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61A - brazier for cooking - Google Patents

brazier for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661A
KR20190084661A KR1020180002675A KR20180002675A KR20190084661A KR 20190084661 A KR20190084661 A KR 20190084661A KR 1020180002675 A KR1020180002675 A KR 1020180002675A KR 20180002675 A KR20180002675 A KR 20180002675A KR 20190084661 A KR20190084661 A KR 20190084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pace
cooking cavity
heat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방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유승방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방, 김기현 filed Critical 유승방
Priority to KR102018000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661A/en
Publication of KR2019008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brazier so that cooking properties of an object to be cooked through circulation convection of the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unit is enhanced. The cooking brazier comprises: a housing unit in which a hot air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t a rear part of an accommodation space having a front opening; a cooking unit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oking space having a front opening for accommodate the cooking object therein, and having a hot air flow hole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 he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mbus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es are formed at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air conditione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space and supply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portion to the ventilation holes.

Description

조리용 화덕{brazier for cooking}{Brazier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화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의 순환 대류를 통한 조리대상물의 조리성이 개선된 조리용 화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oven having improved cooking performance through circulation convection of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unit.

일반적으로, 화덕은 가열기구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용기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도구로, 현대에는 야외에서 손쉽게 숯 내지 장작 등의 연소물을 이용한 구이요리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furnace is a tool provided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device to a cooking container. In modern times, the furnace is easily used in outdoor applications such as charcoal or firewood.

여기서,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을 더욱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 등으로 만들어진 가마 형상의 화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마 형상의 화덕은 종래의 조리용 기구와는 달리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을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대상물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Here, in order to enjoy a cooking object such as meat more delicious, a kiln-like furnace made of loess is used. Unlike conventional cooking utensils, this kiln-like furnac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bject to be cooked is heated and cook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improve the flavor of the taste, as well as heating the object as a whole.

상세히, 상기 화덕은 내화벽돌로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에 황토가 적층되어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이 구비된다.In detail, the hearth is lamina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formed of refractory bricks, and the inside is sealed. In addition, a heating means for heating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object to be cooked, and communication is provided for exhausting the exhaust gas.

그러나, 상기 조리대상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가열수단에 낙하됨에 따라 연기 및 냄새가 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낙하된 기름이 비산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oil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object to be cooked falls into the heating mea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oke and odor are seriously generated, and the dropped oil is scattered an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is contaminated.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상기 조리대상물이 직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빈번하게 상기 조리대상물을 확인하고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조리대상물에 탄화가 쉽게 발생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as the object to be cooked is flossed by the flame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the user frequently needs to check the object to be cooked and change its position.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carbonization easily occurs in the object to be cooked, and the texture of the object to be cooked is deteriorat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04512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45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의 순환 대류를 통한 조리대상물의 조리성이 개선된 조리용 화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oven having improved cooking properties of a cooking object through circulation convection of heat generated from a heating par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의 후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열기배출로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전면부가 개구된 조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되 측면부에 열기유동홀이 형성되는 조리부;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되, 하면부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연소공간이 구비된 가열부; 및 상기 연소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며, 전면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기공으로 공급하는 공기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용 화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 rear surface of a receiv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a heat discharging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cooking chamber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oking cavity formed therein with a front portion opened to receive a cooking object therein and a heat exchange hole formed in a side portion thereof; A he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mbus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space and supply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part to the ventilation hole.

여기서, 상기 연소공간의 상단부 전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걸림되어 안착되는 구획격판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격판 및 상기 연소공간의 상단부 양측 테두리 사이에 열기가 유동되는 측방연통갭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plate o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engaged by the engaging step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rims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mbustion space, and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is formed.

이때, 상기 구획격판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갭형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단 하부에는 상기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단밀폐격벽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gap form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lower end closing barrier wall which seals between the rear part and the rear par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조리부의 후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열기순환유도격벽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may be provided with a hea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 for sealing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한편, 상기 공기조절부의 전면부는 송풍장치의 송풍구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절부의 상면부 양측 테두리부에는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측부슬릿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조절부의 상면부 중앙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중앙슬릿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meantime, the fro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the air blower of the blower, and side slit hole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A plurality of central slit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화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cook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가열부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 유입된 후 상기 열기순환유도격벽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된 열기배출로로 배출되는 순환유로구조를 통해 열기의 순환시간이 증가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개선될 뿐만 아니라 순환 대류를 통해 균일하게 간접 가열된 고품질의 조리대상물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circulation time of the heat is increased through the circulation channel structure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heat discharge path disposed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 Not only is further improv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cooking object uniformly indirectly heated through circulating convection.

둘째, 상기 가열부에 형성된 연소공간의 상단부 전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안착되는 구획격판의 상부에 조리부가 배치됨에 따라 조리대상물로부터 생성되는 기름이 연소물에 직접적으로 낙하됨이 방지되므로 연기 내지 유해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기름의 비산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Secondly, since the cook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ing diaphragm that is seated at the engagement step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rims of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formed in the heating unit, the oil generated from the cooking object is prevented from falling directly to the combustible, And contamination due to scattering of oil can be prevented.

셋째, 상기 조리부의 후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열기순환유도격벽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측방연통갭부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상기 열기배출로측으로 곧바로 유입됨이 방지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의 순환이 유도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irdly, since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is provided with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barrier which seals the rear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the heat introduced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is prevented from flowing directly into the heat discharge path,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and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공기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열기가 조리부에 유동되는 상태를 도 2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열기가 열기배출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B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CD direction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unit in a cooking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ooking oven to the cooking cav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GH in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is discharged from a cooking oven to an open hearth discharge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oking ov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공기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열기가 조리부에 유동되는 상태를 도 2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에서 열기가 열기배출로로 배출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ok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B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a CD direction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cooking oven to the cooking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GH in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is discharged from the cooking oven to the hot-air discharg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화덕(100)은 하우징부(10), 조리부(20), 가열부(30) 그리고 공기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6, a cooking ov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 a cooking part 20, a heating part 30, and an air conditioning part 40 .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는 벽돌 내지 황토 등을 이용하여 아치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전면부가 개구된 전면부가 개구된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면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 내측으로 상기 조리부(20)가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part 10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using bricks, loess or the like, and a receiving space 11 having a front part opened with a front part is formed therein. Accordingly,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selectively hou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의 전면부 개구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개폐커버(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커버(13)는 상기 조리부(20)의 내부에 수납된 조리대상물(M)이 안정적으로 조리되도록 숯, 장작 등의 연소물(T)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수용공간(11)의 전면부 개구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an opening / closing cover 1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part 10 so as to selectively open / close the front side opening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Here, the opening / closing cover 1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heated by the combustible material T such as charcoal or firewood is heated so that the cooking object M stored in the cooking cavity 20 is stably cooked,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space 11.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열기배출로(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열기배출로(12)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후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측 내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1) 및 외부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기배출로(1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A heat discharging path (1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That is, the heat discharge path 12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outsid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heat discharge path 12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유동된 열기가 상기 열기배출로(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후측에는 상기 열기배출로(12)와 연통되도록 굴뚝(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기배출로(12)에 유입된 열기가 상기 굴뚝(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heat that has flow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eat discharge path 12. A chimney 16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unit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t discharge path 12.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hot discharge path 12 may flow through the chimney 16,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온도측정장치(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측정장치(14)의 온도측정부(14a)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외벽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측정부(14a)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상기 온도측정장치(14)의 출력부에 표시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0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4.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14a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4 may be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an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10, Can be displayed on the output portion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4. [0050]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하면부 각 모서리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부(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지지대의 단부에는 이동바퀴가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at predetermined angles such that the housing parts 10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a moving wheel can be mounted on the end of each support, and the housing part 10 can be easily moved by the user.

한편,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대상물(M)이 수용되도록 전면부가 개구된 조리공간(21)이 내부에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부(20)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M)이 조리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부(20)의 외벽에 의해 상기 가열부(30)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조리대상물(M)에 비산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cooking cavity 20 may b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may have a box shape in which a cooking cavity 21 having a front portion is opened to receive the cooking cavity M therein. This allows the cooking object M to be cooked in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dust generated in the heating chamber 30 by the outer wall of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supplied to the cooking object M Scattering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조리부(20)는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리부(20)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원적외선 방사량이 많아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리대상물(M)에 원적외선이 침투됨에 따라 육질이 부드러워져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unit 2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iron or stainless steel, or may be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s the case may be. At this time, when the cooking unit 20 is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the amount of far-infrared rays is large, so that the far infrared rays are infiltrated into the cooking object M during the cooking process.

여기서, 상기 조리부(20)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전면부 개구측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에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공간(21)이 상하방향으로 분할 구획되도록 분할조리격벽(20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13)는 상기 분할조리격벽(20a)에 의해 분할 구획된 조리공간(21)에 대응하여 상부개폐커버(13a) 및 하부개폐커버(13b)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대상물(M)이 상기 분할조리격벽(20a)의 상면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하측 내면에 안착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M)의 수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Here, the cooking cavity 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selectively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t this time, the divided cooking cavity 20a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cavity 20 such that the cooking cavity 21 is vertically divide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13 may be provided as an upper opening and closing cover 13a and a lower opening and closing cover 13b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space 21 partitioned by the divided cooking partition 20a. Accordingly, the cooking object M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vided cooking partition 20a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so that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cooking object M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조리부(20)의 외면에는 열기유동홀(22)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에 열기유동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기유동홀(22)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조리부(20)의 각 측면부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될 수 있다.A heat exchange hole 2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a heat exchange hole 2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 holes 22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cooking cavity 20. [

이를 통해, 상기 조리부(20)가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유동되는 열기가 상기 열기유동홀(22)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2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cooking cavity 20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and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 hole 22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space 21 through the openings.

또한, 상기 분할조리격벽(20a)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기유동홀(22)이 상기 분할조리격벽(20a)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분할 구획된 각 조리공간(21)에 열기가 고르게 순환 대류될 수 있다.When the divided cooking cavity 20a is provided, the heat exchange hole 2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vided cooking cavity 20a. In the cooking cavity 21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at can be evenly circulated convection.

그리고, 상기 조리부(20)의 상면부에는 열기배출홀(23)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부(20)의 상면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기배출홀(23)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조리부(20)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21)에 유입되어 순환 대류된 열기가 자연 대류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열기배출홀(23)을 통해 상기 조리부(2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A heat discharge hole 2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eat discharge holes 2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Thus, the heat that has flowed into the cooking space 21 and circulated and convected upward can be upwardly moved by the natural convection,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through the heat discharge hole 23.

한편, 상기 가열부(30)는 상기 수용공간(11)의 하측에 구비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30)에는 연소공간(31)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공간(31)의 하면부에는 다수의 통기공(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통기공(32)은 상기 연소공간(31)의 하면부의 폭방향 내지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30 is provided below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is substantially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unit 10. Here, the hea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space 31,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32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mbustion space 3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32)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mbustion space (31).

여기서, 상기 가열부(30)에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면부 및 상기 연소공간(31)의 내면이 개구된 연소물공급홀(3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연소물공급홀(30a)의 개구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연소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combustible supply hole 30a having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space 31 opened. A combustion cover 1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combustible supply hole 30a.

이를 통해, 상기 연소공간(31)에는 상기 연소물공급홀(30a)을 통해 상기 연소물(T)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공(32)이 형성된 상기 연소공간(31)의 하면부에 상기 연소물(T)이 안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소공간(31)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물(T)이 수납되는 별도의 연소물수납박스가 수용될 수도 있다.The combustible material T can be received in the combustion space 31 through the combustible material supply hole 30a and the combustible material T can be received in the combustion space 31 formed with the air- (T) can be seated. Of course, a separate combustible storage box in which the combustible T is stored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mbustion space 31 as occasion demands.

이때, 상기 연소공간(31)의 상단부 전후방 테두리에는 걸림단턱(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소공간(31)은 상기 수용공간(11)의 하측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소공간(31)은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1)의 하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확장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step 33 is preferab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31. In detail, the combustion space 31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at is, the combustion space 31 may be formed as a space that extends substantial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toward the lower si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연소공간(31)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의 유동방향이 상기 연소공간(31)의 경사진 외면에 의해 후술되는 측방연통갭부(35)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space 31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may be formed by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space 31, And can be guided to the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side.

여기서, 상기 연소공간(31)의 최대 단면적은 상기 수용공간(11)의 단면적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면부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결된 상기 연소공간(31)의 상단부 전후방 테두리에는 상기 수용공간(11)으로부터 단차지게 각각 걸림단턱(33)이 형성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bustion space 31 is set to be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this manner, the engaging step 33 can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rims of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31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in a continuous profile.

이때, 상기 가열부(30)에는 상기 걸림단턱(33)에 안착되는 구획격판(3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획격판(34)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소공간(31)의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물(T)의 직화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내열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plate 34 which is seated in the engagement step 33.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mbustible (T) burnt in the combustion space (31) due to flame, the partition plate (34)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at resistance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구획격판(34)은 상기 수용공간(11)의 전후방향 길이 미만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소공간(31)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plate 34 extends beyond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and extends beyond the length of the combustion space 31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이때, 상기 구획격판(34)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각 걸림단턱(33)의 상면에 각각 걸림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1) 및 상기 연소공간(31)이 실질적으로 상기 구획격판(34)에 의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부에 상기 조리부(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격판(34)에 의해 상기 조리부(20)가 상기 연소물(T)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plate 34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latching step 33, and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combustion space 31 can be substantially divided into the above- Can be partitioned by the diaphragm (34).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34 and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combustible material T by the partition plate 34. [ have.

이를 통해, 상기 조리부(20)에 수납되는 조리대상물(M)이 상기 구획격판(34)에 의해 상기 연소공간(31)의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소물(T)의 직화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이 방지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M)의 탄화가 최소화되어 조리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e cooking object M stored in the cooking cavity 20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flame of the combustible material T combusted in the combustion space 31 by the partitioning plate 34, The carbonization of the cooking object M is minimized and the cooking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조리 과정에서 상기 조리대상물(M)로부터 생성되는 기름이 상기 구획격판(34)에 의해 상기 연소물(T)에 직접 낙하됨이 방지되므로 연기 내지 유해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기름의 비산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oil generated from the cooking object M in the cooking process is prevented from falling directly to the combustible T by the partition plate 34, the generation of smoke or noxious gas is minimiz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구획격판(34) 및 상기 연소공간(31) 상단 양측테두리 사이에는 열기가 유동되는 상기 측방연통갭부(3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격판(34)의 폭은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방향 폭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획격판(34)은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방향 중앙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side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through which the heat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edges of the partition plate 34 and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31. Preferably, the width of the partition plate 34 is set to be less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partition plate 34 is disposed on the lateral cent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desirable.

이때, 상기 구획격판(34)은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각 걸림단턱(33)의 상면에 걸림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격판(34)이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방향 폭 미만으로 구비되어 중앙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획격판(34)의 양측 테두리 및 상기 연소공간(31)의 상단부 양측 테두리 사이에 각각 측방연통갭부(35)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plate (34)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pective latching step (33). In detail, since the partition plate 34 is disposed at the center side with less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 it is disposed between both side edges of the partition plate 34 and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ombustion space 31 Each of the side communication gap portions 35 can be formed.

따라서, 상기 연소공간(31) 및 상기 수용공간(11)은 상기 구획격판(34)이 상기 걸림단턱(33)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각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물(T)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어 발생된 열기가 자연 대류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각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mbustion space 3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espective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s 35 even when the partitioning plate 34 is seated in the engagement step 33. Also,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the air by the combustible (T) can be upwardly moved by natural convection, and can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1) through the respective lateral communication gap parts (35).

이때,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상기 각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면부 및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 사이에 집중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열기유동홀(22)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21)의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측방연통갭부(35)에 의해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열기유동홀(22)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21)의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열기의 최적 유동 방향이 안내되어 조리 과정에서 상기 조리부(20)의 내부온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조리대상물(M)의 효과적인 조리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can be concentratedly flowed between the side portion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side portions of the cooking cavity (20) through the respective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s (35) Can be stably introduced into the cooking space (21) through the flow hole (22).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is stab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space 21 through the heat transfer hole 22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by the side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 Lt; / RTI > Accordingly, since the optimum flow direction of the heat is guid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maintained high during the cooking process, so that the cooking object M can be effectively cooked.

한편,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갭형성부재(3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갭형성부재(36)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면부 및 하면부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갭형성부재(36)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gap forming member 36 may be provided on the partition plate 34. In detail, the gap forming member 36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flat. The gap forming member 36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34. In some cases, the gap forming member 36 may be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34 .

또한, 상기 갭형성부재(36)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구획격판(34)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될 수 있다.The gap forming member 3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34. The gap forming member 36 may be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34 to stably support the cooking cavity 20, )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이때, 상기 각 갭형성부재(36)의 상면부에는 상기 조리부(20)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 및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부 사이에는 상기 갭형성부재(36)의 높이에 대응하여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부(20)는 하면부가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갭형성부재(36)의 높이에 대응하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gap forming members 36. Therefore,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34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gap forming member 36. That is, the cooking cavity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is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34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gap forming member 36.

이를 통해,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각 갭형성부재(36)에 의해 상기 구획격판(34)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지속적인 전도열의 작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cooking cavity 20 is prevente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rtition plate 34 by the gap forming members 36, the damage due to the continuous action of the conductive heat is minimiz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면부 및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 및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부 사이에도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열기유동홀(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에 형성된 열기유동홀(22)을 통해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상기 조리공간(2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heat received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ng gap 35 is not only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but also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mpartment diaphragm 34 It can also flow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s. 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 hole 2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35 may be formed through the heat exchange hole 2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oking space (21).

이를 통해,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 및 하면부에 형성된 각 열기유동홀(22)을 통해 분산되어 상기 조리공간(21)에 유입되므로 열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heat received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is dispersed through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holes 22 formed in the side and bottom portions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flows into the cooking cavity 21,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조리부(20)의 후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열기순환유도격벽(2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리부(20)의 후단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단밀폐격벽(2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20 may be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circulation barrier wall 24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20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rear 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rear 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ower end closing barrier wall 25 for sealing between the rear face of the space 11 and the rear face.

상세히, 상기 열기순환유도격벽(24)은 상기 조리부(20)의 후단 양측단부에 각각 후측을 향해 연장되어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기순환유도격벽(24)은 상기 조리부(20)가 상기 각 갭형성부재(36)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부(20)의 후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ating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s 2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20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ho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 24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in a state where the cooking cavity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gap forming members 36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기배출로(12)의 개구측이 실질적으로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사이 공간으로 유동되는 열기가 상기 열기배출로(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oking cavity 20 is disposed such that an end of each of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s 24 is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t this time, the opening side of the heat discharge path (12)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heat exchange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s (24)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substantially between the fac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s (24)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ot discharge path (12).

그리고, 상기 하단밀폐격벽(25)은 상기 조리부(20)의 후단 하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상기 열기순환유도격벽(24)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하단밀폐격벽(25)의 양측단부는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closing barrier rib 25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cavity 20 toward the rear side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barrier 24. At this time, both end portions of the lower end closing barrier ribs 25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heat transferring barrier ribs 24 to form a continuous profile.

여기서, 상기 하단밀폐격벽(25)의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에 밀착되면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 및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부 사이에 유동되는 열기가 상기 하단밀폐격벽(25)에 의해 상기 열기배출로(12)의 개구측으로 곧바로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lower end closing partition wall 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e heat that flows between the lower 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upper face of the partition plate 34, The partition wall 2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opening side of the hot discharge path 12.

이를 통해,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상기 열기순환유도격벽(24) 및 상기 하단밀폐격벽(25)에 의해 상기 열기배출로(12)측으로 곧바로 유입됨이 방지되고 상기 수용공간(11) 내부로의 순환이 유도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t is prevented that the heat introduced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heat discharge path 12 side by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 wall 24 and the lower end partition wall 25, Circulation to the inside of the space 11 is induced, so that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and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절부(40)는 상기 연소공간(31)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에는 상기 통기공(32)을 통해 상기 연소공간(31)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열부(30)의 하측에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공간은 전면부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공간의 개구된 전면부를 통해 상기 공기조절부(40)가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is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space 31. At this time, a mounting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 below the heating part 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space 31 through the vent hole 32. 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may be opened, and the air conditioning part 4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이때, 상기 공기조절부(40)는 내부에 공기유입공간(40a)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 상기 공기유입공간(40a) 및 외부가 연통되도록 공기유입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전면부는 송풍장치(50)의 송풍구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풍장치(50)는 송풍팬 및 송풍라인(51)을 포함하여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air conditioning part 4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having an air inflow space 40a therein, and an air inflow hole 41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rt so that the air inflow space 40a and the outsid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ro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is connected to a blowing port of the blowing unit 50 and the blowing unit 50 includes a blowing fan and an air blowing line 51.

상세히,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장치(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를 통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송풍장치(50)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In detail, the blowing fa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lowing device 50 and rotated through an electric signal. At this time, air flowing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can be supplied through a blowing port formed in the blowing device (50).

또한, 상기 송풍라인(51)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구 및 상기 공기유입홀(41)에 양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부(40)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송풍라인(51)의 단부가 상기 공기유입홀(41)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전면부에 장착단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라인(51)의 단부가 상기 장착단부에 가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내부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공기조절부(40)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blowing line 51 may have a hollow therein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air blowing hole and the air inflow hole 41. At this time, a mounting end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to prevent the end of the air supply line 5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ir inflow hole 41 by the hydraulic pressure.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end. Then,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fan flows through the inside and can be transferr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side.

이를 통해, 상기 송풍장치(50)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라인(51)으로 이송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홀(41)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40a)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장치(50)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조절부(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50)는 전동식 에어펌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조절부(4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air blowing device 50 is driven, the air conveyed to the air blowing line 51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ir inflow space 40a through the air inflow hole 41. In addition, the air blowing device 50 may selective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Of course, depending on the case, the air blowing device 50 may be provided as an electric air pump, o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part 40.

그리고,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상면부 양측 테두리부에는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측부슬릿홀(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상면부 중앙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중앙슬릿홀(4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공간(40a)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측부슬릿홀(42) 및 상기 중앙슬릿홀(43)을 통해 상기 통기공(32)으로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side slit holes 42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edge portions of the top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portion 40, respectively. In addition, a plurality of central slit holes 4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space 40a can be supplied to the air hole 32 through the side slit hole 42 and the center slit hole 43. [

상세히, 상기 측부슬릿홀(42)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전후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상면부 양측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각 측부슬릿홀(42a,42b)은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 간격 미만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ide slit holes 42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40, respectively. At this time, each of the side slit holes 42a and 42b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less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portion 40.

그리고, 상기 중앙슬릿홀(43)은 상기 공기조절부(40)의 상면부 중앙에 형성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측부슬릿홀(42a,42b)의 개구면적은 상기 각 중앙슬릿홀(43)의 개구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enter slit holes 43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part 4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this time, the opening areas of the side slit holes 42a and 42b a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opening areas of the center slit holes 43. [

이를 통해, 상기 측부슬릿홀(42)이 상기 중앙슬릿홀(43)보다 더 큰 개구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통기공(32)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하면부 중앙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더 많이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side slit hole 42 is formed to have a larger opening area than the central slit hole 43,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vent hole 32 is smaller than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cen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More can be supplied.

이에 따라, 상기 통기공(32)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연소물(T)이 원활하게 연소되면서도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측방연통갭부(35) 측을 향해 자연스럽게 분산 제공됨에 따라 상기 조리공간(21) 내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어 조리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ile the combustible (T) is burned smoothly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vent hole (32),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is naturally dispersed toward the 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gap part So that the cooking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30)에 구비된 연소물(T)이 연소됨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부(40)를 통해 상기 연소공간(31) 측으로 공급된 공기가 가열되어 발생된 열기가 자연대류에 의해 상측을 향해 유동된다.Referring to FIG. 5, as the combustible T provided in the heating unit 30 is burned,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space 31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unit 40 is heated, And flows upward by natural convection.

이때,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는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부(20)의 하면부 및 상기 구획격판(34)의 상면부 사이와,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측면부 사이에 분산되어 유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3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그리고,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에 유입된 열기(f1)가 상기 조리부(20)의 측면부 내지 하면부에 형성된 각 열기유동홀(22)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21)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조리공간(21)에 유입된 열기(f2)는 상기 조리공간(21)의 내부에서 순환 대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대상물(M)에 열기가 전달됨에 따라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공간(21)에 유입된 열기(f2)는 순환 대류되며 자연 대류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열기배출홀(23)을 통해 상기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The heat f1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 35 is supplied to the cooking space 20 through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holes 22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20, 21). At this time, the heat f2 flowing into the cooking space 21 can be circulated and circulated in the cooking space 21, and the heat can be cooked as heat is transferred to the object M to be cooked. The heat f2 flowing into the cooking space 21 is circulated and convected and can be upwardly moved by natural convection and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avity 20 through the heat discharge hole 23. [

이를 통해, 상기 연소물(T)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상기 조리공간(21)의 내부에서 순환 대류되어 상기 조리대상물(M)에 전달되는 간접 가열 방식을 통해 균일하게 간접 가열된 고품질의 조리대상물(M)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리대상물(M)이 상기 연소물(T)의 직화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가열되지 않아 탄화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This allows the hot object to be uniformly and indirectly heated through the indirect heating method in which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ble material T is cyclically convected in the cooking space 21 and transferred to the object M to be cooked M). Further, since the cooking object M is directly exposed to the direct burning of the combustible material T and is not heated, carbonization is prevent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original taste.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열기배출홀(23)을 통해 상기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된 열기(f3)는 상기 조리부(20)의 후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부(20)의 후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사이 공간은 상기 조리부(20)의 후면부,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상기 하단밀폐격벽(25)의 상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에 의해 커버되어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5 to 6, the heat f3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avity 20 through the heat discharge hole 23 flows between the rear 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rear 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Can flow. The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is defin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20, the opposing surface of each of the heat circulation induction barrier walls 24,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따라서, 상기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된 열기(f3)는 압력 손실에 의해 상기 조리부(20)의 후면부 및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사이 공간의 상부 개구측을 통해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사이로 유동된 열기(f4)가 상기 열기배출로(12)로 유입되어 상기 굴뚝(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f3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hamber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pening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2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ining space 11 by the pressure loss, 24, respectively. The openings f4 flowing between the opposed faces of the respective hot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s 24 may flow into the hot discharge path 12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himney 16.

이때, 상기 열기배출로(12)가 상기 수용공간(11)의 후면부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열기순환유도격벽(24)의 대향면 사이로 유동되는 열기(f4)의 유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heat discharge path 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e flow distance of the heat transfer member f4 flowing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heat exchange circulation induction partition 24 can be increased .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에 유입된 열기(f1)가 유동된 후 상기 열기배출로(12)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유로구조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순환 대류되는 열기의 순환시간이 증가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f1)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is circulated and circul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structure discharged through the heat discharge path (12) The cycle time can be increased and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상기 측방연통갭부(3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에 유입된 열기(f1)와, 상기 조리공간(21)의 내부에 순환 대류된 후 상기 조리부(20)로부터 배출된 열기(f3)의 상호 혼합됨이 최소화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heat f1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through the lateral communication gap 35 and the heat f3 discharged from the cooking cavity 20 after the circulation of the air are circulated in the cooking space 21 ) Is minimized, energ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having", or "having" a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bu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부 11: 수용공간
12: 열기배출로 20: 조리부
21: 조리공간 22: 열기유동홀
24: 열기순환유도격벽 25: 하단밀폐격벽
30: 가열부 31: 연소공간
32: 통기공 33: 걸림단턱
34: 구획격판 35: 측방연통갭부
36: 갭형성부재 40: 공기조절부
42: 측부슬릿홀 43: 중앙슬릿홀
50: 송풍장치 100: 조리용 화덕
10: housing part 11: accommodation space
12: hot exhaust passage 20:
21: a cooking space 22: an open flow hole
24: hot circulation induction barrier 25: bottom sealing barrier
30: Heating section 31: Combustion space
32: vent hole 33:
34: partition partition 35: lateral communication gap
36: gap forming member 40:
42: side slit hole 43: center slit hole
50: blowing device 100: cooking oven

Claims (5)

전면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의 후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열기배출로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전면부가 개구된 조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되 측면부에 열기유동홀이 형성되는 조리부;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되, 하면부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연소공간이 구비된 가열부; 및
상기 연소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며, 전면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기공으로 공급하는 공기조절부를 포함하는 조리용 화덕.
A housing portion having a rear portion of a receiving space having a front portion opened to form a heat discharg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cooking chamber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oking cavity formed therein with a front portion opened to receive a cooking object therein and a heat exchange hole formed in a side portion thereof;
A heating uni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combus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d an air conditioning part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space and supply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part to the ventila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의 상단부 전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걸림되어 안착되는 구획격판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격판 및 상기 연소공간의 상단부 양측 테두리 사이에 열기가 유동되는 측방연통갭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titioning plate having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engaging step formed on front and rear edges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mbustion space,
Wherein a lateral communication gap portion through which heat flows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dividing plate and both side edges of an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판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갭형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단 하부에는 상기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하단밀폐격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화덕.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gap form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And a lower end sealing barrier for seal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oking cavity from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후단 양측단부에는 상기 후면부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열기순환유도격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provided with a heating circulation induction barrier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cooking cavity to seal between the cooking cavity and the rear 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의 전면부는 송풍장치의 송풍구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절부의 상면부 양측 테두리부에는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측부슬릿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조절부의 상면부 중앙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중앙슬릿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화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connected to a blowing port of the blowing device,
Side slit hole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n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central slit holes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center slit hol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KR1020180002675A 2018-01-09 2018-01-09 brazier for cooking KR201900846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75A KR20190084661A (en) 2018-01-09 2018-01-09 brazier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75A KR20190084661A (en) 2018-01-09 2018-01-09 brazier for coo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61A true KR20190084661A (en) 2019-07-17

Family

ID=6751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75A KR20190084661A (en) 2018-01-09 2018-01-09 brazier for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66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69U (en) 2019-08-09 2021-02-17 김기호 Multifunctional brazier
KR102324150B1 (en) * 2020-06-12 2021-11-09 송하견 heating roas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512A (en) 2009-03-18 2010-09-29 정현각 Brazier device for roa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512A (en) 2009-03-18 2010-09-29 정현각 Brazier device for roa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69U (en) 2019-08-09 2021-02-17 김기호 Multifunctional brazier
KR102324150B1 (en) * 2020-06-12 2021-11-09 송하견 heating r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2274C2 (en) Stove for cooking
KR101291426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US9388992B2 (en) Gas oven range
RU2306488C1 (en) Stove
US20140144423A1 (en) Gas oven range
US11015819B2 (en) Oven
KR20190084661A (en) brazier for cooking
KR101134044B1 (en) Firewood and pellet combination stove
JP6626312B2 (en) grill
JP6382153B2 (en) Cooker
KR20060127690A (en) Electric oven range
JP2019005361A (en) Cooking device
CN113812864A (en) Gas oven
JP6709665B2 (en) grill
CN213248546U (en) Smoke-proof cooling system of oven
JP2015007516A (en) Heating cooker
CN212878985U (en) Oil smoke prevention health oven
CN213248545U (en) Baking oven
JP3558380B2 (en) Gas cooker
KR100667203B1 (en) A steam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trol the heater thereof
CN216166996U (en) Gas oven
JP2001324153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op plate temperature increase
KR200312816Y1 (en) Structure exhaust of gas oven-range
KR200309891Y1 (en) Convection structure of gas oven range
CN213248543U (en)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of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