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62U -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62U
KR20210002462U KR2020200001468U KR20200001468U KR20210002462U KR 20210002462 U KR20210002462 U KR 20210002462U KR 2020200001468 U KR2020200001468 U KR 2020200001468U KR 20200001468 U KR20200001468 U KR 20200001468U KR 20210002462 U KR20210002462 U KR 202100024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housing
suspen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필
고두일
Original Assignee
박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필 filed Critical 박상필
Priority to KR2020200001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462U/ko
Publication of KR20210002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8Flui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로드의 일단에는 각종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단은 연결구와 결합되고 하단은 하우징 외면의 나사 결합된 지지링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스프링과,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구와, 하우징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Suspension for two-wheeled vehicles to adjust position to the vehicle specifications}
본 고안은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륜차에 결합될 때 차량의 제원에 따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자동차와 같은 차량은 차륜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차체에 완화되어 전달되도록 스프링을 구비한 서스펜션이 차륜을 지지하는 차륜지지부와 차체 사이에 장착되고 있다.
반면, 스프링만으로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 어려움에 따라,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유압식 완충기가 스프링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노면 조건 및 운전환경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밸브를 이용하여 유압 실린더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바이패스형 감쇠력 조절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908002호는 자동차의 진동 흡수력 조절용 쇽업쇼버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진동 흡수력을 조절하는 감쇠력 조절부를 쇽업쇼버의 하부에 형성하여 감쇠력 조절시, 쇽업쇼버를 차량에서 탈거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근해 감쇠력 조절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의 제원에 따라 실린더의 크기나 위치가 특정 차량의 제원에 맞게 맞춤형으로 설계되어 생산되고 있어 특정 서스펜션을 제원이 다른 차량에 장착하거나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9080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정 차량이 아닌 다양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차량과 결합되는 부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속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서스펜션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조절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제원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은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로드의 일단에는 각종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단은 연결구와 결합되고 하단은 하우징 외면의 나사 결합된 지지링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스프링과,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구와, 하우징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은 지지링 하부에서 지지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여 지지링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스프링과, 고정스프링의 하단에 형성되며 고정스프링을 지지하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어 고정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은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 또는 고정링은 일면이 수직하게 절개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지름이 감소되면서 브라켓 및 고정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절개홈과, 절개홈의 양측에 수평하게 관통되어 있으며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은 하우징의 하단 외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레일과, 브라켓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레일이 삽입되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구속홈과, 브라켓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방면으로 관통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특정 차량이 아닌 다양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차량과 결합되는 부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지속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서스펜션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조절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제원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과 고정링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완충스프링을 압축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을 분해시킨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륜차에 결합될 때 차량의 제원에 따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400)과 고정링(31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은 내부에는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로드(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로드(110)의 일단에는 각종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단은 연결구(120)와 결합되고 하단은 하우징(100) 외면의 나사 결합된 지지링(210)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스프링(200)과, 연결구(1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구(140)와, 하우징(100)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브라켓(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각종 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면에는 로드(110)가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로드(110)가 삽입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작동유가 채워져 있다.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된 로드(110)의 타단은 하우징(100)의 내경과 접촉되어 작동유를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의 피스톤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에 의해 로드(110)가 하강되면 작동유를 밀어내면서 하강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스톤이 밀폐된 상태가 되면 압축된 작동유에 의해 피스톤이 승강될 수 없기 때문에 피스톤에는 작동유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로드(110)의 회전에 따라 유로의 폭이 증감되어 작동유가 통과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로드(11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서 피스톤이 작동유에 의해 천천히 하강되면서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로드(110)의 일단에는 연결구(120)가 형성되어 있어 완충스프링(20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연결구(120)의 상단에는 로드(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구(130)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구(1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하우징(100) 내부의 피스톤에 형성된 유로가 열리거나 닫혀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구(13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차체 부분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140)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탑승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나 도로의 요철 및 과속방지턱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로드(11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면서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완충스프링(200)은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어 로드(11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되고 로드(11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구(120)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게 된다.
완충스프링(200)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지지링(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지지링(210)은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하우징(100)의 외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링(210)이 완충스프링(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위치에 따라 완충스프링(200)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어 탄성력을 연결구(120)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로드(110)는 무부하 상태에서 완충스프링(200)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브라켓(400)은 차량의 차륜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베어링(420)을 통해 차륜부에 형성된 차축이나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로드(11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구(140)는 차체와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400)은 차륜부와 결합되어 두 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을 서스펜션이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400)은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제원에 따라 차체와 차륜부 사이의 길이가 넓거나 짧은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브라켓(400)은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브라켓(400)은 하우징(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410)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므로 브라켓(400)을 회전시켜 결합되는 위치를 차량의 제원이나 결합위치에 맞게 변경할 수도 있게 되므로, 하나의 서스펜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링(210) 하부에서 지지링(210)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여 지지링(210)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스프링(300)과, 고정스프링(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고정스프링(300)을 지지하며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어 고정스프링(300)의 탄성력을 가변시키는 고정링(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스프링(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링(210)은 완충스프링(20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차량이 주행하면서 발생되는 진동과 완충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링(210)이 풀리게 되면서 완충스프링(200)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지지링(210)의 하부에는 고정스프링(300)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력에 의해 지지링(210)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완충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며, 탄성력에 의해 지지링(21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스프링(300)의 하단에는 고정스프링(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링(310)은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스프링(300)을 압축시킴으로써 지지링(21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링(310)은 중앙에 하우징(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3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313)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과 나사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400) 또는 고정링(310)은 일면이 수직하게 절개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지름이 감소되면서 브라켓(400) 및 고정링(310)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절개홈과, 절개홈의 양측에 수평하게 관통되어 있으며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홈은 고정링(310)에 형성된 제1절개홈(311)과 브라켓(400)에 형성된 제2절개홈(430)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가압홀은 고정링(310)에 형성된 제1가압홀(312)과 브라켓(400)에 형성된 제2가압홀(440)을 통칭하는 단어이다.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의 일면에는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개되어 있는 제1절개홈(311)과 제2절개홈(430)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이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어 위치를 가변시킨 후 외력을 가해 내경을 축소시킴으로써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력을 가하기 위해 볼트(470)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볼트(470)와 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제1절개홈(311)과 제2절개홈(430)의 양측에는 수평하게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압홀(312)과 제2가압홀(440)이 각각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에 형성된 가압홀에는 각각 볼트(470)가 삽입될 수 있게 되며, 볼트(470)의 끝단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죄여주면 절개홈이 서로 밀착되면서 지름이 축소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링(310)과 브라켓(400)을 회전시켜 위치를 가변시킨 후에 체결수단을 가압홀에 삽입한 후 가압시키면 절개홈이 밀착되어 지름이 축소되므로 하우징(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지 못하므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완충스프링(200)을 압축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400)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210)은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완충스프링(200)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링(310)을 상부 방면으로 이동시켜 고정스프링(300)의 탄성력이 완충스프링(200)의 탄성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400)도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차륜부가 결합될 수 있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브라켓(40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결합구(140)가 차체에 결합되는 각도까지 조절될 수 있어 다양한 차량에 맞춰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400)을 분해시킨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브라켓(400)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은 하우징(100)의 하단 외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460)이 형성된 레일(150)과, 브라켓(40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레일(150)이 삽입되면 레일(150)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구속홈(450)과, 브라켓(4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방면으로 관통되는 체결홀(4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라켓(400)은 레일(15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기재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행되며, 브라켓(400)의 위치 가변 구조만 변형된 것이므로 브라켓(40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의 하단 외면에는 브라켓(400)을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150)이 형성된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링(210), 고정링(310)이 하우징(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레일(150)의 길이는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의 20~30%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50)의 단면은 T자 형상으로 하우징(1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볼트(470)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홀(151)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때 체결수단이 브라켓(400)에 형성된 체결홀(460)을 통해 결합홀(15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브라켓(400)을 레일(15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브라켓(400)은 하부면이 레일(150)에 구속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T자 형태로 파여지는 구속홈(450)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속홈(450)의 형상은 레일(150)의 단면 형상에 맞춰서 형성되어 구속홈(450)에 레일(150)이 삽입되면 브라켓(400)이 레일(1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브라켓(400)은 하우징(100)의 하단에 위치된 레일(150)을 구속홈(450)에 삽입시킨 후 슬라이딩시켜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속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게 되며, 차륜부의 위치에 맞게 슬라이딩 시킨 후 체결홀(460)에 볼트(470)를 삽입한 후 볼트(470)가 레일(150)의 결합홀(151)에 체결됨으로써 브라켓(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레일(150)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마그네틱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400)이 이동될 때 체결홀(460)이 형성된 위치에 맞게 단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라켓(400)을 자력으로 임시로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특정 차량이 아닌 다양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차량과 결합되는 부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서스펜션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의 감쇠력을 조절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제원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로드
120 : 연결구 130 : 조절구
140 : 결합구 150 : 레일
151 : 결합홀 200 : 완충스프링
210 : 지지링 300 : 고정스프링
310 : 고정링 311 : 제1절개홈
312 : 제1가압홀 313 : 관통홀
400 : 브라켓 410 : 삽입홀
420 : 베어링 430 : 제2절개홈
440 : 제2가압홀 450 : 구속홈
460 : 체결홀 470 : 볼트

Claims (6)

  1.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일단에는 각종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연결구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우징 외면의 나사 결합된 지지링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연결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구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외면에 형성되어 차량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 하부에서 상기 지지링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링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고정스프링과;
    상기 고정스프링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스프링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고정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시키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고정링은
    일면이 수직하게 절개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지름이 감소되면서 상기 브라켓 및 상기 고정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의 양측에 수평하게 관통되어 있으며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 외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이 삽입되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구속홈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방면으로 관통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차량의 결합부위에 맞게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KR2020200001468U 2020-04-28 2020-04-28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KR202100024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8U KR20210002462U (ko) 2020-04-28 2020-04-28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8U KR20210002462U (ko) 2020-04-28 2020-04-28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62U true KR20210002462U (ko) 2021-11-05

Family

ID=7852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68U KR20210002462U (ko) 2020-04-28 2020-04-28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46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02B1 (ko) 2008-06-11 2009-07-16 이종고 자동차의 진동 흡수력 조절용 쇽업쇼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002B1 (ko) 2008-06-11 2009-07-16 이종고 자동차의 진동 흡수력 조절용 쇽업쇼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278A (en) Stabilizer assembly for use in vehicles
US5301974A (en) Bicycle suspension system
WO2003086847A2 (en) Telescoping suspension fork having a quick release wheel axle clamp
KR930007769Y1 (ko) 자동차용 쇽 업저어버(Shock absorber)의 스프링 압축기
WO2019015604A1 (zh) 双弹簧减震器总成
US20240116597A1 (en) Bicycle suspension components
KR20210002462U (ko) 차량 제원에 맞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
KR100488786B1 (ko) 유압식 스트럿 마운팅 구조
CN105365514B (zh) 一种用于两轮腿移动机器人的悬架机构
JP2775156B2 (ja) 車両用緩衝器
KR20220058304A (ko) 탄성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완충 장치
CN206781990U (zh) 一种把式电动三轮车转向减震装置
KR200418958Y1 (ko)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20200043830A (ko) 삼륜차량의 후륜 진동 및 충격 감쇄장치
KR100507116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N215883957U (zh) 一种减震滑板车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N220668223U (zh) 列车连续阻尼控制减振装置
KR100598835B1 (ko) 신장부를 구비한 쇼크업소버
CN218913555U (zh) 多种可调方式的减震器
CN215662770U (zh) 一种静音工业脚轮
KR101294500B1 (ko) 측 하중 저감 타입 맥퍼슨 스트러트 현가장치
JPS61140633A (ja) 車両の後輪懸架用ばね力調整装置
CN2685216Y (zh) 减震自行车
KR910000424Y1 (ko) 자전거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