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56A - 금형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56A
KR20210001756A KR1020190078305A KR20190078305A KR20210001756A KR 20210001756 A KR20210001756 A KR 20210001756A KR 1020190078305 A KR1020190078305 A KR 1020190078305A KR 20190078305 A KR20190078305 A KR 20190078305A KR 20210001756 A KR20210001756 A KR 2021000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unit
mold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521B1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서연오토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오토비전 filed Critical (주)서연오토비전
Priority to KR102019007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트 유닛;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적재 유닛; 및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적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금형 이송 장치 {Mold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으로 금형을 이송할 수 있는 금형 이송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금형(metal mod)의 경우,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다. 따라서, 인력을 이용하여 금형을 이송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금형을 2층 또는 3층 높이의 적재대에 적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지게차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지게차를 이용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이송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 수 있고, 지게차를 운전할 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재 유닛의 1층, 2층 및 3층 구조체들 상에 금형을 이송할 수 있는 금형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트 유닛;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적재 유닛; 및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적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금형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적재 유닛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적재 유닛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상의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축, 제2 컨베이어 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축들에 연결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상기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적재 유닛들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1층 구조체, 2층 구조체 및 3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층, 2층 및 3층 구조체들 각각은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는 리프트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구조체는 수직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실린더는 고정된 제1 부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실린더는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피니언 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는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수평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1 금형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공급부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 유닛에 연결되는 제2 금형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 공급부는 아이들(IDLE)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금형 이송 장치는 리프트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적재 유닛의 1층, 2층 및 3층 구조체 상에 금형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리프트 유닛 및 제1 금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컨베이어의 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리프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적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적재 유닛 및 제2 금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형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이송 장치는 리프트 유닛(100), 제1 적재 유닛(200), 제2 적재 유닛(300), 제1 금형 공급부(400) 및 제2 금형 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에 제1 적재 유닛(200), 제2 적재 유닛(300) 및 제1 금형 공급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과 제1 적재 유닛(2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D1)은 지표면에 평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적재 유닛(300), 리프트 유닛(100) 및 제1 금형 공급부(400)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향(D2)은 지표면에 평행하면서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금형 공급부(500)는 제2 적재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금형 공급부(500)와 제2 적재 유닛(3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은 금형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에 공급된 금형은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어 이송되어 제1 적재 유닛(200) 및 제2 적재 유닛(3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리프트 유닛 및 제1 금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컨베이어의 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트 유닛(10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리프트 구조체들(130), 레일들(140), 제1 컨베이어(150) 및 받침부들(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 상에 제2 프레임(120) 및 받침부들(160)이 배치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1 프레임(110) 내에 제2 프레임(120) 및 받침부들(16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레일들(140)을 따라 상하로(즉, 제3 방향(D3) 및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D3)은 지표면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받침부들(16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 및 받침부들(16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2 프레임(120) 내에 제1 컨베이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50)는 제2 프레임(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50)는 체인 지지대들(151), 제1 체인들(CH1), 제2 체인, 제1 체인 기어들(153), 제2 체인 기어(154), 컨베이어 모터, 제1 컨베이어 축(156) 및 제2 컨베이어 축(1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50)는 제2 프레임(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축들(156, 157)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컨베이어 축들(156, 157)은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축(156)에 2개의 제1 체인 기어들(153) 및 제2 체인 기어(154)가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제1 체인 기어들(153) 사이에 제2 체인 기어(15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축(157)에 2개의 제1 체인 기어들(153)이 결합될 수 있다.
체인 지지대들(151)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이 제1 컨베이어 축(156)과 결합된 제1 체인 기어(153) 및 제2 컨베이어 축(157)과 결합된 제1 체인 기어(153)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50)는 두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 및 다른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 상에 제1 체인(CH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체인(CH1)은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151)을 따라 제2 방향(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체인(CH1)은 제1 부분(CH11) 및 제2 부분(CH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인(CH1)의 제1 부분(CH11)은 체인 지지대들(151)의 상면들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부분(CH12)은 체인 지지대들(1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을 제외한 도면들에서는 체인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체인은 제1 컨베이어 축(156)과 결합되는 제1 체인 기어(153) 및 제2 컨베이어 축(157)과 결합되는 제1 체인 기어(153)에 걸릴 수 있다. 제1 체인(CH1)은 제1 체인 기어들(15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2개의 제1 체인들(CH1)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컨베이어 모터는 제1 컨베이어 축(156) 및 제2 컨베이어 축(1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컨베이어 모터는 2개의 제1 체인들(C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인은 컨베이어 모터와 제2 체인 기어(154)에 걸릴 수 있다. 제2 체인은 컨베이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체인의 회전에 따라, 제2 체인 기어(154)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체인 기어(154)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컨베이어 축(156)이 회전할 수 있고, 제1 체인들(CH1)이 회전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컨베이어(150)를 기준으로 설명 하였으므로, 제1 컨베이어(150)가 회전하면, 위에서 설명한 방향들이 달라질 수 있다.
리프트 구조체들(130) 각각은 수직 실린더(131) 및 레일 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는 고정된 제1 부분 및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의 제2 부분이 제3 방향(D3) 또는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직 실린더(131)의 제3 방향(D3)으로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 위에 레일 연결부(132)가 제공될 수 있다. 레일 연결부(132)는 수직 실린더(131)의 제2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레일 연결부(132)는 레일(140)과 연결될 수 있다. 레일 연결부(132)는 레일(140)을 따라 상하로(즉, 제3 방향(D3) 및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의 제2 부분에 제1 프레임(110)이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실린더(131)의 제2 부분의 이동에 따라, 제1 프레임(1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 및 받침부들(16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들(140)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레일들(140)이 제공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4개의 레일들(140) 사이에 제1 프레임(11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 상에 3개의 받침부들(160)이 제공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3개의 받침부들(160)은 제2 프레임(12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들(160) 중 하나는 제2 프레임(120)과 제2 적재 유닛(3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들(160) 중 다른 하나는 제2 프레임(120)과 제1 금형 공급부(4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받침부(160)는 2개의 받침 롤러들(161) 및 받침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62)는 제1 프레임(110) 상에 제공되어 2개의 받침 롤러들(16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금형 공급부(400)는 제2 컨베이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410)는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와 유사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50)와 유사하게, 제2 컨베이어(410)는 체인 지지대들, 제1 체인들, 제2 체인, 제1 체인 기어들, 제2 체인 기어, 컨베이어 모터, 제1 컨베이어 축 및 제2 컨베이어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 공급부(400)의 제2 컨베이어(410) 상에 제공된 금형이 제2 컨베이어(410) 및 제1 컨베이어(150)에 의해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 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리프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트 유닛(100)은 피니언 모듈(170), 랙(180) 및 수평 실린더(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모듈(170), 랙(180) 및 수평 실린더(190)는 제1 컨베이어(15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는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는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의 제1 부분이 제1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부분과 랙(180)이 연결될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부분은 제1 프레임(110)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부분은 제2 방향(D2) 및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부분이 이동함에 따라,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수평 실린더(190)의 제2 부분이 이동함에 따라, 랙(180)이 제2 방향(D2) 및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랙(180)은 제1 나사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들은 피니언 모듈(170)과 마주볼 수 있다.
피니언 모듈(170)은 피니언 기어(171) 및 받침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72) 상에 피니언 기어(171)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판(172)은 제2 프레임(120)과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71)는 랙(180)의 제1 나사산들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랙(180)이 제2 방향(D2) 및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니언 기어(171)가 회전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피니언 기어(171)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71)의 회전에 따라, 받침판(172)이 회전할 수 있고, 제2 프레임(12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적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적재 유닛(200)은 1층 구조체(210), 2층 구조체(220) 및 3층 구조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1층 구조체(210), 2층 구조체(220) 및 3층 구조체(230)는 제3 방향(D3)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1층 구조체(210) 위에 2층 구조체(220)가 배치될 수 있고, 2층 구조체(220) 위에 3층 구조체(230)가 배치될 수 있다.
1층 구조체(210)는 제3 컨베이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211)는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와 유사할 수 있다.
2층 구조체(220)는 제4 컨베이어(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컨베이어(221)는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와 유사할 수 있다.
3층 구조체(230)는 제5 컨베이어(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컨베이어(231)는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와 유사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적재 유닛 및 제2 금형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적재 유닛(300)은 제1 적재 유닛(2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적재 유닛(300)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1층, 2층 및 3층 구조체들(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적재 유닛(300)에 연결된 제2 금형 공급부(500)는 제1 이송 롤러들(510) 및 제2 이송 롤러들(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롤러들(510)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할 수 있다. 2열의 제1 이송 롤러들(510)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열의 제1 이송 롤러들(510)은 제1 방향(D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이송 롤러들(510)은 아이들(IDLE) 롤러일 수 있다. 제1 이송 롤러들(510)은 제1 방향(D1)으로 회전할 수 있다. 2열의 제2 이송 롤러들(520)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열의 제2 이송 롤러들(520)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이송 롤러들(520)은 아이들(IDLE)롤러일 수 있다. 제2 이송 롤러들(520)은 제2 방향(D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송 롤러들(510, 520)의 높이는 제2 적재 유닛(300)의 1층 구조체(310)의 높이와 일치할 수 있다. 금형이 제2 금형 공급부(500)의 제1 및 제2 이송 롤러들(510, 520) 상에 제공되면, 인력으로 금형을 밀어 금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송 롤러들(510, 520)과 금형은 선접촉하므로, 제1 및 제2 이송 롤러들(510, 520) 상에서는 금형이 인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 2, 3, 4, 5 및 6을 참조하여 금형 이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1 금형 공급부(400)에 의해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 상으로 금형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금형 공급부(400)의 제2 컨베이어(410) 및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가 동작하여, 제1 금형 공급부(400)에서 리프트 유닛(100)으로 금형이 공급될 수 있다. 제2 금형 공급부(500)에 의해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 상으로 금형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제2 금형 공급부(500)의 제1 및 제2 이송 롤러들(510, 520), 제2 적재 유닛(300)의 1층 구조체(310)의 컨베이어 및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가 동작하여, 제2 금형 공급부(500)에서 리프트 유닛(100)으로 금형이 공급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으로 공급된 금형은, 제1 및 제2 적재 유닛들(200, 300)의 1층 구조체들(210, 310) 상에 제공될 수도 있고, 2층 구조체들(220, 320) 상에 제공될 수도 있고, 3층 구조체들(230, 330) 상에 제공될 수 도 있다.
제1 및 제2 적재 유닛들(200, 300)의 2층 구조체들(220, 320) 및 3층 구조체들(230, 330) 상에 금형을 공급하기 위하여, 리프트 유닛(100)의 제1 프레임(110)이 상승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리프트 구조체(13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리프트 구조체(130)의 수직 실린더(131)의 제2 부분이 상승하여, 제1 프레임(110)이 상승할 수 있다. 2층 구조체들(220, 320) 및 3층 구조체들(230, 330)과 제1 컨베이어(150)의 높이를 일치시켜, 2층 구조체들(220, 320) 및 3층 구조체들(230, 330)로 금형을 공급할 수 있다.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는 피니언 모듈(170), 랙(180) 및 수평 실린더(19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적재 유닛들(200)에 금형을 공급하기 위하여,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가 제1 적재 유닛들(200)의 컨베이어들과 평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2 적재 유닛들(300)에 금형을 공급하기 위하여, 리프트 유닛(100)의 제1 컨베이어(150)가 제2 적재 유닛들(300)의 컨베이어들과 평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리프트 유닛
200: 제1 적재 유닛
300: 제2 적재 유닛

Claims (15)

  1.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트 유닛;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적재 유닛; 및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적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금형 이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 유닛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적재 유닛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트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은 서로 교차하는 금형 이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상의 제2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회전 가능한 금형 이송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 축, 제2 컨베이어 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축들에 연결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인은 상기 한 쌍의 체인 지지대들 상에 제공되는 금형 이송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적재 유닛들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1층 구조체, 2층 구조체 및 3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1층, 2층 및 3층 구조체들 각각은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는 리프트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구조체는 수직 실린더를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는 고정된 제1 부분 및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실린더는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금형 이송 장치.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는 피니언 모듈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는 랙을 더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수평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에 연결되는 제1 금형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공급부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 유닛에 연결되는 제2 금형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 공급부는 아이들(IDLE) 롤러들을 포함하는 금형 이송 장치.
KR1020190078305A 2019-06-28 2019-06-28 금형 이송 장치 KR10233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05A KR102331521B1 (ko) 2019-06-28 2019-06-28 금형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05A KR102331521B1 (ko) 2019-06-28 2019-06-28 금형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56A true KR20210001756A (ko) 2021-01-06
KR102331521B1 KR102331521B1 (ko) 2021-11-29

Family

ID=7412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05A KR102331521B1 (ko) 2019-06-28 2019-06-28 금형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5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3Y1 (ko) * 1995-01-26 1998-10-15 정수철 입체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승강구조
JP2004035223A (ja) * 2002-07-05 2004-02-05 Okamura Corp 荷の昇降移載装置
KR20090127090A (ko) * 2008-06-04 2009-12-0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KR20110035040A (ko) * 2009-09-29 2011-04-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KR20110128982A (ko) * 2010-05-25 2011-12-01 은병희 금형운반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3Y1 (ko) * 1995-01-26 1998-10-15 정수철 입체형 주차장치의 팔레트 승강구조
JP2004035223A (ja) * 2002-07-05 2004-02-05 Okamura Corp 荷の昇降移載装置
KR20090127090A (ko) * 2008-06-04 2009-12-0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KR20110035040A (ko) * 2009-09-29 2011-04-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KR20110128982A (ko) * 2010-05-25 2011-12-01 은병희 금형운반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521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1060B (zh) 貨櫃昇降搬運裝置
KR20020070780A (ko) 판형상체 반송장치
CN106115569A (zh) 三维移载装置
KR20160051124A (ko) 고무장갑 제조용 침지장치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06379680A (zh) 一种玻镁板材立体仓储及快速交换装置
CN211812921U (zh) 一种固定式液压导轨升降货梯
CN113071883A (zh) 一种电气自动化定向进料装置
KR200462965Y1 (ko) 가구용 패널 전용 투입기
KR20210001756A (ko) 금형 이송 장치
CN207242977U (zh) 码垛托盘分送机构
CN106628814A (zh) 重载升降输送装置
KR102253145B1 (ko) 금형 이송 장치
KR102331520B1 (ko) 금형 이송 장치
WO2017221580A1 (ja) 電機設備盤の起立設備および電機設備盤の起立方法
JP2012250809A (ja) 移載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
JP5070243B2 (ja) 板ガラス用ゲートコンベア
US9415933B2 (en) Article storage device and article transfer method
JP4951013B2 (ja) 大型機械の生産移送設備
JP7040640B2 (ja) 姿勢転換装置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6684124B2 (ja) 物品収納設備
JP5908720B2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CN215973393U (zh) 一种液晶面板卡匣提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