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07A -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607A
KR20200136607A KR1020190062354A KR20190062354A KR20200136607A KR 20200136607 A KR20200136607 A KR 20200136607A KR 1020190062354 A KR1020190062354 A KR 1020190062354A KR 20190062354 A KR20190062354 A KR 20190062354A KR 20200136607 A KR20200136607 A KR 2020013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oling
active clothing
clothing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일
손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607A/ko
Publication of KR2020013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활동성 의류의 내피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순환로가 형성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활동성 의류 일측을 관통하여 외피방향으로 노출되는 연질의 냉매순환관과,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냉매순환관의 양측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냉매를 냉각하는 쿨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활동성 의류에 적용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활동성 의류 착용 후 이의 세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Cooling device for active clothing}
본 발명은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동성 의류에 적용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활동성 의류 착용 후 이의 세탁이 용이한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등과 같이 현장활동이 많은 근무지에서는 작업환경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신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각종 위험환경요소로부터 작업자의 신체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작업자가 작업복 또는 근무복을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신체의 대사활동 뿐 아니라 작업지 내 특정환경으로 인한 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더불어 스포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야구, 축구, 골프 등의 프로선수들뿐만 아니라 스포츠 또는 레저를 즐기는 일반인들도 스포츠 활동시 각종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의류를 착용하는데, 스포츠 의류는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지만, 스포츠는 일반적으로 많은 신체활동을 동반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야 할 뿐 아니라 특히 많은 신체활동으로 인해 상당한 열이 발생되는 바 효율적인 열 방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활동성 의류는 많은 신체활동으로 인하여 상당한 열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활동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바 최근에는 활동성 의류에 대한 우수한 열 방출 기능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예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07295호에 방냉방열 겸용 조끼와 같은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이하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라 함)가 개발된 바 있다.
도1은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00)는 활동성 의류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개재되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흡열하는 열대전판(110)과, 열대전판(110)에 연결되는 제어모듈(120)로 구성되며, 열대전판(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흡열반응을 유도함으로써 활동성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를 냉각한다.
그러나,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00)는 냉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의 열대전판(110)이 활동성 의류에 직접 설치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를 냉각하게 되는 바 상당한 크기를 갖는 금속재질의 열대전판(110)으로 인해 활동성 의류 착용자의 활동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00)는 활동성 의류 착용 후 이를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열대전판(110)이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바 탈부착이 사실상 어려워 활동성 의류의 세탁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동성 의류에 적용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활동성 의류 착용 후 이의 세탁이 용이한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활동성 의류의 일측이 쳐지면서 옷 매무새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냉각순환관이 사용자에게 밀착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활동성 의류 일측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냉각기능을 제공하는 활동성이 향상된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의류의 내피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순환로가 형성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활동성 의류 일측을 관통하여 외피방향으로 노출되는 연질의 냉매순환관과,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냉매순환관의 양측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냉매를 냉각하는 쿨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면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 및 일측이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부착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냉매순환관 양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이동로가 형성된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를 이동하는 냉매를 일방향으로 압송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각부는 일측이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냉각블럭과, 일측이 상기 냉각블럭 내부를 통과하며,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이동로가 형성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냉매이동관 및 일단부가 상기 냉매이동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냉매순환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쿨림모듈은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형성된 주머니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활동성 의류의 내피 일측 중 상기 주머니와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벨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순환관은 내부에 상기 냉매와 함께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활동성 의류에 적용되어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활동성 의류 착용 후 이의 세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활동성 의류의 일측이 쳐지면서 옷 매무새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냉각순환관이 사용자에게 밀착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및 냉매순환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가 설치된 활동성 의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블럭 및 냉매이동관을 냉매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순환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냉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모듈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및 냉매순환관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는 파우치(10)와, 냉매순환관(20)과, 쿨링모듈(30) 및 벨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우치(10)는 냉각하고자 하는 사용자 신체의 냉각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활동성 의류(S) 내피 중 냉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냉각부(35)위와 대응되는 영역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냉매순환관(2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어 냉매순환관(20)이 활동성 의류(S)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파우치(10)는 냉매순환관(20)이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냉매에 의한 냉기가 사용자에게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메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활동성 의류(S)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일측에 탈부착단추(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순환관(20)은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순환로(21)가 형성된 연질의 관체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우치(10)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냉매순환관(20)은 냉각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적어도 한번이상 절곡형성되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순환관(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활동성 의류(S)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활동에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냉각하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냉매순환관(20)은 양측단부가 후술하는 냉각모듈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활동성 의류(S) 세탁시 쿨링모듈(30)이 분리된 상태에서 활동성 의류(S)와 동시 세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면적의 냉매순환관(20) 교체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냉매순환관(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냉매는 물, 오일류 또는 수용액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용액류는 물에 에탄올, 에탄올, 아세톤, 염화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매에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쿨링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링모듈(30)은 활동성 의류(S)의 외피 일측에 형성된 주머니(J)에 수납설치되는 본체(31)와, 본체(31)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32)과, 본체(31) 일측에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펠티어소자(33)와, 펠티어소자(33)의 상면에 부착되는 냉각팬(34)과,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33)의 일면에 부착되는 냉각블럭(35a)과, 일측이 냉각블럭(35a)을 통과하고 양측단부가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되는 냉각부(35) 및 냉각부(35)의 일측 중 냉매가 출수되는 출수로 일측에 설치되는 순환펌프(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31)는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31a,3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32)과, 펠티어소자(33)와, 냉각팬(34)과, 냉각블럭(35a)과, 냉각부(35) 및 순환펌프(36)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이들의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외력으로부터 각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31)는 냉각팬(34)에 의해 펠티어소자(33)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방열공(3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32)은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패턴이 펠티어소자(33)와, 냉각팬(34) 및 순환펌프(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펠티어소자(33)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냉각팬(34) 및 순환펌프(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펠티어소자(33)는 두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서, 흡열동작을 통해 냉각블럭(35a)을 냉각함에 따라 냉각블럭(35a)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펠티어소자(33)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냉각팬(34)은 일반적인 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펠티어소자(33) 상면에 설치되고, 회전하면서 펠티어소자(33)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부(35)는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33)의 저면에 부착되는 냉각블럭(35a)과, 일측이 냉각블럭(35a) 내부를 통과하며 양측단부가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되는 냉매이동관(35b) 및 일단부가 냉매이동관(35b)의 단부에 삽입결합되는 결합핀(35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펠티어소자(33)에 의해 냉각되고, 이를 통해 냉매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블럭(35a)은 대략 직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형성되고,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펠티어소자(33)에 의해 냉각된 후 냉매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냉매이동관(35b)은 길이를 갖는 연질의 관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냉각블럭(35a)의 내부를 통과하며, 내부에 냉매순환관(20)의 냉매순환로(21)와 연통되는 냉매이동로(35ba)가 형성된다.
이러한 냉매이동관(35b)은 냉매순환로(21)를 순환하는 냉매를 냉각블럭(35a)으로 안내하여 냉매가 냉각블럭(35a)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핀(35c)은 대략 중공(35ca)의 원형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냉매이동관(35b)의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부가 냉매순환관(20)의 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핀(35c)은 냉매순환로(21)를 따라 순환중인 냉매가 냉매이동로(35ba)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쿨링모듈(30)로부터 냉매순환관(2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활동성 의류(S) 세탁시 편의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36)는 냉매이동관(35b)의 일측 중 냉각블럭(35a)으로부터 출수되는 냉매의 출수로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를 일방향으로 압송함에 따라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순환펌프(36)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벨트부재(40)는 한 쌍이 활동성 의류(S)의 내피 중 상기한 주머니(J)와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됨으로써 쿨링모듈(30)의 중량으로 인한 활동성 의류(S)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냉매순환관(20)이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가 설치된 활동성 의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각블럭 및 냉매이동관을 냉매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순환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냉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우치(10) 내에 냉매순환관(20)을 수납한 상태에서 파우치(10) 일측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통해 파우치(10)를 활동성 의류(S)의 내피에 장착하고, 냉매순환관(20)의 양측단부를 활동성 의류(S) 일측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여 냉매순환관(20)의 양측단부가 외피와 대응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쿨링모듈(30)은 활동성 의류(S) 외피에 형성된 주머니(J)에 수납하고,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된 결합핀(35c)의 타단부를 냉매순환관(20)의 단부에 연결한다.
이후, 펠티어소자(33)에 전원이 공급되면, 펠티어소자(33)의 저면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고, 이 흡열반응에 의해 냉각블럭(35a)이 냉각된다.
냉각블럭(35a) 내부에 배치된 냉매이동관(35b)의 일측을 통과하는 냉매가 냉각블럭(35a)에 의해 냉각되고, 순환펌프(36)에 의해 압송되면서 냉매순환관(20)으로 이동된다.
냉매순환관(20)을 순환하는 냉매는 사용자의 신체와 열교환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냉각하며, 냉매순환관(20)을 순환하는 냉매는 냉매이동관(35b)을 통해 냉각블럭(35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냉각되어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순환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속 냉각하게 된다.
한편, 활동성 의류(S)를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핀(35c)을 냉매순환관(20)으로부터 분리하고, 쿨링모듈(30)을 주머니(J)로부터 인출한 후 활동성 의류(S)를 세탁하게 되는데, 연질의 냉매순환관(20)에 의해 파우치(10)가 활동성 의류(S)에 부착된 상태로도 세탁이 가능할 뿐 아니라 파우치(10)를 활동성 의류(S)로부터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1)가 활동성 의류 중 자켓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끼, 점퍼, 바지 등 사용자의 신체를 냉각할 수 있는 의류이면 어느 곳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파우치 11 : 수납공간
20 : 냉매순환관 21 : 냉매순환로
30 : 쿨링모듈 31 : 본체
31a,31b : 상하부 케이스 31c : 방열공
32 : 인쇄회로기판 33 : 펠티어소자
34 : 냉각팬 35 : 냉각부
35a : 냉각블럭 35b : 냉매이동관
35ba : 냉매이동로 35c : 결합핀
35ca : 중공 36 : 순환펌프
40 : 벨트부재

Claims (6)

  1. 활동성 의류 일측에 설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냉각기능을 제공하는 활동성이 향상된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의류의 내피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고,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순환로가 형성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활동성 의류 일측을 관통하여 외피방향으로 노출되는 연질의 냉매순환관; 및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냉매순환관의 양측단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냉매를 냉각하는 쿨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면에서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펠티어소자; 및
    일측이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부착되고, 양측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냉매순환관 양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이동로가 형성된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냉각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를 이동하는 냉매를 일방향으로 압송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일측이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냉각블럭과;
    일측이 상기 냉각블럭 내부를 통과하며,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이동로가 형성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냉매이동관; 및
    일단부가 상기 냉매이동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냉매순환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림모듈은 상기 활동성 의류의 외피 일측에 형성된 주머니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활동성 의류의 내피 일측 중 상기 주머니와 대응되는 일측으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벨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관은 내부에 상기 냉매와 함께 유기입자 또는 무기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KR1020190062354A 2019-05-28 2019-05-28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KR20200136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54A KR20200136607A (ko) 2019-05-28 2019-05-28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54A KR20200136607A (ko) 2019-05-28 2019-05-28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07A true KR20200136607A (ko) 2020-12-08

Family

ID=7377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54A KR20200136607A (ko) 2019-05-28 2019-05-28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6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260B1 (ko) 2022-07-12 2023-02-28 이정현 하절기용 냉풍 상의
KR102507902B1 (ko) 2022-10-24 2023-03-09 조윤주 하절기용 냉풍 한복 저고리
KR20230059212A (ko) 2021-10-26 2023-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212A (ko) 2021-10-26 2023-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KR102504260B1 (ko) 2022-07-12 2023-02-28 이정현 하절기용 냉풍 상의
KR20240008768A (ko) 2022-07-12 2024-01-19 이정현 하절기용 냉풍 상의
KR102507902B1 (ko) 2022-10-24 2023-03-09 조윤주 하절기용 냉풍 한복 저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6607A (ko)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JP6479551B2 (ja) 温度調整システム
KR102056913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JP7057008B2 (ja) 涼感機能服
KR101911024B1 (ko) 쿨링 조끼
KR101040962B1 (ko) 다기능 장갑
US20040079517A1 (en) Body cooling apparatus
KR20120077197A (ko) 송풍팬을 구비한 조끼
KR20210001120U (ko) 휴대용 쿨러
JP7396605B1 (ja) 冷却被服
KR101698665B1 (ko) 에어 자켓을 위한 휴대형 냉각 기구
TW201723392A (zh) 冷卻具及使用該冷卻具之人體用送風裝置
JP6201649B2 (ja) エアー駆動式人体冷却システム
JP7377519B2 (ja) 送風機付き衣服
KR20210068871A (ko)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JP2021107594A (ja) 衣服及び空調衣服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JP2002309414A (ja) 冷却機能を有する衣服
KR101720787B1 (ko) 순환 및 분리구조를 갖는 냉각장치가 구비된 개인 휴대용 냉방조끼
JP2019196571A (ja) 体温調節服及び体温調節システム
JP2019090128A (ja) リュックサック型の人体用送風装置
CN211382153U (zh) 一种物理降温服
KR102446423B1 (ko) 유체순환방식 의복
JP2018135614A (ja) 人体用送風装置
JP2012140737A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ョ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