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19A -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19A
KR20210001019A KR1020190076417A KR20190076417A KR20210001019A KR 20210001019 A KR20210001019 A KR 20210001019A KR 1020190076417 A KR1020190076417 A KR 1020190076417A KR 20190076417 A KR20190076417 A KR 20190076417A KR 20210001019 A KR20210001019 A KR 2021000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vehicle
pair
space fram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19A/ko
Publication of KR2021000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한 쌍의 마운팅구조; 및 상기 한 쌍의 마운팅구조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리어 스트럿;을 포함한다. 각 마운팅구조는 각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각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각 마운팅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REAR STRUCTURE OF VEHICLE SPACE FRAM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프레임은 섀시(chassis) 구성부품이나 몸체를 설치할 수 있는 골격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추진력, 브레이크 작용, 조향시의 원심력, 노면으로부터의 충격력, 차체의 중량 등에 의한 수직하중, 각종 반력 등에 의한 변형이나 비틀림, 인장, 압축 및 진동에 의한 국부적 또는 전체적인 파손으로부터 충분히 지탱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자동차가 충돌하게 되는 경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최근들어 차량의 경량 차체 개발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의 알루미늄 부재가 차체에 적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부재는 자동차, 철도, 선박 등에 이용되는 강철(steel)의 주요 대체재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 엄청난 밧데리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구조의 경량화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알루미늄의 적용은 다양한 자동차 업체들에서 개발되어 왔으나 알루미늄 재질은 강철 대비 중량 절감 효과는 있으나 강철에 비해 강성이 낮으므로 알루미늄 재질의 적용 시에는 충돌 성능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스페이스 프레임의 경우에는 다수의 부재를 서로 용접하여 골격을 형성한 것으로 가볍고 강성이 큰 장점이 있고, 스페이스 프레임에는 알루미늄 부재 등과 같이 가벼운 재질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스페이스 프레임의 전방구조에는 한 쌍의 프론트 스트럿(front strut assembly)가 장착되고,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에는 한 쌍의 리어 스트럿(rear strut assembly)가 장착된다. 프론트 스트럿 및 리어 스트럿은 쇽업소버, 코일 스프링 등을 가진 맥퍼슨 스트럿(McPherson strut)일 수 있다.
서스펜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최근의 리어 스트럿은 상대적으로 긴 스트로크를 가진 쇽업소버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는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장착되는 마운팅구조를 구비하고, 마운팅구조는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다. 예컨대, 마운팅구조가 리어 사이드멤버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리어 스트럿은 긴 스트로크를 가진 쇽업소버로 인해 마운팅구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은 후방구조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함에 따라 스페이스 프레임의 전체 강성 및 내구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어 스트럿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차체의 전체 강성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한 쌍의 마운팅구조; 및
상기 한 쌍의 마운팅구조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리어 스트럿;을 포함하고,
각 마운팅구조는 각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각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각 마운팅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각 마운팅구조는,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전방측 포스트;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측 포스트 보다 차량의 후방에 근접하는 후방측 포스트; 및
상기 전방측 포스트의 상단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마운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가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위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이 상기 마운팅부재의 전방단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마운팅부재의 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 포스트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 사이에 장착된 에이프런을 포함하고, 상기 에이프런은 상기 전방측 포스트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이프런은 상기 리어 스트럿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그 하단에 형성된 하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하측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측 장착부는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을 가지고, 각 하측 장착좌면은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은 복수의 연결리브를 통해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장착부는 복수의 하측 리브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하측 리브는 적어도 일부들이 서로 간에 직교하며, 상기 복수의 하측 리브는 상기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 및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그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슬롯을 포함하고, 각 수용슬롯은 각 체결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며, 각 수용슬롯은 각 체결공의 직경 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면하는 전방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이 상기 전방측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측 장착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측 장착벽과, 상기 전방측 장착벽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과, 상기 전방측 장착벽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하측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후방측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 장착부는 차량의 후방을 향해 면하는 후방측 장착벽과, 상기 후방측 장착벽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사이에 연장되는 제1크로스멤버;
상기 한 쌍의 마운팅부재 사이에 연장되는 제2크로스멤버;
한 쌍의 마운팅부재 및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간구조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보강재; 및
한 쌍의 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1크로스멤버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장착되는 대칭되게 한 쌍의 제2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크로스멤버의 각 단부가 상기 실내측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장착부는 상기 마운팅부재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연장된 실내측 장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측벽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실외측벽 및 상기 실내측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전방측 장착부 및 상기 후방측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보강리브 및 상기 복수의 제2보강리브는 서로 교차하고, 각 제1보강리브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제2보강리브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실내측벽에 연결된 제1장착보스 및 제2장착보스를 포함하고, 각 제1보강재의 일단이 상기 제1장착보스에 결합되며, 각 제2보강재의 일단이 상기 제2장착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스트럿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차체의 전체 강성 및 내구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스트럿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하중 분산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어 스트럿에 의한 횡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에서 리어 스트럿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를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구조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구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구조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구조를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의 마운팅부재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들 사이의 공간은 차량의 실내측 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들 사이의 공간은 엔진 등이 장착되는 엔진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외측에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타이어 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제1크로스멤버(13)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를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제1크로스멤버(13)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1크로스멤버(13)의 각 단부는 각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중간부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범퍼(14)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리어 범퍼(14)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어 범퍼(14)의 각 단부는 브라켓(14a)을 통해 각 리어 사이드멤버(11)의 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마운팅구조(20)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리어 스트럿(19)이 후방구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스트럿(19)은 쇽업소버, 코일 스프링 등을 포함한 맥퍼슨 스트럿(McPherson strut)일 수 있다. 각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은 각 마운팅구조(20)에 연결될 수 있고, 각 리어 스트럿(19)의 하단은 스티어링 너클(5)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마운팅구조(20)는 해당 리어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스터럿(19)의 쇽업소버가 상대적으로 긴 스트로크를 가지더라도, 각 마운팅구조(20)가 리어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이 리어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측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크로스멤버(15)가 한 쌍의 마운팅구조(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는 각 마운팅구조(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크로스멤버(15)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2크로스멤버(15)는 한 쌍의 마운팅구조(20)를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위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는 인접한 리어 사이드멤버(1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가 각 마운팅구조(20)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의 후방단이 각 마운팅구조(20)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의 전방단이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앙구조(미도시)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쿼터 어퍼 필러멤버(18)가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로부터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쿼터 어퍼 필러멤버(18)의 후방단은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쿼터 어퍼 필러멤버(18)의 전방단은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앙구조(미도시)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아래에 배치된 로어 프레임(1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로어 프레임(100)은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에 복수의 연결부재(103a, 103b, 103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100)은 차량의 엔진, 리어 스트럿(19) 등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로어 프레임(100)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길이방향 부재(101) 및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횡방향 부재(102)를 포함한 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길이방향 부재(10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횡방향 부재(102)는 한 쌍의 길이방향 부재(101)를 연결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아래에 배치된 로어 프레임(100)에 의해 그 강성 내지 강도 등이 대폭 보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마운팅구조(2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전방측 포스트(21)와, 차량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는 후방측 포스트(22)와, 전방측 포스트(21)의 상단 및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마운팅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포스트(21)는 리어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특히 전방측 포스트(21)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포스트(21)는 후방측 포스트(22) 보다 차량의 전방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방측 포스트(21)는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포스트(21)의 상단은 각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에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후방측 포스트(22)는 리어 사이드멤버(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특히 후방측 포스트(22)는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방측 포스트(21) 보다 차량의 후방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방측 포스트(22)는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은 마운팅부재(25)의 후방단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부재(25)는 전방측 포스트(21)의 상단 및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전방측 포스트(21)의 상단 및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방측 포스트(21)가 마운팅부재(25)의 전방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후방측 포스트(22)가 마운팅부재(25)의 후방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마운팅구조(20)는 역"U"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은 각 마운팅부재(25)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은 어퍼 마운트(19a)를 가질 수 있고, 어퍼 마운트(19a)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가질 수 있고, 어퍼 마운트(19a)의 체결볼트가 마운팅부재(25)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각 리어 스트럿(19)의 하단은 브라켓 등을 통해 스티어링 너클(5)에 장착됨으로써 각 리어 스트럿(19)의 하단은 조향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은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에 연결될 수 있고, 각 리어 스트럿(19)의 하단은 조향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그 하단에 형성된 하측 장착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리어 스트럿(19)의 어퍼 마운트(19a)가 하측 장착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측 장착부(30)는 차량의 실외측을 향해 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장착부(30)는 어퍼 마운트(19a)와 접촉하는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31)을 가질 수 있고, 각 하측 장착좌면(31)은 어퍼 마운트(19a)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체결공(32)은 마운팅부재(25)의 하면으로부터 마운팅부재(25)의 상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어퍼 마운트(19a)의 체결볼트가 각 체결공(32)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31) 및 복수의 체결공(32)은 복수의 연결리브(33)를 통해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각 연결리브(33)는 커브지게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연결리브(33)가 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31) 및 복수의 체결공(32)은 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 스트럿(19)의 어퍼 마운트(19a)의 장착강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측 장착부(30)는 복수의 하측 리브(34a, 34b)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하측 리브(34a, 34b)는 적어도 일부들이 서로 간에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하측 리브(34a, 34b)가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31) 및 복수의 연결리브(33)에 연결됨으로써 마운팅부재(25)의 하측 장착부(30)에 대한 자체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마운팅부재(25)에 결합되는 복수의 멤버(후방측 포스트(22),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 제2크로스멤버(15) 등)들 사이의 연결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그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슬롯(35)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수용슬롯(35)은 각 체결공(32)의 상단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수용슬롯(35)은 각 체결공(32)의 직경 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각 수용슬롯(35)은 타원형 또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있다. 어퍼 마운트(19a)의 체결볼트가 각 체결공(32)을 통과한 후에 체결너트가 체결볼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너트가 각 수용슬롯(35) 내에서 수용되고 체결너트의 위치가 각 수용슬롯(35) 내에서 조절된 이후에 각 체결볼트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팅부재(25)가 주조공법에 의해 제조될 때, 마운팅부재(25)의 금형빼기 방향과 리어 스트럿(19)의 어퍼 마운트(19a)가 장착되는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체결너트가 마운팅부재(25)의 수용슬롯(35) 내에서 위치조절될 수 있으므로 리어 스트럿(19)의 장착 및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면하는 전방측 장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장착부(4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면하는 전방측 장착벽(41)과, 전방측 장착벽(4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42, 43)과, 전방측 장착벽(41)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하측 서포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측 장착벽(41) 및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42, 43)은 서로 직교할 수 있으며, 전방측 장착벽(41) 및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42, 43)은 차량의 높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하측 서포트(44)는 차량의 길이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의 후방단이 전방측 장착부(40)의 전방측 장착벽(41),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42, 43), 하측 서포트(44)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차량의 후방을 향해 면하는 후방측 장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측 장착부(50)는 차량의 후방을 향해 면하는 후방측 장착벽(51)과, 후방측 장착벽(5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측 장착벽(51) 및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52, 53)은 서로 직교할 수 있으며, 후방측 장착벽(51) 및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52, 53)은 차량의 높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이 후방측 장착부(50)의 후방측 장착벽(51),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52, 53)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측 포스트(21)의 상단이 마운팅부재(25)의 전방측 장착부(40)에 결합되고, 후방측 포스트(22)의 상단이 마운팅부재(25)의 후방측 장착부(50)에 결합되며, 전방측 포스트(21) 및 후방측 포스트(22)가 마운팅부재(25)의 전방단 및 후방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마운팅구조(20)는 역 "U"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운팅부재(25)로 전달되는 하중이 전방측 포스트(21) 및 후방측 포스트(22)로 균일하게 분배됨으로써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장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장착부(60)는 마운팅부재(25)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실내측 장착벽(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크로스멤버(15)의 각 단부가 실내측 장착벽(6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측벽(65)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측벽(66)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25)은 실내측벽(65), 실외측벽(66), 전방측 장착벽(41) 등에 의해 한정된 상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은 어느 일측으로 물이 흘러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이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에 고임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내측벽(65) 및 실외측벽(66)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내측벽(65)의 높이가 실외측벽(66)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내측벽(65)을 통해 물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에서 물고임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전방측 장착벽(41) 및 후방측 장착벽(5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후방측 장착벽(51)의 높이가 전방측 장착벽(41)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물이 후방측 장착벽(51)을 통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에서 물고임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마운팅부재(25)의 상면에는 실외측벽(66)과 실내측 장착부(6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보강리브(71)와, 전방측 장착부(40)와 후방측 장착부(5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보강리브(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보강리브(71) 및 복수의 제2보강리브(72)는 일정각도로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보강리브(71) 및 복수의 제2보강리브(7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운팅부재(25)의 자체 강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 후방측 포스트(22), 제1크로스멤버(13) 등과 같은 멤버들 사이의 연결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제1보강리브(71)는 실내측벽(65) 및 실외측벽(66) 사이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제1보강리브(71)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제1보강리브(71)는 실외측벽(66) 및 실내측 장착벽(61) 사이에 연장될 수 있고, 각 제1보강리브(71)의 상면(71a)은 경사질 수 있다. 특히, 각 제1보강리브(71)의 상면(71a)은 실외측벽(66)으로부터 실내측 장착벽(61)을 향해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보강리브(71)의 상면(71a)이 경사짐에 따라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에서 물고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각 제2보강리브(72)는 전방측 장착벽(41) 및 후방측 장착벽(51) 사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보강리브(72)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각 제2보강리브(72)는 전방측 장착벽(41)에 연결된 전방부(73) 및 후방측 장착벽(51)에 연결된 후방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부(74)는 전방부(73)에 대해 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면 상에서 전방부(73) 및 후방부(74)는 제1각도(a1)로 벤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수직면 상에서 전방부(73) 및 후방부(74)는 제2각도(a2)로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부(73) 및 후방부(74)가 수평면 및 수직면 상에서 제1각도(a1) 및 제2각도(a2)로 벤딩됨으로써 마운팅부재(25)가 주조공정에 의해 제조될 때 마운팅부재(25)의 금형빼기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전방부(73)의 상면(73a) 및 후방부(74)의 상면(74a) 각각은 전방측 장착벽(41)으로부터 후방측 장착벽(51)을 향해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2보강리브(72)의 전방부(73)의 상면(73a) 및 후방부(74)의 상면(74a)이 경사짐에 따라 마운팅부재(25)의 상부공간에서 물고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는 마운팅구조(20)의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보강재(81) 및 한 쌍의 제2보강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보강재(81)는 각 마운팅구조(20) 및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간구조(미도시)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각 제1보강재(81)의 일단은 각 마운팅구조(20)의 마운팅부재(25)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제1보강재(81)의 타단은 브라켓(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83)은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간구조(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1보강재(81)는 후방구조(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82)는 각 마운팅구조(20) 및 제1크로스멤버(13)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82)는 각 마운팅구조(20)의 마운팅부재(25) 및 제1크로스멤버(13)의 중간부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각 제2보강재(82)의 일단은 각 마운팅구조(20)의 마운팅부재(25)에 결합될 수 있고, 각 제2보강재(82)의 타단은 제1크로스멤버(13)의 중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2보강재(82)는 후방구조(10) 상에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는 실내측벽(65)에 연결된 제1장착보스(75) 및 제2장착보스(76)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제1보강재(81)의 일단이 제1장착보스(75)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제2보강재(82)의 일단이 제2장착보스(76)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장착보스(75)는 전방측 장착부(4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1장착보스(75)는 전방측 장착부(40)의 전방측 스토퍼측벽(42)과 인접하도록 실내측벽(6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장착보스(75)는 체결구(볼트, 나사 등)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4를 참조하면, 각 제1보강재(81)의 일단은 마운팅부재(25)의 제1장착보스(75)에 체결구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장착보스(76)는 후방측 장착부(5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장착보스(76)는 후방측 장착부(50)의 후방측 스토퍼측벽(52)과 인접하도록 실내측벽(6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장착보스(76)는 체결구(볼트, 나사 등)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4를 참조하면, 각 제2보강재(82)의 일단이 마운팅부재(25)의 제2장착보스(76)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장착보스(75)의 축선 및 제2장착보스(76)의 축선은 서로 간에 일정각도로 교차하거나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보강재(81) 및 제2보강재(82)의 장착, 조립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장착보스(75)의 축선은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장착보스(76)의 축선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마운팅구조(20)는 전방측 포스트(21) 및 후방측 포스트(22) 사이에 배치된 에이프런(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이프런(23)은 전방측 포스트(21) 및 후방측 포스트(22)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에이프런(23)은 차량의 실내측 공간(즉, 엔진룸)과 차량의 타이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에이프런(23)은 CFRP(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SMC(강화 열경화성 플라스틱, sheet molding compound) 등과 같이 강성이 높고 경량화된 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에이프런(23)은 리어 사이드멤버(11), 전방측 포스트(21), 후방측 포스트(22), 마운팅부재(25)에 대해 접착제, 리벳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이프런(23)이 차량의 실내측 공간(엔진룸) 및 차량의 타이어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측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하고, 마운팅부재(25) 및 리어 사이드멤버(11) 사이의 연결성 및 강성 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에이프런(23)은 리어 스트럿(19)의 상부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3a)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리어 스트럿(19)이 에이프런(23)과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에이프런(23)의 상부 일부가 에이프런(23)의 실외측에서 오목하고 에이프런(23)의 실내측에서 볼록하도록 곡률(curved)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용홈(23a)은 에이프런(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마운팅부재(25)은 실내측 장착부(60)의 하부에 배치된 에이프런 장착좌면(77)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프런(23)의 상단(23b)은 수용홈(23a)의 곡률에 대응하여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고, 에이프런(23)의 상단(23b)이 에이프런 장착좌면(77)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에이프런 장착좌면(77)은 에이프런(23)의 상단(23b)에 대응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10)는 리어 사이드멤버(11)의 일부 외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보강커버(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구조(20)는 보강커버(9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강커버(91)는 전방측 포스트(21)의 하단이 끼워지는 전방측 서포트(91a) 및 후방측 포스트(22)의 하단이 끼워지는 후방측 서포트(91b)를 가질 수 있다. 전방측 서포트(91a)는 전방측 포스트(21)의 하단 둘레 일부를 둘러싸도록 보강커버(9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스커트 구조일 수 있고, 후방측 서포트(91b)는 후방측 포스트(21)의 하단 둘레 일부를 둘러싸도록 보강커버(9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스커트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전방측 서포트(91a)의 하단이 보강커버(91)의 전방측 서포트(91a)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고, 후방측 서포트(91b)의 하단이 보강커버(91)의 후방측 서포트(91b)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며, 에이프런(23)의 하단이 보강커버(91)의 상면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어 사이드멤버(11)는 보강커버(91)에 의해 그 자체 강성이 보강될 뿐만 아니라 마운팅구조(20)에 대한 지지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리어 사이드멤버(11), 제1크로스멤버(13), 제2크로스멤버(15),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 전방측 포스트(21), 및 후방측 포스트(22) 등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압출제품일 수 있다. 마운팅부재(2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이캐스팅 제품일 수 있다. 또한, 보강커버(91)는 스틸, 알루미늄 소재가 압출, 프레스, 판금 가공 등을 통해 제조된 제품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스트럿(19)의 상단이 마운팅구조(20)의 마운팅부재(25)에 결합되고,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가 마운팅부재(25)의 전방측 장착부(40)에 결합되며, 전방측 포스트(21)가 어퍼 이러 사이드멤버(17)에 결합되고, 후방측 포스트(21)가 마운팅부재(25)의 후방측 장착부(50)에 결합되며, 제2크로스멤버(15)가 마운팅부재(25)의 실내측 장착부(60)에 결합되고, 제1보강재(81)가 마운팅부재(25)의 제1장착보스(75)에 결합되며, 제2보강재(82)가 마운팅부재(25)의 제2장착보스(76)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하중이 리어 스트럿(19)에 의해 마운팅구조(20)의 마운팅부재(25)에 전달되면 마운팅부재(25)에 연결된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17), 전방측 포스트(21), 후방측 포스트(22), 제1보강재(81), 제2보강재(82)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분배됨으로써 리어 스트럿(19)에 의한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고, 특히 리어 스트럿(19)에 의해 인가되는 횡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후방구조 11: 리어 사이드멤버
13: 제1크로스멤버 14: 리어 범퍼
14a: 브라켓 15: 제2크로스멤버
17: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 18: 쿼터 어퍼 필러멤버
19: 리어 스트럿 19a: 어퍼 마운트
20: 마운팅구조 21: 전방측 포스트
22: 후방측 포스트 23: 에이프런
25: 마운팅부재 30: 하측 장착부
31: 하측 장착좌면 32: 체결공
33: 연결리브 34a, 34b: 하측 리브
35: 수용슬롯 40: 전방측 장착부
41: 전방측 장착벽 42, 43: 전방측 스토퍼측벽
44: 하측 서포트 50: 후방측 장착부
51: 후방측 장착벽 52, 53: 후방측 스토퍼측벽
60: 실내측 장착부 61: 실내측 장착벽
65: 실내측벽 66: 실외측벽
71: 제1보강리브 71a: 상면
72: 제2보강리브 73: 전방부
74: 후방부 75: 제1장착보스
76: 제2장착보스 81: 제1보강재
82: 제2보강재 83: 브라켓

Claims (18)

  1.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한 쌍의 마운팅구조; 및
    상기 한 쌍의 마운팅구조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리어 스트럿;을 포함하고,
    각 마운팅구조는 각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일정높이로 연장되고, 각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각 마운팅구조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마운팅구조는,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전방측 포스트;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측 포스트 보다 차량의 후방에 근접하는 후방측 포스트; 및
    상기 전방측 포스트의 상단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마운팅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쌍의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가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위에 개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이 상기 마운팅부재의 전방단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마운팅부재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포스트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 사이에 장착된 에이프런을 포함하고, 상기 에이프런은 상기 전방측 포스트 및 상기 후방측 포스트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이프런은 상기 리어 스트럿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그 하단에 형성된 하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스트럿의 상단이 하측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측 장착부는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을 가지고, 각 하측 장착좌면은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은 복수의 연결리브를 통해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측 장착부는 복수의 하측 리브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하측 리브는 적어도 일부들이 서로 간에 직교하며, 상기 복수의 하측 리브는 상기 복수의 하측 장착좌면 및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에 연결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그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슬롯을 포함하고, 각 수용슬롯은 각 체결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며, 각 수용슬롯은 각 체결공의 직경 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면하는 전방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의 후방단이 상기 전방측 장착부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멤버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장착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측 장착벽과, 상기 전방측 장착벽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측 스토퍼측벽과, 상기 전방측 장착벽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하측 서포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후방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측 포스트의 상단이 상기 후방측 장착부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장착부는 차량의 후방을 향해 면하는 후방측 장착벽과, 상기 후방측 장착벽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측 스토퍼측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멤버 사이에 연장되는 제1크로스멤버;
    상기 한 쌍의 마운팅부재 사이에 연장되는 제2크로스멤버;
    한 쌍의 마운팅부재 및 스페이스 프레임의 중간구조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보강재; 및
    한 쌍의 마운팅부재 및 상기 제1크로스멤버를 연결하도록 대각선방향으로 장착되는 대칭되게 한 쌍의 제2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실내측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크로스멤버의 각 단부가 상기 실내측 장착부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장착부는 상기 마운팅부재로부터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연장된 실내측 장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내측벽 및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해 면하는 실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실외측벽 및 상기 실내측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전방측 장착부 및 상기 후방측 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보강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보강리브 및 상기 복수의 제2보강리브는 서로 교차하고, 각 제1보강리브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각 제2보강리브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실내측벽에 연결된 제1장착보스 및 제2장착보스를 포함하고,
    각 제1보강재의 일단이 상기 제1장착보스에 결합되며, 각 제2보강재의 일단이 상기 제2장착보스에 결합되는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KR1020190076417A 2019-06-26 2019-06-26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KR20210001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17A KR20210001019A (ko) 2019-06-26 2019-06-26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17A KR20210001019A (ko) 2019-06-26 2019-06-26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19A true KR20210001019A (ko) 2021-01-06

Family

ID=7412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17A KR20210001019A (ko) 2019-06-26 2019-06-26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19A (ko) 2021-08-12 2023-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흄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KR20230081225A (ko) 2021-11-30 2023-06-07 한화오션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제작 시 용접작업자의 흄 노출 최소화를 위한 환기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4619A (ko) 2021-08-12 2023-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 흄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KR20230081225A (ko) 2021-11-30 2023-06-07 한화오션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제작 시 용접작업자의 흄 노출 최소화를 위한 환기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047B2 (en) Front part structure of vehicle body
US9725122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20140024660A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
KR20210001019A (ko) 차량용 스페이스 프레임의 후방구조
KR102322265B1 (ko) 전기 자동차용 프레임
CN214647350U (zh) 车桥下盖板、空气悬架与车桥的连接结构
JP4503161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JP2017171134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KR102250297B1 (ko) 차량 전방구조
KR20150017213A (ko) 백빔 어셈블리
KR20220133674A (ko) 부품 통합형 리어 로워를 적용한 차체 프레임
KR101399336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16994514U (zh) 副车架防撞梁组件及车辆
CN217396653U (zh) 车辆的减震器座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113799570B (zh) 一种高强度扭力梁安装架、下车体及白车身
CN220164002U (zh) 减震塔、车身结构以及车辆
CN219969609U (zh) 车辆的防护装置以及车辆
CN219565251U (zh) 车辆前舱加强梁及车辆
CN219361161U (zh) 加强梁结构及车辆
CN219256977U (zh) 悬架总成以及车辆
CN218505992U (zh) 前轮罩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220096147U (zh) 一种cng车型气瓶安装结构
CN218806146U (zh) 车辆机舱以及车辆
CN217396655U (zh) 车辆的前端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219728346U (zh) 前机舱纵梁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