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313A -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Google Patents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8313A KR20200138313A KR1020207030922A KR20207030922A KR20200138313A KR 20200138313 A KR20200138313 A KR 20200138313A KR 1020207030922 A KR1020207030922 A KR 1020207030922A KR 20207030922 A KR20207030922 A KR 20207030922A KR 20200138313 A KR20200138313 A KR 202001383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isture
- layer
- trap layer
- resin layer
- barr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1—Silic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2—Titan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3—Alumin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4—Zirconi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400/12—Polym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트랩층을 구비하고, 이 수분 트랩층의 수분 트랩 성능이 최대한으로 발휘되어, 뛰어난 수분 배리어성을 나타내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는, 가스 배리어층(a1)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와, 필름 기재(A)를 하지(下地)로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을 포함하고, 수분 트랩층(B)의 필름 기재(A)와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40℃, 90%RH에서의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에 있는 보호 수지층(C)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분 트랩층을 구비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개발되어 실용되고 있는 각종의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태양 전지,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에서는, 수분에 의한 전하의 리크 등을 회피하기 위해, 고도의 수분 배리어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각종 플라스틱 기재(基材)의 특성, 특히 가스 배리어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에, 증착에 의해, 규소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박막(무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특허문헌 1), 이와 같은 무기 박막을 구비한 필름은, 배리어 필름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리어 필름은, 상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요구되는 수분 배리어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동시에 플라스틱 기재에 이용되는 수지의 잔류 수분이 디바이스를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또,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흡습성을 갖는 이온성 폴리머를 매트릭스로 하는 수분 트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도,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상기와 같은 수분 트랩층은, 증착 등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무기 배리어층 상에, 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트랩층 형성용의 도포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성막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층의 형성에 의해 뛰어난 수분 배리어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높은 수분 트랩 성능을 갖는 수분 트랩층이 설치되어 있는 배리어 필름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그 수분 배리어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트랩층을 구비하고, 이 수분 트랩층의 수분 트랩 성능이 최대한으로 발휘됨으로써, 뛰어난 수분 배리어성을 나타내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와, 해당 필름 기재(A)를 하지(下地)로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을 포함하고, 해당 수분 트랩층(B)의 해당 필름 기재(A)와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40℃, 90%RH에서의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에 있는 보호 수지층(C)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는,
(1) 상기 수분 트랩층(B)은, JIS-7251에 준거하여 230℃에서 측정한 함수량이 0.15g/g 이하로 유지되어 있는 것,
(2) 상기 수분 트랩층(B)이, 흡습성의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는 것,
(3) 상기 수분 트랩층(B)이, 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흡습성 매트릭스 중에, 추가로 해당 매트릭스보다도 도달 습도가 저습도인 흡습제가 분산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
(4) 상기 수분 트랩층(B) 중에 포함되는 이온성 폴리머가, 양이온성 폴리머인 것,
(5) 상기 보호 수지층(C)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
(6) 상기 보호 수지층(C)이, 0.1∼15㎛의 두께를 갖고 있는 것,
(7) 상기 보호 수지층(C)에는, 굴절률 조정제로서의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배합되어 있는 것,
(8) 상기 금속 산화물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인 것,
(9) 상기 보호 수지층(C)의 위에 투명 도전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는,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를 하지로 하여 수분 트랩층(B)이 형성되어 있다는 기본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와 같은 수분 트랩층의 위에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에 있는 보호 수지층(C)이 적층되어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을 갖는 것이고, 이와 같은 투습도를 갖는 보호 수지층(C)이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제조 과정에서의 수분 트랩층의 흡습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수분 트랩층이 건조 상태로 유지된 채인 상태에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사용에 제공할 수 있어, 수분 트랩층에 의한 수분 배리어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를 하지로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은, 형성 후, 건조 처리를 행하여, 수분 트랩층(B) 중의 흡습 수분을 방출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즉, 수분 트랩층(B)의 흡습 수분이 많을수록,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이 단시간에 포화되어 버려, 수분 트랩성이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 있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적층체에서는, 플라스틱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 트랩층은, 제 2 무기 배리어층을 구비한 배리어 필름에, 제 2 무기 배리어층의 하지로 되어 있는 유기층에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적층체에 있어서, 수분 트랩층의 건조 처리는, 제 2 무기 배리어층을 구비한 배리어 필름에 적층하기 전의 단계에서 행하여진다. 배리어 필름을 적층한 후에는, 수분 트랩층이 2개의 무기 배리어층에 샌드위치된 구조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분 트랩층 중의 흡습 수분을 방출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수분 트랩층의 건조는, 건조제가 분산되어 있는 건조제 시트를 첩부(貼付)하고, 이것을 가열된 건조 분위기 중에 공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건조제 시트를 첩부하지 않고 건조를 행한 경우, 수분 트랩층으로부터 방출된 수분이 다시 수분 트랩층에 흡습되어 버리기 때문에, 건조제 시트를 첩부함으로써, 수분 트랩층의 재흡습을 방지하고, 또한, 건조제 시트에 의한 데시컨트 효과에 의해, 건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수분 트랩층의 건조 처리가 행하여진 건조 처리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롤 등에 권취(卷取)되어 보관되고, 적당한 때에, 롤로부터 권출(卷出)되어, 건조제 시트를 떼어내면서, 상기의 제 2 무기 배리어층을 구비한 배리어 필름을 적층해 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수분 트랩층의 건조를 행하고 또한 배리어 필름의 적층을 행하는 것인데,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건조제 시트를 떼어낸 후, 배리어 필름을 적층하기까지의 단시간에 수분 트랩층의 흡습이 발생하고, 이때의 흡습에 의해, 수분 트랩층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게다가, 이와 같은 단시간에서의 흡습은, 수분 트랩층의 성능이 높은 것일수록 현저하고, 그 성능 저하가 크다.
예를 들면, 건조된 수분 트랩층을, 23℃, 40%RH의 환경하에 폭로(暴露)했을 때, 이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은, 30초 후에는, 트랩층 1g당 약 0.15g 증대한다. 따라서, 건조제 시트를 떼어낸 후의 수분 트랩층의 흡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라인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고, 건조제 시트 떼어냄 후, 즉시 배리어 필름의 적층을 행하면 되지만, 이와 같은 라인 속도를 빠르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에 있는 보호 수지층을 수분 트랩층의 위에 형성했을 때에는, 30초 후의 함수량의 증대량은, 트랩층 1g당 약 0.10g 이하로 저감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한 투습도를 갖고 있는 보호 수지층(C)을 설치해 둠으로써, 건조제 시트를 떼어낸 후의 수분 트랩층의 흡습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수분 트랩층의 성능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호 수지층(C)의 투습도가 낮을수록, 수분 트랩층(B)의 흡습 방지 효과가 높지만, 이 투습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면, 수분 트랩층의 건조 시에 있어서, 수분 트랩층으로부터의 흡습 수분의 방출이 제한되어 버리고, 또, 수분 트랩층에 의한 데시컨트 효과도 저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보호 수지층(C)의 투습도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층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에 설치되어 있는 수분 트랩층(B)의 건조에 사용하는 건조제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에 설치되어 있는 수분 트랩층(B)의 건조에 사용하는 건조제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전체로서 1로 나타내어져 있는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와, 이 필름 기재(A)를 하지로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을 구비하고, 이 수분 트랩층(B)의 표면, 즉, 필름 기재(A)와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수지층(C)이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는, 수분의 침입을 꺼리는 각종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가 디바이스의 외측(고습도 분위기하)에 위치하고, 보호 수지층(C)이 디바이스의 내부(저습도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사용된다.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
이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는, 후술하는 보호 수지층(C)에 비해 투습도가 상당히 낮은 필름이고, 예를 들면, 40℃, 상대습도 90%에서의 투습도가 1.0g/㎡/day 이하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은 필름 기재(A)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 또는 가스 배리어성 수지의 층이, 적절히, 접착제 수지층을 개재하여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외층 사이의 중간층으로서 설치된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기 배리어층(a1)이 플라스틱 기재층(a2)을 하지로 하여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배리어층(a1)은, 플라스틱 기재층(a2)을 하지로 하여 형성되는 층이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공보 등에 의해 공지된 것이어도 되며, 스퍼터링,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등으로 대표되는 물리 증착이나, 플라스마 CVD로 대표되는 화학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질의 증착막, 예를 들면 각종 금속 내지 금속 산화물에 의해 형성되는 막인 것이,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고, 특히, 요철을 갖는 면에도 균일하게 성막되어, 산소뿐만 아니라 수분에 대해서도 뛰어난 배리어성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플라스마 CVD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마 CVD에 의한 증착막은, 소정의 진공도로 유지된 플라스마 처리실 내에 무기 배리어층(a1)의 하지가 되는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기재층(a2)을 배치하고, 막을 형성하는 금속 또는 해당 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가스(반응 가스) 및 산화성 가스(통상 산소나 NOx의 가스)를, 적절히, 아르곤, 헬륨 등의 캐리어 가스와 함께, 가스 공급관을 이용하여, 금속 벽으로 쉴드되고 또한 소정의 진공도로 감압되어 있는 플라스마 처리실에 공급하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파 전계나 고주파 전계 등에 의해 글로(glow) 방전을 발생시켜, 그 전기 에너지에 의해 플라스마를 발생시키고, 상기 화합물의 분해 반응물을 플라스틱 기재층(a2)의 표면에 퇴적시켜 성막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의 반응 가스로는, 일반적으로, 하지인 기재층(a2)의 계면에 탄소 성분을 포함하는 유연한 영역을 갖고 또한 그 위에 산화도가 높은 배리어성이 뛰어난 영역을 갖는 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유기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알킬알루미늄 등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이나, 유기티탄 화합물, 유기지르코늄 화합물, 유기규소 화합물 등의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무기 배리어층(a1)을 비교적 용이하게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기규소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무기 배리어층(a1)의 두께는, 하지가 되는 플라스틱 기재층(a2)의 두께에 따라, 소정의 수분 투과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두께로 설정되고, 일반적으로, 4 내지 500nm, 특히 30 내지 400nm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의 무기 배리어층(a1)은, 증착 등의 수법에 의하지 않고, 코팅 등에 의해 플라스틱 기재층(a2)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 배리어층(a1)은, 상술한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면, 산소 배리어성 등의 특성은 낮지만, 요구되는 산소 등에 대한 배리어성의 정도에 따라서는, 코팅에 의해 무기 배리어층(a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무기 배리어층(a1)으로는, 폴리실라잔이나, 중축합성의 실란 화합물(예를 들면, 알콕시실란 등), 중축합성의 알루미나 화합물(예를 들면 알콕시알루미늄 등)을 성막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적절히,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무기 미립자가 혼합된 유기용매 용액을 이용하여, 이것을 소정의 면에 도포하고, 가열해, 유기용매를 휘산하여 성막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플라스틱 기재층(a2)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무기 배리어층(a1)의 하지가 되는 것이며, 통상,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의 수지에 의해, 그 형태에 따라, 사출 내지 공(共)사출 성형, 압출(押出) 내지 공압출 성형, 필름 내지 시트 성형, 압축 성형, 주형(注型) 중합 등에 의해 성형된다.
일반적으로는, 성형성이나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적합하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끼리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나 환상 올레핀 폴리머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에틸렌·초산(酢酸)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폴리비닐 화합물;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그 외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불소 수지, 알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케톤 수지, 아미노 수지, 또는 생분해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유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나, 이들 수지가 적절히 공중합에 의해 변성된 것(예를 들면, 산 변성 올레핀 수지 등)이어도 된다.
또 이 플라스틱 기재층(a2)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같은 산소 배리어성이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즉,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재층(a2)을 하지로 하여, 전술한 무기 배리어층(a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수의 용이성, 코스트, 성형성, 또는 산소나 수분에 대하여 다소나마 배리어성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무기 배리어층(a1)의 하지로서 적합하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이미드 수지,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나 환상 올레핀 폴리머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필름을 기재층(a2)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상술한 플라스틱 기재층(a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우면, 이 필름 기재(A)의 수분 투과율이 커져, 전술한 수분 투과율을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 필름 기재(A)의 플렉시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기재층(a2)의 두께는, 통상, 200㎛ 이하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로 하며, 이 범위에서 배리어 필름(1)의 수분 투과율이 전술한 범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를 하지로 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수분 트랩층(B)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수분 트랩층(B)이, 무기 배리어층(a1)을 하지로 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물론, 플라스틱 기재층(a2)을 하지로 하여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 무기 배리어층(a1)이 흠집남 등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무기 배리어층(a1)을 하지로 하여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트랩층(B)>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 트랩층(B)은, 상술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의 두께 방향으로 흐르는 수분을 차단하는 것이며, 수분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설치된다.
이 수분 트랩층(B)은, 수분 차단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수지층 중에 제올라이트 등의 흡습제를 분산시킨 것 등, 그 자체 공지의 층이어도 된다. 그러나, 특히, 수분에 대한 높은 배리어성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면 10-5g/㎡/day 이하, 더 나아가서는, 10-6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23℃, RH 50%)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이온성 폴리머에 의해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이 이온성 폴리머를 매트릭스로 하고, 이 매트릭스 중에 이온성 폴리머보다도 도달 습도가 낮은 흡습제를 분산시킴으로써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이와 같은 이온성 폴리머를 매트릭스로 하는 것은, 수분 포착성이 뛰어나고, 또한 도달 습도가 낮은 흡습제가 분산되어 있는 것은, 수분 흡수에 기인하는 팽윤 등의 변형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분 트랩층(B)의 형성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이온성 폴리머에는, 양이온성 폴리머와 음이온성 폴리머가 있다.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알릴아민, 에틸렌이민, 비닐벤질트리메틸아민, [4-(4-비닐페닐)-메틸]-트리메틸아민, 비닐벤질트리에틸아민 등의 아민계 단량체;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의 함(含)질소 복소환계 단량체; 및, 그들의 염류;로 대표되는 양이온성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을, 적절히,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 함께, 중합 내지 공중합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산 처리에 의해 부분 중화시켜 얻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양이온성 폴리머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등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그 상세는 생략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알릴아민이 성막성 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한편, 음이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말레인산 등의 카르본산계 단량체; α-할로겐화 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등의 술폰산계 단량체; 비닐인산 등의 포스폰산계 단량체; 및 이들 단량체의 염류; 등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을, 적절히,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 함께 중합 내지 공중합시키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알칼리 처리에 의해 부분 중화시켜 얻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에 대해서도,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등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그 상세는 생략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그 부분 중화물(예를 들면 일부가 Na염인 것)이다.
또, 상기의 이온성 폴리머 중에 배합함으로써 팽윤에 의한 변형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는 흡습제, 즉, 이온성 폴리머보다도 도달 습도가 낮은 흡습제로는, 예를 들면, 습도 80%RH 및 온도 30℃의 환경 조건에서의 도달 습도가 6%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즉, 이 흡습제의 도달 습도가 이온성 폴리머보다도 높으면, 매트릭스에 흡수된 수분의 가둠이 충분하지 않아, 수분의 방출 등을 발생시키기 쉬워지지만, 이온성 폴리머보다도 도달 습도가 낮은 흡습제가 이온성 폴리머 중에 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습도 분위기에서도 수분을 효과적으로 트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온성 폴리머에 흡수된 수분을 해당 흡습제에 의해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의 방출을 억제하여, 높은 수분 배리어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흡습제는, 일반적으로 습도 80%RH 및 온도 30℃ 분위기하에서 20% 이상의 흡수율(JIS K-7209-1984)을 갖고 있고, 무기계 및 유기계의 것이 있다.
무기계의 흡습제로는,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활성탄,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점토 광물, 실리카겔, 산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의 흡습제로는, 음이온계 폴리머 또는 그 부분 중화물의 가교물을 들 수 있다. 이 음이온계 폴리머로는, 카르본산계 단량체((메타)아크릴산이나 무수 말레인산 등), 술폰산계 단량체(할로겐화 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등), 포스폰산계 단량체(비닐인산 등) 및 이들 단량체의 염류 등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을, 중합 또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유기계의 흡습제가 유효하다. 예를 들면, 가교 폴리(메타)아크릴산 Na의 미세 입자 등이 대표적인 유기계 흡습제이다.
또, 상기의 흡습제 중에서는, 비(比)표면적이 대(大)가 되고, 높은 흡습성을 나타낸다는 관점에서 입경(粒徑)이 작은 흡습제가 바람직하고(예를 들면, 평균 일차 입자 지름이 100nm 이하, 특히 80nm 이하), 특히 입경이 작은 유기계 폴리머의 흡습제가 최적이다.
즉, 유기계 폴리머의 흡습제는, 이온성 폴리머의 매트릭스에 대한 분산성이 극히 양호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법으로서 유화 중합이나 현탁 중합 등을 채용함으로써, 그 입자 형상을 미세하고 또한 고른 구(球)형상으로 할 수 있어, 이것을 어느 정도 이상 배합함으로써, 극히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입경이 작은 유기계 폴리머의 흡습제에서는, 전술한 도달 습도가 현저하게 낮아, 높은 흡습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가교에 의해 팽윤에 의한 체적 변화도 극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체적 변화를 억제하면서, 환경 분위기를 절건(絶乾) 상태 또는 절건 상태에 가까운 데까지 습도를 저하시키는 데 있어서 최적이다.
이와 같은 유기계 흡습제의 미립자로는, 예를 들면 가교 폴리아크릴산 Na 미립자(평균 입자 지름 약 70nm)가 콜로이드 분산액(pH=10.4)의 형태로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터프틱(TAFTIC) HU-820E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흡습제의 양은, 그 특성을 충분히 발휘시켜, 수분 배리어성의 현저한 향상 및 팽윤에 의한 치수 변화를 유효하게 억제시키는 동시에, 무기 배리어층(a1)이 나타내는 배리어성보다도 높은 수분 배리어성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이온성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양이온성 폴리머 중에 상기의 흡습제를 분산시켜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폴리머 100 질량부당, 50 질량부 이상, 특히 100 내지 900 질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200 내지 600 질량부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음이온성 폴리머 중에 흡습제를 분산시키는 경우에는, 음이온성 폴리머 100 질량부당, 50 질량부 이상, 특히 100 내지 1300 질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150 내지 1200 질량부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이온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수분 트랩층(B)에서는, 이온성 폴리머에 가교 구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즉, 이온성 폴리머 중에 가교 구조가 도입되어 있으면, 물을 흡수했을 때, 이온성 폴리머의 분자가 가교에 의해 서로 구속되게 되어, 팽윤(수분 흡수)에 의한 체적 변화를 억제하여,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가교 구조는,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 조성물 중에 가교제를 배합해 둠으로써 도입할 수 있다. 특히 음이온성 폴리머의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와는 달리, 수소결합에 의한 물의 포착뿐이므로, 흡습에 적합한 공간인 그물코 구조(가교 구조)를 매트릭스 중에 도입함으로써, 그 흡습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 구조를 도입하기 위한 가교제는, 양이온성 폴리머에 가교 구조를 도입하는 경우와, 음이온성 폴리머에 가교 구조를 도입하는 경우에서 약간 다르다.
양이온성 폴리머용의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등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기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성 관능기(예를 들면, 에폭시기)와, 가수분해와 탈수 축합을 거쳐 가교 구조 중에 실록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예를 들면, 알콕시실릴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X-SiR1 n(OR2)3 - n (1)
식 중, X는,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또는 이소프로필기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이와 같은 실란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식 (1) 중의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기 X로는, γ-글리시독시알킬기가 대표적이고, 예를 들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나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이 가교제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식 (1) 중의 에폭시기가, 에폭시시클로헥실기와 같은 지환식 에폭시기인 것도 가교제로서 적합하다. 예를 들면,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지환식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가교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매트릭스의 가교 구조 중에, 실록산 구조와 함께, 지환 구조가 도입된다. 이와 같은 지환 구조의 도입은, 흡습에 적합한 공간인 그물코 구조를 형성한다는 매트릭스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교 구조 중에 지환 구조를 도입하기 위해, 복수의 에폭시기와 지환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 예를 들면,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에스테르를,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G-O(C=O)-A-(C=O)O-G
(2)
식 중, G는, 글리시딜기이고,
A는, 지방족환을 갖는 2가의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시클로알킬렌기이다.
이와 같은 디글리시딜에스테르의 대표적인 것은, 하기의 식 (2-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즉, 식 (2)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는, 알콕시실릴기를 갖고 있지 않지만, 가교 구조 중에 지환 구조를 도입하기 위해, 매트릭스 중에 흡습에 적합한 공간인 그물코 구조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상술한 가교제는, 양이온성 폴리머 100 질량부당, 5 내지 60 질량부, 특히 15 내지 50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가교제의 적어도 7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 전술한 식 (1)의 실란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이온성 폴리머에 가교 구조를 도입하기 위한 가교제로는, 역시 일본국 특개 2015-96320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가 갖고 있는 이온성기와 반응하여 얻는 가교성 관능기(예를 들면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양이온성 폴리머용의 가교제에서도 예로 들어진 식 (2)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G-O(C=O)-A-(C=O)O-G
(2)
식 중, G는 글리시딜기이고,
A는 지방족환을 갖는 2가의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시클로알킬렌기이다.
즉, 상기 식 (2)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에폭시기가 음이온성기와 반응하고, 2가의 기 A에 의한 지환 구조를 포함하는 가교 구조가 매트릭스 중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환 구조를 포함하는 가교 구조에 의해, 팽윤의 억제를 가져온다.
특히, 상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 중에서도 적합한 것은, 앞에도 열거되어 있고, 특히, 흡습에 적합한 공간인 그물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앞의 식 (2-1)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에스테르가 가장 적합하다.
이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용의 가교제는, 음이온성 폴리머 100 질량부당, 1 내지 50 질량부, 특히 10 내지 40 질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 트랩층(B)의 형성은, 소정의 흡습성의 폴리머나 흡습제 등을 유기용매에 용해 내지 분산시킨 코팅 조성물을, 전술한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의 표면, 특히 무기 배리어층(a1)의 표면에 도포하고,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기술하는 보호 수지층(C)을 설치함으로써,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230℃, JIS-7251에 준거)이 0.15g/g 이하, 특히 0.1g/g 이하의 범위로 유지되는 것이 적합하고, 이것에 의해, 수분 트랩층(B)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켜, 뛰어난 수분 배리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호 수지층(C)>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의 위에, 보호 수지층(C)이 설치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보호 수지층(C)은, 40℃, 상대습도 90%에서의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0×102∼3.0×104g/㎡/day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즉, 이 투습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크면, 후술하는 건조 처리 후에, 건조제 시트를 떼어낸 후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가 빠르고, 예를 들면,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투습도가 상기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 수분 트랩층(B)으로부터의 수분의 방출이 크게 제한되어 버리고, 이 결과, 건조를 효율 좋게 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함수량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수분 트랩층(B)으로부터 수분을 방출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투습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호 수지층(C)의 형성에 사용되는 수지가 갖는 수분 배리어성의 정도에 따라서, 원하는 투습도가 얻어지는 것과 같은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보호 수지층(C)은, 여러 가지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수분 트랩층(B)의 표면에의 코팅에 의해 용이하게 보호 수지층(C)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상,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또, 보호 수지층(C) 자체는, 수분 배리어성 또는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산성의 관점에서 그 두께는, 예를 들면 0.1∼15㎛, 특히 0.3∼10㎛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두께로 전술한 투습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호 수지층(C)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는, 적당한 수분 배리어성을 나타내는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 등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올레핀계 수지, 이들 수지가 적절히 공중합에 의해 변성된 것 등에 의해, 보호 수지층(C)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보호 수지층(C)은, 상기의 수지를 적당한 휘발성 용제에 용해시킨 도포액을 조제하여, 이 도포액을 수분 트랩층(B)의 표면, 즉,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코팅하고, 형성된 도포층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휘산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처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하여 수분 트랩층(B) 상에 보호 수지층(C)을 형성한 후에는, 수분 트랩층(B)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방출하기 위해 건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건조 처리는, 통상, 얻어진 적층체(1)를, 적절히, 감압하에 가열함으로써 행해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건조 처리가, 보호 수지층(C) 상에 건조제 시트를 첩부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즉, 전술한 보호 수지층(C)은, 적당한 수분 투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건조제 시트를 보호 수지층(C)에 첩부함으로써, 보호 수지층(C)을 개재하여 수분 트랩층(B)에 포함되는 수분을 포착할 수 있어, 수분 트랩층(B) 중의 수분 함량을 효율 좋게 대폭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건조제 시트를 첩부하지 않고 건조를 행하면, 건조 처리 후의 보관 시에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을 발생시켜 버려, 실제 사용 시에, 수분 트랩층(B)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 감압하의 가열 건조만으로는, 수분 트랩층(B)으로부터 방출된 수분의 일부가, 다시, 수분 트랩층(B)에 트랩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을 전술한 범위 내로 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상기의 건조제 시트로는, 실리카겔 등의 건조제가 수지 중에 분산되어 있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확실히, 함수율을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의 건조제 시트(10)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2에 있어서, 이 건조제 시트(10)는, 흡습성 수지층(11)과, 흡습성 수지층(11)의 한쪽의 면에 설치된 표면 보호 수지층(13)을 구비하고 있고, 흡습성 수지층(11)의 다른쪽의 표면(표면 보호 수지층(13)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이 흡습성 기능면(15)으로 되어 있으며, 이 면(15)이, 전술한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떼어냄 가능하게 첩부된다.
이러한 건조제 시트(10)에 있어서, 흡습성 수지층(11)은, 건조제가 분산되어 있는 수지층이며, 건조제로는, 그 자체 공지의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건조제가 사용된다.
무기계의 건조제로는,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활성탄,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점토 광물, 실리카겔, 산화칼슘, 산화바륨,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의 건조제로는, 음이온계 폴리머 또는 그 부분 중화물의 가교물을 들 수 있다. 이 음이온계 폴리머로는, 카르본산계 단량체((메타)아크릴산이나 무수 말레인산 등), 술폰산계 단량체(할로겐화 비닐술폰산, 스티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등), 포스폰산계 단량체(비닐인산 등) 및 이들 단량체의 염류 등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을, 중합 또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분 트랩층(B)으로부터 방출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제올라이트나 실리카겔 등의 물리적 흡착에 의해 수분을 포착하는 건조제보다도, 물과의 반응에 의한 화학 흡착성을 나타내는 건조제, 예를 들면, 산화칼슘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의 건조제는,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고, 또한 비표면적이 크다는 관점에서, 그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 산란법으로 측정한 체적 환산에서의 평균 일차 입자 지름(D50)이 20㎛ 이하인 것이 적합하고, 통상, 매트릭스인 수지 100 질량부당 5∼80 질량부의 양으로 흡습성 수지층(11)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흡습성 수지층(11)에서의 매트릭스인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건조제 시트의 표면 보호 수지층(13) 또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보호 수지층(C)에 대한 첩부성 또는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수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끼리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특히 흡습성이 낮고, 흡습성 수지층(11)으로부터의 수분의 방출이 유효하게 방지되며, 사용 전의 건조제의 실활(失活)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혼합물이 적합하고, 그 중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 보호 수지층(13)은, 분위기 중으로부터의 흡습성 수지층(11)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며, 이와 같은 수분 배리어성을 확보하기 위해, 40℃, 90%RH에서의 수분 투과율이 40g/㎡/day 이하, 특히 20g/㎡/day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즉, 이 수분 투과율이 높으면, 건조 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제조 공정이나 처리 단계에서, 분위기 중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에 의해, 흡습성 수지층(11) 중의 건조제의 흡습성이 단시간에 손상되어 버린다.
표면 보호 수지층(13)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상기와 같은 수분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얇은 두께로 상기 수분 투과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흡습성 수지층(11)의 형성에 사용되는 올레핀 수지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며, 흡습성 수지층(11)과의 접착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에틸렌계 수지 또는 프로필렌계 수지가 최적이다.
상기와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표면 보호 수지층(13)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그 두께가 40㎛ 이하, 특히 30㎛ 이하에서 소정의 수분 투과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건조 처리에 이용하는 건조제 시트(10)에서는, 표면 보호 수지층(13)에 의해, 분위기 중으로부터의 흡습성 수지층(11)으로의 수분의 침입이 방지되고, 또, 흡습성 수지층(11)의 다른쪽의 면이 흡습성 기능면(15)이 되어, 이 면(15)으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이 건조제에 의해 포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건조제 시트(10)의 흡습성 기능면(15)을 전술한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첩부하고, 건조 처리를 행하여, 그대로 보관해 둠으로써,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을 소정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제 시트(10)의 보호 수지층(C)에의 첩부는, 흡습성 기능면(15)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의 블로킹성을 이용하여, 흡습성 기능면(15)을 직접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일시적으로 첩부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첩부하는 것이, 보관, 반송 시에 있어서의 박리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다.
이와 같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수지층(C)에 첩부하는 경우, 흡습성 기능면(15)과 보호 수지층(C)의 사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지만, 이 점착제층(도 2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음)은, 흡습성 기능면(15)의 흡습성을 저해하는 것이어서는 안 되며, 따라서, 이 점착제층은, 전술한 표면 보호 수지층(13)보다도 수분 투과율이 높고, 예를 들면 40℃, 90%RH에서의 수분 투과율이 40g/㎡/day 이상, 특히 60g/㎡/day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점착제로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점착제에 의해 상기와 같은 수분 투과율이 확보되도록 일정 두께 이하(예를 들면, 30㎛ 이하)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된다.
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연질 폴리올레핀(LLDPE), 메탈로센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도 점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점착제는, 이 건조제 시트(10)를 첩부하는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대한 점착력이 0.3N/25mm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점착력을 조정해 둠으로써, 보호 수지층(C)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신속하게 건조제 시트(10)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점착력의 조정은, 건조제 시트(10)를 첩부하는 보호 수지층(C)의 재질에 따라서, 점착제를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 중에 가교 구조를 도입하거나, 또는 점착제 중에 활제(滑劑) 등을 배합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술한 건조제 시트(10)는, 예를 들면, 흡습성 수지층(11) 형성용의 건조제 함유 수지 조성물과 표면 보호 수지층(13) 형성용의 수지를 이용하여 공압출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형성된 흡습성 수지층(11)의 표면에 점착제를 롤 도포하거나, 또는 용제 함유의 점착제 도포 조성물을 도포하여, 적절히 건조하면 된다. 또, 점착제로서 사용하는 수지와의 3층 공압출에 의해 성형할 수도 있다.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의 사용 형태>
상기와 같이 건조제 시트(10)를 첩부한 건조 처리 종료 후에는, 통상, 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필름(1)을, 건조제 시트(10)가 첩부된 채인 상태로 롤에 권취되어 보관된다. 즉, 롤에 권취된 상태에서는, 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는, 건조제 시트(10)에 샌드위치되어 있는 형태로 유지되어 있고, 따라서, 이와 같은 보관 상태로,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을 전술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는, 건조제 시트(10)를 떼어낸 후, 사용에 제공되게 되는데, 이때에 본 발명의 뛰어난 효과가 발현한다. 즉,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에서는, 수분 트랩층(B)의 표면에 보호 수지층(C)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호 수지층(C)이 적당한 수분 배리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시(經時)에 의한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의 증대가 억제되고 있고, 예를 들면 30초간의 폭로 시에,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이 전술한 범위(0.15g/g 이하, 특히 0.1g/g 이하)로 유지된다. 즉, 이 시간 내에, 각종 디바이스의 내부에 수분 트랩층(B)이 보호 수지층(C)을 개재하여 대면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분 트랩층(B)에 의한 수분 포착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켜, 장기에 걸쳐 뛰어난 수분 배리어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에 다른 수분 배리어성 적층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그 수분 배리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적층 작업 동안의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을, 보호 수지층(C)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적층 작업은, 통상, 건조제 시트(10)를 떼어낸 후, 이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아크릴계, 에폭시계 또는 우레탄계 등의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를 롤 코트하고, 접착제의 도포면에, 다른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의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를 접착한다. 이러한 적층 작업을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수분 배리어성 적층 시트(1)의 다층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데, 보호 수지층(C)의 존재에 의해, 이와 같은 적층 작업 중의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수분 트랩층(B)의 함수량의 증대가 유효하게 회피된다. 즉, 극단적으로 빠른 라인 속도로 적층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을 회피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또, 이 수분 트랩층(B)은, 상기의 건조제 시트(10)에 의한 건조 처리 외에, 진공 가열 건조나 트랩층(B)을 도포 형성할 때의 오븐 베이킹에 의해서도 함수량을 저감할 수 있지만, 그 후의 함수량의 증가도 보호 수지층(C)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는, 수분 트랩층(B)에 의한 수분 배리어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단독으로, 또는 상술한 다층 구조체로서, 예를 들면 공지의 감압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각종 디바이스에 첩부함으로써, 밀봉(封止)재로서 사용되어, 디바이스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디바이스 내부를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수분에 의한 전하의 리크 등의 문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기 EL 소자, 태양 전지, 터치 패널, 전자 패널 등, 특히 수분에 의한 전하의 리크를 꺼리는 유기 디바이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모두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어, 디바이스 내의 회로 기판에는, 투명 도전막이 설치되지만,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에서는, 전술한 건조 처리를 행하고, 건조제 시트(10)를 떼어낸 후,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투명 도전막을 설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투명 도전막을 설치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이용하여, 각종 디바이스의 회로 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투명 도전막은, 예를 들면, ITO(산화주석 도프 산화인듐)나 Ga나 Al 등을 도프한 산화아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보호 수지층(C)의 표면에 증착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투명 도전막을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는, 그 사이의 수분 트랩층(B)의 흡습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투명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호 수지층(C)에는, 굴절률을 조정하기 위한 금속 산화물을 배합해 두고, 각종 디바이스의 기판이 갖는 굴절률(예를 들면 투명 도전막의 굴절률)과 동일한 정도의 굴절률을 확보함으로써, 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1)에 의한 광취출 효율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굴절률 조정용의 금속 산화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금속 산화물은, 통상, 평균 입경(레이저 회절 산란법에 의한 체적 환산의 평균 입경 D50)이 5∼100nm 정도의 미립자의 형태로 보호 수지층(C)에 배합된다. 그 배합량은, 통상, 수지 100 질량부당 100∼400 질량부 정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뛰어난 성능을 이하의 실험예에 의해 설명한다.
<건조제 시트의 제작>
표면 보호 수지층으로서, LDPE(스미또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카센)를 이용하고, 표면 보호 수지층용 압출기에 투입했다. 흡습성 수지층으로서, 건조제로서 산화칼슘 함유 LLDPE 마스터 배치(오미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Bell-CML)와 건조제 분산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인 LDPE(스미또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미카센)를 수지 성분 75 질량부에 대해 흡습 기능 성분(여기에서는 산화칼슘)이 25 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흡습성 수지층용 압출기에 투입했다. 표면 보호 수지층 및 흡습성 수지층의 공압출에 의해, LLDPE(표면 보호층, 15㎛)/CaO 함유 LLDPE층(흡습성 수지층, 30㎛)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성형했다.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건조 처리>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및 상기 건조제 시트를 각각 5cm×5cm의 크기로 컷하고,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보호 수지층(C)과 상기 건조제 시트의 흡습성 수지층이 밀착하도록 1장씩 겹쳐서, 알루미늄 봉투에 봉입, 탈기(脫氣)하고, 70℃의 오븐 내에 7일간 정치(靜置)하여, 건조 처리를 실시했다.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함(含)수분 평가 1>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에, 상기 건조 처리를 실시한 후, 적층체의 함수분을 카알 피셔(Karl Fischer)법에 의해 측정했다(적층체 검출 수분량 X).
또, 레퍼런스로서, 수분 트랩층을 갖지 않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마찬가지의 건조 처리를 실시한 후, 적층체의 함수분을 카알 피셔법에 의해 측정했다(레퍼런스 검출 수분량 Y).
하기의 식에 의해, 건조 처리 후의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A)을 산출했다.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A)[g/g]=(X-Y)/Z
X: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검출 수분량
Y: 레퍼런스의 검출 수분량
Z: 수분 트랩층의 중량
또, 함수량(A)을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 0.04[g/g] 미만
○: 0.04[g/g] 이상 0.1[g/g] 미만
×: 0.1[g/g] 이상
또한, 건조 처리 전의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은 0.25[g/g]였다.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함수분 평가 2>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상기 함수분 평가 1의 방법으로 건조 처리를 실시하여,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을 저감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별도로, 배리어 필름 적층체로서, 규소 산화물층(무기 배리어층)을 갖는 시판 배리어 필름(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L-RD, 기재: PET(12㎛))의 PET면끼리를 두께 1.8㎛의 우레탄계 접착제(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사 제조 A-980/A-19)를 이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것을 제작했다. 이어서, 상기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로부터 상기 건조제 시트를 23℃ 40%RH의 환경에서 박리하여 30초간 폭로한 후, 즉시 상기 배리어 필름 적층체를 두께 1.8㎛의 우레탄계 접착제(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980/A-19)를 개재하여, 상기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수분 트랩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상기 배리어 필름 적층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다층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서, 함수분을 카알 피셔법에 의해 측정했다(검출 수분량 α).
또, 레퍼런스로서, 수분 트랩층을 갖지 않는 다층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적층체의 함수분을 카알 피셔법에 의해 측정했다(검출 수분량 β).
하기의 식에 의해, 건조 처리 후의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B)을 산출했다.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 증가분(B)[g/g]=[(α-β)/C]-D
α: 다층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의 검출 수분량
β: 레퍼런스의 검출 수분량
C: 수분 트랩층의 중량
D: 평가 1에서 산출된 수분 트랩층의 함수량(A)
또, 함수량(B)을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 0.10[g/g] 미만
○: 0.10[g/g] 이상 0.15[g/g] 미만
×: 0.15[g/g] 이상
<수증기 투과도 측정>
수분 배리어성 다층 구조체를, 고감도 수증기 투과도 측정장치(technolox Ltd. 제조 「델타팜」)를 이용해, 60℃ 90%RH 환경하에서의 수증기 투과도를 측정하고, 배리어성이 초기값의 10배의 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트랩층 성능 유지 시간」이라고 정의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를 행하였다.
○: 1000시간 이상
×: 1000시간 미만
<양이온성 폴리머를 이용한 수분 트랩층 코팅액(B1)의 조제>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알릴아민(닛토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AA-15C, 수용액품, 고형분 15%)을, 고형분 5 질량%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한편, 가교제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이용하고, 5 질량%가 되도록 물에 녹여 가교제 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폴리알릴아민 100 질량부에 대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20 질량부가 되도록, 폴리머 용액과 가교제 용액을 혼합하고, 추가로, 이 혼합 용액에, 흡습제로서, 폴리아크릴산 Na의 가교물(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터프틱 HU-820E, 수분산품, 고형분 13%)을, 폴리알릴아민에 대해 420 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한 고형분이 5%가 되도록 물로 조정한 다음 잘 교반하여, 수분 트랩층용 코팅액(B1)을 조제했다.
<음이온성 폴리머를 이용한 수분 트랩층 코팅액(B2)의 조제>
음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아크릴산(니혼 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C-10LP)을 이용하여, 물/아세톤 혼합 용매(질량비로 80/20)에, 고형분이 5 질량%가 되도록 용해하고, 수산화나트륨을 폴리아크릴산의 중화율이 80%가 되도록 첨가하여,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머 용액에, 가교제로서 1,2-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디글리시딜이,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에 대해 20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고, 이어서 밀착제로서,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이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에 대해 3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고, 추가로, 입상 흡습제(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터프틱 HU-820E, 수분산품, 고형분 13%)가,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에 대해 431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고, 또한 전체의 고형분이 5 질량%가 되도록 물/아세톤 혼합 용매(질량비로 80/20)로 조정한 다음 잘 교반하여, 수분 트랩층용 코팅액(B2)을 조제했다.
<실시예 1>
아크릴 수지(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아라코트(ARACOAT) DA-105, 고형분 35%)를 준비했다.
이 주(主)폴리머액에,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아라코트 CL-100A, 고형분 40%)를 주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40 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고, 2-부탄온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20%의 보호 수지층 코팅액 C를 조제했다.
규소 산화물층(무기 배리어층)을 갖는 시판 배리어 필름(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L-RD, 기재: PET(12㎛))의 PET면끼리를 두께 1.8㎛의 우레탄계 접착제(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980/A19)를 이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한 배리어 필름 적층체를 준비했다.
이 배리어 필름 적층체 상에,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를 이용한 수분 트랩층 코팅액(B1)을 바 코터에 의해 도공(塗工)하고, 피크 온도 100℃, 피크 온도 유지 시간 3분의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두께 4㎛의 수분 트랩층(B)을 형성해, 코팅 필름 B를 얻었다.
상기 보호 수지층 코팅액 C를, 상기에서 얻어진 코팅 필름 B의 수분 트랩층(B) 상에, 수분 트랩층 형성 후 신속하게 바 코터에 의해 도포했다. 도포 후의 상기 필름을 박스형의 전기 오븐에 의해, 피크 온도 120℃, 피크 온도 유지 시간 10초의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두께 1㎛의 보호 수지층(C)을 형성해,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보호 수지층(C)의 두께를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3>
보호 수지층(C)의 두께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4>
보호 수지층(C)의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음이온성 폴리머를 이용한 수분 트랩층 코팅액(B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6>
보호 수지층의 주폴리머를 우레탄 수지(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유리아노(UREARNO) 5319)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7>
보호 수지층(C)을, 주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바이론(VYLON) GK880)를 고형분 20%가 되도록 2-부탄온을 이용하여 용해하고,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D-110N」, 고형분 75%)를 주폴리머의 고형분에 대해 10 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얻어진 코팅 필름 B의 수분 트랩층(B) 상에, 수분 트랩층 형성 후 신속하게, 두께 1.8㎛의 우레탄계 접착제(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980/A19)를 개재해 두께 12㎛의 PET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루미러(Lumirror))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보호 수지층(C)을 설치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2>
보호 수지층(C)의 두께를 0.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얻어진 코팅 필름 B의 수분 트랩층(B) 상에, 수분 트랩층 형성 후 신속하게, 두께 1.8㎛의 우레탄계 접착제(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980/A19)를 개재해 두께 13㎛의 시판 배리어 필름(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L 필름)을 배리어층이 내측이 되도록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평가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1: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A: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
a1: 무기 배리어층 a2: 필름 기재층
B: 수분 트랩층 C: 보호 수지층
9: 유기층 10: 건조제 시트
11: 흡습성 수지층 13: 표면 보호 수지층
15: 흡습성 기능면
a1: 무기 배리어층 a2: 필름 기재층
B: 수분 트랩층 C: 보호 수지층
9: 유기층 10: 건조제 시트
11: 흡습성 수지층 13: 표면 보호 수지층
15: 흡습성 기능면
Claims (11)
-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가스 배리어성 필름 기재(A)와, 상기 필름 기재(A)를 하지(下地)로 하여 형성된 수분 트랩층(B)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트랩층(B)의 상기 필름 기재(A)와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40℃, 90%RH에서의 투습도가 4.0×10∼5.0×104g/㎡/day의 범위에 있는 보호 수지층(C)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트랩층(B)은, JIS-7251에 준거하여 230℃에서 측정한 함수량이 0.15g/g 이하로 유지되어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트랩층(B)이, 흡습성의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트랩층(B)이, 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흡습성 매트릭스 중에, 추가로 상기 매트릭스보다도 도달 습도가 저습도인 흡습제가 분산된 구조를 갖고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트랩층(B) 중에 포함되는 이온성 폴리머가, 양이온성 폴리머인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수지층(C)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수지층(C)이, 0.1∼15㎛의 두께를 갖고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수지층(C)에는, 굴절률 조정제로서의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배합되어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인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수지층(C)의 위에 투명 도전막이 설치되어 있는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제 1 항에 기재한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065053 | 2018-03-29 | ||
JP2018065053A JP7110668B2 (ja) | 2018-03-29 | 2018-03-29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PCT/JP2019/014121 WO2019189805A1 (ja) | 2018-03-29 | 2019-03-29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8313A true KR20200138313A (ko) | 2020-12-09 |
KR102501001B1 KR102501001B1 (ko) | 2023-02-17 |
Family
ID=6805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30922A KR102501001B1 (ko) | 2018-03-29 | 2019-03-29 |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565508B2 (ko) |
EP (1) | EP3778212B1 (ko) |
JP (1) | JP7110668B2 (ko) |
KR (1) | KR102501001B1 (ko) |
CN (1) | CN112203839B (ko) |
WO (1) | WO20191898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35389B2 (ja) * | 2018-03-30 | 2022-09-13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子デバイス用バリアフィルムの包装体 |
JP2019177645A (ja) | 2018-03-30 | 2019-10-17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子デバイス用バリアフィルム |
US11560710B2 (en) * | 2018-08-31 | 2023-01-24 | Techstyle Materials, Inc. | Multifunctional system for passive heat and water management |
JP7468128B2 (ja) * | 2020-05-12 | 2024-04-16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
WO2022049758A1 (ja) * | 2020-09-07 | 2022-03-10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
JP2023030650A (ja) * | 2021-08-23 | 2023-03-08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ガスバリア性多層フィルム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796B1 (ko) * | 1992-06-12 | 2000-08-16 | 플레믹 크리스티안 | 무기질 충전제 입자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방법 및 굴절률이 조절된 무기질 충진제 입자를 포함하는 유기 매트릭스 물질 |
JP2000255579A (ja) | 1999-03-10 | 2000-09-19 | Toppan Printing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及び容器 |
JP2011194653A (ja) * | 2010-03-18 | 2011-10-0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防湿性積層体 |
JP2012250470A (ja) * | 2011-06-03 | 2012-12-20 | Toppan Printing Co Ltd | 透明ガスバリア積層体 |
WO2014083899A1 (ja) * | 2012-11-30 | 2014-06-05 | 三菱樹脂株式会社 | 防湿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デバイス |
JP2015096320A (ja) | 2013-10-10 | 2015-05-21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の良好なガスバリア性積層体 |
WO2017030047A1 (ja) * | 2015-08-18 | 2017-02-23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KR20170038069A (ko) * | 2014-08-07 | 2017-04-05 |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57651B2 (ja) * | 2015-08-10 | 2020-03-04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樹脂積層体 |
US20180163096A1 (en) * | 2016-12-13 | 2018-06-14 | Intertape Polymer Corp. | Dry functional coating tape |
-
2018
- 2018-03-29 JP JP2018065053A patent/JP7110668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3-29 KR KR1020207030922A patent/KR102501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3-29 US US17/042,680 patent/US11565508B2/en active Active
- 2019-03-29 CN CN201980035606.XA patent/CN112203839B/zh active Active
- 2019-03-29 EP EP19774667.0A patent/EP3778212B1/en active Active
- 2019-03-29 WO PCT/JP2019/014121 patent/WO201918980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796B1 (ko) * | 1992-06-12 | 2000-08-16 | 플레믹 크리스티안 | 무기질 충전제 입자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방법 및 굴절률이 조절된 무기질 충진제 입자를 포함하는 유기 매트릭스 물질 |
JP2000255579A (ja) | 1999-03-10 | 2000-09-19 | Toppan Printing Co Ltd | プラスチック容器の製造方法及び容器 |
JP2011194653A (ja) * | 2010-03-18 | 2011-10-0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防湿性積層体 |
JP2012250470A (ja) * | 2011-06-03 | 2012-12-20 | Toppan Printing Co Ltd | 透明ガスバリア積層体 |
WO2014083899A1 (ja) * | 2012-11-30 | 2014-06-05 | 三菱樹脂株式会社 | 防湿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デバイス |
JP2015096320A (ja) | 2013-10-10 | 2015-05-21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の良好なガスバリア性積層体 |
KR20160067903A (ko) * | 2013-10-10 | 2016-06-14 |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수분 배리어성이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
KR20170038069A (ko) * | 2014-08-07 | 2017-04-05 |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WO2017030047A1 (ja) * | 2015-08-18 | 2017-02-23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JP2017039315A (ja) * | 2015-08-18 | 2017-02-23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78212C0 (en) | 2023-08-30 |
JP7110668B2 (ja) | 2022-08-02 |
JP2019171771A (ja) | 2019-10-10 |
KR102501001B1 (ko) | 2023-02-17 |
US11565508B2 (en) | 2023-01-31 |
EP3778212A4 (en) | 2021-12-15 |
WO2019189805A1 (ja) | 2019-10-03 |
EP3778212B1 (en) | 2023-08-30 |
CN112203839A (zh) | 2021-01-08 |
EP3778212A1 (en) | 2021-02-17 |
US20210122147A1 (en) | 2021-04-29 |
CN112203839B (zh) | 2023-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1001B1 (ko) | 수분 배리어성 적층체 | |
KR101849028B1 (ko) | 수분 배리어성이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 적층체 | |
JP6776706B2 (ja)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
EP2955017B1 (en) | Gas barrier laminate having excellent moisture barrier properties | |
JP6657651B2 (ja) | 水分バリア性樹脂積層体 | |
WO2016021459A1 (ja) | 水分バリア性積層体 | |
TWI786284B (zh) | 電子器件用阻隔膜之包裝體 | |
JP2014168949A (ja) | 水分バリア性に優れたガスバリア性積層体 | |
JP6972937B2 (ja) | 水分バリア性に優れた積層フィルム | |
JP7497749B2 (ja) | 電子デバイス用バリアフィルム | |
JP7524891B2 (ja) | 水分バリア積層体 | |
US20240326391A1 (en) | Gas barrier multilayer film | |
JP2023030650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