라이딩면(82a)과 접촉함과 동시에 슬라이딩면(82a)을 +X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따라서, 핸들(90)이 +X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면(92a)과 슬라이딩면(82a)이 접촉하는 면이 증가하게 되고, 로킹 부재(80)는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로킹 부재(80)의 이동에 따라, 지지 리브(83)와 지지턱(58) 사이의 간섭이 해제되고, 가압 부재(57)의 가압력에 의해 제2 프레임(53)은 핸들(9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53)의 제2 지지면(54)은 제2 안착홈(62) 상으로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는 제2 안착홈(62) 상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는 제2 프레임(53)의 제1 안착홈(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90)의 회전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30)를 홀더(6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50)를 이동시켜 토너 카트리지(3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다시 슬라이딩 부재(50)를 인입시킬 경우, 제2 프레임(53)은 제2 프레임(53)의 가압 부재(57)가 배치된 일단과 반대되는 타 단에 프레임에서 고정 배치된 가압 돌기(미도시)에 의해 가압되며, 가압 부재(57)는 다시 가압에 의해 압축된다.
다음으로, 가압 부재(57)가 압축된 상태에서 핸들(90)은 -X 방향으로 다시 회전 및 이동하게 되므로, 캠면(92a)과 슬라이딩면(82a)이 접촉하는 면이 감소하게 되고, 로킹 부재(80)는 다시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5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제2 안착홈(62)에 삽입되도록 제2 프레임(53)은 제1 방향(Q)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부재(5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면 토너 카트리지(30)의 돌출부(31)가 제2 지지면(54)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2 프레임(53)은 제1 방향(Q)과 반대되는 제2 방향(P)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커버 30: 토너 카트리지
40: 중간 전사 벨트 50: 슬라이딩 부재
60: 홀더 70: 연결부재
80: 로킹 부재 90: 핸들
100: 위치결정부재

Claims (13)

  1. 커버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위치에 안착시키는 위치결정부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의 외부인 제1 위치와 상기 본체의 내부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상기 위치결정부재와 접촉하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제1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으로 전달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안착홈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면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안착홈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이 분리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홈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안착 위치는 제1 안착홈에서의 안착 위치와 같거나 이보다 낮은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착홈을 해제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 안착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과 이격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지지턱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인접하는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가 닫힌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위치결정부재에 인접하여 탑재되는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위치결정부재의 화상 형성 위치로 위치하게 하는 제5 위치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에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가 열리는 경우 상승하고,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경우 하강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에 의한 상기 홀더의 이동 거리가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이동 거리보다 긴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홀더에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는,
    상기 본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캠홈에 삽입되어 상기 캠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 형성된 캠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감광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광 드럼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위치결정부재와 접촉하는 제3 위치이면, 중간 전사 벨트와 접촉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81607A 2019-07-05 2019-07-05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KR20210004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607A KR20210004739A (ko) 2019-07-05 2019-07-05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US17/414,130 US20220121150A1 (en) 2019-07-05 2019-12-20 Install toner cartridge using holder
PCT/US2019/067917 WO2021006924A1 (en) 2019-07-05 2019-12-20 Install toner cartridge using holder
CN201980095748.5A CN113748383A (zh) 2019-07-05 2019-12-20 使用保持器安装调色剂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607A KR20210004739A (ko) 2019-07-05 2019-07-05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39A true KR20210004739A (ko) 2021-01-13

Family

ID=7411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607A KR20210004739A (ko) 2019-07-05 2019-07-05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21150A1 (ko)
KR (1) KR20210004739A (ko)
CN (1) CN113748383A (ko)
WO (1) WO20210069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6907B2 (en) * 2006-01-11 2009-02-0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tray for carrying a process cartridge
JP4187262B1 (ja) * 2007-10-09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0102006A (ja) * 2008-10-22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312381B2 (ja) * 2012-09-05 2018-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86806B2 (ja) * 2014-06-20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8383A (zh) 2021-12-03
US20220121150A1 (en) 2022-04-21
WO2021006924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0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cess cartridge removable from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having improved usability
US11656572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a guide projecting from a frame body
US8290395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483603A (zh) 电子照相成像设备
JP4552535B2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7192063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3596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unit
JP5981249B2 (ja) 画像形成装置
JP6631497B2 (ja) 画像形成装置
US9809403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169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orce-converting mechanism to detach a rotary body
JP201007230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KR20210004739A (ko) 홀더를 이용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JP666582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装着可能なトナー容器
JP519399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90089435A (ko)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086269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91279A (ja) 画像形成装置
CN100401199C (zh) 具有集成供纸盘的成像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77661B2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unit comprising plural units
US20090214255A1 (en)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20014663A (ko)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JP2024046086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