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435A -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435A
KR20190089435A KR1020180007920A KR20180007920A KR20190089435A KR 20190089435 A KR20190089435 A KR 20190089435A KR 1020180007920 A KR1020180007920 A KR 1020180007920A KR 20180007920 A KR20180007920 A KR 20180007920A KR 20190089435 A KR20190089435 A KR 2019008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sumable cartridge
consumable
cartridg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007B1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0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007B1/ko
Priority to US16/963,741 priority patent/US11131962B2/en
Priority to CN201880085947.3A priority patent/CN111630458A/zh
Priority to PCT/KR2018/005485 priority patent/WO2019142974A1/en
Priority to EP18901718.9A priority patent/EP3701335A4/en
Publication of KR2019008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트레이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이 장착될 때,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을 장착 방향에 수직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GUIDE ELEMENTS FOR MOUNTING CONSUMABLE CARTRIDGES ON CARTRIDGE TRAY}
본 개시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소모품 카트리지 및 노광기를 구비한다. 노광기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소모품 카트리지는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트레이에 장착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인출 가능하며,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일정한 화상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소모품 카트리지는 항상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체 내부에는 소모품 카트리지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소모품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특히, 최근 사용자가 소모품 카트리지를 보다 쉽게 장착 및 탈착하고 보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화상형성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하나 이상의 소모품 카트리지를 트레이에 장착한 후, 트레이를 장치 본체에 밀어 넣거나 또는 그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소모품 카트리지를 보다 쉽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종래 소모품 카트리지는 트레이에 고정된 장착 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소모품 카트리지와 트레이의 형상이 한정되고, 소모품 카트리지가 트레이에 장착된 형상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이 제한된다. 이러한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 구조는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소모품 카트리지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은 간단한 가이드 구조에 의해 소모품 카트리지를 트레이에 중첩되도록 장착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이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을 장착 방향에 수직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는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기 위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는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에 상기 커플링이 삽입되도록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가이드한다.
이 경우,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커플링은 상기 관통공에 안착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은,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접지와 상기 본체의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 하단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타측을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에 장착되는 소모품 카트리지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 커플링; 및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때,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 를 장착 방향에 수직되는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커플링이 형성된 소모품 카트리지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주사 방향"이란 스캔부의 스캔 방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인쇄용지의 이동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이다.
또한, "부주사 방향"이란 용지의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의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 특히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옐로우(Y: yellow), 마젠타(M: magenta), 시안(C: cyan),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싱글패스(single pass)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이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화이트(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가 더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는 본체(10a), 소모품 카트리지(100), 중간 전사벨트(20), 노광기(40), 중간 전사롤러(21), 최종 전사롤러(31) 및 정착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a)는 화상형성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10a)의 일측에는 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11)는 본체(10a)의 개구(13)를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구(13)를 통해 각종 부품을 교체, 수리하거나 본체(10a) 내부에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a)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200)를 인출하여 트레이(200)에 장착된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교체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본체(10a)의 내부 양측에 마련된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a)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트레이(200)의 양측에는 내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5)이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15)을 통해 트레이(200)가 본체(10a)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트레이(200)에 장착된 후술하는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복수 개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를 탑재하며, 본체(10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장치 본체(10a)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트레이(200)의 단부에 손잡이(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는 트레이(200)가 장치 본체(10a)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장치 본체(10a)에 결합,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한번에 복수 개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트레이(200)에 장착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0a)에 인출 가능하며,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소모품 카트리지(100) 내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 롤러(2) 및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카트리지(PY, PM, PC, PK)로 구성될 수 있다. 감광 드럼(1)은 각각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의 부호 " PY, PM, PC, PK "를 설명 편의상 "100"으로 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감광 드럼(1)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 각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롤러(2)를 포함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감광 드럼(1)과 감광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2)와 토너가 수용된 수용부가 일체로 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감광 드럼(1) 및 현상 롤러(2)를 구비하는 이미징 카트리지와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감광 드럼(1)를 구비하는 감광드럼 카트리지와 현상 롤러(2)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및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현상 롤러(2)에는 토너를 정전잠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대전 롤러(3)에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대전 롤러(3)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 드럼(1)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이다. 감광 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4개의 감광 드럼(1)은 중간 전사벨트(20)의 윗면과 접촉될 수 있다.
노광기(40)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 드럼(1)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러 화상형성장치(10)의 경우, 노광기(4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 드럼(1)에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전사장치는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P)에 전사시킨다. 전사장치는 각 감광 드럼(1)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20)와, 전사벨트(20)를 구동시키는 전사벨트 구동롤러(23)와, 전사벨트(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전사벨트 종동롤러(24)와, 감광 드럼(1) 상의 현상제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록매체(P)는 전사벨트(20)에 부착되어 이송된다. 이때 각 전사롤러(21)에는 각 감광 드럼(1)에 부착된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감광 드럼(1) 상의 현상제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50)는 정착기(50)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기록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기록매체(P) 상의 미정착 화상을 기록매체(P)에 고정시킨다.
배출부(60)는 정착기(50)를 통과한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술한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포함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 교체된다. 따라서 본체(10a)의 일측에는 본체(10a)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200)가 마련되어 트레이(200)에 소모품 카트리지(100)들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 예에서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교체과정을 살펴보면,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교체하기 위해서, 본체(10a)의 커버(11)를 개방하고, 본체(10a)에 형성된 개구(13)를 통해서 트레이(200)를 인출한다.
트레이(200)가 본체(10a)의 외부로 인출되면, 트레이(200) 내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인출된 트레이(200)에서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 카트리지(100, PK)를 분리한 후, 새로운 소모품 카트리지(100, PK)를 장착시킨다. 그리고, 새로운 소모품 카트리지(100, PK)가 결합된 트레이(200)를 다시 장치 본체(10a)의 개구(13)를 통해서 삽입하여 장착시킨 후, 커버(11)를 폐쇄함으로써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새로운 소모품 카트리지(100, PK)로 교체할 수 있다.
새로운 소모품 카트리지(100, PK)는 트레이(200)로부터 수직한 방향에서 트레이(200)를 향해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도3에 도시된 소모품 카트리지는 구동측에서 본 소모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각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은 감광 드럼(1)의 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와, 제1 패널(121)과, 제2 패널(141)을 갖는다. 제1 패널(121)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구동측인 일측에 형성되고, 제2 패널(141)은 제1 패널(121)의 반대되는 비구동측인 타측에 형성된다.
각 소모품 카트리지(100)에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구동측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제1 패널(121)에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제1 구동력 입력부, 즉, 드럼 구동력 수용부)(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제2 구동력 입력부, 즉, 현상 구동력 수용부)(111)이 마련되어 있다.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은 제1 패널(12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은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된 상태로 본체(10a) 내의 미리 설정된 화상 형성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10a)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구동력 출력부(미도시)와 각각 결합된다.
감광 드럼(1)은 제1 구동력 출력부로부터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원주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3)는 감광 드럼(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롤러(2)는 제2 구동력 출력부로부터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으로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원주 속도로 회전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트레이(200)에 장착 시, 본체(10a) 내부에 설치된 제1 구동력 출력부 및 제2 구동력 출력부 방향인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구동부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연결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면,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은 각각 후술하는 트레이(200)의 관통공(220) 및 관통홈(240)에 삽입된다.
감광 드럼 커플링(131)은 트레이(200)의 관통공(220)에 삽입되며, Y축 방향으로 소정 구간을 이동한 상태로 지지된다. 감광 드럼 커플링(131)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감광 드럼(1)에 연결됨으로써 이 전달받은 구동력을 감광 드럼(1)에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a)에 형성된 제1 구동력 출력부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과 결합한다. 이로써,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감광 드럼(1)이 회전할 수 있다.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장착되므로 제1 구동력 출력부의 결합을 위한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구동력 출력부는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과 가까워지기 때문에 이동을 위한 구동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구동력 출력부의 이동량이 축소됨에 따라 본체 구동공간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은 트레이(200)의 관통홈(240)에 삽입되며, Y축 방향으로 소정 구간을 이동한 상태로 지지된다. 현상 롤러 커플링(111)은 제2 구동력 출력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현상 롤러(2)에 연결됨으로써 이 전달받은 구동력을 현상 롤러(2)에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a)에 형성된 제2 구동력 출력부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과 결합한다. 이로써,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현상 롤러(2)가 회전할 수 있다.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장착되므로 제2 구동력 출력부의 결합을 위한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제2 구동력 출력부는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과 가까워지기 때문에 이동을 위한 구동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력 출력부의 이동량이 축소됨에 따라 본체 구동공간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됨에 따라 구동력 출력부의 후퇴량이 작아져 본체(10a) 내부의 구동공간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구동공간이 작아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관통공(220)과 관통홈(240)에 안착되는 만큼 소모품 카트리지(100)와 트레이(200)가 중첩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200)의 폭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폭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와 트레이(200)가 중첩되는 공간만큼 트레이(200)를 작게 설계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장착된 상태의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일부가 중첩됨에 따라 트레이(20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2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패널(141)은 후술하는 트레이(200)의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4개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가 장착될 수 있는 4개의 카트리지 격실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메인 프레임을 갖는다. 직사각형 메인 프레임 내의 공간은 3개의 지지부(213) 에 의해 거의 동일한 크기인 4개의 직사각형의 카트리지 격실로 구획된다.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들은 4개의 카트리지 격실에 각각 삽입되어 그 안에서 지지된다. 트레이(200)의 지지부(213)는 소모품 카트리지(PY, PM, PC, PK)를 지지한다.
트레이(200)의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구동측, 200a) 에 대응하는 각각의 카트리지 격실의 길이 방향 일측면(200a)에는, 관통공(220) 및 관통홈(240)이 형성된다. 관통공(200) 및 관통홈(240)을 통해 본체(10a) 내부의 제1 및 제2 구동력 출력부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과 연결된다.
관통공(220)에는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안착되고, 관통홈(240)에는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안착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 및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111)이 트레이(200)의 관통공(220) 및 관통홈(240)에 각각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트레이(200)에 장착될 때, 장착 방향에 수직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장착 과정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20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00)를 포함한다.
트레이(200)의 메인 프레임의 타측면(비구동측, 200b) 에 대응하는 각 카트리지 격실의 길이 방향 타측면(200b)에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00)가 마련된다.
가이드 부재(300)는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을 형성하는 제1 면(301)과 제1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형성된 제2 면(305)과 제1 면(301) 및 제2 면(305)을 연결하는 경사면(303)으로 이루어진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순차적으로 제1 면(301)을 따라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면(303)을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면(305)을 따라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경사면(303)은 트레이(200)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경사면(303)을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사면(303)은 주주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사면(303)은 가이드 부재(300)가 형성된 타측면(200b)에 반대되는 일측면(200a)에 형성된 관통공(2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는 트레이(200)의 제조 시에 타측면(200b)을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303)을 포함하도록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300)는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에 트레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 부재(300)는 별개의 구성으로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에 설치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가이드 부재(300)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를 통해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을 설정하여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00)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본 개시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발생하는 부품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낸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트레이(200)에 대해 수직방향인 장착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300)를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경사면(303)을 따라 장착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제2 면(305)을 따라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제1 패널(121)로부터 돌출 형성된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관통공(220)에 맞물리게 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트레이(200)에 접촉되어 장착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되어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관통공(220)에 맞물린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트레이(200)에 대해 소모품 카트리지(101)를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310)는 제2 패널(141)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10)는 제2 패널(141)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제1면(311)과, 제1 면(311)보다 외측에 형성된 제2 면(315)과, 제1 면(311)과 제2 면(315)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313)으로 형성된다.
경사면(313)은 주주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1)가 경사면(313)에 의해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을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사면(313)은 주주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사면(313)은 가이드 부재(310)가 형성된 타측면(200b)에 반대되는 일측면(200a)에 형성된 감광 드럼 커플링(13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1)가 트레이(200)에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낸다.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가이드 부재(310)의 제1 면(311)이 트레이(200)를 따라 장착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가이드 부재(310)의 경사면(313)에 의해 트레이(200)를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경사면(313)에 의해 장착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c를 참조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제2 면(315)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1)의 제1 패널(121)로부터 돌출 형성된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관통공(220)에 맞물리게 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1)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가이드 부재(310)에 의해 트레이(200)에 접촉되어 장착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1)는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되어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관통공(220)에 맞물린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트레이(200)에 배치되며, 관통공(220)이 형성된 일측면(200a)에 반대되는 타측면(200b)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32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유체 스프링, 또는 탄성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트레이(200)에 장착 시, 트레이(200) 내에서 탄성부재(320)의 가압력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가 트레이(200)의 관통공(220)에 삽입되는 시점까지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가속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탄성부재(320)의 탄성 가압력은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운동량으로 변환된다.
탄성부재(32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소모품 카트리지의 접지와 본체의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320)가 입력 접점부재로서 본체(10a)에 설치된 출력 접점부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10a) 내부에 설치된 전원으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 접점부재로부터 입력 접점부재인 탄성부재(320)로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도전성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주석, 백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됨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탄성부재(320)의 가압력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본체(10a)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장착 방향으로 장착되고, 트레이(200)에 배치된 탄성부재(320)의 가압력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제1 패널(121)로부터 돌출 형성된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이 관통공(220)에 맞물리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모품 카트리지의 트레이 장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200)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의해 회전하면서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부재(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재(33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면 소모품 카트리지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331)와,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트레이(200) 내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모품 카트리지(100)에 힘을 가하는 제2 회전부(333) 및 제1 및 제2 회전부(331, 333)를 탄성 지지하여 회전하게 하는 회동스프링(339)을 포함한다.
힌지부재(330)는 트레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면 장착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탈착되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레이(200)에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에 힘을 가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힌지부재(330)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재(33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부(331)와, 제1 회전부(331)와 함께 회전하며 소모품 카트리지(100)에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제2 회전부(333)와, 제1 및 제2 회전부(331, 333)를 탄성 지지하여 회전하게 하는 회동스프링(339)을 포함한다.
제1 회전부(331)는 트레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회전부(331)와 연동된 제2 회전부(333)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회전부(333)는 제1 회전부(331)와 동일한 회전축(335)을 가지므로, 제1 회전부(331)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부(333)도 함께 회전한다. 제2 회전부(333)는 제1 회전부(331)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회전부(331)와 제2 회전부(333)는 사이에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회전부(333)는 제1 회전부(331)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측면을 가압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제2 회전부(333)로부터 가압력을 전달 받아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동스프링(339)은 회전축(335)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동스프링(339)은 힌지부재(33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회전부(331) 및 제2 회전부(333)를 탄성 지지한다.
힌지부재(33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및 탈착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힌지부재(33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회전부(333)는 제1 회전부(33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나의 회전축(335)에 이격되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회전부(331)는 관통공(2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에 장착되면서 장착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높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소모품 트레이(200)가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며 트레이(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1 회전부(331)에 걸려 제1 회전부(331)를 장착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회전부(33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회전부(333)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회전부(333)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회전부(331) 및 제2 회전부(333) 사이에 장착되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에 힘을 가하고 그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이동시켜 트레이(200)에 설치되도록 하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장착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트레이(200) 내로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200)의 타측면(200b)에 형성된 힌지부재(330)가 소모품 카트리지(100)와 접촉하게 된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자중에 의해 제1 회전부(331)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부(331)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부(333)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회전부(333)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측면을 가압하고,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제2 회전부(333)의 가압력에 의해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제1 패널(121)에 형성된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131)은 트레이(200)의 관통공(220)으로 삽입된다. 제2 회전부(333)가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지지하는 힘에 의해 소모품 카트리지(100)는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 내에 완전히 장착된 후에 힌지부재(330)는 소모품 카트리지(100)의 제2 패널(141)을 지지하는 상태가 되므로, 힌지부재(33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트레이(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소모품 카트리지(100)를 지지하였던 힌지부재(330)는 회동스프링(33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부(331)를 지지하였던 소모품 카트리지(100)가 분리되면서 회동스프링(33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부(333)도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C 경로-타입의 화상형성장치뿐만 아니라 S 경로-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감광 드럼 10: 화상형성장치
100: 소모품 카트리지 111: 현상 롤러 구동 커플링
131: 감광 드럼 구동 커플링 200: 트레이
220: 관통공 240: 관통홈
300: 가이드 부재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이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소모품 카트리지 각각을 장착 방향에 수직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기 위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는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하나에 상기 커플링이 삽입되도록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가이드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커플링은 상기 관통공에 안착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관통공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접지와 상기 본체의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장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를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지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에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 하단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의 타측을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 화상형성장치.
  14. 화상형성장치의 트레이에 장착되는 소모품 카트리지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 커플링; 및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때, 상기 소모품 카트리지 를 장착 방향에 수직되는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소모품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커플링이 형성된 소모품 카트리지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모품 카트리지.
KR1020180007920A 2018-01-22 2018-01-22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32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0A KR102323007B1 (ko) 2018-01-22 2018-01-22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6/963,741 US11131962B2 (en) 2018-01-22 2018-05-14 Guide member for mounting a consumable cartridge on a tray
CN201880085947.3A CN111630458A (zh) 2018-01-22 2018-05-14 用于将耗材盒安装在托盘上的引导构件
PCT/KR2018/005485 WO2019142974A1 (en) 2018-01-22 2018-05-14 Guide member for mounting a consumable cartridge on a tray
EP18901718.9A EP3701335A4 (en) 2018-01-22 2018-05-14 GUIDANCE ELEMENT FOR MOUNTING A CONSUMABLE CARTRIDGE ON A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0A KR102323007B1 (ko) 2018-01-22 2018-01-22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35A true KR20190089435A (ko) 2019-07-31
KR102323007B1 KR102323007B1 (ko) 2021-11-10

Family

ID=6730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20A KR102323007B1 (ko) 2018-01-22 2018-01-22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31962B2 (ko)
EP (1) EP3701335A4 (ko)
KR (1) KR102323007B1 (ko)
CN (1) CN111630458A (ko)
WO (1) WO20191429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963A1 (en) * 2020-07-29 2022-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ructure for detaching or attach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9547B2 (ja) 2019-07-02 2023-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690A (ja) * 2000-10-31 2002-07-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163956A (ja) * 2013-02-21 2014-09-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170308031A1 (en) * 2005-09-28 2017-10-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artridge Supporter, and Image Form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415B2 (ja) * 1997-02-06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64435B2 (ja) *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04833B2 (ja) * 2007-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2214B1 (ja) * 2008-09-29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92114B2 (ja) 2009-03-19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75328B2 (ja) 2011-11-01 2016-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128754B2 (ja) * 2012-05-21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0269B2 (ja) * 2013-03-28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90457B2 (ja) * 2015-02-06 2018-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81395B2 (ja) * 2015-02-06 2019-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9078B2 (ja) * 2017-05-10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754289B2 (en) * 2018-03-30 2020-08-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690A (ja) * 2000-10-31 2002-07-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負荷発生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70308031A1 (en) * 2005-09-28 2017-10-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artridge Supporter, and Image Forming Unit
JP2014163956A (ja) * 2013-02-21 2014-09-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963A1 (en) * 2020-07-29 2022-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ructure for detaching or attaching intermediate transfe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1335A4 (en) 2021-08-04
EP3701335A1 (en) 2020-09-02
WO2019142974A1 (en) 2019-07-25
KR102323007B1 (ko) 2021-11-10
US11131962B2 (en) 2021-09-28
CN111630458A (zh) 2020-09-04
US20210096505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00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with electrical contacts that urge developer roller to photosensitive drum
JP413498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US777391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rawing member positionable at mount and drawn positions for mounting plural process cartridges
US7890012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a drum, a developing roller, and first and second fram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on which su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7983597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ripping portions for cartridges
US7184689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70160385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58559A1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621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551814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12007993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8543034B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11493879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tridge
CN105068395B (zh) 成像设备和盒
KR102323007B1 (ko) 트레이에 소모품 카트리지 장착을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0378602C (zh) 处理盒与电子照相成像装置
US102227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542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870539B (zh) 图像形成装置
US75427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cassette of image bearing photoconductors
US89958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55845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
US2006007835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02854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201345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