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78A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 Google Patents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778A
KR20200142778A KR1020190070071A KR20190070071A KR20200142778A KR 20200142778 A KR20200142778 A KR 20200142778A KR 1020190070071 A KR1020190070071 A KR 1020190070071A KR 20190070071 A KR20190070071 A KR 20190070071A KR 20200142778 A KR20200142778 A KR 2020014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pipe
lever member
air condition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우
Original Assignee
우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778A/ko
Publication of KR2020014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21D19/14Reinforcing edges, e.g. armour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중공관부 형상의 공간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밀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1레버 부재; 상기 가압 밀대의 일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어 성형 툴; 상기 제1레버 부재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가압 밀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2레버 부재; 및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을 고정하는 파이프 클램프;를 포함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Portable double flare processing tool for pipe of air conditioner using lever principle}
본 발명은 공조기 배관용 플레어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 가능한 현장 맞춤형 이중 플레어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에 사용되는 배관 파이프의 연결은 연결부를 직접 용접하는 용접방식과 배관 연결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상기 배관 연결구를 사용하는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연결구는 플레어 니플(1)과, 플레어 너트(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어 니플(1)은 공조기 측이나 다른 배관 쪽에 결합 된다. 상기 플레어 너트(3)는 상기 플레어 니플(1)에 면 접촉이 되도록 플레어(4, 확관부)가 구비된 배관(2)을 상기 플레어 니플(1) 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플레어 니플(1)에 나사 결합 된다. 이와 같은 배관 연결 구조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51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위해 배관(2)은 공장에서 플레어 가공 장치에 의해 미리 플레어(4)가 가공된 상태로 시장에 출고된다. 이와 같은 목적의 플레어 가공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67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 공조기 설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배관의 길이는 다양하다. 따라서 공장에서 현장의 조건에 모두 부합하는 길이별로 배관을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조기 설치 현장에서는 실제 필요 길이보다 긴 배관을 사용하며 나머지 길이의 배관은 잘라내지 않고 말거나 굴곡 시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배관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배관을 절단한 후 현장에서 배관 연결을 위한 플레어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플레어 가공 장치는 공장에 설치되는 대형 장치인바 배관 작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 배관 작업 현장에서 플레어 가공을 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4059호에 포터블형 플레어 성형 공구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성형 공구는 사람의 손으로 공구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플레어 가공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터블형 플레어 성형 공구는 단순 플레어 가공만이 가능할 뿐 이중 플레어 가공은 불가한 구조이므로 배관 작업 현장에 적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공조기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일 플레어 가공은 물론 이중 플레어 가공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중공관부 형상의 공간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밀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1레버 부재;
상기 가압 밀대의 일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어 성형 툴;
상기 제1레버 부재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가압 밀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2레버 부재; 및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을 고정하는 파이프 클램프;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레버와 상기 가압 밀대의 회전축은 상기 제2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레버 및 제2레버 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 밀대가 상기 제1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중공관부를 구비한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파이프 클램프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어 성형 툴은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의 단부를 "⌒⌒" 단면 형태로 가공하는 1차성형 툴; 및
상기 1차성형 툴과 교체 설치되며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의 단부를 플레어 단면 형태로 가공하는 2차성형 툴;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작업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조기 설치 현장에서 배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이중 플레어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제1레버와 제2레버에관상의 연장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토크를 쉽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중 플레어 가공 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공조기용 배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차 플레어 성형 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차 플레어 성형 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압 밀대가 가압 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 - Ⅲ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차 플레어 성형 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차 플레어 성형 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압 밀대가 가압 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10. 이하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라 함)는 몸체(20)와, 가압 밀대(30)와, 제1레버 부재(40)와, 성형 툴(60)과, 제2레버 부재(50)와, 파이프 클램프(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중심축(X)을 따라 관통된 중공관부 형상의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20)는 배관의 가공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몸체(20)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탄소강,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는 복수의 부재가 상호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20)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21)에는 제1레버 부재(40)와 제2레버 부재(50)의 일단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22)에는 후술하는 가압 밀대(30)와 성형 툴(60)과, 파이프 클램프(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22)는 상기 제1몸체(21)에 고정된다. 상기 제1몸체(21)와 상기 제2몸체(22)는 용접 또는 볼팅 구조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22)는 후술하는 가압 밀대(30)가 제1레버 부재(4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중공관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중심축(X)의 길이 방향이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한편,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22)는 하나의 구조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밀대(30)는 로드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가압 밀대(30)는 상기 몸체(20)의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밀대(30)는 상기 제2몸체(22)에 형성된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압 밀대(30)의 일단부에는 성형 툴 조립홈(32)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 툴 조립홈(32)은 상기 가압 밀대(3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이다. 상기 성형 툴 조립홈(32)에는 후술하는 1차성형 툴(62) 또는 2차성형 툴(64)이 상호 교체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레버 부재(40)는 상기 몸체(20)에 고정된다. 상기 제1레버 부재(40)는 상기 몸체(20)로부터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 부재(40)는 외팔보 형상의 부재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버 부재(40)의 일단부는 상기 제1몸체(21)에 고정된다. 상기 제1레버 부재(40)는 상기 제1몸체(2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성형 툴(60)은 상기 가압 밀대(30)의 일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 툴(60)은 1차 성형 툴(60)과 2차 성형 툴(60)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 툴(60)은 상기 가압 밀대(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성형 툴 조립홈(32)에 슬라이딩 조립된다. 상기 1차성형 툴(62)과 상기 2차성형 툴(64)은 서로 교체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1차성형 툴(62)과 상기 2차성형 툴(64)이 동시에 상기 성형 툴 조립홈(32)에 조립될 수 없고 서로 교체하여 조립된다. 상기 1차성형 툴(62)은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부를 "⌒⌒" 단면 형태로 가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1차성형 툴(62)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2차성형 툴(64)은 상기 1차성형 툴(62)과 교체 설치된다. 상기 2차성형 툴(64)은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부를 플레어 단면 형태로 가공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중심축(X) 방향으로 상기 제1레버 부재(40)와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제1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가압 밀대(3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제1몸체(21)로부터 상기 제1레버 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제1몸체(21)와 결합된 부분을 작용점으로 하고 상기 가압 밀대(30)의 타단부를 받침점으로 하며,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가 힘점에 대응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일반적인 지렛대 구조와 달리 같은 받침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에 의한 힘은 받침점 부분에 작용한다. 즉, 상기 가압 밀대(30)와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교점과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 거리가 상기 제1레버 부재(40)와 상기 제1몸체(21)의 연결부와 상기 가압 밀대(30)와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교점 간 거리보다 크면 클수록 작은 외력으로 상기 가압 밀대(30)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와 상기 가압 밀대(30)의 회전축은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가 상기 제1몸체(21)에 연결된 위치르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에 상기 가압 밀대(30)는 중공관부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 밀대(30)의 타단부가 상기 제2레버 부재(50)에 대해 일정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레버 부재(50)에 형성된 상기 가압 밀대(30)와의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은 상기 제2레버 부재(5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slot hol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상기 몸체(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상기 제2몸체(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고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다양한 외경의 플레어 성형용 배관(100)을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2개의 부재 사이에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고정하는 부재로서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크기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는 반 원형의 홈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재이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는 고정 볼트(24)에 의해 상기 제2몸체(22)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볼트(24)는 상기 제2몸체(22)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볼트(24)는 상기 제2몸체(22)의 외주면으로부터 나사 결합 되어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의 일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를 상기 제2몸체(22)에 고정 시킨다. 상기 제2몸체(22)는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에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22)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조립 방향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의 일측면은 상기 고정 볼트(24)에 의해 가압 되고,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의 타측면은 상기 제2몸체(22)에 지지 됨으로써 가압 된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에 의해 고정된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은 상기 가압 밀대(30) 및 상기 성형 툴(60)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10)의 작용 효과를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일단부에 이중 플레어를 가공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10)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구조로 소형화 및 경량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공조기를 설치하는 실제 현장에 항상 작업자가 소지할 수 있다. 실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는 필요길이보다 긴 배관을 구비하고 작업을 시작한다. 배관 연결을 위하여 남은 길이의 배관을 절단한다. 그리고 그 배관을 공조기 구성부품에 연결하기 위해 플레어 가공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공조기용 배관으로서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배관이 널리 사용된다.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배관은 종래의 동관에 비하여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배관은 동관에 비하여 경도가 낮으므로 작업자가 쉽게 현장 구조와 맞추어 구부릴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배관은 동관에 비하여 내구성이 약하므로 통상의 플레어 가공을 한 상태로 배관을 결합한 경우 결합 부위가 변형되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플레어 부위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이중 플레어 가공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10)는 이러한 용도에 최적화된 도구이다.
이제 이중 플레어 가공을 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에 플레어 가공하고자 하는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고정한다.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열리게 한 후 가공하고자 하는 배관의 외경에 맞는 홈부에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는다. 그 상태로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중심축이 상기 성형 툴(6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를 상기 제2몸체(22)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볼트(24)를 조여서 상기 파이프 클램프(70)를 상기 제2몸체(22)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성형 툴(60)은 1차성형 툴(62)이 설치되어 있다.
이제, 상기 제1레버 부재(40)와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를 손으로 잡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제1레버 부재(40)는 상기 몸체(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레버 부재(50)에 가해진 힘은 상기 제2레버 부재(50)를 상기 제1몸체(21)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레버 부재(50)는 상기 가압 밀대(30)의 타단부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 밀대(30)는 상기 제2몸체(22)에 형성된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 밀대(30)의 일단부에 결합된 1차성형 툴(62)이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에 고정된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부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1차성형 툴(62)의 형상대로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부가 가공된다. 예컨대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면은 "⌒⌒" 단면 형태로 가공된다. 이제 상기 제1레버 부재(40)와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에 가한 힘을 제거하고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제1레버 부재(40)와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는 서로 멀어진다. 그 결과 상기 가압 밀대(30)는 후진하게 되고 상기 1차성형 툴(62)과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은 서로 분리된다. 이제 상기 고정 볼트(24)를 풀어서 상기 파이프 클램프(70)와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을 상기 제2몸체(22)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1차성형 툴(62)을 상기 2차성형 툴(64)로 교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1차성형 툴(62)로 플레어 가공을 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제1레버 부재(40)의 자유단부와 제2레버 부재(50)의 자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외력을 가한다. 상기 제2레버 부재(50)가 상기 가압 밀대(30)의 타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 밀대(30)가 상기 중공관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 밀대(30)의 일단부에 결합된 2차성형 툴(64)이 플레어 성형용 배관(80)의 단부를 플레어 형태로 성형한다. 그 결과 이중 플레어 가공이 완료된다. 작업자는 배관을 상기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10)에서 분리한 후 플레어 니플과 플레어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작업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조기 설치 현장에서 배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이중 플레어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는, 제1레버와 제2레버에 관상의 연장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토크를 쉽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중 플레어 가공 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20 : 몸체
21 : 제1몸체
22 : 제2몸체
24 : 고정 볼트
30 : 가압 밀대
32 : 성형 툴 조립홈
40 : 제1레버 부재
50 : 제2레버 부재
60 : 성형 툴
62 : 1차성형 툴
64 : 2차성형 툴
70 : 파이프 클램프
80 : 플레어 성형용 배관
X : 중심축

Claims (4)

  1. 중심축을 따라 관통된 중공관부 형상의 공간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공관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밀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1레버 부재;
    상기 가압 밀대의 일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어 성형 툴;
    상기 제1레버 부재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격 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가압 밀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1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의 제2레버 부재; 및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을 고정하는 파이프 클램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와 상기 가압 밀대의 회전축은 상기 제2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레버 및 제2레버 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 밀대가 상기 제1레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중공관부를 구비한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파이프 클램프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 성형 툴은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의 단부를 "⌒⌒" 단면 형태로 가공하는 1차성형 툴; 및
    상기 1차성형 툴과 교체 설치되며 상기 플레어 성형용 배관의 단부를 플레어 단면 형태로 가공하는 2차성형 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KR1020190070071A 2019-06-13 2019-06-13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KR2020014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71A KR20200142778A (ko) 2019-06-13 2019-06-13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71A KR20200142778A (ko) 2019-06-13 2019-06-13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78A true KR20200142778A (ko) 2020-12-23

Family

ID=7408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71A KR20200142778A (ko) 2019-06-13 2019-06-13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880B2 (ja) 適合された係合面を有する継手
US6109503A (en) Internal pipe clamp
JP2013545043A (ja) 導管継手を口輪と連結するプッシュ
CN205733210U (zh) 切管机
CN107931790A (zh) 一种金属波纹管接头自动焊接装置
JP2007331021A (ja) バルブの口部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143626B2 (en) Crimping jaw having energy efficient crimping dies
JP5343284B2 (ja) 拡張プライヤ
JP2009196079A5 (ko)
KR20200142778A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CN1752504B (zh) 软管接头配件、以及软管接头配件中的环向接管上安装的方法
KR20200111583A (ko) 공조기 배관용 포터블 이중 플레어 가공기
JP4897254B2 (ja) 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ラレルリンク機構及び長尺材の曲げ加工装置
US4987763A (en) Tool in kit form for deforming metal
US20080128039A1 (en) Hand tool for plugging conduit
CN205386585U (zh) 便携式多规格弯管器
CN212070044U (zh) 简易弯管器
AU2011253651A1 (en) Internal pipe clamp
CN210475815U (zh) 一种四轴式卡钳焊接机器人
JP3029235U (ja) 手動拡管工具を用いて金属管にブリッジ加工を施すための治具
AU2003271328A1 (en) Internal pipe clamp
JP2005007516A (ja) ボーリング装置、ボーリング方法、これらに使用される清掃装置
JPH023396Y2 (ko)
JP2004076885A (ja) 金属製フレキシブルホースと継手管部材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2558279Y2 (ja) 携帯用金属パイプ成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