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54A -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54A
KR20200144354A KR1020190072301A KR20190072301A KR20200144354A KR 20200144354 A KR20200144354 A KR 20200144354A KR 1020190072301 A KR1020190072301 A KR 1020190072301A KR 20190072301 A KR20190072301 A KR 20190072301A KR 20200144354 A KR20200144354 A KR 2020014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light
image forming
switch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당유
임준빈
한재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7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354A/ko
Priority to US17/413,742 priority patent/US11435686B2/en
Priority to PCT/US2020/033389 priority patent/WO2020256871A1/en
Publication of KR2020014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01F23/2921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for discrete lev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24Magnetic detector or switch, e.g. reed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하며, 인쇄 엔진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통, 폐토너 통 내의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토너량 감지 센서와 폐토너 통의 탈착 여부에 따라 전압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 회로, 및 감지 회로에 출력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인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DETECTION OF WASTER TONER USING SWITCH}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방식에 따라 잉크젯 방식, 도트젯 방식, 레이저 프린터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레이저 프린터 방식은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토너를 부착시켜 정점 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만든 다음, 이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인쇄하는 방식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폐토너 통의 장착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토너량 감지 센서와 스위치의 구체적 배치 형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너량 감지 센서의 형태의 예와 스위치의 다른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1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2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9는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3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0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4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토너량 및 폐토너 통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인쇄 엔진(120), 폐토너 통(200) 및 감지 회로(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은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감광드럼을 이용하여 화상형성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폐토너 통(200)은 인쇄 엔진(120)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수거한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통(200)은 폐토너를 보관할 수 있는 통 형태를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인쇄 엔진(120)의 클리닝 부재(129)에서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폐토너 통(200)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현된 소모품이다. 폐토너 통(20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지 않거나,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가 꽉 차있는 경우에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인쇄 작업 전에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었는지와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또는 토너량)이 확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되,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으면 0V 또는 전원단(Vcc)의 전압을 출력하는 감지 회로(300)를 이용한다. 감지 회로(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1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의 장착 감지,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 감지가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가 초기 구동된 경우, 기설정된 페이지 단위 이상 출력 작업이 수행된 경우,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덮개가 개폐된 경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폐토너 통(200)의 장착 감지 및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 감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10)는 감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감지 회로(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폐토너량 감지를 수행하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도록 감지 회로(3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감지 회로(30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인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전압값을 입력받기 위한 ADC(Analog Digital Converter) 포트를 구비하고, ADC 포트에서 감지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폐토너 통(200)의 장착 여부(또는 탈착 여부),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에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어 있으나, 확인된 폐토너량이 폐토너 통 가득에 대응되는 값(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2 설정값)인 경우에도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에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상태는 중대한 문제에 의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어 있고, 확인된 폐토너량이 일정 값(예를 들어, 제2 설정값보다 작은 제1 설정값) 이상이었으면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폐토너 통(20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경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상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폐토너 통 교체가 필요함을 알리거나, 후술하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50)를 이용하여 폐토너 통 교체가 필요함을 표시하는 동작 모드이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어 있으며, 확인된 폐토너량이 일정 값(예를 들어, 제1 설정값) 미만이었으면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인쇄 엔진(120), 통신 장치(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150), 조작 입력부(160), 폐토너 통(200) 및 감지 회로(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 엔진(120), 폐토너 통(200) 및 감지 회로(30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10)의 동작에 대해서도 도 1에서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추가된 신규 구성과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통신 장치(13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3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3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30)는 폐토너 통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폐토너 통의 교체가 필요함을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관리자(구체적으로, 관리자의 단말장치)에게 통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통신 장치(13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감지된 폐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5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6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50)는 폐토너 통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교체 예측 시점에 대한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에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았거나, 폐토너 통에 폐토너가 가득 차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인쇄 작업이 불가함을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6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1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서버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폐토너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현재 장착된 폐토너 통(200)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된 수명이 기설정된 시점에 도달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수명 완료 시점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하거나, 관라자에게 통지되도록 통신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경고 모드이면, 즉, 폐토너량이 일정 이상이면 폐토너 통(200)의 교체가 곧 필요함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에러 모드이면, 폐토너 통(200)의 교체가 필요함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러 모드시에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작업이 요청되면, 프로세서(110)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이 통지되도록 통신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경고 또는 에러 이후에, 사용자가 폐토너 통을 교체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폐토너 통(200)의 장착 및 폐토너 통(200)의 토너량을 확인하고,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고, 장착된 폐토너 통(200)의 토너량이 정상 범위 값을 가지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경고 모드 또는 에러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폐토너 통의 장착 여부와 폐토너 통의 폐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도 하나의 포트만을 이용하여 폐토너 통의 장착 여부 및 폐토너 통의 폐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폐토너 통(200)과 인쇄 엔진(120)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폐토너 통(200)은 인쇄 엔진(1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감지 회로(300)도 인쇄 엔진(120) 내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엔진(120)은 감광 드럼(121), 대전기(122), 노광기(123), 전사기(125), 현상기(126), 정착기(128) 및 클리닝 부재(129)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21)은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 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22)는 감광 드럼(1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2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2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2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2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126)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126)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기(126)를 교체 가능하게 구현한 것을 토너 카트리지라고 지칭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2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12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129)는 감광 드럼에 형성된 화상 중 기록 매체(P)에 전사되지 않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고, 제거된 잔류 토너를 폐토너 통(2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가 가득 차는 경우, 새 폐토너 통(200)으로 교체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교체 가능하다는 점에서, 폐토너 통(200)은 소모품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클리닝 부재(129)와 폐토너 통(200)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클리닝 부재(129)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은 폐토너 통(200)과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폐토너 통의 장착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01)의 일 측에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는 영역을 갖는다.
폐토너 통(200)은 상술한 영역에 장착되며, 폐토너 통(200)이 본체(101)에 장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129)에서 배출하는 폐토너를 수거할 수 있다. 이러한 폐토너 통(200)은 본체(101)와 접하는 면에 광 부재(210)와 돌출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광 부재(210)는 폐토너 통(200) 외부의 빛을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의 광 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부재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 렌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 도관이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광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돌출 부재(220)는 폐토너 통(200)의 일 면에 돌출된 형태를 갖는 부재로, 폐토너 통(200)과 본체(101) 사이의 유격과 무관하게 스위치(32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폐토너 통(200)의 일 면의 접촉에 의해서도 스위치(320)가 정확한 동작이 가능한 경우, 돌출 부재(220)는 생략될 수 있다.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320)와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토너량 감지 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량 감지 센서(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통(200)의 광 부재(210)에 대향되는 본체(101) 측에 위치하며,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토너량 감지 센서(3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위치(320)는 폐토너 통(200)이 본체(101)에 장착되는 경우에 만나는 면에 위치하며, 폐토너 통(200)의 장착 및 탈착 상태에 대응하여 전기적 연결 상태가 가변 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32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된 경우, 스위치(320)의 양단이 단락(short)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스위치(320)의 양단이 단선(open)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폐토너 통(200)이 장착된 경우, 스위치(320)의 양단이 단선(open)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스위치(320)의 양단이 단락(short)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320)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와 프로세서(110) 사이에 배치되어, 폐토너 통(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토너량 감지 센서(310)의 출력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320)는 인터락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자와 도선 부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락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복수의 단자와 도선 부재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4를 도시함에 있어서, 본체(101)에 토너량 감지 센서(310)와 스위치(320)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폐토너 통(200)과의 물리적으로 고정을 위한 락킹 부재 등이 추가로 본체(101) 또는 폐토너 통(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토너량 감지 센서와 스위치의 구체적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폐토너 통(200)은 광 부재(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부재(210)는 두개의 광 도관(211, 21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 도관(211)은 외부에서 조사된 빛을 폐토너 통(200) 내부로 전달하는 광학 도관이다. 따라서, 외부(구체적으로, 발광 소자(311))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제1 광 도관(211)을 통하여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내부로 전달된 광은 폐토너 통(200) 내에서 반사되고, 반사되는 빛 중 일부는 제2 광 도관(213)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광 도관(213)은 폐토너 통(200) 내에서 반사된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광 도관이다. 따라서 제2 광 도관(213)의 내부 끝단에서 입사된 광은 제2 광 도관(213)의 외부측 끝 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200) 내의 폐토너량이 증가하며, 폐토너 통(200) 내에서 제2 광 도관(213)으로 반사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제1 광 도관(211) 및 제2 광 도관(213)의 내부측이 잠길 정도로 폐토너가 쌓이게 되면, 제2 광 도관(213)은 빛을 출력하지 않거나 거의 출력하지 않게 된다.
토너량 감지 센서(31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발광 소자(311)와 수광 소자(313)로 구성되며, 폐토너 통(200)의 광 도관(211, 213)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311)와 수광 소자(313)가 인접하게 설치되는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회로 설계가 용이하다.
발광 소자(311)는 빛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311)는 제1 광 도관(211)의 외부측 끝 단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제1 광 도관(211)을 항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소자(311)에서 조사된 빛은 제1 광 도관(211)을 통하여 폐토너 통(200) 내부로 전달되고, 일부 반사된 빛이 제2 광 도관(213)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수광 소자(313)는 빛을 감지하고, 감지된 빛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313)는 제2 광 도관(213)의 외부측 끝 단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2 광 도관(213)에서 출력되는 빛 세기(또는 광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수광 소자의 종류로 빛의 세기에 비례하여 전압값을 출력하는 NPN 타입의 수광 소자(이하, NPN 수광 소자) 또는 빛의 세기에 반비례하여 전압값을 출력하는 PNP 타입의 수광 소자(이하, PNP 수광 소자)가 있다. NPN 수광 소자(314)로 수광 소자(313)를 구현한 경우의 회로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PNP 수광 소자(315)로 수광 소자(313)를 구현한 경우의 회로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위치(320)는 폐토너 통(200)의 돌출 부재(22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폐토너 통(200)의 장착 여부에 대응하여 전기적 연결 상태가 선택적으로 단락 또는 단선될 수 있다. 구현시에 스위치(320)는 인터락(interlock)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락 스위치는 압력이 있는 경우에 단락된 상태를 갖고, 압력이 제거된 경우에 단선되는 타입이 있고, 압력이 있는 경우에 단선되고, 압력이 제거된 경우에 단락되는 타입이 있다. 앞선 타입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뒷 타입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폐토너 통(200)의 돌출 부재(220)는 폐토너 통과 본체 사이의 유격에 의하여, 폐토너 통이 장착되더라도 상술한 접속 면이 충분히 인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폐토너 통(200)의 돌출 부재(220)는 인터락 스위치에 대향되게 폐토너 통(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부재(220)는 상술한 유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인바, 유격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토너량 감지 센서의 형태의 예와 스위치의 다른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폐토너 통(200')은 돌출 부재(220)의 표면에 도선 부재(240)가 추가로 배치된다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의 구성과 다른 부분만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토너량 감지 센서(31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발광 소자(311), 수광 소자(313) 및 가이드 부재(319)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11)와 수광 소자(313)는 도 5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부재(319)는 발광 소자(311)에서 조사된 빛을 정면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소자(311)에서 조사된 빛이 바로 수광 소자(31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19, 240)는 두 개의 단자(329)와 도선 부재(240)로 구성된다.
두 개의 단자(329)는 본체(101)에 상호 이격 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두 개의 단자(329)는 앞서 설명한 스위치(320)의 양 단에 대응된다.
그리고 도선 부재(240)는 폐토너 통(200)의 돌출 부재(220)의 상부에 형성되고, 폐토너 통(200)이 본체(101)에 장착되면 본체(101) 측의 상술한 두 개의 단자(329)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19, 240)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선된 상태를 가지며,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면 폐토너 통(200)의 도선 부재(240)에 의하여 단락되게 된다.
한편, 도 6을 도시함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19)가 발광 소자(311)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가이드 부재(319)의 기능은 발광 소자(311)의 빛이 수광 소자(313)로 바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바, 가이드 부재(319)는 수광 소자(313)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발광 소자(311)와 수광 소자(313) 사이에만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도시함에 있어서, 스위치를 인터락 스위치나 복수의 단자와 도선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폐토너 통이 접속하면 전기적으로 단락(또는 단선)되고, 폐토너 통이 탈착되면 전기적으로 단선(또는 단락)될 수 있다면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1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구현 예에 따른 감지 회로(300)는 풀업 회로, NPN 수광 센서를 이용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지 회로(300)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 스위치(321), 풀업 회로(330) 및 구동 회로(350)로 구성될 수 있다.
토너량 감지 센서(310)는 발광 소자(311)와 수광 소자(314)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11)는 구동 회로(350)로부터 구동 전원을 제공받으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311)는 일 단이 저항을 통하여 전원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구동 회로(350)의 일단(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311)는 LED(Light-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수광 소자(314)는 NPN 수광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314)의 일 단은 스위치(321)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접지된다. NPN 수광 소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광 소자(314)는 빛이 감지되면 턴-온되고,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턴-오프되며, 빛의 세기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321)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면 단락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단선 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21)는 일 단이 풀업 회로(330)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수광 소자(314)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현 예에서의 스위치(321)는 인터락 스위치일 수 있으며,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두 개의 단자와 도선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풀업 회로(330)는 플로팅 상태(즉,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단에 전원단(Vcc)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업 회로(330)는 일 단이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스위치(321)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35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311)에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스위치(321)가 턴-오프되는바, 전원단(Vcc)의 전원이 바로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에 제공된다. 즉,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전원단(Vcc)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폐토너 통(200)이 연결된 경우, 스위치(321)는 턴-온되는바,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0V에서 전원단의 전압보다 일정 전압값 낮은 전압'의 범위 내에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전원단의 크기와 같은 전압이 입력되면,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전압 범위 내의 전압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값에 대응되는 폐토너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량이 많을수록 수광 소자(314)에서의 전압값은 작아지는바, 감지 회로(300)의 출력 전압값과 산출되는 폐토너량은 반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2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구현 예에 따른 감지 회로(300')는 풀다운 회로, NPN 수광 센서를 이용한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감지 회로(300')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 스위치(321'), 풀다운 회로(340) 및 구동 회로(350)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11) 및 구동 회로(350)는 도 7의 동작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광 소자(314')는 NPN 수광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314')의 일 단은 스위치(321')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은 전원단(Vcc)에 연결된다.
스위치(321')는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면 단락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단선 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21')는 일 단이 풀다운 회로(340)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수광 소자(314')의 일 단에 연결된다. 제2 구현 예에서의 스위치(321')는 인터락 스위치일 수 있으며,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두 개의 단자와 도선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풀다운 회로(340)는 플로팅 상태(즉,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단에 0V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다운 회로(340)는 일 단이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스위치(321')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스위치(321')가 턴-오프되는바,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는 접지에 연결된다. 즉,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0V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폐토너 통(200)이 연결된 경우, 스위치(321')는 턴-온되는바,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0V보다 조금 높은 전압부터 전원단(Vcc)의 전압'의 범위 내에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ADC 포트에서 0V 전압이 입력되면,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전압 범위 내의 전압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값에 대응되는 폐토너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량이 많을수록 수광 소자(314')에서의 전압값은 작아지는바, 감지 회로(300)의 출력 전압값과 산출되는 폐토너량은 반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3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3 구현 예에 따른 감지 회로(300")는 풀업 회로, PNP 수광 센서를 이용한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감지 회로(300")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 스위치(325), 풀업 회로(330) 및 구동 회로(350)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11) 및 구동 회로(350)는 도 7의 동작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광 소자(315)는 PNP 수광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315)의 일 단은 스위치(325)의 일 단 및 풀업 회로(330)의 타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은 접지된다.
스위치(325)는 폐토너 통이 장착되면 단선(open)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단락(short)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25)는 일 단이 풀업 회로(330)의 타 단과 수광 소자(315)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된다. 이러한 스위치(325)는 인터락 스위치일 수 있다.
풀업 회로(330)는 플로팅 상태(즉,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단에 0V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업 회로(330)는 일 단이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스위치(325)의 일 단과 수광 소자(315)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스위치(325)가 턴온 되는바,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는 접지에 연결된다. 즉,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0V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폐토너 통(200)이 연결된 경우, 스위치(321)는 턴-오프되는바,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0V보다 조금 높은 전압부터 전원단(Vcc)의 전압'의 범위 내에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ADC 포트에서 0V 전압이 입력되면,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전압 범위 내의 전압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값에 대응되는 폐토너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PNP 수광 소자(315)가 이용됨에 따라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량이 많을수록 수광 소자(315)에서의 전압값은 커지게 된다. 즉, 감지 회로(300)의 출력 전압값과 산출되는 폐토너량은 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감지 회로의 제4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4 구현 예에 따른 감지 회로(300"')는 풀다운 회로, PNP 수광 센서를 이용한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 회로(300"')는 토너량 감지 센서(310"'), 스위치(325'), 풀다운 회로(340) 및 구동 회로(350)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311) 및 구동 회로(350)는 도 7의 동작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광 소자(315')는 PNP 수광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315')의 일 단은 스위치(325)의 일 단 및 풀다운 회로(340)의 타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은 전원단에 연결된다.
스위치(325')는 폐토너 통이 장착되면 단선(open)되고, 폐토너 통(200)이 탈착되면, 단락(short)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325')는 일 단이 풀다운 회로(340)의 타 단과 수광 소자(315')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전원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325')는 인터락 스위치일 수 있다.
풀다운 회로(340)는 플로팅 상태(즉,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단에 전원단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회로로,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다운 회로(340)는 일 단이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에 연결되고, 타 단이 스위치(325')의 일 단과 수광 소자(315')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스위치(325')가 턴-온 되는바, 프로세서(110)의 ADC 포트는 전원단에 연결된다. 즉, 감지 회로(300"')는 폐토너 통(200)이 연결되지 않으면, 전원단(Vcc)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폐토너 통(200)이 연결된 경우, 스위치(321)는 턴-오프되는바,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0V부터 전원단의 전압보다 일정 전압값 낮은 전압'의 범위 내에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전원단의 크기와 같은 전압이 입력되면, 폐토너 통(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전압 범위 내의 전압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값에 대응되는 폐토너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200)에 폐토너량이 많을수록 수광 소자(315')에서의 전압값은 커지는바, 감지 회로(300)의 출력 전압값과 산출되는 폐토너량은 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토너량 및 폐토너 통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폐토너 통의 장착 및 폐토너 통의 폐토너량의 감지가 필요하면, 발광 소자에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S1110).
이에 대응하여, 구동 회로(350)의 출력 전압값을 ADC 포트를 통하여 센싱한다(S1120).
센싱 값에 기초하여 폐토너 통이 장착되었는지 탈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30). 구체적으로, 풀업 회로가 이용되고 NPN 수광 소자를 이용한 경우나, 풀다운 회로와 PNP 수광 소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센싱된 전압값이 VCC이면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Vcc 값 이하이면, 폐토너 통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풀다운 회로와 NPN 수광소자를 이용한 경우나 풀업 회로와 PNP 수광 소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센싱된 전압값이 0V이면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0V 이상 값이면 폐토너 통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폐토너 통이 장착된 경우에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1 설정값 이상인지, 즉 폐토너량이 경고치에 해당하는 폐토너량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40).
판단 결과 제1 설정값 미만이면(S1140-N), 정상 모드로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160)
반대로, 제1 설정값을 초과하면(S1140-Y), 제2 설정값 이상인지, 즉 폐토너가 가득찬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50).
판단 결과 제2 설정값 미만이면(S1150-N),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고를 표시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경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170). 경고 모드인 경우에도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설정값 이상이면(S1150-Y).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에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180). 이와 같이 에러 모드로 진입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폐토너량 및 폐토너 통 감지 방법은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폐토너 통의 장착 여부와 폐토너 통의 폐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도 하나의 포트만을 이용하여 폐토너 통의 장착 여부 및 폐토너 통의 폐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스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감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감지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프로세서
120: 인쇄 엔진 130: 통신 장치
140: 메모리 150: 디스플레이
160: 조작 입력 장치 200: 폐토너 통
300: 감지 회로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인쇄 엔진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통;
    상기 폐토너 통 내의 폐토너량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토너량 감지 센서와 상기 폐토너 통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전압값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 회로; 및
    상기 감지 회로에 출력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인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 감지 센서는,
    인접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폐토너 통이 장착되면 단락되고, 상기 폐토너 통이 탈착되면 단선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ADC 포트와 일 단이 연결되는 풀업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풀업 회로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수광 소자의 일 단과 연결되며,
    상기 수광 소자는,
    일 단이 상기 스위치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되는 NPN 수광 소자인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ADC 포트와 일 단이 연결되는 풀다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풀다운 회로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수광 소자의 일 단과 연결되며,
    상기 수광 소자는,
    일 단이 상기 스위치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전원단에 연결되는 NPN 수광 소자인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 감지 센서는,
    인접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ADC 포트와 일 단이 연결되는 풀업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폐토너 통이 장착되면 단선되고, 상기 폐토너 통이 탈착되면 단락되고, 일 단이 상기 풀업 회로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되며,
    상기 수광 소자는,
    일 단이 상기 풀업 회로의 타 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은 접지되는 PNP 수광 소자인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 감지 센서는,
    인접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의 ADC 포트와 일 단이 연결되는 풀다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폐토너 통이 장착되면 단선되고, 상기 폐토너 통이 탈착되면 단락되고, 일 단이 상기 풀다운 회로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전원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광 소자는,
    일 단이 상기 풀다운 회로의 타 단과 상기 스위치의 일 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전원단에 연결되는 PNP 수광 소자인 화상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되어, 빛을 상기 폐토너 통 내부로 유도하는 광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폐토너 통의 광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광 부재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 옆에 배치되어 상기 폐토너 통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 감지 센서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빛을 정면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광 소자가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광 소자가 빛을 조사하는 중에 상기 감지 회로의 전압값을 센싱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장착시에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접하는 일 면에 돌출된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인터락 스위치인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이격 배치된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폐토너 통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상기 두 개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값을 센싱하는 ADC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ADC 포트에서 센싱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폐토너 통의 장착 여부 및 상기 폐토너 통 내의 폐토너량을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토너 통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폐토너 통 내의 폐토너량이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경고 상태로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토너 통이 장착되지 않거나, 상기 폐토너 통 내의 폐토너량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에러 상태로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72301A 2019-06-18 2019-06-18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KR20200144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01A KR20200144354A (ko) 2019-06-18 2019-06-18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US17/413,742 US11435686B2 (en) 2019-06-18 2020-05-18 Detection of waste toner using toner amount detection sensor and switch
PCT/US2020/033389 WO2020256871A1 (en) 2019-06-18 2020-05-18 Detection of waste toner us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01A KR20200144354A (ko) 2019-06-18 2019-06-18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54A true KR20200144354A (ko) 2020-12-29

Family

ID=7403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301A KR20200144354A (ko) 2019-06-18 2019-06-18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35686B2 (ko)
KR (1) KR20200144354A (ko)
WO (1) WO20202568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203A (ja) 2002-05-23 2003-12-03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廃トナー検出装置及び電子写真記録装置
KR100457540B1 (ko) * 2002-12-30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8216445A (ja) 2007-03-01 2008-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90066749A1 (en) 2007-09-06 2009-03-12 Young Paul D Collecting waste ink in a printer system
JP5267012B2 (ja) 2008-09-29 2013-08-21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と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337475B2 (ja) * 2008-12-26 2013-1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05099B2 (ja) 2010-09-03 2014-10-15 株式会社リコー 廃画像形成物質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37204A (ja) 2011-08-09 2013-02-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16206593A (ja) 2015-04-28 2016-12-0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トナー量検知装置と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35686B2 (en) 2022-09-06
WO2020256871A1 (en) 2020-12-24
US20220100137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9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1900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EP281644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saving mod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2534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giving notification of error in apparatus to develop user and service person's awareness
JP2013059986A (ja) 操作パネル、操作パネルの制御方法、および操作パネル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91268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제어 방법
CN103135391A (zh) 电子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7413799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379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281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6324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00144354A (ko) 스위치를 이용한 폐토너 감지
US11301871B2 (en) CRUM apparatus to extract power from clock signal having first and second periods
JP744751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89676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46388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5036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930144B2 (en) Energy-sav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sav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413760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操作端末装置及び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20180041402A (ko) 화상독취장치 및 스캔 제어 방법
US1117560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5319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7316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5833881B2 (ja) 画像形成装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
JP2015046752A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