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212A -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212A
KR20230059212A KR1020210143160A KR20210143160A KR20230059212A KR 20230059212 A KR20230059212 A KR 20230059212A KR 1020210143160 A KR1020210143160 A KR 1020210143160A KR 20210143160 A KR20210143160 A KR 20210143160A KR 20230059212 A KR20230059212 A KR 2023005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opening
cooling devic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200B1 (ko
Inventor
유의상
임대영
문형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2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가 제공된다. 상기 냉각 장치는 내부에 구획된 제1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1 면이 상기 제1 공간과 접촉하고 제2 면이 상기 제1 공간과 비접촉하도록 배치된 펠티어 소자; 및 상기 제1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1-1 개구를 통해 연결된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COOL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CLOTH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에 관한 것이다.
건축 등 주로 실외 활동이 많은 근무자는 위험 환경으로부터 작업자의 신체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작업복을 착용하고 있다. 작업자의 실외 활동 및 작업에 따라 체온이 상승하고, 신체로부터 발생한 열을 원활히 배출하지 못할 경우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감소할 뿐 아니라, 심할 경우 탈수 증상 등 작업자 건강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복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원활히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국민의 삶의 질이 올라감에 따라 다양한 실외 레저 활동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좋은 환경에서의 외부 활동은 사람에게 활력을 제공하고 건강 상의 이점을 제공하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열을 원활히 배출하지 못할 경우 되려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607호,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특히, 최근 20년간 지구의 평균 기온이 약 0.3℃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는 등 전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 등의 기후 변화가 문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열대성 기후대로 변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생활 양식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실외 작업자나 실외 레저 스포츠를 즐김에 있어 체내 열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형태의 개선된 의류가 요구된다.
제시한 선행기술문헌은 활동성 의류용 냉각 장치 및 냉각 장치가 적용된 의류를 개시한다. 선행기술문헌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해 냉매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펠티어 소자는 펠티어 효과(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를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펠티어 효과는 열전 효과(thermoelectric effect)의 일종으로, 전위차에 의해 어느 한쪽은 가열되고 다른 한쪽은 냉각되는 등 온도 차이가 유발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선행기술문헌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해 냉매를 냉각시킴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의 기술은 냉매가 수용된 냉매 이동로와 의류가 일체화되어 실질적으로 의류의 세탁이 곤란하고 무거운 무게로 인해 되려 착용자의 체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냉매 이동로를 따라 냉매가 냉각부로 순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비해 개선된 형태의 냉각 장치를 이용한 에어 컨디셔닝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에 비해 개선된 형태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내부에 구획된 제1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1 면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노출되고 제2 면이 상기 제1 공간과 비접촉하도록 배치된 펠티어 소자; 및 상기 제1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1-1 개구를 통해 연결된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는 튜브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상기 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1 개구와 대향하는 제1-2 개구를 더 가지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1-2 개구 측에서 제1-1 개구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통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구획된 제2 공간을 더 가지고,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은 상기 제2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은 제1-2 개구 및 제2-1 개구를 더 가지되, 상기 제1-2 개구는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1 개구는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개구의 크기는 제1-1 개구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1 개구와 대향하는 제2-2 개구를 더 가지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2-2 개구 측에서 제2-1 개구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통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2 공간 내에서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 상에 배치된 방열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2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2-1 개구를 통해 연결된 제2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구획된 제2 공간을 더 가지고,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은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2-2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튜브는 상기 제2-2 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내부에 구획된 제1-1 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흡열면이 상기 제1-1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1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서브 냉각 장치; 내부에 구획된 제2-1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흡열면이 상기 제2-1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2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서브 냉각 장치; 및 상기 제1 냉각 장치의 제1-1 공간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제2-1 공간과 타단이 연결된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는 전술한 냉각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펠티어 소자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를 통풍팬을 이용해 튜브 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냉각된 공기를 튜브 안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또, 별도의 냉매, 예컨대 액상 냉매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의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또,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또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1)는 의류 본체(20) 및 냉각 장치(10)를 포함한다. 도 1은 의류 본체(20)로서 조끼 형태의 의류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의, 하의, 신발, 신발 깔창, 팔찌, 목걸이, 넥 밴드, 넥타이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 내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냉각 장치(10)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튜브(300)는 의류 본체(2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삽입되어 의류 본체(20) 내부에 임베딩되거나, 또는 의류 본체(20)의 내피 상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은 튜브(300)가 착용자의 등(back)과 대향하는 의류 본체(20), 즉 조끼의 부분, 예컨대 백 패널(뒷 길, back panel)에 부착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 때 튜브(300)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되, 대략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착용자의 등의 상당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하우징(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류 본체(20) 외부, 예컨대 외피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펠티어 소자(2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의류 본체(20)의 외피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열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소재, 예를 들어 합성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냉각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각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펠티어 소자(200), 하우징(110)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튜브(300) 및 하나 이상의 통풍팬들(421, 4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부에 위치한 하판(111)(또는 제1 판) 및 상부에 위치한 상판(112)(또는 제2 판)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위치한 구획판(113) 내지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113)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을 그 하부의 제1 공간(S1) 및 상부의 제2 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 내에서,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직접적으로 유체 연통 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구획판(113)에는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을 연결하는 유로 내지는 개구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판(112), 하판(111) 및 구획판(113)은 서로 제3 방향(Z)으로 이격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상판(112), 하판(111) 및 구획판(113)은 각각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수평면 내에 위치하여 연장될 수 있다. 측벽은 별도의 도면 부호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상판(112), 하판(111) 및 구획판(113)은 후술할 개구들(111pa, 111pb, 112pa, 112pb)이 형성된 측벽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13)에는 하나 이상의 펠티어 소자(200)가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판(113)은 펠티어 소자(20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가지고, 상기 홀에 펠티어 소자(20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구획판(113) 자체가 펠티어 소자(200)의 복수의 레이어 중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등은 펠티어 소자(200)가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펠티어 소자(200)는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 중 하나 이상으로 반복 배열되거나, 또는 오직 1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펠티어 소자(200)의 흡열면(또는 일면, 또는 냉각면, 또는 제1 면, 또는 하면)은 제1 공간(S1)과 접촉하거나, 제1 공간(S1)에 노출되고, 발열면(또는 타면, 또는 가열면, 또는 제2 면, 또는 상면)은 제2 공간(S2)과 접촉하거나, 제2 공간(S2)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흡열면은 제2 공간(S2)과 비접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면은 제1 공간(S1)과 비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펠티어 소자는 전위차에 의해 발열면은 가열되고 흡열면은 냉각되는 등 온도 차이가 유발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즉, 펠티어 소자(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하면의 온도는 감소하여 주변의 열을 흡열하고 결과적으로 제1 공간(S1)이 전체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반면, 펠티어 소자(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면의 온도는 증가하여 주변으로 발열하고 결과적으로 제2 공간(S2)이 전체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공간(S1)을 냉각시킬 수 있고, 냉각된 공기를 이용해 에어 컨디셔닝 의류(1)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10) 내의 제1 공간(S1)은 제1-1 개구(111pa)와 제1-2 개구(111pb)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1 개구(111pa)에는 튜브(300)가 연결되고, 제1-2 개구(111pb) 부근에는 제1 통풍팬(421)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1-1 개구(111pa) 및 제1-2 개구(111pb)는 하판(111)과 구획판(113) 및 그 사이의 측벽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공간(S1)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에 형성된 개구를 지칭하는 것이며, 하판(111) 및/또는 구획판(113)에 형성된 개구를 지칭하지 않는다. 상기 측벽들은 제3 방향(Z)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튜브(30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의류 본체(20) 내부에 임베딩되거나, 또는 의류 본체(20) 내피 상에 고정되어 착용자에게 직접적인 냉감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튜브(300)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튜브(300)는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홀(300h)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홀(300h)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즉 도 3 기준 우측으로 갈수록 홀(300h)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300h)들은 모두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홀(300h)들은 제1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 및 제2 크기 보다 큰 제3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홀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튜브(300)의 타단부는 폐쇄된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300)의 타단부는 개방된 형상일 수도 있다. 또, 어느 경우에도, 튜브(300)의 타단부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튜브(300)의 일단부가 결합된 해당 하우징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도 8 등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펠티어 소자(200)의 흡열면과 접촉하여 냉각된 제1 공간(S1) 내의 공기는 제1 통풍팬(421)에 의해 강제 유동되어 튜브(3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된 공기가 튜브(300) 내에서 유동하며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의 튜브(300)의 일단만이 하우징(110)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10)과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110)으로부터 가까운 측의 홀(300h)을 통해서 냉각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는 반면, 하우징(110)으로부터 먼 측의 홀(300h)을 통해서는 충분한 양의 냉각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튜브(300)의 연장 길이에 따른 위치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냉각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튜브(300)의 연장 길이에 따라 홀(300h)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풍팬(421)은 하우징(110)의 제1 공간(S1)의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풍팬(421)은 하우징(110)의 제1 공간(S1) 내에서, 제1-2 개구(111pb) 측으로부터 제1-1 개구(111pa) 측으로, 즉 도 3 기준 우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통풍팬(421)에 의해 제1 공간(S1)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펠티어 소자(200)들의 흡열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튜브(30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냉각된 공기가 외력에 의해 튜브(300) 내로 유입되어 튜브(300) 내에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높은 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 통풍팬(421)은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통풍팬(421)의 출력, 예컨대 팬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여 에어 컨디셔닝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3 등은 제1 통풍팬(421)이 하우징(110)의 외측, 즉 제1 공간(S1)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보조 하우징(121) 내에 수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풍팬(421)은 하우징(110)으로 지칭될 수 있는 구성요소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통풍팬(421)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배터리나 고장 등 유지 보수 측면에서, 제1 통풍팬(421)을 제1 보조 하우징(121)에 수용하고, 제1 보조 하우징(121)과 하우징(1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통풍팬(421)은 제1 방향(X)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보조 하우징(121)은 외부 공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슬릿들(121p)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릿들(121p)을 통해 제1 통풍팬(421)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110) 내의 제2 공간(S2)은 제2-1 개구(112pa)와 제2-2 개구(112pb)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1 개구(112pa)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하우징(110) 외부와 유체 연통되고, 제2-2 개구(112pb) 부근에는 제2 통풍팬(422)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2-1 개구(112pa) 및 제2-2 개구(112pb)는 상판(112)과 구획판(113) 및 그 사이의 측벽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공간(S2)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에 형성된 개구를 지칭하는 것이며, 상판(112) 및/또는 구획판(113)에 형성된 개구를 지칭하지 않는다. 상기 측벽들은 제3 방향(Z)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1 개구(112pa)는 제1-1 개구(111pa) 보다 큰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1 개구(112pa)의 제3 방향(Z)으로의 폭은, 제1-1 개구(111pa)의 제3 방향(Z)으로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펠티어 소자(200)의 발열면과 접촉하여 가열된 제2 공간(S2) 내의 공기는 공기의 자연스러운 순환에 의해, 또는 제2 통풍팬(422)에 의해 강제 유동되어 제2-1 개구(112pa)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1 개구(112pa)를 다른 개구, 예컨대 제1-1 개구(111pa)에 비해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통풍팬(422)은 하우징(110)의 제2 공간(S2)의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풍팬(422)은 하우징(110)의 제2 공간(S2) 내에서, 제2-2 개구(112pb) 측으로부터 제2-1 개구(112pa) 측으로, 즉 도 3 기준 우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2 통풍팬(422)에 의해 제2 공간(S2)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펠티어 소자(200)들의 발열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제2-1 개구(112pa)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가열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원활히 방출하여 펠티어 소자(200)의 효율을 유지하고, 발열면과 흡열면이 바뀌는 열 역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냉각 장치(10)는 제2 공간(S2)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2 통풍팬(422)은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 공간(S2)의 온도가 높을 경우 출력이 증가하고, 제2 공간(S2)의 온도가 낮을 경우 출력이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통풍팬(422)은 펠티어 소자(200)의 전원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펠티어 소자(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2 통풍팬(422) 또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3 등은 제2 통풍팬(422)이 하우징(110)의 외측, 즉 제2 공간(S2)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보조 하우징(122) 내에 수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통풍팬(422)은 하우징(110)으로 지칭될 수 있는 구성요소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2 통풍팬(42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배터리나 고장 등 유지 보수 측면에서, 제2 통풍팬(422)을 제2 보조 하우징(122)에 수용하고, 제2 보조 하우징(122)과 하우징(1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2 통풍팬(422)은 제1 방향(X)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보조 하우징(122)은 외부 공기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슬릿들(122p)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릿들(122p)을 통해 제2 통풍팬(422)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풍팬(421)과 제2 통풍팬(422)은 하나의 보조 하우징 내에 수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별도의 액상 냉매의 사용 없이도 펠티어 소자(20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튜브(300)를 통해 유동시킬 수 있다. 특히 냉각된 공기 측, 즉 제1 공간(S1) 내의 공기를 자연스러운 순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통풍팬(421)을 이용해 튜브(300) 내측으로 강제 유동시켜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튜브(300)의 홀(300h)들의 크기 제어 및 배열을 통해 착용자의 냉감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어느 펠티어 소자(200)가 수용된 어느 하우징(110)에,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공간(S1)에 튜브(300)의 일단과 타단이 모두 연결되어 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에어 컨디셔닝 의류(1)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과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1)는 제2-1 개구(112pa)에 제2 튜브(320)가 삽입 내지는 결합된 점이 도 3 등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와 상이한 점이다. 제2-1 개구(112pa)와 유체 연통된 제2 튜브(320)는 제1-1 개구(111pa)와 유체 연통된 제1 튜브(300)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이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몇몇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튜브(300)는 측벽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미도시)을 갖는 반면, 제2 튜브(320)는 측벽 상에 형성된 홀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2-1 개구(112pa)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으로부터 직접 가열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하우징(110) 및 튜브들의 배열 배치 관계에 의해 하우징(110)에서 가열된 공기가 곧바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0)의 제2 공간(S2)과 유체 연결된 제2 튜브(3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 즉 제2 튜브(320)의 타단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과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2)는 제1-1 개구(111pa)와 제2-1 개구(112pa) 및 제1-2 개구(111pb)와 제2-2 개구(112pb)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점이 전술한 도 3 등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와 상이한 점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제1-1 개구와 제2-1 개구가 동일 측에 위치하고, 제1-2 개구와 제2-2 개구가 동일 측에 위치하였다. 이에 따라 제1 통풍팬(421)과 제2 통풍팬(422), 제1 보조 하우징(121)과 제2 보조 하우징(122)이 서로 제3 방향(Z)으로 중첩 배치되었다.
경우에 따라 의류 본체 등의 형상 및 냉각 장치(12)와의 결합 관계에 따라 제2 공간(S2) 내부의 가열된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1 개구(112pa)를,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1 개구(111pa)와 반대 측에 구비할 수 있다. 또, 제2-1 개구(112pa)와 제1-1 개구(111pa)를 반대 측에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튜브(300)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공간(S2)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개구는 하우징(110)의 제1 방향(X) 측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3과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3)는 방열 구조체(500)를 더 포함하는 점이 전술한 도 3 등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와 상이한 점이다.
방열 구조체(500)는 제2 공간(S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500)는 차지하는 점유 공간 대비 비교적 높은 표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배치된 플레이트 상에 제3 방향(Z)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pin)을 갖는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구조체(5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 구조체(500)는 펠티어 소자(200), 구체적으로 펠티어 소자(200)의 발열면(상면)과 맞닿아 배치되거나, 간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펠티어 소자(200)의 발열면이 발산하는 열을 흡수하고, 넓은 표면적으로 이용해 효과적인 방열(heat radiation)을 달성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500)와 펠티어 소자(200) 사이에는 열 전도성 접착제(미도시) 등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제1 공간(S1)에는 별도로 방열 구조체 내지는 방열 기능을 갖는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1 개구(111pa), 제1-2 개구(111pb), 제2-1 개구(112pa) 및 제2-2 개구(112pb)는 상판(112)과 하판(111) 사이에서 제3 방향(Z)이 속하는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 상에 형성된 개구를 의미하였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상판(112)은 서브 개구(112pc)를 더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개구(112pc)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된 점에서 전술한 다른 개구와 구별될 수 있다. 또, 서브 개구(112pc)는 방열 구조체(500) 및 펠티어 소자(200)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판(112)이 서브 개구(112pc)를 가짐에 따라, 제2 공간(S2) 내의 가열된 공기가 더욱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냉각된 공기의 유동 효율 측면에서, 구획판(113) 및/또는 하판(111)에는 별도로 서브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6과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4)는 하우징(110)이 상판을 불포함하는 점이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와 상이한 점이다. 즉, 하우징(110)이 구획판(113) 및 하판(111)만을 가짐에 따라 제2 공간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방열 구조체(50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6과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5)는 하우징(110)의 제2 공간(S2)을 연결하는 제2-2 개구(112pb)에 튜브(300)가 삽입 내지는 결합되어 유체적으로 연결된 점이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와 상이한 점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튜브(300)의 일단이 어느 하우징(110) 내 제1 공간(S1)과 연결되되, 튜브(300)의 타단은 제1 공간(S1)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체 경로 상에서, 제1 공간(S1)을 이용해 순환 구조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5)는 튜브(300)의 일단은 제1 공간(S1)과 유체 연결되되, 튜브(300)의 타단은 제2 공간(S2)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튜브(300)의 일단과 타단이 모두 어느 하나의 하우징(110)과 연결되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나, 하우징(110) 내 구획된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이 존재하고, 튜브(300)가 어느 하나의 공간(예컨대, 제1 공간(S1))과 순환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하우징(110)의 제2 공간(S2)은 연결된 제2-1 개구(112pa) 및 제2-2 개구(112pb)를 가지되, 제2-1 개구(112pa)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 개구로 기능하고, 제2-2 개구(112pb)는 튜브(300)를 경유하여 제1-1 개구(111pa)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2 개구(112pb)의 크기는 제1-1 개구(111pa)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튜브(300)를 따라 냉각된 공기가 강제 유동하여 착용자에게 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튜브(300)의 홀(미도시)을 통해 미처 분사되지 못한 잔여 공기가 튜브(300)의 개방된 타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튜브(30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2 공간(S2) 내 가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온도 감소에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제2 통풍팬 등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와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6)는 제1 서브 냉각 장치와 제2 서브 냉각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서브 냉각 장치와 제2 서브 냉각 장치를 연결하는 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브 냉각 장치 및 제2 서브 냉각 장치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 제1 서브 냉각 장치 및 제2 서브 냉각 장치는 각각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장치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냉각 장치는 제1-1 공간과 제1-2 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110a) 및 제1 하우징(110a) 내에 수용된 제1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고, 제1-1 통풍팬, 제1-2 통풍팬, 제1-1 보조 하우징 및 제1-2 보조 하우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10a)은 개구들을 가지고 튜브(300) 등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냉각 장치는 제2-1 공간과 제2-2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110b) 및 제2 하우징(110b) 내에 수용된 제2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고, 제2-1 통풍팬, 제2-2 통풍팬, 제2-1 보조 하우징 및 제2-2 보조 하우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하우징(110b)은 개구들을 가지고 튜브(300) 등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외 각 서브 냉각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요소, 이들의 배열 및 배치 관계, 결합 구조 등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6)의 제1 서브 냉각 장치와 제2 서브 냉각 장치는 하나의 튜브(300)를 공유할 수 있다. 튜브(300)의 일단은 제1 하우징(110a)과 유체 연결되고 튜브(300)의 타단은 제2 하우징(110b)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또,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110a)의 개구(즉, 제1-1 공간과 연결된 제1-1 개구)는 냉각된 공기를 튜브(300) 내로 강제 유동시키고, 제2 하우징(110b)의 개구(즉, 제2-1 공간과 연결된 제1-1 개구)는 냉각된 공기를 튜브(300) 내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300)의 일단과 타단 측으로부터 각각 중앙 측을 향해 냉각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또, 튜브(300)의 홀(300h)은 제1 하우징(110a)과 제2 하우징(11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되, 튜브(300)의 대략 중앙 부근에서 가장 큰 크기의 홀(300h)을 가질 수 있다.
만일 필요에 따라, 튜브(300)의 길이가 매우 길어질 경우 튜브(300)의 연장 길이 방향을 따라 충분한 냉각 공기의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6)는 하나의 튜브(300)를 이용하되, 이들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냉각 장치(즉, 서브 냉각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의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2)는 의류 본체(20)의 백 패널이 아니라 진동 둘레(armhole) 및/또는 목둘레(neckhole)를 따라 튜브(300)가 배치된 점이 전술한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디셔닝 의류와 상이한 점이다.
냉각 장치는 하우징(110) 및 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냉각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 컨디셔닝 의류
10: 냉각 장치
20: 의류 본체
110: 하우징
200: 펠티어 소자
300: 튜브

Claims (13)

  1. 내부에 구획된 제1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제1 면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노출되고 제2 면이 상기 제1 공간과 비접촉하도록 배치된 펠티어 소자; 및
    상기 제1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1-1 개구를 통해 연결된 튜브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튜브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홀을 가지되,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냉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1 개구와 대향하는 제1-2 개구를 더 가지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1-2 개구 측에서 제1-1 개구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통풍팬을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구획된 제2 공간을 더 가지고,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은 상기 제2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2 개구 및 제2-1 개구를 더 가지되,
    상기 제1-2 개구는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1 개구는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개구의 크기는 제1-1 개구의 크기 보다 큰 냉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1 개구와 대향하는 제2-2 개구를 더 가지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제2-2 개구 측에서 제2-1 개구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통풍팬을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내에서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 상에 배치된 방열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2-1 개구를 통해 연결된 제2 튜브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구획된 제2 공간을 더 가지고, 상기 펠티어 소자의 제2 면은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공간을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제2-2 개구를 가지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2-2 개구와 연결되는 냉각 장치.
  12. 내부에 구획된 제1-1 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서 흡열면이 상기 제1-1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1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서브 냉각 장치;
    내부에 구획된 제2-1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흡열면이 상기 제2-1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2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서브 냉각 장치; 및
    상기 제1 냉각 장치의 제1-1 공간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제2-1 공간과 타단이 연결된 튜브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KR1020210143160A 2021-10-26 2021-10-26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KR10267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160A KR102670200B1 (ko) 2021-10-26 2021-10-26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160A KR102670200B1 (ko) 2021-10-26 2021-10-26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212A true KR20230059212A (ko) 2023-05-03
KR102670200B1 KR102670200B1 (ko) 2024-05-29

Family

ID=8638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160A KR102670200B1 (ko) 2021-10-26 2021-10-26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2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9A (ko) * 2017-08-21 2019-03-04 강성광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JP2019152371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風発生装置
KR20200136607A (ko) 2019-05-28 2020-12-0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69A (ko) * 2017-08-21 2019-03-04 강성광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JP2019152371A (ja) * 2018-03-02 2019-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風発生装置
KR20200136607A (ko) 2019-05-28 2020-12-0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200B1 (ko)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67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flexible material-based devices
US10652993B2 (en) Thermoelectric device cooling system
US20050000231A1 (en) Wearable cooler us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2056913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의류
CA2432860A1 (en) Distributed electronic personal heat management system
US3425487A (en) Space suit heat exchanger
JP2008025052A (ja) 電子冷暖房服
KR20230059212A (ko)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의류
KR20200136607A (ko) 활동성 의류용 냉각장치
KR101681924B1 (ko)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KR20100007295U (ko) 방냉방열 겸용 조끼
JP6080237B1 (ja) 衣服用冷暖房ユニット
KR102542422B1 (ko)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KR102689549B1 (ko) 휴대용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방호복의 밀폐구조
GB2430549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lothing using thermoelectric heat pump
KR102262664B1 (ko) 보냉조끼
KR102345281B1 (ko) 에어포켓이 구비된 쿨링 장치
JP6653914B1 (ja) 液体循環式冷却胴着構造
JP6656632B1 (ja) 液体循環式冷却胴着における循環路配置構造
US20220018579A1 (en) Portable thermoelectric unit to adjust body's microclimate
KR102393250B1 (ko) 방호복용 휴대용 냉각시스템
JP5397828B2 (ja) 防護服用冷却装置
WO2024101094A1 (ja) 被服用冷却装置
TWI763588B (zh) 電子圍巾
KR102446423B1 (ko) 유체순환방식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