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705A - 하물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하물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705A
KR20200137705A KR1020190064485A KR20190064485A KR20200137705A KR 20200137705 A KR20200137705 A KR 20200137705A KR 1020190064485 A KR1020190064485 A KR 1020190064485A KR 20190064485 A KR20190064485 A KR 20190064485A KR 20200137705 A KR20200137705 A KR 20200137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oad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acqui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705A/ko
Publication of KR2020013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Abstract

지게차의 포크에 소형 카메라와 근접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물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물 운반 장치는, 운반하려는 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크; 포크에 설치되며, 포크의 전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 및 포크에 설치되며, 포크에 안착되는 하물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물 운반 장치 {Apparatus for transporting load}
본 발명은 지게차와 같이 하물을 운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며, 이것을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를 가지며, 차체의 전방에는 한 쌍의 포크(fork)가 설치된다.
한 쌍의 포크는 하물을 직접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포크를 대신하여 다른 어태치먼트(attachment), 예를 들어 힌지드 버켓(hinged bucket), 사이드 쉬프트(side shift), 로드 스테빌라이저(load stabilizer),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43123호 (공개일: 2017.12.29.)
산업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지게차는 운전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포크에 물건을 실어 옮기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완전한 시야 확보로 인해 포크가 물건이나 물건을 얹어둔 팔레트(pallet)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사고 사례들이 작업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게차의 포크에 소형 카메라와 근접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물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물 운반 장치의 일 면(aspect)은, 운반하려는 하물(load)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크(fork); 상기 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의 전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에 안착되는 상기 하물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정보 획득부는 상기 포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의 전면부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 획득부로 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상기 이미지 정보 획득부의 상부 및 측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포크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물 운반 장치는,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하물이 상기 포크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물 운반 장치에서 포크의 내부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물 운반 장치에서 포크의 내부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지게차와 같은 하물(load)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는 포크(fork)에 소형 카메라와 근접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하물 운반 장치(100)는 바디부(110), 구동부(120), 구동 제어부(130), 포크(140),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물 운반 장치(100)는 하물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운반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물 운반 장치(100)는 지게차로 구현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하물 운반 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디부(110) 내에는 하물 운반 장치(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엔진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하물 운반 장치(100)가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차량용 바퀴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30)는 하물 운반 장치(100)가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 제어부(130)는 사람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차량용 핸들로 구현될 수 있다.
포크(140)는 하물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때에 하물을 실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크(140)는 하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높은 곳에 위치하는 하물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포크(140)는 바디부(1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크(140)는 하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하물 운반 장치(1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하물 운반 장치에서 포크의 내부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하물 운반 장치에서 포크의 내부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포크(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양측부, 하부 등이 포크(1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가 이와 같이 설치되면, 포크(140) 상에 하물이 실리거나, 포크(140)가 하물을 싣기 위해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더라도,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하물 운반 장치(100)의 전방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를 구성하는 카메라 렌즈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포크(140)의 전면부에는 카메라 렌즈에 도달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포크(140)의 전면부가 이와 같이 형성되면, 포크(140)의 전면부가 측벽이나 하물 등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포크(140) 내에 탑재되기 위해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의 크기는 포크(140) 내에 탑재될 수 있다면 그 크기에 제한은 없다.
한편, 소형으로 제작된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가 포크(140)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포크(140)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의 상부 및 측부를 덮는 형태의 U자형 포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하물 운반 장치(100)의 전방을 표시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를 위해 운전석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가 이와 같이 설치되어 하물 운반 장치(100)의 전방을 표시하면, 운전자는 이를 확인하여 하물 운반 장치(100)를 안전하게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가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물 운반 장치(100)의 전방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를 위해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물 운반 장치(100)는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을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은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와 디스플레이부(16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물 운반 장치(100)에는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60)는 센서(210)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가 포크(140) 상에 하물이 안전하게 실렸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하물 운반 장치(100)가 하물을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서는 포크(140) 상에 하물이 안전하게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참작하여 하물 운반 장치(100)의 포크(140)에 하물의 적재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하물 운반 장치(100)는 바디부(110), 구동부(120), 구동 제어부(130), 포크(140),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 디스플레이부(160),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 및 센서(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 구동부(120), 구동 제어부(130), 포크(140),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신호 송수신 케이블(17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210)는 포크(140) 상에 적재된 하물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21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210)는 포크(140)의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210)가 근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포크(140)의 표면에 부착되면, 하물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크(140)는 ㄴ자 구조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방향 연장부는 수평 방향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는 수평 방향 연장부와 수직 방향 연장부로 구성되는 포크(140)에서 수평 방향 연장부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210)는 수직 방향 연장부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210)는 하물에 대한 감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수직 방향 연장부의 내측면 즉, 포크(140)의 내측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물 운반 장치(100)는 포크(140)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와 센서(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물 운반 장치(100)가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를 통해 하물 운반 장치(100)의 운전자가 하물(3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하물 운반 장치(100)가 하물(310)에 부딪혀 하물(310)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10)를 통해 포크(140) 상에 하물(310)이 안전하게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하물 운반 장치(100)의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하물(310)을 안전하게 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를 통해 하물 운반 장치(100)가 이동하는 도중에 장애물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물(310)을 팔레트(pallet; 320) 상에 적재하려는 경우,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를 통해 선반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하물 운반 장치(100)의 운전자가 팔레트(320)를 훼손하지 않고 하물(310)을 안전하게 권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 위에 적재되어 있는 하물(310)을 내리는 경우에도 팔레트(320)를 훼손하지 않고 하물(310)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물 운반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물 운반 장치(100)는 포크(140)에 이미지 정보 획득부(150)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물 운반 장치(100)는 포크(140)에 센서(210)를 설치하여, 권상하려는 하물(310)이 포크(140) 상에 안전하게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하물(310)이 포크(140)로부터 낙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하물 운반 장치(100)는 부유식 구조물 내에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선박(예를 들어, 여객선, 화물 운반선, LNGC(LNG Carri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유식 구조물은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해상에 건설되는 해양 구조물(예를 들어,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LNG(Floating LNG) 등)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물 운반 장치(100)는 물류 창고 등에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물 운반 장치 110: 바디부
120: 구동부 130: 구동 제어부
140: 포크 150: 이미지 정보 획득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신호 송수신 케이블
210: 센서 310: 하물
320: 팔레트

Claims (1)

  1. 운반하려는 하물(load)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포크(fork);
    상기 포크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의 전방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정보 획득부;
    상기 포크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에 안착되는 상기 하물을 센싱하는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하물이 상기 포크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정보 획득부는 상기 포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크의 전면부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 획득부로 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하물 운반 장치.
KR1020190064485A 2019-05-31 2019-05-31 하물 운반 장치 KR20200137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85A KR20200137705A (ko) 2019-05-31 2019-05-31 하물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85A KR20200137705A (ko) 2019-05-31 2019-05-31 하물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705A true KR20200137705A (ko) 2020-12-09

Family

ID=7378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85A KR20200137705A (ko) 2019-05-31 2019-05-31 하물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7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855A (zh) * 2021-04-30 2021-08-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一种多源传感货叉智能感知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123A (ko)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123A (ko) 2016-06-20 2017-12-29 양대근 포크장치를 구비한 지게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855A (zh) * 2021-04-30 2021-08-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一种多源传感货叉智能感知系统及方法
CN113280855B (zh) * 2021-04-30 2022-07-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一种多源传感货叉智能感知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8122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物支持手段上の可動センサ装置
US20110088979A1 (en) Cargo transporter with automatic data collection devices
JP685810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00013544A (ko) 지게차
KR20200137705A (ko) 하물 운반 장치
JP5656490B2 (ja) フォークリフトおよび重心位置測定装置
JP4522917B2 (ja) 大型構造物の運搬制御システム
JP5433132B2 (ja) 安全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8265984A (ja) クレーン制御システム装置
CN216863543U (zh) 自主移动运输车
JP2005104652A (ja) 荷役補助装置、及び、監視装置
US20220363520A1 (en) Guidance system
JP7436130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US11155451B2 (en) Lift truck comprising a loading stop
JP7430973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5187158A (ja) 移載装置
JP2023147789A (ja) 荷役車両、荷積み制御方法及び荷積み制御プログラム
JPH11116199A (ja) フォークリフト
US20230373758A1 (en) Spreader,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comprising spreader, and method of lifting a transport container
KR101523726B1 (ko) 선박
JP7471249B2 (ja) 荷役システム
DK180335B1 (en) Lifting Apparatus
JP2022148411A (ja) 作業支援装置、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2022080176A (ja) スプレッダ操作システム及びスプレッダ
KR101518494B1 (ko) 지게차용 하물 중량 측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