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10U - 계량 컵 - Google Patents

계량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10U
KR20210000310U KR2020190003182U KR20190003182U KR20210000310U KR 20210000310 U KR20210000310 U KR 20210000310U KR 2020190003182 U KR2020190003182 U KR 2020190003182U KR 20190003182 U KR20190003182 U KR 20190003182U KR 20210000310 U KR20210000310 U KR 202100003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easuring cup
capacity
display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승
김성원
방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90003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310U/ko
Priority to CN202021115541.6U priority patent/CN212409815U/zh
Priority to JP2020002543U priority patent/JP3228041U/ja
Publication of KR20210000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5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for semi-liquid, e.g. f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은, 일측이 개구되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마련되며 문자로 용량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 및 용량이 측정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량 컵{Measuring cup}
본 고안은 계량 컵에 관한 것으로, 계량하고자 하는 용량을 인식하기 용이한 계량 컵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중 용기 안에 담긴 내용물을 정해진 용량만큼만 덜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세제나 섬유 유연제를 세탁물의 양에 맞춰 덜어 쓰거나, 요리를 할 때 식용유나 각종 양념을 계량하거나, 액상의 약(藥)을 용량만큼 음용하거나, 구강청결제를 뚜껑에 덜어서 입안을 헹구는 경우 등 용기 안에 담긴 액상이나 분상(粉狀)의 내용물을 정량만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많다.
즉 액체 세제 등과 같이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품들은 상단부에 용기입구가 설치된 저장용기에 저장되며, 필요할 때마다 적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계량 컵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계량 컵을 따로 보관해야 하고 사용 시마다 계량 컵에 묻은 내용물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손실이 많음은 사용이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입구에 정량배출기능을 갖는 뚜껑 형의 계량 컵이 구비된 용기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계량 컵은, 계량 컵의 둘레면에 눈금이 있고, 단계별 용량에 따라 상하 일렬로 표시되어 표시 영역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므로 표시의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작은 크기의 표시가 제조비 절감을 위해 계량 컵 사출 시 함께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사출 기술의 한계로 둘레면에 표시 부분을 선명하게 형성할 수 없으며, 표시 부분과 주변 부분의 색상이 구분되지 않아 표시 부분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렵다.
또는 색상을 달리 이루도록 계량 컵 사출 시 표시 용량을 형성하지 않고 인쇄 방식 등과 같이 개별로 형성하여 계량 컵과 표시부분을 구분하면 공정 단계가 증가하여 제조비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여전히 표시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식별이 어렵다.
게다가 표시 부분은, 계량 컵의 내측 둘레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표시 부분(숫자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야(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에 표시 부분이 확보되도록 계량 컵을 기울여야 하는 바와 같이, 계량하고자 하는 표시 부분까지 내용물을 따라낼 때 계량 컵이 기울여진 상태가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량된 용량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고, 정량으로 내용물을 담기 용이한 계량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은, 일측이 개구되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마련되며 문자로 용량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 및 용량이 측정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 또는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표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직선 또는 바의 높이, 두께, 폭, 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이즈 또는 형태 중 어느 하나가 동일하거나 모두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는, 용량이 하나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부는, 오름 차순으로 용량이 복수 개로 표시되고, 상기 문자 또는 상기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거나 오름 차순으로 사이즈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자는, 보기 방향이 상기 제2 표시부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자는, 상기 제2 표시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자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자는, 숫자, 글자,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형상, 서로 다른 모양의 복수 개의 형상,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량이 측정되도록, 상기 제2 표시부의 단부에서 수평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재가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표시부는, 용량이 표시되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표시부는, 두께와 너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8mm 내지 2.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계량 컵은, 본체부의 바닥면에 표시되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나, 형태 등이 상이한 제2, 3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가 계량 용량을 한 눈에 파악하기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저면에 계량 컵이 놓이더라도 표시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확보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측면에 표시되는 숫자를 파악하기 위해 계량 컵을 기울여 볼 필요가 없으므로 바닥면에 놓인 상태의 계량 컵을 통해 계량 용량에 맞추어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또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의 또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 컵(100)은, 본체부(110),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에 의해 사용자가 용량 표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20)가 계측 용량이 복수 개로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되겠지만 제1 표시부(120)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어, 한 가지의 용량 표시만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때 한 가지의 용량 표시가 복수 개로 마련되되 계량 용량은 동일하고, 서로 방향만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계량 컵(100)의 다 방향에서 용량 표시를 인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체부(110)는, 일측이 개구되며 계량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에 결합 시 결합부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는, 액체 세제, 섬유 유연제 등과 같이 내용물의 계량이 필요한 용기일 수 있고, 블로우(blow) 방식으로 제조된 용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은 계량이 필요하다면 그 상태가 제한되지 않고 액상, 분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결합부재(111)는, 본체부(11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11)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진 후 다시 용기에 결합 시 내용물이 묻은 본체부(110)의 내측면이 용기의 용기입구(주둥이)에 결합되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므로, 계량의 목적만으로 계량 컵(100)이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결합부재(11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금형으로 사출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가 사출 성형 시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가 함께 형성될 수 있게 금형에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에 대응되는 음각/양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에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가 형성되도록 인쇄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쇄 후 가공에 따른 단가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는, 내용물의 계측/계량 시 사용자가 계량 용량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특히 종래의 계량 컵은, 가로 방향의 눈금선이 상하 일렬로 마련되고, 숫자가 표기되더라도 이를 구분하기 어렵고, 특히 근시, 고령자의 경우 더욱 계량 용량을 파악하기 더욱 어려우나, 본 실시예는 숫자 등의 표기를 식별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계량 시 저면에 놓인 상태로 계량을 할 수 있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부(120)는, 사용자가 계량 컵(100)을 기울여 볼 필요가 없이 바닥면을 통해 계량된 용량 표시(계측 용량 표시)를 인식할 수 있게, 본체부(110)의 내부 바닥면에 마련되며 문자로 용량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문자는, 사용자가 용량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량이 하나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형상 등이 마련될 수 있어, 사이즈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형상, 모양이 서로 상이한 형태, 하나 이상의 기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용량을 인식/표시할 수 있다면 숫자 또는 글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하여 둔다. 즉 문자는, 숫자, 글자,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형상, 서로 다른 모양의 복수 개의 형상, 하나 이상의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이 섬유 세탁을 위한 세제인 경우, 소량빨래(3kg)에 해당되는 세제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1 표시부(120)는 제1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제1 형상(세제통 형상, 원형, 다각 형 등일 수 있음)을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제1 형상에 해당되는 계량 용량의 표시는 20ml 내지 45ml의 범위에 해당될 수 있어, 표시는 35ml의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120)는, 소량빨래에 대비하여 용량이 큰 중량빨래(7kg)에 해당되는 세제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2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형상은 제1 사이즈에 대비하여 크기가 큰 제2 사이즈로 이루어지거나 제1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2 형상에 해당되는 계량 용량의 표시는 45ml 내지 65ml의 범위에 해당될 수 있어 55ml의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제1 표시부(120)는, 중량빨래에 대비하여 용량이 큰 대량빨래(10kg 내지 15kg)에 해당되는 세제 용량을 표시하도록 제3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3 형상은 제2 사이즈에 대비하여 크기가 큰 제3 사이즈로 이루어지거나 제2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3 형상에 해당되는 계량 용량의 표시는 65ml 내지 80ml의 범위에 해당될 수 있어 70ml의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표시부(120)는, 소량, 중량, 대량빨래의 계량 표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용량 표시를 이룰 수 있도록 1ml 단위, 5ml 단위, 10ml 단위 등으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의도에 따라 용량을 계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형상, 제2 형상, 제3 형상이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문자의 형태만으로도 계량 용량을 인식할 수 있게, 서로 상이한 형태/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형상은 하나의 손가락을 펼친 상태의 손 모양, 제2 형상은 두 개의 손가락을 펼친 상태의 손 모양, 제3 형상은 3개의 손가락을 펼친 손 모양이거나, 상기 언급된 숫자와 조합되어 함께 병기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형상은 삼각형, 제2 형상은 원형, 제3 형상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숫자를 읽기 위해 계량 컵의 방향을 돌릴 필요가 없거나 숫자 또는 글자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기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표시부(120)는,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기호(도형일 수 있음)와 숫자가 함께 병기되어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다양한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20)가 숫자, 글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 이상의 용량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하나의 문자(예를 들어 10ml)가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문자가 형성되거나(예를 들어, 10ml, 20ml 등), 다양한 형태로 문자가 변경(언어 및/또는 기호가 다른 동일한 용량 표시 일 수도 있음)될 수 있으며, 사이즈가 상이한 복수의 문자가 형성되되, 문자가 형성되는 영역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문자는, 오름 차순으로 계량 용량이 복수 개로 표시될 수 있고, 제1 표시부(120)는 문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오름 차순으로 사이즈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문자가 숫자, 글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기 방향이 제2 표시부(130)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30)가 상부에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자(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기재된 문자를 의미할 수 있음)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30)가 하부에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130)는, 용량이 측정되도록 제1 표시부(120)로부터 본체부(110)의 내부 측면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표시부(130)가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된 형태로 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시부(130)는, 제1 표시부(120)에 대응되는 계측 용량을 표시하는 구성이므로, 제1 표시부(12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계측 용량을 인식할 수 있는 즉 제1 표시부(120)에 해당되는 제2 표시부(130)의 단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제2 표시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 또는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1 표시부(120)와 연결되는 하나의 선/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예), 이와 달리 점선, 파선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예). 그리고 제2 표시부(130)가 선/바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가상의 전개도에서 복수 개의 제2 표시부(130)가 막대 그래프 형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부(130)는, 제1 표시부(120)의 용량에 대응하여 용량이 커지는 순으로 직선/바의 높이, 두께, 폭, 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이즈 또는 형상/형태가 상이하게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부(130)의 형상은, 직선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지그재그 또는 'S'자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직선에 대비하여 두께 및/또는 폭이 크게 이루어지는 바(봉을 포함할 수 있음)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제2 표시부(130) 각각은 제1 표시부(120)의 계측 용량에 대응하여 사이즈(선/바의 폭, 두께를 포함할 수 있음)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제2 표시부(130)는, 두께 등의 형태로 복수 개의 제2 표시부(130)가 구분되는 것 외에, 제1 표시부(120)의 계측 용량에 대응하여, 직선/바의 개수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펼쳐지는 개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손바닥 영역(또는 손가락이 접혀진 손 모양 부분)이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제1 표시부(120)를 이루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펼쳐진 손가락이 제2 표시부(130)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2 표시부(130)의 두께와 너비는 눈으로 인지하기 편리하면서 사출 성형 후 냉각과정에서 후 수축 발생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0.8mm 이상 2.5mm 이하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본체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로서 깊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너비는 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과 평행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제2 표시부(130)는, 제1 표시부(120)에 대응되는 용량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제2 표시부(130)는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2 표시부(130)는, 제3 표시부(140)와 동일/유사하게 제2 표시부(130)에 인접하여 용량이 표시되는 문자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표시부(130)의 용량 표시 문자는, 제2 표시부(130)의 상단 또는 제2 표시부(130)의 내측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표시부(140)에 용량 표시가 마련된다면 중복되지 않도록 제2 표시부(130)와 제3 표시부(140) 중 어느 하나의 용량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3 표시부(140)는, 제2 표시부(130)와 연계되어 용량이 측정되도록, 즉 제2 표시부(130)와 제3 표시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가 용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2 표시부(130)의 단부에서 수평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표시부(140)는, 제1 표시부(120)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링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선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 표시부(120)에 대응하여 용량이 커지는 순으로 링의 두께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출 성형 시 언더컷으로 인한 제한이 없거나 절삭 가공 등을 통해 오목한 홈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제3 표시부(140)는, 제2 표시부(130)의 측정 표시 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을 확장시키는 것이므로, 링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c'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병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제3 표시부(14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제1 표시부(120)의 문자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일례로 제3 표시부(140)의 선을 가로지르는 위치, 또는 선의 상부/하부에 위치되어 문자가 병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표시되는 문자로 이루어지는 제1 표시부(120)나, 형태 등이 상이한 제2 표시부(130), 제3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계량 용량을 한눈에 파악하기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측면에 표시되는 숫자를 파악하기 위해 계량 컵(100)을 기울여 볼 필요 없이 바닥면에 놓인 계량 컵(100)을 통해 계량 용량에 맞추어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계량 컵 110: 본체부
111: 결합부재 120: 제1 표시부
130: 제2 표시부 140: 제3 표시부

Claims (13)

  1. 일측이 개구되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 마련되며 문자로 용량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 및
    용량이 측정되도록 상기 제1 표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 또는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직선 또는 바의 높이, 두께, 폭, 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이즈 또는 형태 중 어느 하나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용량이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오름 차순으로 용량이 복수 개로 표시되고,
    상기 문자 또는 상기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거나 오름 차순으로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보기 방향이 상기 제2 표시부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상기 제2 표시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숫자, 글자,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형상, 서로 다른 모양의 복수 개의 형상,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9. 제1항에 있어서,
    용량이 측정되도록, 상기 제2 표시부의 단부에서 수평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재가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용량이 표시되는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두께와 너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8mm 내지 2.5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컵.
KR2020190003182U 2019-07-30 2019-07-30 계량 컵 KR20210000310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2U KR20210000310U (ko) 2019-07-30 2019-07-30 계량 컵
CN202021115541.6U CN212409815U (zh) 2019-07-30 2020-06-16 量杯
JP2020002543U JP3228041U (ja) 2019-07-30 2020-06-26 計量カ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2U KR20210000310U (ko) 2019-07-30 2019-07-30 계량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10U true KR20210000310U (ko) 2021-02-09

Family

ID=7266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82U KR20210000310U (ko) 2019-07-30 2019-07-30 계량 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8041U (ko)
KR (1) KR20210000310U (ko)
CN (1) CN212409815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8041U (ja) 2020-10-08
CN212409815U (zh)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04103A (en) Bottle cap and measuring device
US20090255333A1 (en) Measuring cup
US9003879B1 (en) Measuring cup assembly
CN106414257B (zh) 具有用于观察的窗口的液体衣物洗涤产品
US8991659B2 (en) Compartmentalized laundry caddy for dispensing dosed volumes
US1718897A (en) Measuring device
US20160334258A1 (en) Measuring cup
JP6247912B2 (ja) 定量吐出スクイズ容器
JP2015527260A (ja) 外見上わかる前処理機能を有する洗濯洗剤用包装
JP5822270B2 (ja) カップ付きボトル
KR20210000310U (ko) 계량 컵
JP466227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TWI447046B (zh) 擠壓容器
JP4828161B2 (ja) 計量キャップ
KR200405556Y1 (ko) 계량부가 구비된 용기
JP6628397B2 (ja) 計量キャップ
JP2012101808A (ja) 計量具
JP4522115B2 (ja) 計量キャップ
KR20120082358A (ko) 계량 캡
JP5537838B2 (ja) 計量キャップ
JP2007091304A (ja) 計量容器
JP6654958B2 (ja) 計量キャップ
CN202124173U (zh) 一种可计量容器
JP6933445B2 (ja) 容器
KR930001057Y1 (ko) 계량용기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