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445A -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445A
KR20200143445A KR1020207032576A KR20207032576A KR20200143445A KR 20200143445 A KR20200143445 A KR 20200143445A KR 1020207032576 A KR1020207032576 A KR 1020207032576A KR 20207032576 A KR20207032576 A KR 20207032576A KR 20200143445 A KR20200143445 A KR 2020014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substituted
carbon atoms
polymer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로 야마다
무네나오 히로카미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4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2Introducing metal atom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4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07F7/1872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 C07F7/1892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by reactions not provided for in C07F7/1876 - C07F7/188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는 모노알콕시실릴기이지만, 반응성이 양호하다.
Figure pct00024

(식 중, X는 폴리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등의 소정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1∼3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 R2는 서로 독립하여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등을 나타내고, Y는 O, S 등을 나타내고, A1 및 A2는 단결합,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 등의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n은 1∼3의 수이다.)

Description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록산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고분자량화할 수 있는 규소기(이하, 「반응성 규소기」라고도 칭한다.)로서, 규소 원자에 결합한 모노알콕시기를 분자쇄 말단에 함유하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응성 규소기 특히 알콕시실릴기, 수분 존재하에서 가수분해 축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반응성 규소기를 가지는 폴리머는 수분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서 가교 경화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 중에서도, 그 주쇄가 폴리옥시알킬렌계 중합체인 것은 일반적으로 변성 실리콘으로서 알려져 있고, 그 주쇄가 규소 함유 화합물인 것은 일반적으로 말단 봉쇄 실리콘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것들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반응성 규소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사용한 경화성 조성물은 실온에서는 액상이며, 경화에 의해 고무 탄성체가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특징을 이용하여 코팅제, 접착제, 건축용 실란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접착제, 건축용 실란트 등의 용도에 있어서, 단순하게 강고한 접착만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고, 내구성의 향상이나, 보다 질이 높은 접착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경화한 접착층이 강인하고 또한 유연한 고무 형상 탄성체로 되어, 기재의 열팽창·수축이나, 외부 응력에 추종함으로써 내구성, 신뢰성이 향상되는 탄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분자쇄 말단에 반응성 규소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졌고, 이미 공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주쇄가 폴리옥시알킬렌기이며 분자쇄 말단이 알콕시실릴기의 화합물로서, 주쇄가 폴리옥시프로필렌이며 분자쇄 양쪽 말단에 메틸디메톡시실릴기가 결합한 폴리머 등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폴리머의 대표예로서, 알콕시실릴 말단 봉쇄 폴리옥시알킬렌계 화합물을 주제(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실온 경화성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실온 경화성 조성물은 메틸디메톡시실릴기 또는 트리메톡시실릴기의 습기 경화에 의해 가교 반응이 진행하므로, 습기 경화 후의 경화물의 가교 밀도가 높아져, 크랙이나 박리를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 가교 밀도의 저하 때문에 디메틸모노메톡시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병용한 경우에는, 디메틸모노메톡시실릴기의 반응성이 대단히 낮기 때문에, 경화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일본 특개 2004-099908호 공보 일본 특개 2010-20920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노알콕시실릴기이더라도 반응성이 양호한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분자쇄 말단의 모노알콕시실릴기와 주쇄 구조와의 연결기로서, 특정 헤테로 원자-메틸렌-실릴 결합을 함유하는, 소정의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을 발견함과 아울러, 이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응성, 유연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코팅제, 접착제, 실란트 등의 재료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n은 X의 원자가수로 1∼3의 수를 나타내고,
X는 폴리우레탄, 폴리요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및 폴리실록산-폴리요소 공중합체, 및 이들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1∼3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Y는 단결합, O, S, 또는 N(R3)을 나타내고,
R3은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지만, X가 2가 또는 3가의 경우, 2개의 N(R3)에 있어서의 R3끼리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A1 및 A2는, 서로 독립하여,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단, Y가 단결합인 경우, A1-A2로 형성되는 2가의 기 또는 X는 Si 원자에 결합하는 R2를 제외한 CH2기와 헤테로 원자로 결합한다.)
2. 상기 X가 폴리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및 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인 1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3.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1 또는 2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A1 및 A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1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Y1은 O, S, 또는 N(R3)을 나타내고, R3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4. 하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1∼3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03
(식 중, R1, R2, A1, A2 및 Y1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R4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7∼20의 아랄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m은, 서로 독립하여, 1 이상의 수를 나타낸다.)
5. 평균 구조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4, R5, m 및 Z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L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메탄술포네이트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기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기로부터 선택되는 탈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식 (5)
Figure pct00005
(식 중, R1 및 R2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R6은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1∼4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
6. 상기 R6이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메르캅토기 또는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기인 5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
7. 1∼4 중 어느 하나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8. 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7의 경화성 조성물,
9. 상기 경화 촉매가 아민계 화합물인 8의 경화성 조성물,
10. 7∼9 중 어느 하나의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제,
11. 7∼9 중 어느 하나의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12. 7∼9 중 어느 하나의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 물품,
13. 10의 코팅제가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가지는 경화 물품,
14. 11의 접착제가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는 경화 물품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는 모노알콕시실릴기이더라도 반응성이 양호하고, 또 이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연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코팅제, 접착제, 실란트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6
식 (1)에서, R1은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R1 및 R2에서,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는 직쇄상, 환상, 분기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네오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기,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이소보르닐기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의 구체예로서는 페닐, 톨릴, 크실릴, α-나프틸, β-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알킬기, 아릴기, F, Cl, Br 등의 할로겐 원자나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3-클로로프로필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2-시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R1, R2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반응성이나 입수 용이성, 생산성, 비용의 면에서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에서, X는 폴리머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1∼3가의 유기기이며, 폴리머 주쇄 골격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주쇄 골격 중에 직쇄상 구조, 분기상 구조, 또는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주쇄 골격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우레탄; 폴리요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비결정 폴리아릴레이트, 액정 폴리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요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 단독의 주쇄이어도, 2종 이상의 성분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주쇄이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폴리머의 주쇄 골격으로서는 폴리우레탄, 폴리요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요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반응성이나 입수 용이성, 생산성, 비용의 면을 고려하면, 폴리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식 (1)에서, Y는 단결합, -O-, -S-, 또는 -N(R3)-을 나타낸다.
상기 R3은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6의 아릴기를 나타내지만, X가 2가 또는 3가의 경우, 2개의 N(R3)에서의 R3끼리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R3의 알킬기 및 아릴기로서는 상기 R1 및 R2에서 예시한 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R3끼리 결합하여 형성하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 이소부틸렌, 디메틸에틸렌, 펜타메틸렌, 2,2-디메틸트리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실렌(데카메틸렌)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등의 시클로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고, R3끼리 결합하여 형성하는 6∼20의 아릴렌기의 구체예로서는 1,2-페닐렌, 1,3-페닐렌, 1,4-페닐렌, 옥시비스페닐렌, 술폰비스페닐렌, 톨루엔디일, 크실렌디일, 나프탈렌디일기 등의 아릴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알킬기, 아릴기, F, Cl, Br 등의 할로겐 원자나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3-클로로트리메틸렌기, 2,3,3-트리플루오로트리메틸렌기, 2-클로로-1,4-페닐렌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R3끼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경우, R3으로서는, 서로 독립하여, 메틸렌, 에틸렌기(즉, R3끼리가 서로 결합한 알킬렌기로서는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기)가 바람직하고, 반응성이나 입수 용이성, 생산성, 비용의 면을 고려하면, 메틸렌기(동 알킬렌기로서는 에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에서, A1 및 A2는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8의 2가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상기 A1 및 A2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 이소부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 헵타데카메틸렌, 옥타데카메틸렌, 노나데카메틸렌, 에이코사데실렌기 등의 알킬렌기; 시클로펜틸렌, 시클로헥실렌기 등의 시클로알킬렌기; 페닐렌, α-, β-나프틸렌기 등의 아릴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알킬기, 아릴기, F, Cl, Br, I 등의 할로겐 원자나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2-클로로에틸렌, 2-브로모에틸렌, 2-클로로프로필렌, 2-브로모프로필렌, 1-클로로메틸에틸렌, 1-브로모메틸에틸렌, 2-클로로옥타메틸렌, 2-브로모옥타메틸렌, 1-클로로메틸헵타메틸렌, 1-브로모메틸헵타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단결합,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이소프로필렌, 옥타메틸렌, 2-브로모에틸렌, 2-브로모프로필렌, 1-브로모메틸에틸렌, 2-브로모옥타메틸렌, 1-브로모메틸헵타메틸렌기가 바람직하고, 단결합, 에틸렌, 트리메틸렌, 이소프로필렌, 2-브로모에틸렌, 2-브로모프로필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단결합, 에틸렌, 이소프로필렌, 2-브로모에틸렌기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1 및 A2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의 구체예로서는 에테르 결합(-O-), 티오에테르 결합(-S-), 아미노 결합(-NH-, -N(R3)-, R3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술포닐 결합(-S(=O)2-), 포스피닐 결합(-P(=O)OH-), 옥소 결합(-C(=O)-), 티오옥소 결합(-C(=S)-), 에스테르 결합(-C(=O)O-), 티오에스테르 결합(-C(=O)S-), 티오노에스테르 결합(-C(=S)O-), 디티오에스테르 결합(-C(=S)S-), 탄산 에스테르 결합(-OC(=O)O-), 티오탄산 에스테르 결합(-OC(=S)O-), 아미드 결합(-C(=O)NH-), 티오아미드 결합(-C(=S)NH-), 우레탄 결합(-OC(=O)NH-), 티오우레탄 결합(-SC(=O)NH-), 티오노우레탄 결합(-OC(=S)NH-), 디티오우레탄 결합(-SC(=S)NH-), 요소 결합(-NHC(=O)NH-), 티오요소 결합(-NHC(=S)NH-), 피페라진환(1,4-피페라진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A1 및 A2로서는 단결합, 아미노 결합(-NH-, -N(R3)-), 피페라진환(1,4-피페라진디일기) 또는 옥소 결합(-C(=O)-)이 바람직하다.
또한, A1-A2-Y로 형성되는 2가의 기에서, 산소 원자가 연속되는 구조 「-O-O-」가 되는 조합은 취하지 않는다. 또한, Y가 단결합의 경우, A1-A2로 형성되는 2가의 기 또는 X는 Si 원자에 결합하는 CH2기(단, R2 중 CH2기는 제외함)와 헤테로 원자로 결합한다.
상기 n은 폴리머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유기기 X의 원자가수, 즉 본 발명의 폴리머 1 분자당의 가수분해성 기의 평균수를 나타낸다.
1 분자당의 n의 평균은 1∼3이지만, 2∼3이 바람직하고, 2가 보다 바람직하다. n이 1 미만이면, 가수분해성 기가 부족함으로써 반응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화성 및 그 경화물의 기계 특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n이 3을 초과하면, 반응점이 많아져,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악화되거나, 얻어지는 경화물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경화물이 양호한 기계 특성을 나타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물의 기계 특성 및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Figure pct00007
식 (2)에서, R1, R2, A1 및 A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X1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Y1은 O, S 및 N(R3)을 나타내고, R3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X1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2가의 유기기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이 주쇄 골격 중에 직쇄상 구조, 분기상 구조, 또는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측쇄 구조 중에,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알킬렌기, 아릴렌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양이온성 기, 음이온성 기, 알콕시실릴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폴리머의 점도 및 본 발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X1로서는 직쇄상 구조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쇄 구조로서는 본 발명의 폴리머의 점도, 보존 안정성 및 본 발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에스테르기, 알콕시실릴기가 바람직하고, 에스테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폴리머로서는 하기 평균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물의 기계 특성 및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Figure pct00008
식 (3)에서, R1, R2, A1, A2 및 Y1은 서로 독립하여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R4는, 서로 독립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6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4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R1, R2에서 예시한 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 중에서도, R4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부틸기가 바람직하고, 반응성, 입수 용이성, 생산성, 비용, 얻어지는 폴리머의 점도 등의 관점에서 에틸기, n-부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5는, 서로 독립하여,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지만,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주쇄 골격은 상기 R4 및 R5가 서로 동일한 1종류의 반복단위로 이루어져도 되고, 상기 R4 및 R5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반복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특히, 코팅제, 접착제, 실란트 등의 재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구성의 관점에서 R5가 수소 원자이며, R4가 n-부틸기 단독의 중합체 또는 에틸기와 n-부틸기의 공중합체인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식 (3)에서, m은, 서로 독립하여, 1 이상의 수이지만, 얻어지는 경화물의 기계 특성이나 조성물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0이다.
또한, Z는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7∼20의 아랄킬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0의 아랄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지만, 이것들 중에서도, Z로서는 단결합 또는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탄소 원자수 10의 아랄킬렌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9
(식 중, *는 결합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당해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 등을 적절한 범위로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충분한 경화성을 부여하는 것을 고려하면, 수평균 분자량 500∼1,000,000이 바람직하고, 1,000∼10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5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용매 THF)에 있어서의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이하, 동일).
상기한 본 발명의 폴리머는 하기 평균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 및 모노알콕시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모노알콕시실란이라고 함)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 중, R4, R5, m 및 Z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L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메탄술포네이트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기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기로부터 선택되는 탈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식 중, R1 및 R2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R6은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기를 나타낸다.)
식 (4)에서, L은 탈리기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메탄술포네이트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기, p-톨루엔술포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모노알콕시실란과의 반응성, 입수 용이성, 생산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L로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가 바람직하고, 브롬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12
(식 중, Me는 메틸기, Et는 에틸기, Bu는 n-부틸기, Ph는 페닐기, Bn은 벤질 기, Ch는 시클로헥실기, Ib는 이소보르닐기를 의미하고, m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또 그 원료가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부터 라디칼 중합 또는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을 행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072809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공지의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식 (5)에서, R6은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기를 나타내고, 당해 작용기는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놀기, 포스폰산기 등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비닐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비닐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알릴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알릴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헥세닐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헥세닐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옥테닐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옥테닐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운데세닐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운데세닐옥시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메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메틸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에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에틸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프로필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프로필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부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부틸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헥실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헥실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옥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옥틸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페닐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메틸디메틸에톡시실란, 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피페라진, N-(디메틸에톡시실릴메틸)피페라진, 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이미다졸리딘, N-(디메틸에톡시실릴메틸)이미다졸리딘, N,N'-디메틸-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N-(디메틸에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t-부틸-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t-부틸-N-(디메틸에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페닐-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페닐-N-(디메틸에톡시실릴메틸)에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가수분해성의 관점에서, 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알릴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옥테닐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부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옥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피페라진이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부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피페라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구조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을 반응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상기 탈리기와의 반응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제조 방법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가 활성 수소를 가지는 경우, 즉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놀기, 포스폰산기 등의 경우에는, 상기 탈리기와의 구핵 치환 반응(탈염 반응)을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행하면 되고, 또한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가 중합성 작용기를 가지는 경우, 즉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등의 경우에는, 상기 탈리기와의 라디칼 부가 반응을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행하면 된다.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반응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반응의 원료를 보다 적게 하고, 얻어지는 폴리머의 보존 안정성이나 여러 특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리기 1mol에 대하여,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 0.1∼2.0mol이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고, 0.4∼1.5mol이 되는 비율이 보다 바람직하고, 0.8∼1.2mol이 되는 비율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가 활성 수소를 가지는 경우, 즉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놀기, 포스폰산기 등의 경우에는, 상기 탈리기와의 구핵 치환 반응(탈염 반응)을 행한다. 상기 구핵 치환 반응 시에는,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반응 속도 향상을 위해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구핵 치환 반응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통상, 구핵 치환 반응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 중의 활성 수소 이외와는 반응하지 않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나트륨, 금속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금속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소화나트륨, 수소화리튬, 수소화칼륨, 수소화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수소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소화물;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터셔리부톡시드, 나트륨터셔리부톡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알콕시드;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 탄산염;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탄산수소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피리딘,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등의 3차 아민;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디아자비시클로노넨 등의 아미딘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반응 효율의 관점에서, 수소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터셔리부톡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알콕시드;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의 3차 아민;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등의 아미딘이 바람직하고, 나트륨메톡시드, 칼륨터셔리부톡시드, 트리에틸아민,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핵 치환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켜 원료의 잔존을 방지함과 아울러, 염기성 화합물의 과잉한 잔존을 방지하여 얻어지는 폴리머의 보존 안정성이나 여러 특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탈리기 1mol에 대하여, 염기성 화합물은 0.5∼10mol이 바람직하고, 0.8∼2mol이 보다 바람직하고, 0.9∼1.2mol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구핵 치환 반응에서는, 사용하는 원료와 반응하지 않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반응 효율의 관점에서,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이 바람직하다.
구핵 치환 반응 시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 속도를 적절하게 하면서,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휘산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25∼150℃가 바람직하고, 40∼120℃가 바람직하고, 60∼100℃가 더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구핵 치환 반응은, 통상, 대기압하에서 행하지만, 상기 모노알콕시실란의 휘산 억제, 반응 속도 향상 등의 목적으로, 가압하에서 행해도 된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분∼100시간이다.
또한, 상기 구핵 치환 반응에서는, 반응 속도 향상을 위해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촉매로서는 일반적으로 구핵 치환 반응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사용하는 원료와 반응하지 않는 것을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12-크라운-4, 15-크라운-5, 18-크라운-6, 디벤조-18-크라운-6 등의 크라운에테르;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리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디드, 테트라부틸암모늄황산수소염 등의 4차 암모늄염;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반응성 및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18-크라운-6,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디드, 테트라부틸암모늄황산수소염,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디드, 테트라부틸암모늄황산수소염, 요오드화칼륨이 보다 바람직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황산수소염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상간 이동 촉매로서 작용, 또는 상기 탈리기를 활성화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이면 되지만,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합계에 대하여, 0.0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알콕시실란의 유기 작용기가 중합성 작용기를 가지는 경우, 즉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등의 경우에는, 상기 탈리기와의 라디칼 부가 반응을 행한다.
또한, 상기 라디칼 부가 반응 시에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반응 속도 향상을 위해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라디칼 부가 반응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하면 되고, 열, 빛, 혹은 레독스 반응 등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적합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과산화수소수, tert-부틸하이도로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에틸헥사노일)(tert-부틸)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프로판, 2,2'-아조비스이소부탄,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2'-디클로로-2,2'-아조비스프로판, 2,2'-디클로로-2,2'-아조비스부탄, 1,1'-아조(메틸에틸)디아세테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드, 2,2'-아조비스이소부티르산디메틸, 3,5-디히드록시메틸페닐아조-2-메틸말로노디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디메틸 등의 아조 화합물; 과산화수소-철(II)염, 세륨(IV)염-알코올, 유기 과산화물-디메틸아닐린 등의 레독스 개시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디메틸아미노-2-(4-메틸벤질)-1-(4-모르폴린-4-일 페닐)부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등의 광중합 개시제; 테트라알킬티우람디술피드 등의 디알킬디술피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라디칼 부가 반응 시의 반응 속도의 관점에서, (2-에틸헥사노일)(tert-부틸)퍼옥시드,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 바람직하고,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이면 되지만, 통상, 식 (4)로 표시되는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식 (5)로 표시되는 모노알콕시실란의 합계에 대하여 0.001∼10질량%이다.
또한, 상기 라디칼 부가 반응은 무용매에서도 진행하지만,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라디칼 부가 반응 시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 속도를 적절하게 하면서, 부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25∼150℃가 바람직하고, 4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분∼24시간이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코팅제 조성물 및 접착제 조성물(이하, 합쳐서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은 상기한 (A)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B) 경화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A) 성분의 폴리머는 당해 폴리머의 구조에 유래하고,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복 처리나 접착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경화 물품의 경화성, 유연성이 종래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경화물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경화 촉매(B)는 (A)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에 포함되는 가수분해성 기가 공기 중의 수분으로 가수분해 축합되는 반응, 또는 당해 유기 규소 화합물과 실라놀기와의 탈알코올 반응을 촉진하여,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성분이며, 효율적으로 경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경화 촉매로서는 일반적인 습기 축합 경화형 조성물의 경화에 사용되는 경화 촉매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구체예로서는 디부틸주석옥시드, 디옥틸주석옥시드 등의 알킬주석 화합물;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옥토에이트, 디옥틸주석디옥토에이트, 디옥틸주석디버사테이트 등의 알킬주석에스테르 화합물;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n-부톡시티탄, 테트라키스(2-에틸헥속시)티탄, 디프로폭시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토)티탄,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티타늄이소프로폭시옥틸렌글리콜 등의 티탄산 에스테르, 및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및 그것들의 부분 가수분해물; 나프텐산 아연, 스테아르산 아연, 아연-2-에틸옥토에이트, 철-2-에틸헥소에이트, 코발트-2-에틸헥소에이트, 망간-2-에틸헥소에이트, 나프텐산 코발트, 삼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알코올레이트, 알루미늄아실레이트, 알루미늄아실레이트의 염, 알루미노실록시 화합물,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N,N'-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탄-1,2-디아민, N,N'-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에탄-1,2-디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알킬기 치환 알콕시실란; 헥실아민, 인산 도데실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딘 등의 아민 화합물 및 그 염; 벤질트리에틸암모늄아세테이트 등의 4차 암모늄염; 아세트산 칼륨, 아세트산 나트륨, 옥살산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저급 지방산염; 디메틸히드록실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등의 디알킬히드록실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의 구아니딜기를 함유하는 실란 및 실록산; N,N,N',N',N'',N''-헥사메틸-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포스포리미딕 폴리아미드 등의 포스파젠 염기를 함유하는 실란 및 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보다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버사테이트,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n-부톡시티탄,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N,N'-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탄-1,2-디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조성물의 경화성의 관점에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버사테이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기 주석계 화합물을 비함유로 하여, 보다 저독성으로 하는 점에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더한층 바람직하고, 조성물의 경화성의 관점에서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B) 경화 촉매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화 속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5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제로서는 (A) 성분의 용해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구체예로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제,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도, 용해성 및 휘발성 등의 관점에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가 바람직하다.
용제의 첨가량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20,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00∼10,0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주제(베이스 폴리머), 접착성 개량제, 무기 및 유기의 자외선 흡수제, 보존 안정성 개량제, 가소제, 충전제, 안료, 향료 등의 각종 주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고체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복 고체 기재가 얻어지고,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고체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또한 그 위에 다른 고체 기재를 적층한 후, 조성물을 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 적층체가 얻어진다.
각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는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딥 코팅, 롤러 코팅, 브러시 코팅, 바 코팅, 플로우 코팅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체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류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스티렌과 폴리페닐렌에테르의 블렌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유기 수지 기재; 철판, 동판, 강판 등의 금속 기재; 도료 도포면; 글라스; 세라믹; 콘크리트; 슬레이트판; 텍스타일; 목재, 석재, 기와, (중공)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등의 무기 필러; 유리 섬유를 비롯한 글라스 클로스, 글라스 테이프, 글라스 매트, 글라스 페이퍼 등의 유리 섬유 제품 등을 들 수 있고, 기재의 재질 및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위기 중의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A)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가수분해 축합 반응, 또는 당해 폴리머와 실라놀기와의 탈알코올 반응이 진행된다. 분위기 중의 수분의 지표로서는 10∼100% RH의 임의의 습도이면 되고,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을수록 가수분해가 진행되기 때문에, 소망에 따라 분위기 중에 수분을 가해도 된다.
경화 반응 온도 및 시간은 사용하는 기재, 수분 농도, 촉매 농도, 및 가수분해성 기의 종류 등의 인자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경화 반응 온도는 통상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25℃ 부근의 상온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재의 내열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로 가열하여 경화시켜도 된다. 경화 반응 시간은 통상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1분 내지 1주일 정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온에서도 양호하게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특히, 현장 시공 등에서 실온 경화가 필수가 되는 경우에도, 수 분 내지 수 시간에 도포막 표면의 끈적임(점착성)이 없어져, 경화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지만, 기재의 내열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열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 있어서, 점도는 B형 회전 점도계에 의한 25℃에서의 측정값이며, 분자량 및 중합도 m은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 측정에 의해 구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중합도이다.
또한,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1H-NMR 측정에 의한 분석, 및 상기 GPC 측정에 의해 구한 수평균 분자량을 기초로 산출했다.
[1]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합성
[실시예 1-1] 폴리머 1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하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3.6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9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1-2] 폴리머 2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하기 평균 구조식 (iii)으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0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3.6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8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2개이었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1-3] 폴리머 3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5,600, 중합도 m=6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3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2.4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3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6,1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실시예 1-4] 폴리머 4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20,700, 중합도 m=8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0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1.8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0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21,1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실시예 1-5] 폴리머 5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25,800, 중합도 m=10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08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1.5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08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26,4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실시예 1-6] 폴리머 6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5,300, 중합도 m=2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38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7.1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38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5,7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2개이었다.
[실시예 1-7] 폴리머 7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2,800, 중합도 m=1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72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13.6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72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3,2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3개이었다.
[실시예 1-8] 폴리머 8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500, 중합도 m=5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135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25.4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135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2,0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실시예 1-9] 폴리머 9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아크릴로일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3.3g(아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8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실시예 1-10] 폴리머 10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알릴옥시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2.5g(알릴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알릴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7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실시예 1-11] 폴리머 11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메르캅토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2.6g(메르캅토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칼륨터셔리부톡시드 2.2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르캅토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염 및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가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9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1.9개이었다.
[실시예 1-12] 폴리머 12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N-부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3.4g(아미노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미노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그 속에, 칼륨터셔리부톡시드 2.2g을 투입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염 및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가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1,0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2개이었다.
[실시예 1-13] 폴리머 13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N-옥틸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4.4g(아미노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미노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그 속에, 칼륨터셔리부톡시드 2.2g을 투입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염 및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가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1,0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실시예 1-14] 폴리머 14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N-페닐아미노메틸디메틸메톡시실란 3.7g(아미노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미노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그 속에, 칼륨터셔리부톡시드 2.2g을 투입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염 및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가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8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실시예 1-15] 폴리머 15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N-(디메틸메톡시실릴메틸)피페라진 3.6g(아미노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미노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그 속에, 칼륨터셔리부톡시드 2.2g을 투입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염 및 과잉의 염기성 화합물을 가압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0,9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0개이었다.
[비교예 1-1] 폴리머 16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4.1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1,0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비교예 1-2] 폴리머 17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4.8g(메타크릴로일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속에,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0.1g을 투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다. 1H-NMR 측정에 의해 원료의 메타크릴로일기 유래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11,100이며, 또 폴리머 1 분자당에 도입된 모노알콕시실릴기수는 2.1개이었다.
[비교예 1-3] 폴리머 18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갖춘 2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상기 평균 구조식 (ii)로 표시되고, 수평균 분자량 10,450, 중합도 m=40의 탈리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g(말단 탈리기(Br)의 작용기 당량 0.019몰)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g(아미노기의 작용기량 0.019몰)을 장입하고, 80℃에서 6시간 교반했지만, 반응액이 겔화되어, 반응 생성물을 얻을 수는 없었다.
[2] 알콕시실릴기의 반응성의 확인
[실시예 2-1]
점도 5,000mPa·s의 α,ω-디히드록시디메틸폴리실록산을 70질량부와,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폴리머 1을 30질량부와, 용제로서 톨루엔을 100질량부와, 경화 촉매인 테트라메틸구아니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5질량부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습기 차단하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2-2∼2-15 및 비교예 2-1∼2-2]
실시예 2-1의 폴리머 1을, 실시예 1-2∼1-15에서 얻어진 폴리머 2∼15, 비교예 1-1, 1-2에서 얻어진 폴리머 16, 17로 각각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2-3]
실시예 2-1의 폴리머 1을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실시예 2-1∼2-15 및 비교예 2-1∼2-3에서 조제한 조성물에 대해 하기의 평가를 실시했다. 그것들의 결과를 표 1, 2에 함께 나타낸다.
[증점률]
상기 조제 방법으로 얻은 조성물을, 질소 가스를 충전한 유리병 속에서 25℃, 50% RH의 공기하에서 마개로 밀폐하여 보관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증점률((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점도)/(충전 직후의 점도)×100)을 측정했다. 값이 클수록, 알콕시실릴기의 반응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표 1,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15에서 얻어진 폴리머 1∼15를 사용한 실시예 2-1∼2-15에서 조제한 조성물은 비교예 2-1, 2-3에서 조제한 조성물에 비해 증점률이 높고, 알콕시실릴기의 반응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1, 2-3에서 조제한 조성물은 거의 증점하지 않아, 충분한 반응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2에서는,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졌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겔화되어 버려, 본 발명의 목적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3] 조성물 및 경화 피막의 제작
[실시예 3-1]
실리콘계 코팅제 KR-400(신에츠카가쿠고교(주)제) 70질량부와,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폴리머 130질량부와, 용제로서 톨루엔 100질량부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습기 차단하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어진 조성물을 25℃, 50% RH의 공기하에서 바 코터 No.5를 사용하여 연마 강판에 도포하고, 25℃, 50% RH의 공기하에서 7일간 건조·경화시켜, 경화 피막을 제작했다.
[실시예 3-2∼3-15 및 비교예 3-1∼3-2]
실시예 3-1의 폴리머 1을, 실시예 1-2∼1-15에서 얻어진 폴리머 2∼15, 비교예 1-1, 1-2에서 얻어진 폴리머 16, 17로 각각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 및 경화 피막을 제작했다.
[비교예 3-3]
실시예 3-1의 폴리머 1을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 및 경화 피막을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 3-1∼3-15 및 비교예 3-1∼3-3에서 제작한 경화 피막에 대해 하기의 평가를 실시했다. 그것들의 결과를 표 3, 4에 함께 나타낸다.
[유연성]
상기 도포 방법으로 연마 강판에 경화 피막을 형성한 시험편을, JIS-K5600-5-1에 기재된 맨드릴 굴곡 시험기를 사용하여, 지름 8mm의 원통형 맨드릴을 통하여 굴곡시키고, 굴곡 변형에 의한 경화 피막면의 균열(크랙)·박리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균열·박리가 전혀 관측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화 피막의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하여 「○」로 평가했다. 균열·박리가 관측된 경우에는 「×」로 평가했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표 3,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15에서 얻어진 폴리머 1∼15를 사용한 실시예 3-1∼3-15에서 조제한 조성물은 비교예 3-1에서 조제한 조성물에 비해 경화성이 높아, 알콕시실릴기의 반응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를 사용한 조성물은 비교예 3-2, 3-3에서 조제한 조성물에 비해 유연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1에서 조제한 조성물은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도포막 표면에 점착성(끈적임)이 있어, 충분한 반응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2, 3-3에서는,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졌기 때문에, 경화 피막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사용하면, 모노알콕시실릴기이어도 반응성이 양호하며, 또 유연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코팅제, 접착제, 실란트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19

    (식 중, R1은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n은 X의 원자가수로 1∼3의 수를 나타내고,
    X는 폴리우레탄, 폴리요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및 폴리실록산-폴리요소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1∼3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Y는 단결합, O, S, 또는 N(R3)을 나타내고,
    R3은 수소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지만, X가 2가 또는 3가의 경우, 2개의 N(R3)에서의 R3끼리 결합하여,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A1 및 A2는, 서로 독립하여,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단, Y가 단결합의 경우, A1-A2로 형성되는 2가의 기 또는 X는 Si 원자에 결합하는 R2를 제외한 CH2기와 헤테로 원자로 결합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가 폴리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및 폴리실록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주쇄 골격을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인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20

    (식 중, R1, R2, A1 및 A2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X1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Y1은 O, S, 또는 N(R3)을 나타내고, R3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Figure pct00021

    (식 중, R1, R2, A1 및 A2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Y1은 O, S, 또는 N(R3)을 나타내고, R4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7∼20의 아랄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m은, 서로 독립하여, 1 이상의 수를 나타낸다.)
  5. 평균 구조식 (4)
    Figure pct00022

    (식 중, R4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Z는 단결합,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알킬렌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7∼20의 아랄킬렌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m은, 서로 독립하여, 1 이상의 수를 나타내고, L은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메탄술포네이트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기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기로부터 선택되는 탈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식 (5)
    Figure pct00023

    (식 중, R1 및 R2는 상기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고, R6은 상기 탈리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6이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알켄일옥시기, 메르캅토기 또는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기인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경화 촉매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가 아민계 화합물인 경화성 조성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코팅제.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경화 물품.
  13. 제10항의 코팅제가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가지는 경화 물품.
  14. 제11항의 접착제가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가지는 경화 물품.
KR1020207032576A 2018-04-17 2019-01-22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434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79194 2018-04-17
JP2018079194A JP7067229B2 (ja) 2018-04-17 2018-04-17 反応性ケイ素含有基を有する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9/001767 WO2019202796A1 (ja) 2018-04-17 2019-01-22 反応性ケイ素含有基を有する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445A true KR20200143445A (ko) 2020-12-23

Family

ID=6824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576A KR20200143445A (ko) 2018-04-17 2019-01-22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7790B2 (ko)
EP (1) EP3783037B1 (ko)
JP (1) JP7067229B2 (ko)
KR (1) KR20200143445A (ko)
CN (1) CN111989348B (ko)
TW (1) TWI797252B (ko)
WO (1) WO2019202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066175A1 (ko) 2019-10-03 2021-04-08
JP2022111402A (ja) * 2021-01-20 2022-08-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硬化性組成物
JP2021095574A (ja) * 2021-02-26 2021-06-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908A (ja) 2003-10-20 2004-04-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硬化性組成物
JP2010209205A (ja) 2009-03-10 2010-09-24 Kaneka Corp 硬化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5220A1 (de) * 1974-09-21 1976-04-08 Bayer Ag Zu elastomeren haertbar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siloxan-polyurethan-mischpolymeren
JP3806475B2 (ja) * 1996-02-08 2006-08-09 株式会社カネカ 末端に官能基を有する(メタ)アクリル系重合体の 製造方法
US5789487A (en) * 1996-07-10 1998-08-04 Carnegie-Mellon University Preparation of novel homo- and copolymers using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JP4850988B2 (ja) * 1998-06-01 2012-01-11 株式会社カネカ 重合方法
CN1243027C (zh) 1998-06-01 2006-02-22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聚合方法
DE10201703A1 (de) * 2002-01-17 2003-08-07 Consortium Elektrochem Ind Alkoxysilanterminierte Polymere enthaltende vernetzbare Polymerabmischungen
DE10355318A1 (de) * 2003-11-27 2005-06-23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ganyloxysilylterminierten Polymeren
DE102004020563A1 (de) * 2004-04-27 2005-11-17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oxan-Copolymeren
US7772332B2 (en) * 2006-04-20 2010-08-10 Kaneka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DE102006054158A1 (de) 2006-11-16 2008-05-21 Wacker Chemie Ag Ultrahydrophobe Beschichtungen
US20100330380A1 (en) * 2007-11-26 2010-12-30 John Colreavy Organosilane Coating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5376162B2 (ja) * 2008-12-25 2013-12-25 セメダイン株式会社 ウレタン系樹脂、該樹脂の製造方法及びウレタン系樹脂組成物
JP5582333B2 (ja) * 2009-02-04 2014-09-03 セメダイン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DE102009046197A1 (de) * 2009-10-30 2011-05-05 Evonik Röhm Gmbh Homopolymere und Copolymere der Hydroxyisobuttersäure(ester)(meth)acrylate
CN103068922B (zh) * 2010-08-10 2017-02-15 株式会社钟化 固化性组合物
JP2014508198A (ja) * 2011-01-19 2014-04-03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リル官能化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及びシリルモノマーの取り込まれたシリル官能化ポリオレフィン
JP2015507047A (ja) * 2012-02-03 2015-03-05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ポリマー、方法および組成物
WO2015023372A1 (en) * 2013-08-12 2015-02-19 Henkel US IP LLC Alkoxysilane-functionalized polyacryl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US10287399B2 (en) * 2015-01-16 2019-05-14 Kaneka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and cur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CN107805309B (zh) * 2016-09-09 2021-03-19 翁秋梅 一种非共价交联结构的动态聚合物及其应用
CN107880229B (zh) * 2017-12-08 2020-12-1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端基改性的聚丙烯酸酯嵌段共聚物的制备方法及其制得的聚丙烯酸酯嵌段共聚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908A (ja) 2003-10-20 2004-04-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硬化性組成物
JP2010209205A (ja) 2009-03-10 2010-09-24 Kaneka Corp 硬化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7229B2 (ja) 2022-05-16
EP3783037B1 (en) 2024-01-10
TW201943740A (zh) 2019-11-16
EP3783037A4 (en) 2022-01-05
TWI797252B (zh) 2023-04-01
EP3783037A1 (en) 2021-02-24
CN111989348A (zh) 2020-11-24
WO2019202796A1 (ja) 2019-10-24
US20210155800A1 (en) 2021-05-27
JP2019183082A (ja) 2019-10-24
US11667790B2 (en) 2023-06-06
CN111989348B (zh)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744B1 (ko) 유기 규소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43445A (ko) 반응성 규소 함유 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그 제조 방법
US11292881B2 (en) Polyoxyalkylene group-containing organosilicon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1989333B (zh) 有机硅化合物及其制造方法
JP7088297B2 (ja) 室温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接着剤及びシーリング剤、並びに物品
JPWO2019077942A1 (ja) 室温硬化性組成物、シーリング材及び物品
JP7110722B2 (ja) 含フッ素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室温硬化性含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物品
EP3428197B1 (en) Organosilicon compound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