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69U - Multifunctional brazi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raz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69U
KR20210000369U KR2020190003299U KR20190003299U KR20210000369U KR 20210000369 U KR20210000369 U KR 20210000369U KR 2020190003299 U KR2020190003299 U KR 2020190003299U KR 20190003299 U KR20190003299 U KR 20190003299U KR 20210000369 U KR20210000369 U KR 20210000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oker
cooking
oil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3461Y1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2020190003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61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6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6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다기능 화덕이 개시된다. 다기능 화덕은, 저면에 지지부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화덕 바디와, 화덕 바디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과,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와, 화덕 바디의 측면에서 조리기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를 포함한다.A multifunctional oven is started. The multifunctional oven has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a combustion space is formed inside,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combustion space on the side,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ombustion space is connected. A cooking grill mounted on and placed on food heated by combustion heat, a cooker seated in an opening of the oven body and heated by combustion heat, and detachably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oker from the side of the oven body and discharged from the cooker. It includes an oil collecting part from which oil is collected.

Description

다기능 화덕{MULTIFUNCTIONAL BRAZIER}Multifunctional oven{MULTIFUNCTIONAL BRAZIER}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이 연장되고 소각로 난로 및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다기능 화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inerator stove and a multifunctional oven capable of cooking a variety of foods with extended service life.

일반적으로 화덕은 가열 기구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 용기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도구로, 현대에는 야외에서 손쉽게 숯 내지 장작 등의 연소물을 이용한 구이요리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oven is a tool provided so that heat generated by a he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a cooking container, and in modern times, it is easily used outdoors for roasting dishes using combustion products such as charcoal or firewood.

여기서,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을 더욱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 등으로 만들어진 가마 형상의 화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마 형상의 화덕은 종래의 조리용 기구와는 달리 내부에서 조리대상물을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대상물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Here, in order to enjoy cooking objects such as meat more deliciously, a kiln-shaped oven made of loess or the like is used. Unlike conventional cooking utensils, such a kiln-shaped oven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improving the flavor of the taste, but also heating the cooking object as a whole by baking the object to be cooked in a short tim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덕은 내화벽돌로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에 황토가 적층되어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본체부의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전면에 조리대상물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이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oven is sealed with loess stack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formed of firebrick. In addition, a heating means for heating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n entrance is formed in the front so that the cooking objec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for discharging exhaust gas is provided.

그러나 전술한 화덕은 내부 또는 외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물청소 등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워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furnace ha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is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water cleaning or the like when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아울러, 종래 화덕은 음식물의 조리 용도로 한정되어 사용되는 바, 사용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tove is used only for cooking fo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s use is limited.

공개특허공보 10-2019-0084661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10-2019-008466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물 청소가 용이하고 음식물의 조리 용도 외에 난로와 소각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화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oven that is easy to clean with water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toves and incinerators in addition to cooking uses of food.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저면에 지지부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화덕 바디와, 화덕 바디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과,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와, 화덕 바디의 측면에서 조리기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art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a combustion space is formed inside, an opening/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bustion space is installed on the side, 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ombustion space is connected, and an oven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at the top, A cooking gril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oven body and on which food heated by combustion heat is placed, a cooker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oven body and heated by combustion heat, and detachably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oker from the side of the oven body. It includes an oil collection unit through which oil discharged from the cooker is collected.

개폐부는, 화덕 바디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는 연소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가 형성된 개폐 도어와, 개폐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상기 화덕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The opening/closing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door installed on a side of the furnace body to be openable and closing, and having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space on a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portion fixing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door to the furnace body.

고정부는, 개폐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화덕 바디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개폐 도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파지 돌기가 표면에 돌출되어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locking part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rotating bar fixed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hold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on the other side. Can include.

오일 수거부는, 개구부의 하부 위치에서 화덕 바디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을 포함할 수 있다.The oil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n insertion uni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at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and an oil cu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and storing oil therein.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가 돌출되며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와,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er may include a cooking plate seated in an opening of the oven body, a hol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thereof, and a cooking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heating plate seated in the cooking hole and cooking food.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 솥일 수 있다.The cooker may be a cooking pot seated in the opening of the oven body and having a cooking space formed therein.

조리기는, 화덕 바디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 그릴일 수 있다.The cooker may be an upper grill mounted on an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cooking grill inside the oven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숯 등의 연소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직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고, 불판 타입의 조리기에 의해 음식물의 간접 가열에 의한 조리도 함께 가능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can be cooked in a direct heating method by combustion heat by combustion of charcoal, etc., and cooking by indirect heating of food is also possible by a fire plate type cooker. Proper cooking is possible,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화구이 훈제 바베큐, 소각로 또는 난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direct grill, smoked barbecue, incinerator, or stove, so that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을 오일 수거부에서 수거 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 환경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oil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food in the oil collection unit,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cooking environment can be prevent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되며, 물 청소가 용이하고 음식물의 조리 용도 외에 난로와 소각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durability is improved, so that the service life is extended, it is easy to clean water,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toves and incinerators in addition to food cooking purposes. Do.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의 조리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화덕 바디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multi-function oven of FIG. 1 is opened.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functional oven of FIG. 1.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functional oven of FIG. 1 from another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ove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oker of the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ulti-function oven of Figure 1 is opened, Figure 3 is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function oven, Figure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function oven of Figure 1 from another sid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100)은, 저면에 지지부(11)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20)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12)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된 화덕 바디(10)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30)과,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40)와,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40)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multifunctional ov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1 protrudes on the bottom surface, a combustion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combustion space is opened and closed on th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 is installed and the communication 12 connected to the combustion space is connected, and the furnace body 10 having an opening 13 formed at the top thereof, and the food placed inside the furnace body 10 and heated by combustion heat The cooking grill 30 is positioned, the cooker 40 seated in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and heated by combustion heat, and the lower position of the cooker 40 from the side of the oven body 10 It is detachably installed and includes an oil collection unit 50 through which oil discharged from the cooker 40 is collected.

화덕 바디(10)는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저면에 복수개의 지지부(11)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화덕 바디(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화덕 바디(10)의 저면에서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urnace body 10 may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t least three or more of the support portions 11 may radiall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ace body 10 so as to stably support the furnace body 10.

화덕 바디(10)는 연소 공간의 물청소가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강(stainle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덕 바디(10)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The furnace body 1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to facilitate water cleaning of the combustion space. In addition, since the oven body 10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durability is improved, so that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화덕 바디(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연소를 위한 연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연통(12)이 설치될 수 있다. The furnace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combustion space for combustion may be formed therein. A communication 12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이러한 화덕 바디(10)의 상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서 연소에 의해 숯 등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개구부(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후술하는 조리기(40)에 조리를 위한 열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조리기(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n opening 13 may be formed on the stove body 10. Accordingly, since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from charcoal or the like by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space of the oven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3, a heat source for cooking may be supplied to the cooker 4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ile describing the cooker 40 below.

본 실시예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 음식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각 대상물이 투입되어 소각되거나 숯 등의 사용으로 난로 기능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food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space of the oven body 10 and cook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s injected and used as a stove function by using charcoal or the like. It is possible.

한편,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2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mbustion space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개폐부(20)의 개방 작동에 따라 연소 공간의 내부에 연소열의 공급을 위해 연소되는 소정의 연소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0)의 개방 작동에 따라 연소 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그릴부에 조리를 위한 음식물의 삽입도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part 20 is installed to be open/clos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and a predetermined combustion material which is burned to supply combustion heat may be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part 2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 it is possible to insert food for cooking into a grill part installed in the combustion spa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21)와, 개폐 도어(21)의 폐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2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상하 2개로 설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closing unit 20 includes an opening/closing door 21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and a fixing unit 23 for fixing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can do. These opening and closing parts 20 may be installed in two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개폐 도어(21)는 일측은 화덕 바디(10)에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부(23)에 의해 화덕 바디(10)에 폐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urnace body 10 by a hinge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 to the furnace body 10 in a closed state by a fixing part 23.

이러한 개폐 도어(21)의 표면에는 에어 공급부(25)가 마련될 수 있다.An air supply unit 25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에어 공급부(25)는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에어 공급부와 관통홀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The air supply unit 2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and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ereinafter, the air supply unit and the through-hole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

관통홀(25)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3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관통홀(25)은 3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개 이상 또는 2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t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at three through holes 25 are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However, the number of through holes 25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ree,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as having four or more or two or less.

이와 같이, 관통홀(25)이 개폐 도어(21)에 형성되는 것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연소를 위한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연소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is way, the through hole 25 is formed in the opening/closing door 21 in order to smoothly supply air for combustion from the inside of the furnace body 10 so that the combus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관통홀(25)은 3개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원형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관통홀(25)은 원형의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가 직사각 또는 정사각 등의 다양한 배열 형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ree through holes 25 may be formed in a radially circular arrangement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Of course, the through hole 25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arrangemen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 may be applied in various arrangement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or square.

한편, 고정부(23)는 개폐 도어(21)를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개폐 도어(21)의 측면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23a)와, 개폐 도어(21)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부(23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23b)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23 is to selectively fix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to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the locking portion 23a fixed to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door 21 ), and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pening/closing door 21 and may include a rotating bar 23b that is fix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23a.

걸림부(23a)는 개폐 도어(21)의 측면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바(23b)가 삽입 가능하도록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art (23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on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forming a bent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so that the rotating bar (23b) can be inserted Can be.

회전바(23b)는 일측은 개폐 도어(21)의 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걸림부(23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ng bar 23b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1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ocking portion 23a.

이러한 회전바(23b)에는 회전 작동을 위한 파지 돌기(23c)가 돌출될 수 있다.A gripping protrusion 23c for rotating operation may protrude from the rotating bar 23b.

파지 돌기(23c)는 회전바(23b)의 돌출된 단부 위치의 표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gripping protrusion 23c protrudes on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end position of the rotation bar 23b and may protrude in a rod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it with a finger.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 돌기(23c)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회전바(23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23a)에 삽입하여 개폐 도어(21)를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고, 파지 돌기(23c)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회전바(23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부(23a)로부터 이탈시켜 개폐 도어(21)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the user can rotate the rotation bar 23b in one direction while holding the gripping protrusion 23c with a finger and insert it into the locking portion 23a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and the gripping protrusion 23c It is also possible to open the opening/closing door 21 by rotating the rotating bar 23b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holding the finger with the rotation bar 23b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23a.

이와 같이, 개폐 도어(21)의 선택적인 개방 작동에 따라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조리 그릴(30)에 음식을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음식물의 조리 과정 또는 화덕으로 사용 과정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의 안정적인 폐쇄도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lace food on the cooking grill 30 installed inside the oven body 10 according to the selectiv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and the oven body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food or the process of using it as a stove (10) Stable closing of the combustion space is also possible.

한편,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에는 조리 그릴(30)이 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cooking grill 30 may be mounted in the combustion space of the oven body 10.

조리 그릴(30)은 연소 공간의 하부에서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cooking grill 30 may be mounted inside the oven body 10 under the combustion space.

즉, 조리 그릴(30)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연소 공간의 저면에 이격된 상태로 연소 공간에 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cooking grill 30 may be mounted in the combustion spac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space inside the furnace body 10.

이러한 조리 그릴(30)은 개폐 도어(21)의 개방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화덕 바디(10)의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cooking grill 30 may be mounted inside the oven body 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ope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1.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 도어(21)를 개방한 상태로 조리 그릴(30)의 표면에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소정의 음식물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place a predetermined food heated by combustion heat such as charcoal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grill 30 with the opening/closing door 21 open.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 그릴(30)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소정의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tably cook a predetermined food by combustion heat such as charcoal while placing the food on the cooking grill 30.

한편,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는 내부에 음식물이 위치된 상태에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40)가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cooker 40 heated by combustion heat may be positioned in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while food is located therein.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23c)가 돌출되며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41)와,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er 40 is seated in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a holding protrusion 23c protrudes on the surface, and a cooking plate 41 having a cook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a cooking plate 41 seated in the cooking hole to cook food. It may include a heating plate 43.

조리 플레이트(41)는 표면에 반찬 등의 음식물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가장자리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 플레이트(41)의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plate 41 has a space in which foods such as side dishes are located on the surface, and the edg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A cook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oking plate 41.

조리홀은 조리 플레이트(41)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 공간에 위치된 숯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열이 전달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홀에는 가열판(43)이 위치될 수 있다. The cooking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cooking plate 41 and may be formed through the cooking plate 41 to transmit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combustion of charcoal or the like located in the combustion space. A heating plate 43 may be positioned in the cooking hole.

가열판(43)은 조리홀 위치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열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판(43)의 표면에 위치된 음식물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The heating plate 43 is formed to be selectively seated at the position of the cooking hole and may be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combustion heat. Accordingly, food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43 can be cooked by heating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한편, 화덕 바디(10)의 측면에는 오일 수거부(5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oil collection unit 50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오일 수거부(50)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기(40)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oil collection unit 50 is detachably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oker 40 from the side of the stove body 10 and may be installed to collect the oil discharged from the cooker 4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일 수거부(50)는, 개구부(13)의 하부 위치에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51)와, 삽입부(51)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53)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oil collection unit 50 includes an insertion unit 5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at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13,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51. It may include an oil cup 53 to be stored.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에서 개구부(13) 하부 위치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화덕 바디(10)의 표면에 고리 타입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51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at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13, and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10 in a ring type.

이러한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51 may be formed of a predetermined metal material so that deformation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furnace body 10 does not occur.

오일 컵(53)은 삽입부(5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내부에는 조리기(4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서 발생된 오일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oil cup 53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51, and oil generated from food cooked in the cooker 40 may be dropped and stored therein.

이와 같이, 오일 수거부(50)가 화덕 바디(10)의 측면에서 조리기(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 조리기(40)에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오일을 용이하게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오일에 의한 주변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oil collection unit 50 is installed under the cooker 40 from the side of the oven body 10, it is possible to easily collect the oil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n the cooker 40.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surrounding contamination by oi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화덕(100)은, 숯 등의 연소에 의한 연소열에 의해 직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고, 불판 타입의 조리기(40)에 의해 음식물의 간접 가열에 의한 조리도 함께 가능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functional ove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od can be cooked in a direct heating method by combustion heat by combustion of charcoal, etc., and cooking by indirect heating of food by a fire plate type cooker 40 Also, it is possible to cook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또한 직화구이 훈제 바베큐, 소각로 또는 난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irect grilling, smoked barbecue, incinerator, or stove,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또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을 오일 수거부(50)에서 수거 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 환경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oil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n the oil collection unit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of the cooking environment.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200)의 조리기(40)는, 상부 그릴(110)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40)와 상부 그릴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5, the cooker 40 of the multifunctional stov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s the upper grill 110. Hereinafter, the cooker 40 and the upper gr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부 그릴(110)은 화덕 바디(10)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30)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근접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The upper grill 11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spaced from the cooking grill 30 inside the oven body 10, and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in this embodiment. have.

이와 같이 상부 그릴(110)은 조리 그릴(30)의 상부에서 화덕 바디(10)의 연소 공간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바, 조리 그릴(30) 또는 상부 그릴(110)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음식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소 공간에 위치된 숯 등의 연소열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한 바 효과적인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upper grill 110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mbustion space of the oven body 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grill 30, and food is placed on either or both of the cooking grill 30 or the upper grill 110. The food can be cooked by the heat of combustion such as charcoal placed in the combustion space while the food is placed in the combustion space.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5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300)의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솥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와 조리솥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6, the cooker 40 of the multifunctional stov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opening 13 of the stove body 10 and is a cooking pot having a cooking space therein. Can be applied. Hereinafter, the cooker and the cooker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

조리솥(210)은, 화덕 바디(1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소 공간에서 전달되는 연소열에 의해 적절하게 가열되어 음식물이 적절한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The cooking pot 210 is properly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transmitted from the combustion space in a state in which food to be cooked is inserted whil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ven body 10 so that the food is cook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 can.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6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400)의 조리기(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는 솥뚜껑 구이판(341)과, 솥뚜껑 구이판(341)의 측면에 돌출되어 오일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오일 배출 돌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the cooker 40 of the multi-function stove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lid grilling plate 341 seated in the opening 13 of the stove body 10, and the pot lid It may include an oil discharge protrusion 343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grill plate 341 to guide the discharge of oil.

솥뚜껑 구이판(341)은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 표면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ot lid grilling plate 341 may be provided to cook food on an upper surface while covering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이러한 솥뚜껑 구이판(341)의 측면에는 오일 배출 돌부(343)가 형성되는 바, 솥뚜껑 구이판(341)에서 조리된 음식물의 오일이 오일 수거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An oil discharge protrusion 34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ot lid grilling plate 341, an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oil of food cooked in the pot lid grilling plate 341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il collection unit.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의 조리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화덕 바디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ove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ooker of the multi-function ove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 to 7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500)은,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숯이 위치되는 숯저장부(410)와, 조리 그릴(30)에 안착되며 조리기에서 낙하되는 훈제 요리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 the multi-functional stov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coal storage unit 410 seated on the cooking grill 30 and the charcoal is located, and the cooking grill 30 It may include an oil storage unit 430 that is seated and stores the oil of smoked dishes falling from the cooker.

숯저장부(410)는 조리 그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반달 형상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숯저장부(41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 위치에 안착되는 조리기에 훈제를 위한 음식물이 걸림 고정되는 경우 훈제를 위한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harcoal storage unit 41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ooking grill 30 and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half-moon shapes. The charcoal storage unit 410 may be provided to supply heat for smoking when food for smoking is caught and fixed to a cooker seated at an opening position of the oven body 10.

이러한 조리 그릴(30)의 상부에는 훈제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430)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An oil storage unit 430 for storing oil generated from food during a smoking proces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grill 30.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8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600)의 조리기(540)는, 화덕 바디(10)의 개구부(13)에 안착되는 돔(dome)형 뚜껑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와 돔형 뚜껑부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9, the cooker 540 of the multifunctional oven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dome-shaped lid portion seated in the opening 13 of the oven body 10. I can. Hereinafter, the cooker and the dome-shaped lid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s.

돔형 뚜껑부(540)는 상부에 손잡이부(541)가 돌출되는 것으로, 음식물의 조리 상태의 보온 과정에서 개구부(13)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ome-shaped lid part 540 has a handle part 541 protruding from the top, and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13 in the process of keeping food in a cooked state.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9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700)의 연통(12)의 상부에는 불티 방지 캡부(61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12 of the multi-function oven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nti-burn cap portion 610.

불티 방지 캡부(610)는, 연통(12)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커버(611)와, 캡 커버(611)의 하부에서 연통(12)의 측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ti-burning cap portion 610 includes a cap cover 61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12,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3 penetrat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cover 611 to the side of the communication 12 can do.

캡 커버(611)는 연통(12)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연통(12)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숯불 등의 불티가 부딪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cap cover 611 is installe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tube 12,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collide with fire, such as charcoal fire, which is moved up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2.

관통홀(613)은 캡 커버(611)가 설치된 위치의 하부에서 연통(12)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3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side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12 at a lower por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cap cover 611 is installed.

따라서, 관통홀(613)을 통해 연기는 용이하게 배출되며, 연통을 통해 이동되는 불티는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바, 연통(12)의 외부로 불티의 배출에 의한 빨래 또는 의복 등에 재가 부착되는 오염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smoke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613, and the burnt that moves through the communication is not directly discharged. As a result of the discharge of the burnt to the out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12, ash is attached to laundry or clothe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r the like from occurring.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lti-functional ove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10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화덕(800)의 삽입부(51)는 화덕 바디(10)의 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고, 삽입부(51)에는 오일컵(53)이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집는 집게(71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710)가 고정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1, the insertion portion 51 of the multi-function oven 80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in a ring shape on the side of the oven body 10, the insertion portion 51 has oil In a state in which the cup 53 is removed, a catch ring 710 to which the tongs 711 for picking up food are fixed may be fixed.

따라서, 집게를 화덕 바디(10)의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engage and fix the tongs of the furnace body 10.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화덕 바디 11...지지부
12...연통 13...개구부
20...개폐부 21...개폐 도어
23...고정부 23a..걸림부
23b..회전바 25...에어 공급부
30...조리 그릴 40, 340, 540...조리기
41...조리 플레이트 43...가열판
50...오일 수거부 51...삽입부
53...오일 컵 110..상부 그릴
210..조리 솥 341..솥뚜껑구이판
343..오일 배출 돌부 410..숯저장부
430..오일 저장부 540..돔형 뚜껑부
541..손잡이부 610..불티 방지 캡부
611..캡 커버 613..관통홀
710..걸림 고리
10...firepit body 11...support
12...communication 13...opening
20...opening part 21...opening door
23... fixed government 23a..
23b..rotating bar 25...air supply
30...cooking grill 40, 340, 540...cooker
41...cooking plate 43...heating plate
50...Oil collection part 51...Insertion part
53...oil cup 110...top grill
210..cooking pot 341..cooking pot lid
343..Oil discharge protrusion 410..Charcoal storage
430..oil storage part 540..dome-shaped lid part
541..handle part 610..fire prevention cap part
611..cap cover 613..through hole
710..hanging ring

Claims (10)

저면에 지지부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연소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연소 공간에 연통된 연통이 연결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화덕 바디;
상기 화덕 바디의 내부에 거치되며,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이 위치되는 조리 그릴;
상기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 위치에 안착되는 조리기; 및
상기 화덕 바디의 측면에서 상기 조리기의 하부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화덕 바디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컵을 포함하여, 상기 조리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수거되는 오일 수거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A furnace body hav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 combustion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bustion space on a side surface, 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ombustion space, and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cooking grill mounted inside the furnace body and on which food heated by combustion heat is placed;
A cooker seated i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oven body; And
An oil cup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a side of the oven body to a lower position of the cooker and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oven body at a lower position of the opening, and an oil cu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and storing oil therein Including, an oil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oil discharged from the cooker;
Multifunctional sto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화덕 바디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는 상기 연소 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가 형성된 개폐 도어; 및
상기 개폐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상기 화덕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폐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화덕 바디의 표면에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개폐 도어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파지 돌기가 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회전바;
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 opening/closing door installed on a side of the furnace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and having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space on a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the furnace body;
Including,
The fixing part,
A locking part fixed to the surface of the furnace body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rotating bar having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 hol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thereof and being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Multifunctional sto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며 표면에는 파지 돌기가 돌출되며 중앙에는 조리홀이 형성된 조리 플레이트; 및
상기 조리홀에 안착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가열판;
을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ker,
A cooking plate seated in the opening of the oven body, a gripp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thereof, and a cooking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A heating plate seated in the cooking hole and on which food is cooked;
Multifunctional sto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 조리 솥인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ker,
A multifunctional stove seated in the opening of the stove body and having a cooking space form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화덕 바디의 내부에서 조리 그릴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 그릴인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ker,
A multifunctional stove, which is an upper grill mounted on an upper side spaced from the cooking grill inside the stov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솥뚜껑 구이판; 및
상기 솥뚜껑 구이판의 측면에 돌출되어 오일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오일 배출 돌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ker,
A cooking pot lid seated in the opening of the oven body; And
An oil discharg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pot lid to guide the discharge of oil;
Multifunctional sto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그릴에 안착되며 숯이 위치되는 숯저장부; 및
상기 조리 그릴에 안착되며 상기 조리기에서 낙하되는 훈제 요리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A charcoal storage unit seated on the cooking grill and in which charcoal is located; And
An oil storage unit seated on the cooking grill and storing oil of smoked dishes falling from the cooker;
Multi-functional stove comprising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는,
상기 화덕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돔(dome)형 뚜껑부인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ker,
A multifunctional stove that is a dome-shaped lid seated in the opening of the stov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의 상부에는 불티 방지 캡부가 설치되고,
상기 불티 방지 캡부는,
상기 연통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커버; 및
상기 캡 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연통의 측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
을 포함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A fire prevention cap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The anti-burning cap portion,
A cap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cover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ultifunctional sto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화덕 바디의 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오일컵이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집는 집게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가 고정되는 다기능 화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portion protrudes in a ring shape on the side of the oven body,
A multi-functional stove in which a catch ring through which a tong for picking food is fixed while the oil cup is removed is fixed to the insert.
KR2020190003299U 2019-08-09 2019-08-09 Multifunctional brazier KR2004934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en) 2019-08-09 2019-08-09 Multifunctional braz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en) 2019-08-09 2019-08-09 Multifunctional braz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69U true KR20210000369U (en) 2021-02-17
KR200493461Y1 KR200493461Y1 (en) 2021-04-05

Family

ID=7471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99U KR200493461Y1 (en) 2019-08-09 2019-08-09 Multifunctional braz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6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13B1 (en) * 2021-06-28 2022-12-07 김기주 Portable meat roas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9A (en) * 1996-06-12 1998-01-06 Maeda Corp Incinerator
KR20110083255A (en) * 2010-01-14 2011-07-20 이병현 Multi function oven
KR101595190B1 (en) * 2014-11-17 2016-02-17 이상봉 a roasting device of Harmfulness gas Remove function
KR101721368B1 (en)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General purpose fire pot
KR20190084661A (en) 2018-01-09 2019-07-17 유승방 brazier for cook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29A (en) * 1996-06-12 1998-01-06 Maeda Corp Incinerator
KR20110083255A (en) * 2010-01-14 2011-07-20 이병현 Multi function oven
KR101595190B1 (en) * 2014-11-17 2016-02-17 이상봉 a roasting device of Harmfulness gas Remove function
KR101721368B1 (en)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General purpose fire pot
KR20190084661A (en) 2018-01-09 2019-07-17 유승방 brazier for coo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13B1 (en) * 2021-06-28 2022-12-07 김기주 Portable meat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61Y1 (en)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0727B1 (en) Oven for grilling food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KR101269786B1 (en) a charcoal grill apparatus
KR20210106820A (en) Charcoal grill cooking apparatus using pottery
KR200493461Y1 (en) Multifunctional brazier
KR200444305Y1 (en) Removable charcoal roaster using gas burner fitted in table
KR20190132597A (en) Multipurpose furnace
KR102064698B1 (en) Roaster that does not burn
KR200459644Y1 (en) meat roaster
KR101055065B1 (en) Indirect heating portable barbecue equipment
KR101890418B1 (en) Barbecue grill device
KR200439439Y1 (en) Multiple-function type foodcooker
KR100614684B1 (en) A charcoal fire roaster
KR102335948B1 (en) A meat grill device
KR200392575Y1 (en) Meat roaster
KR102485840B1 (en) A multi-functional brazier combined a stove
KR100644973B1 (en) Roaster equipped with double door
KR100913250B1 (en) Cooker to use the radiant heat
KR200380144Y1 (en) A charcoal fire roaster
KR200437645Y1 (en) Barbecue Roaster
KR102333441B1 (en) meat roaster
KR101545437B1 (en) Brazier device for roast
CN211748975U (en) Barbecue grill and oven with same
KR102058246B1 (en) Rotating grill for roaster
CN207693461U (en) A kind of portable crusty pancake pi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