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71A -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 Google Patents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71A
KR20210001771A KR1020190078332A KR20190078332A KR20210001771A KR 20210001771 A KR20210001771 A KR 20210001771A KR 1020190078332 A KR1020190078332 A KR 1020190078332A KR 20190078332 A KR20190078332 A KR 20190078332A KR 20210001771 A KR20210001771 A KR 20210001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position
operation lever
guides
switch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섭 이
영수 고
병준 이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7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771A/ko
Priority to PCT/US2020/016088 priority patent/WO2020263345A1/en
Priority to US17/297,410 priority patent/US20220105735A1/en
Publication of KR2021000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2Priority interrupt; Job recovery, e.g. after jamming or mal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B65H2601/111Clearing uncorrect discharge of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1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41Jam handling in document fee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잼 제거 구조는, 이송경로를 따라 인쇄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와, 내측 가이드와, 내측 가이드와 대향되어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 롤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위치되며이송경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경로형성위치로 회동가능한 제1, 제2가이드와, 제1, 제2가이드에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제1, 제2가이드에 각각 제1, 제2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개방위치 또는 경로형성위치로 전환시키는 작동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Structure to remove jam by opening conveying path around conveying roller}
화상형성장치는, 이송 롤러에 의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예를 들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에 토너(toner)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에 전사되며, 인쇄 매체가 정착부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에 영구적인 화상으로 정착된다.
이송 경로에서 인쇄 매체가 제대로 이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잼(jam)이라 한다. 잼 처리를 위하여는 이송 경로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가이드가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가이드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가 제2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2가이드가 제3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들로서, 도 10은 제1, 제2가이드가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1은 제1, 제2가이드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는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톱니부와 래치부가 맞물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래치부가 톱니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기록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1), 인쇄부(1)의 상부에 위치되어 인쇄부(1)로부터 출력되는 인쇄 매체(P)에 기록 화상을 덮는 클리어 화상을 형성하는 포토 피니셔(2)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피니셔(2)는 인쇄 매체(P)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하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4)와, 클리어 토너가 도포된 인쇄 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는 포토 피니싱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포토 피니셔(2)가 인쇄부(1)를 구비하는 본체(10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인쇄부(1)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기록 화상을 형성한다. 일 예로서, 인쇄부(1)는 노광기(10), 현상기(20), 전사기, 및 정착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현상기(20)는 예를 들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4 개의 현상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는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70)에 각각 수용되고,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70)로부터 4 개의 현상기(20)로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공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20)는 감광 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20)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21)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롤러(22)는 감광 드럼(21)이 균일한 표면 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20)는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 롤러(23)에는 토너를 감광 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공급 롤러(24)에는 현상기(20) 내의 토너를 현상 롤러(23)의 표면으로 공급기 위한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현상기(20)는 현상 롤러(2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21)과 현상 롤러(23)가 서로 접촉된 현상닙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규제 부재는 예를 들어, 현상 롤러(23)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닥터 블레이드일 수 있다.
노광기(1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2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기는 중간 전사 벨트(30)와, 중간 전사 롤러(41)(42)(43)(44)와, 전사 롤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30)는 지지 롤러(31)(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3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20C)(20M)(20Y)(20K)의 감광 드럼(21)과 마주보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41)(42)(43)(44)가 배치된다. 4 개의 중간 전사 롤러(41)(42)(43)(44)에는 감광 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3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 롤러(50)는 중간 전사 벨트(3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 롤러(50)에는 중간 전사 벨트(30)에 중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대전 롤러(22)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1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4 개의 광빔을 현상기(20C)(20M)(20Y)(20K)의 감광 드럼(21)에 주사하여 감광 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각 현상기(20C)(20M)(20Y)(20K)의 현상 롤러(23)는 대응되는 감광 드럼(21)에 각각 C, M, Y, K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된 토너 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30)로 중첩 전사된다.
픽업 롤러(62)에 의하여 급지대(61)로부터 인출된 인쇄 매체(P)는 이송 롤러들(62)(63)에 의하여 이송 경로(60)를 따라 이송된다. 이송 롤러(63)는 인쇄 매체(P)의 선단을 정렬시켜, 중간 전사 벨트(30)에 전사된 토너 화상의 선단이 전사 롤러(50)와 중간 전사 벨트(30)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에 도달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전사닙으로 이송시킨다. 이송 롤러(63)를 정렬 롤러(registration roller)라 한다. '인쇄 매체(P)의 선단을 정렬시킨다'는 것은, 인쇄 매체(P)의 사행(skew)을 교정한다는 의미이다.
전사 롤러(5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30) 위에 중첩 전사된 토너 화상들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80)는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 매체(P)가 정착닙을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P)에 정착된다. 이에 의하여 인쇄부(1)에서 인쇄 매체(P) 상에 기록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부(1)에서 기록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P)는 포토 피니셔(2)로 이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 피니셔(2)는 클리어 토너 도포부(4)와 포토 피니싱부(3)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하여 기록 화상을 덮는다.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 전체에 클리어 토너(CT)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리어 토너 도포부(4)에는 비노광형 전사사진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리어 토너 도포부(4)는 클리어 토너(CT)가 수용되는 수용부(415), 전하 수용 부재(411), 전하 공급 부재(412), 현상 부재(413), 및 전사 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하 공급 부재(412)는 전하 수용 부재(411)를 대전시킨다. 현상 부재(413)는 수용부(415)에 수용된 클리어 토너(CT)를 전하 수용 부재(411)에 부착시킨다. 현상 부재(413)에는 클리어 토너(CT)를 전하 수용 부재(411)로 현상시키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 부재(414)는 인쇄 매체(P)를 사이에 두고 전하 수용 부재(411)와 대향되어 전하 수용 부재(411)에 부착된 클리어 토너(CT)를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킨다. 전사 부재(414)에는 클리어 토너(CT)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클리어 토너(CT)는 클리어 토너 용기(440)로부터 수용부(415)로 공급될 수도 있다.
포토 피니싱부(3)는 가열 롤러(310), 가압 롤러(320), 벨트(330), 및 냉각 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롤러(310)는 인쇄 매체(P)의 화상면과 대향되며, 화상면에 정착된 기록 화상과 클리어 토너 화상에 열을 가한다. 이를 위하여, 가열 롤러(310)는 열원(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된다. 열원으로서는 할로겐 램프, 발열저항코일, 유도가열기, 세라믹 히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가압 롤러(320)는 벨트(330)를 사이에 두고 가열 롤러(310)와 함께 가열 닙을 형성하며, 가열 닙을 통과하는 인쇄 매체(P)를 가압하여 인쇄 매체(P)의 화상면을 벨트(330)에 밀착시킨다.
인쇄 매체(P)는 가열 닙을 통과한 후에 벨트(3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벨트(330)는 가열 롤러(310)와 지지 롤러들에 의하여 순환주행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냉각 장치(350)는 가열 닙을 통과한 인쇄 매체(P)를 냉각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냉각 장치(350)는 벨트(330)의 내표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냉각 장치(350)는 벨트(330)의 내측에 위치되는 덕트와, 덕트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에는 벨트(330)를 향하여 개구된 공기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 롤러들(210)(220)은 인쇄부(1)로부터 출력되는 인쇄 매체(P)를 이송 경로(200)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송 롤러(220)는 인쇄 매체(P)의 선단을 정렬시켜, 전하 수용 부재(411)에 현상된 클리어 토너 화상의 선단이 전하 수용 부재(411)와 전사 부재(414)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에 도달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전사닙으로 이송시킨다. 이송 롤러(220)를 정렬 롤러(registration roller)라 한다.
전사닙에서 클리어 토너 화상은 인쇄 매체(P)의 화상면에 전사된다. 인쇄 매체(P)는 포토 피니싱부(3)로 이송된다. 가압 롤러(32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가 벨트(330)의 외표면에 가압된다. 가열 닙을 통과하면서 가열 롤러(310)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 에너지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화상면에 있는 기록 화상과 클리어 토너가 가열되어 용융된다. 가열 닙을 통과한 인쇄 매체(P)는 냉각 장치(350)에 의하여 급격히 냉각된다. 이에 의하여, 기록 화상을 덮는 클리어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벨트(330)의 외표면은 표면 조도가 매우 낮은 매끈한 면이다. 기록 화상과 클리어 토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닙에서 열 에너지와 압력을 받아서 벨트(330)의 외표면에 압착되어, 화상면의 표면 조도가 낮아진다. 화상면의 표면 조도가 낮아지면 화상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 중에서 난반사광의 비중이 줄어들고 전반사광의 비중이 높아지며, 이에 의하여 인쇄 화상의 광택도(glossiness)가 높아질 수 있다. 인쇄 매체(P)의 급격한 냉각은 광택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벨트(330)로부터 분리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64)에 의하여 본체(10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광택도가 향상된 인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포토 피니셔(2)가 인쇄부(1)의 상부에 위치된다. 인쇄부(1)로부터 출력되어 포토 피니셔(2)로 인입된 인쇄 매체(P)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이송 경로(200)를 통하여 이송된다. 인쇄 매체(P)는 정렬 롤러(220)에 의하여 선단이 정렬되어 클리어 토너 도포부(4)로 이송된다. 정렬 롤러(220) 주면의 이송 경로(200)에서 잼(jam)이 발생된 경우, 잼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송 경로(200)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포토 피니셔(2)의 상부를 개방하고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제거함으로써 이송 경로(20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포토 피니셔(2)가 인쇄부(1)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높이가 높다. 화상형상장치의 위쪽으로부터 클리어 토너 도포부(4)를 제거하여 이송 경로(200)를 개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화상형상장치의 위쪽으로부터 이송 경로(200)에 액세스하여 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부로부터 이송 경로(200)에 액세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측부에 측부 도어(230)가 마련된다. 측부 도어(230)를 열어 측부로부터 이송 경로(200)에 액세스함으로써 용이하게 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송 경로(200)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가이드(231)(232)가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가이드(231)(232)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잼 처리 구조는, 정렬 롤러(220), 내측 가이드(230), 제1, 제2가이드(231)(232), 탄성 부재(240), 작동 레버(250), 및 제1, 제2연결 부재(26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롤러(220)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이송 경로(200)를 따라 인쇄 매체(P)를 이송시킨다. 이송 경로(200)는 내측 가이드(230)와 제1, 제2가이드(231)(23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2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송 경로(200)의 내측벽을 형성한다. 제1, 제2가이드(231)(2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 가이드(230)와 대향되어 이송 경로(200)를 형성한다. 제1, 제2가이드(231)(232)는 이송 경로(200)의 외측벽을 형성한다. 제1가이드(231)는 인쇄 매체(P)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 롤러(220)의 상류측(201)에 위치된다. 제2가이드(232)는 인쇄 매체(P)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 롤러(220)의 하류측(202)에 위치된다.
제1, 제2가이드(231)(232)는 이송 경로(20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3)와 이송 경로(200)를 형성하는 경로형성위치(도 4)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공통의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와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회전축(270)은 정렬 롤러(22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270)은 정렬 롤러(2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제1, 제2가이드(231)(232)에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40)는 회전축(270)에 삽입되는 권선부와, 각각 제1, 제2가이드(231)(232)에 연결된 두 개의 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 부재(240)는 제1, 제2가이드(231)(232) 각각을 개방 위치로 회동되도록 가압하거나 당기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전환시킨다. 작동 레버(250)와 제1, 제2가이드(231)(232)는 제1, 제2연결부재(261)(262)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 제2연결 부재(261)(262)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제1, 제2가이드(231)(232)와 작동 레버(250)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는 유연한 와이어일 수 있다. 하나의 유연한 와이어에 의하여 제1, 제2연결부재(261)(262)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와이어의 일단부가 제1연결부재(261)에 연결되고, 유연한 와이어의 일부가 작동 레버(250)에 감기거나 작동 레버(25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연결부재(262)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위치와,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예를 들어 지지 부재(280)에 지지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전환위치와 복귀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 부재(280)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위치와 복귀위치로 안내하는 제1작동홈(28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작동홈(281)은 회전축(270)에 가까운 일단부(281a)와 회전축(270)으로부터 먼 타단부(281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작동홈(281)은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작동홈(281)의 일단부(281a)와 타단부(281b)는 각각 작동 레버(250)의 복귀 위치와 제1전환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송 경로(200)에서 잼이 발생되면, 측부 도어(230)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1, 제2가이드(231)(232)와 작동 레버(250)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부로부터 작동 레버(250)에 액세스할 수 있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가이드(231)(2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형성위치에 유지된다. 작동 레버(250)는 복귀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즉, 작동 레버(250)는 제1작동홈(281)의 일단부(281a)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부로부터 작동 레버(250)에 액세스하여, 작동 레버(250)를 제1작동홈(281)을 따라 타단부(281b)로 이동시킨다. 작동 레버(250)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제2가이드(231)(232)는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가 제1전환위치에 도달되면,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에 도달되어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과 하류측(202)이 모두 개방된다. 따라서, 이송 경로(200)로부터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제거한 후에 작동 레버(250)를 제1작동홈(281)을 따라 복귀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측부 도어(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작동 레버(250)를 조작하여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포토 피니셔(2)의 도시되지 않은 상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잼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 위치에 로킹시키는 제1로킹홈(281c)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로킹홈(281c)은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에는 복귀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며, 힘의 방향은 회전축(270)을 향하는 방향, 즉 반경 방향이다. 제1로킹홈(281c)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작동 레버(250)는 제1로킹홈(281c)에 걸려서 제1전환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잼 제거 작업이 가능하다. 제1로킹홈(281c)이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제1가이드(2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작동 레버(250)가 제1로킹홈(281c)에 위치되면 제1가이드(231)는 개방 위치보다 경로형성위치 쪽으로 약간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더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보다 더 큰 개방 각도를 가지는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5는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231)가 제2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잼 처리 구조의 일 실시예에서, 제2가이드(232)가 제3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작동 레버(250)는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위치와,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가이드(231)를 개방 위치보다 더 큰 개방 각도를 가지는 제2개방 위치(도 6)로 전환시키는 제2전환위치를 가질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2가이드(232)를 개방 위치보다 더 큰 개방 각도를 가지는 제3개방 위치(도 7)로 전환시키는 제3전환위치를 더 가질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지지 부재(280)에 지지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전환위치와 복귀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 부재(280)에 지지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제1전환위치로부터 제2전환위치, 제3전환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 부재(280)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위치와 복귀위치로 안내하는 제1작동홈(281)이 마련된다. 제1작동홈(281)은 회전축(270)에 가까운 일단부(281a)와 회전축(270)으로부터 먼 타단부(281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작동홈(281)은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작동홈(281)의 일단부(281a)와 타단부(281b)는 각각 작동 레버(250)의 복귀 위치와 제1전환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2전환위치로 안내하는 제2작동홈(282)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작동홈(282)은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위치로부터 제2전환위치로 안내한다. 제2작동홈(282)은 제1작동홈(28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작동홈(282)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제1가이드(2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작동홈(282)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2전환위치에 로킹시키는 제2로킹홈(282b)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로킹홈(282b)은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제2작동홈(282)의 단부(282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에는 제2전환위치로부터 제1전환위치를 거쳐서 복귀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제2로킹홈(282b)은 제2작동홈(282)의 단부(282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작동 레버(250)는 제2로킹홈(282b)에 걸려서 제2전환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3전환위치로 안내하는 제3작동홈(283)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3작동홈(283)은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위치로부터 제3전환위치로 안내한다. 제3작동홈(283)은 제1작동홈(28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작동홈(283)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제2가이드(2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작동홈(283)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가이드(231)를 제2개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잼 제거 작업이 가능하다.
지지부재에는, 작동 레버(250)를 제3전환위치에 로킹시키는 제3로킹홈(283b)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로킹홈(283b)은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제3작동홈(283)의 단부(283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에는 제3전환위치로부터 제1전환위치를 거쳐서 복귀 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제3로킹홈(283b)은 제3작동홈(283)의 단부(283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작동 레버(250)는 제3로킹홈(283b)에 걸려서 제3전환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가이드(232)를 제3개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잼 제거 작업이 가능하다.
이송 경로(200)에서 잼이 발생되면, 측부 도어(230)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1, 제2가이드(231)(232)와 작동 레버(250)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부로부터 작동 레버(250)에 액세스할 수 있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가이드(231)(2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형성위치에 유지된다. 작동 레버(250)는 복귀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즉, 작동 레버(250)는 제1작동홈(281)의 일단부(281a)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부로부터 작동 레버(250)에 액세스하여, 작동 레버(250)를 제1작동홈(281)을 따라 타단부(281b)로 이동시킨다. 작동 레버(250)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제2가이드(231)(232)는 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하여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가 제1전환위치에 도달되면,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에 도달되어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과 하류측(202)이 모두 개방된다. 따라서, 이송 경로(200)로부터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잼이 난 인쇄 매체(P)를 제거한 후에 작동 레버(250)를 제1작동홈(281)을 따라 복귀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로 복귀된다.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잼 제거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제1, 제2가이드(231)(232)를 제2, 제3개방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를 제2작동홈(282)을 따라 단부(282a)에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 레버(250)가 제2전환위치에 도달되고 제1가이드(231)는 개방 위치로부터 더 열린 제2개방 위치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이 넓게 개방되므로,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에서 발생된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1가이드(231)가 제2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 쪽으로 조금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가이드(232)는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작동 레버(250)를 제2로킹홈(282b)에 위치시키면, 작동 레버(250)를 제2전환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에서 잼을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를 제3작동홈(283)을 따라 단부(283a)에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 레버(250)가 제3전환위치에 도달되고 제2가이드(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더 열린 제3개방 위치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송 경로(200)의 하류측(202)이 넓게 개방되므로, 이송 경로(200)의 하류측(202)에서 발생된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2가이드(232)가 제3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231)는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이드(231)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 쪽으로 약간 회전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작동 레버(250)를 제3로킹홈(283b)에 위치시키면, 작동 레버(250)를 제3전환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 경로(200)의 하류측(202)에서 잼을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의 실시예에서는, 제2, 제3작동홈(282)(283)이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연장되어, 작동 레버(250)가 제1전환위치를 거쳐서 제2, 제3전환위치로 이동된다.
도 8은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잼 제거 구조는, 제2, 제3작동홈(285)(286)이 제1작동홈(281)의 일단부(281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다. 따라서, 작동 레버(250)는 제1전환위치를 거치지 않고 복귀위치로부터 제2, 제3전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250)는 제1전환위치를 거치지 않고 제2, 제3전환위치로부터 복귀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로킹홈(281c)은 제1작동홈(281)의 타단부(281b)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제3로킹홈(285b)(286b)은 각각 제2, 제3작동홈(285)(286)의 단부(285a)(286a)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 레버(250)를 제1전환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동시에 개방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 레버(250)를 제2, 제3전환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제2, 제3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9는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개방 위치는 제1가이드(231)가 개방된 제4개방 위치와, 제2가이드(232)가 개방된 제5개방위치를 포함한다. 제4개방 위치와 제5개방 위치는 각각 전술한 제2개방 위치와 제3개방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복귀 위치로부터 제1가이드(231)를 제2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4전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작동 레버(250)는 복귀 위치로부터 제2가이드(232)를 제3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5전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이 일 실시예에서 제1작동홈(281)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작동홈(285)을 제4작동홈(285)으로, 제3작동홈(286)을 제5작동홈(286)으로, 제2로킹홈(285b)을 제4로킹홈(285b)으로, 제3로킹홈(286b)을 제5로킹홈(286b)으로 지칭한다. 지지 부재(280)에는 작동 레버(250)를 복귀 위치로부터 제2전환위치로 안내하는 제4작동홈(285)과, 작동 레버(250)를 복귀 위치로부터 제3전환위치로 안내하는 제5작동홈(286)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4작동홈(285)과 제5작동홈(286)은 회전축(270)에 가까운 공통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작동 레버(250)를 각각 제2전환 위치와 제3전환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4로킹홈(285b)과 제5로킹홈(286b)은 각각 제4, 제5작동홈(285)(286)의 단부(285a)(286a)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 레버(250)를 제2, 제3전환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제4, 제5개방 위치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잼 제거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들로서, 도 10은 제1, 제2가이드(231)(232)가 경로형성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1은 제1, 제2가이드(231)(232)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잼 제거 구조는 작동 레버(25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들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작동 레버(250)는 지지 부재(28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작동 레버(250)는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방향(A1)과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A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제2연결부재(261)(262)는 일단부가 각각 제1, 제2가이드(231)(23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작동 레버(250)에 연결된다. 작동 레버(25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제1, 제2연결부재(261)(26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에 감기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50)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레버(25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와이어는 유연한 와이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 레버(25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제1, 제2가이드(231)(232)를 적절한 개방 각도를 갖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잼 제거 구조는 제1, 제2가이드(231)(232)를 개방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톱니부(251)와 래치부(291)가 맞물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래치부(291)가 톱니부(25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로킹 유닛의 일 실시예는, 작동 레버(250)에 마련되는 톱니부(251)와, 톱니부(251)에 물려 작동 레버(250)의 제1방향(A1)의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A2)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래치부(291)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280)에 톱니부(25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로킹 부재(290)와, 로킹 부재(290)에 래치부(291)가 톱니부(251)에 물리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킹 스프링(2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290)는 지지 부재(28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84)에 지지되어 승강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295)는 예를 들어, 지지 부재(280)와 고정 부재(290)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지지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부(251)는 제2방향(A2) 쪽으로 경사진 경사 톱니이며, 래치부(291)는 톱니부(251)의 경사 방향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스프링(295)는 고정 부재(290)를 톱니부(251) 쪽으로 가압하며, 래치부(291)가 톱니부(251)에 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 레버(25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 톱니부(251)가 제2방향(A2)으로 경사진 형태이므로 래치부(291)는 톱니부(251)에 의하여 로킹 스프링(295)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고정 부재(290)가 위쪽으로 들리면서 작동 레버(250)는 제1방향(A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를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면 제1, 제2연결부재(261)(262)가 작동 레버(250)에 감기면서 제1, 제2가이드(231)(232)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형성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회동된다. 이송 경로(200)의 상류측(201)과 하류측(202)이 개방된다. 작동 레버(250)의 회전을 멈추면, 제1, 제2가이드(231)(232)에는 탄성 부재(240)에 의하여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에 작용된다. 탄성력은 작동 레버(250)를 제2방향(A2)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으로 작용된다. 그러나, 톱니부(251)가 제2방향(A2)으로 경사진 형상이므로, 톱니부(251)와 래치부(291)의 쐐기 작용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는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잼 제거가 끝나면, 고정 부재(290)를 로킹 스프링(295)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들어올려 래치부(291)를 톱니부(251)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러면, 탄성 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 레버(25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고, 제1, 제2가이드(231)(232)는 개방 위치로부터 경로형성위치로 복귀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포토 피니셔(2)의 정렬 롤러(220) 부근에서 발생된 잼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전술한 잼 제거 구조의 실시예들은, 인쇄부(1)의 정렬 롤러(63) 부근에서 발생된 잼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잼 제거 구조의 실시예들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이송 경로 중에 이송 롤러가 설치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00)의 측부에는 작동 레버(25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본체(1000)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하는 도어(1001)가 마련될 수 있다.
포토 피니셔(2)는 본체(1000)에 착탈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부(1)를 구비하는 본체(1000)와, 포토 피니셔(2)를 구비한다. 포토 피니셔(2)는 본체(1000)에 착탈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80)의 출구에 위치되어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셔(2)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경로 선택 부재(1002)는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정착기(80)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광택 처리하지 않고 바로 본체(1000)로부터 배출하는 제1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정착기(80)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셔(2)로 안내하는 제2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선택적인 광택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높은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1위치에 위치시켜, 정착기(80)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광택 처리하지 않고 바로 본체(100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인쇄 매체(P)로서 광택도가 낮은 일반 용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경로 선택 부재(1002)를 제2위치에 위치시켜, 정착기(80)를 통과한 인쇄 매체(P)를 포토 피니셔(2)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도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잼 제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이송경로를 따라 인쇄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내측 가이드;
    상기 내측 가이드와 대향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송 롤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이송경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경로형성위치로 회동가능한 제1, 제2가이드;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각각 제1, 제2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개방위치 또는 경로형성위치로 전환시키는 작동 레버;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상기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잼 제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작동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2가이드와 상기 작동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잼 제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가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위치와,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경로형성위치에 위치시키는 복귀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1작동홈이 마련된 잼 제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제1전환위치에 로킹시키는 제1로킹홈이 마련된 잼 제거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상기 개방위치보다 큰 개방 각도를 갖는 제2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2작동홈;
    상기 제2가이드를 상기 개방위치보다 큰 개방 각도를 갖는 제3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3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3작동홈;
    이 마련된 잼 제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는, 상기 제1가이드가 개방된 제4개방 위치와, 상기 제2가이드가 개방된 제5개방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상기 제4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4작동홈;
    상기 제2가이드를 상기 제5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3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5작동홈;이 마련된 잼 제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경로형성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방향과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에 감기거나 상기 작동 레버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잼 제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에 마련되는 톱니부;
    상기 톱니부에 물려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제1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톱니부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에 상기 래치부가 상기 톱니부에 물리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킹 스프링;를 포함하는 잼 제거 구조.
  9. 인쇄 매체에 기록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
    상기 인쇄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인쇄 매체에 상기 기록 화상을 덮는 클리어 화상을 형성하는 포토 피니셔;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피니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이송 경로;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인쇄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인쇄 매체를 정렬시켜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정렬 롤러;
    내측 가이드;
    상기 내측 가이드와 대향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렬 롤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이송경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경로형성위치로 회동가능한 제1, 제2가이드;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각각 제1, 제2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개방위치 또는 경로형성위치로 전환시키는 작동 레버;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상기 경로형성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가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개방 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전환위치와,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경로형성위치에 위치시키는 복귀 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1작동홈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제1전환위치에 로킹시키는 제1로킹홈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상기 개방위치보다 큰 개방 각도를 갖는 제2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2작동홈;
    상기 제2가이드를 상기 개방위치보다 큰 개방 각도를 갖는 제3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3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3작동홈;
    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는, 상기 제1가이드가 개방된 제4개방 위치와, 상기 제2가이드가 개방된 제5개방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상기 제4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2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4작동홈;
    상기 제2가이드를 상기 제5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3전환위치로 상기 작동 레버를 안내하는 제5작동홈;이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제1, 제2가이드를 상기 경로형성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시키는 제1방향과 그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제2가이드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에 감기거나 상기 작동 레버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에 마련되는 톱니부;
    상기 톱니부에 물려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제1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래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경사 톱니부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로킹 부재;
    상기 로킹 부재에 상기 래치부가 상기 톱니부에 물리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킹 스프링;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78332A 2019-06-28 2019-06-28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KR20210001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32A KR20210001771A (ko) 2019-06-28 2019-06-28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PCT/US2020/016088 WO2020263345A1 (en) 2019-06-28 2020-01-31 Structure to remove jam by opening conveying path around conveying roller
US17/297,410 US20220105735A1 (en) 2019-06-28 2020-01-31 Structure To Remove Jam By Opening Conveying Path Around Conveying 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32A KR20210001771A (ko) 2019-06-28 2019-06-28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71A true KR20210001771A (ko) 2021-01-06

Family

ID=7405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32A KR20210001771A (ko) 2019-06-28 2019-06-28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05735A1 (ko)
KR (1) KR20210001771A (ko)
WO (1) WO20202633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217A (en) * 1992-05-18 1993-04-20 Pitney Bowes Inc. Pivoting cover to separate pair of rollers
US5816720A (en) * 1994-03-15 1998-10-06 Interbold Printer mechanis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JP3967037B2 (ja) * 1998-04-13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自動原稿処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原稿搬送装置の運転操作方法
JP3937772B2 (ja) * 2001-08-29 2007-06-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用紙穿孔装置、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78419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잼 제거 구조 및 프린터 모듈
US11091335B2 (en) * 2017-10-19 2021-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ridge module gu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05735A1 (en) 2022-04-07
WO2020263345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202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2013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ir flow path therein
JP5760530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83692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837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eating member control in accordance with type of recording material
JP201119160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10724B2 (en) Image heating unit, recording medium 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004220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09258203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57230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url forming means
EP250608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fixing processing by induction heating system
JP6025405B2 (ja) ベルト交換ユニットおよびベルト交換方法
KR20210001771A (ko) 롤러 전후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잼 제거 구조
JP2000075710A (ja) 定着装置
JP7304003B2 (ja) 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320809B2 (en) Cleaning apparatus using web sheet
JPH0450883A (ja) 電子写真装置の定着器
JP200823324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2014228631A (ja) 画像形成装置
JP7324421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52550B2 (ja) 画像形成装置
JP7091916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8051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310192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部構造
JP519716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