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664A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664A
KR20210003664A KR1020200065355A KR20200065355A KR20210003664A KR 20210003664 A KR20210003664 A KR 20210003664A KR 1020200065355 A KR1020200065355 A KR 1020200065355A KR 20200065355 A KR20200065355 A KR 20200065355A KR 20210003664 A KR20210003664 A KR 2021000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oking chamber
shutter
cas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모토 키요시
시미즈 카즈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85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02670A1/en
Priority to EP20835104.9A priority patent/EP3956609A4/en
Priority to US16/946,727 priority patent/US11353219B2/en
Publication of KR202100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가열조리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는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조리실과 구획된 상태로 조리실의 벽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된 통풍로;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조리실의 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통해 조리실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갖춘 검출부;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개폐하는 셔터; 및 외기를 흡입해 통풍로 내부로 송풍하여 검출부와 셔터를 함께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HEATING COOKER}
개시하는 기술은 조리실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는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피가열물의 위치, 상태, 온도와 같은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조리기는 조리실 내부의 정보를 검출할 때 센서의 검출면이 조리실 벽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조리실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열조리기는 센서가 조리실 내부의 고온 대류에 노출되기 때문에 센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 센서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열려 있으면 센서의 검출면이 조리실 내부의 증기나 식품 찌꺼기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센서의 검출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기는 열이나 오염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94217호는 센서를 조리실의 열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센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가열조리기는 검출면이 조리실 벽면의 개구를 통해 조리실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센서, 센서가 위치하는 조리실의 벽면을 따라 설치된 통풍로, 외기를 흡입하여 통풍로로 송풍하는 냉각팬을 구비한다. 냉각팬에 의해 통풍로로 송풍된 공기는 센서의 검출면을 지나면서 센서를 냉각시킬 수 있고, 개구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면서 조리실 내부의 증기나 식품 찌꺼기가 센서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가열조리기는 센서를 지지하는 반원통형의 가동통부와, 가동통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센서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가동통부가 회전함으로써 검출면이 개구를 향하도록 회전하거나 검출면이 개구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센서의 검출면이 개구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개구는 가동통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가열조리기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센서의 검출면이 조리실 내부의 증기나 식품 찌꺼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열조리기는 센서의 검출면이 개구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개구를 폐쇄하는 가동통부가 조리실의 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가동통부를 통하여 센서 쪽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센서가 열화되거나 손상될 수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94217호(2017.10.26)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화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된 통풍로; 상기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의 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갖춘 검출부; 상기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개폐하는 셔터; 및 외기를 흡입해 상기 통풍로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검출부와 상기 셔터를 함께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통풍로의 내면과 이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감지홀을 개폐하는 부분이 상기 검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열조리기는 상기 통풍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냉각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셔터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통풍로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결합된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감지홀을 향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홀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2위치로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센서유닛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제1위치를 향할 때 상기 감지홀을 개방하고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제2위치를 향할 때 상기 감지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셔텨는 단열부재를 매개로 상기 센서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감지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의 개폐부는 상기 센서유닛의 외면과 그 내면 사이를 통하여 냉각풍이 흐르도록 상기 센서유닛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감지홀이 위치하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은 단면이 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개폐부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셔터보다 전열성이 낮은 소재에 의해 마련된 센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홀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감지홀과 제2감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감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감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홀은 투광성을 갖는 창부재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제2감지홀은 상기 제2센서를 사용할 때 개방되고 상기 제2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로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풍로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에 결합된 덕트에 의해 유로가 한정되며 내부에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셔터를 수용하는 상부유로; 상기 케이스 후방의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유로와 연계되는 후방유로; 및 상기 케이스 하측의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유로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하측 전면에 형성된 배기구로 유도하는 하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측패널과, 상기 내측패널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통풍로는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풍로는 상기 도어의 상측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의 양쪽 측단에 각각 형성된 흡기구 및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는 조리실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화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정면도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조리실 내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조리실 외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도어 배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Ⅱ-X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1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가열조리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는 가열조리기의 위치와 관련하여 상측을 “상”, 하측을 “하”, 도어 측을 “전”, 도어 반대 측을 “후”, 도어 측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을 “좌”, 우측을 “우”로 표시한다.
[제1실시 예]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를 정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정면도로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조리실 내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요부를 조리실 외측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가열조리기(1)는 소위 컨벡션 오븐이다. 가열조리기(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3)이 형성된 케이스(5), 케이스(5)의 조리실(3)에 피가열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7)를 개폐하는 도어(9), 조리실(3) 내에 수용된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1), 가열 조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 가열조리기(1)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15),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7), 가열조리기(1)의 동작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는 직육면체일 수 있고, 전면에 개구(7)를 구비한다. 케이스(5)는 조리실(3)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23)와, 내부케이스(23)의 외측에 설치되며 가열조리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21)를 포함한다. 가열부(11)와 제어부(19)는 외부케이스(21)와 내부케이스(23)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실(3)은 육류, 어류, 야채 등의 식자재를 수용할 수 있다. 조리실(3) 내에는 식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선반(33)이 설치될 수 있고, 내부케이스(23)의 좌측 벽면과 후측 벽면에는 선반(33)의 지지 및 높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선반지지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선반지지부(35)는 조리실(3) 내면 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반(33)은 양단이 다수의 선반지지부(35)에 선택적으로 적재됨으로써 조리실(3) 내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리실(3)의 후방 벽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중에 식자재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리실(3)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장치(37)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37)는 백열등, 형광등,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도어(9)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이 회전축에 의해 케이스(5)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9)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조리실(3)의 개구(7)를 개방할 수 있고, 상방으로 회전하여 조리실(3)의 개구(7)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9)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49)와, 조리실(3) 내부의 식자재 상태 등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51)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9)는 도어(9)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바(bar) 형태일 수 있다. 투시창(51)은 도어(9)의 중앙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열반사재를 코팅한 유리, 내열유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부(11)는 조리실(3)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1)는 제1히터(53), 제2히터(55), 제3히터(57)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제1 히터(53), 제2히터(55), 제3히터(57)의 출력은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히터(53)는 조리실(3) 하측의 케이스(5)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히터(55)는 조리실(3) 상측의 내부케이스(23) 벽면(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히터(53)와 제2히터(55)는 각각 발열하는 전열선이거나 조리실로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히터일 수 있다. 또는 전열선과 적외선 히터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제3히터(57)는 조리실(3)의 후방 측 벽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3히터(57)는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59)와, 조리실(3) 내부 공기가 발열부(59)에 의해 가열되도록 조리실(3)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61)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61)은 조리실(3) 후방 벽면에 형성된 송풍구(63)의 후방 측에 설치되고, 발열부(59)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선이 순환팬(61)의 주위에 원환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실(3) 내부의 공기는 순환팬(61)의 동작에 의해 순환하면서 발열부(59)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표시부(13)와 조작부(15)는 조리실(3)의 개구(7) 상측에 설치된 일체의 컨트롤 패널(65)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65)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일 수 있고, 터치패널은 정전식 터치 스크린 (Capacitive Touch Screen)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65)은 가열 조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가열 조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가열부(11)의 출력 정도, 가열 조리에 필요한 시간, 매뉴얼조리 운전이나 자동조리운전과 같은 운전모드, 조리실 청정의 실행을 나타내는 정보 등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65)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조리를 위한 정보의 입력하거나, 가열 조리 및 고내 청정의 시작과 정지를 지령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65)로 조작된 정보는 제어부(19)에 송신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케이스(23)와 외부케이스(21) 사이에는 조리실(3)의 벽면을 따라 연장된 통풍로(25)가 마련된다. 그리고 통풍로(25) 내에는 외기를 흡입하여 통풍로(25) 내부로 송풍하는 냉각팬(29)이 설치된다. 냉각팬(29)은 프로펠러팬일 수 있다. 냉각팬(29)은 가열조리기(1)의 운전 시 구동되며,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C) 방향으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통풍로(2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5)의 상측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31)로부터 케이스(5)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덕트(27)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유로, 케이스(5) 후방의 내부케이스(23)와 외부케이스(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마련되며 상부유로와 연계된 후방유로, 케이스(5) 하측의 내부케이스(23)와 외부케이스(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마련되며 후방유로의 공기를 케이스(5) 하측 전면에 형성된 배기구(미도시)로 유도하는 하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 예는 통풍로(25)가 케이스(5)의 좌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통풍로(25)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5)의 중앙 또는 우측 상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23)의 상측 코너부(조리실의 좌측 상부)에는 내측에 검출부(17)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풍로(25)를 확장하는 센서 수용부(39)가 마련된다. 센서 수용부(39)는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조리실(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9)는 덕트(27)와 함께 확장된 통풍로(25)를 형성함으로써 내측에 검출부(17)를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검출부(17)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로(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실(2)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유닛(67)과, 센서유닛(67)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9)를 포함한다. 구동부(69)는 센서유닛(67)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센서유닛(67)은 통풍로(25)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재(7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센서하우징(77)과, 센서하우징(77)에 설치되며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와, 센서하우징(77)에 설치되며 조리실(3) 내부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조사기(7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제1센서로서 카메라(71)와, 제2센서로서 온도센서(7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77)은 전열성이 낮은 수지재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7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로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양단에 마련된 회전축이 베이스부재(7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센서하우징(77)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77)은 통풍로(25)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통풍로(25)를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외면이 고루 냉각될 수 있고, 센서 수용부(39)와 이격됨으로써 센서 수용부(39)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7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통형태일 수 있고, 개방부분이 덕트(27)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79)는 양단이 복수의 체결부재(81)에 의해 내부케이스(23)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79)는 센서하우징(7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양측에 각각 마련된 지지판(83)을 구비한다. 이러한 베이스부재(79)는 센서하우징(77)을 통풍로(25)의 내면과 이격시키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냉각풍이 센서유닛(67) 외측을 따라 흐르도록 송풍을 안내하여 센서유닛(67)의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수용부(39)는 통풍로(25)와 조리실(3)을 관통하는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을 구비한다.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센서 수용부(39)의 곡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감지홀(41)과 제2감지홀(43) 사이의 거리는 제2감지홀(43)과 제3감지홀(45)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감지홀(41)은 카메라(71)의 촬영면(72, 제1센서의 검출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감지홀(43)은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제2센서의 검출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3감지홀(45)은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카메라(71)는 제1감지홀(41)을 통하여 조리실(3) 내에 배치된 식자재의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온도센서(73)는 제2감지홀(43)을 통하여 조리실(3) 내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광조사기(75)는 제3감지홀(45)을 통하여 조리실(3) 내부로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카메라(71)는 CCD(Charge-Coupled Device)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카메라(71)의 초점 거리나 화각 등은 조리실(3)의 선반(33) 위에 올려진 식자재의 전후 방향 전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는 제어부(19)로 전송된다.
카메라(71)는 식자재의 종류를 자동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단일체로 조리실(3) 내의 식자재를 촬영하고, 그 화상 정보를 제어부(19)로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71)는 광조사기(75)와 협동하여 조리실(3) 내에 배치된 식자재의 입체 정보도 취득할 수 있다. 식자재의 입체 정보는 식자재의 삼차원 좌표에 의해 나타나는 삼차원 형상이다. 카메라(71)와 광조사기(75)는 식자재의 삼차원 형상을 측정하는 삼차원 계측 장치를 구성한다.
광조사기(75)는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고, 제3감지홀(45)을 통하여 소정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선을 조리실(3) 내에 배치된 식자재에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기(75)는 조사하는 광선의 파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광조사기(75)는 다른 색의 광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하거나 파장을 변경하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기(75)는 반도체 레이저가 조사하는 가시광선을 소정의 패턴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광조사기(75)는 조리실(3) 내의 식자재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퍼지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카메라(71)는 광조사기(75)에 의해 조사된 가시광선을 촬영한다. 삼차원 계측 장치는 카메라(71)에 의해 촬영된 가시광선을 토대로 삼각 측량의 원리를 사용하여 식자재의 삼차원 형상을 계측할 수 있다.
제1감지홀(41)과 제3감지홀(45)은 투광성을 갖는 창부재(47)에 의해 가려진다. 창부재(47)는 가열된 조리실(3)의 온도에 견딜 수 있고 광투과율이 우수한 내열유리일 수 있다. 제1감지홀(41)과 제2감지홀(45)은 창부재(47)에 의해 항상 가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카메라(71)의 촬영면(72)과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은 조리실(3) 내부의 증기나 식품 찌꺼기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온도센서(73)는 제2감지홀(43)을 통하여 조리실(3) 내에 배치된 식자재의 열분포를 계측하고 식자재의 표면 온도를 비접촉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73)는 검출대상영역으로 방출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 온도센서(73)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19)로 전송된다.
온도센서(73)는 내열유리와 같은 창부재에 의해 가려질 경우 전자파가 창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쇠되기 때문에 식자재의 표면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제2감지홀(43)에는 창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카메라(71) 및 온도센서(73)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제2감지홀(4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조리실(3) 내의 증기나 식품 찌꺼기가 제2감지홀(43)을 통해 센서유닛(67) 쪽으로 유입되어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과 카메라(71)의 촬영면(72)을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카메라(71) 및 온도 센서(73)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2감지홀(43)을 폐쇄할 수 있는 셔터(87)를 포함한다.
셔터(8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유닛(67)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센서유닛(67)에 장착될 수 있다. 셔터(87)는 도 7에 도시한 예처럼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을 향하는 제1위치로 회전할 때 제2감지홀(43)을 개방하고, 도 8에 도시한 예처럼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을 향하지 않는 제2위치로 회전할 때 제2감지홀(43)을 폐쇄할 수 있다.
셔터(87)는 센서하우징(77)의 외면에 형성된 브래킷(89)에 체결되는 고정부(87a)와, 제2감지홀(4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부(87a)로부터 연장된 개폐부(87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87a)는 단열부재(91)를 개재한 상태로 고정나사(93)의 체결에 의해 브래킷(89)에 고정된다. 개폐부(87b)는 고정부(87a)로부터 센서하우징(77)의 외측을 덮도록 연장되고, 제2감지홀(43)이 위치하는 센서 수용부(39)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벤딩된다.
셔터(87)의 고정부(87a)와 개폐부(87b)는 법랑 등 내열성이 우수한 평판형 소재의 절곡 및 벤딩에 의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77)은 셔터(87)보다도 전열성이 낮은 수지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87a)와 브래킷(89) 사이에 개재된 단열부재(91)는 단열성이 우수한 운모판(Mica Plate)일 수 있다. 단열부재(91)는 셔터(87)로부터 센서하우징(77)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가열조리기(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감지홀(43)을 폐쇄하는 셔터(87)의 개폐부(87b)가 조리실(3)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에도 열이 센서유닛(67)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셔터(87)의 개폐부(87b)는 센서유닛(67)의 외면과 그 내면 사이에 냉각풍이 통과하는 공간(88)이 형성되도록 센서하우징(77) 외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센서유닛(67)과 셔터(87)는 도 7의 상태뿐 아니라 셔터(87)가 제2감지홀(43)을 폐쇄하는 도 8의 상태에서도 통풍로(25)를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원활히 냉각될 수 있다.
구동부(6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유닛(67)의 한쪽 단부 쪽에 설치된다. 구동부(69)는 센서유닛(67)을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을 도 7에 도시한 예처럼 사용 위치(제1위치) 또는 도 8에 도시한 예처럼 불사용 위치(제2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센서유닛(67)의 사용 위치는 카메라(71)의 촬영면(72)이 제1감지홀(41)을 향하고,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을 향하고,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제3감지홀(45)을 향하는 위치이다. 센서유닛(67)의 불사용 위치는 카메라(71)의 촬영면(72)이 제1감지홀(41)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제3감지홀(45)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위치이다. 센서유닛(67)이 불사용 위치에 있을 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감지홀(43)이 셔터(87)에 의해 폐쇄된다.
제어부(19)는 가열조리기(1)의 가열부(11), 표시부(13), 조작부(15), 검출부(17)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부(19)는 통상의 마이크로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부(19)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CPU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갖고 있다. 제어부(19)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컨트롤 패널(65)에서 설정한 정보 및 검출부(17)에서 검출된 조리실(3) 내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열 조리나 고내 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필요에 따라 구동부(69)를 동작시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을 불사용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카메라(71)나 온도센서(73), 삼차원 계측 장치에 의한 조리실(3) 내의 정보를 검출할 필요가 없는 매뉴얼 조리 운전 시, 조리실(3) 내의 정보를 검출할 필요가 있는 자동 조리 운전 시, 조리실(3) 내의 정보를 검출하는 기간의 사이에 센서유닛(67)을 불사용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9)는 센서유닛(67)을 불사용 위치로 전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를 조리실(3) 내부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제2감지홀(43)을 셔터(87)로 폐쇄하여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가열조리기(1)는 파이로틱 클리닝(Pyrolytic cleaning)이라고 불리는 청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파이로틱 클리닝은 조리실(3) 내부를 420℃ 이상으로 가열하여 기름 때 등의 오염을 열분해방식으로 청소한다. 따라서 파이로틱 클리닝을 실행할 때는 센서유닛(67)의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가 조리실(3) 내부의 열에 의해 열화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제어부(19)는 이처럼 파이로틱 클리닝을 할 경우 구동부(69)를 구동시켜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을 불사용 위치로 전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를 조리실(3) 내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동시에 제2감지홀(43)을 셔터(87)로 폐쇄하여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가열조리기(1)의 운전(가열 조리나 고내 청정)이 시작되면, 냉각팬(29)을 구동시킨다. 센서유닛(67) 및 셔터(87)는 냉각팬(29)의 구동으로 통풍로(25)에 유통되는 냉각풍에 의해 함께 냉각된다. 통풍로(25)를 흐르는 냉각풍은 카메라(71)의 촬영면(72)과 제1감지홀(41)에 설치된 창부재(47) 사이,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과 제2감지홀(43) 사이,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과 제3 감지홀(45)에 설치된 창부재(47)와의 사이로 흐르면서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 각 창부재(47)를 냉각시킨다.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을 조리실(3) 내의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센서유닛(67) 및 그 주위에 냉각풍을 유통시켜 냉각시킨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의 사용여부에 따라 셔터(87)가 제2감지홀(43)을 개폐한다. 따라서 센서유닛(67)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를 조리실(3) 내의 열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통풍로(25)에 냉각풍을 유통시켜 셔터(87)와 센서유닛(67)을 함께 냉각시킨다. 따라서 센서 유닛(67)을 사용하지 않을 때 셔터(87)가 조리실(3) 내부의 고온 대류에 노출되더라도 센서유닛(67)과 셔터(87)를 쉽게 냉각시킬 수 있고, 셔터(87)로부터 센서유닛(67)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의 온도 상승에 기인한 열화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제1감지홀(41)에 설치된 창부재(47)와 카메라(71) 사이에 냉각풍을 유통시키기 때문에 카메라(71)를 창부재(47)에 근접시키면서도 카메라(71)와 창부재(47) 사이 공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리실(3) 내부의 열에 의한 카메라(7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71)를 창부재(47)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감지홀(41)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는 제3감지홀(45)에 설치된 창부재(47)와 광조사기(75) 사이에 냉각풍을 유통시키기 때문에 광조사기(75)를 창부재(47)에 근접시키면서도 광조사기(75)와 창부재(47) 사이 공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리실(3) 내부의 열에 의한 광조사기(75)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광조사기(75)를 창부재(47)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3감지홀(45)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조리실(3) 내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을 사용하지 않을 때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각각 대응하는 제1 감지홀(41), 제2 감지홀(43) 및 제3 감지홀(45)을 향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을 조리실(3) 내부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셔터(87)가 센서유닛(67)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통의 구동부(69)를 이용하여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 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의 위치를 전환하는 동작과, 셔터(87)에 의한 제2감지홀(43)의 개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여 가열조리기(1)를 컴팩트화 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이 설치된 위치의 조리실(3) 벽면이 센서유닛(67)의 회전 궤적을 따르는 원호 형상의 센서 수용부(39)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제1 내지 제3감지홀(41, 43, 45)이 비교적 작게 형성하여도 센서유닛(67)의 회전에 따른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및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의 방향 변화에 관계 없이 카메라(71), 온도센서(73), 삼차원 계측 장치가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조리실(3) 내부의 열이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과 셔터(87)의 연결 부분에 단열 부재(91)가 설치되기 때문에 고온에 노출된 셔터(87)의 열이 센서유닛(67)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의 온도 상승에 기인한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센서 유닛(67)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제2실시 예]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7)의 설치 위치가 제1실시 예와 다르다. 제2실시 예는 가열부 및 그 관련요소를 제외한 나머지가 제1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가열부 및 그 관련요소를 위주로 설명한다.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한 제1실시 예의 설명을 따르기로 한다.
도 9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도어 배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XⅡ-X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도 11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센서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3)의 벽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도어(9)의 상측에 마련된 통풍로(25)와, 이 통풍로(25) 내부에 설치되며 센서유닛(67)을 갖춘 검출부(17)를 포함한다.
도어(9)는 조리실(3)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측패널(97), 내측패널(97)의 외측에 마련되며 전면을 이루는 외측패널(95), 외측패널(95)과 내측패널(97)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덕트부재(99) 및 배출덕트부재(101)를 구비한다. 통풍로(25)는 외측패널(95)과 내측패널(97)의 사이에 마련된다. 통풍로(25)의 일부는 메인덕트부재(99) 및 배출덕트부재(101)에 의해 형성된다.
메인덕트부재(99)는 좌측 단부 전방 측에 유입구(103)를 구비하고, 우측 단부 전방 측에 유출구(105)를 구비한다. 배출덕트부재(101)는 메인덕트부재(99)의 유출구(105)를 덮도록 설치되고, 통풍로(25)의 하류 측 부분을 형성한다. 통풍로(25) 중 메인덕트부재(99)보다 상류 측 부분은 외측패널(95)과 내측패널(97)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와 도 11을 참조하면, 손잡이(49)의 양단 하측에는 통풍로(25)와 연통된 중공의 통로부재(107)가 각각 설치된다. 외기가 통풍로(25)로 유입되는 흡기구(31)는 손잡이(49)의 좌측 하부에 위치하는 통로부재(107)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통풍로(25)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09)는 손잡이(49)의 우측 하부에 위치하는 통로부재(107)의 우측면에 형성된다. 흡기구(31)와 배기구(109)는 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각각 포함하고, 도어(9)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통풍로(25)는 흡기구(31), 좌측의 통로부재(107), 메인덕트부재(99)의 유입구(103), 메인덕트부재(99)의 내부공간, 메인덕트부재(99)의 유출구(105), 배출덕트부재(101)의 내부공간, 우측의 통로부재(107), 배기구(109)가 연통된 형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9)의 내측패널(97)은 상측 부분에 메인덕트부재(99)와 함께 통풍로(25)를 형성하는 센서 수용부(39)를 포함한다. 센서 수용부(39)는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조리실(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9)는 메인덕트부재(99)와 함께 확장된 통풍로(25)를 형성함으로써 내측에 검출부(17)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9)는 검출부(17)의 센서유닛(67)이 설치된 위치의 조리실(3) 내측 벽면을 이루며, 내면이 센서유닛(67)의 회전궤적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으로 마련된다.
센서 수용부(39)는 내측패널(97)을 관통하는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을 구비한다.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은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센서 수용부(39)의 곡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감지홀(41)과 제3감지홀(45)에는 투광성을 갖는 내열 유리로 이루어지는 창부재(47)가 설치되고, 제2감지홀(43)에는 창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통풍로(25)의 내부에는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17), 통풍로(25)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냉각팬(29), 통풍로(25)의 유로 단면적을 좁게 하기 위한 구획판(110), 냉각팬(29)에 의해 송풍되는 냉각풍을 검출부(17)의 센서유닛(67) 및 셔터(87)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111)가 설치된다.
냉각팬(29)은 통풍로(25)의 상류 측에 배치된다. 냉각팬(29)은 가열 조리기(1)의 운전 시 구동되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C) 방향으로 냉각을 위한 공기를 송풍한다.
검출부(17)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통풍로(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서유닛(67)과, 센서유닛(67)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9)를 포함한다. 구동부(69)는 센서유닛(67)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센서유닛(67)은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를 포함하고, 카메라(71), 온도 센서(73), 광조사기(75)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센서하우징(77)를 포함한다. 센서하우징(77)은 내측패널(97)에 고정된 브래킷(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센서유닛(67)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77)은 통풍로(25)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통풍로(25)를 흐르는 냉각풍에 의해 외면이 고루 냉각될 수 있고, 센서 수용부(39)와 이격됨으로써 센서 수용부(39)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유닛(67)에는 카메라(71) 및 온도센서(73)를 사용하지 않을 때 센서유닛(67)과 함께 회전하여 제2감지홀(43)을 폐쇄하는 셔터(87)가 설치된다. 셔터(87)는 센서하우징(77)의 외면에 체결되는 고정부(87a)와, 제2감지홀(4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부(87a)로부터 연장된 개폐부(87b)를 포함한다.
고정부(87a)는 운모판(Mica Plate) 등 단열부재(91)를 개재한 상태로 고정나사(93)의 체결에 의해 센서하우징(77)에 고정된다. 개폐부(87b)는 고정부(87a)로부터 연장되며 제2감지홀(43)이 위치하는 센서 수용부(39)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벤딩된다. 메인덕트부재(99)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유닛(67)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셔터(87)의 개페부(87b)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부(113)를 구비한다.
구동부(69)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유닛(67)의 한쪽 단부 쪽에 설치된다. 구동부(69)는 센서유닛(67)을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을 도 13에 도시한 예처럼 사용 위치(제1위치) 또는 도 14에 도시한 예처럼 불사용 위치(제2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센서유닛(67)의 사용 위치는 카메라(71)의 촬영면(72)이 제1감지홀(41)을 향하고,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을 향하고,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제3감지홀(45)을 향하는 위치이다. 센서유닛(67)의 불사용 위치는 카메라(71)의 촬영면(72)이 제1감지홀(41)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이 제2감지홀(43)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제3감지홀(45)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위치이다. 센서 유닛(67)이 불사용 위치에 있을 때는 제2 감지홀(43)이 셔터(87)에 의해 폐쇄된다.
구획판(110)은 냉각팬(29)과 센서유닛(67) 사이에 배치되고, 제1감지홀(41)이 형성된 위치의 상류에 배치된다. 구획판(110)은 냉각팬(2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공간을 한정하도록 통풍로(25)를 구획한다. 공기안내부재(111)는 구획판(11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통풍로(25)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구획판(110)에 점차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구획판(110)과 공기안내부재(111) 사이의 상류 측 개방 단부는 냉각팬(29)을 향하고, 구획판(110)과 공기안내부재(111) 사이의 하류 측 개방 단부는 센서유닛(67) 및 셔터(87)를 향한다. 구획판(110)과 공기안내부재(111)는 운모판(Mica Plate) 등의 단열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냉각팬(2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구획판(110)과 공기안내부재(111)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하면서 센서유닛(67) 및 셔터(87) 쪽으로 흐른다. 센서유닛(67)과 셔터(87)는 이러한 냉각풍에 의해 함께 냉각된다. 이때 통풍로(25)를 흐르는 냉각풍은 카메라(71)의 촬영면(72)과 제1감지홀(41)에 설치된 창부재(47) 사이,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과 제2감지홀(43) 사이,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과 제3감지홀(45)에 설치된 창부재(47) 사이에도 흐른다. 따라서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 각 창부재(47)는 냉각풍에 의해 냉각된다.
제2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도 센서유닛(67)의 사용여부에 따라 셔터(87)가 제2감지홀(43)을 개폐하고, 셔터(87)와 센서유닛(67)이 냉각풍에 의해 함께 냉각되므로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셔터(87)로부터 센서유닛(67)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의 온도 상승에 기인한 열화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어(9)를 개방 때는 조리실(3) 내부의 공기가 크게 유동하므로 제2감지홀(43)을 통해 기름방울, 물방울 등이 센서유닛(67) 쪽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식자재를 취출할 때도 센서유닛(67)을 수용한 센서 수용부(39)가 식자재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식자재로부터 낙하하는 액적 또는 식자재 일부가 제2감지홀(43)을 통해 센서유닛(67) 쪽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도어를 개방할 때 제2감지홀(43)이 셔터(87)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기름방울, 물방울, 식자재 등이 센서유닛(67)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유닛(67)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공기안내부재(111)가 통풍로(25) 내부의 냉각풍을 센서유닛(67) 및 셔터(87) 쪽으로 적극 유도하기 때문에 센서유닛(67) 및 셔터(87)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화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센서유닛(67)이 도어(9) 내부에 설치되고,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및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이 도어(9)의 내측패널(97)에 마련된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을 통하여 조리실(3) 내부를 향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실(3) 내부의 정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감지홀(41)과 제3 감지홀(45)에 설치된 창부재(47)에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창부재(47)를 닦아 내는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제2실시 예의 가열조리기(1)는 흡기구(31)가 도어(9)의 개폐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9)를 열 때 조리실(3)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열기가 흡기구(31)를 통하여 통풍로(25)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다. 따라서 냉각팬(29)의 구동에 의한 센서유닛(67) 및 셔터(87)의 냉각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는 아래의 내용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가열조리기는 하나의 구동부(69)가 센서유닛(67)과 셔터(87)를 함께 동작시킨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유닛(67)을 위한 구동부와 셔터(87)를 위한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유닛(67)은 카메라(71), 온도센서(73), 광조사기(75)를 구비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유닛(67)은 카메라(71)와 온도 센서(73)만을 포함하거나, 카메라(71)와 광조사기(75)만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67)은 카메라(71)와 온도센서(73) 외에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를 갖는 센서유닛(67) 대신에 카메라(71)만, 또는 온도센서(73)만, 혹은 그밖의 센서를 구비하는 검출부품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조리기(1)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실(3)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조리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조리기(1)는 파이로틱 클리닝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였으나, 다른 청정기능이 적용되거나 청정기능이 배제될 수도 있다.
검출부(17)는 센서유닛(67)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71)의 촬영면(72), 온도센서(73)의 검출면(74), 광조사기(75)의 광선 출사면(76)은 센서유닛(67)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을 향하는 사용 위치와, 제1감지홀(41), 제2감지홀(43), 제3감지홀(45)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불사용 위치로 변위할 수 있다.
표시부(13)와 조작부(15)는 일체의 컨트롤패널(65)일 수 있다고 하였으나, 표시부(13)와 조작부(15)는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조작부(15)는 버튼식 스위치나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히터(57)는 조리실(3)의 후방벽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고 하였으나, 제3히터(57)는 조리실(2)의 후방벽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쪽 또는 중앙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유닛(67)과 셔터(87)의 연결 부분에 개재되는 단열부재(91)로 운모판(Mica Plate)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실(3) 내부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임의의 단열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1: 가열조리기, 3: 조리실,
5: 케이스, 7: 개구,
9: 도어, 11: 가열부,
13: 표시부, 15: 조작부,
17: 검출부, 19: 제어부,
21: 외부케이스, 23: 내부케이스,
25: 통풍로, 27: 덕트,
29: 냉각팬, 31: 흡기구,
33: 선반, 35: 선반지지부,
37: 조명장치, 39: 센서 수용부,
41: 제1감지홀, 43: 제2감지홀,
45: 제3감지홀, 47: 창부재,
49: 손잡이, 51: 투시창,
53: 제1히터, 55: 제2히터,
57: 제3히터, 59: 발열부,
61: 순환팬, 63: 송풍구,
65: 컨트롤패널, 67: 센서유닛,
69: 구동부, 71: 카메라(제2센서)
73: 온도센서(제1센서) 75: 광조사기,
77: 센서하우징, 79: 베이스부재,
81: 체결부재, 83: 지지판,
87: 셔터, 89: 브래킷,
91: 단열부재, 93: 고정나사,
95: 외측패널, 97: 내측패널,
99: 메인덕트부재, 101: 배출덕트부재,
103: 유입구, 105: 유출구,
107: 통로부재, 109: 배기구,
110: 구획판, 111: 공기안내부재,
112: 브래킷, 113: 수용부.

Claims (15)

  1.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된 통풍로;
    상기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의 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정보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부;
    상기 통풍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홀을 개폐하는 셔터; 및
    외기를 흡입해 상기 통풍로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검출부와 상기 셔터를 함께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통풍로의 내면과 이격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감지홀을 개폐하는 부분이 상기 검출부로부터 이격되는 가열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냉각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셔터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통풍로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센서가 결합된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감지홀을 향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홀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2위치로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센서유닛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제1위치를 향할 때 상기 감지홀을 개방하고 상기 센서의 검출면이 상기 제2위치를 향할 때 상기 감지홀을 폐쇄하는 가열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셔텨는,
    단열부재를 매개로 상기 센서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감지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부는 상기 센서유닛의 외면과 그 내면 사이를 통하여 냉각풍이 흐르도록 상기 센서유닛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가열조리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홀이 위치하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은 단면이 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개폐부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벤딩된 가열조리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셔터보다 전열성이 낮은 소재에 의해 마련된 센서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홀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감지홀과 제2감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감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감지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홀은 투광성을 갖는 창부재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제2감지홀은 상기 제2센서를 사용할 때 개방되고 상기 제2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되는 가열조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로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가열조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케이스의 상측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에 결합된 덕트에 의해 유로가 한정되며, 내부에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셔터를 수용하는 상부유로;
    상기 케이스 후방의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유로와 연계되는 후방유로; 및
    상기 케이스 하측의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후방유로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하측 전면에 형성된 배기구로 유도하는 하부유로;를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13. 제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측패널과, 상기 내측패널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통풍로는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마련되는 가열조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는 상기 도어의 상측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의 양쪽 측단에 각각 형성된 흡기구 및 배기구를 포함하는 가열조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도어의 개폐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가열조리기.




KR1020200065355A 2019-07-02 2020-05-29 가열조리기 KR20210003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8587 WO2021002670A1 (en) 2019-07-02 2020-07-01 Heating cooker
EP20835104.9A EP3956609A4 (en) 2019-07-02 2020-07-01 HEATING STOVE
US16/946,727 US11353219B2 (en) 2019-07-02 2020-07-02 Heating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3946 2019-07-02
JP2019123946A JP2021009002A (ja) 2019-07-02 2019-07-02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64A true KR20210003664A (ko) 2021-01-12

Family

ID=7412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355A KR20210003664A (ko) 2019-07-02 2020-05-29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09002A (ko)
KR (1) KR20210003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0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4217A (ja) 2016-04-20 2017-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3166A (ja) * 2001-02-20 2002-08-28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JP6508625B2 (ja) * 2014-10-10 2019-05-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637584B2 (ja) * 2018-12-26 2020-01-2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4217A (ja) 2016-04-20 2017-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0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09002A (ja)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317B2 (en) Heating cooker
TWI360624B (ko)
JP6652305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監視システム
KR102665015B1 (ko) 오븐
US11353219B2 (en) Heating cooker
WO2016056247A1 (ja) 加熱調理器
US20220167473A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sensor units arranged outside the cooking chamber
US11585541B2 (en) Heating cooking device
KR20210003664A (ko) 가열조리기
US20210172610A1 (en) Oven appliance having a humidity sensor
KR20120048497A (ko) 적외선검출장치, 가열조리장치 및 가열조리장치의 조리실 온도 측정방법
US11391466B2 (en) Cooking appliance, in particular commercial cooking appliance
MX2009002678A (es) Aparato de coccion.
TWI776045B (zh) 加熱調理器
EP4328491A1 (en) Cooking appliance
JP6663737B2 (ja) 加熱調理器
RU24190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240035304A (ko) 조리 기기
JP6758336B2 (ja) 加熱調理器
RU2291354C1 (ru) Кухонная плита
JP6623002B2 (ja) 加熱調理器
JP6682135B2 (ja) 加熱調理装置
KR20240037862A (ko)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MX2009002671A (es) Aparato de coccion.
KR100809779B1 (ko)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