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09A -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09A
KR20200144309A KR1020190072174A KR20190072174A KR20200144309A KR 20200144309 A KR20200144309 A KR 20200144309A KR 1020190072174 A KR1020190072174 A KR 1020190072174A KR 20190072174 A KR20190072174 A KR 20190072174A KR 20200144309 A KR20200144309 A KR 2020014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tribution car
sliding
pai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화
유혜선
Original Assignee
유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선 filed Critical 유혜선
Priority to KR102019007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309A/ko
Publication of KR2020014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01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evices for laying, clearing, cleaning, or the like, a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2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elf-service type systems, e.g. supermarkets
    • A47F10/04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elf-service type systems, e.g. supermarkets for storing or handling self-service hand-cart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2Catering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라이딩 인입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식카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배식카 몸체로 인입되어 공간을 확보하는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식카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배식카의 몸체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인 배식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Food Service Cart Having Sliding Doo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식카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배식카 몸체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됨으로써 공간을 확보하는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병원, 대형식당, 학교, 군대, 연수원, 야영장과 같이 다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하여 단체급식을 하는 경우, 특히 수백명의 환자를 급식대상으로 하는 종합병원과 같은 곳에서는 매 환자의 병상까지 음식을 직접 날라다주어야 하므로 배식실에서 만든 음식을 수십인분씩 각각 쟁반에 담아 다층으로 선반이 형성된 배식카에 다층 적층상태로 수납시켜서 배식준비를 하여 두었다가 각 배식카에 수납이 완료되면 정해진 급식시간에 각 배식카들을 일제히 각 병동으로 운반, 이동시켜가면서 각 병실에 배식을 하게 되는데, 이때 통상 조리된 음식이 배식카에 실려있다가 최종 환자들에게 공급되는데 소용되는 시간은 짧게는 1시간 길게는 2시간정도 소요된다.
일반적으로는 병원배식용 배식카는 바퀴가 달린 밀차 형태의 운반차로서 음식을 담은 쟁반을 다층으로 탑재시키도록된 다층의 선반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국이나 밥은 따듯함을 유지시키고, 과일이나 우유는 차가운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배식카의 내부는 냉장 수단과 온장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배식카의 몸체는 부피가 클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음식을 배식하는 단계에서 배식카는 병원의 비좁은 복도 등에서 대기해야 하므로 환자의 이동에 장애가 된다. 더욱이 부피가 큰 몸체를 가지는 배식카가 병원 등의 복도에서 음식 서빙을 위해서 대기하는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복도를 이동하다가 넘어지거나 다칠 수 있으며, 사람들이 많이 이동하는 복도에서 병원 배식카의 대기는 여러 불편한 상황을 일으킨다.
특히 종래의 배식카의 도어열림 방식은 여닫이식 도어 열림 반경으로 인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불편함을 초래한다. 도어를 열어놓고 배식하는 경우에는 복도가 더욱 좁아져 환자나 의료진의 이동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식카의 도어 열림 방식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식카의 도어 열림 방식을 도어가 열린 뒤에는 배식카의 몸체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인 배식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내부에 식판을 받치기 위한 앵글이 적층 설치되어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일측은 온장고로 기능하고 타측은 냉장고로 기능하는 챔버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냉장고에 냉기를 전달하는 열교환기;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온장고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되, 여닫이 방식으로 오픈되고, 상기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도어그룹이고, 상기 한 쌍으로 구성된 도어그룹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챔버를 폐쇄하는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축부를 제공하며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도와주는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폭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측면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두 개가 연이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두 개가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도어플레이트가 모두 상기 몸체부로 인입되는 경우 서로 포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부는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일측은 온장고로 기능하고 타측은 냉장고로 기능하는 챔버를 가지는 배식카몸체부;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냉장고에 냉기를 전달하는 열교환기;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온장고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배식카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부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배식카몸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상태와, 상기 개방된 경우 상기 회전축이 인입될 때 함께 인입되어 상기 배식카몸체부로 보관되는 보관상태를 상호 전환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되, 여닫이 방식으로 오픈되고, 상기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지는 배식카몸체부;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온장고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배식카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부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배식카몸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상태와, 상기 개방된 경우 상기 회전축이 상기 배식카몸체부로 인입될 때 함께 인입되어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보관되는 보관상태를 상호 전환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식카의 도어 열림 방식을 도어가 열린 뒤에는 배식카의 몸체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부피를 차지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인 배식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여닫이 도어를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배식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배식카의 확대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어부 중에서 도어플레이트와 힌지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어부 중에서 슬라이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가 닫힌 모습을 타나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중 하나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몸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몸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감춰진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여닫이 도어를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배식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은 상판과 좌 우측의 측면판이 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이며 도어가 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배식카의 확대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어부 중에서 도어플레이트와 힌지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도어부 중에서 슬라이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가 닫힌 모습을 타나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중 하나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모두 열린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몸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에서 도어플레이트 두 개가 몸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감춰진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일측은 온장고로 기능하고 타측은 냉장고로 기능하는 챔버를 가지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냉장고에 냉기를 전달하는 열교환기;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온장고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부(100)에 부착되되, 여닫이 방식으로 오픈되고, 상기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로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는 상판(110), 측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0)은 몸체부(100)의 상부를 폐쇄하는 플레이트이고, 측판(120)은 몸체부(100)의 측면부를 폐쇄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몸체부(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고, 챔버는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에 의하여 챔버의 일측은 온장고로 기능하고, 챔버의 타측은 냉장고로 기능할 수 있다. 챔버에는 다수의 식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 배치되어 저장된다. 식판의 일측은 냉장고에 위치하고 타측은 온장고에 위치하여 냉장 보관되는 부분과 온장 보관되는 부분을 모두 가질 수 있다.
격벽은 완전하게 냉장고와 온장고를 밀폐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격벽의 일측은 식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리브가 형성되어, 슬리브에 식판이 삽입 고정되며, 따라서 식판의 일부는 격벽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은 격벽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어 냉장 보관되는 부분과 온장 보관되는 부분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식카에서 상기 도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도어그룹이고, 상기 한 쌍으로 구성된 도어그룹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그룹의 의미는 몸체부(100)의 일측면에서 좌측 및 우측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한 쌍의 도어를 말한다. 몸체부(100)의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도 일측면과 마찬가지로 좌측 및 우측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하나의 배식카에 네 귀를 축으로 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네 개의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배식카는 네 개의 도어(20)가 각각 몸체부(10)의 네 귀를 축으로 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도어(20)가 축을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기능만 있기 때문에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복도를 이동하는 사람들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몸체부의 내부에 도어 보관부를 형성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도어의 회전축 부분을 몸체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축과 연결된 도어도 함께 몸체부의 내부로 이동시켜 도어 보관부에 도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몸체부 외부로 도어가 드러나지 않게 하여 병원의 사람들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도어 보관부는 부피를 고려하여 몸체부의 일측면에 두 개가 포개져 형성되고, 타측면에 두 개가 포개어져 형성되어 몸체부의 전면부에 도어와 후면부에 도어가 함께 도어 보관부로 인입되더라도 서로 포개어져 모두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어 보관부에 전면부의 도어와 후면부의 도어가 함께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 보관부로 도어와 함께 인입되는 것은 도어의 회전축 부분이다. 즉, 도어가 여닫이 방식으로 열린 뒤에는 몸체부로부터 수직한 각도로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의 회전축 자체가 도어 보관부로 인입되면서 도어를 붙잡고 함께 도어 보관부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철식으로 텔레스코픽하게 접혀져 도어를 도어 보관부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축은 슬라이딩부(220, 230)의 구성으로써 슬라이딩부(220, 230)가 이동되어 삽입될 때 함께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부는 상기 챔버를 폐쇄하는 도어플레이트(21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210)가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축부를 제공하며 상기 도어플레이트(210)가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도와주는 슬라이딩부(220, 230)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플레이트(210)와 슬라이딩부(220, 230)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플레이트(2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의 양 단부 즉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힌지결합부(240)를 가진다.
슬라이딩부(220, 2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의 양 단부 즉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힌지결합부(250)를 가진다.
제1 힌지결합부(240)는 제2 힌지결합부(250)와 동일한 높이로 만나도록 두 번 절곡되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260)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20, 23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26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슬라이딩부(220, 23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호차바퀴(2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퀴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레일(26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0, 2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힘을 제공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레일(260)을 이동할 수 있다. 즉,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슬라이딩부(220, 230)는 몸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한 쌍으로 구성된 슬라이딩 레일(260) 사이를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상호 힘을 주고 받으며 움직이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도어 보관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부(220, 230)와 슬라이딩 레일(260)의 구조는 상 하방으로 서로 힘을 주고 받으므로 슬라이딩부(220, 230)가 슬라이딩 레일(260) 사이에서 비틀어져 슬라이딩 레일(260)이 휘는 등의 가능성을 줄여주므로 슬라이드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많은 횟수를 반복적으로 도어를 열고 닫더라도 슬라이딩 레일이나 슬라이딩부가 파손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폭은 상기 도어플레이트(210)와 상기 슬라이딩부(220)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더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어 보관부에 슬라이딩부(220)와 도어플레이트(210)가 함께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260)은 상기 측면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두 개가 연이어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220, 230)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두 개가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도어플레이트(210)가 모두 상기 몸체부로 인입되는 경우 서로 포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두 개(262, 262)가 연이어 설치된다는 의미는 일측부의 도어플레이트를 위해 제공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261)과 타측부의 도어플레이트를 위해 제공되는 다른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262)이 연이어 설치된다는 말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어 보관부도 일측부의 도어플레이트를 위해 제공되는 것과 타측부의 도어플레이트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각각 구비되므로 일측부의 도어플레이트와 슬라이딩부(220)가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261)을 타고 이동하여 도어 보관부에 인입되더라도, 타측부의 도어플레이트와 슬라이딩부(230)가 다른 슬라이딩 레일(262)을 타고 이동하여 도어 보관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모든 도어가 동시에 도어 보관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의 도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배식카의 도어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6을 참조). 배식카의 도어 중 하나가 몸체부에 수직한 위치로 열리고(도 7을 참조), 이어서 나머지 도어도 몸체부에 수직한 위치로 열린 뒤에(도 8을 참조), 배식카의 도어 모두가 몸체부에 수직하게 이동하여 도어 보관부로 인입된다(도 9를 참조). 즉 회전 운동 뒤에 직선운동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완전히 삽입되면 도어 보관부 내부로 도어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몸체부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도 10을 참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실시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종래의 배식카의 몸체부
20: 종래의 배식카의 도어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의 몸체부
110: 상판
120: 측판
210: 도어플레이트
220: 전면부의 슬라이딩부
230: 후면부의 슬라이딩부
240: 제1 힌지결합부
250: 제2 힌지결합부
260: 슬라이딩 레일
270: 호차바퀴

Claims (8)

  1.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되, 여닫이 방식으로 오픈되고, 상기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도어그룹이고, 상기 한 쌍으로 구성된 도어그룹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챔버를 폐쇄하는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축부를 제공하며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상기 몸체부로 슬라이딩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도와주는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의 폭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폭을 합한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측면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두 개가 연이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8. 내부에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이 저장되며,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지는 배식카몸체부;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상기 온장고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장치;
    상기 배식카몸체부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부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배식카몸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동상태와, 상기 개방된 경우 상기 회전축이 상기 배식카몸체부로 인입될 때 함께 인입되어 상기 배식카몸체부에 보관되는 보관상태를 상호 전환할 수 있는 도어부;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KR1020190072174A 2019-06-18 2019-06-18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KR2020014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74A KR20200144309A (ko) 2019-06-18 2019-06-18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74A KR20200144309A (ko) 2019-06-18 2019-06-18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09A true KR20200144309A (ko) 2020-12-29

Family

ID=7409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74A KR20200144309A (ko) 2019-06-18 2019-06-18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3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7267A (zh) * 2021-03-02 2021-06-25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高铁无人餐车工作方法及其智能餐车
KR102318596B1 (ko) 2021-04-28 2021-10-28 주식회사 화선엠텍 도어 수납기능이 개선된 보온 배식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7267A (zh) * 2021-03-02 2021-06-25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高铁无人餐车工作方法及其智能餐车
CN113017267B (zh) * 2021-03-02 2022-02-18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高铁无人餐车工作方法及其智能餐车
KR102318596B1 (ko) 2021-04-28 2021-10-28 주식회사 화선엠텍 도어 수납기능이 개선된 보온 배식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210B2 (en) Service trolley
JPH1118846A (ja) 食事を施設内で配膳する方法及び装置
US3275393A (en) Hot and cold food service cart
KR20200144309A (ko) 슬라이딩 도어를 가지는 배식카
US6315039B1 (en) Bedside rethermalization unit
BRPI0621370A2 (pt) cozinha de bordo e método para servir refeições aos passageiros em uma aeronave
US9175900B2 (en) Refrigerator having sliding and pivoting doors
CN106572759B (zh) 用于制冷食品台装置的覆盖装置以及具有这种覆盖装置的食品台装置
US2919339A (en) Food service carts
US20070199334A1 (e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interior contents of a refrigeration unit
CA3166204A1 (en) System for storing and delivering food trays
JP2021129804A (ja) 飲食物提供用のサービスユニット
JP2021129803A (ja) 飲食物提供用のサービスユニット
US20040207168A1 (en) Mobile delivery cart with vertically moveable inner frame
JP2644187B2 (ja) 給食システム
JP5261323B2 (ja) 保温機能を備えた配膳カ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クックチルシステム
CN208875577U (zh) 一种医用餐车
KR102410734B1 (ko) 푸드 트레이용 지지대 인출 회전형 온냉장 배식카
JP2015518557A (ja) 摺動可能な引出し機構を有するオーブン
RU2412868C2 (ru) Бортовая кухня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итанием пассажиров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US6745675B2 (en) Device for preservation and rethermalization of meal trays
US20030233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rays and food on trays
JP3658675B2 (ja) 冷・温配膳車
DE19924999C2 (de) Transportable Warm- und Kaltausgabe
WO2018153476A1 (en) Refrigerated sales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