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663A -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663A
KR20220014663A KR1020200094560A KR20200094560A KR20220014663A KR 20220014663 A KR20220014663 A KR 20220014663A KR 1020200094560 A KR1020200094560 A KR 1020200094560A KR 20200094560 A KR20200094560 A KR 20200094560A KR 20220014663 A KR20220014663 A KR 2022001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coupler
cover
transfer devic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섭
류황희
김원택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9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663A/ko
Priority to PCT/US2020/065548 priority patent/WO2022025963A1/en
Publication of KR2022001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 형성 장치는 중간 전사 장치가 이에 착탈되는 경우,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본체, 중간 전사 장치가 착탈되는 본체의 일 영역을 개폐하는 커버, 일 단이 커버에 연결되어 커버와 연동되는 링크 부재, 링크 부재의 타 단에 연결되어 커버가 열리면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고 커버가 닫히면 중간 전사 장치와 체결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STRUCTURE FOR DETACHING OR ATTACH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레이저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전사 및 정착 시킴으로써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로 전사하는 과정에서 중간 전사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감광체에 형성된 서로 다른 컬러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에 1차로 중첩 전사한 후, 중간 전사 벨트에 중첩된 화상을 인쇄 매체에 2차로 전사함에 따라 컬러 인쇄를 수행한다.
도 1은 중간 전사 장치의 착탈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각각 제1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은 각각 도 2 및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각각 도 2 및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1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제2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는 락킹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는 제1 및 제2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에 중간 전사 장치의 착탈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중간 전사 장치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중간 전사 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커플러와 본체의 일 영역을 개폐하는 커버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즉, 커버가 개방되면 커플러는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고, 커버가 닫히면 커플러는 장착된 중간 전사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플러의 간섭 없이 중간 전사 장치를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1은 중간 전사 장치의 착탈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 커버(11) 및 중간 전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인쇄 매체 공급 장치, 노광 장치, 감광체, 현상 장치, 정착 장치 및 인쇄 매체 배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0)는 일 영역이 커버(11)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커버(11)는 대향 배치되는 제1 커버(11a) 및 제2 커버(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a)는 본체(10)의 후방 영역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일 수 있고, 제2 커버(11b)는 본체(10)의 전방 영역을 개폐하는 전면 커버일 수 있다.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중간 전사 장치(100)도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1 커버(11a)를 열어서 본체(10)의 개방된 일 영역을 통하여 수명이 만료된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 내에 장착시킬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의 착탈 프로세스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중간 전사 장치(100)는 중간 전사 벨트(101), 구동 롤러(102), 중간 전사 롤러(미도시), 피동 롤러(미도시) 및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1)는 현상 장치에 의해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image carrier)일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1)는 구동 롤러(102) 및 피동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와 동일한 선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롤러는 중간 전사 벨트(101)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감광체와 마주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각각의 현상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101)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1차 전사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1)에 형성된 1차 전사 화상은 피동 롤러와 최종 전사 롤러 사이를 지나가는 인쇄 매체에 2차 전사화상으로 전사될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다.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복수의 감광체들과 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의 프레임(110)은 구동 롤러(102) 및 피동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의 프레임(110)은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11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1)는 프레임(110)의 전체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110)의 측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111)는 본체(10) 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도 2, 12)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의 정확한 위치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리브(111)는 중간 전사 장치(100)의 프레임(110)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2)은 리브(111)를 감싸도록 소정 깊이만큼 인입된 그루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리브(111)와 가이드 레일(1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브(111)는 측면에 소정 깊이만큼 인입된 그루브 형상을 가져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을 감싸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리브(111)는 중간 전사 장치(100)의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의 프레임(110)은 후방 측면에 일 면(112a)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후크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부재(112)는 일 면(112a)이 본체(10) 측에 형성된 가압 부재(도2, 200)의 걸림 부재(도2, 210)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 부재(200)는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후크 부재(112)가 가압 부재(200)에 맞물린 상태로 가압됨에 따라,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이후에도, 가압 부재(200)가 후크 부재(112)를 지속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중간 전사 장치(100)는 설정된 장착 위치에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200)의 구성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중간 전사 장치(100)는 구동 롤러(102)의 회전축과 연결된 커플러(120) 및 부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의 커플러(120)는 본체 측 커플러(도 2, 50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본체에 마련된 구동부(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부시(121)는 구동 롤러(102)의 회전축에 끼워지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구동 롤러(102)의 회전축은 부시(121)가 끼워진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중간 전사 장치(100)의 착탈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는 각각 제1 커버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가이드 레일(12), 안착 부재(13), 가압 부재(200), 제1 링크 부재(300), 고정 부재(400) 및 커플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은 중간 전사 장치(100)의 착탈 경로를 안내하고, 중간 전사 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2)을 통하여 슬라이딩 되어 본체(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 장치(100)는 리브(111)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지정된 경로로 착탈될 수 있다.
안착 부재(13)는 중간 전사 장치(100)의 착탈 경로 상에 배치되어 중간 전사 장치(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부재(13)는 가이드 레일(12)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중간 전사 장치(100)의 전면 일부와 맞물리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 영역(13a)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전사 장치(100)는 안착 부재(13)에 의하여 전방(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사용자 또는 가압 부재(200)가 중간 전사 장치(100)를 전방으로 밀어서 설정된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부재(13)의 지지 영역(13a)은 중간 전사 장치(100)의 부시(121)를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 부재(200)는 본체(10)의 양 측벽 내면에 중간 전사 장치(100)를 기준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중간 전사 장치(100)의 양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부재(200)는 가이드 레일(12)의 선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200)는 걸림 부재(210), 스프링(220) 및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210)는 중간 전사 장치(100)의 일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210)는 중간 전사 장치(100)의 후크 부재(112)의 일 면(112a)과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부재(210)의 상면은 후크 부재(112)의 볼록한 저면과 맞물리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220)은 걸림 부재(210)의 일 단과 연결되어 걸림 부재(21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중간 전사 장치의 일 영역과 맞물리는 걸림 부재가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가압 부재(200)는 걸림 부재(210) 및 스프링(220)을 수용하는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30)는 측면에 가이드 슬롯(231)이 형성될 수 있고, 걸림 부재(210)는 가이드 슬롯(231) 내에서 이동 가능한 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 부재(210)의 돌기(211)는 가이드 슬롯(231)의 지정된 경로 상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중간 전사 장치(100)는 걸림 부재(210)에 일 영역이 맞물린 채로 장착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300)는 일 단이 제1 커버(11a)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 부재(300)는 본체(10)의 내벽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링크(320), 제1 커버(11a)와 제1 링크(320)를 연결하는 제2 링크(310) 및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연결되는 캠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a)가 열리면, 제1 링크 부재(300)는 제1 커버(11a)에 의하여 당겨져서 제1 커버(11a)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320)는 본체(10)의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나, 이동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의 내벽에는 제1 링크(32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별도의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31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바(bar)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캠 부재(330)는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커플러(5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본체(10) 내벽의 커플러(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캠 부재(330)와 마주보는 일 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11a)가 열려서 제1 및 제2 링크(310, 320)가 이동하면, 캠 부재(330)는 제1 링크(320)에 당겨져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고정 부재(400)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서 고정 부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플러(500)를 가압할 수 있다. 캠 부재(330) 및 고정 부재(400)의 연동 구조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본체에 마련된 구동부(미도시)의 동력을 중간 전사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결합되는 제1 위치 또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500)는 캠 부재(330)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커버(11a), 제1 링크 부재(300), 고정 부재(400) 및 커플러(500)의 연동 구조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5은 각각 도 2 및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중간 전사 장치(100)의 후크 부재(112)와 맞물려있는 걸림 부재(210)의 돌기(211)가 “L”형상을 갖는 가이드 슬롯(2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 부재(21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R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31)은 후방 측 일 구간이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슬롯(231)은 후방을 향하여 하향 굴절된 “L”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 슬롯(231)의 형상을 “L”형상이라고 하지만, 구부러진 각도가 반드시 90도가 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분리되는 경우, 걸림 부재(210)는 중간 전사 장치(100)에 밀려 R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중간 전사 장치(100)는 R1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걸림 부재(210)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용이하게 걸림 부재(2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에 슬라이딩하여 장착되는 경우, 중간 전사 장치(100)는 R1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걸림 부재(21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본체(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걸림 부재(210)는 중간 전사 장치(100)에 밀려 R1 방향과 반대인 R2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간 전사 장치(100)의 일 영역과 맞물리게 되고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간 전사 장치(10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걸림 부재(210)가 R1 또는 R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중간 전사 장치(100)가 본체(10)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착탈하여도, 중간 전사 장치(100)의 걸림 부재(210)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일 영역(예를 들어, 후크 부재(112)는 걸림 부재(210)에 간섭 되지 않으면서 걸림 부재(210)로부터 이탈되거나 걸림 부재(21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각각 도 2 및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결합되는 제1 위치 또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는 커플러(500)가 본체(10)의 내벽으로부터 중간 전사 장치(100)를 향하여 소정 거리 이상 돌출된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커플러(500)가 제1 위치보다 중간 전사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한 위치일 수 있다.
제1 커버(11a)가 열리면서 제1 링크 부재(300)를 당기면,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연결된 캠 부재(330)는 R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캠 부재(330)는 고정 부재(40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고정 부재(400)로부터 이격되어 Y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커플러를 Y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캠 부재(330), 고정 부재(400) 및 커플러(500)의 연동 프로세스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1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캠 부재(330)는 커플러(500)에 걸리는 중심 영역(331)과 중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링크 부재(300)와 연결되는 암 영역(33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캠 부재(330)의 중심 영역(331)은 제1 경사면(311a)을 갖고, 암 영역(332)은 길이 방향으로 슬롯(3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320)는 타 단(321)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돌기는 암 영역(332)의 슬롯(332a)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캠 부재(330)보다 중간 전사 장치(100)와 가깝게 배치되며, 본체(1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00)는 캠 부재(330)와 마주하는 일 면에 캠 부재(330)의 제1 경사면(311a)과 맞물리는 제2 경사면(40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311a)은 R1 방향을 따라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 경사면(401)은 R1 방향을 따라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 경사면(311a, 401)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500)는 후면에 스프링(501)이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501)은 커플러(500)를 중간 전사 장치(100)를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커버(11a)가 열러서 제1 링크 부재(300)를 당기면, 제1 링크 부재(300)의 제1 링크(320)는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연결된 암 영역(332)은 R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캠 부재(330)의 암 영역(332)이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심 영역(331)의 제1 경사면(311a)이 고정 부재의 제2 경사면(40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캠 부재(330)는 고정 부재(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Y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캠 부재(330)가 Y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심 영역(331) 후면에 접한 커플러(500)를 Y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연결되는 제1 위치에서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커버(11a)가 닫히면, 제1 링크 부재(300)의 제1 링크(320)는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연결된 암 영역(332)은 R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500) 및 캠 부재(330)는 스프링(501)에 의하여 고정 부재(400)를 향하여 가압되어 Y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커버(11a)가 닫히면,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에서 중간 전사 장치(100)와 연결되는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커버(11a)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커플러(500)가 제1 및 제2 위치로 전진 및 후퇴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제2 커버(11b)를 개폐하지 않고 제1 커버(11a)만 개폐하여도 커플러(500)의 간섭 없이 중간 전사 장치(100)를 본체(1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도 11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제2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가이드 레일(12), 안착 부재(13), 가압 부재(200), 커플러(500), 제2 커버(11b)와 연결된 제2 링크 부재(600), 락킹 부재(700) 및 이격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 안착 부재(13) 및 가압 부재(200)와 같이 상술한 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제2 커버(11b)는 본체(10)의 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11b)는 제1 커버(11a)와 대향 배치되어 본체(10)의 서로 다른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커버(11b)는 제2 링크 부재(600)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격 부재(800)는 제2 링크 부재(600)의 타 단과 연결되고 커플러(500)와 접하는 제3 경사면(81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부재(800)는 제3 경사면(811)을 갖고 제2 링크 부재(600)와 연결되는 제1 이격 부재(810) 및 커플러(500)에 걸리는 제2 이격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경사면(811)은 제1 이격 부재(81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X1 방향)으로 갈수록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1b)가 열러서 제2 링크 부재(600)를 당기면, 제2 링크 부재(600)의 타 단과 연결된 제1 이격 부재(810)는 제2 커버(11b)를 따라서 X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격 부재(810)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이격 부재(810)의 후면에 접하는 제2 이격 부재(820)는 제3 경사면(811)을 따라서 제1 이격 부재(8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Y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격 부재(820)가 Y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이격 부재(820)는 후면에 접한 커플러(500)를 Y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결합되는 제1 위치에서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커버(11b)가 닫히면, 제1 이격 부재(810)는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플러(500) 및 제2 이격 부재(820)는 스프링(501)에 의하여 중간 전사 장치(100)를 향하여 가압되어 Y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11)가 닫히면, 커플러(500)는 중간 전사 장치(100)와 분리되는 제2 위치에서 중간 전사 장치(100)와 결합되는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격 부재(800)는 2개의 제1 및 제2 이격 부재(810, 820)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격 부재(800)는 커플러(500)와 접하는 제3 경사면(811)을 갖는 단일 플레이트로만 구현되어, 제3 경사면(811)이 직접 커플러(500)를 가압할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제2 커버(11b)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커플러(500)가 제1 및 제2 위치로 전진 및 후퇴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제2 커버(11b)를 열고 닫음에 따라 커플러(5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중간 전사 장치(100)를 커플러(500)의 간섭 없이 본체(10)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착탈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락킹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락킹 부재(700)는 제2 위치에 있는 커플러(500)와 중간 전사 장치(100) 사이 공간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 부재(700)는 대략 2단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안착 부재(13)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으나, 형상과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우선 제2 커버(11b)를 열어서 커플러(5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락킹 부재(700)를 커플러(500)와 중간 전사 장치(100)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X1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커버(11b)를 닫아도 커플러(500)는 락킹 부재(700)에 의하여 간섭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이후, 사용자는 제2 커버(11b)가 닫힌 상태에서 제1 커버(11a)만 열어서 중간 전사 장치를 본체(10)에 착탈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커버(11b)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작은 공간에서도 중간 전사 장치(100)의 착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는 제1 및 제2 커버와 커플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의 내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12), 안착 부재(13), 가압 부재(200), 제1 링크 부재(300), 캠 부재(330), 고정 부재(400), 제2 링크 부재(600) 및 이격 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상술한 제1 및 제2 링크 부재(300, 600)를 모두 구비하여 제1 및 제2 커버(11a, 11b)가 각각 커플러(500)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플러(500)는 제1 커버(11a) 및 제2 커버(11b)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캠 부재(330) 또는 이격 부재(800)에 가압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및 제2 커버(11a, 11b) 중 적어도 하나를 열어서 커플러(5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커플러(500)는 제1 단(510), 이격 부재(800)와 연결되는 제2 단(520) 및 캠 부재(330)와 연결되는 제3 단(530)이 차례로 적층 형성되고, 제1 단(510)에서 제3 단(53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500)의 제3 단(530)은 전면이 중간 전사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단(510, 520)은 대략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커버(11a, 11b)가 각각 커플러(500)와 독립적으로 연동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커버(11a)가 열러서 제1 링크 부재(300)를 X1 방향으로 당기면, 제1 링크(320)의 타 단(321)과 연결된 캠 부재(330)는 회전하면서 고정 부재(40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커플러(500)를 Y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3 단(630)에 걸려있는 캠 부재(330)가 Y1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2 단(620)에 걸려있는 이격 부재(800)는 아무런 동력을 전달받지 않으므로 제자리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9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커버(11b)가 열려서 제2 링크 부재(600) 및 제1 이격 부재(810)를 X2 방향으로 당기면, 제2 이격 부재(820)는 제1 이격 부재(81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커플러(500)를 Y1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단(620)에 걸려있는 제2 이격 부재(820)가 Y1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3 단(630)에 걸려있는 캠 부재(330)는 아무런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제자리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커플러(500)가 상술한 삼단 구조를 가지고, 캠 부재와 이격 부재가 서로 다른 단에 연결됨에 따라, 제1 커버(11a)의 개폐 동작과 제2 커버(11b)의 개폐 동작은 상호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본체
11: 커버 12: 가이드 레일
13: 안착 부재 100: 중간 전사 장치
200: 가압 부재 300: 제1 링크 부재
400: 고정 부재 500: 커플러
600: 제2 링크 부재 700: 락킹 부재
800: 이격 부재

Claims (15)

  1. 중간 전사 장치가 이에 착탈되는 경우, 상기 중간 전사 장치의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본체;
    상기 중간 전사 장치가 착탈되는 상기 본체의 일 영역을 개폐하는 커버;
    일 단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와 연동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고, 상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중간 전사 장치와 체결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중간 전사 장치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중간 전사 장치의 일 영역과 맞물리는 걸림 부재,
    일 단이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되는 스프링 및
    상기 걸림 부재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 단과 연결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측면에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L"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간 전사 장치의 전면 일부와 맞물리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 영역을 갖는 안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커플러를 상기 중간 전사 장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후방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커플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경사면을 갖는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벽 중 상기 커플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물리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캠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제1 링크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커플러와 연결되는 중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링크와 연결되는 암 영역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암 영역이 상기 제1 링크에 당겨져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캠 부재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전방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와 접하는 제3 경사면을 갖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버가 열리면 상기 이격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와 상기 중간 전사 장치 사이 공간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락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대향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 및
    일 단이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커플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경사면을 갖는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벽 중 상기 커플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물리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와 접하는 제3 경사면을 갖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면 상기 캠 부재 또는 상기 이격 부재에 가압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와 분리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제1 단, 상기 이격 부재와 연결되는 제2 단 및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는 제3 단이 차례로 적층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중간 전사 장치가 착탈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가 착탈되는 경우 상기 중간 전사 장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선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간 전사 장치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중간 전사 장치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중간 전사 장치의 일 영역과 맞물리는 걸림 부재,
    일 단이 상기 걸림 부재와 연결되는 스프링 및
    상기 걸림 부재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 단과 연결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0094560A 2020-07-29 2020-07-29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KR20220014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60A KR20220014663A (ko) 2020-07-29 2020-07-29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PCT/US2020/065548 WO2022025963A1 (en) 2020-07-29 2020-12-17 Structure for detaching or attach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60A KR20220014663A (ko) 2020-07-29 2020-07-29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63A true KR20220014663A (ko) 2022-02-07

Family

ID=8003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60A KR20220014663A (ko) 2020-07-29 2020-07-29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4663A (ko)
WO (1) WO20220259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264B2 (ja) * 2002-10-30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離接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47129B1 (ko) * 2003-07-04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760264B2 (ja) * 2005-09-28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941552B1 (ko) * 2012-10-25 2019-01-2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2323007B1 (ko) * 2018-01-22 2021-11-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963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874B2 (en) Pressing mechanism for a developing cartridge
US9405216B2 (en) Tandem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02546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72101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187338B2 (ja) 画像形成装置
US76847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unit and developing cartridge
US83461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JP5195803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241755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401471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160385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152241B2 (ja) 画像形成装置
JP550509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239313A1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252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9869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45502A (ja) 画像形成装置
JP4748203B2 (ja) 画像形成装置
US92060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y for receiving recording medium
KR20220014663A (ko)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US20200264556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5775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90214255A1 (en)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33351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process cartridge and second process cartridge attachable to drawer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JP2011123354A (ja) 開閉着脱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