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665A - 연결플러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연결플러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및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연결플러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연결플러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및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연결소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3665A KR20210003665A KR1020200067446A KR20200067446A KR20210003665A KR 20210003665 A KR20210003665 A KR 20210003665A KR 1020200067446 A KR1020200067446 A KR 1020200067446A KR 20200067446 A KR20200067446 A KR 20200067446A KR 20210003665 A KR20210003665 A KR 20210003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ella
- sleeve
- lamella sleeve
- center pin
- connection plu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플러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중심핀 및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여기서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된다.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심핀 및 라멜라슬리브(lamella sleeve)를 구성하는 연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플러그 및 그에 상응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심핀과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연결플러그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 엘리멘트와 라멜라슬리브를 구성하는 연결 소켓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DE 38 08 632 C1은 내부도체 플러그 연결체를 갖는 동축 플러그인 커넥터(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기 내부도체 플러그 연결체는 단단한 금속제의 소켓부와 플러그부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소켓부에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부의 전면부는 축소된 바깥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켓부의 모서리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환형의 어깨부로 마감된다. 상기 플러그부의 전면부는 접촉덮개가 씌워지므로, 플러그부가 중앙에 정확하게 맞추어지고 원둘레를 따라 지속적으로 좋은 접촉성을 유지한다. 상기 접촉덮개가 상기 플러그부의 일단에 단단히 연결되는 한편, 접촉덮개의 벽면은 방사상으로 탄성력이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은 가장 큰 바깥지름이 접촉덮개의 모서리부분의 면적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일특허출원 DE 100 41 516 A1은 고전류를 위한 전기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기 전기연결장치는 연결장치가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도체용 전원연결장치 및 상대 연결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탄성 라멜라(lamellae)를 가지고 있는 탄성 플러그 접촉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원연결장치 및 상기 플러그 접촉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이 부품들은 분리되지 않도록 리벳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다.
미국특허 US 5 667 413 A는 소켓형 전기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암컷 전기 연결장치는 일반적으로 원기둥형태의 덮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 안쪽에 수용된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덮개 내부에 내설되어 고정되는 접촉 케이지(contact cage)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케이지에는 방사상으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수의 접촉날을 설치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포스트형(post-type) 전기단자에도 용이하게 적합한 높은 전류 용량과 낮은 삽입력(Low Insertion Force)을 가지는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탄성 라멜라를 구성하는 연결플러그 또는 연결소켓을 제공하고자 함이며,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 및 상기 연결소켓의 제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중심핀과 라멜라 슬리브로 구성되되, 라멜라슬리브는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및 복수의 라멜라로 구성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여기서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된다.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플러그는 상기 중심핀과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생산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예를 들어, 상기 중심핀의 전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 상기 중심핀이 상기 후면개구부, 상기 라멜라슬리브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은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으로 어느 정도 연장된 상기 중심핀의 부분을 말한다. 상기 중심핀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모두 관통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슬리브가 상기 중심핀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탱되고 안정적인 기계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심핀의 전면단부는,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전면개구부를 넘어 관통되도록 팁부(tip)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라멜라를 갖는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얻을 수 있다. 각 부품은 각 부품에 알맞은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핀을 제조하는 제조기술 외 다른 제조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두 제조기술을 혼용하여 상기 다른 두 기술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면부”, “전면단부”, “전면개구부”, “후면부”, “후면개구부”, “후면모서리” 등은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과 관련이 있다. 상기 연결방향은 상기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는 방향을 말한다. 즉,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전면단부는 상기 소켓에 먼저 삽입되는 플러그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중심핀과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환형의 캐리어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를 관통하되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라멜라가 전면부 위치하며, 여기서 상기 각 라멜라는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설치되고, 상기 라멜라의 상기 두 번째 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플러그는 중심핀 및 라멜라슬리브,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생산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미끄러져 들어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를 관통하되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이와 관련하여, 축부분은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으로 어느 정도 연장된 상기 중심핀의 부분이다.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위치한다. 각 라멜라는 자유단부와 고정단부가 있으며,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할 때, 상기 라멜라는 삽입 초기 단계에서 바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할 때, 일정량의 저항을 견뎌야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피드백 해준다. 추가적인 장점은 전기적 접촉이 삽입의 시작단계에서부터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플러그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라멜라가 접촉되는 점의 축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삽입할 때 전기적 접촉이 삽입단계의 어느 지점에서 이루어지는지 분명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플러그는 중심핀과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생산된다. 각 부품은 알맞은 제조기술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제조기술의 장점들이 결합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인 연결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상기 설명한 연결플러그와 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핀과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연결플러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중심핀이 상기 후면개구부, 상기 라멜라슬리브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상기 중심핀에 밀어넣어 상기 라멜라슬리브가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하는 단계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제조방법은 상기 중심핀에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고정하는 단계를 구성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라멜라슬리브와 소켓엘레멘트를 구성하는 연결소켓이 제공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전면개구부, 환형의 캐리어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하며, 여기서 각 라멜라는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설치된다.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최소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개구부를 가진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된(deep-drawn) 부품이다.
본 발명의 연결소켓은 소켓엘레멘트와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생산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의 개구부에 삽입되며, 여기서 최소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부가 소켓엘레멘트의 의하여 수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에 의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감싸지고 보호된다.
상기 소켓엘레멘트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 각 부품은 알맞은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공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소켓엘레멘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른 제조기술, 예를들면, 터닝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제조할 수 있다. 딥드로잉공법은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제조하기에 아주 알맞은 기술이다. 딥드로잉공법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탄성적인 라멜라를 높은 정확도로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딥드로잉된 라멜라슬리브는 연결핀이 소켓에 삐뚤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나 연결핀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면부”, “전면단부”, “전면개구부”, “후면부”, “후면개구부”, “후면모서리” 등은 상기 연결소켓의 연결방향과 관련이 있다. 상기 연결방향은, 상기 연결소켓과 상기 연결플러그가 연결될 때, 상기 연결플러그에 대한 상기 연결소켓의 이동방향이다.
첫번째 효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라멜라를 갖는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얻을 수 있다. 각 부품은 각 부품에 알맞은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핀을 제조하는 제조기술 외 다른 제조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두 제조기술을 혼용하여 상기 다른 두 기술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다.
두번째 효과로, 본 발명의 연결플러그는 중심핀과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여 생산된다. 각 부품은 알맞은 제조기술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제조기술의 장점들이 결합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다.
세번째 효과로, 상기 소켓엘레멘트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 각 부품은 알맞은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공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소켓엘레멘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른 제조기술, 예를들면, 터닝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각 부품은 저비용으로 많은 양을 제조할 수 있다. 딥드로잉공법은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제조하기에 아주 알맞은 기술이다. 딥드로잉공법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탄성적인 라멜라를 높은 정확도로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딥드로잉된 라멜라슬리브는 연결핀이 소켓에 삐뚤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나 연결핀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대략적인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도식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1은 연결플러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는 연결플러그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3a는 라멜라슬리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b는 연결플러그의 중심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연결플러그와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5a는 접촉핀의 전면단부에 절연덮개가 설치된 연결플러그를 나타낸다.
도5b는 접촉핀의 전면단부에 절연단부가 설치된 연결플러그를 나타낸다.
도6은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소켓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7은 소켓의 종단면 및 연결핀을 나타낸다.
이는 도식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1은 연결플러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는 연결플러그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3a는 라멜라슬리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3b는 연결플러그의 중심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연결플러그와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5a는 접촉핀의 전면단부에 절연덮개가 설치된 연결플러그를 나타낸다.
도5b는 접촉핀의 전면단부에 절연단부가 설치된 연결플러그를 나타낸다.
도6은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소켓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7은 소켓의 종단면 및 연결핀을 나타낸다.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독자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최선의 특징은 종속항 및 이후에 설명하고 있다.
라멜라슬리브를 구성하는 연결플러그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관 모양의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기본적인 형태는 원기둥의 실린더 재킷(cylinder jacket)이다. 라멜라의 이러한 형태는 중심핀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기에 적합하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라멜라가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변형될 때, 결과적으로 스프링력이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향한다. 연결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할 때, 상기 라멜라는 방사상 내부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스프링력이 라멜라를 상기 소켓의 내부면에 대하여 방사상 외부방향을 향해 밀어낸다. 상기 라멜라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 사이의 전기접촉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 및 상기 중심핀은 동축상에 위치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라멜라슬리브의 중심축은 상기 중심핀의 중심축과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라멜라를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라멜라는 삽입 초기 단계에서 변형된다. 상기 삽입 초기 단계에서 일정량의 저항을 견뎌야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피드백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단부에서부터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중심을 향하여 주로(predominantly)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슬롯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들은,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를 복수의 라멜라로 분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들의 길이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력을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들의 개수와 그에 따른 상기 라멜라의 폭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력을 다양화함으로써, 상기 연결핀과 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밀거나 당기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원주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멜라는 외부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최소 20% 만큼 연장되며,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최소 25%, 더 바람직하게는 30% 더 바람직하게는 35% 만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85% 이하로 연장되며,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85%,더 바람직하게는 75%, 더 바람직하게는60%,더 바람직하게는 50%,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로 연장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각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 연결되는 첫 번째 단부와 자유단부로 이용되는 두 번째 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한쪽 단부에만 상기 라멜라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라멜라를 변형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추가적인 장점은 상기 소켓과의 전기접촉이 바로 삽입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플러그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라멜라가 접촉되는 점의 축위치가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대안적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 연결되는 첫 번째 단부와 자유단부로 설치되는 두 번째 단부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이 대안적인 최선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라멜라의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연결플러그의 후면부를 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라멜라의 첫 번째 단부는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와 일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멜라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전면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는 주로(predominantly)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길이는 지름의 최소 1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1.5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2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길이는 지름의 최대 10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5배, 더 바람직하기로는3.5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2.5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라멜라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성한다. 상기 돌기부는 접촉면으로써 역할하며, 각 라멜라와 소켓 사이의 개선된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의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러그를 대응되는 소켓에 삽입할 때 필요한 삽입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돌기부가 둥근 형상을 가졌을 경우, 상기 돌기부의 만곡(curvature)에 대한 반지름을 다양화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러그를 대응되는 소켓에 삽입할 때 필요한 삽입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곡의 반지름을 결정하여 상기 연결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삽입력이 적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부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상기 연결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할 때의 삽입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부드럽게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낼 수 있다.
다른 최선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 라멜라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 이상의 돌기부를 구성한다. 상기 돌기부는 각 라멜라와 소켓 사이의 개선된 전기접촉을 이루기 위한 접촉면으로써 역할한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돌기부를 통하여, 상기 라멜라와 상기 소켓 사이의 전기접촉이 평행한 복수의 접촉면에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확실한 전기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라멜라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 이상의 돌기부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라멜라와 상기 소켓 사이의 전기접촉은 상기 돌기부 중 첫 번째 것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최소 하나 이상의 나머지 돌기부들은 대체 부분으로써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돌기부의 마모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상기 라멜라와 상기 소켓 사이의 전기접촉은 최소 하나 이상의 나머지 돌기부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들은, 예를 들어, 약간 다른 만곡의 반지름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하여, 시간이 지나 접촉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플러그의 장기간 사용이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회전 대칭되는 부품이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된 부품이다. 딥드로잉공법은 정확하고 낮은 비용으로 많은 양의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탄성적인 라멜라를 제조하기에 알맞은 기술이다. 더 나아가, 딥드로잉된 라멜라슬리브는 연결핀이 소켓에 삐뚤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나 연결과정에서 연결핀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심핀은,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를 관통하되,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이, 예를 들어, 상기 후면개구부, 상기 라멜라 슬리브 전체 및 전면개구부를 관통하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핀은 원주형 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가 상기 원주형 요부의 후면단부와 인접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원주형 요부는 상기 중심핀에 대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축상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가 상기 원주형 요부의 후면단부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중심핀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요부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축상 위치를 결정하는 한계 걸림부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가늘어지는 부분에 밀어넣어질 수 있으며 상기 라멜라 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입하여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원형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예를 들어, 환형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심핀은 단단한 부품이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핀은 회전대칭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터닝된(turned) 부품이다. 상기 중심핀은 단단하고 회전대칭인 부품이기 때문에, 터닝공법이 상기 중심핀을 제조하는데 있어 알맞은 기술이다.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제조하는데 있어, 딥드로잉공법이 알맞은 기술이다. 각각 다른 제조기술로 제조된 상기 중심핀과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조기술의 장점들을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공법으로 만들어지는 반면, 상기 중심핀은 터닝공법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징, 크림핑, 구술세공, 클램핑 또는 압입조립 중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상기 중심핀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단부를 넘어 돌출된다. 상기 중심핀은, 예를 들어, 그 전면단부에 팁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벨라슬리브의 전면단부를 넘어 돌출되는 부분에 팁부를 구성한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핀은 최소 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접촉핀과 상기 접촉핀의 전면단부에 부착되는 절연단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핀은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핀은 회전대칭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핀은 터닝된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단부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단부는 플라스틱 재질, 탄성중합체(elastomer), 자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부에서 접촉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 코킹(caulking) 및 압입조립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단부를 상기 접촉핀의 전면부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단부는 상기 접촉핀과의 스냅(snap)결합을 위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냅인(snap-in) 부재를 구성한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핀은 접촉핀과 상기 접촉핀의 팁부를 덮기 위하여 구성된 절연덮개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덮개는 상기 접촉핀의 팁부와 스냅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덮개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덮개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에서 접촉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라멜라는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설치되고, 상기 라멜라의 상기 두 번째 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향하며, 여기서 상기 팁부는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들을 보호하고 상기 라멜라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팁부는 최소한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로써, 예를 들어, 상기 중심핀과 상기 라멜라 사이에 다른 물건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라멜라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팁부는 상기 라멜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은 홈부, 요부 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성한다. 상기 중심핀은, 예를 들어, 원주형 홈부 또는 원주형 요부를 구성한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상기 라멜라의 전면부 후방에 여유부가 있도록 배치한다. 상기 라멜라 후방의 상기 여유부는 상기 라멜라가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라멜라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라멜라의 탄성 변형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라멜라는 그들이 받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축상 크기(dimension)가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축상 크기가 상기 라멜라의 전면부와 겹친다. 만약 내부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에 가해지면, 상기 자유단부들은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로 밀어 넣어진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각 깊이는 상기 라멜라의 최대 변형성을 결정한다. 상기 라멜라의 변형성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의 훼손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저면이 변형된 라멜라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부의 저면은 상기 라멜라의 변형을 제한하고 훼손을 방지하는 한계 걸림부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각 깊이는 상기 라멜라의 어떠한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라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러그의 더욱 견고한 구성이 얻어진다.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단부 축위치는 상기 라멜라의 각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를 결정한다. 상기 홈부의 후면단부 축위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변형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상기 후면단부의 위치를 움직이면, 변형되는 부분은 짧아진다. 반대로, 상기 후면단부의 위치를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떨어뜨려 놓으면,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는 늘어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모서리는 라멜라에 인접하는 모서리로써 역할을 한다. 각 라멜라에 대하여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라멜라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되고, 오직 전면부만 변형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연관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단부 축위치는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을 결정한다. 변형가능한 부분이 길수록,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은 부드러워 질 것이다. 반대로, 변형가능한 부분을 짧게하면 상기 라멜라는 비교적 강한 스프링장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를 그에 대응되는 소켓에 삽입할 때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 장력은 삽입력을 결정한다.
연결플러그 및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상기에 설명한 연결플러그 및 이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소켓은 상기 연결플러그의 라멜라의 돌기부에 걸릴 수 있도록 원주형 요부 또는 원주형 홈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원주형 요부 또는 원주형 홈부의 크기, 깊이 및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기 소켓을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라멜라슬리브를 구성하는 연결소켓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관 모양의 형상이다. 나아가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에 폐쇄된 바닥부를 구성한다. 폐쇄된 바닥부를 갖는 라멜라슬리브는, 예를 들어, 딥드로잉공법에 의하여 만들어질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라멜라는 방사상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외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라멜라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변형될 때, 이에 따른 스프링력은 라멜라를, 예를 들어, 접촉핀의 표면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밀어넣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동축상에 위치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중심축은 상기 소켓 부재의 중심축과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단부에서부터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중심을 향하여 주로(predominantly)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슬롯들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은,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를 복수의 라멜라로 분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하나 이상의 슬롯의 길이 및 슬롯의 개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력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소켓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원주방향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를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최소 20% 만큼 연장되며,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최소 바25%, 더 바람직하기로는 30%,더 바람직하기로는 35% 만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를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85% 이하로 연장되며,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 길이의 85%, 더 바람직하기로는 75%, 더 바람직하기로는 60%, 더 바람직하기로는 50%, 더 바람직하기로는는 40% 이하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길이는 지름의 최소 1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1.5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2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길이는 지름의 최대 10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5배, 더 바람직하기로는 3.5배,더 바람직하기로는 2.5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라멜라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성한다. 접촉면으로써 역할을 하는 돌기부를 통하여 상기 라멜라와 상기 연결핀 사이의 전기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연결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할 때 필요한 삽입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회전 대칭되는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켓엘레멘트는 단단한 부품이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회전대칭되는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터닝된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압입조립, 크림핑, 플랜징 및 용접 중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상기 소켓엘레멘트에 고정시킨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소켓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는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와의 전기접촉이 바로 삽입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장점이다. 또 다른 장점은 상기 라멜라가 접촉되는 점의 축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삽입단계 중, 어느 삽입단계에서 전기접촉이 이루어지는지 그 명확한 지점을 알 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멜라는 상기 연결소켓의 전면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는 주로 상기 연결소켓의 연결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인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소켓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는 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라멜라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원부방향으로 감싼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소켓엘레멘트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감싸질 수 있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켓엘레멘트의 개구부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최선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홈부, 요부 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성한다. 상기 소켓엘레멘트는,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 홈부 또는 원주형 요부를 구성한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핀은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성하여 상기 라멜라의 전면부 후방에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여유부가 생기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 후방의 여유부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상기 라멜라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 후방의 여유부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상기 라멜라를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라멜라의 전면부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라멜라 후방에 마련된 여유부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축상 크기가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축상 크기가 상기 라멜라의 전면부와 겹친다. 그러므로 외부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에 가해지면,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로 밀어 넣어진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각 깊이는 상기 라멜라의 최대 변형성을 결정한다. 상기 라멜라의 변형성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라멜라의 훼손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저면이 변형된 라멜라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의 저면은 상기 라멜라의 변형을 제한하는 한계 걸림부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각 깊이는 상기 라멜라의 어떠한 소성변형이라도 방지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것이다.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연관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단부 축위치는 상기 라멜라의 각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를 결정한다. 상기 라멜라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상기 후면단부의 위치를 움직일 때, 변형가능한 부분은 짧아지고, 상기 후면단부의 위치를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떨어뜨려 놓으면,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는 늘어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모서리는 라멜라에 인접하는 모서리로써 역할을 한다. 각 라멜라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라멜라는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모서리에 인접하게 되고, 오직 그 전면부만 변형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연관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단부 축위치는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을 결정한다. 변형가능한 부분이 길수록,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은 부드러워 질 것이다. 반대로, 변형가능한 부분을 짧게하면 상기 라멜라는 비교적 강한 스프링장력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러그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소켓에 삽입할 때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 장력은 삽입력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비슷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1은 중심핀(2) 및 라멜라슬리브(3)를 구성하는 연결플러그(1)를 나타낸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의 전면부에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심핀(2)은 상기 라멜라슬리브(3)를 관통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에 고정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는 미리 지정한 축위치(4)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의 연결방향(5)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라멜라(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에 구성된다.
각 라멜라(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환형의 캐리어부에 연결되는 첫 번째 단부와 자유단부로 설치되는 두 번째 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1)의 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라멜라(6)는 축방향으로 상기 연결플러그(1)의 상기 전면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서로 인접한 라멜라(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롯(7)에 의하여 분리된다. 도1 내지 도4에 나타난 예시에 따르면, 상기 중심핀(2)은 상기 중심핀(2)의 전면단부에 위치한 팁부(8)를 구성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팁부(8)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를 넘어 상기 연결방향(5)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플러그(1)는 대응되는 소켓(미도시)에 상기 연결방향(5)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라멜라(6)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대응되는 소켓의 내부면과의 확실한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도2는 상기 연결플러그(1)의 조립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후면개구부(9) 및 전면개구부(10)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방향(5)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후면부에 구성된 환형의 캐리어부와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에 정렬된 복수의 라멜라(6)를 구성하며, 상기 라멜라(6)는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라멜라(6)는 주로(predominantly) 상기 연결방향(5)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플러그(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심핀(2)을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상기 후면개구부(9)로 삽입하고 상기 라멜라슬리브(3)를 상기 중심핀(2)에 밀어넣어 상기 중심핀(2)에 고정한다. 도1 내지 도5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핀(2)은 상기 후면개구부(9), 상기 라멜라슬리브(3) 전체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의 축 부분을 감싼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로써, 상기 중심핀이 상기 후면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개구부를 관통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핀의 축 부분을 감싼다.
도2 및 도3b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상기 중심핀(2)은 원주형 요부(11)를 구성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가 상기 중심핀(2)에 밀어넣어질 때,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가 상기 원주형 요부(11)의 후면단부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에 고정되어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후면단부가 미리 지정한 축위치(4)에 위치하게 된다. 나아가, 대안으로써 상기 중심핀(2)은 테이퍼된 부분(tapered portion)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라멜라슬리브(3)가 상기 중심핀(2)의 테이퍼된 부분(tapered portion)으로 밀어넣어질 때, 상기 라멜라슬리브(3)와 상기 중심핀(2)이 압입조립된다. 상기 중심핀(2)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3)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핀(2)과 상기 라멜라슬리브(3) 사이의 고정연결을 위한 복수의 다른 결합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데 플랜징(flanging), 크림핑(crimping), 클램핑(clamping) 또는 비딩(beading) 이 있다.
도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심핀(2)은 상기 중심핀(2)의 전면부에 구성된 원주형 홈부(12)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12)는 상기 라멜라(6)의 후방에 여유부가 제공되도록 마련한다. 상기 홈부(12)가 있기 때문에, 각 라멜라(6)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할 수 있다.
도3a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후면개구부(9), 전면개구부(10) 및 복수의 라멜라(6)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방향(5)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에 구성되며,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에서, 상기 슬롯(7)은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부를 상기 복수의 라멜라(6)로 분할한다. 도3a의 예시에서, 각 라멜라(6)는 상기 각 라멜라(6)의 외부면에 돌기부(13)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플러그(1)가 대응되는 상기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13)는 접촉면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예를 들어,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대칭 부품일 수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예를 들어, 딥드로잉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3b는 상기 중심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중심핀(2)은 상기 팁부(8), 상기 홈부(12) 및 상기 원주형 요부(11)를 구성한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가 상기 원주형 요부(11)의 후면단부에 인접할 때까지, 상기 라멜라슬리브(3)를 상기 중심핀(2)에 밀어넣는데, 여기서 상기 축위치(4)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단부의 끝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중심핀(2)은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핀(2)은 단단한 부품이다. 상기 중심핀(2)은 회전대칭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핀(2)은 터닝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도4는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소켓부(18)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핀(2)의 축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상기 원주형 홈부(12)는 상기 라멜라(6)의 전면부 후방에 여유부를 제공하여 상기 라멜라(6)의 전면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방향(5)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12)는 상기 라멜라(6)의 전면부와 겹치도록 배치한다. 상기 홈부(12)는 상기 홈 후면단부 축위치(14)부터 상기 홈 전면단부 축 위치(15)까지 연장되며, 상기 결합위치(5)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홈부(12)가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를 넘어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홈부(12)의 전면단부를 배치한다.
도 4에서, 상기 라멜라(6)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16) 및 상기 라멜라(6)의 라멜라길이(17)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홈부(12)의 후면단부는 상기 라멜라(6)에 대한 접촉모서리로써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홈 후면단부 축 위치(14)는 상기 라멜라(6)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16)를 결정한다. 나아가, 상기 홈 후면단부 축 위치(14)를 다양화함으로써, 상기 라멜라(6)의 스프링장력을 다양화할 수 있다. 변형가능한 부분이 길수록, 상기 라멜라(6)의 스프링장력은 부드러워 질 것이다. 반대로, 변형가능한 부분을 짧게 하면 상기 라멜라(6)는 비교적 강한 스프링장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부(12)의 홈후면단부 축위치(14)는 상기 라멜라(6)의 스프링장력을 결정한다. 상기 스프링장력은 상기 연결플러그를 대응되는 소켓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을 결정한다.
나아가, 상기 홈부(12)의 깊이는 라멜라(6)의 방사상 내부방향으로의 최대 변형성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부(12)의 저면은 변형된 라멜라(6)에 대한 지지면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이로써, 상기 라멜라(6)가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밀어질 때 상기 홈부(12)의 저면이 상기 라멜라(6)의 변형에 대하여 한계걸림부로써 역할을 하여 상기 라멜라(6)의 어떠한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라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라멜라(6)를 훼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팁부(8)는, 예를 들어, 상기 홈부(12)의 저면으로부터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멜라(6)의 어떠한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라도 방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 및 상기 중심핀 사이의 공간에 어떠한 물건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4에 도시된 플러그인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플러그(1)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개구부(19)를 갖는 소켓부(18)를 구성한다. 상기 소켓부(18)의 내측벽(20)은, 예를 들어, 평편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라멜라(6)의 돌기부(13)가 상기 내측벽(2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러져, 이에 따라 상기 연결플러그(1) 및 상기 소켓부(18) 사이의 전기연결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소켓부(18)는 상기 소켓부(18) 내부에 구성된 원주형 홈부(21)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4에서, 상기 원주형 홈부(21)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만약 상기 연결플러그(1)가 상기 소켓부(18)의 상기 개구부(19)에 삽입되면, 상기 라멜라(6)의 상기 돌기부(13)가 상기 원주형 홈부(21)와 결착된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 역잠금(counter-latching) 구성요소로써 역할을 하는 상기 원주형 홈부(21)와 결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돌기부(13)는 잠금 구성요소로써 이용된다. 이 예시에서, 상기 돌기부(13)와 상기 원주형 홈부(21) 사이의 상호작용은 상기 소켓부(18)에서 상기 연결플러그(1)를 뽑아내는데 필요한 견인력(pulling force)을 결정한다. 이러한 잠금장치 구조에 의하여, 플러그인 연결의 기계적 안정성이 개선된다.
도 5a에서, 상기 연결플러그(22)의 추가예시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예시들과 같이, 상기 연결플러그(22)는 복수의 라멜라(6)를 갖는 라멜라슬리브(3)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방향(5)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6)의 자유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22)의 전면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는 상기 중심핀(23)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핀(23)의 축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싼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예시들과는 다르게, 상기 중심핀(23)은 일체로 구성된 것이 아니다. 대신에, 도5a에서, 상기 중심핀(23)은 접촉핀(24) 및 상기 접촉핀(24)의 팁부(26)를 덮기 위한 절연덮개(25)를 구성하고 있다. 도5a에서, 상기 중심핀(23)은 상기 후면개구부(9), 상기 라멜라슬리브(3)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전면개구부(10)를 관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촉핀(24)은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핀(24)은 터닝된 부품(turned part)으로써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덮개(25)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플라스틱 재질,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절연덮개(25)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덮개(25)는 상기 접촉핀(24)의 팁부(26)에 씌워지기 위하여 구성된 스냅인(snap-in) 부재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덮개(25)는 접촉보호구로써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무심코 상기 연결플러그(22)의 전기가 통하는 부분을 터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5b는 연결플러그(27)의 또 다른 예를 보인다. 이 예시에서도, 상기 중심핀(28)은 일체로 되어있지 않지만, 두 개의 다른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핀(28)은 접촉핀(29) 및 상기 접촉핀(29)의 전면단부에 구성된 절연단부(30)를 구성한다. 상기 절연단부(30)는 돌출부(31)를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접촉핀(29)의 수용홈(32)에 삽입된다. 도5b에서, 상기 중심핀(28)은 상기 후면개구부(9), 상기 라멜라슬리브(3)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3)의 상기 전면개구부(10)를 관통한다.
상기 접촉핀(29)은 도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핀은, 예를 들어, 터닝된 부품(turned part)이다. 상기 절연단부(30)는 절연성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단부(3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단부는 접촉보호구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단부(30)와 상기 접촉핀(29)을 연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나사결합, 코킹, 압입조립 등과 같은 다른 결합기술들을 종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절연단부(30)는, 예를 들어, 상기 접촉핀(29)과의 스냅(snap)결합을 위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냅인(snap-in) 부재를 구성한다.
라멜라슬리브를 중심핀에 고정시키는 대신, 라멜라슬리브가 소켓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플러그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연결핀이 될 수 있다. 도6에서, 소켓엘레멘트(34)를 구성하는 소켓(33) 및 상기 소켓엘레멘트(34) 내부에 장착되는 라멜라슬리브(35)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5)는 환형의 캐리어부 및 복수의 라멜라(36)를 구성하고 있으며, 각 라멜라(36)는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구현된다. 상기 소켓(33)의 연결방향(37)에서 보았을 때,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5)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라멜라(3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5)의 전면부에 구성되며, 상기 각 라멜라의 자유단부는 상기 소켓(33)의 전면단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5)는 복수의 슬롯(38)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슬롯(38)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전면단부로부터 주로(predominantly)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라멜라슬리브(35)의 전면부를 복수의 라멜라(36)로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멜라(36)는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라멜라(36)는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로부터 상기 소켓(33)의 연결방향(37)으로 연장된다. 각 라멜라(36)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탄성압박을 받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부(39)를 구성하여 상기 소켓(33)에 삽입되는 연결핀과의 전기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각 돌기부(39)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5)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라멜라슬리브(35)는, 예를 들어, 딥드로잉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소켓(33)은 나아가 상기 라멜라슬리브(35)의 후면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개구부(40)를 갖는 상기 소켓엘레멘트(34)를 구성한다. 상기 소켓엘레멘트(34)는 나아가 원주형 홈부(4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원주형 홈부(41)의 내부 지름은 상기 개구부(40)의 내부 지름보다 크다.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5)의 상기 라멜라(36) 후방에 여유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상기 라멜라(36)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켓엘레멘트(34)는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전면단부(42)를 구성한다. 상기 전면단부(42)는 최소한 상기 라멜라(36)의 자유단부들을 부분적으로 뒤덮어 상기 라멜라(36)를 보호한다. 상기 소켓엘레멘트(34)는 전도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엘레멘트(34)는, 예를 들어, 터닝된 부품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소켓(33)의 종단면 및 연결핀(44)을 보인다. 상기 소켓(33)은 소켓엘레멘트(34)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소켓엘레멘트(34)는 상기 라멜라슬리브(35)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개구부(40)를 가지며, 여기서 라멜라슬리브(35)는 상기 소켓(33)의 전면단부를 향하여 상기 연결방향(37)으로 연장되는 라멜라(36)를 가진다.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개구부(40)로부터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라멜라(36)의 변형가능한 부분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라멜라(36)의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여유부(43)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연결방향(37)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라멜라(36)의 전면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상기 원주형 홈부(41)가 상기 라멜라(36)의 전면부와 겹치도록 한다. 상기 원주형 홈부(41)가 있기 때문에 상기 라멜라(36)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라멜라(36)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때, 상기 원주형 홈부(41)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여유부(43)로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핀(44)이 상기 소켓(3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소켓(33)의 상기 라멜라(36)는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변형될 것이고, 상기 돌기부(39)는 상기 연결핀(44)의 외부면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원주형 홈부(41)의 깊이는 상기 라멜라(36)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최대한 얼마나 변형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라멜라(36)가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한계걸림부로써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원주형 홈부(41)는 상기 라멜라(36)를 지탱하며 상기 라멜라(36)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을 방지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주형 홈부(41)의 후면단부는 상기 라멜라(36)에 인접하는 모서리로써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라멜라(36)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45)는 상기 원주형 홈부(41)의 요부 후면단부 축 위치(46)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7에서, 상기 라멜라(36)의 라멜라길이(47) 또한 명시되어 있다. 상기 홈부(41)의 홈후면단부 축 위치(46)는 상기 라멜라(36)의 스프링장력을 결정한다. 상기 라멜라(36)의 변형가능한 부분이 길수록,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은 부드러워 질 것이다. 반대로, 상기 변형가능한 부분을 짧게하면 상기 라멜라는 비교적 강한 스프링장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홈부(41)의 요부 후면단부 축 위치(46)를 알맞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라멜라(36)의 스프링장력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켓(33)에 상기 연결핀(44)을 삽입하는 삽입력도 조정될 수 있다.
도7의 상기 라멜라슬리브(35)는 전면개구부 및 후면개구부 모두 가지고 있다. 대안으로, 폐쇄된 바닥부를 갖는 라멜라슬리브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특징들, 청구항 및 도면들은 어떠한 조합으로도 본 발명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1, 22, 27 : 연결플러그(connecting plug) 2, 23, 28 : 중심핀(central pin)
3: 라멜라슬리브(lamella sleeve)
4: 미리 지정한 축 위치(predefined axial position)
5: 연결방향(mating direction) 6: 라멜라(lamellae)
7: 슬롯(slots) 8, 26: 팁부(tip)
9: 라멜라 슬리브의 후면 개구부(rear opening of the lamella sleeve)
10: 라멜라 슬리브의 전면 개구부(front opening of the lamella sleeve)
11: 원주형 요부(circumferential recess) 12: 홈부(groove)
13: 돌기부(bulge)
14: 홈 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the groove‘s rear end)
15: 홈 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the groove‘s front end)
16: 라멜라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 (length of deformable portion of the lamellae)
17: 라멜라 길이 (length of lamellae) 18: 소켓부 (socket part)
19:개구부 (opening) 20:내측벽 (inner walls)
21: 원주형 홈부 (circumferential groove) 24, 29: 접촉핀(contact pin)
25: 절연덮개 (insulating cap) 30: 절연단부 (insulating end part)
31: 돌출부재 (protruding member) 32:수용홈(bore hole)
33: 소켓(socket) 34: 소켓엘레멘트(socket element)
35: 라멜라슬리브(lamella sleeve) 36: 라멜라(lamellae)
37: 연결방향(mating direction) 38: 슬롯(slots)
39: 돌기부(bulge) 40:개구부 (opening)
41: 원주형 홈부 (circumferential groove)
42: 소켓엘레멘트 전면단부 (front end part of the socket element)
43: 여유부 (free space) 44: 연결핀 (connector pin)
45: 라멜라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 (length of deformable portion of the lamellae)
46: 요부 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rear end of recess)
47: 라멜라 길이 (length of lamellae)
3: 라멜라슬리브(lamella sleeve)
4: 미리 지정한 축 위치(predefined axial position)
5: 연결방향(mating direction) 6: 라멜라(lamellae)
7: 슬롯(slots) 8, 26: 팁부(tip)
9: 라멜라 슬리브의 후면 개구부(rear opening of the lamella sleeve)
10: 라멜라 슬리브의 전면 개구부(front opening of the lamella sleeve)
11: 원주형 요부(circumferential recess) 12: 홈부(groove)
13: 돌기부(bulge)
14: 홈 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the groove‘s rear end)
15: 홈 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the groove‘s front end)
16: 라멜라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 (length of deformable portion of the lamellae)
17: 라멜라 길이 (length of lamellae) 18: 소켓부 (socket part)
19:개구부 (opening) 20:내측벽 (inner walls)
21: 원주형 홈부 (circumferential groove) 24, 29: 접촉핀(contact pin)
25: 절연덮개 (insulating cap) 30: 절연단부 (insulating end part)
31: 돌출부재 (protruding member) 32:수용홈(bore hole)
33: 소켓(socket) 34: 소켓엘레멘트(socket element)
35: 라멜라슬리브(lamella sleeve) 36: 라멜라(lamellae)
37: 연결방향(mating direction) 38: 슬롯(slots)
39: 돌기부(bulge) 40:개구부 (opening)
41: 원주형 홈부 (circumferential groove)
42: 소켓엘레멘트 전면단부 (front end part of the socket element)
43: 여유부 (free space) 44: 연결핀 (connector pin)
45: 라멜라의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 (length of deformable portion of the lamellae)
46: 요부 후면단부 축위치(axial position of rear end of recess)
47: 라멜라 길이 (length of lamellae)
Claims (15)
-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및 복수의 라멜라로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고,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멜라 각각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방사상 내측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멜라 각각은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라멜라의 상기 두 번째 단부는 전면단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된(deep drawn)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은 터닝된(turned)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플랜징(flanging), 크림핑(crimping), 비딩(beading), 클램핑(clamping), 압입조립(press fit) 중 하나 이상의 연결공법을 이용하여 상기 중심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이 홈부(groove), 요부(recess) 또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indentation)를 구성하고, 상기 홈부, 상기 원주형 요부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라멜라의 전면부 후방에 여유부가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각 깊이는 상기 복수의 라멜라의 최대 변형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연관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단부 축위치는 상기 복수의 라멜라의 각 변형가능한 부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7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모서리는 상기 복수의 라멜라에 인접하는 모서리로써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7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슬리브와 연관된 상기 홈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의 후면 단부 축위치는 상기 라멜라의 스프링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환형의 캐리어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
중심핀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후면개구부를 관통하되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부분적으로 관통하고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며,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에 고정되는 연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러그의 연결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라멜라가 전면부에 위치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라멜라 각각은 첫 번째 단부가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라멜라 각각의 상기 두 번째 단부는 상기 연결플러그의 전면단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플러그. - 제1항 또는 7항의 연결플러그 및 이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 중심핀과 전면개구부, 후면개구부 및 복수의 라멜라를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를 조립하는 연결플러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이 상기 후면개구부, 상기 라멜라슬리브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관통하고,
여기서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상기 중심핀의 축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상기 중심핀에 밀어넣는 단계 및 상기 라멜라슬리브를 중심핀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연결플러그 제조방법. - 전면개구부, 환형의 캐리어부 및 복수의 라멜라로 구성하는 라멜라슬리브;
상기 라멜라슬리브는 딥드로잉된(deep drawn) 부품이며,
상기 복수의 라멜라 각각은 첫 번째 단부가 상기 환형의 캐리어부에서 일체가 되며 두 번째 단부는 자유단부로써 구현되고,
적어도 상기 라멜라슬리브의 후면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소켓엘레멘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9183650.1A EP3761455B1 (en) | 2019-07-01 | 2019-07-01 | Connecting plug with central pin and lamella sleeve and connecting socket with lamella sleeve |
EP19183650.1 | 2019-07-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3665A true KR20210003665A (ko) | 2021-01-12 |
KR102403318B1 KR102403318B1 (ko) | 2022-05-30 |
Family
ID=6713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446A KR102403318B1 (ko) | 2019-07-01 | 2020-06-04 | 연결플러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연결플러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및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연결소켓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394147B2 (ko) |
EP (1) | EP3761455B1 (ko) |
JP (1) | JP6997261B2 (ko) |
KR (1) | KR102403318B1 (ko) |
CN (1) | CN112242625B (ko) |
DK (1) | DK3761455T3 (ko) |
RU (1) | RU2758795C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85092B (zh) * | 2018-06-29 | 2022-09-20 | 利萨·德雷克塞迈尔有限责任公司 | 用于接触高电流插座的高电流接触器 |
JP7066596B2 (ja) * | 2018-11-16 | 2022-05-13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292190B2 (ja) * | 2019-11-29 | 2023-06-16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グランド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
TWM598550U (zh) * | 2020-03-05 | 2020-07-11 |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冠簧之電源連接器 |
DE102020108812A1 (de) * | 2020-03-31 | 2021-09-30 |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 Steckkontakt |
DE102020112117A1 (de) * | 2020-05-05 | 2021-11-11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Steckverbinder, Steckverbindergegenstück und Steckverbindersystem |
EP3923421A1 (de) * | 2020-06-09 | 2021-12-15 | Afag Holding AG |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m grundkörper und einem verschiebekörper |
CN113036523B (zh) * | 2021-02-15 | 2023-02-28 | 中山得意电子有限公司 | 电连接器组合 |
CN113258352B (zh) * | 2021-05-26 | 2022-11-29 | 宣城立讯精密工业有限公司 | 电性连接套件及电连接器 |
CN113258372B (zh) | 2021-05-26 | 2022-12-02 | 宣城立讯精密工业有限公司 | 电性连接套件及电性连接器 |
US20220384973A1 (en) * | 2021-06-01 | 2022-12-01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Male and female power terminal assembly, female and male power terminals |
DE102021206247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Kontaktteil sowie Steckverbindung mit einem Kontaktteil |
DE102021206250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Hochvolt-Steckverbindung |
DE102021206245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sowie Steckverbindung |
DE102021206246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sowie Steckverbindung |
DE102021206249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einer Hochvolt-Steckverbindung |
DE102021206248A1 (de) | 2021-06-18 | 2022-12-22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Kontaktteil sowie Steckverbindung mit einem Kontaktteil |
EP4152526A1 (en) * | 2021-09-15 | 2023-03-22 | Avertronics Inc. | Easy-to-assemble connector |
DE102022201373A1 (de) | 2022-02-10 | 2023-08-10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enden Steckverbindung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52253A (en) * | 1986-03-12 | 1988-06-21 | Otto Dunkel Gmbh | Contact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DE3808632C1 (ko) | 1988-03-15 | 1989-10-12 | Georg Dr.-Ing. 8152 Feldkirchen-Westerham De Spinner | |
US5667413A (en) | 1995-11-13 | 1997-09-16 | Alcoa Fujikura Ltd. | Socket-type electrical connector |
EP0967684A2 (en) * | 1998-06-25 | 1999-12-29 | Tri-Star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 Socket contact |
DE19909107A1 (de) * | 1999-03-02 | 2000-09-21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Außenleiterhülse mit Federkontakten |
DE10041516A1 (de) | 2000-08-24 | 2002-03-14 | Harting Automotive Gmbh & Co | Elektrische Anschlußvorrichtung für hohe Ströme |
US9653831B2 (en) * | 2013-01-09 | 2017-05-16 | Amphenol Corporation |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
US20190109397A1 (en) * | 2017-10-05 | 2019-04-11 | Yokowo Co., Ltd. | Spring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112086A (de) | 1925-10-01 | 1925-10-01 | Co Delta | Elektrischer Kontaktstöpsel. |
JP2923518B2 (ja) * | 1994-03-18 | 1999-07-26 | 矢崎総業株式会社 | 大電流用端子及び加工方法 |
DE29601407U1 (de) * | 1995-09-07 | 1996-05-23 | Oehlbach-Kabel GmbH, 76297 Stutensee | Koaxialstecker |
DE102004002402B3 (de) | 2004-01-16 | 2005-11-03 | Tyco Electronics Amp Gmbh | Hochstrombelastbare Verbindungsvorrichtung sowie zugehöriges Kontaktierungselement |
CN101103497A (zh) | 2005-01-13 | 2008-01-09 | 菲舍尔连接器控股股份有限公司 | 可锁定并能密封的连接器 |
DE202005015800U1 (de) * | 2005-09-29 | 2005-12-08 | Büschel Verwaltungs GmbH | Stecker |
ITVI20080006U1 (it) | 2008-02-28 | 2009-08-29 | Viemme Srl | Connessione elettrica perfezionata |
DE102009035716B4 (de) * | 2009-07-31 | 2014-03-27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teckverbinder |
CN201898221U (zh) | 2010-09-01 | 2011-07-13 |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电连接器用簧片式插孔 |
CN203503846U (zh) | 2013-08-23 | 2014-03-26 |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 一种鼓簧式弹性可靠接触件 |
CN104852183B (zh) | 2015-03-26 | 2017-01-25 | 常熟市福莱德连接器科技有限公司 | 一种光伏连接器 |
EP3579348B1 (de) | 2016-02-26 | 2021-08-04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Kontakthüls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
JP6812923B2 (ja) * | 2017-07-27 | 2021-01-13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CN207426271U (zh) | 2017-09-20 | 2018-05-29 |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装有接触元件的射频同轴电连接器 |
CN207947409U (zh) | 2018-02-27 | 2018-10-09 |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 导电电极及具有其的锁具 |
EP3641068B1 (en) * | 2018-10-16 | 2021-01-27 | ODU GmbH & Co. KG | Connecting plug and socket with lamella basket |
-
2019
- 2019-07-01 DK DK19183650.1T patent/DK3761455T3/da active
- 2019-07-01 EP EP19183650.1A patent/EP3761455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6-04 KR KR1020200067446A patent/KR1024033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6-25 RU RU2020121096A patent/RU2758795C1/ru active
- 2020-06-26 US US16/913,206 patent/US11394147B2/en active Active
- 2020-06-29 JP JP2020111319A patent/JP6997261B2/ja active Active
- 2020-06-30 CN CN202010619401.0A patent/CN11224262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52253A (en) * | 1986-03-12 | 1988-06-21 | Otto Dunkel Gmbh | Contact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DE3808632C1 (ko) | 1988-03-15 | 1989-10-12 | Georg Dr.-Ing. 8152 Feldkirchen-Westerham De Spinner | |
US5667413A (en) | 1995-11-13 | 1997-09-16 | Alcoa Fujikura Ltd. | Socket-type electrical connector |
EP0967684A2 (en) * | 1998-06-25 | 1999-12-29 | Tri-Star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 Socket contact |
DE19909107A1 (de) * | 1999-03-02 | 2000-09-21 |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 Außenleiterhülse mit Federkontakten |
DE10041516A1 (de) | 2000-08-24 | 2002-03-14 | Harting Automotive Gmbh & Co | Elektrische Anschlußvorrichtung für hohe Ströme |
US20020049005A1 (en) * | 2000-08-24 | 2002-04-25 |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 Electrical high-current connection device |
US9653831B2 (en) * | 2013-01-09 | 2017-05-16 | Amphenol Corporation |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
US20190109397A1 (en) * | 2017-10-05 | 2019-04-11 | Yokowo Co., Ltd. | Spring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758795C1 (ru) | 2021-11-01 |
US11394147B2 (en) | 2022-07-19 |
DK3761455T3 (da) | 2022-08-29 |
JP6997261B2 (ja) | 2022-01-17 |
US20210005995A1 (en) | 2021-01-07 |
CN112242625B (zh) | 2022-02-11 |
EP3761455A1 (en) | 2021-01-06 |
CN112242625A (zh) | 2021-01-19 |
EP3761455B1 (en) | 2022-06-22 |
JP2021009841A (ja) | 2021-01-28 |
KR102403318B1 (ko) | 202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3318B1 (ko) | 연결플러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연결플러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플러그인 연결장치 및 라멜라슬리브를 갖는 연결소켓 | |
US6520998B1 (en) | Plug socket with high-current contact | |
KR101031118B1 (ko) | 동축 커넥터 | |
US20110104959A1 (en) | Press-contact pogo pin connector | |
US11211732B2 (en) | Plug-in connector part with caulked contact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lug-in connector part | |
KR101759575B1 (ko) | 커넥터 단자 | |
KR101753323B1 (ko) |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단자 | |
US6752667B2 (en) |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nd a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 |
EP3629423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stic latch integrated into contact cavity | |
US4461530A (en) |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 |
CN108110470A (zh) | 金属簧片结构、端子结构及电连接器 | |
US6007364A (en) | Guide post assembly | |
US5919066A (en) | Connector for high currents | |
KR101732622B1 (ko) | 커넥터 단자 | |
JP4669336B2 (ja) | コネクタ | |
CN112217016B (zh) | 电连接器 | |
WO2013061560A1 (en) | Connector | |
US20230387623A1 (en) | Connection terminal, finger protective cap,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cable assembly, and charging seat | |
JP2020061220A (ja) | 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及び、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 |
US20230387618A1 (en) |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cable assembly, and charging seat | |
US20240291192A1 (en) |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 |
JP2016024892A (ja) | メス端子及び端子接続構造 | |
WO2024056442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2024084997A (ja) | 雌端子金具 | |
JP2016024894A (ja) | 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