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367A -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367A
KR20200140367A KR1020207032225A KR20207032225A KR20200140367A KR 20200140367 A KR20200140367 A KR 20200140367A KR 1020207032225 A KR1020207032225 A KR 1020207032225A KR 20207032225 A KR20207032225 A KR 20207032225A KR 20200140367 A KR20200140367 A KR 2020014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leu
ser
ala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지엔 왕
춘 왕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내셔널 라이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내셔널 라이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차이나 내셔널 라이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20014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16Methods for controlling, regulating or enhancing expression of transgenes in plan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6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01H1/08Methods for producing changes in chromosome nu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8Methods for regeneration to complet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46Gramineae or Poaceae, e.g. ryegrass, rice, wheat or ma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20Type of nucleic acid involving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방법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적용하면, 교잡종은 자기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과 완전히 일치한 복제 종자 또는 식물체를 생성하여 잡종 강세가 장기간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잡종 강세 이용에 있어서 개화기가 불일치한 것 등 원인에 의해 친본 간 교잡이 어렵고, 종자 생산량이 낮으며, 교잡종 비용이 높은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생물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잡종 강세는 생물계에서 두 개의 유전 기초가 서로 다른 품종 간 또는 비슷한 종 간 교잡을 진행하면, 그 교잡 제1대가 성장세, 생활력, 적응성과 산량 등 형질에서 양친보다 뛰어난 현상을 가리킨다. 잡종 강세는 생물계의 보편적인 현상으로서, 농작물의 품종 배양과 생산 실천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잡종 강세가 농업 생산에서의 응용에 대해, 가장 중요한 고리의 하나는 교잡종을 고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옥수수 등 자웅이화 작물에서는 인공(또는 기계)에 의해 모본 근교계의 수꽃을 제거하고, 다른 한 근교계(부본)의 꽃가루로 수분하여 교잡 종자를 획득할 수 있어 조작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수행하기 쉽기에, 옥수수의 잡종 강세는 일찍부터 이용되고 체계적으로 성숙되어 응용이 광범위하다. 하지만 일부 친본들의 개화시기가 일치하지 않아 경작지에서 대규모적으로 교잡하고 종자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벼, 밀 등과 같은 자웅동화 작물은 모본의 꽃가루를 제거하는 방식에 의해 교잡 종자를 대규모적으로 제조할 수 없다. 벼를 예로, 현재 벼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웅성불임 특성을 갖는 식물체를 모본으로 이용하고, 다른 한 품종을 부본으로 꽃가루를 제공하여 교잡하는 것으로, 즉 웅성불임을 기술적 핵심으로 하는 잡종 강세 이용 체계이다. 벼 잡종 강세의 이용은 또한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하나는 세포질 유전적 웅성불임을 기술 핵심으로 하는 “3계법” 교잡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일장 주기, 온도의 조절을 받는 환경감수성 유전적 웅성불임을 기술 핵심으로 하는 “2계법” 교잡 기술이다.
도 1A에 도시된 “3계법” 교잡 기술: 세포질 유전적 웅성불임계를 모본으로 이용하고, 유지계를 부본으로 하여 불임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종자를 대량 번식시키며, 불임계를 모본으로 이용하고, 회복계를 부본으로 웅성 가임성이 회복되고 잡종 강세를 가진 잡종 종자를 대규모적으로 생산하며, 상기 교잡 종자는 교잡벼의 생산에 사용된다.
도 1B에 도시된 “2계법” 교잡 기술: 동일한 벼 계통이 일정한 조건에서는 웅성 가임성이고, 그 가임성을 이용하여 불임계 종자를 번식하며, 다른 특정적인 조건에서는 웅성 불임성이고, 그 불임성을 이용하여 부본과 교잡하여 교잡 종자를 제조한다.
교잡벼는 1대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형질 또는 임성이 분리된다. 따라서 해마다 종자를 제조해야 하고, 대량의 인력, 물력과 토지 자원을 소모하게 된다. 한편, “3계법”은 회복계와 유지계 사이 관계의 제약을 받아 생식질 자원에 대한 이용률이 낮으며, “2계법”은 자연 온도와 일장의 영향을 받아 불임계의 번식 산량이 불안정하고, 교잡 종자 제조 기간에 저온이 불임계의 자가 수정 결실을 유도하기에 교잡 종자의 순도가 기준에 미달할 위험이 있다.
또한, 일부 관련 문헌들에서는 잡종 강세의 이용 및 식물 생식에 관련된 유전자를 보도하였는데, 예를 들어 문헌[Turning rice meiosis into mitosis, (Cell Research (2016) 26:1242-1254)]에는 무수정 생식하는 종자에 의해 F1 잡종이 자가 번식하여 우량한 형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중 교잡에 의해 외래 보수 발현되는 CENH3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US 2014/0298507 A1에는 무수정에 의해 배우자를 복제 배아 또는 종자로 전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사천대학학보(자연과학판), Vol.29 No.2 1992]에는 무수정 생식이 식물 육종에서의 응용 및 세포 배아학 연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교잡종이 복제 종자 또는 식물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종자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mitosis-like)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gamete)를 얻는 단계 S1;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이다.
또한, 유전자 돌연변이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random mutagenesis)과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directed mutagenesis)을 포함하되,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되, 유전자 편집 기술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homing endonuclease gene editing technology)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transgene technology)에 의해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specific expression), 전좌 발현(ectopic expression) 또는 유전자 침묵(gene silencing)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단계 S1은 교잡종(hybrid seeds)을 채취하고,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한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어서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교잡종 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편집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DNA double-strand break)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제어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단계 S2는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다른 식물체의 유도 꽃가루를 주고,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물리적 자극, 생물학적 스트레스 또는 화학약제 처리에 의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꽃밥 배양 또는 꽃가루 배양에 의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또한, 식물은 단자엽 식물과 쌍자엽 식물을 포함한다.
또한, 식물은 벼, 옥수수, 수수, 조, 보리, 밀, 호밀, 귀리, 메밀, 율무, 사탕수수, 아스파라거스, 죽순, 부추, 참마, 콩, 감자, 완두, 녹두, 팥, 잠두, 동부콩, 강남콩, 강낭콩, 돌콩, 병아리콩, 카사바, 고구마, 유채, 목화, 사탕무, 가지, 땅콩, 찻잎, 박하, 커피, 참깨, 해바라기, 피마자, 들깨, 홍화, 토마토, 고추, 오이, 청경채, 상추, 시금치, 마늘, 양배추, 갓, 줄, 대파, 동과, 애호박, 수세미외, 배추, 무우, 양파, 수박, 포도, 당근, 콜리플라워, 호박, 담배, 목초, 코끼리풀, 수크령, 수단 그라스, 난초, 백합, 튤립, 개자리(rice, maize, sorghum, millet, barley, wheat, rye, oats, buckwheat, coix seed, sugar cane, asparagus, bamboo shoots, allium tuberosum, yams, soybeans, potatoes, peas, mung beans, adzuki beans, vicia faba, vigna sesquipedalis, phaseolus vulgaris, lens culinaris, calopogonium mucunoides, chickpeas, cassava, sweet potato, rape, cotton, beets, eggplant, peanuts, tea, mint, coffee, sesame, sunflower, ricinus communis, perillaseed, safflower, tomato, pepper, cucumber, brassica chinensis, lettuce, spinach, garlic, brassica oleracea, brassica juncea, zizania aquatica, welsh onion, benincasa hispida, zucchini, loofah, chinese cabbage, radish, onion, watermelon, grape, carrot, cauliflower, pumpkin, tobacco, pasture, pennisetum purpureum schumach, pennisetum alopecuroides, sorghum sudanense, orchids, lilies, tulips and alfalf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잡종 강세를 보유하는 식물 또는 종자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 또는 종자는 상기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이 잡종 강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약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시약 키트는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 그리고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한다.
또한,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에 의해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 또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의 벡터 및/또는 시약이다.
또한,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에 의한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전좌 발현 또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편집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이며,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되,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제어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MTL 단백질에 영향을 주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하되,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생성한 식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은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배우자는 유도되어 식물체 또는 종자로 발달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로 개조된 식물이고, 식물에는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이 이용되어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조절됨으로써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며,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이 이용되어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제4 단백질에 영향을 줌으로써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되,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4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의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을 F1 세대에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어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이다.
또한, 단계 S1은 교잡 F1 세대 종자를 채취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1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하고, 편집된 각각의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얻은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고, 교잡종에서 두 개 친본 중 편집된 복수의 유전자가 모두 동형접합 돌연변이(homozygous mutant)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1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REC8, OSD1, PAIR1 유전자를 넉아웃(knocking out)시킴으로써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이배체 암배우자에게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주어서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MTL 유전자를 넉아웃시킴으로써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다른 식물체의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사용하여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교잡종은 F1 세대에 REC8, OSD1, PAIR1MTL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켰다.
또한, 식물은 벼, 옥수수, 수수, 조, 보리 및 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적용하면, 교잡종은 자기 유전자형과 완전히 일치한 복제 종자를 생성하여 교잡종이 장기간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잡종 강세 이용에서 개화기가 불일치한 등 원인에 의해 친본 간 교잡이 어렵고, 종자 생산량이 낮으며, 교잡종 비용이 높은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한 부당한 한정을 이루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서
도 1A는 기존 기술 중 3계 교잡 육종 기술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기존 기술 중 2계 교잡 육종 기술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F1 세대 유전자형 유지 양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실시예 1에서 F1 세대 식물체 춘우(春優) 84의 세포 배수성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B는 실시예 1에서 잡종 강세 고정 식물체의 세포 배수성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부본 C84, 모본 16A, 교잡종 춘우(春優) 84(CY84), 그리고 유전자형과 염색체 배수성 고정 식물체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이다.
모순되지 않는 한, 본 출원 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들은 서로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다루는 용어는 아래와 같이 해석된다.
잡종 강세(heterosis): 잡종 제1대가 크기, 생장률, 번식력 및 행동 특성 면에서 모두 친본보다 우월한 현상을 가리킨다.
감수분열: 생식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는 한번만 복제되고 세포는 연속 2회 분열하는데, 이는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특수한 분열 방식이다.
유사분열(mitosis): 간접분열이라고도 하며, E. Strasburger가 1880년에 식물에서 발견한 것으로,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 방추체와 염색체가 나타나 S기에서 복제된 딸염색체가 딸세포에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런 분열 방식은 고등 동식물(동물과 고등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염색체 배수성(chromosome ploidy): 일배성, 다배수성과 같이 세포에 포함된 염색체의 세트 수 또는 유전자 세트 수를 가리킨다.
이배체 암배우자: 배우자는 생물이 유성생식을 진행할 때 생식계통에서 생성되는 성숙한 성세포를 가리키며, 생식세포라 약칭하며, 배우자는 수배우자(male gamete)와 암배우자(female gamete)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생식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는 한번만 복제되고 세포는 연속 2회 분열되며, 염색체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암배우자가 생성될 때 염색체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지 않고 본 물종의 체세포 염색체 세트 수와 일치하면 이배체 암배우자라고 한다.
반수체: 체세포의 염색체 세트 수가 본 물종의 배우자 염색체 세트 수와 같은 개체 또는 세포.
처녀생식(parthenogenesis): 단성생식이라고도 하며, 즉 난자가 수정을 거치지 않고도 정상적인 새로운 개체로 발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교잡종은 유전자형이 이형접합된 식물체 또는 종자를 가리키며, 그 유성생식 후대는 유전 분리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그리고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이다.
여기서, 유전자 돌연변이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과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되,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편집 기술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에 의한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전좌 발현 또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에 자주 쓰이는 방법은, 방사선(자외선, X선, γ선, 중성자선), 레이저 마이크로빔, 이온빔, 마이크로파, 초음파, 열력 등을 포함한다.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에 자주 쓰이는 방법은, 침지법(immersion method), 도말법(smear method), 액적법(drip method), 주사법(injection method), 시비법(application method) 및 훈증법(fumigation method)을 포함하며, 화학적 돌연변이 유기제는 알킬화제, 염기 유사체, 염화리튬, 니트로소 화합물, 아지드화물, 항생제, 하이드록실아민, 아크리딘, 다이에틸 설페이트(Diethyl sulphate)(DES), 5-브로모유라실(5-BU),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nitrogen mustard: Nm),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 구아니딘(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NTG) 등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 방법은, 공간 조건 돌연변이 유발, 병원미생물 돌연변이 유발, 조직 배양 돌연변이 유발, 유전자변형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한다.
응용 실례로는 문헌[McCallum et al., Plant Physiology, 2000, 123, 439-442]에 기술된 TILLING(부위 특이적 유전체 국부 돌연변이 유발, Targeting Induced Local Lesions IN Genomes)을 들 수 있다.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을 진행하는데, 상기 표준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이고 상동 재조합이며, 바람직하게는 TALEN 또는 CRISPR와 같은 뉴클레아제와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그리고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S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적용하면, 교잡종은 자기 유전자형과 완전히 일치한 복제 종자 또는 식물체를 생성하여 교잡종이 장기간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잡종 강세 이용에서 개화기가 불일치한 등 원인에 의해 친본 간 교잡이 어렵고, 종자 생산량이 낮으며, 교잡종 비용이 높은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S1은 교잡종을 채취하고,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단계 S1은 교잡 F1 세대 종자를 채취하고,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F1 세대의 이배체 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 F1 세대 종자를 채취하고, 유전자 편집 시스템을 도입하여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관련 핵심 유전자를 편집하여 유전자가 편집된 F1 세대 식물체를 획득하는 것이며, 상기 유전자가 편집된 F1 세대 식물체의 암배우자, 즉, 이배체 배우자이고, 바람직하게는,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관련 핵심 유전자는 REC8, OSD1, PAIR1 세 개 유전자이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한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어서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교잡종 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단계 S1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하고,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관련 핵심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 상태인 이형접합 돌연변이체를 얻은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고, 교잡종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관련 핵심 유전자가 모두 동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종의 부본과 모본을 각각 채취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을 도입하여, 상술한 세 개의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관련 핵심 유전자를 편집하고, 유전자가 편집된 상술한 세 개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친본 식물체를 획득한 다음, 이 두 개 친본을 교잡하여 맺은 종자는 서로 다른 유전자형을 나타내게 되는데, 그 중에서 상술한 세 개 유전자가 모두 동형접합 돌연변이인 종자를 선택하며, 이런 식물체인즉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F1 세대 종자이고, 상기 F1 세대 종자의 암배우자인즉 이배체 암배우자이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편집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MKLKMNKACDIASISVLPPRRTGGSSGASASGSVAVAVASQPRSQPLS QSQQSFSQGASASLLHSQSQFSQVSLDDNLLTLLPSPTRDQRFGLHDDSSKRMSSLPASSASCAREESQLQLAKLPSNPVHRWNPSIADTRSGQVTNEDVERKFQHLASSVHKMGMVVDSVQSDVMQLNRAMKEASLDSGSIRQKIAVLESSLQQILKGQDDLKALFGSSTKHNPDQTSVLNSLGSKLNEISSTLATLQTQMQARQLQGDQTTVLNSNASKSNEISSTLATLQTQMQADIRQLRCDVFRVFTKEMEGVVRAIRSVNSRPAAMQMMADQSYQVPVSNGWTQINQTPVAAGRSPMNRAPVAAGRSRMNQLPETKVLSAHLVYPAKVTDLKPKVEQGKVKAAPQKPFASSYYRVAPKQEEVAIRKVNIQVPAKKAPVSIIIESDDDSEGRASCVILKTETGSKEWKVTKQGTEEGLEILRRARKRRRREMQSIVLAS)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MVMAQKTKEAEITEQDSLLLTRNLLRIAIYNISYIRGLFPEK YFNDKSVPALEMKIKKLMPMDTESRRLIDWMEKGVYDALQKKYLKTLLFCICEKEEGPMIEEYAFSFSYPNTSGDEVAMNLSRTGSKKNSATFKSNAAEVTPDQMRSSACKMIRTLVSLMRTLDQMPEERTILMKLLYYDDVTPEDYEPPFFKCCADNEAINIWNKNPLKMEVGNVNSKHLVLALKVKSVLDPCDDNNVNSEDDNMSLDNESDQDNDFSDTEVRPSEAERYIVAPNDGTCKGQNGTISEDDTQDPVHEEELTAQVREWICSRDTESLEVSDVLVNFPDISMEMVEDIMERLLKDGLLSRAKKDSYSVNKIADPTTPHIKKEVIMQNVSPTEGTKNSNGDLMYMKALYHALPMDYVSVGKLHGKLDGEASQNMVRKLIEKMVQDGYVKNSANRRLGKAVIHSEVTNRKLLEIKKILEVDIAEQMAIDTNAEPGEPERKDHLSGHEMRDGSTMGCLQSVGSDLTRTRELPEPQQNVSMQSGQEASTVDKDPSRTPTSVREASVCSLESGVLGQKVRKSLAGAGGTQCSQDKRFRKASTVKEPILQYVKRQKSQVQVQVQ)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MEVELTNIQKATSSDYWSLASNQYPCGKFPKVSVGVTIPRTSSVSR GRDAASTAAFEKNLSQGTDGRSRPPKMDNASLQVSPEAANHGGSAKEVPKPVPAKVSVSQPDDNAIEQTGTFSFGTRREQDSHLDQLDRPPLVSSQGKRQVESADKNKPNSEMLRMKLWEILGGTSQNKEAVASPNPEDIETPCQPKSQIANGPSSGRQKVFTSPVPYNIKTPAQFNSQTANKPSSDPIESDSDSPQVVEVRPITRSLGRKKEPTGSTHQDKSGSAKKPLSTHRSTPKQKILDNVFAFNDKCTPKTVGKSANGESGSLRNLRSLSRRAKVEPKKAHCSDRISHKTTQDDMERKVPSKYIPSEKKGEKTNSFSSLSRTGKTAESCSRSPKRERRVNTMANVGARKMQLSENLLVKTLNDGEHKLSSPQLTSFKSKGKCSSISPQQKENDNTHIPEASDRTAARNSFNSTPSPAANPSPVLRKYSWEHDENPAINGKSGQKDASPLADRFSDMPDDFASPTFAANIKISPHRSKMLDDDLFSSKYPKGVNRSRSTSFTSDPESEPLDKMEKTNELPGSESPNSQEERQNRKQPHLSPLSPIESEGAQISIPSFRKGYKSHKWLSDVDSPDKSSIEHLGRKSHLKEGRKGKRQLTSPTHFATSGTQETMSDKEPEKVPENYLTRAFDQLVVVLGRFQTKIKSETRNKSSKILAATGEIIRQHLEGVEGQMQADVDKLVNAGKSKRKRLESTFEEQQEKLRILHEKFKEEVNQQLLGCKNSVEDFEAYHAELKGVADKQKASHKKLLQNAEKTVGAQLSDAETKIAEVQKRARKRMKGLKFVLKELIAETAE)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MEMVLIMSFRVLLYHRLTAQTGPFKLHCLGILLNSTKDAATYIGDKQ SLYLNLVNNLRLPSDEIRGEILFVLYKLSLLNATPWDDICDNDNVDLSAIGRSLLQFSLEVLLKTQNDDVRLNCIALLLTLAKKGAFDILLLSDPSLINSAEAEDNVPLNDSLVILFAEAVKGSLLSTNIEVQTGTLELIFHFLSSDANIFVLKTLIDQNVADYVFEVLRLSGMRNHLLQSSNASQFLTKLLYVSGNNDPLVISSIKVLSILANSEERFKEKLAIAVSTLLPVLHYVSEIPFHPVQSQVLRLVCISIINCSGILSLSQEEQIACTLSAILRRHGNGELGMSSETFALVCSMLVEILKLPSADDIQKLPSFIVEASKHAISLTFSHEYDCLFLIPHSLLLLKEALIFCLEGNKDQILRKKSLEDSIIETCETYLLPWLESAIVDGNDEETLSGILQIFQIILSRASDNKSFKFAEMLASSSWFSLSFGFMGLFPTDHVKSAVYLVISSIVDKVLGISYGETIRDACIYLPPDPAELLYLLGQCSSEDFNLASCQCAILVILYVCSFYNERLAADNQILASVEQYILLNGAKFPHEIPGSLMLTLLVHLYAFVRGISFRFGIPHSPEAEKTLFHAMTHKEWDLLLIRVHLIALKWLFQNEELMEPLSFHLLNFCKFFCEDRTVMLSSSTQLVDIQLIAELVYSGETCISSLLVSLLSQMIKESAEDEVLSVVNVITEILVSFPCTSDQFVSCGIVDALGSIYLSLCSSRIKSVCSLLIFNILHSASAMTFTCDDDAWLALTMKLLDCFNSSLAYTSSEQEWKILIGILCLILNHSANKVLIEPAKAIILNNCLALLMDGIVQEACAKGPSLFQHNQETTFGELLILMLLLIFFSVRSLQAILEASIDWQEFLQYSDDTESSSVLGIPCHDLCRLMHFGPSPVKLIASQCLLELLNRISDQRSCLNAELRCSAKYLKSMIAVTEGMVFDQDSRVAENCGACLTVILGWERFGSREKAVIRESKWSRLILEEFAVALTAPGLTSKSFSNQQKIAANIALSLLQLSQVPDWLTSLFSDSLISGIVANLSARNVTAEIVTLFSELMAKNYLNQEHIAGLHNLFQVCRRQAYEGGGGSKAQPSEQKAAAARCADDVRALLFGMMLEQRACSRATVEMEQQRLLREIDSFFFQESSLREQNSVK)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MAPPASRPPTPTPTPTANAAASSSRIESPSLRAALAMALIHYNRLP SRAAAAAAPSPQALLNWKRKAKDRKREILRLREELKLLQDGARGEEMEPPVASCRCHFFDGCGDLPPPTDGDAGEHWVDDVLRRRFVRLVRWKDKRRRLDRSLPTSSLMEYNTEDEVQQLSLSIDFLVELSDGLFAKREAGSSFTTFSHQAVDFILASLKNILSSEREKEIIEEIINGLVARLMKRMCTTPENAGSVDCSDAQFSLQHLFRKLGNEEFVGQRIILAISQKISNVSEKLLLADPFDDGFPEMHSNMFIMIQLIEFLISDSFNNWLCRDHFDRKLFEEWVRSILKARKDLEVLDGRNGLYVVYIERVIGRLAREVAPAAHQGKLDLEVLSKLLY)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MAGREKRRRVAALDGEERRRRQEEAATLLHRIRGLVRWV VAEVAAGRSPTVALHRYQNYCSSASAAAASPCACSYDVPVGTDVLSLLHRGSHASRLNVLLRVLLVVQQLLQQNKHCSKRDIYYMYPSIFQEQAVVDRAINDICVLFKCSRHNLNVVPVAKGLVMGWIRFLEGEKEVYCVTNVNAAFSIPVSIEAIKDVVSVADYILIVEKETVFQRLANDKFCERNRCIVITGRGYPDIPTRRFLRYLVEQLHLPVYCLVDADPYGFDILATYKFGSLQLAYDANFLRVPDIRWLGVFTSDFEDYRLPDCCLLHLSSEDRRKAEGILSRCYLHREAPQWRLELEAMLQKGVKFEIEALSACSISFLSEEYIPKKIKQGRHI)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MAEAGVAAASLFGADRRLCSADILPPAEVRARIEVAVLNFLAALTD PAAPAISALPLISRGAANRGLRRALLRDDVSSVYLSYASCKRSLTRANDAKAFVRVWKVMEMCYKILGEGKLVTLRELFYTLLSESPTYFTCQRHVNQTVQDVVSLLRCTRQSLGIMASSRGALIGRLVVQGPEEEHVDCSILGPSGHAITGDLNVLSKLIFSSDARYIIVVEKDAIFQRLAEDRIYSHLPCILITAKGYPDLATRFILHRLSQTYPNMPIFALVDWNPAGLAILCTYKYGSISMGLESYRYACNVKWLGLRGDDLQLIPQSAYQELKPRDLQIAKSLLSSKFLQDKHRAELTLMLETGKRAEIEALYSHGFDFLGKYVARKIVQGDYI)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MPPTMLASVPTRPRSHPFRRRRGAAAAAPPLLPDQIAAAAAAAAKRP AESSTSASSCFHSEVISATSTTCPTSLAAAQRPEKRPRYQDVDEEQPAASECSEIIGGARPRAAEVEVSESSCLASVLESYLACPEQLANDAETTAYSSAREDLTLSETEEEEEEEEVRSGPCICTDCSFSPLHESSSSSDDDNAVPSPTFSLFLALAEQFVPFTHPKTPTATDVALQAGEGKRFEDLDNEVSYERFRRRERRGVVARDYIEVYSSMLGSYGRAVVEQRVVMVNWIMEHSQAMKLQPETVFMGIGLMDRFLTRGYVKGSRNLQLLGIACTTLATRIEENQPYNCILQKAFKVGINTYSRSEVVAMEWLVQEVLDFQCFVTTTHHFLWFYLKAANADDRVEDLAKYLALLSLLDHKHLSFWPSTVAAAVVALACLATNNESSCHLVMETHMRTKNDDLPECLMSLEWLTNYAS)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MSAPMEVSFSAPPPPDAASAAAAAPSLVPAVSAAAVAATTVSCS PQPPTGSPSADDRILVSVEVLLHATSTARAEDVCAAVERMLEARSLSYVDGPVPIPNDDPFLLANVKRIQICDTDEWTENHKVLLFWQVRPVVHVFQLSEDGPGEEPGEDDTLSSFNEWALPAKEFDGLWESLLYEVGLKQRLLRYAASALLFTEKGVDPCLVSWNRIVLLHGPPGTGKTSLCKALAQKLSIRFKSRYSMCQLIEVNAHSLFSKWFSESGKLVAKLFQKIQEMVEEESNLVFVLIDEVESLAAARQAAISGSEPSDSIRVVNALLTQMDKLKSWPNVIILTTSNITTAIDIAFVDRADIKAYVGPPTLQARYEILRSCLQELLRVGILTHTQGGNSLCLLSYFSLMENQHCPEVADPHGSVHLSGLLHKAAEICEGLSGRTLRKLPFLAHASVANPSCCDASAFLHALIQTAQRELSESRG)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MERATTSGGGGGGSQPPRGVGLPLVEVQAAAASLRRSEVFYVVKE LLGFVLYMHHQIPAVLQNLENEFASLKEEMTEMALPPGEMKPSDQRKYNTRKREVRRRIKKQEKLMNGLSSVFSALQKALDEVPSIEGVLLILGGSLVRPLFVYDITISHGRFDAGSANERGASKLAQSVSRKAIRALISSGAGSLSYTGPTKLFVLVRCPCTLNLPLDFLPKRDFRYSKKVVPLQMCIKCNIAGIQIDNQQITSIVDASRCTSESTISEVIWFQCKHTIRGLPCKASLEE)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MASSPPPSTASPTSSSPYRKLLHSLIYWAVQRCRMSESPCRLTVSVKR SPEPAGSSPLRISVSDTGVGSKLEEFLELDALARETPVEKWDGTLLITTTGIDDKAIYRYQFNLQEDTSSSTRFTKLATMYKSRAIFSGTEVCLCLPTEADVDDLILWLVGFVRKIFVLRASNLACELFVAQTDSAGSGDVCLSQDSDDVHISITTSSIDRLVSGLKDYALSHANTSDRCEACYMNRDRLKIGTGTAKYVDKRKAKGQLVEVVIMIAPTSSDLSCWMTNCSSTQVLHFVEFIPCPISQSSLSALMSIDWQSYGFKFKGGFIDDDGNAELQWDNMAFSHVDIAIHTYHEGAVDEWKSSQPERHLLRKALKSALFGLKADHAEDFLSCHGQKVREYVPDLAESIAGLILSSNDQEFQDECIALLGLGSDQDLTEGAVRSCIGEKMNRIIEMNDTKENVEHNAPYLFECERFDEDYSLLDEDDPDEDMIFDF)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MRHNIKFKSKGTLKIRNTAQISLWKKCSDSMIADQTYLFINRVQDRR FDEESLRILELSLVAMNVKSFLEVRSRLRDFMRSESVVIFGELTGESMVAKLSVLEFFARAFALLGDMESCLAMRYEALNLRQLKSPSCLWLGVSHSEWTKFAVQSMENGFPSIAGKASENALLSLKKDSLIEPKSEDNSDILDAAEKVRRLRDSAASLTSSHSGIFIYIVSSLKFAVCNRLLTTF)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MFYSHQLLARKAPLGQIWMAATLHSKINRKRLDKLDIIKICEEILN PSVPMALRLSGILMGGVAIVYERKVKALYDDVSRFLIEINEAWRVKPVADPTVLPKGKTQAKYEAVTLPENIMDMDVEQPMLFSEADTTRFRGMRLEDLDDQYINVNLDDDDFSRAENHHQADAENITLADNFGSGLGETDVFNRFERFDITDDDATFNVTPDGHPQVPSNLVPSPPRQEDSPQQQENHHAASSPLHEEAQQGGASVKNEQEQQKMKGQQPAKSSKRKKRRKDDEVMMDNDQIMIPGNVYQTWLKDPSSLITKRHRINSKVNLIRSIKIRDLMDLPLVSLISSLEKSPLEFYYPKELMQLWKECTEVKSPKAPSSGGQQSSSPEQQQRNLPPQAFPTQPQVDNDREMGFHPVDFADDIEKLRGNTSGEYGRDYDAFHSDHSVTPGSPGLSRRSASSSGGSGRGFTQLDPEVQLPSGRSKRQHSSGKSFGNLDPVEEEFPFEQELRDFKMRRLSDVGPTPDLLEEIEPTQTPYEKKSNPIDQVTQSIHSYLKLHFDTPGASQSESLSQLAHGMTTAKAARLFYQACVLATHDFIKVNQLEPYGDILISRGPKM)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MPEVRNSGGRAALADPSGGGFFIRRTTSPPGAVAVKPLARRA LPPTSNKENVPPSWAVTVRATPKRRSPLPEWYPRSPLRDITSVVKAVERKSRLGNAAVRQQIQLSEDSSRSVDPATPVQKEEGVPQSTPTPPTQKALDAAAPCPGSTQAVASTSTAYLAEGKPKASSSSPSDCSFQTPSRPNDPALADLMEKELSSSIEQIEKMVRKNLKRAPKAAQPSKVTIQKRTLLSMR)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MSSSSRNLSQENPIPRPNLAKTRTSLRDVGNRRAPLGDITNQKN GSRNPSPSSTLVNCSNKIGQSKKAPKPALSRNWNLGILDSGLPPKPNAKSNIIVPYEDTELLQSDDSLLCSSPALSLDASPTQSDPSISTHDSLTNHVVDYMVESTTDDGNDDDDDEIVNIDSDLMDPQLCASFACDIYEHLRVSEVNKRPALDYMERTQSSINASMRSILIDWLVEVAEEYRLSPETLYLAVNYVDRYLTGNAINKQNLQLLGVTCMMIAAKYEEVCVPQVEDFCYITDNTYLRNELLEMESSVLNYLKFELTTPTAKCFLRRFLRAAQGRKEVPSLLSECLACYLTELSLLDYAMLRYAPSLVAASAVFLAQYTLHPSRKPWNATLEHYTSYRAKHMEACVKNLLQLCNEKLSSDVVAIRKKYSQHKYKFAAKKLCPTSLPQELFL)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MCPCVERRAPPGVYYTPPPARTSDHVAAMPMTERRRPPYSCSSSSE RRDPFHIVHKVPSGDSPYVRAKHAQLIDKDPNRAISLFWTAINAGDRVDSALKDMAVVMKQLGRSDEGIEAIKSFRYLCSFESQDSIDNLLLELYKKSGRIEEEAVLLEHKLQTLEQGMGFGGRVSRAKRVQGKHVIMTIEQEKARILGNLGWVHLQLHNYGIAEQHYRFGFVTKIPNIDYCLVMRALGLERDKNKLCNLAICLMRMSRIPEAKSLLDDVRDSPAESECGDEPFAKSYDRAVEMLAEIESKKPEADLSEKFYAGCSFVNRMKENIAPGTANKNYSDVSSSPASVRPNSAGLYTQPRRCRLFEEETRGAARKLLFGKPQPFGSEQMKILERGEEEPMKRKKLDQNMIQYLHEFVKDTADGPKSESKKSWADIAEEEEAEEEEEERLQGELKTAEM)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이 중에서, PAIR1 단백질은 초기 감수분열 재조합의 발생에 관여하고, DNA 이중가닥 절단의 형성을 촉진하며, PAIR1 유전자의 결실은 재조합 과정의 결실을 일으킨다. REC8 단백질은 새로 복제된 자매 염색체를 긴밀하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자매(또는 상동)염색체가 정확하게 분리되고 딸세포에 배분되도록 보장하는 핵심 조절인자로서, REC8 단백질의 기능이 부재하면 자매 염색분체가 감수 제1분열 말기에 분리되어 세포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OSD1 유전자 기능의 부재는 배우자의 형성이 감수 제2분열 과정을 건너뛰게 한다.
상술한 유전자를 넉아웃시키는 것은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억제 단백질은 돌연변이 유발 암호화 단백질의 유전자 또는 그 프로모터에 의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일부 또는 전부 잃어버리게 하는 것을 말하여, 이 중에는 식물에서 침묵 RNA를 발현함으로써 관련 단백질에 대한 억제를 획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S2는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2는 다른 식물체의 유도 꽃가루를 주어서,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를 들어, 단계 S2는 이배체 암배우자에게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주어서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예를 들어, 단계 S2는 물리적 자극, 생물학적 스트레스 또는 화학약제 처리에 의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 예를 들어, 단계 S2는 꽃밥 배양 또는 꽃가루 배양에 의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MAASYSCRRTCEACSTRAMAGCVVGEPASAPGQRVTLLAIDGGGIRGLIPGTILAFLEARLQELDGPDARLADYFDCIAGTSTGGLITAMLAAPGDHGRPLFAASDINRFYLDNGPLIFPQKRCGMAAAMAALTRPRYNGKYLQGKIRKMLGETRVRDTLTNVVIPTFDVRLLQPTIFSTYDAKSMPLKNALLSDICISTSAAPTYLPAHCFQTTDDATGKVREFDLIDGGVAANNPTMVAMTQITKKIMVKDKEELYPVKPSDCGKFLVLSVGTGSTSDQGMYTARQCSRWGIVRWLRNKGMAPIIDIFMAASSDLVDIHAAVMFQSLHSDGDYLRIQDNTLHGDAATVDAATRDNMRALVGIGERMLAQRVSRVNVETGRYVEVPGAGSNADALRGFARQLSEERRARLGRRNACGGGGEGEPSGVACKR)로 표시된 MTL 단백질,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이 중에서, 상기 유도계 꽃가루는 유전자형과 배수성이 교잡종과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하는 식물체에서 유래할 수 있고, 다른 식물체에서 유래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도계 꽃가루는 유전자형과 배수성이 교잡종과 일치한 암배우자를 생성하는 식물체에서 유래하고, 교잡종에서 REC8, OSD1, PAIR1MTL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은 단자엽 식물과 쌍자엽 식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벼, 옥수수, 수수, 조, 보리, 밀, 호밀, 귀리, 메밀, 율무, 사탕수수, 아스파라거스, 죽순, 부추, 참마, 콩, 감자, 완두, 녹두, 팥, 잠두, 동부콩, 강남콩, 강낭콩, 돌콩, 병아리콩, 카사바, 고구마, 유채, 목화, 사탕무, 가지, 땅콩, 찻잎, 박하, 커피, 참깨, 해바라기, 피마자, 들깨, 홍화, 토마토, 고추, 오이, 청경채, 상추, 시금치, 마늘, 양배추, 갓, 줄, 대파, 동과, 애호박, 수세미외, 배추, 무우, 양파, 수박, 포도, 당근, 콜리플라워, 호박, 담배, 목초, 코끼리풀, 수크령, 수단 그라스, 난초, 백합, 튤립, 개자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구현 원리는 이하와 같다.
본 출원이 무수정 생식을 구현하는 원리는 감수분열과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아를 직접 형성하여 종자를 산생하는 것으로, 주로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1단계: 감수분열은 동식물이 생식시기에 발생하는 특수한 세포 분열 과정이다. 감수분열 시, 부본과 모본에서 유래된 유전 정보가 재조합되면서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감소된 배우자를 생성한다.
식물의 감수분열 시기의 세 개 서로 다른 중요한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동시에 돌연변이시키면(이 3중 돌연변이 물질을 MiMe, Mitosis instead of Meiosis라고 명명함), 식물체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 과정으로 전환된다.
MiMe 식물체가 생성하는 암배우자와 수배우자의 세포 중 염색체 수 및 유전자형은 체세포와 완전히 일치하고, 이들의 자가 교배 후대는 모두 유전자형이 이형접합인 사배체로서, 세 개 유전자를 동시에 돌연변이시키면 교잡 식물이 감수분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체세포와 유전자형이 일치한 복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2단계: 꽃가루 특이적 포스포리파아제 유전자(MATRILINEAL, MTL)는 주로 식물 수배우자에 작용하며, 반수체 유도를 제어하는 유전자로, 옥수수에서 먼저 복제되었다. MTL 유전자를 넉아웃시킴으로써 반수체 유도물질 mtl을 획득할 수 있다. 중복수정 과정에서, 접합자 중 mtl 수배우자의 유전체는 분해되고, 즉 부본의 정핵이 수용체의 난핵과 접합자를 형성하지 못하고 난핵 반수체의 결실을 유도한다.
따라서, 식물에서 MiMeMTL이 네 개 내생성 유전자를 동시에 개조하여, 무수정 생식이 가능한 Fix(Fixation of hybrids) 물질, 즉 감수분열과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모본 유전체를 보존하는 방식에 의해 세포 배수성이 이배체이고 유전자형이 친본과 완전히 일치한 식물체를 얻었다. 이로부터 네 개 내생성 유전자를 동시에 개조하면 무수정 생식 특성을 교잡 식물에 도입할 수 있어 이형접합 유전자형의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1) 배우자 형성 과정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한다. 연구에 따르면, 감수분열 시기에 관여하는 REC8, OSD1, PAIR1 세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킨 다음(이 물질을 MiMe, Mitosis instead of Meiosis라 명명함), 염색체를 한 번 복제하면, 생식세포는 원래의 두 번 분열에서 한 번 분열로 변하고, 이렇게 형성된 배우자에서 염색체 수는 절반으로 줄어들지 않고 체세포와 일치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염색체를 배가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2) 생성된 암배우자는 암배우자의 발달을 유도하는 꽃가루의 자극을 받아, 즉 암배우자는 정세포 염색체와 융합하지 않고도 배아로 발달되어, 체세포 유전자형과 완전히 일치한 종자를 형성한다. MTL 유전자를 넉아웃시키면 유도 반수체가 생성한 꽃가루를 획득할 수 있다. 교잡 종자를 형질전환 배경으로 하고,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REC8, OSD1, PAIR1MTL 네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키면, 상기 식물체가 생성한 암배우자는 체세포와 같은 염색체 배수성이며, 또한 MTL 유전자가 파괴되었기에, 생성된 꽃가루는 암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렇게 얻은 종자 또는 식물체는 유전자 분리(형질 또는 임성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유전자형이 모세포(형질전환에 사용되는 배경 물질 교잡종)와 똑같아서, 최종적으로 잡종 강세를 고정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F1 자손대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잡종 모세포와 일치함을 분명히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잡종 강세를 보유하는 식물 또는 종자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 또는 종자는 상술한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종자는 교잡 우세를 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이 잡종 강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약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시약 키트는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 그리고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 그리고 식물 배우자가 처녀생식을 하도록 유도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 또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의 벡터 및/또는 시약이다. 이 중에서,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에 의한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전좌 발현 또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 재조합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이며,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되,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MTL 단백질에 영향을 주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하되,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판매와 사용에 편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시약 키트는 교잡종에서 REC8, OSD1, PAIR1MTL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키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하였다.
본 발명의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은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은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됨으로써 교잡종과 염색체 배수성 및 유전자형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배우자가 식물체 또는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 모식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식물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로 개조된 식물이고, 식물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며,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배우자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MTL 단백질에 영향을 줌으로써,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되, 이 중에서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된다.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아래에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를 보다 깊이 설명할 것이며, 이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은 단계 또는 시약은 모두 당업계의 일반적인 기술수단 또는 일반 시약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F1 교잡종은 심의를 거친 상품화 교잡벼 품종인 춘우(春優) 84이다. 춘우(春優) 84는 조기개화 만숙성 자포니카 불임계 춘강(春江) 16A와 인디카 자포니카 중간형 광친화성 회복계 C84를 짝을 지어 육성한 자포니카-인디카 교잡벼의 새로운 조합이다. 상기 교잡벼는 수확 잠재력이 크고, 종자 생산량이 높으며, 종합적인 농예 형질이 우수하고, 도열병 저항성이 훌륭하며, 적응성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전적 형질전환 배경 물질은 교잡벼 F1 종자를 이용하여 유도 획득한 캘러스이며, 유성 번식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에 형질전환 후 획득한 형질전환 T0 세대 물질은 유전 배경 상 교잡벼 F1 식물체와 일치하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자세한 사항은 CN201510485573.2 참조):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네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 PAIR1MTL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1): CTGCCGCCGACGAGCAACAAGG
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2): AAGCAACCCAGTGCACCGCTGG
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 CCCATGGCACTAAGGCTCTCCG
MTL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4):GGTCAACGTCGAGACCGGCAGG
두 개의 상보 DNA 서열을 설계하여, 각각 순방향 서열 앞에 GGCA를 추가하고, 역방향 상보 서열 앞에 AAAC를 추가하였다.
SK-gRNA에는 두 개의 AarI 제한효소 절단 부위가 있고, AarI에 의한 제한효소 절단 후 점착성 말단을 갖는 벡터를 형성하며, 설계된 타깃 서열을 전진 프라이머 및 역전사 프라이머에 의해 변성하고 어닐링한 후, T4 연결효소가 앞서 구축된 중간 벡터 SK-gRNA에 연결되어 단일 목표gRNA를 형성하였다.
2) 복수의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SK-gRNA OSD1을 KpnI과 Xho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벡터로 삼고, SK-gRNA PAIR1을 SalI과 Xba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PAIR1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REC8을 NheI과 BamH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REC8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MTL을 BglII Kpn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MTL sgRNA 단편을 제공하여, 4개 이내 gRNA를 원스텝으로 빠르게 중합시키고, 마지막에 중합된 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 PAIR1MTL 네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벼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다유전자를 넉아웃시킨 바이너리 발현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tumefaciens) 라인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춘우(春優) 84의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형질전환의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벼 춘우(春優) 84 종자의 배아를 멸균한 후, 캘러스를 유도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것이다. 1주 동안 배양한 후, 생장이 왕성하고 색갈이 연한 노란색이며 비교적 성긴 캘러스를 선택하여 형질전환의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벼 캘러스를 감염시키고, 암조건 25℃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50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에서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히그로마이신 선택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택하였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4중 돌연변이체 감별
생물분자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식물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PCR로 목표 밴드를 증폭한다. 사용된 프라이머쌍
OSD1-F(서열번호 5): atctccaggatgcctgaagtgag
OSD1-R(서열번호 6): cctagactgctactcttgctagtgat
PAIR1-F(서열번호 7): ctgtacctgtgcatctaattacag
PAIR1-R(서열번호 8): ccccatcttatgtactgagcttgccag
REC8-F(서열번호 9): gcgacgcttcactcgaagatca
REC8-R(서열번호 10): cgccatgcctcgttgatctcaa
MTL-F(서열번호 11): acagtgactagtgacaaacgatcg
MTL-R(서열번호 12): gatcgcgtcagcatgatgcgtgtac
얻어진 PCR 산물을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보내어, 각각 OSD1-F, PAIR1-F, REC8-F, MTL-F를 염기서열 분석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를 야생형 서열과 비교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중 피크인 경우, 축퇴 코돈 전략 분석(http://dsdecode.scgene.com/ 피크 그래프 분석 진행)으로 직접 돌연변이 정보를 획득한다. 그 중에서 네 개 유전자가 모두 이중대립인자성 돌연변이인 4중 돌연변이체를 선별하였다.
5.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4중 돌연변이체 식물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도 4A는 F1 세대 식물체 춘우(春優) 84의 세포 배수성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B는 잡종 강세 고정 식물체의 세포 배수성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춘강(春江)16A와 C84, 춘우(春優) 84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4포기 선택함)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도 5), 춘강(春江)16A와 C84 사이에는 많은 서로 다른 동형접합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교잡종 춘우(春優) 84는 이들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이 모두 춘강(春江) 16A도 있고 C84 유전자형도 있는 이형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검출된 4포기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춘우(春優) 84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2
1.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계 춘강(春江) 16B와 인디카 자포니카 중간형 광친화성 회복계 C84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전적 형질전환 배경 물질은 친본 종자를 이용하여 유도 획득한 캘러스이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네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 PAIR1MTL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1): CTGCCGCCGACGAGCAACAAGG
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2): AAGCAACCCAGTGCACCGCTGG
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 CCCATGGCACTAAGGCTCTCCG
MTL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4):GGTCAACGTCGAGACCGGCAGG
두 개의 상보 DNA 서열을 설계하여, 각각 순방향 서열 앞에 GGCA를 추가하고, 역방향 상보 서열 앞에 AAAC를 추가하였다.
SK-gRNA에는 두 개의 AarI 제한효소 절단 부위가 있고, AarI에 의한 제한효소 절단 후 점착성 말단을 갖는 벡터를 형성하며, 설계된 타깃 서열을 전진 프라이머 및 역전사 프라이머에 의해 변성하고 어닐링한 후, T4 연결효소가 앞서 구축된 중간 벡터 SK-gRNA에 연결되어 단일 목표gRNA를 형성하였다.
4) 복수의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SK-gRNA OSD1을 KpnI과 Xho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벡터로 삼고, SK-gRNA PAIR1을 SalI과 Xba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PAIR1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REC8을 NheI과 BamH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REC8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MTL을 BglII와 Kpn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MTL sgRNA 단편을 제공하여, 4개 이내 gRNA를 원스텝으로 빠르게 중합시키고, 마지막에 중합된 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 PAIR1MTL 네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벼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다유전자가 넉아웃된 바이너리 발현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tumefaciens) 라인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춘강(春江) 16B와 C84의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형질전환의 구체적인 방법은, 종자의 배아를 멸균한 후, 캘러스를 유도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것이다. 1주 동안 배양한 후, 생장이 왕성하고 색갈이 연한 노란색이며 비교적 성긴 캘러스를 선택하여 형질전환의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벼 캘러스를 감염시키고, 암조건 25℃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50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에서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히그로마이신 선택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택하였다.
4. 네 개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춘강(春江) 16B와 C84 물질을 염기서열 분석하여 감별한 다음 교잡을 진행하고, 후대에서 네 개 유전자가 모두 돌연변이된 교잡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생물분자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식물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PCR로 목표 밴드를 증폭한다. 사용된 프라이머쌍
OSD1-F(서열번호 5): atctccaggatgcctgaagtgag
OSD1-R(서열번호 6): cctagactgctactcttgctagtgat
PAIR1-F(서열번호 7): ctgtacctgtgcatctaattacag
PAIR1-R(서열번호 8): ccccatcttatgtactgagcttgccag
REC8-F(서열번호 9): gcgacgcttcactcgaagatca
REC8-R(서열번호 10): cgccatgcctcgttgatctcaa
MTL-F(서열번호 11): acagtgactagtgacaaacgatcg
MTL-R(서열번호 12): gatcgcgtcagcatgatgcgtgtac
얻어진 PCR 산물을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보내어, 각각 OSD1-F, PAIR1-F, REC8-F, MTL-F를 염기서열 분석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를 야생형 서열과 비교하면 돌연변이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춘강(春江)16B와 C84 물질을 선별해낸 다음, 서로 교잡시켜 F1 세대에서 이중대립인자성 돌연변이된 교잡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5. 교잡 식물체의 종자를 받아서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3중 돌연변이체 식물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춘강(春江)16B와 C84, 춘우(春優) 84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2포기 선택함)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춘강(春江)16B와 C84 사이에는 많은 서로 다른 동형접합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교잡종 춘우(春優) 84는 이들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이 모두 춘강(春江) 16B도 있고 C84 유전자형도 있는 이형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검출된 2포기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춘우(春優) 84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3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F1 교잡종은 심의를 거친 상품화 교잡벼 품종인 춘우(春優) 84이다. 춘우(春優) 84는 불임계 춘강(春江) 16A와 인디카 자포니카 중간형 광친화성 회복계 C84를 짝을 지어 육성한 인디카-자포니카 교잡벼의 새로운 조합이다. 상기 교잡벼는 수확 잠재력이 크고, 종자 생산량이 높으며, 종합적인 농예 형질이 우수하고, 도열병 저항성이 훌륭하며, 적응성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전적 형질전환 배경 물질은 교잡벼 F1 종자를 이용하여 유도 획득한 캘러스이며, 유성 번식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에 형질전환 후 획득한 형질전환 T0 세대 물질은 유전 배경 상 교잡벼 F1 식물체와 일치하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세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PAIR1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1): CTGCCGCCGACGAGCAACAAGG
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2): AAGCAACCCAGTGCACCGCTGG
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 CCCATGGCACTAAGGCTCTCCG
두 개의 상보 DNA 서열을 설계하여, 각각 순방향 서열 앞에 GGCA를 추가하고, 역방향 상보 서열 앞에 AAAC를 추가하였다.
SK-gRNA에는 두 개의 AarI 제한효소 절단 부위가 있고, AarI에 의한 제한효소 절단 후 점착성 말단을 갖는 벡터를 형성하며, 설계된 타깃 서열을 전진 프라이머 및 역전사 프라이머에 의해 변성하고 어닐링한 후, T4 연결효소가 앞서 구축된 중간 벡터 SK-gRNA에 연결되어 단일 목표gRNA를 형성하였다.
2) 세 개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에 중합된 gRNA OSD1-gRNA REC8-gRNA PAIR1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PAIR1 세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벼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다유전자가 넉아웃된 바이너리 발현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를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tumefaciens) 라인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춘우(春優) 84의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형질전환의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벼 춘우(春優) 84 종자의 배아를 멸균한 후, 캘러스를 유도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것이다. 1주 동안 배양한 후, 생장이 왕성하고 색갈이 연한 노란색이며 비교적 성긴 캘러스를 선택하여 형질전환의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벼 캘러스를 감염시키고, 암조건 25℃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50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에서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히그로마이신 선택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택하였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3중 돌연변이체 감별
생물분자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식물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PCR로 목표 밴드를 증폭한다. 사용된 프라이머쌍
OSD1-F(서열번호 5): atctccaggatgcctgaagtgag
OSD1-R(서열번호 6): cctagactgctactcttgctagtgat
PAIR1-F(서열번호 7): ctgtacctgtgcatctaattacag
PAIR1-R(서열번호 8): ccccatcttatgtactgagcttgccag
REC8-F(서열번호 9): gcgacgcttcactcgaagatca
REC8-R(서열번호 10): cgccatgcctcgttgatctcaa
얻어진 PCR 산물을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보내어, 각각 OSD1-F, PAIR1-F, REC8-F를 염기서열 분석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를 야생형 서열과 비교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중 피크인 경우, 축퇴 코돈 전략 분석(http://dsdecode.scgene.com/ 피크 그래프 분석 진행)으로 직접 돌연변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 중에서, 이 세 개 부위는 모두 이중대립인자성 돌연변이된 돌연변이체로서, 체세포와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는 식물체이다.
5. 3중 돌연변이체를 모본으로 하고, 다른 반수체 유도계 식물체 꽃가루를 주어서,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여,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교잡종을 대량 얻을 수 있다.
6.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3중 돌연변이체 식물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춘강(春江)16A와 C84, 춘우(春優) 84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4포기 선택함)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춘강(春江)16A와 C84 사이에는 많은 서로 다른 동형접합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교잡종 춘우(春優) 84는 이들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이 모두 춘강(春江) 16A도 있고 C84 유전자형도 있는 이형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검출된 4주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춘우(春優) 84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4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F1 교잡종은 심의를 거친 상품화 교잡벼 품종인 춘우(春優) 84이다. 춘우(春優) 84는 불임계 춘강(春江) 16A와 인디카 자포니카 중간형 광친화성 회복계 C84를 짝을 지어 육성한 인디카-자포니카 교잡벼의 새로운 조합이다. 상기 교잡벼는 수확 잠재력이 크고, 종자 생산량이 높으며, 종합적인 농예 형질이 우수하고, 도열병 저항성이 훌륭하며, 적응성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전적 형질전환 배경 물질은 교잡벼 F1 종자를 이용하여 유도 획득한 캘러스이며, 유성 번식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에 형질전환 후 획득한 형질전환 T0 세대 물질은 유전 배경 상 교잡벼 F1 식물체와 일치하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세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PAIR1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1): CTGCCGCCGACGAGCAACAAGG
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2): AAGCAACCCAGTGCACCGCTGG
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 CCCATGGCACTAAGGCTCTCCG
두 개의 상보 DNA 서열을 설계하여, 각각 순방향 서열 앞에 GGCA를 추가하고, 역방향 상보 서열 앞에 AAAC를 추가하였다.
SK-gRNA에는 두 개의 AarI 제한효소 절단 부위가 있고, AarI에 의한 제한효소 절단 후 점착성 말단을 갖는 벡터를 형성하며, 설계된 타깃 서열을 전진 프라이머 및 역전사 프라이머에 의해 변성하고 어닐링한 후, T4 연결효소가 앞서 구축된 중간 벡터 SK-gRNA에 연결되어 단일 목표gRNA를 형성하였다.
2) 세 개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에 중합된 gRNA OSD1-gRNA REC8-gRNA PAIR1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PAIR1 세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벼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다유전자를 넉아웃시킨 바이너리 발현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tumefaciens) 라인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춘우(春優) 84의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형질전환의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벼 춘우(春優) 84 종자의 배아를 멸균한 후, 캘러스를 유도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것이다. 1주 동안 배양한 후, 생장이 왕성하고 색갈이 연한 노란색이며 비교적 성긴 캘러스를 선택하여 형질전환의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벼 캘러스를 감염시키고, 암조건 25℃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50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에서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히그로마이신 선택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택하였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3중 돌연변이체 감별
생물분자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식물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PCR로 목표 밴드를 증폭한다. 사용된 프라이머쌍
OSD1-F(서열번호 5): atctccaggatgcctgaagtgag
OSD1-R(서열번호 6): cctagactgctactcttgctagtgat
PAIR1-F(서열번호 7): ctgtacctgtgcatctaattacag
PAIR1-R(서열번호 8): ccccatcttatgtactgagcttgccag
REC8-F(서열번호 9): gcgacgcttcactcgaagatca
REC8-R(서열번호 10): cgccatgcctcgttgatctcaa
얻어진 PCR 산물을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보내어, 각각 OSD1-F, PAIR1-F, REC8-F를 염기서열 분석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를 야생형 서열과 비교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중 피크인 경우, 축퇴 코돈 전략 분석(http://dsdecode.scgene.com/ 피크 그래프 분석 진행)으로 직접 돌연변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 중에서, 이 세 개 부위는 모두 이중대립인자성 돌연변이된 돌연변이체로서, 체세포와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는 식물체이다.
5. 3중 돌연변이체가 일정한 단계로 발달한 후, 각각 무균 조작에 의해 꽃밥 또는 꽃가루를 채취하여 인공으로 배치한 꽃밥 배지에 접종하고, 캘러스 형성을 유도하여 조직 배양을 통해 식물체를 얻었다.
6. 조직 배양한 식물체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3중 돌연변이체 식물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춘강(春江)16A와 C84, 춘우(春優) 84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4주 선택함)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춘강(春江)16A와 C84 사이에는 많은 서로 다른 동형접합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교잡종 춘우(春優) 84는 이들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이 모두 춘강(春江) 16A도 있고 C84 유전자형도 있는 이형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검출된 4주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춘우(春優) 84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5
1.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F1 교잡종은 심의를 거친 상품화 교잡벼 품종인 춘우(春優) 84이다. 춘우(春優) 84는 불임계 춘강(春江) 16A와 인디카 자포니카 중간형 광친화성 회복계 C84를 짝을 지어 육성한 인디카-자포니카 교잡벼의 새로운 조합이다. 상기 교잡벼는 수확 잠재력이 크고, 종자 생산량이 높으며, 종합적인 농예 형질이 우수하고, 도열병 저항성이 훌륭하며, 적응성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전적 형질전환 배경 물질은 교잡벼 F1 종자를 이용하여 유도 획득한 캘러스이며, 유성 번식 단계를 거치지 않았기에 형질전환 후 획득한 형질전환 T0 세대 물질은 유전 배경 상 교잡벼 F1 식물체와 일치하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세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PAIR1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1): CTGCCGCCGACGAGCAACAAGG
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2): AAGCAACCCAGTGCACCGCTGG
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 CCCATGGCACTAAGGCTCTCCG
두 개의 상보 DNA 서열을 설계하여, 각각 순방향 서열 앞에 GGCA를 추가하고, 역방향 상보 서열 앞에 AAAC를 추가하였다.
SK-gRNA에는 두 개의 AarI 제한효소 절단 부위가 있고, AarI에 의한 제한효소 절단 후 점착성 말단을 갖는 벡터를 형성하며, 설계된 타깃 서열을 전진 프라이머 및 역전사 프라이머에 의해 변성하고 어닐링한 후, T4 연결효소가 앞서 구축된 중간 벡터 SK-gRNA에 연결되어 단일 목표gRNA를 형성하였다.
2) 세 개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에 중합된 gRNA OSD1-gRNA REC8-gRNA PAIR1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PAIR1 세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벼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다유전자를 넉아웃시킨 바이너리 발현 벡터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gRNA MTL을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tumefaciens) 라인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춘우(春優) 84의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형질전환의 구체적인 방법은, 교잡벼 춘우(春優) 84 종자의 배아를 멸균한 후, 캘러스를 유도하는 배지에 접종하는 것이다. 1주 동안 배양한 후, 생장이 왕성하고 색갈이 연한 노란색이며 비교적 성긴 캘러스를 선택하여 형질전환의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pC1300-Cas9-gRNA OSD1-gRNA REC8-gRNA PAIR1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벼 캘러스를 감염시키고, 암조건 25℃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50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에서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히그로마이신 선택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생장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택하였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3중 돌연변이체 감별
생물분자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식물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PCR로 목표 밴드를 증폭한다. 사용된 프라이머쌍
OSD1-F(서열번호 5): atctccaggatgcctgaagtgag
OSD1-R(서열번호 6): cctagactgctactcttgctagtgat
PAIR1-F(서열번호 7): ctgtacctgtgcatctaattacag
PAIR1-R(서열번호 8): ccccatcttatgtactgagcttgccag
REC8-F(서열번호 9): gcgacgcttcactcgaagatca
REC8-R(서열번호 10): cgccatgcctcgttgatctcaa
얻어진 PCR 산물을 염기서열 분석회사에 보내어, 각각 OSD1-F, PAIR1-F, REC8-F를 염기서열 분석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를 야생형 서열과 비교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중 피크인 경우, 축퇴 코돈 전략 분석(http://dsdecode.scgene.com/ 피크 그래프 분석 진행)으로 직접 돌연변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 중에서, 이 세 개 부위는 모두 이중대립인자성 돌연변이된 돌연변이체로서, 체세포와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는 식물체이다.
5. 화학적으로 처녀생식 유도
REC8, OSD1, PAIR1 세 개 유전자가 넉아웃된 벼 물질을 채취하여, 벼 꽃이 피기 전에 일반적인 교잡기술에 의해 제웅한 다음, 벼 이삭을 처리액 5~50 mg/L 말레산하이드라지드 또는 2~20 mg/L 6-벤질아미노푸린에 2-3min 동안 담그고, 꽃가루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봉투를 단단히 씌웠다. 처리 20일 후, 미숙배 또는 낟알을 채취하고 배양하여, 처녀생식한 식물체를 획득하였다.
6.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3중 돌연변이체 식물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춘강(春江)16A와 C84, 춘우(春優) 84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4주 선택함)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춘강(春江)16A와 C84 사이에는 많은 서로 다른 동형접합 유전자형이 존재하며, 교잡종 춘우(春優) 84는 이들 부위에서의 유전자형이 모두 춘강(春江) 16A도 있고 C84 유전자형도 있는 이형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검출된 4주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춘우(春優) 84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6
1. 돌연변이체 돌연변이 유발 및 선별
대두 품종 중황(中黃) 39에서, EMS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후대에서 고처리량 시퀀싱 기술을 통해 REC8OSD1이 각각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고, 이형접합 식물체 간 교잡과 후대 선별을 통해 REC8OSD1이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얻었다. 대두 품종 제황(齊黃) 34에서, EMS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후대에서 고처리량 시퀀싱 기술을 통해 SPO11-1CENH3 유전자가 각각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고, 이형접합 식물체 간 교잡과 후대 선별을 통해, SPO11-1CENH3이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얻었다. REC8OSD1이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와 SPO11-1CENH3이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교잡하여, 후대에서 네 개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2. 형질전환 벡터 구축
난세포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EC1.2 유전자 프로모터 구동 야생형 CENH3이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를 구축하여, 상기 벡터를 4개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에 형질전환하였다. 식물체의 자가 교배 후대에서 REC8, OSD1, SPO11-1CENH3 유전자가 모두 동형접합 돌연변이이고 EC1.2::CENH3 형질전환 성분을 가진 단일 포기를 선별하여 얻고, 상기 식물체 상의 자가 교배 종자를 수득하였다.
3.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자손 제1대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유전자형 검출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무작위로 4포기 선택함), 그리고 그 전 세대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그 전 세대 교잡 물질에서 무작위로 16개의 이형접합 상태의 부위를 선별하여 검출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자손 제1대 식물체의 유전자형을 검출한 결과, 상기 4포기 식물체가 16개 부위의 유전자형이 그 전 세대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모두 이형접합 상태로서, 이형접합 유전자형이 재조합과 분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7
1.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F1 교잡종은 옥수수 교잡종 가화(佳禾) 158이고, LD140×LD975에 의해 짝을 지었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네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REC8, OSD1, PAIR1MTL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Zm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0):TCTGCCTGTACTGGAGTTATTGG
ZmPAIR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1):GGATTGCTGCGACAGCGGCTGGG
Zm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2):GGAAGTCCCACGAGTAATTATGG
ZmMTL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3):GGAAGGCGAGGATGGTTCCCGGG
2) 복수의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과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SK-gRNA ZmOSD1을 KpnI과 Xho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벡터로 삼고, SK-gRNA ZmPAIR1을 SalI과 Xba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ZmPAIR1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ZmREC8을 NheI과 BamH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ZmREC8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ZmMTL을 BglII와 Kpn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여 ZmMTL sgRNA 단편을 제공하여, 4개 이내 gRNA를 원스텝으로 빠르게 중합시키고, 마지막에 중합된 gRNA ZmOSD1-gRNA ZmREC8-gRNA ZmPAIR1-gRNA ZmMTL 단편을 KpnI과 BglII에 의해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REC8, OSD1, PAIR1MTL 네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ZmOSD1-gRNA ZmREC8-gRNA ZmPAIR1-gRNA ZmMTL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옥수수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먼저 단계에서 획득한 옥수수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를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LBA4404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옥수수 교잡종 가화(佳禾) 168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옥수수를 수분한 후 9-12일 동안 봉투를 씌우고, 암이삭을 채취하여 포엽을 벗기고, 매 한층의 포엽을 벗길 때마다 75%의 알코올을 뿌려 표면을 소독하며, 칼로 무균 작업대에서 1.0-1.2 mm 크기의 미숙배를 골라서 고침투액에 넣어 준비하며, 침투액에 담그는 시간은 1시간을 초과하지 않았다. 아그로박테리움을 OD600값 0.8까지 배양했을 때,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집하고, 1 ㏖/ℓ 현탁액으로 재현탁한 후 아세토시린곤을 첨가하여 최종 농도가 200μ㏖/ℓ가 되도록 하고, 상기 용균액으로 미숙배를 5min 동안 감염시킨 다음, 공동배지에 옮기고 25℃ 암조건에서 7일 동안 배양하고, 미숙배를 15 ㎎/ℓ 히그로마이신을 함유한 선택 배지 및 후반의 재생 배지에 옮겨 저항성 캘러스와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였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4중 돌연변이체 감별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옥수수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Hi-Tom으로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자세한 사항은 CN201710504178.3 참조).
5.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옥수수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4중 돌연변이체 옥수수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LD140와 LD975, 가화(佳禾) 158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 옥수수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검출된 자손 제1대 옥수수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가화(佳禾) 158과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실시예 8
1.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F1 교잡종은 토마토 교잡종 앨리사(艾麗莎)로서, 그 모본은 저온 저항성 근교계 “S이(以) 2-4(Syi2-4)”이고, 부본은 양질 내병성 근교계 “S28"이다.
2.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의 구축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단일 목표 SK-gRNA의 구축:
이하 네 개 부위를 선택하여 CRISPR-Cas9 유전자 편집 시스템이 토마토 REC8, OSD1, SPO11MTL을 넉아웃하는 부위(밑줄로 표시된 PAM 서열)로 함:
SlOSD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4): CAGAAGCAGGGAGAATGGCAGG
SlSPO11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5): TGAGGATCTCGCTCGAGGTAGG
SlREC8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6): GCACAGGAGGAACCTGCTAAGG
SlMTL 유전자 넉아웃 부위(서열번호 37): TGATTGCCGGAACGAGCACCGG
2) 복수의 gRNA의 연쇄 및 최종 바이너리 발현 벡터의 구축:
BglII와 BamHI, NheI와 XbaI, SalI과 XhoI이 절단 후 같은 점착성 말단을 갖는 제한효소(isocaudomer)인 특성을 이용하여 gRNA의 중합을 진행하였다. SK-gRNA SlOSD1을 KpnI와 XhoI로 제한효소 절단하여 벡터로 삼고, SK-gRNA SlSPO11을 SalI과 XbaI로 제한효소 절단하여 SlSPO11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SlREC8을 NheI과 BamHI로 제한효소 절단하여 SlREC8 sgRNA 단편을 제공하고, SK-gRNA SlMTL을 BglII와 KpnI로 제한효소 절단하여 SlMTL sgRNA 단편을 제공하여, 4개 이내 gRNA를 원스텝으로 빠르게 중합시키고, 마지막에 중합된 gRNA SlOSD1-gRNA SlREC8-gRNA SlPAIR1-gRNA SlMTL단편을 KpnI과 BglII로 제한효소 절단하고 단편을 회수하여, Cas9 단백질을 발현하는 바이너리 벡터 pC1300-Cas9(KpnI과 BamHI 부위 사이)에 연결시키고, 최종적으로 토마토 REC8, OSD1, SPO11MTL 네 개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할 수 있는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 pC1300-Cas9-gRNA SlOSD1-gRNA SlREC8-gRNA SlSPO11-gRNA SlMTL을 획득하여, 형질전환에 의해 토마토 다중 돌연변이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3. 형질전환 식물체의 획득
엽편법을 통해 먼저 단계에서 획득한 토마토 다유전자 넉아웃 벡터를 전기충격법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EHA105에 삽입하고,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발현 벡터를 토마토 교잡종 앨리사(艾麗莎) 캘러스에 삽입하였다.
토마토 종자는 무균 처리하여 1/2 MS 배지에 뿌리고, 암배양 2-3일하여 발아한 후, 광배양하여 10-12일 후, 새싹이 자엽은 충분히 펴졌으나 진엽이 생성되지 않았을 때, 자엽을 외식체로 선택하여, 자엽의 양단을 절제하고, 중간 부분을 가로로 둘로 나누어 자른 작은 단편이 바로 엽편이다. 엽편을 전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엽편의 정면이 위로 향하게 2일 동안 전배양했다. 전배양한 자엽 엽편을 준비한 아그로박테리움 용균액에 담그고, 5분 동안 충분히 침윤시키고, 무균 여과지로 엽편을 적당히 흡수 건조시키고, 엽편 뒷면이 위로 향하게 48-72시간 동안 28℃에서 암배양하였다. 아그로박테리움과 공동 배양한 엽편을 탈균 배지에 옮기고 광배양하였다. 5일 후 엽편을 선별 배지에 옮기고, 14일마다 한번씩 옮겼다. 내성 싹이 2cm 좌우로 자랐을 때, 외식체로부터 잘라내어, 발근 배지에 옮기고, 근계가 발달된 후에 토양속에 옮겨 심었다.
4.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4중 돌연변이체 감별
CTAB법으로 단일 포기에서 형질전환 토마토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Hi-Tom으로 목표 유전자 돌연변이 양상을 감별하였다(자세한 사항은 CN201710504178.3 참조).
5. 자손 제1대에서 배수성과 유전자형이 고정된 토마토 식물체를 감별하였다.
1) 감별해 얻은 4중 돌연변이체 토마토의 자손 제1대 식물체에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배수성의 선별을 진행하고, 세포 배수성이 모체 식물체와 일치한 식물체를 선별하여 얻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일정량의 식물 조직을 채취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1 내지 2㎖ 식물 용해 버퍼 LB01을 첨가하고, 칼로 잘게 잘랐다(이 조작은 시종 얼음 위에서 수행함). 페트리 접시 내의 해리용액을 흡수하고, 50㎛ 나일론 망으로 원심 분리관에 여과하였다. 1200 rpm으로 4℃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450㎕의 LB01, 25㎕의 예냉된 PI(1㎎/㎖)와 RNase A(1㎎/㎖)를 첨가하여 10 min 동안 암조건에서 염색하고, 기기로 검출하여 이배체 식물체를 선별해내었다.
2)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두 개 친본 “S이(以) 2-4(Syi2-4)”와 “S28”, 토마토 교잡종 앨리사(艾麗莎) 및 배수성이 고정된 자손 제1대 토마토 식물체의 잎을 선택하고, DNA를 추출하여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한다. 검출된 자손 제1대 토마토 식물체의 유전자형은 앨리사(艾麗莎)와 일치하며, 모두 이형접합 상태인 것으로, 유전자형이 잡종 모세포와 완전히 일치하다는 것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벡터와 시약은 본 실시예의 시약 키트에 포함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되는 어떠한 수정, 균등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CHINA 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20> METHOD USING PLANT HYBRID VIGOR <130> WO/2019/196576 <140> PCT/CN2019/077154 <141> 2019-03-06 <150> CN 201810325528.4 <151> 2018-04-12 <150> CN 201811205889.1 <151> 2018-10-16 <160> 37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OSD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1 ctgccgccga cgagcaacaa gg 22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PAIR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2 aagcaaccca gtgcaccgct gg 22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REC8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3 cccatggcac taaggctctc cg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MTL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4 ggtcaacgtc gagaccggca gg 22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3) <223> Primer OSD1-F <400> 5 atctccagga tgcctgaagt gag 23 <210> 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6) <223> Primer OSD1-R <400> 6 cctagactgc tactcttgct agtgat 26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4) <223> Primer PAIR1-F <400> 7 ctgtacctgt gcatctaatt acag 24 <210> 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7) <223> Primer PAIR1-R <400> 8 ccccatctta tgtactgagc ttgccag 27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Primer REC8-F <400> 9 gcgacgcttc actcgaagat ca 22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otein_bind <222> (1)..(22) <223> Primer REC8-R <400> 10 cgccatgcct cgttgatctc aa 22 <210> 1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4) <223> Primer MTL-F <400> 11 acagtgacta gtgacaaacg atcg 24 <210> 1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5) <223> Primer MTL-R <400> 12 gatcgcgtca gcatgatgcg tgtac 25 <210> 13 <211> 492 <212> PRT <213> Plant <400> 13 Met Lys Leu Lys Met Asn Lys Ala Cys Asp Ile Ala Ser Ile Ser Val 1 5 10 15 Leu Pro Pro Arg Arg Thr Gly Gly Ser Ser Gly Ala Ser Ala Ser Gly 20 25 30 Ser Val Ala Val Ala Val Ala Ser Gln Pro Arg Ser Gln Pro Leu Ser 35 40 45 Gln Ser Gln Gln Ser Phe Ser Gln Gly Ala Ser Ala Ser Leu Leu His 50 55 60 Ser Gln Ser Gln Phe Ser Gln Val Ser Leu Asp Asp Asn Leu Leu Thr 65 70 75 80 Leu Leu Pro Ser Pro Thr Arg Asp Gln Arg Phe Gly Leu His Asp Asp 85 90 95 Ser Ser Lys Arg Met Ser Ser Leu Pro Ala Ser Ser Ala Ser Cys Ala 100 105 110 Arg Glu Glu Ser Gln Leu Gln Leu Ala Lys Leu Pro Ser Asn Pro Val 115 120 125 His Arg Trp Asn Pro Ser Ile Ala Asp Thr Arg Ser Gly Gln Val Thr 130 135 140 Asn Glu Asp Val Glu Arg Lys Phe Gln His Leu Ala Ser Ser Val His 145 150 155 160 Lys Met Gly Met Val Val Asp Ser Val Gln Ser Asp Val Met Gln Leu 165 170 175 Asn Arg Ala Met Lys Glu Ala Ser Leu Asp Ser Gly Ser Ile Arg Gln 180 185 190 Lys Ile Ala Val Leu Glu Ser Ser Leu Gln Gln Ile Leu Lys Gly Gln 195 200 205 Asp Asp Leu Lys Ala Leu Phe Gly Ser Ser Thr Lys His Asn Pro Asp 210 215 220 Gln Thr Ser Val Leu Asn Ser Leu Gly Ser Lys Leu Asn Glu Ile Ser 225 230 235 240 Ser Thr Leu Ala Thr Leu Gln Thr Gln Met Gln Ala Arg Gln Leu Gln 245 250 255 Gly Asp Gln Thr Thr Val Leu Asn Ser Asn Ala Ser Lys Ser Asn Glu 260 265 270 Ile Ser Ser Thr Leu Ala Thr Leu Gln Thr Gln Met Gln Ala Asp Ile 275 280 285 Arg Gln Leu Arg Cys Asp Val Phe Arg Val Phe Thr Lys Glu Met Glu 290 295 300 Gly Val Val Arg Ala Ile Arg Ser Val Asn Ser Arg Pro Ala Ala Met 305 310 315 320 Gln Met Met Ala Asp Gln Ser Tyr Gln Val Pro Val Ser Asn Gly Trp 325 330 335 Thr Gln Ile Asn Gln Thr Pro Val Ala Ala Gly Arg Ser Pro Met Asn 340 345 350 Arg Ala Pro Val Ala Ala Gly Arg Ser Arg Met Asn Gln Leu Pro Glu 355 360 365 Thr Lys Val Leu Ser Ala His Leu Val Tyr Pro Ala Lys Val Thr Asp 370 375 380 Leu Lys Pro Lys Val Glu Gln Gly Lys Val Lys Ala Ala Pro Gln Lys 385 390 395 400 Pro Phe Ala Ser Ser Tyr Tyr Arg Val Ala Pro Lys Gln Glu Glu Val 405 410 415 Ala Ile Arg Lys Val Asn Ile Gln Val Pro Ala Lys Lys Ala Pro Val 420 425 430 Ser Ile Ile Ile Glu Ser Asp Asp Asp Ser Glu Gly Arg Ala Ser Cys 435 440 445 Val Ile Leu Lys Thr Glu Thr Gly Ser Lys Glu Trp Lys Val Thr Lys 450 455 460 Gln Gly Thr Glu Glu Gly Leu Glu Ile Leu Arg Arg Ala Arg Lys Arg 465 470 475 480 Arg Arg Arg Glu Met Gln Ser Ile Val Leu Ala Ser 485 490 <210> 14 <211> 609 <212> PRT <213> Plant <400> 14 Met Val Met Ala Gln Lys Thr Lys Glu Ala Glu Ile Thr Glu Gln Asp 1 5 10 15 Ser Leu Leu Leu Thr Arg Asn Leu Leu Arg Ile Ala Ile Tyr Asn Ile 20 25 30 Ser Tyr Ile Arg Gly Leu Phe Pro Glu Lys Tyr Phe Asn Asp Lys Ser 35 40 45 Val Pro Ala Leu Glu Met Lys Ile Lys Lys Leu Met Pro Met Asp Thr 50 55 60 Glu Ser Arg Arg Leu Ile Asp Trp Met Glu Lys Gly Val Tyr Asp Ala 65 70 75 80 Leu Gln Lys Lys Tyr Leu Lys Thr Leu Leu Phe Cys Ile Cys Glu Lys 85 90 95 Glu Glu Gly Pro Met Ile Glu Glu Tyr Ala Phe Ser Phe Ser Tyr Pro 100 105 110 Asn Thr Ser Gly Asp Glu Val Ala Met Asn Leu Ser Arg Thr Gly Ser 115 120 125 Lys Lys Asn Ser Ala Thr Phe Lys Ser Asn Ala Ala Glu Val Thr Pro 130 135 140 Asp Gln Met Arg Ser Ser Ala Cys Lys Met Ile Arg Thr Leu Val Ser 145 150 155 160 Leu Met Arg Thr Leu Asp Gln Met Pro Glu Glu Arg Thr Ile Leu Met 165 170 175 Lys Leu Leu Tyr Tyr Asp Asp Val Thr Pro Glu Asp Tyr Glu Pro Pro 180 185 190 Phe Phe Lys Cys Cys Ala Asp Asn Glu Ala Ile Asn Ile Trp Asn Lys 195 200 205 Asn Pro Leu Lys Met Glu Val Gly Asn Val Asn Ser Lys His Leu Val 210 215 220 Leu Ala Leu Lys Val Lys Ser Val Leu Asp Pro Cys Asp Asp Asn Asn 225 230 235 240 Val Asn Ser Glu Asp Asp Asn Met Ser Leu Asp Asn Glu Ser Asp Gln 245 250 255 Asp Asn Asp Phe Ser Asp Thr Glu Val Arg Pro Ser Glu Ala Glu Arg 260 265 270 Tyr Ile Val Ala Pro Asn Asp Gly Thr Cys Lys Gly Gln Asn Gly Thr 275 280 285 Ile Ser Glu Asp Asp Thr Gln Asp Pro Val His Glu Glu Glu Leu Thr 290 295 300 Ala Gln Val Arg Glu Trp Ile Cys Ser Arg Asp Thr Glu Ser Leu Glu 305 310 315 320 Val Ser Asp Val Leu Val Asn Phe Pro Asp Ile Ser Met Glu Met Val 325 330 335 Glu Asp Ile Met Glu Arg Leu Leu Lys Asp Gly Leu Leu Ser Arg Ala 340 345 350 Lys Lys Asp Ser Tyr Ser Val Asn Lys Ile Ala Asp Pro Thr Thr Pro 355 360 365 His Ile Lys Lys Glu Val Ile Met Gln Asn Val Ser Pro Thr Glu Gly 370 375 380 Thr Lys Asn Ser Asn Gly Asp Leu Met Tyr Met Lys Ala Leu Tyr His 385 390 395 400 Ala Leu Pro Met Asp Tyr Val Ser Val Gly Lys Leu His Gly Lys Leu 405 410 415 Asp Gly Glu Ala Ser Gln Asn Met Val Arg Lys Leu Ile Glu Lys Met 420 425 430 Val Gln Asp Gly Tyr Val Lys Asn Ser Ala Asn Arg Arg Leu Gly Lys 435 440 445 Ala Val Ile His Ser Glu Val Thr Asn Arg Lys Leu Leu Glu Ile Lys 450 455 460 Lys Ile Leu Glu Val Asp Ile Ala Glu Gln Met Ala Ile Asp Thr Asn 465 470 475 480 Ala Glu Pro Gly Glu Pro Glu Arg Lys Asp His Leu Ser Gly His Glu 485 490 495 Met Arg Asp Gly Ser Thr Met Gly Cys Leu Gln Ser Val Gly Ser Asp 500 505 510 Leu Thr Arg Thr Arg Glu Leu Pro Glu Pro Gln Gln Asn Val Ser Met 515 520 525 Gln Ser Gly Gln Glu Ala Ser Thr Val Asp Lys Asp Pro Ser Arg Thr 530 535 540 Pro Thr Ser Val Arg Glu Ala Ser Val Cys Ser Leu Glu Ser Gly Val 545 550 555 560 Leu Gly Gln Lys Val Arg Lys Ser Leu Ala Gly Ala Gly Gly Thr Gln 565 570 575 Cys Ser Gln Asp Lys Arg Phe Arg Lys Ala Ser Thr Val Lys Glu Pro 580 585 590 Ile Leu Gln Tyr Val Lys Arg Gln Lys Ser Gln Val Gln Val Gln Val 595 600 605 Gln <210> 15 <211> 844 <212> PRT <213> Plant <400> 15 Met Glu Val Glu Leu Thr Asn Ile Gln Lys Ala Thr Ser Ser Asp Tyr 1 5 10 15 Trp Ser Leu Ala Ser Asn Gln Tyr Pro Cys Gly Lys Phe Pro Lys Val 20 25 30 Ser Val Gly Val Thr Ile Pro Arg Thr Ser Ser Val Ser Arg Gly Arg 35 40 45 Asp Ala Ala Ser Thr Ala Ala Phe Glu Lys Asn Leu Ser Gln Gly Thr 50 55 60 Asp Gly Arg Ser Arg Pro Pro Lys Met Asp Asn Ala Ser Leu Gln Val 65 70 75 80 Ser Pro Glu Ala Ala Asn His Gly Gly Ser Ala Lys Glu Val Pro Lys 85 90 95 Pro Val Pro Ala Lys Val Ser Val Ser Gln Pro Asp Asp Asn Ala Ile 100 105 110 Glu Gln Thr Gly Thr Phe Ser Phe Gly Thr Arg Arg Glu Gln Asp Ser 115 120 125 His Leu Asp Gln Leu Asp Arg Pro Pro Leu Val Ser Ser Gln Gly Lys 130 135 140 Arg Gln Val Glu Ser Ala Asp Lys Asn Lys Pro Asn Ser Glu Met Leu 145 150 155 160 Arg Met Lys Leu Trp Glu Ile Leu Gly Gly Thr Ser Gln Asn Lys Glu 165 170 175 Ala Val Ala Ser Pro Asn Pro Glu Asp Ile Glu Thr Pro Cys Gln Pro 180 185 190 Lys Ser Gln Ile Ala Asn Gly Pro Ser Ser Gly Arg Gln Lys Val Phe 195 200 205 Thr Ser Pro Val Pro Tyr Asn Ile Lys Thr Pro Ala Gln Phe Asn Ser 210 215 220 Gln Thr Ala Asn Lys Pro Ser Ser Asp Pro Ile Glu Ser Asp Ser Asp 225 230 235 240 Ser Pro Gln Val Val Glu Val Arg Pro Ile Thr Arg Ser Leu Gly Arg 245 250 255 Lys Lys Glu Pro Thr Gly Ser Thr His Gln Asp Lys Ser Gly Ser Ala 260 265 270 Lys Lys Pro Leu Ser Thr His Arg Ser Thr Pro Lys Gln Lys Ile Leu 275 280 285 Asp Asn Val Phe Ala Phe Asn Asp Lys Cys Thr Pro Lys Thr Val Gly 290 295 300 Lys Ser Ala Asn Gly Glu Ser Gly Ser Leu Arg Asn Leu Arg Ser Leu 305 310 315 320 Ser Arg Arg Ala Lys Val Glu Pro Lys Lys Ala His Cys Ser Asp Arg 325 330 335 Ile Ser His Lys Thr Thr Gln Asp Asp Met Glu Arg Lys Val Pro Ser 340 345 350 Lys Tyr Ile Pro Ser Glu Lys Lys Gly Glu Lys Thr Asn Ser Phe Ser 355 360 365 Ser Leu Ser Arg Thr Gly Lys Thr Ala Glu Ser Cys Ser Arg Ser Pro 370 375 380 Lys Arg Glu Arg Arg Val Asn Thr Met Ala Asn Val Gly Ala Arg Lys 385 390 395 400 Met Gln Leu Ser Glu Asn Leu Leu Val Lys Thr Leu Asn Asp Gly Glu 405 410 415 His Lys Leu Ser Ser Pro Gln Leu Thr Ser Phe Lys Ser Lys Gly Lys 420 425 430 Cys Ser Ser Ile Ser Pro Gln Gln Lys Glu Asn Asp Asn Thr His Ile 435 440 445 Pro Glu Ala Ser Asp Arg Thr Ala Ala Arg Asn Ser Phe Asn Ser Thr 450 455 460 Pro Ser Pro Ala Ala Asn Pro Ser Pro Val Leu Arg Lys Tyr Ser Trp 465 470 475 480 Glu His Asp Glu Asn Pro Ala Ile Asn Gly Lys Ser Gly Gln Lys Asp 485 490 495 Ala Ser Pro Leu Ala Asp Arg Phe Ser Asp Met Pro Asp Asp Phe Ala 500 505 510 Ser Pro Thr Phe Ala Ala Asn Ile Lys Ile Ser Pro His Arg Ser Lys 515 520 525 Met Leu Asp Asp Asp Leu Phe Ser Ser Lys Tyr Pro Lys Gly Val Asn 530 535 540 Arg Ser Arg Ser Thr Ser Phe Thr Ser Asp Pro Glu Ser Glu Pro Leu 545 550 555 560 Asp Lys Met Glu Lys Thr Asn Glu Leu Pro Gly Ser Glu Ser Pro Asn 565 570 575 Ser Gln Glu Glu Arg Gln Asn Arg Lys Gln Pro His Leu Ser Pro Leu 580 585 590 Ser Pro Ile Glu Ser Glu Gly Ala Gln Ile Ser Ile Pro Ser Phe Arg 595 600 605 Lys Gly Tyr Lys Ser His Lys Trp Leu Ser Asp Val Asp Ser Pro Asp 610 615 620 Lys Ser Ser Ile Glu His Leu Gly Arg Lys Ser His Leu Lys Glu Gly 625 630 635 640 Arg Lys Gly Lys Arg Gln Leu Thr Ser Pro Thr His Phe Ala Thr Ser 645 650 655 Gly Thr Gln Glu Thr Met Ser Asp Lys Glu Pro Glu Lys Val Pro Glu 660 665 670 Asn Tyr Leu Thr Arg Ala Phe Asp Gln Leu Val Val Val Leu Gly Arg 675 680 685 Phe Gln Thr Lys Ile Lys Ser Glu Thr Arg Asn Lys Ser Ser Lys Ile 690 695 700 Leu Ala Ala Thr Gly Glu Ile Ile Arg Gln His Leu Glu Gly Val Glu 705 710 715 720 Gly Gln Met Gln Ala Asp Val Asp Lys Leu Val Asn Ala Gly Lys Ser 725 730 735 Lys Arg Lys Arg Leu Glu Ser Thr Phe Glu Glu Gln Gln Glu Lys Leu 740 745 750 Arg Ile Leu His Glu Lys Phe Lys Glu Glu Val Asn Gln Gln Leu Leu 755 760 765 Gly Cys Lys Asn Ser Val Glu Asp Phe Glu Ala Tyr His Ala Glu Leu 770 775 780 Lys Gly Val Ala Asp Lys Gln Lys Ala Ser His Lys Lys Leu Leu Gln 785 790 795 800 Asn Ala Glu Lys Thr Val Gly Ala Gln Leu Ser Asp Ala Glu Thr Lys 805 810 815 Ile Ala Glu Val Gln Lys Arg Ala Arg Lys Arg Met Lys Gly Leu Lys 820 825 830 Phe Val Leu Lys Glu Leu Ile Ala Glu Thr Ala Glu 835 840 <210> 16 <211> 1193 <212> PRT <213> Plant <400> 16 Met Glu Met Val Leu Ile Met Ser Phe Arg Val Leu Leu Tyr His Arg 1 5 10 15 Leu Thr Ala Gln Thr Gly Pro Phe Lys Leu His Cys Leu Gly Ile Leu 20 25 30 Leu Asn Ser Thr Lys Asp Ala Ala Thr Tyr Ile Gly Asp Lys Gln Ser 35 40 45 Leu Tyr Leu Asn Leu Val Asn Asn Leu Arg Leu Pro Ser Asp Glu Ile 50 55 60 Arg Gly Glu Ile Leu Phe Val Leu Tyr Lys Leu Ser Leu Leu Asn Ala 65 70 75 80 Thr Pro Trp Asp Asp Ile Cys Asp Asn Asp Asn Val Asp Leu Ser Ala 85 90 95 Ile Gly Arg Ser Leu Leu Gln Phe Ser Leu Glu Val Leu Leu Lys Thr 100 105 110 Gln Asn Asp Asp Val Arg Leu Asn Cys Ile Ala Leu Leu Leu Thr Leu 115 120 125 Ala Lys Lys Gly Ala Phe Asp Ile Leu Leu Leu Ser Asp Pro Ser Leu 130 135 140 Ile Asn Ser Ala Glu Ala Glu Asp Asn Val Pro Leu Asn Asp Ser Leu 145 150 155 160 Val Ile Leu Phe Ala Glu Ala Val Lys Gly Ser Leu Leu Ser Thr Asn 165 170 175 Ile Glu Val Gln Thr Gly Thr Leu Glu Leu Ile Phe His Phe Leu Ser 180 185 190 Ser Asp Ala Asn Ile Phe Val Leu Lys Thr Leu Ile Asp Gln Asn Val 195 200 205 Ala Asp Tyr Val Phe Glu Val Leu Arg Leu Ser Gly Met Arg Asn His 210 215 220 Leu Leu Gln Ser Ser Asn Ala Ser Gln Phe Leu Thr Lys Leu Leu Tyr 225 230 235 240 Val Ser Gly Asn Asn Asp Pro Leu Val Ile Ser Ser Ile Lys Val Leu 245 250 255 Ser Ile Leu Ala Asn Ser Glu Glu Arg Phe Lys Glu Lys Leu Ala Ile 260 265 270 Ala Val Ser Thr Leu Leu Pro Val Leu His Tyr Val Ser Glu Ile Pro 275 280 285 Phe His Pro Val Gln Ser Gln Val Leu Arg Leu Val Cys Ile Ser Ile 290 295 300 Ile Asn Cys Ser Gly Ile Leu Ser Leu Ser Gln Glu Glu Gln Ile Ala 305 310 315 320 Cys Thr Leu Ser Ala Ile Leu Arg Arg His Gly Asn Gly Glu Leu Gly 325 330 335 Met Ser Ser Glu Thr Phe Ala Leu Val Cys Ser Met Leu Val Glu Ile 340 345 350 Leu Lys Leu Pro Ser Ala Asp Asp Ile Gln Lys Leu Pro Ser Phe Ile 355 360 365 Val Glu Ala Ser Lys His Ala Ile Ser Leu Thr Phe Ser His Glu Tyr 370 375 380 Asp Cys Leu Phe Leu Ile Pro His Ser Leu Leu Leu Leu Lys Glu Ala 385 390 395 400 Leu Ile Phe Cys Leu Glu Gly Asn Lys Asp Gln Ile Leu Arg Lys Lys 405 410 415 Ser Leu Glu Asp Ser Ile Ile Glu Thr Cys Glu Thr Tyr Leu Leu Pro 420 425 430 Trp Leu Glu Ser Ala Ile Val Asp Gly Asn Asp Glu Glu Thr Leu Ser 435 440 445 Gly Ile Leu Gln Ile Phe Gln Ile Ile Leu Ser Arg Ala Ser Asp Asn 450 455 460 Lys Ser Phe Lys Phe Ala Glu Met Leu Ala Ser Ser Ser Trp Phe Ser 465 470 475 480 Leu Ser Phe Gly Phe Met Gly Leu Phe Pro Thr Asp His Val Lys Ser 485 490 495 Ala Val Tyr Leu Val Ile Ser Ser Ile Val Asp Lys Val Leu Gly Ile 500 505 510 Ser Tyr Gly Glu Thr Ile Arg Asp Ala Cys Ile Tyr Leu Pro Pro Asp 515 520 525 Pro Ala Glu Leu Leu Tyr Leu Leu Gly Gln Cys Ser Ser Glu Asp Phe 530 535 540 Asn Leu Ala Ser Cys Gln Cys Ala Ile Leu Val Ile Leu Tyr Val Cys 545 550 555 560 Ser Phe Tyr Asn Glu Arg Leu Ala Ala Asp Asn Gln Ile Leu Ala Ser 565 570 575 Val Glu Gln Tyr Ile Leu Leu Asn Gly Ala Lys Phe Pro His Glu Ile 580 585 590 Pro Gly Ser Leu Met Leu Thr Leu Leu Val His Leu Tyr Ala Phe Val 595 600 605 Arg Gly Ile Ser Phe Arg Phe Gly Ile Pro His Ser Pro Glu Ala Glu 610 615 620 Lys Thr Leu Phe His Ala Met Thr His Lys Glu Trp Asp Leu Leu Leu 625 630 635 640 Ile Arg Val His Leu Ile Ala Leu Lys Trp Leu Phe Gln Asn Glu Glu 645 650 655 Leu Met Glu Pro Leu Ser Phe His Leu Leu Asn Phe Cys Lys Phe Phe 660 665 670 Cys Glu Asp Arg Thr Val Met Leu Ser Ser Ser Thr Gln Leu Val Asp 675 680 685 Ile Gln Leu Ile Ala Glu Leu Val Tyr Ser Gly Glu Thr Cys Ile Ser 690 695 700 Ser Leu Leu Val Ser Leu Leu Ser Gln Met Ile Lys Glu Ser Ala Glu 705 710 715 720 Asp Glu Val Leu Ser Val Val Asn Val Ile Thr Glu Ile Leu Val Ser 725 730 735 Phe Pro Cys Thr Ser Asp Gln Phe Val Ser Cys Gly Ile Val Asp Ala 740 745 750 Leu Gly Ser Ile Tyr Leu Ser Leu Cys Ser Ser Arg Ile Lys Ser Val 755 760 765 Cys Ser Leu Leu Ile Phe Asn Ile Leu His Ser Ala Ser Ala Met Thr 770 775 780 Phe Thr Cys Asp Asp Asp Ala Trp Leu Ala Leu Thr Met Lys Leu Leu 785 790 795 800 Asp Cys Phe Asn Ser Ser Leu Ala Tyr Thr Ser Ser Glu Gln Glu Trp 805 810 815 Lys Ile Leu Ile Gly Ile Leu Cys Leu Ile Leu Asn His Ser Ala Asn 820 825 830 Lys Val Leu Ile Glu Pro Ala Lys Ala Ile Ile Leu Asn Asn Cys Leu 835 840 845 Ala Leu Leu Met Asp Gly Ile Val Gln Glu Ala Cys Ala Lys Gly Pro 850 855 860 Ser Leu Phe Gln His Asn Gln Glu Thr Thr Phe Gly Glu Leu Leu Ile 865 870 875 880 Leu Met Leu Leu Leu Ile Phe Phe Ser Val Arg Ser Leu Gln Ala Ile 885 890 895 Leu Glu Ala Ser Ile Asp Trp Gln Glu Phe Leu Gln Tyr Ser Asp Asp 900 905 910 Thr Glu Ser Ser Ser Val Leu Gly Ile Pro Cys His Asp Leu Cys Arg 915 920 925 Leu Met His Phe Gly Pro Ser Pro Val Lys Leu Ile Ala Ser Gln Cys 930 935 940 Leu Leu Glu Leu Leu Asn Arg Ile Ser Asp Gln Arg Ser Cys Leu Asn 945 950 955 960 Ala Glu Leu Arg Cys Ser Ala Lys Tyr Leu Lys Ser Met Ile Ala Val 965 970 975 Thr Glu Gly Met Val Phe Asp Gln Asp Ser Arg Val Ala Glu Asn Cys 980 985 990 Gly Ala Cys Leu Thr Val Ile Leu Gly Trp Glu Arg Phe Gly Ser Arg 995 1000 1005 Glu Lys Ala Val Ile Arg Glu Ser Lys Trp Ser Arg Leu Ile Leu Glu 1010 1015 1020 Glu Phe Ala Val Ala Leu Thr Ala Pro Gly Leu Thr Ser Lys Ser Phe 1025 1030 1035 1040 Ser Asn Gln Gln Lys Ile Ala Ala Asn Ile Ala Leu Ser Leu Leu Gln 1045 1050 1055 Leu Ser Gln Val Pro Asp Trp Leu Thr Ser Leu Phe Ser Asp Ser Leu 1060 1065 1070 Ile Ser Gly Ile Val Ala Asn Leu Ser Ala Arg Asn Val Thr Ala Glu 1075 1080 1085 Ile Val Thr Leu Phe Ser Glu Leu Met Ala Lys Asn Tyr Leu Asn Gln 1090 1095 1100 Glu His Ile Ala Gly Leu His Asn Leu Phe Gln Val Cys Arg Arg Gln 1105 1110 1115 1120 Ala Tyr Glu Gly Gly Gly Gly Ser Lys Ala Gln Pro Ser Glu Gln Lys 1125 1130 1135 Ala Ala Ala Ala Arg Cys Ala Asp Asp Val Arg Ala Leu Leu Phe Gly 1140 1145 1150 Met Met Leu Glu Gln Arg Ala Cys Ser Arg Ala Thr Val Glu Met Glu 1155 1160 1165 Gln Gln Arg Leu Leu Arg Glu Ile Asp Ser Phe Phe Phe Gln Glu Ser 1170 1175 1180 Ser Leu Arg Glu Gln Asn Ser Val Lys 1185 1190 <210> 17 <211> 388 <212> PRT <213> Plant <400> 17 Met Ala Pro Pro Ala Ser Arg Pro Pro Thr Pro Thr Pro Thr Pro Thr 1 5 10 15 Ala Asn Ala Ala Ala Ser Ser Ser Arg Ile Glu Ser Pro Ser Leu Arg 20 25 30 Ala Ala Leu Ala Met Ala Leu Ile His Tyr Asn Arg Leu Pro Ser Arg 35 40 45 Ala Ala Ala Ala Ala Ala Pro Ser Pro Gln Ala Leu Leu Asn Trp Lys 50 55 60 Arg Lys Ala Lys Asp Arg Lys Arg Glu Ile Leu Arg Leu Arg Glu Glu 65 70 75 80 Leu Lys Leu Leu Gln Asp Gly Ala Arg Gly Glu Glu Met Glu Pro Pro 85 90 95 Val Ala Ser Cys Arg Cys His Phe Phe Asp Gly Cys Gly Asp Leu Pro 100 105 110 Pro Pro Thr Asp Gly Asp Ala Gly Glu His Trp Val Asp Asp Val Leu 115 120 125 Arg Arg Arg Phe Val Arg Leu Val Arg Trp Lys Asp Lys Arg Arg Arg 130 135 140 Leu Asp Arg Ser Leu Pro Thr Ser Ser Leu Met Glu Tyr Asn Thr Glu 145 150 155 160 Asp Glu Val Gln Gln Leu Ser Leu Ser Ile Asp Phe Leu Val Glu Leu 165 170 175 Ser Asp Gly Leu Phe Ala Lys Arg Glu Ala Gly Ser Ser Phe Thr Thr 180 185 190 Phe Ser His Gln Ala Val Asp Phe Ile Leu Ala Ser Leu Lys Asn Ile 195 200 205 Leu Ser Ser Glu Arg Glu Lys Glu Ile Ile Glu Glu Ile Ile Asn Gly 210 215 220 Leu Val Ala Arg Leu Met Lys Arg Met Cys Thr Thr Pro Glu Asn Ala 225 230 235 240 Gly Ser Val Asp Cys Ser Asp Ala Gln Phe Ser Leu Gln His Leu Phe 245 250 255 Arg Lys Leu Gly Asn Glu Glu Phe Val Gly Gln Arg Ile Ile Leu Ala 260 265 270 Ile Ser Gln Lys Ile Ser Asn Val Ser Glu Lys Leu Leu Leu Ala Asp 275 280 285 Pro Phe Asp Asp Gly Phe Pro Glu Met His Ser Asn Met Phe Ile Met 290 295 300 Ile Gln Leu Ile Glu Phe Leu Ile Ser Asp Ser Phe Asn Asn Trp Leu 305 310 315 320 Cys Arg Asp His Phe Asp Arg Lys Leu Phe Glu Glu Trp Val Arg Ser 325 330 335 Ile Leu Lys Ala Arg Lys Asp Leu Glu Val Leu Asp Gly Arg Asn Gly 340 345 350 Leu Tyr Val Val Tyr Ile Glu Arg Val Ile Gly Arg Leu Ala Arg Glu 355 360 365 Val Ala Pro Ala Ala His Gln Gly Lys Leu Asp Leu Glu Val Leu Ser 370 375 380 Lys Leu Leu Tyr 385 <210> 18 <211> 381 <212> PRT <213> Plant <400> 18 Met Ala Gly Arg Glu Lys Arg Arg Arg Val Ala Ala Leu Asp Gly Glu 1 5 10 15 Glu Arg Arg Arg Arg Gln Glu Glu Ala Ala Thr Leu Leu His Arg Ile 20 25 30 Arg Gly Leu Val Arg Trp Val Val Ala Glu Val Ala Ala Gly Arg Ser 35 40 45 Pro Thr Val Ala Leu His Arg Tyr Gln Asn Tyr Cys Ser Ser Ala Ser 50 55 60 Ala Ala Ala Ala Ser Pro Cys Ala Cys Ser Tyr Asp Val Pro Val Gly 65 70 75 80 Thr Asp Val Leu Ser Leu Leu His Arg Gly Ser His Ala Ser Arg Leu 85 90 95 Asn Val Leu Leu Arg Val Leu Leu Val Val Gln Gln Leu Leu Gln Gln 100 105 110 Asn Lys His Cys Ser Lys Arg Asp Ile Tyr Tyr Met Tyr Pro Ser Ile 115 120 125 Phe Gln Glu Gln Ala Val Val Asp Arg Ala Ile Asn Asp Ile Cys Val 130 135 140 Leu Phe Lys Cys Ser Arg His Asn Leu Asn Val Val Pro Val Ala Lys 145 150 155 160 Gly Leu Val Met Gly Trp Ile Arg Phe Leu Glu Gly Glu Lys Glu Val 165 170 175 Tyr Cys Val Thr Asn Val Asn Ala Ala Phe Ser Ile Pro Val Ser Ile 180 185 190 Glu Ala Ile Lys Asp Val Val Ser Val Ala Asp Tyr Ile Leu Ile Val 195 200 205 Glu Lys Glu Thr Val Phe Gln Arg Leu Ala Asn Asp Lys Phe Cys Glu 210 215 220 Arg Asn Arg Cys Ile Val Ile Thr Gly Arg Gly Tyr Pro Asp Ile Pro 225 230 235 240 Thr Arg Arg Phe Leu Arg Tyr Leu Val Glu Gln Leu His Leu Pro Val 245 250 255 Tyr Cys Leu Val Asp Ala Asp Pro Tyr Gly Phe Asp Ile Leu Ala Thr 260 265 270 Tyr Lys Phe Gly Ser Leu Gln Leu Ala Tyr Asp Ala Asn Phe Leu Arg 275 280 285 Val Pro Asp Ile Arg Trp Leu Gly Val Phe Thr Ser Asp Phe Glu Asp 290 295 300 Tyr Arg Leu Pro Asp Cys Cys Leu Leu His Leu Ser Ser Glu Asp Arg 305 310 315 320 Arg Lys Ala Glu Gly Ile Leu Ser Arg Cys Tyr Leu His Arg Glu Ala 325 330 335 Pro Gln Trp Arg Leu Glu Leu Glu Ala Met Leu Gln Lys Gly Val Lys 340 345 350 Phe Glu Ile Glu Ala Leu Ser Ala Cys Ser Ile Ser Phe Leu Ser Glu 355 360 365 Glu Tyr Ile Pro Lys Lys Ile Lys Gln Gly Arg His Ile 370 375 380 <210> 19 <211> 385 <212> PRT <213> Plant <400> 19 Met Ala Glu Ala Gly Val Ala Ala Ala Ser Leu Phe Gly Ala Asp Arg 1 5 10 15 Arg Leu Cys Ser Ala Asp Ile Leu Pro Pro Ala Glu Val Arg Ala Arg 20 25 30 Ile Glu Val Ala Val Leu Asn Phe Leu Ala Ala Leu Thr Asp Pro Ala 35 40 45 Ala Pro Ala Ile Ser Ala Leu Pro Leu Ile Ser Arg Gly Ala Ala Asn 50 55 60 Arg Gly Leu Arg Arg Ala Leu Leu Arg Asp Asp Val Ser Ser Val Tyr 65 70 75 80 Leu Ser Tyr Ala Ser Cys Lys Arg Ser Leu Thr Arg Ala Asn Asp Ala 85 90 95 Lys Ala Phe Val Arg Val Trp Lys Val Met Glu Met Cys Tyr Lys Ile 100 105 110 Leu Gly Glu Gly Lys Leu Val Thr Leu Arg Glu Leu Phe Tyr Thr Leu 115 120 125 Leu Ser Glu Ser Pro Thr Tyr Phe Thr Cys Gln Arg His Val Asn Gln 130 135 140 Thr Val Gln Asp Val Val Ser Leu Leu Arg Cys Thr Arg Gln Ser Leu 145 150 155 160 Gly Ile Met Ala Ser Ser Arg Gly Ala Leu Ile Gly Arg Leu Val Val 165 170 175 Gln Gly Pro Glu Glu Glu His Val Asp Cys Ser Ile Leu Gly Pro Ser 180 185 190 Gly His Ala Ile Thr Gly Asp Leu Asn Val Leu Ser Lys Leu Ile Phe 195 200 205 Ser Ser Asp Ala Arg Tyr Ile Ile Val Val Glu Lys Asp Ala Ile Phe 210 215 220 Gln Arg Leu Ala Glu Asp Arg Ile Tyr Ser His Leu Pro Cys Ile Leu 225 230 235 240 Ile Thr Ala Lys Gly Tyr Pro Asp Leu Ala Thr Arg Phe Ile Leu His 245 250 255 Arg Leu Ser Gln Thr Tyr Pro Asn Met Pro Ile Phe Ala Leu Val Asp 260 265 270 Trp Asn Pro Ala Gly Leu Ala Ile Leu Cys Thr Tyr Lys Tyr Gly Ser 275 280 285 Ile Ser Met Gly Leu Glu Ser Tyr Arg Tyr Ala Cys Asn Val Lys Trp 290 295 300 Leu Gly Leu Arg Gly Asp Asp Leu Gln Leu Ile Pro Gln Ser Ala Tyr 305 310 315 320 Gln Glu Leu Lys Pro Arg Asp Leu Gln Ile Ala Lys Ser Leu Leu Ser 325 330 335 Ser Lys Phe Leu Gln Asp Lys His Arg Ala Glu Leu Thr Leu Met Leu 340 345 350 Glu Thr Gly Lys Arg Ala Glu Ile Glu Ala Leu Tyr Ser His Gly Phe 355 360 365 Asp Phe Leu Gly Lys Tyr Val Ala Arg Lys Ile Val Gln Gly Asp Tyr 370 375 380 Ile 385 <210> 20 <211> 469 <212> PRT <213> Plant <400> 20 Met Pro Pro Thr Met Leu Ala Ser Val Pro Thr Arg Pro Arg Ser His 1 5 10 15 Pro Phe Arg Arg Arg Arg Gly Ala Ala Ala Ala Ala Pro Pro Leu Leu 20 25 30 Pro Asp Gln Ile Ala Ala Ala Ala Ala Ala Ala Ala Lys Arg Pro Ala 35 40 45 Glu Ser Ser Thr Ser Ala Ser Ser Cys Phe His Ser Glu Val Ile Ser 50 55 60 Ala Thr Ser Thr Thr Cys Pro Thr Ser Leu Ala Ala Ala Gln Arg Pro 65 70 75 80 Glu Lys Arg Pro Arg Tyr Gln Asp Val Asp Glu Glu Gln Pro Ala Ala 85 90 95 Ser Glu Cys Ser Glu Ile Ile Gly Gly Ala Arg Pro Arg Ala Ala Glu 100 105 110 Val Glu Val Ser Glu Ser Ser Cys Leu Ala Ser Val Leu Glu Ser Tyr 115 120 125 Leu Ala Cys Pro Glu Gln Leu Ala Asn Asp Ala Glu Thr Thr Ala Tyr 130 135 140 Ser Ser Ala Arg Glu Asp Leu Thr Leu Ser Glu Thr Glu Glu Glu Glu 145 150 155 160 Glu Glu Glu Glu Val Arg Ser Gly Pro Cys Ile Cys Thr Asp Cys Ser 165 170 175 Phe Ser Pro Leu His Glu Ser Ser Ser Ser Ser Asp Asp Asp Asn Ala 180 185 190 Val Pro Ser Pro Thr Phe Ser Leu Phe Leu Ala Leu Ala Glu Gln Phe 195 200 205 Val Pro Phe Thr His Pro Lys Thr Pro Thr Ala Thr Asp Val Ala Leu 210 215 220 Gln Ala Gly Glu Gly Lys Arg Phe Glu Asp Leu Asp Asn Glu Val Ser 225 230 235 240 Tyr Glu Arg Phe Arg Arg Arg Glu Arg Arg Gly Val Val Ala Arg Asp 245 250 255 Tyr Ile Glu Val Tyr Ser Ser Met Leu Gly Ser Tyr Gly Arg Ala Val 260 265 270 Val Glu Gln Arg Val Val Met Val Asn Trp Ile Met Glu His Ser Gln 275 280 285 Ala Met Lys Leu Gln Pro Glu Thr Val Phe Met Gly Ile Gly Leu Met 290 295 300 Asp Arg Phe Leu Thr Arg Gly Tyr Val Lys Gly Ser Arg Asn Leu Gln 305 310 315 320 Leu Leu Gly Ile Ala Cys Thr Thr Leu Ala Thr Arg Ile Glu Glu Asn 325 330 335 Gln Pro Tyr Asn Cys Ile Leu Gln Lys Ala Phe Lys Val Gly Ile Asn 340 345 350 Thr Tyr Ser Arg Ser Glu Val Val Ala Met Glu Trp Leu Val Gln Glu 355 360 365 Val Leu Asp Phe Gln Cys Phe Val Thr Thr Thr His His Phe Leu Trp 370 375 380 Phe Tyr Leu Lys Ala Ala Asn Ala Asp Asp Arg Val Glu Asp Leu Ala 385 390 395 400 Lys Tyr Leu Ala Leu Leu Ser Leu Leu Asp His Lys His Leu Ser Phe 405 410 415 Trp Pro Ser Thr Val Ala Ala Ala Val Val Ala Leu Ala Cys Leu Ala 420 425 430 Thr Asn Asn Glu Ser Ser Cys His Leu Val Met Glu Thr His Met Arg 435 440 445 Thr Lys Asn Asp Asp Leu Pro Glu Cys Leu Met Ser Leu Glu Trp Leu 450 455 460 Thr Asn Tyr Ala Ser 465 <210> 21 <211> 475 <212> PRT <213> Plant <400> 21 Met Ser Ala Pro Met Glu Val Ser Phe Ser Ala Pro Pro Pro Pro Asp 1 5 10 15 Ala Ala Ser Ala Ala Ala Ala Ala Pro Ser Leu Val Pro Ala Val Ser 20 25 30 Ala Ala Ala Val Ala Ala Thr Thr Val Ser Cys Ser Pro Gln Pro Pro 35 40 45 Thr Gly Ser Pro Ser Ala Asp Asp Arg Ile Leu Val Ser Val Glu Val 50 55 60 Leu Leu His Ala Thr Ser Thr Ala Arg Ala Glu Asp Val Cys Ala Ala 65 70 75 80 Val Glu Arg Met Leu Glu Ala Arg Ser Leu Ser Tyr Val Asp Gly Pro 85 90 95 Val Pro Ile Pro Asn Asp Asp Pro Phe Leu Leu Ala Asn Val Lys Arg 100 105 110 Ile Gln Ile Cys Asp Thr Asp Glu Trp Thr Glu Asn His Lys Val Leu 115 120 125 Leu Phe Trp Gln Val Arg Pro Val Val His Val Phe Gln Leu Ser Glu 130 135 140 Asp Gly Pro Gly Glu Glu Pro Gly Glu Asp Asp Thr Leu Ser Ser Phe 145 150 155 160 Asn Glu Trp Ala Leu Pro Ala Lys Glu Phe Asp Gly Leu Trp Glu Ser 165 170 175 Leu Leu Tyr Glu Val Gly Leu Lys Gln Arg Leu Leu Arg Tyr Ala Ala 180 185 190 Ser Ala Leu Leu Phe Thr Glu Lys Gly Val Asp Pro Cys Leu Val Ser 195 200 205 Trp Asn Arg Ile Val Leu Leu His Gly Pro Pro Gly Thr Gly Lys Thr 210 215 220 Ser Leu Cys Lys Ala Leu Ala Gln Lys Leu Ser Ile Arg Phe Lys Ser 225 230 235 240 Arg Tyr Ser Met Cys Gln Leu Ile Glu Val Asn Ala His Ser Leu Phe 245 250 255 Ser Lys Trp Phe Ser Glu Ser Gly Lys Leu Val Ala Lys Leu Phe Gln 260 265 270 Lys Ile Gln Glu Met Val Glu Glu Glu Ser Asn Leu Val Phe Val Leu 275 280 285 Ile Asp Glu Val Glu Ser Leu Ala Ala Ala Arg Gln Ala Ala Ile Ser 290 295 300 Gly Ser Glu Pro Ser Asp Ser Ile Arg Val Val Asn Ala Leu Leu Thr 305 310 315 320 Gln Met Asp Lys Leu Lys Ser Trp Pro Asn Val Ile Ile Leu Thr Thr 325 330 335 Ser Asn Ile Thr Thr Ala Ile Asp Ile Ala Phe Val Asp Arg Ala Asp 340 345 350 Ile Lys Ala Tyr Val Gly Pro Pro Thr Leu Gln Ala Arg Tyr Glu Ile 355 360 365 Leu Arg Ser Cys Leu Gln Glu Leu Leu Arg Val Gly Ile Leu Thr His 370 375 380 Thr Gln Gly Gly Asn Ser Leu Cys Leu Leu Ser Tyr Phe Ser Leu Met 385 390 395 400 Glu Asn Gln His Cys Pro Glu Val Ala Asp Pro His Gly Ser Val His 405 410 415 Leu Ser Gly Leu Leu His Lys Ala Ala Glu Ile Cys Glu Gly Leu Ser 420 425 430 Gly Arg Thr Leu Arg Lys Leu Pro Phe Leu Ala His Ala Ser Val Ala 435 440 445 Asn Pro Ser Cys Cys Asp Ala Ser Ala Phe Leu His Ala Leu Ile Gln 450 455 460 Thr Ala Gln Arg Glu Leu Ser Glu Ser Arg Gly 465 470 475 <210> 22 <211> 286 <212> PRT <213> Plant <400> 22 Met Glu Arg Ala Thr Thr Ser Gly Gly Gly Gly Gly Gly Ser Gln Pro 1 5 10 15 Pro Arg Gly Val Gly Leu Pro Leu Val Glu Val Gln Ala Ala Ala Ala 20 25 30 Ser Leu Arg Arg Ser Glu Val Phe Tyr Val Val Lys Glu Leu Leu Gly 35 40 45 Phe Val Leu Tyr Met His His Gln Ile Pro Ala Val Leu Gln Asn Leu 50 55 60 Glu Asn Glu Phe Ala Ser Leu Lys Glu Glu Met Thr Glu Met Ala Leu 65 70 75 80 Pro Pro Gly Glu Met Lys Pro Ser Asp Gln Arg Lys Tyr Asn Thr Arg 85 90 95 Lys Arg Glu Val Arg Arg Arg Ile Lys Lys Gln Glu Lys Leu Met Asn 100 105 110 Gly Leu Ser Ser Val Phe Ser Ala Leu Gln Lys Ala Leu Asp Glu Val 115 120 125 Pro Ser Ile Glu Gly Val Leu Leu Ile Leu Gly Gly Ser Leu Val Arg 130 135 140 Pro Leu Phe Val Tyr Asp Ile Thr Ile Ser His Gly Arg Phe Asp Ala 145 150 155 160 Gly Ser Ala Asn Glu Arg Gly Ala Ser Lys Leu Ala Gln Ser Val Ser 165 170 175 Arg Lys Ala Ile Arg Ala Leu Ile Ser Ser Gly Ala Gly Ser Leu Ser 180 185 190 Tyr Thr Gly Pro Thr Lys Leu Phe Val Leu Val Arg Cys Pro Cys Thr 195 200 205 Leu Asn Leu Pro Leu Asp Phe Leu Pro Lys Arg Asp Phe Arg Tyr Ser 210 215 220 Lys Lys Val Val Pro Leu Gln Met Cys Ile Lys Cys Asn Ile Ala Gly 225 230 235 240 Ile Gln Ile Asp Asn Gln Gln Ile Thr Ser Ile Val Asp Ala Ser Arg 245 250 255 Cys Thr Ser Glu Ser Thr Ile Ser Glu Val Ile Trp Phe Gln Cys Lys 260 265 270 His Thr Ile Arg Gly Leu Pro Cys Lys Ala Ser Leu Glu Glu 275 280 285 <210> 23 <211> 487 <212> PRT <213> Plant <400> 23 Met Ala Ser Ser Pro Pro Pro Ser Thr Ala Ser Pro Thr Ser Ser Ser 1 5 10 15 Pro Tyr Arg Lys Leu Leu His Ser Leu Ile Tyr Trp Ala Val Gln Arg 20 25 30 Cys Arg Met Ser Glu Ser Pro Cys Arg Leu Thr Val Ser Val Lys Arg 35 40 45 Ser Pro Glu Pro Ala Gly Ser Ser Pro Leu Arg Ile Ser Val Ser Asp 50 55 60 Thr Gly Val Gly Ser Lys Leu Glu Glu Phe Leu Glu Leu Asp Ala Leu 65 70 75 80 Ala Arg Glu Thr Pro Val Glu Lys Trp Asp Gly Thr Leu Leu Ile Thr 85 90 95 Thr Thr Gly Ile Asp Asp Lys Ala Ile Tyr Arg Tyr Gln Phe Asn Leu 100 105 110 Gln Glu Asp Thr Ser Ser Ser Thr Arg Phe Thr Lys Leu Ala Thr Met 115 120 125 Tyr Lys Ser Arg Ala Ile Phe Ser Gly Thr Glu Val Cys Leu Cys Leu 130 135 140 Pro Thr Glu Ala Asp Val Asp Asp Leu Ile Leu Trp Leu Val Gly Phe 145 150 155 160 Val Arg Lys Ile Phe Val Leu Arg Ala Ser Asn Leu Ala Cys Glu Leu 165 170 175 Phe Val Ala Gln Thr Asp Ser Ala Gly Ser Gly Asp Val Cys Leu Ser 180 185 190 Gln Asp Ser Asp Asp Val His Ile Ser Ile Thr Thr Ser Ser Ile Asp 195 200 205 Arg Leu Val Ser Gly Leu Lys Asp Tyr Ala Leu Ser His Ala Asn Thr 210 215 220 Ser Asp Arg Cys Glu Ala Cys Tyr Met Asn Arg Asp Arg Leu Lys Ile 225 230 235 240 Gly Thr Gly Thr Ala Lys Tyr Val Asp Lys Arg Lys Ala Lys Gly Gln 245 250 255 Leu Val Glu Val Val Ile Met Ile Ala Pro Thr Ser Ser Asp Leu Ser 260 265 270 Cys Trp Met Thr Asn Cys Ser Ser Thr Gln Val Leu His Phe Val Glu 275 280 285 Phe Ile Pro Cys Pro Ile Ser Gln Ser Ser Leu Ser Ala Leu Met Ser 290 295 300 Ile Asp Trp Gln Ser Tyr Gly Phe Lys Phe Lys Gly Gly Phe Ile Asp 305 310 315 320 Asp Asp Gly Asn Ala Glu Leu Gln Trp Asp Asn Met Ala Phe Ser His 325 330 335 Val Asp Ile Ala Ile His Thr Tyr His Glu Gly Ala Val Asp Glu Trp 340 345 350 Lys Ser Ser Gln Pro Glu Arg His Leu Leu Arg Lys Ala Leu Lys Ser 355 360 365 Ala Leu Phe Gly Leu Lys Ala Asp His Ala Glu Asp Phe Leu Ser Cys 370 375 380 His Gly Gln Lys Val Arg Glu Tyr Val Pro Asp Leu Ala Glu Ser Ile 385 390 395 400 Ala Gly Leu Ile Leu Ser Ser Asn Asp Gln Glu Phe Gln Asp Glu Cys 405 410 415 Ile Ala Leu Leu Gly Leu Gly Ser Asp Gln Asp Leu Thr Glu Gly Ala 420 425 430 Val Arg Ser Cys Ile Gly Glu Lys Met Asn Arg Ile Ile Glu Met Asn 435 440 445 Asp Thr Lys Glu Asn Val Glu His Asn Ala Pro Tyr Leu Phe Glu Cys 450 455 460 Glu Arg Phe Asp Glu Asp Tyr Ser Leu Leu Asp Glu Asp Asp Pro Asp 465 470 475 480 Glu Asp Met Ile Phe Asp Phe 485 <210> 24 <211> 233 <212> PRT <213> Plant <400> 24 Met Arg His Asn Ile Lys Phe Lys Ser Lys Gly Thr Leu Lys Ile Arg 1 5 10 15 Asn Thr Ala Gln Ile Ser Leu Trp Lys Lys Cys Ser Asp Ser Met Ile 20 25 30 Ala Asp Gln Thr Tyr Leu Phe Ile Asn Arg Val Gln Asp Arg Arg Phe 35 40 45 Asp Glu Glu Ser Leu Arg Ile Leu Glu Leu Ser Leu Val Ala Met Asn 50 55 60 Val Lys Ser Phe Leu Glu Val Arg Ser Arg Leu Arg Asp Phe Met Arg 65 70 75 80 Ser Glu Ser Val Val Ile Phe Gly Glu Leu Thr Gly Glu Ser Met Val 85 90 95 Ala Lys Leu Ser Val Leu Glu Phe Phe Ala Arg Ala Phe Ala Leu Leu 100 105 110 Gly Asp Met Glu Ser Cys Leu Ala Met Arg Tyr Glu Ala Leu Asn Leu 115 120 125 Arg Gln Leu Lys Ser Pro Ser Cys Leu Trp Leu Gly Val Ser His Ser 130 135 140 Glu Trp Thr Lys Phe Ala Val Gln Ser Met Glu Asn Gly Phe Pro Ser 145 150 155 160 Ile Ala Gly Lys Ala Ser Glu Asn Ala Leu Leu Ser Leu Lys Lys Asp 165 170 175 Ser Leu Ile Glu Pro Lys Ser Glu Asp Asn Ser Asp Ile Leu Asp Ala 180 185 190 Ala Glu Lys Val Arg Arg Leu Arg Asp Ser Ala Ala Ser Leu Thr Ser 195 200 205 Ser His Ser Gly Ile Phe Ile Tyr Ile Val Ser Ser Leu Lys Phe Ala 210 215 220 Val Cys Asn Arg Leu Leu Thr Thr Phe 225 230 <210> 25 <211> 608 <212> PRT <213> Plant <400> 25 Met Phe Tyr Ser His Gln Leu Leu Ala Arg Lys Ala Pro Leu Gly Gln 1 5 10 15 Ile Trp Met Ala Ala Thr Leu His Ser Lys Ile Asn Arg Lys Arg Leu 20 25 30 Asp Lys Leu Asp Ile Ile Lys Ile Cys Glu Glu Ile Leu Asn Pro Ser 35 40 45 Val Pro Met Ala Leu Arg Leu Ser Gly Ile Leu Met Gly Gly Val Ala 50 55 60 Ile Val Tyr Glu Arg Lys Val Lys Ala Leu Tyr Asp Asp Val Ser Arg 65 70 75 80 Phe Leu Ile Glu Ile Asn Glu Ala Trp Arg Val Lys Pro Val Ala Asp 85 90 95 Pro Thr Val Leu Pro Lys Gly Lys Thr Gln Ala Lys Tyr Glu Ala Val 100 105 110 Thr Leu Pro Glu Asn Ile Met Asp Met Asp Val Glu Gln Pro Met Leu 115 120 125 Phe Ser Glu Ala Asp Thr Thr Arg Phe Arg Gly Met Arg Leu Glu Asp 130 135 140 Leu Asp Asp Gln Tyr Ile Asn Val Asn Leu Asp Asp Asp Asp Phe Ser 145 150 155 160 Arg Ala Glu Asn His His Gln Ala Asp Ala Glu Asn Ile Thr Leu Ala 165 170 175 Asp Asn Phe Gly Ser Gly Leu Gly Glu Thr Asp Val Phe Asn Arg Phe 180 185 190 Glu Arg Phe Asp Ile Thr Asp Asp Asp Ala Thr Phe Asn Val Thr Pro 195 200 205 Asp Gly His Pro Gln Val Pro Ser Asn Leu Val Pro Ser Pro Pro Arg 210 215 220 Gln Glu Asp Ser Pro Gln Gln Gln Glu Asn His His Ala Ala Ser Ser 225 230 235 240 Pro Leu His Glu Glu Ala Gln Gln Gly Gly Ala Ser Val Lys Asn Glu 245 250 255 Gln Glu Gln Gln Lys Met Lys Gly Gln Gln Pro Ala Lys Ser Ser Lys 260 265 270 Arg Lys Lys Arg Arg Lys Asp Asp Glu Val Met Met Asp Asn Asp Gln 275 280 285 Ile Met Ile Pro Gly Asn Val Tyr Gln Thr Trp Leu Lys Asp Pro Ser 290 295 300 Ser Leu Ile Thr Lys Arg His Arg Ile Asn Ser Lys Val Asn Leu Ile 305 310 315 320 Arg Ser Ile Lys Ile Arg Asp Leu Met Asp Leu Pro Leu Val Ser Leu 325 330 335 Ile Ser Ser Leu Glu Lys Ser Pro Leu Glu Phe Tyr Tyr Pro Lys Glu 340 345 350 Leu Met Gln Leu Trp Lys Glu Cys Thr Glu Val Lys Ser Pro Lys Ala 355 360 365 Pro Ser Ser Gly Gly Gln Gln Ser Ser Ser Pro Glu Gln Gln Gln Arg 370 375 380 Asn Leu Pro Pro Gln Ala Phe Pro Thr Gln Pro Gln Val Asp Asn Asp 385 390 395 400 Arg Glu Met Gly Phe His Pro Val Asp Phe Ala Asp Asp Ile Glu Lys 405 410 415 Leu Arg Gly Asn Thr Ser Gly Glu Tyr Gly Arg Asp Tyr Asp Ala Phe 420 425 430 His Ser Asp His Ser Val Thr Pro Gly Ser Pro Gly Leu Ser Arg Arg 435 440 445 Ser Ala Ser Ser Ser Gly Gly Ser Gly Arg Gly Phe Thr Gln Leu Asp 450 455 460 Pro Glu Val Gln Leu Pro Ser Gly Arg Ser Lys Arg Gln His Ser Ser 465 470 475 480 Gly Lys Ser Phe Gly Asn Leu Asp Pro Val Glu Glu Glu Phe Pro Phe 485 490 495 Glu Gln Glu Leu Arg Asp Phe Lys Met Arg Arg Leu Ser Asp Val Gly 500 505 510 Pro Thr Pro Asp Leu Leu Glu Glu Ile Glu Pro Thr Gln Thr Pro Tyr 515 520 525 Glu Lys Lys Ser Asn Pro Ile Asp Gln Val Thr Gln Ser Ile His Ser 530 535 540 Tyr Leu Lys Leu His Phe Asp Thr Pro Gly Ala Ser Gln Ser Glu Ser 545 550 555 560 Leu Ser Gln Leu Ala His Gly Met Thr Thr Ala Lys Ala Ala Arg Leu 565 570 575 Phe Tyr Gln Ala Cys Val Leu Ala Thr His Asp Phe Ile Lys Val Asn 580 585 590 Gln Leu Glu Pro Tyr Gly Asp Ile Leu Ile Ser Arg Gly Pro Lys Met 595 600 605 <210> 26 <211> 234 <212> PRT <213> Plant <400> 26 Met Pro Glu Val Arg Asn Ser Gly Gly Arg Ala Ala Leu Ala Asp Pro 1 5 10 15 Ser Gly Gly Gly Phe Phe Ile Arg Arg Thr Thr Ser Pro Pro Gly Ala 20 25 30 Val Ala Val Lys Pro Leu Ala Arg Arg Ala Leu Pro Pro Thr Ser Asn 35 40 45 Lys Glu Asn Val Pro Pro Ser Trp Ala Val Thr Val Arg Ala Thr Pro 50 55 60 Lys Arg Arg Ser Pro Leu Pro Glu Trp Tyr Pro Arg Ser Pro Leu Arg 65 70 75 80 Asp Ile Thr Ser Val Val Lys Ala Val Glu Arg Lys Ser Arg Leu Gly 85 90 95 Asn Ala Ala Val Arg Gln Gln Ile Gln Leu Ser Glu Asp Ser Ser Arg 100 105 110 Ser Val Asp Pro Ala Thr Pro Val Gln Lys Glu Glu Gly Val Pro Gln 115 120 125 Ser Thr Pro Thr Pro Pro Thr Gln Lys Ala Leu Asp Ala Ala Ala Pro 130 135 140 Cys Pro Gly Ser Thr Gln Ala Val Ala Ser Thr Ser Thr Ala Tyr Leu 145 150 155 160 Ala Glu Gly Lys Pro Lys Ala Ser Ser Ser Ser Pro Ser Asp Cys Ser 165 170 175 Phe Gln Thr Pro Ser Arg Pro Asn Asp Pro Ala Leu Ala Asp Leu Met 180 185 190 Glu Lys Glu Leu Ser Ser Ser Ile Glu Gln Ile Glu Lys Met Val Arg 195 200 205 Lys Asn Leu Lys Arg Ala Pro Lys Ala Ala Gln Pro Ser Lys Val Thr 210 215 220 Ile Gln Lys Arg Thr Leu Leu Ser Met Arg 225 230 <210> 27 <211> 442 <212> PRT <213> Plant <400> 27 Met Ser Ser Ser Ser Arg Asn Leu Ser Gln Glu Asn Pro Ile Pro Arg 1 5 10 15 Pro Asn Leu Ala Lys Thr Arg Thr Ser Leu Arg Asp Val Gly Asn Arg 20 25 30 Arg Ala Pro Leu Gly Asp Ile Thr Asn Gln Lys Asn Gly Ser Arg Asn 35 40 45 Pro Ser Pro Ser Ser Thr Leu Val Asn Cys Ser Asn Lys Ile Gly Gln 50 55 60 Ser Lys Lys Ala Pro Lys Pro Ala Leu Ser Arg Asn Trp Asn Leu Gly 65 70 75 80 Ile Leu Asp Ser Gly Leu Pro Pro Lys Pro Asn Ala Lys Ser Asn Ile 85 90 95 Ile Val Pro Tyr Glu Asp Thr Glu Leu Leu Gln Ser Asp Asp Ser Leu 100 105 110 Leu Cys Ser Ser Pro Ala Leu Ser Leu Asp Ala Ser Pro Thr Gln Ser 115 120 125 Asp Pro Ser Ile Ser Thr His Asp Ser Leu Thr Asn His Val Val Asp 130 135 140 Tyr Met Val Glu Ser Thr Thr Asp Asp Gly Asn Asp Asp Asp Asp Asp 145 150 155 160 Glu Ile Val Asn Ile Asp Ser Asp Leu Met Asp Pro Gln Leu Cys Ala 165 170 175 Ser Phe Ala Cys Asp Ile Tyr Glu His Leu Arg Val Ser Glu Val Asn 180 185 190 Lys Arg Pro Ala Leu Asp Tyr Met Glu Arg Thr Gln Ser Ser Ile Asn 195 200 205 Ala Ser Met Arg Ser Ile Leu Ile Asp Trp Leu Val Glu Val Ala Glu 210 215 220 Glu Tyr Arg Leu Ser Pro Glu Thr Leu Tyr Leu Ala Val Asn Tyr Val 225 230 235 240 Asp Arg Tyr Leu Thr Gly Asn Ala Ile Asn Lys Gln Asn Leu Gln Leu 245 250 255 Leu Gly Val Thr Cys Met Met Ile Ala Ala Lys Tyr Glu Glu Val Cys 260 265 270 Val Pro Gln Val Glu Asp Phe Cys Tyr Ile Thr Asp Asn Thr Tyr Leu 275 280 285 Arg Asn Glu Leu Leu Glu Met Glu Ser Ser Val Leu Asn Tyr Leu Lys 290 295 300 Phe Glu Leu Thr Thr Pro Thr Ala Lys Cys Phe Leu Arg Arg Phe Leu 305 310 315 320 Arg Ala Ala Gln Gly Arg Lys Glu Val Pro Ser Leu Leu Ser Glu Cys 325 330 335 Leu Ala Cys Tyr Leu Thr Glu Leu Ser Leu Leu Asp Tyr Ala Met Leu 340 345 350 Arg Tyr Ala Pro Ser Leu Val Ala Ala Ser Ala Val Phe Leu Ala Gln 355 360 365 Tyr Thr Leu His Pro Ser Arg Lys Pro Trp Asn Ala Thr Leu Glu His 370 375 380 Tyr Thr Ser Tyr Arg Ala Lys His Met Glu Ala Cys Val Lys Asn Leu 385 390 395 400 Leu Gln Leu Cys Asn Glu Lys Leu Ser Ser Asp Val Val Ala Ile Arg 405 410 415 Lys Lys Tyr Ser Gln His Lys Tyr Lys Phe Ala Ala Lys Lys Leu Cys 420 425 430 Pro Thr Ser Leu Pro Gln Glu Leu Phe Leu 435 440 <210> 28 <211> 450 <212> PRT <213> Plant <400> 28 Met Cys Pro Cys Val Glu Arg Arg Ala Pro Pro Gly Val Tyr Tyr Thr 1 5 10 15 Pro Pro Pro Ala Arg Thr Ser Asp His Val Ala Ala Met Pro Met Thr 20 25 30 Glu Arg Arg Arg Pro Pro Tyr Ser Cys Ser Ser Ser Ser Glu Arg Arg 35 40 45 Asp Pro Phe His Ile Val His Lys Val Pro Ser Gly Asp Ser Pro Tyr 50 55 60 Val Arg Ala Lys His Ala Gln Leu Ile Asp Lys Asp Pro Asn Arg Ala 65 70 75 80 Ile Ser Leu Phe Trp Thr Ala Ile Asn Ala Gly Asp Arg Val Asp Ser 85 90 95 Ala Leu Lys Asp Met Ala Val Val Met Lys Gln Leu Gly Arg Ser Asp 100 105 110 Glu Gly Ile Glu Ala Ile Lys Ser Phe Arg Tyr Leu Cys Ser Phe Glu 115 120 125 Ser Gln Asp Ser Ile Asp Asn Leu Leu Leu Glu Leu Tyr Lys Lys Ser 130 135 140 Gly Arg Ile Glu Glu Glu Ala Val Leu Leu Glu His Lys Leu Gln Thr 145 150 155 160 Leu Glu Gln Gly Met Gly Phe Gly Gly Arg Val Ser Arg Ala Lys Arg 165 170 175 Val Gln Gly Lys His Val Ile Met Thr Ile Glu Gln Glu Lys Ala Arg 180 185 190 Ile Leu Gly Asn Leu Gly Trp Val His Leu Gln Leu His Asn Tyr Gly 195 200 205 Ile Ala Glu Gln His Tyr Arg Phe Gly Phe Val Thr Lys Ile Pro Asn 210 215 220 Ile Asp Tyr Cys Leu Val Met Arg Ala Leu Gly Leu Glu Arg Asp Lys 225 230 235 240 Asn Lys Leu Cys Asn Leu Ala Ile Cys Leu Met Arg Met Ser Arg Ile 245 250 255 Pro Glu Ala Lys Ser Leu Leu Asp Asp Val Arg Asp Ser Pro Ala Glu 260 265 270 Ser Glu Cys Gly Asp Glu Pro Phe Ala Lys Ser Tyr Asp Arg Ala Val 275 280 285 Glu Met Leu Ala Glu Ile Glu Ser Lys Lys Pro Glu Ala Asp Leu Ser 290 295 300 Glu Lys Phe Tyr Ala Gly Cys Ser Phe Val Asn Arg Met Lys Glu Asn 305 310 315 320 Ile Ala Pro Gly Thr Ala Asn Lys Asn Tyr Ser Asp Val Ser Ser Ser 325 330 335 Pro Ala Ser Val Arg Pro Asn Ser Ala Gly Leu Tyr Thr Gln Pro Arg 340 345 350 Arg Cys Arg Leu Phe Glu Glu Glu Thr Arg Gly Ala Ala Arg Lys Leu 355 360 365 Leu Phe Gly Lys Pro Gln Pro Phe Gly Ser Glu Gln Met Lys Ile Leu 370 375 380 Glu Arg Gly Glu Glu Glu Pro Met Lys Arg Lys Lys Leu Asp Gln Asn 385 390 395 400 Met Ile Gln Tyr Leu His Glu Phe Val Lys Asp Thr Ala Asp Gly Pro 405 410 415 Lys Ser Glu Ser Lys Lys Ser Trp Ala Asp Ile Ala Glu Glu Glu Glu 420 425 430 Ala Glu Glu Glu Glu Glu Glu Arg Leu Gln Gly Glu Leu Lys Thr Ala 435 440 445 Glu Met 450 <210> 29 <211> 432 <212> PRT <213> Plant <400> 29 Met Ala Ala Ser Tyr Ser Cys Arg Arg Thr Cys Glu Ala Cys Ser Thr 1 5 10 15 Arg Ala Met Ala Gly Cys Val Val Gly Glu Pro Ala Ser Ala Pro Gly 20 25 30 Gln Arg Val Thr Leu Leu Ala Ile Asp Gly Gly Gly Ile Arg Gly Leu 35 40 45 Ile Pro Gly Thr Ile Leu Ala Phe Leu Glu Ala Arg Leu Gln Glu Leu 50 55 60 Asp Gly Pro Asp Ala Arg Leu Ala Asp Tyr Phe Asp Cys Ile Ala Gly 65 70 75 80 Thr Ser Thr Gly Gly Leu Ile Thr Ala Met Leu Ala Ala Pro Gly Asp 85 90 95 His Gly Arg Pro Leu Phe Ala Ala Ser Asp Ile Asn Arg Phe Tyr Leu 100 105 110 Asp Asn Gly Pro Leu Ile Phe Pro Gln Lys Arg Cys Gly Met Ala Ala 115 120 125 Ala Met Ala Ala Leu Thr Arg Pro Arg Tyr Asn Gly Lys Tyr Leu Gln 130 135 140 Gly Lys Ile Arg Lys Met Leu Gly Glu Thr Arg Val Arg Asp Thr Leu 145 150 155 160 Thr Asn Val Val Ile Pro Thr Phe Asp Val Arg Leu Leu Gln Pro Thr 165 170 175 Ile Phe Ser Thr Tyr Asp Ala Lys Ser Met Pro Leu Lys Asn Ala Leu 180 185 190 Leu Ser Asp Ile Cys Ile Ser Thr Ser Ala Ala Pro Thr Tyr Leu Pro 195 200 205 Ala His Cys Phe Gln Thr Thr Asp Asp Ala Thr Gly Lys Val Arg Glu 210 215 220 Phe Asp Leu Ile Asp Gly Gly Val Ala Ala Asn Asn Pro Thr Met Val 225 230 235 240 Ala Met Thr Gln Ile Thr Lys Lys Ile Met Val Lys Asp Lys Glu Glu 245 250 255 Leu Tyr Pro Val Lys Pro Ser Asp Cys Gly Lys Phe Leu Val Leu Ser 260 265 270 Val Gly Thr Gly Ser Thr Ser Asp Gln Gly Met Tyr Thr Ala Arg Gln 275 280 285 Cys Ser Arg Trp Gly Ile Val Arg Trp Leu Arg Asn Lys Gly Met Ala 290 295 300 Pro Ile Ile Asp Ile Phe Met Ala Ala Ser Ser Asp Leu Val Asp Ile 305 310 315 320 His Ala Ala Val Met Phe Gln Ser Leu His Ser Asp Gly Asp Tyr Leu 325 330 335 Arg Ile Gln Asp Asn Thr Leu His Gly Asp Ala Ala Thr Val Asp Ala 340 345 350 Ala Thr Arg Asp Asn Met Arg Ala Leu Val Gly Ile Gly Glu Arg Met 355 360 365 Leu Ala Gln Arg Val Ser Arg Val Asn Val Glu Thr Gly Arg Tyr Val 370 375 380 Glu Val Pro Gly Ala Gly Ser Asn Ala Asp Ala Leu Arg Gly Phe Ala 385 390 395 400 Arg Gln Leu Ser Glu Glu Arg Arg Ala Arg Leu Gly Arg Arg Asn Ala 405 410 415 Cys Gly Gly Gly Gly Glu Gly Glu Pro Ser Gly Val Ala Cys Lys Arg 420 425 430 <210> 3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3) <223> ZmOSD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1)..(23) <223> PAM Sequence <400> 30 tctgcctgta ctggagttat tgg 23 <210> 3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3) <223> ZmPAIR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1)..(23) <223> PAM Sequence <400> 31 ggaaggcgag gatggttccc ggg 23 <210> 3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3) <223> ZmREC8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1)..(23) <223> PAM Sequence <400> 32 ggaagtccca cgagtaatta tgg 23 <210> 3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3) <223> ZmREC8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1)..(23) <223> PAM Sequence <400> 33 ggaaggcgag gatggttccc ggg 23 <210> 3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SlOSD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34 cagaagcagg gagaatggca gg 22 <210> 3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SlSPO11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35 cagaagcagg gagaatggca gg 22 <210> 3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SlREC8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0)..(22) <223> PAM Sequence <400> 36 gcacaggagg aacctgctaa gg 22 <210> 3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primer_bind <222> (1)..(22) <223> SlMTL Gene Knockout site <220> <221> primer_bind <222> (21)..(22) <223> PAM Sequence <400> 37 tgattgccgg aacgagcacc gg 22

Claims (30)

  1.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및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여기에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돌연변이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과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되, 상기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상기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되, 상기 유전자 편집 기술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에 의해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전좌 발현 또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교잡종을 채취하고,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교잡종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한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어서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교잡종 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편집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상기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제어하는데 관여하고, 상기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상기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주어, 상기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다른 식물체의 유도 꽃가루를 주어서, 상기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물리적 자극, 생물학적 스트레스 또는 화학약제 처리에 의해, 상기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꽃밥 배양 또는 꽃가루 배양에 의해 상기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단자엽 식물과 쌍자엽 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벼, 옥수수, 수수, 조, 보리, 밀, 호밀, 귀리, 메밀, 율무, 사탕수수, 아스파라거스, 죽순, 부추, 참마, 대두, 감자, 완두, 녹두, 팥, 잠두, 동부콩, 강남콩, 강낭콩, 돌콩, 병아리콩, 카사바, 고구마, 유채, 목화, 사탕무, 가지, 땅콩, 찻잎, 박하, 커피, 참깨, 해바라기, 피마자, 들깨, 홍화, 토마토, 고추, 오이, 청경채, 상추, 시금치, 마늘, 양배추, 갓, 줄, 대파, 동과, 애호박, 수세미외, 배추, 무우, 양파, 수박, 포도, 당근, 콜리플라워, 호박, 담배, 목초, 코끼리풀, 수크령, 수단 그라스, 난초, 백합, 튤립, 개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종 강세를 보유하는, 식물 또는 종자.
  14. 제1항의 방법에 사용되는 식물이 잡종 강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시약 키트에 있어서, 상기 시약 키트는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 그리고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에 의해 교잡종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 또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의 벡터 및/또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은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과 생물학적 돌연변이 유발을 포함하고, 상기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CRISPR/Cas 유전자 편집 기술, CRISPR/Cpf1 유전자 편집 기술, TALEN 유전자 편집 기술, 호밍 엔도뉴클레아제 유전자 편집 기술과 ZFN 유전자 편집 기술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공학 기술은 형질전환기법에 의해 유전자의 특이적 발현, 전좌 발현 또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키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편집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이며, 상기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상기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제어하는데 관여하고, 상기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상기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키트.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MTL 단백질에 영향을 주어,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벡터 및/또는 시약을 포함하되, 상기 MTL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키트.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식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은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됨으로써 교잡종과 유전자형 및 염색체 배수성이 일치한 배우자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배우자는 유도되어 식물체 또는 종자로 발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로 개조된 식물이고, 상기 식물에는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이 이용되어 식물에서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조절됨으로써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며,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 공학 기술이 이용되어 식물에서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제4 단백질에 영향을 줌으로써, 배우자가 종자 또는 식물체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되, 상기 단백질은 제1 단백질, 제2 단백질과 제3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 손상의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고, 상기 제1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된 PAIR1 단백질,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4로 표시된 PAIR2 단백질,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5로 표시된 PAIR3 단백질,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AIR3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된 PRD1 단백질,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7로 표시된 PRD2 단백질,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RD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8로 표시된 SPO11-1 단백질,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19로 표시된 SPO11-2 단백질,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PO11-2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된 SDS 단백질,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SDS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1로 표시된 CRC1 단백질,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CRC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2로 표시된 P31comet 단백질,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P31comet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된 MTOPVIB 단백질,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OPVIB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4로 표시된 DFO 단백질,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DFO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2 단백질은 감수분열기 자매 염색체 간의 접착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상기 제2 단백질은
    서열번호 25로 표시된 REC8 단백질,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REC8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3 단백질은 감수분열의 제2차 분열에 관여하고, 상기 제3 단백질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된 OSD1 단백질,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OSD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7로 표시된 TAM 단백질,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AM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
    서열번호 28로 표시된 TDM1 단백질,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TDM1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4 단백질은
    서열번호 29로 표시된 MTL 단백질,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일치성을 갖는 단백질, 또는 상기 MTL 단백질과 적어도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98%의 서열 유사성을 갖는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22.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을 F1 세대에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얻는 단계 S1; 및
    유전자 돌연변이와 유전자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 배우자 또는 배아 발달 과정에 관여하는 것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기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S2를 포함하되, 관련된 단백질은 MTL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교잡 F1 세대 종자를 채취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함으로써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교잡종의 친본을 편집하고, 편집된 각각의 유전자가 모두 이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얻은 다음, 친본 간 교잡에 의해 교잡종을 얻고, 교잡종에서 두 개 친본 중 편집된 복수의 유전자가 모두 동형접합 돌연변이인 식물체를 선별하여,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이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된 F1 세대의 이배체 암배우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S1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REC8, OSD1, PAIR1 유전자를 넉아웃시킴으로써 생식세포의 감수분열을 유사한 유사분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상기 이배체 암배우자에게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주어서 상기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MTL 유전자를 넉아웃시킴으로써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S2는 다른 식물체의 반수체 유도계 꽃가루를 사용하여 상기 이배체 암배우자가 종자로 발달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교잡종은 F1 세대에 REC8, OSD1, PAIR1MTL 유전자를 동시에 넉아웃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벼, 옥수수, 수수, 조, 보리 및 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잡종 강세를 유지하는 방법.
KR1020207032225A 2018-04-12 2019-03-06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KR20200140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25528.4 2018-04-12
CN201810325528 2018-04-12
CN201811205889.1A CN109943585B (zh) 2018-04-12 2018-10-16 一种利用植物杂种优势的方法
CN201811205889.1 2018-10-16
PCT/CN2019/077154 WO2019196576A1 (zh) 2018-04-12 2019-03-06 一种利用植物杂种优势的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367A true KR20200140367A (ko) 2020-12-15

Family

ID=6700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225A KR20200140367A (ko) 2018-04-12 2019-03-06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10363537A1 (ko)
EP (1) EP3777525A4 (ko)
JP (1) JP2021520223A (ko)
KR (1) KR20200140367A (ko)
CN (2) CN111394386A (ko)
AU (2) AU2019250836A1 (ko)
BR (1) BR112020020900A2 (ko)
CA (1) CA3096898A1 (ko)
EA (1) EA202092307A1 (ko)
PH (1) PH12020551675A1 (ko)
WO (1) WO2019196576A1 (ko)
ZA (1) ZA2020067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2993A4 (en) * 2019-07-30 2024-01-10 Pairwise Plants Services Inc MORPHOGENE REGULA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1919743A (zh) * 2019-10-22 2020-11-13 蒋廉斌 无融合生殖白绒毛稻种的培育方法及应用
WO2021252619A1 (en) * 2020-06-09 2021-12-16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Heterozygous cenh3 monoco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haploid induction and simultaneous genome editing
CN112522259A (zh) * 2020-09-21 2021-03-19 华南农业大学 单倍体介导培育具有Oslg1突变体表型的株型改良水稻材料的方法
CN113416735B (zh) * 2021-03-17 2023-01-3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生殖细胞特异高表达基因及应用
CN113396818B (zh) * 2021-06-23 2022-05-27 中国水稻研究所 一种利用多倍体杂种优势的植物育种方法
CN117209577A (zh) * 2023-08-29 2023-12-12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植物减数分裂相关蛋白GmPRD1及其编码基因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4760C (zh) * 2005-06-22 2007-10-24 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个植物减数分裂基因及其编码蛋白与应用
EP2208790A1 (en) * 2009-01-07 2010-07-21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I.N.R.A.) Plants producing 2N gametes or apomeiotic gametes
EP3560951B1 (en) * 2009-10-06 2024-02-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Generation of haploid plants and improved plant breeding
US20140298507A1 (en) * 2010-12-01 2014-10-02 Mark D. Spiller Synthetic Clonal Reproduction Through Seeds
BR112013026600A2 (pt) * 2011-04-15 2016-12-27 Pioneer Hi Bred Int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a planta híbrida autorreprodutora, planta híbrida autorreprodutora, semente, cassete de supressão, planta e cassete de expressão
US9677082B2 (en) * 2013-03-15 2017-06-13 Syngenta Participations Ag Haploid induc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therefor
CN106661589A (zh) * 2014-06-02 2017-05-10 国家农艺研究所 在植物中产生二倍体配子的tdm基因中的显性突变
BR112018009986A2 (pt) * 2015-11-18 2019-02-05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ições de indução haploide e métodos para sua utilização
CN105821074B (zh) * 2016-03-14 2019-12-13 上海交通大学 水稻温敏雄性不育基因tms10的应用及育性恢复方法
AU2017234920B2 (en) * 2016-03-18 2023-08-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ducing clonal, non-reduced, non-recombined gametes
WO2018035070A2 (en) * 2016-08-16 2018-02-22 Monsanto Technology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lant haploid induction
CN106755077A (zh) * 2016-12-30 2017-05-31 华智水稻生物技术有限公司 利用crispr‑cas9技术对水稻cenh3基因定点突变的方法
CN106701803B (zh) * 2017-01-13 2019-03-08 中国农业大学 玉米母本单倍体主效诱导基因及应用
CN107177600B (zh) * 2017-06-29 2020-07-07 中国水稻研究所 水稻雄性不育基因OsFIGNL1及其应用
CN107298702B (zh) * 2017-08-09 2020-10-23 四川农业大学 一种水稻粒型相关蛋白及其编码基因
CN108503700B (zh) * 2018-06-13 2021-07-13 厦门大学 水稻粒型蛋白及其编码基因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63537A1 (en) 2021-11-25
BR112020020900A2 (pt) 2021-04-06
CN109943585A (zh) 2019-06-28
CN111394386A (zh) 2020-07-10
CA3096898A1 (en) 2019-10-17
EP3777525A4 (en) 2022-01-26
EA202092307A1 (ru) 2021-02-01
WO2019196576A1 (zh) 2019-10-17
EP3777525A1 (en) 2021-02-17
ZA202006748B (en) 2021-08-25
JP2021520223A (ja) 2021-08-19
CN109943585B (zh) 2020-05-15
PH12020551675A1 (en) 2021-06-07
AU2023200393A1 (en) 2023-03-16
AU2019250836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0367A (ko) 식물 잡종 강세를 이용하는 방법
AU2011336603B2 (en) Synthetic clonal reproduction through seeds
Meissner et al. A new model system for tomato genetics
Shu et 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plant mutation breeding.
CN113396818B (zh) 一种利用多倍体杂种优势的植物育种方法
CN108026540A (zh) 抗白粉病的小麦植物
CN109068605B (zh) 单性结实植物及其产生方法
CN105950651A (zh) 雄性不育基因OsGEN的应用及育性恢复的方法
US20220403409A1 (en) CCA Gene For Virus Resistance
WO2009133718A1 (ja) 遺伝子操作手法により作出される優性の雄性不稔性を用いる自殖性植物におけるゲノムシャッフリング法および同方法に基づく循環選抜育種システム。
KR20230098337A (ko) 단위결과성 수박 식물
CN109837295A (zh) 一种用基因编辑创制的水稻单倍体诱导系及其创制方法和应用
KR20230085165A (ko) 단위결과성 수박 식물
CN117296710B (zh) 一种快速创制细胞质雄性不育系的方法
CN117305326B (zh) 青花菜BoCENH3基因及其在单倍体诱导中的应用
WO2023135335A1 (en) Modified tom2a gene involved in tobamovirus resistance
WO2022038536A1 (en) Methods of increasing outcrossing rates in gramineae
Campbell Evaluating the utility and causative genetics of soybean mutants
CN114525300A (zh) 多核苷酸和蛋白质的应用及其单倍体诱导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