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835A -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835A
KR20200144835A KR1020190072968A KR20190072968A KR20200144835A KR 20200144835 A KR20200144835 A KR 20200144835A KR 1020190072968 A KR1020190072968 A KR 1020190072968A KR 20190072968 A KR20190072968 A KR 20190072968A KR 20200144835 A KR20200144835 A KR 2020014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netobacter
peptide
antibacterial
apis mellifera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302B1 (ko
Inventor
최용수
이만영
김혜경
김동원
우순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07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3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의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는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식의약제제나 항생제 대용 가축 사료 첨가제 등에 응용가능한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양봉산물에 국한적이었던 종래 양봉산물 집약적인 구조의 양봉산업을 바이오 기반 고부가가가치 산업으로 활성화시켜 곤충유전자원활용 및 양봉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Novel peptide from Apis mellifera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의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물체에는 생체의 선천성 면역계(innate immunity) 및 숙주방어(host defense)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항균 펩타이드가 존재하며 이들의 진화과정에서 각종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에 대응하여 여러 종류의 펩타이드를 이용, 면역 방어계(Immune defence)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분석방법 및 구조결정법의 발달에 의하여 수많은 항균 펩타이드가 밝혀지고 있으며, 이 중 몇몇 항균 펩타이드는 각종 미생물에 대한 항생 활성의 작용 기작이 표적세포(target cell)의 인지질 이중층막(phospholipid layer membrane)과의 결합에 관련되어 있고, 펩타이드의 양쪽 친매성(amphipathic)에 의한 세포막상의 ion channel 또는 pore의 형성이 세포막의 막전위를 변화시키거나, 세포막을 파괴하여 결국에는 세포의 사멸(cell lysis)에 이르게 한다고 밝혀지고 있다.
항균 펩타이드는 기존의 항생제보다 넓은 범위의 미생물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을 유발시키는 기존의 항생제와는 다른 활성기작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임에 따라 항균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항균 펩타이드들은 짧은 시간 내에 비특이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물리적 방법으로 세포막을 파괴하는 작용 기작을 가지고 있어서,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내 고분자 합성을 저해하는 기존의 항생제들과는 달리, 미생물들이 항균 펩타이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기는 매우 어렵다.
현재까지 연구된 결과들에 의하면, 동물 및 식물 등으로부터 약 2,000 종 이상의 많은 항균 펩타이드가 분리되었는데, 대표적인 항균 펩타이드로서 세크로핀(cecropin), 머게이닌(magainin), 봄비닌(bombinin), 디펜신(defensin), 타키플레신(tachyplesin) 및 부포린(buforin)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항균 펩타이드들은 공통적으로 17-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 뿐만 아니라 원핵생물 또는 곰팡이 등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가지며 일부는 암세포와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곤충은 미생물의 침입에 반응하는 효과적인 고유의 면역 반응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세포 반응 및 체액 반응과 관련이 있다. 방어의 첫 번째 라인인 큐티클을 통하여 미생물이 곤충 혈체강을 침입할 때, 세포 반응(식균작용, 근류 형성 및 피막 형성) 및 체액 반응은 조직 혈체강에서 시작되고, 병원균 및 기생충의 소멸을 야기한다(Kocks et al. 2005 Cell 123:11-22). 이러한 체계적인 항균 반응에서 곤충의 항균 펩타이드(체액 반응)는 병원균 및 기생충의 소멸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곤충-유래 펩타이드는 생물 의약 및 화학분야의 바이오기반 산업에서 질병 치료제나 생리활성 물질 개발에 사용되는 활용도가 넓은 소재일 뿐만 아니라, 생체 내 독성이 낮고 작용 후 배출이 용이해 면역반응을 유발가능성이 낮으며, 생체내 표적 특이성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합성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 품질 관리가 용이해 바이오메티컬이나 식의약품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이 크다.
또한, 기회적인 요소로는 신규 항생제 개발 비용이 증가하고, 장기간이 소요되는 약제개발에 비해 급속한 내성균의 출현과 다양한 약제에 내성을 다제내성균에 의한 사망자가 증가를 보임에 따라 곤충-유래 펩타이드가 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신물질로 부상하고 있으며, 펩타이드 합성공정의 발전으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요건에 부합하는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점과 바이오기반 신소재, 신약의 시장이 성장 추세에 있으므로 지속적 발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생리활성 펩타이드를 대표하는 곤충-유래 펩타이드로서 꿀벌 유래 유용 펩타이드인 멜리틴(melittin)이 있다. 이는 효과적인 항균 활성 물질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고비용의 합성 비용과 복잡한 합성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양봉산업의 소득원은 꿀,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봉독 등의 양봉산물에 의존적인 구조로 기후변화나 질병에 취약한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제적으로 2009년 이후 발병한 낭충봉아부패병으로 국내 토종벌 산업기반이 70%이상 상실되는 위기를 겪었다. 이러한 불안요인 및 불량환경에 의한 양봉 농가의 피해를 경감하고 양봉농가 수입의 안정화를 위해 수밀력과 프로폴리스 등의 생산량 우수 품종의 육성에만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곤충-유래 항균 펩타이드로서 꿀벌 유래의 항균 기능성을 갖는 알려지지 않은 펩타이드를 선별함으로써, 양봉산물이 아닌, 꿀벌 자체를 유전자원으로 보고 신규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곤충-유래 항균 펩타이드를 중심으로 한 항균 작용을 가진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은 인간을 포함한 가축 등의 질병 방제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각종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피해 방지 및 치료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Alberola, J., Rodriguez, A., Francino, O., Roura, X., Rivas, L and Andreu, D. 2004. Safety and effocacy of antimicrobial peptides against naturally acquired leishmaniasi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8 : 641-643. 2. Andreu, D. and L. Rivas. 1998. Animal antimicrobial peptides : an overview. Biopolymers 47, 415-433.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보다 높은 항균 기능을 갖는 신규한 펩타이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서양종 꿀벌 펩타이드 시퀀스에서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펩타이드 서열 중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예측되는 13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를 선별하였고, 상기 펩타이드를 박테리아에 처리했을 때, 종래 공지된 강력한 펩타이드보다 탁월하게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규한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방부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의약품 보존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벌,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의 항균 기능에 대하여 처음으로 규명하였으며, 상기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 신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의 항균성 펩타이드는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의 게놈에서 유래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은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상호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응하는 자연 발생 아미노산뿐 아니라 자연 발생 아미노산 중합체의 유사체 또는 모방체인 아미노산 중합체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는, 예를 들어, 탄수화물 잔기의 첨가에 의하여 당단백질을 형성하도록 변형되거나 인산화된 아미노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자연-발생 및 비-재조합 세포에 의해 생성될 수 있거나, (폴리)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 또는 재조합 세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나이브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분자 또는 나이브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으로부터의 결실, 이에 대한 첨가 및/또는 이의 치환을 갖는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또는 "핵산(nucleic acid)"이라는 용어는 리보뉴클레오티드 뿐만 아니라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등 온갖 길이의 뉴클레오티드 중합체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분자의 1차적 구조만을 의미하고, 따라서 이중 또는 단일 사슬의 DNA 또는 RNA를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변형의 알려진 유형, 예를 들어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표지(label), 메틸화, "caps", 유사체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자연 발생의 뉴클레오티드 치환, 탈결합(예: methyl phosphonate, phosphotriester, phosphoamidate, carbarnate, 등)과 결합(예:phosphorothioate, phosphorodithioate, 등), 단백질(예: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 poly-Llysine,등) 등의 부속물을 포함하는 것, 삽입물(예: 아크리딘, Psolalen, 등)을 가지는 것, 킬레이트(예: 금속원소, 방사성 금속원소, 붕소, 산화 금속원소, 등)을 가지는 것, 알킬화합물을 가지는 것, 변형된 결합(예: alpha anomeric 핵산, 등)을 가지는 것,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비변형을 포함한 뉴클레오티드간 변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핵산 부분은 지놈(genome)의 파편과 짧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결합자 또는 일련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 오페론(operon)이나 진핵세포 유전자로부터 유도된 조절인자(regulatory element)를 포함하는 재조합 전사 단위로 발현될 수 있는 합성 핵산을 제공하는 특유의 뉴클레오티드들로 뭉쳐질 것이다
"기능적 등가물"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기준(reference) 서열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 결실 또는 부가, 기준(reference) 서열과 실험(subject) 서열 사이의 다양한 기능적 비유사성을 낳지 않는 실제 효과(net effect) 등 변화된 돌연변이 서열의 뉴클레오티드와 핵산서열 모두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그런 실질적 등가물인 서열은 단지 약 35%(즉, 실질적으로 등가적인 서열에서의 각 잔기 치환, 부가 및 결실의 숫자는 상응하는 기준 서열과 비교하고 실질적으로 등가적인 서열에서의 나머지 전체 숫자로 나누었을 때 약 0.35 또는 그 이하이다) 정도로 본 명세서에 나열된 것에서부터 다양하다. 그런 서열은 나열된 서열과 65%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 등가물인, 예를 들어 돌연변이, 아미노산 서열은 나열된 아미노산 서열과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80%의 서열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90%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실질적 등가물인 본 발명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예를 들어, 유전자 암호의 중복(redundancy) 또는 축퇴(degeneracy)를 고려할 때, 더 낮은 백분율의 서열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최소한 약 65%의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약 75%의 동일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의 동일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등가적인 생물학적 활성과 실질적으로 등가적인 합성 특징을 가지는 서열들은 실질적 등가물로 취급된다. 등가물을 결정하기 위해, 성숙 서열(예를 들어, 위(spurious) 종결코돈(stop codon)을 제조하는 돌연변이를 통한)의 절단(truncation)은 무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항균성 펩타이드는, 야생형뿐만 아니라 90% 이상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가지고 항균 활성을 가지는 기능적 상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동성"이란 야생형(wild type)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신규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정의되는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육안으로나 구입이 용이한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시판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서열 간의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으며, 상동성(%)은 인접한 서열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인위적인 변형에 의해 90% 이상의 상동성이 유지되고 본 발명에서 항균 활성을 보유하는 한 균등한 폴리펩티드임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펩타이드는 항균 활성을 보유하는 한 이들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이체란 천연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폴리펩타이드)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야생형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활성을 갖는 기능적 상동체 또는 물리 화학적 성질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변형을 가지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펩티드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변형된 변이체이다. 예를 들어, 온도, 수분, pH, 전해질, 환원당, 가압, 건조, 동결, 계면장력, 광선, 동결과 해동의 반복, 고농도 조건 등의 물리적 요인과 산, 알카리, 중성염, 유기용매, 금속이온, 산화환원제, 프로티아제 등의 화학적 요인의 외부 환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된 변이체이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상의 변이로 항균 활성이 증대된 변이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단백질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제조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단백질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세포에 함유된 서양종 꿀벌 유래의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는 많은 공지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폴리펩티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통상의 단계적인 액체 또는 고체상 합성, 단편 응축, F-MOC 또는 T-BOC 화학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은 고체상 합성방법(solid phase syntheses)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는 보호된 아미노산간의 응축반응(condensation reaction)에 의하여 통상의 고체상 방법으로, C-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서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합성할 수 있다. 응축 반응 후 보호기 및 C-말단 아미노산이 연결된 담체를 산분해(acid decomposition) 또는 아미놀리시스(aminolysis)와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폴리펩티드 합성법은 관련 서적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핵산)를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벡터를 숙주세포로 형질전환(도입)하여 본 발명의 신규한 폴리펩티드가 발현되도록 숙주세포를 배양한 뒤, 숙주세포로부터 상기 단백질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단백질은 선택된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킨 후, 분리 및 정제를 위해 통상적인 생화학 분리 기술, 예를 들어 단백질 침전제에 의한 처리(염석법), 원심분리, 초음파파쇄, 한외여과, 투석법, 분자체 크로마토그래피(겔여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순도가 높은 단백질(폴리펩티드)을 분리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균성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그람-음성 박테리아는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했을 때 적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으로, 세포벽은 얇고(약 10nm) 세포막은 외측에 다량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LPS는 체내에서 염증을 유발하여 패혈증을 비롯한 다른 질병을 유발한다.
상기 그람-음성 박테리아는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에스케리키아 알버티(Escherichia albertii), 에스케리키아 블라태(Escherichia blattae), 에스케리키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에스케리키아 헤르마니(Escherichia hermannii), 에스케리키아 불네리스(Escherichia vulneris),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아시네토박터 주니(Acinetobacter junii), 아시네토박터 보이시에리(Acinetobacter boissieri),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아시네토박터 해모리티쿠스(Acinetobacter haemolyticus), 아시네토박터 노소코미알리스(Acinetobacter nosocomialis), 아시네토박터 쉰들레리(Acinetobacter schindleri), 아시네토박터 유르신기(Acinetobacter ursingii),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세균성이질균(Shigella spp.),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monella typhimurium),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쉬겔라(Shigella),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장내세균속균(Enterobacteriaceae), 헤모필루스(Haemophilus), 브루셀라(Brucella), 레지오넬라(Legionella),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비브리오균(Vibrio) 및 스테노프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항균(antibacterial 또는 antimicrobial)"은 박테리아(bacteria)에 대한 살균 또는 제균 활성을 갖는, 합성되거나 변형된 작용제를 지칭한다. 이와 관련해서 "활성" 작용제는 그람-음성균의 성장을 억제할 것이다. 용어 "성장을 억제하는"은 특정 박테리아의 집단의 수가 증가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박테리아 집단이 증가하긴 하지만 느린 속도로 증가하는 상황 뿐만 아니라, 집단에서 세균의 수가 감소되거나 심지어 집단이 제거되는 상황을 포함한다. 효소 활성 검정이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효소 억제와 성장 억제를 상호관련시키기 위해 화합물에 대해 흡수/유출, 용해도, 반감기 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1~1,000㎍/㎖ 농도, 바람직하게는 1~700㎍/㎖ 농도의 상기 항균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용도(효과)를 가지므로 의약품, 세정제, 식물병 방제제, 코팅제 또는 화장품과 같은 제품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한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수의학적 또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항균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의 용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항균성 폴리펩티드는 치료용 세포(세포치료제)의 생착 관련 수용체 및 부착분자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항균성 폴리펩티드를 이용할 경우 임플란트되거나 이식된 세포치료제의 목표 장기 (골수, 손상조직, 림프절, 종양조직 등)에 생착되는 비율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항균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하고 있는바, 생체내 생착 기능을 증가시키는 용도로 세포치료제를 사용하여 치료되는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한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병원균 방제제, 해충기피제, 비료제로서의 용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물세포 또는 식물 종자에 접촉 또는 처리함으로써 식물세포나 식물종자 표면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현저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한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므로, 항균이 필요한 물품에 코팅제의 용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항균 도마, 항균 치약 용기, 항균 칫솔갑, 항균 화장품 용기, 항균 쓰레기통, 항균 대야, 항균 컵, 항균 병, 항균 쌀통, 항균 김치통, 항균 바가지, 항균 포장지, 항균 식품저장용기, 항균박스, 항균 양념통, 항균 물통, 항균 음료용 병, 항균 부직포, 항균 섬유, 항균 행주, 항균 걸레, 항균 수세미, 항균 이불 커버, 항균 침대 커버, 항균 식탁매트, 항균 변기 시트 커버, 항균 불고기판, 항균 기저귀, 항균 생리대, 항균 마스크, 항균 붕대, 항균 밴드, 항균 의료 물품, 항균 과일 포장지, 항균 꽃 포장지, 항균 벽지, 항균 장판 및 항균 타일 등과 같은 물품을 코팅할 수 있는 코팅용 항균 조성물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활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다른 항균물질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의 형태로,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연고, 경구투여제 또는 정제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이때, 식품 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또는 의약품 보존제는 식품이나 의약품의 변질, 부패, 변색 및 화학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살균제, 산화방지제가 이에 포함되며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 또는 의약품에서 부패미생물의 발육저지 또는 살균작용을 하는 등의 기능성 항생제도 포함된다.
이러한 항생제, 식품 방부제, 화장품 또는 의약품 보존제의 이상적인 조건으로는 독성이 없어야 하며, 미량으로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신규 펩타이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독성이 미미하므로 항생제, 식품의 방부제, 화장품 또는 의약품 보존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에는 글루코스, 펩톤, 효모추출물, 제2인산, 황산마그네슘, 시스테인 등, 사료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의 펩타이드는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천연 항생제, 식품방부제,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또는 사료 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NGS기법으로 서양종 꿀벌 전사체를 분석하여 획득된 15,314 펩타이드들의 이화학적 특성(Peptid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study) 중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s)의 특성에 따라 분류했을 때 이에 부합하는 후보로 44 개의 펩타이드들이 선별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대장균(E.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항균 활성을 예측분석한 선발군에 따라 선별한 결과를 보여준다(1군-노란색; 2군-초록색; 3군-빨간색으로 표시).
도 3은 본 발명의 신규한 펩타이드 AAMP063의 노출 농도와 대장균 생장곡선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서양종 꿀벌 유래의 펩타이드 분석
본 발명자들은 NGS 기술 및 유전체 분석을 통해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한 펩타이드를 발굴하였다.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다:
서양종 꿀벌로부터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펩타이드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서양종 꿀벌의 전체 RNA를 분리하였고, 이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중복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합하는 등 각각의 유전자별 분류를 위하여 NCBI에 등록된 유전자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가지는 기능을 확인하고 항균 기능성 팹타이드를 선발 후 기존 등록 사실이 없는 신규 항균 펩타이드(unknown)를 선발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양종 꿀벌 전사체들에 관한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여 총 15,314 개의 펩타이드들의 유전정보를 확보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5,314 개 펩타이드 중 펩타이드의 이화학적 특성(Peptid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study) 분석을 통해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s)의 특성에 부합하는 후보로서 44 개의 펩타이드들을 1차로 선별하였고, 상기 펩타이드 이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도 1):
- Molecular propensity : isoelectric point (positive charge), length (<100), Alpha helix propensity, turn propensity, drophobicity etc...
- Aggregation Propensity: in vitro (TANGO index), in vivo aggregation (Aggrescan Na4vSS index)
- Allergen Propensity: non-allergen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4개의 펩타이드들 중 DNA-binding prediction score 분석을 통해 대장균(E.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항균 활성(>0.8)이 높은 펩타이드들을 2차로 선별하였고, 상기 항균 활성의 선별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선발군 1군; 노란색 표시(항균활성=0.8, prediction score>10): 1개, 펩타이드 합성 진행
- 선발군 2군; 초록색 표시(항균활성<0.8, 5<prediction score <10): 5개
- 선발군 3군; 빨간색 표시(중복되는 군): 3개
상기 결과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가지는 항균 기능을 확인하고 이 중 가장 적합한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로 선별된 아미노산 서열은 RDKKTLKIMKLFI(서열번호 1)으로 13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AAMP063(Apis mellifera antimicrobial peptide 063)으로 명명하였다.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펩타이드 길이 설명 소스(Source)
멜리틴(Melittin) GIGAVLKVLTTGLPALISWIKRKRQQ 26 공지됨(known)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AAMP063 RDKKTLKIMKLFI(서열번호 1) 13 알려지지않은 단백질(Uncharacterized protein)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실시예 2.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한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검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 AAMP063의 항균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판배지(Luria-Bertani agar media) 확산법으로 박테리아 성장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다:
1 X 106 CFU(colony forming units)/㎖ 농도의 그람-음성 박테리아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KACC no. 10005)을 LBA(Luria-Bertani agar)를 플레이트에 도말하고, 지름 4mm의 구멍을 내어 농도별 펩타이드(peptide)를 점적한 후 37℃, 24 시간동안 배양하여 생성된 클리어 존(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이용된 시험군은 다음과 같다:
그룹 1(정상 대조군); 펩타이드 대신 0.9% 식염수 처리
그룹 2(양성 대조군); 공지된 항균 펩타이드인 봉독유래 펩타이드 멜리틴(melittin; honey bee venom #M7391, Sigma-Aldrich, M.W. 2846.46) (45μg/well) 2배 순차 처리
그룹 3(실험군);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 AAMP063(Apis mellifera AntiMicrobial Peptide 063)(45μg/well~ Min 0.49μM) 처리.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선별된 후보 펩타이드인 AAMP063의 농도가 높을수록 대장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항균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3 반복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45μg/well)에서 박테리아 성장 영역(클리어 존)의 직경을 확인했을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 AAMP063의 박테리아 성장 영역의 직경은 9.88mm인 반면, 양성 대조군인 봉독유래 펩타이드 멜리틴은 7.63mm에 불과하였다.
즉, 본 발명의 펩타이드 AAMP063의 박테리아 성장 영역 직경이 양성 대조군의 것보다 현저하게 넓으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 AAMP063의 항균 효과가 종래 공지된 항균 펩타이드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AAMP063가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는 2.81μg/well 내지 45μg/well 사이로, 이는 멜리틴의 5.63μg/well ~ 45μg/well보다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 AAMP063은 현재 상용중인 봉독 유래 멜리틴(대조군)보다 그람 음성균 박테리아에 대해 강력한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로도 현저하게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AAMP063는 종래 공지된 강력한 항균 펩타이드인 멜리틴과 비교하였을 때 멜리틴보다 낮은 농도로도 현저히 높은 항균 활성을 보이므로, 기존의 유해 균주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발굴된 신규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 AAMP063는 13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화학적 합성이 가능하며, 낮은 농도로도 뛰어난 박테리아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현재 의약품으로 판매중인 봉독 유래 멜리틴의 한계로 지적된 고비용성 생산과 복잡한 공정 과정을 해결할 수 있어 종래 공지된 펩타이드의 문제점을 개선 및 극복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서양종 꿀벌 유래 펩타이드 AAMP063는 뛰어난 항균 효과에 기초하여 생체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식의약제제나 항생제 대용 가축 사료 첨가제 등에 응용가능한 신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양봉산물에 국한적이었던 종래 양봉산물 집약적인 구조의 양봉산업을 바이오 기반 고부가가가치 산업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곤충유전자원활용 및 양봉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Novel peptide from Apis mellifera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RDA1-1p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3 <212> PRT <213> Apis mellifera <400> 1 Arg Asp Lys Lys Thr Leu Lys Ile Met Lys Leu Phe Ile 1 5 10

Claims (9)

  1. 항균 활성을 가지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
  2.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는 그람-음성 박테리아(Gram-Nega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음성 박테리아는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에스케리키아 알버티(Escherichia albertii), 에스케리키아 블라태(Escherichia blattae), 에스케리키아 페르구소니(Escherichia fergusonii), 에스케리키아 헤르마니(Escherichia hermannii), 에스케리키아 불네리스(Escherichia vulneris),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아시네토박터 주니(Acinetobacter junii), 아시네토박터 보이시에리(Acinetobacter boissieri),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Acinetobacter calcoaceticus), 아시네토박터 해모리티쿠스(Acinetobacter haemolyticus), 아시네토박터 노소코미알리스(Acinetobacter nosocomialis), 아시네토박터 쉰들레리(Acinetobacter schindleri), 아시네토박터 유르신기(Acinetobacter ursingii),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세균성이질균(Shigella spp.),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monella typhimurium),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쉬겔라(Shigella),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장내세균속균(Enterobacteriaceae), 헤모필루스(Haemophilus), 브루셀라(Brucella), 레지오넬라(Legionella), 버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비브리오균(Vibrio) 및 스테노프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박테리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생제.
  6.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방부제.
  7.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제.
  8.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의약품 보존제.
  9.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190072968A 2019-06-19 2019-06-19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26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68A KR102267302B1 (ko) 2019-06-19 2019-06-19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968A KR102267302B1 (ko) 2019-06-19 2019-06-19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835A true KR20200144835A (ko) 2020-12-30
KR102267302B1 KR102267302B1 (ko) 2021-06-21

Family

ID=7408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968A KR102267302B1 (ko) 2019-06-19 2019-06-19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22A (ko) * 2021-03-15 2022-09-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배양체를 포함하는 산성 토양 중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89139A (ko) *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봉독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31A (ko) * 2016-06-23 2018-01-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람음성 다제내성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31527A (ko) * 2016-09-20 2018-03-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균과 아세네토박터균 및 그 다제내성균에 대해 항생제와 높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52181A (ko) * 2016-11-10 2018-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프로테티아마이신 2 및 그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531A (ko) * 2016-06-23 2018-01-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람음성 다제내성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31527A (ko) * 2016-09-20 2018-03-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균과 아세네토박터균 및 그 다제내성균에 대해 항생제와 높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52181A (ko) * 2016-11-10 2018-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프로테티아마이신 2 및 그의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Alberola, J., Rodriguez, A., Francino, O., Roura, X., Rivas, L and Andreu, D. 2004. Safety and effocacy of antimicrobial peptides against naturally acquired leishmaniasi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8 : 641-643.
2. Andreu, D. and L. Rivas. 1998. Animal antimicrobial peptides : an overview. Biopolymers 47, 415-43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22A (ko) * 2021-03-15 2022-09-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배양체를 포함하는 산성 토양 중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89139A (ko) *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봉독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302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941B2 (ja) 生物活性を有する短ペプチド及び該ペプチドの使用方法
Castle et al. Lethal effects of apidaecin on escherichia coliinvolve sequential molecular interactions with diverse targets
AU758698B2 (en) Anti-endotoxic,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Arasu et al. Bacterial membrane binding and pore formation abilities of carbohydrate recognition domain of fish lectin
JP6066222B2 (ja) 抗菌ペプチド及びその利用
Arasu et al. Bactericidal activity of fish galectin 4 derived membrane-binding peptide tagged with oligotryptophan
Park et al. Insect immunology
KR102267302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서양종 꿀벌 유래의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10499655B2 (en) Reagents and methods for inhibiting or disrupting biofilm
Amer et al.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y of Lucilia sericata, Chrysomya albiceps (Diptera: Calliphoridae) and Musca domestica (Diptera: Muscidae) whole body extract
EP1688486B1 (en) Antibacterial peptide and utilization of the same
KR101837658B1 (ko) 신규한 아에로모나스 히드로필라 특이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4154218B2 (ja) 新規抗菌性ポリペプチドとその利用
KR20220037035A (ko) 왕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KR102277576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CN1144597C (zh) 转基因抗菌肽蝇蛆中制备兽用基因抗菌肽药品的方法及其应用
KR101842673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e1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5777875B (zh) 一种抗菌肽cstc24及其应用
KR10249684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프로테티아마이신-5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9239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프로테티아마이신-4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511151B1 (ko) 왕지네 유래 펩타이드 스콜로펜드라신-13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4507080B2 (ja) 抗菌ペプチド及びその利用
CN113150064B (zh) 一种抗菌抗虫肽的人工合成方法及其应用
Gundappa et al. Bioprospecting for antimicrobial peptides from insects: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acidified methanol extract of dung beetles
JP2006238751A (ja) ベロ毒素結合性を有する抗菌ペプチド及びその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