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27A -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4127A KR20210004127A KR1020190080036A KR20190080036A KR20210004127A KR 20210004127 A KR20210004127 A KR 20210004127A KR 1020190080036 A KR1020190080036 A KR 1020190080036A KR 20190080036 A KR20190080036 A KR 20190080036A KR 20210004127 A KR20210004127 A KR 202100041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linked
- melting
- weight
- parts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03—Foam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sub-atmospheric pressure, in or on a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이 갖는 낮은 점도성과 용융시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해 발포가 난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용융장력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미세한 셀을 갖는 시트를 통해 발포배율을 1.1 내지 5배까지 상승시킨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과 그로인해 제조된 시트는 저온에서의 뛰어난 충격 물성과, 우수한 습기 차단성, 내열성, 성형성, 2차 가공성이 우수하고, 고온하에서의 용기 변형도가 매우 낮으며, 생산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이 높고, EPS를 대체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므로 전자레인지용 용기나 일반 식품용기, 고열 환경인 컵라면 용기 등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과 그로인해 제조된 시트는 저온에서의 뛰어난 충격 물성과, 우수한 습기 차단성, 내열성, 성형성, 2차 가공성이 우수하고, 고온하에서의 용기 변형도가 매우 낮으며, 생산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이 높고, EPS를 대체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므로 전자레인지용 용기나 일반 식품용기, 고열 환경인 컵라면 용기 등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폴리프로필렌이 갖는 낮은 점도성과 용융시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해 발포가 난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용융장력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미세한 셀을 갖는 시트를 통해 발포배율을 1.1 내지 5배까지 상승시킨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 합성수지의 발포 성형체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되었는데,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발포 성형체는 소각시 다이옥신 등의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는 등 환경 오염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그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재생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발포 성형체가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성형체는 가교형과 무가교형으로 대별된다.
가교형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성형체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염화비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또한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와 발포제(예: 공기 등)를 혼합·교반·용융하여 판상 또는 봉상의 1차 성형체를 제조한 후, 1차 성형체를 디카프릴 프탈레이트(Dicapry Phthalate) 등의 가교제에 담궈서 성형체 표면에 DCP가 침투되도록 하고, 이를 수증기에 약 10시간 정도 노출시켜 DCP가 성형체의 내부로 함침(침투)되도록 한 다음, 식품 용기 등으로 2차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계 발포 성형체는 프론류(CFC류, HCFC류 등 포함)와 같은 휘발성 물질을 발포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며, 2차 성형 시 증기 등을 사용하여 10시간 이상 발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가교 발포시에는 가교도 미달, 수지의 조기 산화, 조기 가교 및 조기 발포, 압출 토크 및 수지 압력 상승 등으로 인하여 발포체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무가교형 폴리프로필렌 발포 성형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 높은 완충성 및 에너지 흡수 효과; 적절한 강도, 유연성 및 탄성; 재생 가능성; 우수한 내유성 및 내약품성; 무독성; 낮은 투수성 및 열전도성; 우수한 가공 용이성 등.
즉, 무가교형 폴리프로필렌 발포 성형체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전자렌지용으로 매우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식품용기로 제작함이 유리하다.
이러한 무가교형 폴리프로필렌 발포 성형체는 내열의 효과를 기할 수 있으나, 이미 사용하는 소재인 EPS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해요소가 없으며 타소재 대비 폴리프로필렌의 높은 용융 온도에 의해 전자레인지에 즉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EPS 용기를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무가교형 폴리프로필렌 발포 성형체는 수지에 수분이 혼입되거나 압출 부하가 과다하거나 고발포의 경우에는 발포 셀이 오픈(Open)되기 쉽고, 수지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숙성 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발포 배율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수지의 흐름(유동)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기포 구조를 보유할 만큼의 점성을 갖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최적의 운전 상태 및 조건을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소재의 뛰어난 물리적 특성에 비해 점도가 낮고,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해 발포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이 갖는 낮은 점도성과 용융시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해 발포가 난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용융장력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미세한 셀을 갖는 시트를 통해 발포배율을 1.1 내지 5배까지 상승시킨 고용융 장력의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고용융장력(HMS: High Melting Strength) 폴리프로필렌 레진 30 중량부 내지 58.5 중량부와,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 30 중량부 내지 66.50 중량부와, 임펙트 폴리프로필렌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탄뎀 압출기(Tandum Extruder)의 스크류(Screw)로 이동시키면서, 4단계 내지 7단계로 나누어진 히팅구간을 각단마다 온도를 10-20℃ 간격으로 Setting 한 후 전기히터를 가동시켜 180~25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공정;
(b) 상기 용융된 혼합물 공정중에서 발포제(foaming Agent)를 180℃에서 투입시키는 공정;
(c) 압출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20~30 ㎏/㎠로 유지시킨 후, 부탄 가스 및 CO2가스 발포제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투입하는 공정; 및
(d) 고용융장력(HMS: High Melting Strength)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부탄 가스 발포제의 혼합물이 잘 혼합되어 다이(Die)까지 원활히 이송되도록, 압출기 내부 온도를 Chiller 냉각수로 Cooling하여 온도를 180℃에서 150℃로 변화시키고, 부탄가스 압력을 고압펌프로 90 ㎏/㎠에서 120 ㎏/㎠으로 변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용융장력(HMS: High Melt Strength) 폴리프로필렌 레진은 MFR(용융지수)가 1 내지 8 g/min 이고, MT(용융장력)가 4 내지 23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은 MFR(용융지수)가 2 내지 5 g/min 이고, MT(용융장력)가 2 내지 1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저온에서의 뛰어난 충격 물성과, 우수한 습기 차단성, 내열성, 성형성, 2차 가공성이 우수하고, 고온하에서의 용기 변형도가 매우 낮으며, 생산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이 높고, EPS를 대체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므로 전자레인지용 용기나 일반 식품용기, 고열 환경인 컵라면 용기 등으로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이 갖는 낮은 점도성과 용융시 낮은 용융장력으로 인해 발포가 난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용융장력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미세한 셀을 갖는 시트를 통해 발포배율을 1.1 내지 5배까지 상승시킨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HMS 폴리프로필렌 레진 및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과 임펙트 폴리프로필렌 레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비중(밀도)이 0.9~0.92(g/cm3)로 범용 플라스틱 중 가장 가볍고 투명하며 재활용성도 우수한 환경친화적 소재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로만 이루어진 중합체인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저온 충격강도가 약하여 최근에는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에 에틸렌 또는 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를 도입한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프로필렌 단량체와 에틸렌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양 단량체의 배열을 무질서하게 형성한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반복단위가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서 저온 충격강도가 개선된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있다.
따라서, HMS 폴리프로필렌 레진 및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과 임펙트 폴리프로필렌 레진이 본 발명의 주재수지이다.
발포제 투입을 위한 최적의 상태(조건)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HMS 폴리프로필렌 레진 및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의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발포제(foaming agent) 투입 시점까지 전기 Heater와 Chiller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170℃에서 230℃를 거쳐 180℃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230℃에서 180℃로의 온도 변화는 폴리프로필렌 용융 혼합물이 5단계의 Chiller 냉각 구간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의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에서,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MT(melt tension)값이 4 내지 25g 범위이고, MFR(Melt Flow Rate)이 5 내지 10g/10min, 230℃인 수지가 바람직하고, 발포율이 1.1 내지 5배에 이르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디카본아미드, 스테아릴모노글리세리드 등과 같은 비휘발성 물질이나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공기 등과 같은 무기 가스계 물질을 발포제(foaming agent)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통상적으로는 공기가 사용됨), 본 발명에서는 부탄 가스 나 CO2 가스를 발포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투입량이 너무 많으면 발포 셀이 오픈될 염려가 있으며, 수지와 용해되는데도 한계가 있으므로 발포 배율에 따라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투입량을 정해야 한다.
수지의 흐름(유동)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정상적인 기포 구조를 보유할 만큼의 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즉, 폴리프로필렌 레진과 부탄 가스 발포제의 혼합물이 잘 혼합되어 다이(Die)까지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Chiller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180℃에서 150℃로 낮추고,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을 90 ㎏/㎠에서 120 ㎏/㎠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180℃에서 150℃로의 온도 변화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부탄 가스 발포제의 혼합물이 15단계의 Chiller 냉각 구간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성형성 및 2차 가공성이 우수하며 성형시 시트의 쳐짐이 작고 열저항이 뛰어나므로 전자렌지 등의 식품용기로 사용이 적합하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주가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른바 "당업자" 또는 "평균적 기술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하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수정 및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고용융장력(HMS: High Melting Strength) 폴리프로필렌 레진 35 중량부와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 60 중량부, 임펙트 폴리프로필렌 5중량부를 혼합하여 탄뎀 압출기(Tandum Extruder)의 스크류로 이송시키면서 180~25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켰다.
이때, 용융을 위한 히팅과정은, 4단계 내지 7단계로 나누어진 히팅구간을 각단마다 온도를 10-20℃ 간격으로 Setting 한 후 전기히터를 가동시켜 180~25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과정이다.
히팅의 경우 4단계 내지 7단계의 히팅구간을 거치도록 구성된 바, 각단마다 온도를 10-20℃ 간격으로 Setting 한 후 전기히터를 가동시켜 180~25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것이고, 각 승온단계별 승온 유지시간은 1분이다.
예컨대 10℃ 간격으로 세팅된 경우라면, 180~19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190~20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200~21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210~22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220~23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230~24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고, 1분이 경과된 이후 240~250℃에서 전기히터가 승온되면서 1분간 해당 온도범위내 가열상태를 유지하여 완전 용융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용융된 혼합물의 온도를 발포제(Foaming Agent) 투입 시점까지 전기 Heater와 Chiller 냉각수를 이용하여 170℃에서 230℃를 거쳐 180℃로 변화시켜 발포제 투입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설정하였다. 한편, 230℃에서 180℃로의 온도 변화는 상기 용융된 혼합물이 5단계의 Chiller 냉각 구간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어서, 압출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20~30㎏/㎠로 유지시킨 후, 부탄 가스 및 CO2 발포제 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폴리프로필렌 레진과 부탄 가스 발포제가 잘 혼합되어 다이(Die)까지 원활히 이송되도록, Chiller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180℃에서 150℃로 변화시키고,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을 90 ㎏/㎠에서 120 ㎏/㎠으로 변화시켰다. 한편, 180℃에서 150℃로의 온도 변화는 폴리프로필렌 레진과 부탄 가스 발포제의 혼합물이 15단계의 Chiller 냉각 구간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달성하였다. 그 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폴리싱(Polishing) 공정, 절단 공정, 포장 공정 등을 차례로 수행하였다.
이하, 표 1 내지 4를 통해 성형용기의 제 조건별 테스트 결과를 살펴본다.
PP 발포(본 발명 제조품) | PP 비발포 | 장점 | |
스트로크/분 | 30 | 25 | 5 |
가공온도 | 360℃ | 400℃ | 동력비 절감효과 |
펀칭력 | 70% | 100% | 30% 유지 관리비 절감 |
중량 | 12.12 | 15.57 | 22% 중량감소, 취급용이 |
생산량/시간 | 14.400 | 12.000 | 20% 이상 |
(성형성)
8 Cavity 금형, 배율 ×1.3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기타 폴리프로필렌 비발포시트에 비해, 동력비와 유지관리비가 효과적으로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어 취급시 경제적 효과가 크고, 생산 수율이 20% 높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수지 | 2차 가공성 | ||||||||
배합 A/B |
MFR (g/10분) |
용융장력(g) | 압출성 | 발포배율(배) | 시트외관 | 시트의 처짐 | 성형성 | 평가 | |
실시예 | 35/65 | 6 | 4 | ◎ | ×3배 | ◎ | ○ | ◎ | ○ |
(가공성 평가)
A:HMS PP
B:Conventional PP
C:Impact PP
시트 사양: 1.0㎜, 배율:× 3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압출성 및 발포배율, 시트의 처짐, 성형성 등에서 우수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었다.
용기종류별 | 용기두께 | 발포배율 | 용기온도 | 온수주입후 용기온도 | 촉감 | |
㎜ | 1분후 | 3분후 | ||||
PP발포용기(단층) | 1.3 | 약 3배 | 20℃ | 69℃ | 65℃ | 약간있음 |
PP발포용기(다층) | 0.95 | 약 2.1배 | 19℃ | 73℃ | 70℃ | 약간있음 |
PP발포용기 | 1.6 | 약 4배 | 20℃ | 67℃ | 55℃ | 열없음 |
PP Cup | 2 | - | 21℃ | 61℃ | 63℃ | 열있음 |
PE 용기 | 2 | - | 22℃ | 67℃ | 69℃ | 열있음 |
종이컵 | 0.25 | - | 19℃ | 82℃ | 75℃ | 열있음 |
(용기별 내열성 평가표)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우수한 내열성을 갖추어서 전자렌지 용기용으로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테스트용도 | 시간별 용기의 변화 | |||
끓는물 95℃ | 2분 | 5분 | 7분 | 10분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변화없음 | |
(전자레인지 구동시 용기변형 테스트)
MAKER: DAEWOO ELECTRONICS
MODEL: KOC-8H9T
사용 시트: 1.0㎜M, 배율 3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는 전자렌지에 투입하여 내부 물이 가열될 때까지 구동시켜도 용기 변형이 발생되지 않았으므로 전자렌지 용기용으로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및 그 제조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고용융장력(HMS: High Melting Strength) 폴리프로필렌 레진 30 중량부 내지 58.5 중량부와,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 30 중량부 내지 66.50 중량부와, 임펙트 폴리프로필렌 3중량부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탄뎀 압출기(Tandum Extruder)의 스크류(Screw)로 이동시키면서, 4단계 내지 7단계로 나누어진 히팅구간을 각단마다 온도를 10-20℃ 간격으로 Setting 한 후 전기히터를 가동시켜 180~25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공정;
(b) 상기 용융된 혼합물 공정중에서 발포제(foaming Agent)를 180℃에서 투입시키는 공정;
(c) 압출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20~30 ㎏/㎠로 유지시킨 후, 부탄 가스 및 CO2가스 발포제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투입하는 공정; 및
(d) 고용융장력(HMS: High Melting Strength)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부탄 가스 발포제의 혼합물이 잘 혼합되어 다이(Die)까지 원활히 이송되도록, 압출기 내부 온도를 Chiller 냉각수로 Cooling하여 온도를 180℃에서 150℃로 변화시키고, 부탄가스 압력을 고압펌프로 90 ㎏/㎠에서 120 ㎏/㎠으로 변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융장력(HMS: High Melt Strength) 폴리프로필렌 레진은 MFR(용융지수)가 1 내지 8 g/min 이고, MT(용융장력)가 4 내지 23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 방법. -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onventional 폴리프로필렌 레진은 MFR(용융지수)가 2 내지 5 g/min 이고, MT(용융장력)가 2 내지 10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제조방법.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의해 제조된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SHE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036A KR20210004127A (ko) | 2019-07-03 | 2019-07-03 |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0036A KR20210004127A (ko) | 2019-07-03 | 2019-07-03 |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4127A true KR20210004127A (ko) | 2021-01-13 |
Family
ID=7414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0036A KR20210004127A (ko) | 2019-07-03 | 2019-07-03 |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4127A (ko) |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80036A patent/KR2021000412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70197A (zh) | 生产多层塑料薄膜的方法 | |
CN114341237B (zh) | 聚丙烯系树脂发泡颗粒、其制造方法及聚丙烯系树脂发泡成型体 | |
KR101482749B1 (ko) | 초임계 탈가교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가교 폴리올레핀수지를 이용한 발포 성형물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물 | |
KR101859913B1 (ko) | 고강도의 압출된 열가소성 중합체 발포체 | |
CN113056372A (zh) | 通过共挤出发泡工法制备的多层结构聚乳酸树脂发泡片、成型品、其制备方法及其制备装置 | |
KR101735887B1 (ko) | 폴리유산계 수지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 |
CN109021379A (zh) | 辐射交联聚丙烯发泡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 |
KR101440217B1 (ko) |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 성형품 | |
KR100837106B1 (ko) | 무가교 폴리프로필렌 발포 시트의 제조 방법 | |
Yu et al.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panded polypropylene foam | |
CN109251388B (zh) | 具有耐高温的交联聚烯烃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 |
KR20210004127A (ko) | 용융장력 보강 및 신장점도 조절 무가교 pp 발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
JP6387770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 | |
KR101670766B1 (ko) | 차량 내장재용 무가교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시트의 제조방법 | |
KR101389099B1 (ko) | 연속기포 구조를 갖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 |
KR101928925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입자 | |
KR20180133607A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입자 | |
KR20170029230A (ko) | 고용융장력 polypropylene resin을 사용한 무가교 pp 발포 sheet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용기의 제조 방법 | |
KR101269050B1 (ko) | 난연성 경량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28926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발포입자 | |
CN107141627A (zh) | 一种用于儿童玩乐桌椅的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 |
JP6551589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 | |
KR20110085443A (ko) | 고융착성 발포 비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KR20130001566A (ko) | 초임계 탈가교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가교 폴리올레핀수지를 이용한 발포 성형물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물 | |
JP2004307605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押出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