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052A -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052A
KR20200141052A KR1020207030409A KR20207030409A KR20200141052A KR 20200141052 A KR20200141052 A KR 20200141052A KR 1020207030409 A KR1020207030409 A KR 1020207030409A KR 20207030409 A KR20207030409 A KR 20207030409A KR 20200141052 A KR20200141052 A KR 2020014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r element
package
installation space
vehic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히르슈
로니 게페르트
마티아스 위트
마티노 퀼러
Original Assignee
젠더 그룹 인터내셔널 아게
플라스틱 컨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더 그룹 인터내셔널 아게, 플라스틱 컨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젠더 그룹 인터내셔널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14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15Heat and mass exchangers, e.g. with permea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9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air leav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e. heat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37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히 객실 및/또는 차량의 엔진실용 교환기 요소(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교환기 요소는 열전달 벽 영역을 가진 격벽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배기 유로(2) 및 급기 유로(3)를 갖고 있다. 배기 유로(2)는 운송수단의 내부로부터 운송수단의 외부 환경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한다. 급기 유로(3)는 차량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송수단 상의 위치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기 요소(1)의 통합을 위해서 교환기 요소(1)는 외부 표면 형상이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에 상보적인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히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항행 구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 항공기, 선박, 케이블카 또는 엘리베이터의 객실 및/또는 엔진실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객실 난방용으로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폐열은 열교환기를 통해 객실로 유입되는 급기(feed air)를 예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사용은 내연기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존한다.
또한 객실의 공기 조절용으로 공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용도는 객실로 유입되는 급기의 건조 및/또는 냉각이다. 이러한 사용 또한 공조기(압축기)의 작동을 위해 내연기관에서 연료 연소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추가 에너지 비용이 가급적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차량 영역,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의 난방 또는 공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히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항행 구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 항공기, 선박, 케이블카 또는 엘리베이터의 객실 및/또는 엔진실용 교환기 요소로서, 상기 교환기 요소는 열전달 벽 영역을 가진 격벽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배기(exhaust air) 유로 및 급기 유로를 갖고 있고 상기 배기 유로는 운송수단의 내부로부터, 특히 객실의 내부로부터 또는 엔진실의 내부로부터 운송수단의 외부 환경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기 유로는 운송수단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송수단 상의 위치까지,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의 내부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교환기 요소의 설치를 위해서 상기 교환기 요소는 외부 표면 형상이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내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에 상보적인 패키지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요소는 운송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로부터 열에너지의 일부를 운송수단으로 유입되는 급기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내연기관이 존재하지 않거나(순수 전기 구동 장치) 항상 접속 연결되지 않는 내연기관(하이브리드 구동 장치)에서는 겨울철에 객실을 장시간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설치 공간에 특히 적합한 패키지 내에 교환기 요소를 내장하면 차량의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꽉차게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키지는 설치 기술적으로 설치 공간과 교환기 요소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패키지는 교환기 요소를 위한 공간이 있는 객실 또는 엔진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라이닝(lining)이다. 상기 패키지 또는 그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기 요소까지 안으로 또는 상기 교환기 요소로부터 멀어져 흐르는 교환기 요소 외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환기 요소 외부에서의 이러한 공기 안내 또는 공기 분리 외에도 상기 패키지는 단열과 방음을 가능하게 한다.
아래에서는 "패키지" 및 "교환기 요소-패키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특히 팽창된 및/또는 발포된 중합체 재료 및/또는 유기 또는 무기 섬유로 제조한 섬유 재료를 함유한다. 상기 패키지가 전적으로 팽창된 및/또는 발포된 중합체 재료로만 제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교환기 요소에 대해 적은 질량과 함께 우수한 단열과 방음을 달성할 수 있다.
단열, 방음 및 기계적 감쇠, 특히 교환기 요소의 충격 흡수에 유리한 상기 패키지의 다공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폐쇄형 공극(closed pores)을 가진 재료, 특히 발포된 중합체 재료 및/또는 개방형 공극(open pores)을 가진 재료, 특히 유기 또는 무기 섬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서, 예를 들어 팽창된 폴리프로필렌(EPP), 팽창된 폴리스티렌(EPS), 팽창된 폴리에틸렌(EPE) 또는 팽창된 폴리락티드(EPLA)와 같은 팽창된 단일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대안에 따르면, 프로필렌, 스티렌, 에틸렌 또는 젖산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팽창된 공중합체를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락티드(PLA)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팽창된 단일 중합체의 혼합물을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3 대안에 따르면, 프로필렌, 스티렌, 에틸렌 또는 젖산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팽창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4 대안에 따르면, 프로필렌, 스티렌, 에틸렌 또는 젖산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팽창된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된 중합체 재료는 20 내지 120 kg/m3,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kg/m3,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kg/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포된 중합체의 서로 융합된 입자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mm이다. 3 내지 5 m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패키지용 재료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키지의 내부는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의 외부는 많거나 적게 발포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다수 개의 패키지부를 포함한다. 2개의 패키지부를 포함하는 패키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패키지를 구비한 교환기 요소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차량의 설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는 절연체로서 작용하는 팽창된 중합체 재료 외에도 상기 패키지의 팽창된 중합체 재료를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약간 팽창되거나 압밀형(compact) 비-팽창된 중합체 재료인 중합체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추가 중합체 재료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절연체를 기계적 또는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하우징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 6(PA6), 폴리아미드 66 (PA66), 폴리옥시메틸렌(POM),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 비드, 활석, 미네랄 재료 등과 같은 충전제가 제공될 수 있고/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마섬유(hemp fiber), 대섬유(bamboo fiber) 등과 같은 섬유로 보강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재료는 하우징의 제조시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발포된다. 그 결과, 상기 하우징은 절연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부품으로서 절연체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 요소가 내장된 패키지는 급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위한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밀봉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와 패키지 사이의 밀봉을 이루기 위해서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체(elastomer) 재료로 제조된 밀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부는 인접한 패키지부를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단계에서 상기 패키지부를 교환기 요소 주위에 배치하여 서로 체결할 수 있다. 다음, 제2 단계에서는 이렇게 조립한 교환기 요소 및 패키지의 단위체를 사용 가능한 설치 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형성부는 하우징의 적게 팽창되거나 압밀형의 다른 중합체 재료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급기 유로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 내에 내장되는 제1 팬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배기 유로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 내에 내장되는 제2 팬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급기 유로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 내에 내장되는 제1 공기 필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배기 유로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 내에 내장되는 제2 공기 필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 요소, 예를 들어 팬 및/또는 공기 필터를 내장함으로써 상기 교환기 요소 및 팬과 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전체 조립체의 설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 교환기 요소는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에 마련된 축전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전기 가열 요소는 교환기 요소가 동결될 때 교환기 요소를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교환기 요소 내 공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교환기 요소 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교환기 요소 내 공기압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요소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용 센서(VOC 센서) 및/또는 이산화탄소 센서 및/또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에는 위에서 언급한 기능 요소들, 즉 팬 또는 전기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및 위에서 언급한 센서들, 즉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또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와 함께 상기 제어부 또는 조절부는 교환기 요소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수증기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인 벽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벽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수증기에 대한 선택적인 투과성이 있고 공기 투과성 기재에 도포되어 있는 중합체 막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 투과성인 고분자 막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극성인 물 분자가 막 재료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반면에, 예를 들어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불활성 가스 분자와 같이 크고/또는 작으면서 극성이 전혀 없는 분자 또는 상대적으로 큰 분자로부터 쾌적하거나 악취가 있는 물질은 막 재료를 전혀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요소는 한편으로 객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습기의 일부를 객실로 유입되는 급기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 요소는 겨울철에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 외에도 객실 내 쾌적하고 충분히 높은 습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요소는 다른 한편으로 객실로 유입되는 급기의 습기의 일부를 객실에서 배출되는 배기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환기 요소는 여름철에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 외에도 객실 내 쾌적하고 충분히 낮은 습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는 제1 경도를 가진 영역과 제2 경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키지는 더 큰 경도를 가진 교환기 요소에 인접한 영역과 더 낮은 경도를 가진 설치 공간에 인접한 영역을 갖거나, 상기 패키지는 더 낮은 경도를 가진 교환기 요소에 인접한 영역과 더 큰 경도를 가진 설치 공간에 인접한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충격 흡수에 기여한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팽창된 중합체 재료는 탄성이 있지만 기계적 변형시 재료에 도입되는 변형 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므로 감쇠가 좋아진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항행 구동 장치가 구비된 운송수단, 특히 항공기, 선박, 케이블카 또는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차량,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에는 상술한 구성의 교환기 요소와 패키지가 마련되어 있는 운송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배기 유로 및/또는 급기 유로 내에는 팬이 연결되어 있어 배기를 배기 유로를 따라 이송하고/또는 급기를 급기 유로를 따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유로는 객실의 저압 외부 영역에서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팬이 없어도 객실로부터 배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급기 유로는 객실의 고압 외부 영역에서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팬이 없어도 객실로 급기를 유입할 수 있다.
객실에는 객실 내 공기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실에는 객실 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실에는 객실 내 기압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실 내 센서 및/또는 교환기 요소 내 센서와 함께 상기 제어부 또는 조절부는 교환기 요소의 제어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객실 내 쾌적한 기후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운송수단이 자동차인 경우에는 교환기 요소가 내장된 패키지를 자동차의 다음과 같은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할 수 있다: 객실 천장; 자동차 지붕; 자동차 전방; 자동차 A-필라; 자동차의 B-필라; 자동차의 C-필라; 자동차 후방; 자동차의 보닛; 자동차 바닥.
상기 패키지를 객실 천장 또는 헤드 라이닝에 배치시 상기 급기 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전면에 있는 유입 영역으로부터 엔진실, A-필라 중 적어도 하나, 교환기 요소 및 마지막으로는 객실의 레그룸(legroom)에 있는 B-필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기 유로는 객실로부터 후방 영역, C-필라 중 적어도 하나 및 차량 지붕에 배출 영역이 있는 교환기 요소를 통과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배기 유로는 객실로부터 C-필라 중 적어도 하나와 차량 지붕에 배출 영역이 있는 교환기 요소를 통과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를 자동차의 전면에 배치시, 상기 급기 유로는 자동차 전면에 있는 유입 영역으로부터 교환기 요소와 엔진실을 통해 객실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유로는 객실로부터 엔진실과 적어도 하나의 차량 측면에 배출 영역이 있는 교환기 요소를 통과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를 자동차의 B-필라에 배치시, 상기 급기 유로는 자동차 전면의 유입 영역으로부터 엔진실, A-필라 중 적어도 하나, 차량 지붕의 일부와 마지막으로 교환기 요소를 통과하여 객실의 레그룸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유로는 B-필라 중 적어도 하나, 교환기 요소와 차량 후면에 배출 영역이 있는 차량 루프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객실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를 자동차 보닛 하부에 배치시, 상기 급기 유로는 자동차 전면의 유입 영역으로부터 교환기 요소, 엔진실의 일부를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객실의 전면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유로는 차량의 바닥부를 따라 객실로부터 후방 영역을 통과하여 객실의 전방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량 측면에 배출 영역이 있는 교환기 요소를 통과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d) 외부 금형 벽과 내부 금형 벽에 의해 한정되는 금형 캐비티가 있는 금형을 제공하되, 상기 외부 금형 벽의 형상은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내부 금형 벽의 형상은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단계;
e) 상기 금형 캐비티를 유동성 또는 주조성 재료로 일부 충전시키는 단계;
f) 상기 유동성 또는 주조성 재료를 팽창 또는 발포시켜 상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로 상기 금형 캐비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금형을 개방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로부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를 상기 교환기 요소-패키지로서 취출한 후 상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를 고화시키는 단계.
상기 a), b) 및 c) 단계는 각각의 객실 유형에 대해 1회씩 수행된다. 다음, d), e), f) 및 g)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객실에 적합한 복수 개의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상기 금형 캐비티를 발포성 중합체 재료로 발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포된 중합체 재료가 고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d) 외부 금형 벽과 내부 금형 벽에 의해 한정되는 금형 캐비티가 있는 금형을 제공하되 상기 외부 금형 벽의 형상은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내부 금형 벽의 형상은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단계;
e) 상기 금형 캐비티에 용융된 재료를 사출하여 상기 용융된 재료로 금형 캐비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금형을 개방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로부터 사출된 재료를 상기 교환기 요소-패키지로서 취출한 후 상기 사출 재료를 고화시키는 단계.
상기 a), b) 및 c) 단계는 각각의 객실 유형에 대해 1회씩 수행된다. 다음, d), e) 및 f)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객실에 적합한 복수 개의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사출 성형 방법은 압밀(compact) 사출 성형 공정,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발포에 의한 발포 사출 성형 공정, 가스 내압 사출 성형 공정 또는 가스 역압(counter pressure) 사출 성형 공정으로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용융성 구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d) 도포 수단에 의해 설치 영역 내 표적 표면에 상기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구성 재료 층을 도포하는 단계;
e)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 또는 상기 구성 재료 층 내부 금형 캐비티의 일부에 해당하는 구성 재료 층 내 선택된 위치에 에너지를 표적 작용시켜 상기 구성 재료 층 내 선택 위치에 있는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와 미리 도포되어 용융된 구성 재료 층을 함께 융합시키는 단계; 및
f) 경우에 따라 미융융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c), d), e) 및 f)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적층 방식으로 구성한다.
a) 및 b) 단계는 각각의 객실 유형에 대해 1회씩 수행된다. 다음 c), d), e) 및 f)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객실에 적합한 복수 개의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한다.
분말형 내지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의 구성 재료-입자의 순도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형 구성 재료(평균 입경 1 mm 미만)의 경우에 강력한 집속 레이저 빔, 즉 정교한 선택적 레이저 소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평균 입경 1 mm 초과)의 경우에 덜 강력한 집속 레이저 빔, 즉 덜 정교한 선택적 레이저 소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덜 정교한 선택적 레이저 소결에서는 구성 재료-입자에서 물리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유발된 가스 생산을 통해 에너지, 특히 레이저 복사선 및/또는 열의 작용에 의해 연화 및/또는 용융 및 발포되되, 도포된 층 내부 팽창 또는 발포된 입자와 미리 도포된 층이 함께 접착 또는 융합이 이루어지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서로 접착 또는 융합되는 팽창된 중합체 입자의 입경은 2 내지 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지 5 m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표면이 충분히 평활할 때 상기 부가 공정에 의해 제조된 교환기 요소-패키지에 대해 짧은 구성 시간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액체 또는 페이스트 경화성 구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d) 도포 수단에 의해 설치 영역 내 표적 표면 위 선택된 위치에 상기 액체 또는 페이스트 경화성 구성 재료를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 또는 금형 캐비티의 일부에 해당하는 구성 재료층으로서 표적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성 재료 층을 경화시켜 상기 구성 재료 층 내부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 구성 재료를 고화시키고 미리 도포 및 경화된 구성 재료 층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 및 e)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적층 방식으로 구성한다.
a) 및 b) 단계는 각각의 객실 유형에 대해 1회씩 수행된다. 다음 c), d) 및 e)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객실에 적합한 복수 개의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제조한다.
점 형태 및/또는 선 형태로 도포된 액체 또는 페이스트 구성 재료의 순도 또는 1회 분량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 재료(평균 점적(drop) 직경 또는 스트랜드 직경 1 mm 초과)를 덜 정교하게 도포하는 것, 즉 덜 정교한 선택적 도포법 또는 덜 정교한 3D-인쇄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덜 정교한 선택적인 도포법 또는 덜 정교한 3D 인쇄법에서는 노즐을 통해 구성 재료 저장 용기로부터 배출시 및/또는 에너지, 특히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유발된 가스 생성에 의한 복사선 및/또는 열의 작용을 통해 팽창 또는 발포되되, 도포된 층 내부 팽창 또는 발포된 입자와 미리 도포된 층이 함께 접착 또는 융합이 이루어지는 소정량의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도 서로 접착 또는 융합되는 팽창 또는 발포된 중합체의 점적 또는 스트랜드의 직경은 2 내지 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내지 5 m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표면이 충분히 평활할 때 상기 부가 공정에 의해 제조된 교환기 요소-패키지에 대해 짧은 구성 시간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요소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객실은 "겨울철 작동"(낮은 외부 온도 및 낮은 외부 습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객실 내 사람으로부터 최대한 열과 경우에 따라서는 수증기를 많이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요소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객실은 "여름철 작동"(높은 외부 온도 및 높은 외부 습도)에도 적합하며, 객실 내 사람들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과 경우에 따라서는 수증기를 빼앗는 것이 목적인바, 즉 상대적으로 차갑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배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상대적으로 습한 급기를 미리 냉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건조시킨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이점 및 가능한 용도를 알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패키지와 함께 교환기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패키지와 함께 교환기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패키지와 함께 교환기 요소의 제1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패키지와 함께 교환기 요소의 제2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제1 교환기 요소/패키지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제2 교환기 요소/패키지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7은 제3 교환기 요소/패키지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8은 제4 교환기 요소/패키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는 차량 객실용 교환기 요소(1)가 도시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를 갖고 있다.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는 격벽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부에는 열 전달 벽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배기 유로(2)는 객실 내부로부터 객실 외부 환경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고, 급기 유로(3)는 객실 외부 환경으로부터 객실 내부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한다. 교환기 요소(1) 내부에는 제1 교차 유동 영역(la), 역류 영역(lb) 및 제2 교차 유동 영역(lc)이 존재한다. 2개의 교차 유동 영역(la 및 lc)에서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는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역류 영역(1b)에서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는 패키지(4)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패키지의 외부 표면 형상은 교환기 요소(1)의 설치를 위한 객실 내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에 상보적이다. 패키지(4)는 팽창된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고 제1 패키지부(41)와 제2 패키지부(4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패키지부와 제2 패키지부는 상황에 따라 서로 대칭적이거나 나아가 동일할 수 있거나 객실에서 이용 가능한 설치 공간의 상황에 맞는 매우 특별한 "비정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급기 유로(3) 내 교환기 요소(1)의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에 내장되어 있는 제1 팬(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교환기 요소(1)에는 배기 유로(2) 내 교환기 요소(1)의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에 내장되어 있는 제2 팬(6)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급기 유로(3)에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1 공기 필터(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교환기 요소(1)에는 배기 유로(2)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2 공기 필터(8)가 마련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교환기 요소(1) 및 패키지(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급기 유로(3) 내 교환기 요소(1)의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1 팬(5)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배기 유로(2) 내 교환기 요소(1)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2 팬(6)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급기 유로(3) 내 교환기 요소(1)의 상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1 공기 필터(7)가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에는 배기 유로(2) 내 교환기 요소(1)의 상류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제2 공기 필터(8)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서는 2개의 팬(5 및 6)은 각각 흡입 모드로 작동한다.
도 5에는 교환기 요소(1)와 패키지(4)의 제1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기 요소(1)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교차하는 좌측의 제1 교차 유동 영역과 우측의 제2 교차 유동 영역을 갖는 대칭형 역류 열교환기이다. 상기 유동 영역들 사이에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평행하고 반대방향인 역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에는 교환기 요소(1)와 패키지(4)의 제2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기 요소(1)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교차하는 좌측의 제1 교차 유동 영역과 우측의 제2 교차 유동 영역을 갖는 비대칭형 역류 열교환기이다. 상기 유동 영역들 사이에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평행하고 반대방향인 역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1 대형 배출 영역(1a)에는 제1 대형 팬(5)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2 대형 배출 영역(1b)에는 제2 대형 팬(6)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1 소형 유입 영역(1c)에는 제1 소형 공기 필터(7)가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2 소형 유입 영역(1d)에는 제2 소형 공기 필터(8)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에는 교환기 요소(1) 및 패키지(4)의 제3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기 요소(1)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교차하는 좌측의 제1 교차 유동 영역과 우측의 제2 교차 유동 영역을 갖는 비대칭형 역류 열교환기이다. 상기 유동 영역들 사이에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평행하고 반대방향인 역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1 소형 배출 영역(1a)에는 제1 소형 팬(5)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2 소형 배출 영역(1b)에는 제2 소형 팬(6)이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1 소형 유입 영역(1c)에는 제1 대형 공기 필터(7)가 마련되어 있다. 교환기 요소(1)의 제2 대형 유입 영역(1d)에는 제2 대형 공기 필터(8)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교환기 요소(1) 및 패키지(4)의 제4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기 요소(1)는 배기 유로(2)와 급기 유로(3)가 교차하는 단 하나의 교차 유동 영역을 갖는 교차 유동 열교환기이다.

Claims (23)

  1. 운송수단에 사용하기 위한, 특히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항행 구동 장치를 구비한 차량, 항공기, 선박, 케이블카 또는 엘리베이터의 객실 및/또는 엔진실용 교환기 요소(1)로서, 상기 교환기 요소는 열전달 벽 영역을 가진 격벽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배기 유로(2) 및 급기 유로(3)를 갖고 있고 배기 유로(2)는 운송수단의 내부로부터, 특히 객실의 내부로부터 또는 엔진실의 내부로부터 운송수단의 외부 환경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고, 급기 유로(3)는 운송수단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송수단 상의 위치까지,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의 내부까지 유체 연결부를 형성하되, 교환기 요소(1)의 설치를 위해서 교환기 요소(1)는 외부 표면 형상이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내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에 상보적인 패키지(4)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2.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4)는 팽창된 및/또는 발포된 중합체 재료 및/또는 특히 유기 또는 무기 섬유로 제조한 섬유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패키지(4)는 복수 개의 패키지부(41, 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키지(4)는 상기 패키지의 팽창된 중합체 재료를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둘러싸는 중합체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중합체 재료는 약간 팽창되거나 압밀형 비-팽창된 중합체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키지부(41, 42)는 인접한 패키지부(41, 42)를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급기 유로(3)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3) 내에 내장되는 제1 팬(5)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배기 유로(4)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고 패키지(2) 내에 내장되는 제2 팬(6)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급기 유로(3)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는 제1 공기 필터(7)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요소에는 배기 유로(2) 내 교환기 요소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패키지(4) 내에 내장되는 제2 공기 필터(8)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수증기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인 벽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12. 제1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키지(4)는 제1 경도를 가진 영역과 제2 경도를 가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요소(1).
  13. 제12항에 있어서, 패키지(4)는 더 큰 경도를 가진 교환기 요소에 인접한 영역과 더 낮은 경도를 가진 설치 공간에 인접한 영역을 갖거나, 패키지(4)는 더 낮은 경도를 가진 교환기 요소에 인접한 영역과 더 큰 경도를 가진 설치 공간에 인접한 영역을 갖는 교환기 요소(1).
  14. 특히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항행 구동 장치가 구비된 운송수단, 특히 항공기, 선박, 케이블카 또는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운송수단, 특히 그 객실 및/또는 엔진실에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환기 요소(1)와 패키지(4)가 마련되어 있는 운송수단.
  15. 제14항에 있어서, 배기 유로(2)는 차량의 저압 외부 영역에서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급기 유로(3)는 차량의 고압 외부 영역에서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환기 요소(1)는 전기 구동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에 마련된 축전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이 자동차이고, 교환기 요소(1)가 내장된 패키지(4)는 자동차의 다음과 같은 위치: 객실 천장; 자동차 지붕; 자동차 전방; 자동차의 A-필라; 자동차의 B-필라; 자동차의 C-필라; 자동차 후방; 자동차의 보닛; 자동차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19.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1)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d) 외부 금형 벽과 내부 금형 벽에 의해 한정되는 금형 캐비티가 있는 금형을 제공하되, 상기 외부 금형 벽의 형상은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내부 금형 벽의 형상은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단계;
    e) 상기 금형 캐비티를 유동성 또는 주조성 재료로 일부 충전시키는 단계;
    f) 상기 유동성 또는 주조성 재료를 팽창 또는 발포시켜 상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로 상기 금형 캐비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금형을 개방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로부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를 상기 교환기 요소-패키지(4)로서 취출한 후 상기 팽창 또는 발포된 재료를 고화시키는 단계.
  20.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1) 사이에서 교환기 요소-패키지(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상기 금형 캐비티를 발포성 중합체 재료로 발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포된 중합체 재료가 고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
  21.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1)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를 파악하는 단계;
    d) 외부 금형 벽과 내부 금형 벽에 의해 한정되는 금형 캐비티가 있는 금형을 제공하되 상기 외부 금형 벽의 형상은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벽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내부 금형 벽의 형상은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단계;
    e) 상기 금형 캐비티에 용융된 재료를 사출하여 상기 용융된 재료로 금형 캐비티를 충전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금형을 개방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로부터 사출된 재료를 상기 교환기 요소-패키지(4)로서 취출한 후 상기 사출 재료를 고화시키는 단계.
  22.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1)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용융성 구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d) 도포 수단에 의해 설치 영역 내 표적 표면에 상기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를 포함하는 구성 재료 층을 도포하는 단계;
    e)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 또는 상기 구성 재료 층 내부 금형 캐비티의 일부에 해당하는 구성 재료 층 내 선택된 위치에 에너지를 표적 작용시켜 상기 구성 재료 층 내 선택 위치에 있는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와 미리 도포되어 용융된 구성 재료 층을 함께 융합시키는 단계; 및
    f) 경우에 따라 미융융 분말형 또는 조대 입자형 구성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 및 e)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적층 방식으로 구성하는 방법.
  23. 운송수단 상의 설치 공간 내, 특히 객실 및/또는 엔진실 안에 마련된 설치 공간 내 상기 설치 공간의 내벽과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할 교환기 요소(1)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교환기 요소-패키지(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교환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설치 공간에 교환기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 치수 또는 내부 벽 영역과 상기 교환기 요소의 외부 치수 또는 외부 벽 영역 사이에 금형 캐비티를 한정하는 단계;
    c) 액체 또는 페이스트 경화성 구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d) 도포 수단에 의해 설치 영역 내 표적 표면 위 선택된 위치에 상기 액체 또는 페이스트 경화성 구성 재료를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 또는 금형 캐비티의 일부에 해당하는 구성 재료층으로서 표적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성 재료 층을 경화시켜 상기 구성 재료 층 내부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 구성 재료를 고화시키고 미리 도포 및 경화된 구성 재료 층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 및 e)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형성될 교환기 요소-패키지를 적층 방식으로 구성하는 방법.
KR1020207030409A 2018-04-05 2019-04-05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KR20200141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442/18 2018-04-05
CH4422018 2018-04-05
PCT/IB2019/052831 WO2019193573A1 (de) 2018-04-05 2019-04-05 Tauscherelement für ein fahrzeug sowie mit derartigem tauscherelement ausgestattetes fahrg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052A true KR20200141052A (ko) 2020-12-17

Family

ID=6666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409A KR20200141052A (ko) 2018-04-05 2019-04-05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48597A1 (ko)
EP (1) EP3781421B1 (ko)
JP (1) JP2021521060A (ko)
KR (1) KR20200141052A (ko)
CN (1) CN112292275A (ko)
CA (1) CA3096238A1 (ko)
WO (1) WO2019193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941A (ko) * 2018-11-05 2021-07-13 젠더 그룹 인터내셔널 아게 열 교환기 블록에 하우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하우징을 갖는 열 교환기 블록
WO2023169931A1 (en) * 2022-03-11 2023-09-14 Bdr Thermea Group B.V. Support assembly
EP4242536A1 (en) * 2022-03-11 2023-09-13 BDR Thermea Group B.V. Modular air guiding assembly
US11920821B1 (en) * 2023-07-31 2024-03-05 Nu-Air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Energy recovery ventilator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65665A (fr) * 1957-01-23 1958-10-28 Renault Perfectionnements à l'aération des véhicules
US3847211A (en) * 1969-01-28 1974-11-12 Sub Marine Syst Inc Property interchange system for fluids
JPS4819659B1 (ko) * 1969-11-04 1973-06-15
US4016081A (en) * 1974-04-22 1977-04-05 Baxter Laboratories, Inc. Staged membrane diffusion device and membrane support
US4110220A (en) * 1976-10-18 1978-08-29 Lavender Ardis R Mass transfer device
JPS57138413A (en) * 1981-02-18 1982-08-26 Nippon Soken Inc Air conditioning ventilator for car
US4744414A (en) * 1986-09-02 1988-05-17 Arco Chemical Company Plastic film plate-type heat exchanger
US4742870A (en) * 1986-10-29 1988-05-10 Cobe Laboratories Heat exchanger
JPS63152782U (ko) * 1987-03-27 1988-10-06
FI79810C (fi) * 1988-03-30 1990-03-12 Kalervo Virtanen Uppvaermnings- och luftkonditioneringssystem i en buss.
JPH04109292U (ja) * 1991-03-07 1992-09-22 東洋化学株式会社 配管カバー
JPH0662613U (ja) * 1993-01-29 1994-09-02 株式会社小電力高速通信研究所 車載アンテナ
JP3651938B2 (ja) * 1994-10-24 2005-05-25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素子
US7055575B2 (en) * 2002-10-18 2006-06-06 Noel Thomas P Thermally active convection apparatus
US20050145372A1 (en) * 2004-01-02 2005-07-07 Noel Thomas P. Method and thermally active multi-phase hea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abstracting heat using liquid bi-phase heat exchanging composition
DE10106045A1 (de) * 2001-02-09 2002-08-29 Christian Mueller Formteil aus geschäumtem Kunststoff für ein Fahrzeugausstattungsteil
DK176335B1 (da) * 2001-11-13 2007-08-20 Siemens Wind Power As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vindmöllevinger
US20050044712A1 (en) * 2003-08-28 2005-03-03 Gideon David E. Sidewall panel integrated with insulation and air ducts
WO2005036083A1 (en) * 2003-10-14 2005-04-21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for ventilator
JP4529799B2 (ja) * 2005-06-01 2010-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ユニット
AU2005337364A1 (en) * 2005-10-14 2007-04-19 Truma Geratetechnick Gmbh & Co. Kg Air-conditioning unit for mobile devices
WO2008041327A1 (fr) * 2006-10-03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Élément d'échange thermique total et appareil d'échange thermique total
KR20080060932A (ko) * 2006-12-27 200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장치의 열교환기
US20100132930A1 (en) * 2007-05-02 2010-06-03 Creare, Inc. Flexible Heat/Mass Exchanger
DE102009014377A1 (de) * 2009-03-23 2010-09-30 Airbus Deutschland Gmbh Flugzeugstruktur mit in Strukturelemente integrierte Luftführungsschächte
FR2962711B1 (fr) * 2010-07-13 2013-03-29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de revetement interieur d'une cabine d'aeronef integrant au moins un systeme.
DE102011085667A1 (de) * 2011-11-03 2013-05-08 Robert Bosch Gmbh Klimatisierungseinrichtung sowie Kraftfahrzeug
CN103998888B (zh) * 2011-12-19 2017-03-29 迪博因特技术公司 逆流能量回收通风机(erv)芯部
US9446540B2 (en) * 2014-05-06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composite utilizing injection-expansion molding
JP2016023909A (ja) * 2014-07-24 2016-02-08 富士電機株式会社 車載用の冷却ユニットおよび冷凍車
MX2016005813A (es) * 2015-05-13 2016-11-14 Ford Global Tech Llc Compuesto hibrido que utiliza moldeo por inyeccion-expansion.
JP2017026561A (ja) * 2015-07-28 2017-02-02 株式会社オプティコン 筐体、装置、照明装置、同軸照明装置及び筐体の製造方法
DE102015115196B4 (de) * 2015-09-09 2021-10-21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e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nd dazugehöriges Steuerungsverfahren
JP6390574B2 (ja) * 2015-09-29 2018-09-19 マツダ株式会社 変速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53300B (zh) * 2016-01-26 2017-11-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盖板玻璃制备工艺
KR20210087941A (ko) * 2018-11-05 2021-07-13 젠더 그룹 인터내셔널 아게 열 교환기 블록에 하우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하우징을 갖는 열 교환기 블록
KR101995250B1 (ko) * 2018-12-05 2019-07-02 이응기 공압출 발포 공법으로 제조되는 다층구조의 폴리락트산 수지 발포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WO2023055645A1 (en) * 2021-09-28 2023-04-06 Spirit Aerosystems, Inc. Injection molding of composite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1421B1 (de) 2023-10-11
EP3781421C0 (de) 2023-10-11
CA3096238A1 (en) 2019-10-10
CN112292275A (zh) 2021-01-29
US20210148597A1 (en) 2021-05-20
WO2019193573A1 (de) 2019-10-10
EP3781421A1 (de) 2021-02-24
JP2021521060A (ja)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1052A (ko) 운송수단용 교환기 요소 및 이러한 교환기 요소가 구비된 운송수단
US11241867B2 (en) Multicomponent polymer resin, methods for applying the same, and composite lamina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JP6150807B2 (ja) 自動車用の作動流体タンク
KR102191809B1 (ko) 라미네이트 제조 방법, 에너지 흡수 장치, 에너지 흡수 장치 조성물 및 성형 도구
JP4361036B2 (ja) 車両用防音材
ES229069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piezas preformadas acuñadas tridimensionalmente, asi como pieza preformada.
US20070006986A1 (en) Component, especially a hybid carrier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type of component, and use of said type of component
US2012008026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Sound Insulating Covering for Motor Vehicles and Corresponding Covering
JPS63102925A (ja) 騒音低減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526725U (zh) 用于车辆的车辆横向结构
MXPA03000242A (es) Un articulo moldeado que tiene un soporte rigido y un elemento hueco rigido.
CN102892568A (zh) 一种燃料箱制造工艺以及该燃料箱在混合动力车辆中的用途
JP5994713B2 (ja) 車両用部品
US20150321397A1 (en) Hybrid composite utilizing injection-expansion molding
CA2916612A1 (en) A light-weight air duct for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or use in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434095B2 (en) Hybrid composite utilizing gas-assisted molding geometries
US20200363005A1 (en) 3d shaped assembly
CN102209616A (zh) 模制的模块化建筑物
US11260914B2 (en) Holder for an interior trim part, and vehicle body structure
US20210261071A1 (en) Modular arrangement
RU2707597C2 (ru) Приборная панел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1858431B2 (en) 3D thermoformed element
US20220305905A1 (en) Combined fluid tank obtained by means of usage of core in conical form in rotational method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30193217A1 (en)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heat insulation and dissipation
KR20170003593U (ko)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