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576A -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576A
KR20200141576A KR1020190068164A KR20190068164A KR20200141576A KR 20200141576 A KR20200141576 A KR 20200141576A KR 1020190068164 A KR1020190068164 A KR 1020190068164A KR 20190068164 A KR20190068164 A KR 20190068164A KR 20200141576 A KR20200141576 A KR 2020014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endoscope
fixture
wire
endoscop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001B1 (ko
Inventor
홍광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하는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고정구와 제1 고정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결손부위에 결찰되고, 와이어가 내시경 장치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내시경 클립부; 및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제1 고정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결손부위를 결찰하는 제2 고정구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 클립부;를 포함하며, 제2 내시경 클립부는 내시경 장치 바깥으로 노출된 와이어의 종단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고정구 또는 제2 고정구를 고정하는 제2 몸체에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고, 와이어는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정되어 결손부위의 크기를 클립부의 결찰범위 이내로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Clip applier apparatus having endoscope clip shaped hole}
본 발명은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 시술 천공이나 결손부위의 결찰을 할 때에, 결손 범위가 넓어 천공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결손 부위를 효과적으로 봉합을 제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 또는 대장 내시경 시술 시 천공이 발생하거나 점막 또는 점막하 결손 범위가 넓어 천공의 우려가 있는 경우, 기존에는 주로 클립을 이용하여 봉합을 시도하나 클립의 최대 확장범위가 10mm 정도로 넓은 병변에 적용이 어렵다. 그런 경우 대부분 응급 수술의 적응증이 되어 왔다.
연성 내시경(flexible endoscope)에 적용가능한 유일하게 FDA 승인받은 overstitch (Apollo endosurgry) 는 two channel 내시경에만 적용가능하며 내시경 선단과 후미에 특별한 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접근성의 제한과 가격 상승의 요인을 갖고 있다.
강성 내시경(rigid endoscope)에 적용가능한 봉합장치는 직장병변에만 적용 가능하므로 매우 제한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7557호, 2019년 5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시술 천공이나 결손부위의 결찰을 할 때에, 천공이 결손 범위가 넓어 천공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결손 부위를 효과적으로 봉합을 제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하는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구와 제1 고정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결손부위에 결찰되고, 와이어가 내시경 장치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내시경 클립부; 및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제1 고정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결손부위를 결찰하는 제2 고정구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 클립부;를 포함하며, 제2 내시경 클립부는 내시경 장치 바깥으로 노출된 와이어의 종단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고정구 또는 제2 고정구를 고정하는 제2 몸체에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고, 와이어는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정되어 결손부위의 크기를 클립부의 결찰범위 이내로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구는 클립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부조직 또는 결손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나일론 재질로 형성되어 3가닥으로 구비되고, 제1 고정구는 결손 부위를 120도 간격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는 천공이 결손 범위가 넓어 천공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결손 부위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게 한 후에 내시경 클립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결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 또는 대장 내시경 시행 시, 장천공 또는 출혈과 같은 합병증 또는 치료적 시실 후 천공을 막을 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의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A’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의 도면이며, 도 2 내지 4는 도 1의 ‘A’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10)는 클립 어플라이어(110), 제1 내시경 클립부(120) 및 제2 내시경 클립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클립 어플라이어(110)는 범용적인 클립 어플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손잡이(111) 및 가요성 재질의 튜브(112)를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내시경 클립부(120)는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결손부위에 결찰되는 것으로서, 제1 고정구(121)와 와이어(122)를 구비한다.
제1 고정구(121)는 연부조직 또는 결손부위를 결찰할 수 있도록 제2 내시경 클립부(130)와 동일한 클립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구(121)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갈고리가 대상조직에 꿰매어져 결합되어, 와이어(122)를 당기는 과정에서 결찰된 상태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결손부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고정구(121)는 와이어(12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22)는 고정용 홀에 삽입되어 제1 고정구(121)에 매듭구조로 고정됨으로써 와이어(122)를 당기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122)는 제1 고정구(121)에 결합되어 제1 고정구(121)가 결찰된 상태에서 내시경 장치(1)의 바깥으로 노출되며, 클립 어플라이어(1)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와이어(122)는 나일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와 맞닿을 때에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22)의 길이는 내시경 장치(1)에 유입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시경 클립부(120)는 바람직하게는 3개로 구성되어 와이어(122)를 통해 결손부위를 120도 간격으로 결찰되도록 함으로써 결손부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클립 어플라이어(10)의 손잡이(111) 측으로 돌출된 와이어(122)의 각 종단에는 와이어고리(123)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고리(123)는 제1 내시경 클립부(120)를 발사한 후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와이어(122)를 효과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122)가 서로 엉키는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와이어(122)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시경 클립부(120)는 제1 고정구(121)가 결손부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122)를 당기게 되면, 제1 고정구(121)에 연결된 결손부위의 크기를 제2 내시경 클립부(130)의 결찰범위 이내로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제2 내시경 클립부(130)를 통해 효과적인 결손부위의 결찰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내시경 클립부(130)는 클립 어플라이어(110)를 통해 발사된 제1 고정구(121)와 중첩되지 않도록 결손부위를 결찰하는 것으로서, 몸체(131), 제2 고정구(132) 및 홀(133)을 구비한다.
몸체(131)는 대략적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클립 어플라이어(110)의 튜브(112) 종단에 삽입되어 발사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 고정구(132)와 결합된다.
제2 고정구(132)는 몸체(131)와 결합된다. 제2 고정구(132)는 일단이 몸체(131)에 결합되어 클립 어플라이어(110)의 작동에 따라 몸체(131)와 함께 발사되면서 결손부위를 결찰하게 된다. 제2 고정구(132)는 몸체(131)에 결합되어 클립 어플라이어(110)의 작동에 따라 발사되면서 결손조직 등을 결찰할 수 있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클립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구(132)는 클립 어플라이어(110)를 통해 발사되면 서로 벌어져 있는 클립이 오므라지면서 결손조직을 결찰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연결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홀(133)은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122)의 종단이 제2 내시경 클립부(13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몸체(131) 또는 제2 고정구(13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홀(133)이 제2 고정구(132)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클립 중 하나에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31)와 결합된 위치에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홀(133)의 내주면은 실리콘 재질의 코팅재로 코팅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홀(133)을 따라 와이어(122)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홀(133)과의 마찰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122)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같이, 홀(133)이 몸체(131)에 형성되는 경우에, 홀(133)은 몸체(131)의 끝단 쪽에 위치하여 몸체(131)가 튜브(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133)은 몸체(110)의 종단의 인접한 둘레면에서 몸체(133)의 반경중심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2 고정구(132)를 향하여 중앙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한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와이어(122)가 연결된 제1 내시경 클립부(120)를 클립 어플라이어(110)를 통해 적어도 3개를 120도 간격으로 발사하여 제1 고정구(121)를 결손부위에 고정한다. 이때, 결손부위(a)는 내시경 클립의 결찰범위보다 큰 상태에 있다. r그리고, 복수의 와이어(122)를 동시에 당기게 되면, 결손부위가 작아지면서 제2 내시경 클립(130)의 결찰범위 이내의 크기(b)로 줄어들게 된다.
클립 어플라이어(110)를 작동시켜 제2 내시경 클립(130)을 발사하게 되면, 제2 내시경 클립(130)이 내시경 장치(1)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아진 결손부위(b)를 결찰하게 되어 결찰범위를 벗어나는 큰 결손부위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결찰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 어플라이어(110)의 튜브가 내시경 장치(1)에 입구측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이는 발사되는 복수의 내시경 클립부를 설명하기 위해 표현한 것으로서, 튜브는 내시경 장치(1)를 따라 더욱 깊숙이 삽입된 상태에서 내시경 클립부를 발사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더불어서, 제1 내시경 클립부(120)를 갈고리 형상으로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 내시경 클립부(120)는 클립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를 구비한 내시경 클립 및 이용한 클립 어플라이어는 천공이 결손 범위가 넓어 천공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도 결손 부위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게 한후에 내시경 클립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결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 또는 대장 내시경 시행 시, 장천공 또는 출혈과 같은 합병증 또는 치료적 시실 후 천공을 막을 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110 : 클립 어플라이어
120 : 제1 내시경 클립부
121 : 제1 고정구
122 : 와이어
123 : 와이어고리
130 : 제1 내시경 클립부
131 : 몸체
132 : 제2 고정구
133 : 홀

Claims (3)

  1.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하는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결손부위에 결찰되고, 상기 와이어가 내시경 장치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내시경 클립부; 및
    상기 클립 어플라이어를 통해 발사되어 상기 제1 고정구와 중첩되지 않도록 결손부위를 결찰하는 제2 고정구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시경 클립부는,
    상기 내시경 장치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의 종단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고정구 또는 상기 제2 고정구를 고정하는 제2 몸체에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정되어 결손부위의 크기를 상기 클립부의 결찰범위 이내로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클립을 이용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는,
    클립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부조직 또는 결손부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이용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나일론 재질로 형성되어 3 가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구는,
    결손 부위를 120도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이용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KR1020190068164A 2019-06-10 2019-06-10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KR10224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64A KR102241001B1 (ko) 2019-06-10 2019-06-10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64A KR102241001B1 (ko) 2019-06-10 2019-06-10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576A true KR20200141576A (ko) 2020-12-21
KR102241001B1 KR102241001B1 (ko) 2021-04-19

Family

ID=7409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164A KR102241001B1 (ko) 2019-06-10 2019-06-10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0069A (ja) * 1997-10-21 2001-10-30 ユニバーシティ カレッジ ロンドン 外科用のクリップ
KR20100089496A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래보 수술용 클립 및 클립 어플라이어
JP2010220876A (ja) * 2009-03-24 2010-10-07 Kansai Medical Univ 磁石式鉗子
KR2016013169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결찰기
KR20190057557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클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0069A (ja) * 1997-10-21 2001-10-30 ユニバーシティ カレッジ ロンドン 外科用のクリップ
KR20100089496A (ko) * 2009-02-04 2010-08-12 주식회사 래보 수술용 클립 및 클립 어플라이어
JP2010220876A (ja) * 2009-03-24 2010-10-07 Kansai Medical Univ 磁石式鉗子
KR2016013169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결찰기
KR20190057557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클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001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824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force upon tissue using a loop member
US6149659A (en) Endoscopic ligating apparatus
US5624453A (en) Endoscopic ligating instrument
US11980355B2 (en) Tissue traction bands and methods for tissue traction
US20080108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oscopic treatment of tissue
JPH0136377B2 (ko)
JPH10194A (ja) 医療用結紮具
US20050261709A1 (en) Treatment system for living tissues
US6730101B1 (en) Endoscopic ligating apparatus
US10820905B2 (en) Tissue ligation apparatus with a rotating spool assembly and a valve assembly
WO2020186839A1 (zh) 一种医用多爪钳
WO2020258909A1 (zh) 用于通过内窥镜的组织夹闭装置
KR101838553B1 (ko) 내시경점막하 박리술을 위한 내시경 클립에 탈부착되는 조직 견인장치
US20210169464A1 (en) Tissue re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210020089A (ko) 조직 보유력이 개선된 공격적인 특징의 클립
JP2022541666A (ja) 創傷を閉鎖するための装置
JP2019523087A (ja) 再搭載可能なクリップの複数の開閉手段
JP5226905B1 (ja) 縫合糸押し込み装置、および縫合糸押し込みシステム
US9795386B2 (en) Multiple band endoscopic ligation device
KR102241001B1 (ko) 홀이 형성된 내시경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클립 어플라이어 장치
JP2023162219A (ja) 止血クリップの短縮化システム
US20140081329A1 (en) Tissue anchor applicator
RU2669458C1 (ru) Эндоскопический хомут
US20220133295A1 (e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JP3411782B2 (ja) 結紮処置用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