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596A -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3596A KR20200143596A KR1020190070632A KR20190070632A KR20200143596A KR 20200143596 A KR20200143596 A KR 20200143596A KR 1020190070632 A KR1020190070632 A KR 1020190070632A KR 20190070632 A KR20190070632 A KR 20190070632A KR 20200143596 A KR20200143596 A KR 202001435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black ginger
- ginger
- eosuri
- mang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한 것이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비만과 관련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일 때,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이라고 한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열량이 몸을 움직여 소비하는 열량보다 많을 때 비만이 생긴다.
상기 비만은 키와 체중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데, 비만의 정도를 수치화한 비만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이상체중법(Modified Broca's method)과 체질량지수(BMI)가 있다. 상기 이상체중법은 [신장(cm)-100]×0.9를 이상체중으로 계산해 현재체중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법이며, 상기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이다.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의 20% 초과하는 경우, BMI가 30 이상인 경우를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의 원인 중 과식과 운동 부족 같은 생활 습관에 의한 비만을 단순성(1차성) 비만이라 하며, 내분비 계통의 질환과 시상하부의 기능 이상, 에너지 대사 이상에 의한 비만을 증후성(2차성)비만이라 부른다. 비만의 원인에는 유전적인 요인에 따른 유전성 비만도 있다. 또한, 유아기의 무절제한 칼로리 섭취에 따른 소아 비만도 비만의 한 종류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비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내장 지방은 복부를 압박하고, 이로 인해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를 일으킨다. 더 나아가, 비만은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암 등의 성인병과 그 합병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평, 불안, 인격장애 등의 정신적인 병까지 유발할 수 있는 만병의 근원이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체내의 리파아제(lipase)를 억제하여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질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올리스타트(olistat)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시부트라민은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며, 심혈관질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올리스타트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지방 섭취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항비만 관련 조성물들이 개발되었지만, 효능에 대한 검증이 불충분하여 실질적으로 항비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구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포함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생강과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및 구기자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얻는 추출물 수득 단계(S10); 상기 수득물 수득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추출물 배합 단계(S20); 상기 추출물 배합 단계(S3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20)에서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가 되도록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30)에서의 숙성방법은 0 ~ 20℃의 온도로 20 ~ 7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체중 감소 및 체지방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은 생강과 genus kaempferia에 속하는 식물로 태국의 북부 및 북동지역에 기원하며, black ginger로 알려진 뿌리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 흑생강은 태국에서는 강장제로 알려져 있으며, 태국인삼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염증, 궤양, 통풍, 산통, 농양, 알레르기 및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민속약물로 사용되었다. 흑생강의 주요성분은 methoxyflavones 성분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 작용은 세포대사-조절활성, 항암작용, 혈관이완 및 심장보호 활성, 생식기계 활성, 신경보호 활성,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산화 작용, 항-골관절염활성, 항-미생물 활성 및 피부에 대한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망고진저(curcuma amada)의 뿌리줄기는 생강과 비슷하지만, 그 맛은 생 망고의 맛이 나는 인도산 식물로, 남부 인도에서는 피클을 만들고, 북부 인도에서는 차트니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상기 망고진저는 zingiberaceae과 Curcuma속의 식물로 키가 약 80cm 정도로 자라는 다년생 식물이다. 상기 망고진저는 열대지방에서 주로 자라며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등지에서 재배된다. 상기 망고진저의 뿌리에는 에센셜 오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통적으로 기침이나 기관지염과 같은 치료에 사용하였고 으깬 뿌리를 궤양, 타박상, 상처 및 염좌에 발라 환부를 치료하기도 하였다.
상기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하며, 전체적으로 털이 많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는 약 70 ~ 250cm이다. 상기 어수리의 뿌리잎은 줄기잎과 비슷하며, 줄기잎은 깃꼴겹잎이거나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입, 넓은 삼각형, 잎자루 밑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싼다. 상기 어수리의 꽃은 6 ~ 8월에 가지 끝과 줄기 끝의 겹산형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상기 어수리의 열매는 분과이며, 납작하고 어린 순은 먹는다. 상기 어수리는 항바이러스, 항염 효과 등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
상기 소두구(Elettaria cardamomum Maton(생강과 Zingiberaceae))는 소두구의 잘 익은 열매이다. 상기 소도구의 열매껍질은 얇고 가벼운 섬유성이며, 바깥면은 연한 황색이고 여기에 3줄의 준한 모서리와 많은 세로줄이 있고, 위쪽 끝에는 작은 돌기가 있으며, 안쪽은 얇은 막에 의해 3방으로 나누어지고 각 방에는 헛씨껍질에 의해 세로로 접합하는 3 ~ 7개의 씨가 들어 있다. 상기 소두구의 씨는 어두운 갈색~흑갈색이고, 난원형 내지 긴 난형 또는 고르지 않은 모가 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길이는 0.3 ~ 0.4cm이다. 상기 소두구는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을 맵고 약간 쓰며 열매껍질은 냄새와 맛이 없다.
상기 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는 가짓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상기 구기자나무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줄이 처져 있는 줄기는 보통 1 ~ 1.5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변한 가시가 있는데, 없는 것도 있다. 상기 구기자의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과이며, 8, 9월에 붉에 익는다. 상기 구기자 열매의 길이는 10mm, 지름은 5mm 정도이다. 상기 구기자의 성분은 베타인(betaine)·제아잔틴(zeazanthin)·카로틴(carotene)·티아민(thiamine), 비타민 A·B1·B2·C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만성간염·간경변증 등에 복용하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생식기능이 허약해서 허리·무릎이 저리고 아프고, 유정(遺精)·대하(帶下)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상기 구기자는 안과질환으로 인한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있고, 노인의 백내장 초기증상에 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은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 포함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흑생강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이면, 항 비만용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흑생강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50.0 중량%를 초과하면 흑생강 추출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항 비만에 대한 효과가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이면, 항 비만용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5.0 중량%를 초과하면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항 비만에 대한 효과가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및 구기자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얻는 추출물 수득 단계(S10),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추출물 배합 단계(S20) 및 상기 추출물 배합 단계(S3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에서는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및 구기자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얻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는 깨끗이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물기를 닦아내어 준비한다.
상기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의 추출물은 추출액 상태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액은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를 추출 용매에 의해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에서의 추출은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공상태에서의 추출이 이루어지면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의 내부 영양 성분이 더 용이하게 용출되며,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항 비만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에서의 추출은 70 ~ 140℃의 온도로 4 ~ 12시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의 추출온도가 70℃ 미만이면 온도가 낮아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온도가 높아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의 내부 영양 성분이 파괴 또는 변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의 추출이 4시간 미만으로 이루어지면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의 내부 영양 성분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고, 12시간을 초과하여 이루어지면 수득률이 떨어져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을 수행한 다음,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추출물 배합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물 배합 단계(S20)에서는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소두구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거나,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조합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얻어지는 예측할 수 없었던 모든 효과들도 본 발명은 권리 범위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배합 단계(S20)에서 각 추출물 간 배합비율은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 포함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단계(S20)에서는 온도, 속도, 시간을 고려하면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 단계(S20)에서는 15 ~ 40℃의 온도에서 10 ~ 100rpm의 속도로 5 ~ 60분 가량 교반하여 배합을 수행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배합단계를 수행한 다음, 추출물 배합 단계(S3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숙성 단계(S30)는 상기 숙성 단계(S30)에서는 상기 단계(S2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0 ~ 20℃의 온도로 20 ~ 7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30)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더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보조제의 구성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광범위한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본 발명의 항 비만용 조성물이 갖는 용도에 따라 달리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실시예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
흑생강을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다음,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8시간에 걸쳐 추출하여 흑생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망고진저
추출물의 제조
망고진저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다음,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8시간에 걸쳐 추출하여 망고진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어수리
추출물의 제조
어수리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다음,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8시간에 걸쳐 추출하여 어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소두구
추출물의 제조
소두구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다음,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8시간에 걸쳐 추출하여 소두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구기자 추출물의 제조
구기자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다음, 물과 에탄올을 6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로 8시간에 걸쳐 추출하여 구기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상기 제조예 1 내지 5를 통해 각각 제조된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구기자 추출물을 기반으로 실시예 1 내지 15의 항 비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2.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어수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3.
흑생강
추출물에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소두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4.
흑생강
추출물에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5.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6.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7.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8.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어수리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9.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어수리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0.
흑생강
추출물에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소두구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1.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2.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3.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4.
흑생강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실시예
15.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하여 혼합액 제조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25℃의 온도에서 50rpm의 속도로 30분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여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 상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각각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하, 흑생강 추출물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도록 비교예 1 내지 5와 같이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흑생강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희석액 제조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고 흑생강 추출물이 전체 중량 대비 20.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흑생강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망고진저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희석액 제조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고 망고진저 추출물이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망고진저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어수리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희석액 제조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고 어수리 추출물이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어수리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소두구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희석액 제조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고 소두구 추출물이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두구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구기자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희석액 제조
잔량으로 증류수를 포함하고 구기자 추출물이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구기자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안정성 및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5의 혼합액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에 대하여, 세포 안정성 및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15의 혼합액을 각각 시료로 투입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린 블루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배양을 실시한 후,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한 다음 5분간 교반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증식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 주입량만큼 우태아혈청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 배양을 했으며, 대조군의 세포 증식율을 100%로 기준하여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 하였다.
세포증식율(%) | |
대조군 | 100% |
실시예 1 | 99.78% |
실시예 2 | 99.35% |
실시예 3 | 99.72% |
실시예 4 | 99.17% |
실시예 5 | 99,63% |
실시예 6 | 99.24% |
실시예 7 | 99.56% |
실시예 8 | 98.54% |
실시예 9 | 99.53% |
실시예 10 | 98.14% |
실시예 11 | 98.86% |
실시예 12 | 98.55% |
실시예 13 | 98.24% |
실시예 14 | 98.97% |
실시예 15 | 97.84% |
비교예 1 | 99.98% |
비교예 2 | 99.96% |
비교예 3 | 99.99% |
비교예 4 | 99.98% |
비교예 5 | 99.98%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성장 최적 조건의 세포 증식율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1 내지 15의 혼합액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은 모두 세포에 대해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의미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3T3-L1 세포를 이용한
항비만
효능 검증
상기 실시예 1 내지 15의 혼합액과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에 대하여 HSL(hormone sensitive lipase), CPT-1(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의 활성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3T3-L1 세포는 10%의 송아지혈청(calf serum)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BRL, NY, USA)에 100 U/㎖ 페니실린(penicillin)과 100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하여 5% CO2, 37℃에서 배양유지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6웰 플레이트(wellplate)에 5×105cell/well의 세포를 분주하여 세포가 충분히 밀집되게 배양하였다. 2일 후, 0.5 mM IBMX(isobutylmethylxanthine) 및 10% FBS을 포함하는 DMEM에서 2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분화를 개시한 다음, 10㎍/㎖ 인슐린 및 10% FBS를 포함하는 DMEM으로 교환하여 3일 동안 분화를 진행하였다.
3T3-L1을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분화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5를 각각 0.1 mg/㎖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중인 배지를 제거한 후, QIAzol Lysis 시약 (Qiagen, Hilden, Germany)을 각 웰(wells)에 1㎖씩 분주하여 세포를 용해(lysis)하였다. 용해물(lysate)은 클로로포름(chloroform) 200㎕를 분주하여 15초간 섞었다. 그 후, 12,000×g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500㎕이 들어있는 튜브에 옮겨 섞었다. 다시 12,000×g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그 상층액을 제거한 후, 100% 에탄올과 0.1% DEPC(diethyl pyrocarbonate water)를 75 : 25로 섞어 만든 75% 에탄올을 각 튜브에 1㎖씩 분주하여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한 뒤,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Nuclease free water를 40㎕씩 분주하여 녹인 후, 260nm에서 흡광 측정하여 총 RNA양을 정량하였다.
첫번째 가닥 cDNA(first strand cDNA)는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Master Mix(GenDEPOT, Barker, TX, USA)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추출한 RNA(2㎍)와 RNase free water로 9㎕을 맞추고 7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2×cDNA synthesis 완충용액 10㎕, cDNA synthesis enzyme mix 1㎕를 섞어 11㎕씩 각 PCR tube에 더한 후, 25℃에서 5분, 42℃에서 60분, 7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HSL(hormone sensitive lipase), CPT-1(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의 mRNA 발현량 측정은 Go Tag Green Master(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준비된 cDNA를 메뉴얼(manual)에 따라 RT-PCR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프라이머 시퀀스(primer sequense)는 표 2와 같다.
프라이머 | Sequence(5'->3') | PCR product size | |
HSL | Sense | CTCCTCATGGCTCAACTCCTTCC | 440bp |
Antisense | AGGGGTTCTTGACTATGGGTG | ||
CPT-1 | Sense | CTCCGAAAAGCACCAAAAA | 221bp |
Antisense | CTCCAGCACCCAGATGATTG | ||
185 rRNA | Sense | GTAACCCGTTGAACCCCATT | 393bp |
Antisense | CCA TCC AAT CGG TAG TAG CG |
RT-PCR의 산물은 0.002% 에티듐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를 첨가한 1.0%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 100V에서 30분간 전기영동 후, UV광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밴드의 강도는 image j(National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 정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5와 비교예 1 내지 5 중 아무것도 넣지 않은 실험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대조군을 기준으로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한 결과를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HSL mRNA 발현 | |
control | 100 |
실시예1 | 121.7 |
실시예2 | 120.5 |
실시예3 | 123.5 |
실시예4 | 122.1 |
실시예5 | 134.3 |
실시예6 | 130.8 |
실시예7 | 134.6 |
실시예8 | 131.2 |
실시예9 | 133.1 |
실시예10 | 131.3 |
실시예11 | 143.2 |
실시예12 | 141.1 |
실시예13 | 146.7 |
실시예14 | 142.5 |
실시예15 | 154.9 |
비교예1 | 103.4 |
비교예2 | 101.2 |
비교예3 | 101.5 |
비교예4 | 102.8 |
비교예5 | 100.6 |
CPT-1 mRNA 발현 | |
control | 100 |
실시예1 | 112.2 |
실시예2 | 114.3 |
실시예3 | 112.5 |
실시예4 | 113.1 |
실시예5 | 121.7 |
실시예6 | 123.9 |
실시예7 | 122.2 |
실시예8 | 125.5 |
실시예9 | 121.6 |
실시예10 | 120.3 |
실시예11 | 132.3 |
실시예12 | 134.4 |
실시예13 | 131.1 |
실시예14 | 135.5 |
실시예15 | 143.7 |
비교예1 | 102.3 |
비교예2 | 101.8 |
비교예3 | 101.4 |
비교예4 | 101.4 |
비교예5 | 100.3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이 각각 단독으로 들어간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은 HSL mRNA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15의 경우에는 HSL mRNA 발현이 나타났으며, 혼합하는 추출물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그 발현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이 각각 단독으로 들어간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은 CPT-1 mRNA 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15의 경우에는 CPT-1 mRNA 발현이 나타났으며, 혼합하는 추출물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그 발현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단독으로는 HSL mRNA, CPT-1 mRNA 발현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의 혼합물은 HSL mRNA, CPT-1 mRNA 발현이 나타나는 바,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의 조합으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흰 쥐 임상 실험을 통한 체중 감소 효과 확인
실험동물로 생후 5주령의 흰 쥐를 사용하였고, 사육실에서 18 ~ 24℃의 온도와 50%의 습도 및 12시간의 명암주기로, 사료와 식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였다.
실험 개시 후, 일반식이를 공급한 정상대조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고지방식이군 및 고지방식이를 공급하되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혼합액 및 희석액을 식수로 제공한 일반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 동안 매주 쥐의 체중을 측정하여 각 군에 대한 체중의 평균치를 표 5에 나타냈다.
처리군 | 1주차 체중(g) | 2주차 체중(g) | 3주차 체중(g) | 4주차 체중(g) | 5주차 체중(g) | 6주차 체중(g) | 7주차 체중(g) | 8주차 체중(g) |
정상대조군 | 193.4 | 213.4 | 238.3 | 272.1 | 308.4 | 323.6 | 342.2 | 356.9 |
고지방식이군 | 196.8 | 230.3 | 264.5 | 302.5 | 334.7 | 354.8 | 372.4 | 389.5 |
일반실험군(실시예1) | 194.2 | 225.1 | 256.3 | 294.5 | 319.6 | 343.1 | 360.4 | 380.9 |
일반실험군(실시예2) | 194.8 | 224.9 | 255.2 | 293.6 | 318.0 | 345.3 | 361.5 | 379.9 |
일반실험군(실시예3) | 194.2 | 225.6 | 257.0 | 292.7 | 317.7 | 340.3 | 359.1 | 381.0 |
일반실험군(실시예4) | 195.1 | 223.6 | 254.1 | 291.8 | 316.2 | 344.5 | 361.7 | 377.2 |
일반실험군(실시예5) | 194.3 | 221.0 | 250.8 | 293.2 | 315.3 | 335.1 | 354.4 | 372.1 |
일반실험군(실시예6) | 194.4 | 222.5 | 249.3 | 285.6 | 314.4 | 338.9 | 356.3 | 373.5 |
일반실험군(실시예7) | 193.5 | 221.4 | 251.9 | 284.2 | 315.5 | 335.7 | 358.7 | 375.1 |
일반실험군(실시예8) | 194.1 | 222.1 | 252.1 | 283.9 | 316.5 | 332.1 | 355.7 | 372.2 |
일반실험군(실시예9) | 194.2 | 223.2 | 248.3 | 281.8 | 315.7 | 333.2 | 352.6 | 370.4 |
일반실험군(실시예10) | 194.3 | 221.6 | 249.2 | 282.1 | 313.3 | 332.6 | 357.5 | 373.3 |
일반실험군(실시예11) | 194.2 | 217.0 | 245.4 | 277.1 | 312.2 | 328.4 | 347.3 | 365.5 |
일반실험군(실시예12) | 193.9 | 218.3 | 243.6 | 279.7 | 313.4 | 330.7 | 345.5 | 363.7 |
일반실험군(실시예13) | 194.3 | 217.3 | 244.2 | 278.2 | 314.7 | 329.9 | 349.1 | 362.2 |
일반실험군(실시예14) | 194.4 | 216.4 | 243.6 | 277.5 | 313.4 | 328.3 | 347.8 | 364.8 |
일반실험군(실시예15) | 193.8 | 214.5 | 241.7 | 273.2 | 311.8 | 325.5 | 344.4 | 359.9 |
일반실험군(비교예1) | 195.2 | 227.3 | 257.1 | 295.4 | 322.5 | 346.3 | 363.2 | 384.3 |
일반실험군(비교예2) | 195.6 | 228.2 | 258.7 | 299.4 | 325.3 | 349.4 | 362.8 | 382.9 |
일반실험군(비교예3) | 196.2 | 228.3 | 262.2 | 296.1 | 326.7 | 348.3 | 368.8 | 384.3 |
일반실험군(비교예4) | 199.5 | 229.5 | 260.3 | 298.5 | 324.4 | 347.9 | 366.3 | 385.5 |
일반실험군(비교예5) | 195.9 | 229.6 | 263.3 | 299.7 | 326.1 | 349.8 | 368.4 | 386.7 |
그 결과, 단독으로 이루어진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이 각각 단독으로 들어간 비교예 1 내지 5의 희석액이 식수로 급이된 실험군은 체중감소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액이 식수로 급이된 실험군은 체중감소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5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가까운 수치로 나타나 뛰어난 체중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은 단독으로는 체중감소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들의 혼합물은 체중감소효과를 보이는 바,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의 조합으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험예 1 내지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고,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함에 따라, 체중감소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은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고,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함에 따라, HSL mRNA, CPT-1 mRNA 발현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흑생강 추출물,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세포에 안정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세포에 안정성을 가지며, HSL mRNA, CPT-1 mRNA 발현 효과를 갖고, 체중감소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로써,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5)
- 흑생강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고,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 포함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포함되도록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 흑생강, 망고진저, 어수리, 소두구 및 구기자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얻는 추출물 수득 단계(S10);
상기 추출물 수득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흑생강 추출물에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추출물 배합 단계(S20);
상기 추출물 배합 단계(S3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흑생강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50.0 중량%가 되도록 하며, 망고진저 추출물, 어수리 추출물, 소두구 추출물 또는 구기자 추출물은 항 비만용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의 숙성방법은 0 ~ 20℃의 온도로 20 ~ 7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632A KR102273428B1 (ko) | 2019-06-14 | 2019-06-14 |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632A KR102273428B1 (ko) | 2019-06-14 | 2019-06-14 |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3596A true KR20200143596A (ko) | 2020-12-24 |
KR102273428B1 KR102273428B1 (ko) | 2021-07-07 |
Family
ID=740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632A KR102273428B1 (ko) | 2019-06-14 | 2019-06-14 |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42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9208A (ko) | 2005-07-15 | 2007-01-1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비만 기능성 백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70019395A (ko) | 2005-08-12 | 2007-02-15 |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형태의 항비만 건강식품조성물 |
KR20130111073A (ko) * | 2012-03-30 | 2013-10-10 | 김철호 |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
JP2013224326A (ja) * | 2013-07-24 | 2013-10-31 | Maruzen Pharmaceut Co Ltd | 肥満解消剤、脂肪分解促進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活性阻害剤、及びラット副睾丸脂肪細胞の脂肪分解促進剤 |
CN105056091A (zh) * | 2015-08-20 | 2015-11-18 | 陈鹏 | 一种小豆蔻提取物、含其制剂及治疗肥胖的用途 |
JP2019052090A (ja) * | 2016-01-06 | 2019-04-04 | 綿引 一 | 黄杞葉又は黄杞葉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シノビオリンの活性阻害剤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0632A patent/KR1022734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9208A (ko) | 2005-07-15 | 2007-01-1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비만 기능성 백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70019395A (ko) | 2005-08-12 | 2007-02-15 |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형태의 항비만 건강식품조성물 |
KR20130111073A (ko) * | 2012-03-30 | 2013-10-10 | 김철호 |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
JP2013224326A (ja) * | 2013-07-24 | 2013-10-31 | Maruzen Pharmaceut Co Ltd | 肥満解消剤、脂肪分解促進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活性阻害剤、及びラット副睾丸脂肪細胞の脂肪分解促進剤 |
CN105056091A (zh) * | 2015-08-20 | 2015-11-18 | 陈鹏 | 一种小豆蔻提取物、含其制剂及治疗肥胖的用途 |
JP2019052090A (ja) * | 2016-01-06 | 2019-04-04 | 綿引 一 | 黄杞葉又は黄杞葉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シノビオリンの活性阻害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428B1 (ko)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4532B1 (ko) |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929954B2 (ja) |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 |
KR102012872B1 (ko) |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 |
KR101473940B1 (ko) |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81156B1 (ko) |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87337B1 (ko) | 항산화 및 면역 효능이 있는 발효사물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발효사물탕 | |
KR20190081545A (ko) |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30013856A (ko) |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 |
KR102075836B1 (ko) |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73428B1 (ko) |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70120053A (ko) | 항산화 및 면역 효능이 있는 발효사물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발효사물탕 | |
KR101915136B1 (ko) |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20120086436A (ko) |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 |
JP2019505208A (ja) | ブドウ種子抽出物、バレリアン抽出物及びベニバナ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女性更年期症状予防及び改善用食品組成物 | |
KR100755790B1 (ko) | 더덕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티백화된 더덕잎차 | |
KR101544543B1 (ko) |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46813B1 (ko) |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101946811B1 (ko) |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WO2019090977A1 (zh) | 一种功能性菊芋果酒及其制备方法 | |
KR102651338B1 (ko) |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 |
KR102414113B1 (ko) |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 |
KR102466832B1 (ko) | 뇌신경 보호 효과 및 혈류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102301521B1 (ko) |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42469B1 (ko) | 적하수오와 백하수오를 이용한 고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 |
KR101855820B1 (ko) |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