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855A -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855A
KR20200135855A KR1020207030748A KR20207030748A KR20200135855A KR 20200135855 A KR20200135855 A KR 20200135855A KR 1020207030748 A KR1020207030748 A KR 1020207030748A KR 20207030748 A KR20207030748 A KR 20207030748A KR 20200135855 A KR20200135855 A KR 2020013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ement
fixing device
player
spr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764B1 (ko
Inventor
코프커 베렌트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피라치 운트 콤프.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13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현악기 (1) 연주자의 턱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 지지판 (29)이 현악기 (1)의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현악기 (1)의 턱 받침 (28)을 위한 고정 장치 (30)는 한편으로는 연주자의 자세를 인체 공학적으로 개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악기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 장치 (30)는 지지판 (29)을 본체 (2)에 스프링 장착 방식으로 연결하는 스프링 요소로 설계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본 발명은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현악기 연주자의 턱받이용 지지판을 현악기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많은 현악기, 특히 바이올린과 비올라는 음악을 연주할 때 연주자의 몸을 향한 본체의 끝 부분이 음악가의 턱과 어깨 사이에 고정된다. 그러나 연주자의 머리와 어깨 부분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악기의 두께보다 더 크기 때문에 연주자가 매우 불편한 자세로만 악기를 잡거나 고정할 수 있으므로 - 조금이라도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 연주 품질에 대한 손상은 피할 수 없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소위 턱받침과 어깨 받침이 개발되고 있다.
턱 받침은 일반적으로 흑단 또는 기타 단단한 목재로 만들어진 오목한 지지 요소 (또는 지지판)로 구성되어 있어, 연주자가 - 종종 어깨 받침대와 함께 - 악기의 상단을 만져서 소리의 발달이 너무 손상됨이 없이, 턱과 어깨 압력을 적용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기를 잡을 수 있다. 인간의 턱과 턱뼈의 개별적인 모양으로 인해 서로 다른 모양, 매우 평평한 것부터 강하게 오목한 형태가 지지 요소에 사용된다.
베어링 표면은 일반적으로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테일피스의 바로 위 또는 왼쪽에 있는 악기의 상단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고정 장치는 현악기와 베어링 표면에 해당하는 연결 요소를 가진다.
오늘날 일반적인 홀딩 장치로는 예를 들면, 베어링 표면 및 현악기에 부착된 클램프와 연결을 위한 나사 연결을 갖는 금속 스트럿이 있다.
턱받침은 무엇보다도 일정한 안정성을 제공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악기 사운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주자들이 종종 어깨나 쇄골과 턱 사이에서 현악기를 너무 꽉 조이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 이로 인해 경련이 발생하고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악기 소리가 나빠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턱받침이 바이올린의 음색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잘-맞는 턱받침뿐만 아니라 특히 색조에 최소한의 부정적인 영향 만을 미치는 턱받침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연주자의 자세를 인체 공학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악기의 사운드를 개선하는 전술한 유형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지지판과 본체의 탄력적인 연결을 위한 고정 장치를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연주자가 턱받침의 접촉면에 더 적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연주자의 인체 공학적으로 개선된 자세가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기초로 한다. 과도한 압력은 특히 공지된 턱받침을 사용하면 연주자가 얼마나 많은 압력을 가하는지에 대한 촉각의 피드백을 받지 못한다는 사실로 인해 권장된다. 따라서, 접촉면의 탄력적 인 거동이 생성되어야 더 높은 압력으로 이동한다. 테스트에 따르면 탄력적인 거동은 새로운 균형을 요구하여 연주자에게 놀라움을 야기한다. 이것은 자동으로 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고정 요소의 연결 요소 사이에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 장치의 탄력적인 거동은 베어링 표면과 현악기 사이의 음향 분리를 제공하여 사운드도 상당히 개선된다.
고정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예를 들면 그것에 몰딩된 몰딩 부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장치 및 지지 플레이트는 나사 또는 접착 조인트와 같은 적절한 조임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개별적인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의 유형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가장 다른 메커니즘,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 서로 위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반발 자석,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몰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요소가 리프 스프링에 의해 유리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매우 적은 노력으로 실현할 수 있는 특히 중량-절감 설계가 가능하다. 리프 또는 플랫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경질-탄성 재료의 구부러진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유리한 설계에서, 고정 장치의 스프링 요소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그 결과, 특히 간단한 생산 및 조립이 가능하다.
특히 유리한 설계에서, 스프링 요소는 중앙 영역에서 구부러지거나 곡선을 이루는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스프링 요소가 종단면 내의 길이 중 하나에 단속된 타원형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두 끝 영역에서 구부러진다. 이러한 설계는 특히 판 스프링 방식으로 간단한 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U의 다리에 있는 간단한 구멍을 통해, 나사가 적절하게 가이드되는, 현악기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이고 특히 바람직한 연결 방법은 클릭 메커니즘에 의해 스프링 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클램프 요소 시스템이다.
상기 스프링 요소는 다양한 적절한 재료, 예를 들면 강철, 탄소 섬유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이 독립적으로 발명된 것으로 간주되는 특히 유리한 디자인에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대안적으로 목재, 특히 압축된 압축 목재, 바람직하게는 단풍 나무로 만들어진다. 놀랍게도 이러한 소재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는 다른 소재에 비해 사운드 특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현악기의 사운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놀랍게도 상기의 두 재료는 각각의 진동 특성이 특히 악기의 본제 진동 특성과 잘 호환되기 때문에, 음향 또는 음색 특성면에서 특히 턱 받침에서 의도된 용도에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독립적으로 발명된 것으로 간주되는 대안적인 설계에서, 고정 장치에 사용되는 재료는 압축된 압축 목재이며, 마찬가지의 우수한 사운드 특성을 가진다. 또한, 봄의 나무는 껍질이나 접선으로 자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강하게 구부러지고 일정한 압력을 견디는데 특히 적합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압축 목재"라고도 하는 압축된 압축 목재의 제조 및 일부 특성은 예를 들어 EP 2 002 759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것의 개시내용은 압축된 압축 목재의 정의 및 제조와 관련하여 참조로 포함된다. 특히, 압축 목재 제조시 수분 함량이 약 50 내지 60 %인 매우 엄선된 원목 원료를 자연 환경 조건에서 먼저 수분 함량을 약 30 %로 건조시키고, 자르고 매끄럽게한 다음 약 20 %의 수분 함량으로 추가 건조시킨다. 그 다음, 실제 압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즉 실제 압축 공정을 위해, 먼저 처리할 목재 블록을 열처리, 특히 적절하게 연화되도록 한다. 그 다음, 이렇게 전처리된 목재 블록은 실제 압축 챔버에서 정수압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목재 섬유가 섬유 방향으로 압축되어 섬유 벽이 접히게 된다. 이것은 전체 형상에서 목재를 구부릴 수 있고 가단성을 갖도록 만든다. 압축 직후 처리 된 목재는 처리로 인해 전체 목재 블록의 곡률이나 변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굽힘 또는 성형 단계가 후속적으로 제공되어 목재 블록을 다시 직선 형태로 되돌릴 수 있으며, 이는 추가 처리를 위해 유용하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단면 폭이 7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mm이고, 단면의 최소 폭은 2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mm이다. 더욱이,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 두께이다. 더욱이, 스프링 요소는 유리하게는 1 내지 7cm 높이 및/또는 4 내지 12cm 길이이다. 이러한 치수에서 스프링 요소는 악기와 연주자의 턱 사이에 배치하는데 특히 적합하므로 자연스러운 자세가 보장된다. 또한 특히 적합한 스프링 힘을 가진다.
특히, 스프링 요소는 0.8 내지 18 N/mm,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N/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2 N/mm의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이러한 스프링 상수는 특히 연주자가 턱 받침에 너무 많은 압력을 가하는 것을 피하는 원하는 효과로 이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 요소는 유리하게는 0.16 내지 4.8 Nm/rad, 바람직하게는 0.24 내지 4 Nm/rad, 특히 바람직하게는 0.28 내지 3.6 Nm/rad의 방향 토크를 나타낸다. 상기 값은 적용 지점이 스프링 바로 위에 있지 않고 접촉면에 의해 몇 cm 오프셋 된 경우 연주자의 턱에 비슷한 힘을 생성하도록 한다.
실험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마진은 서로 다른 수준의 저항을 필요로 하는 서로 다른 경험 수준의 연주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이미 약간의 힘을 사용한 연주자는 4N/mm의 스프링 상수 또는 0.8Nm/rad의 방향 토크로 연주할 수 있다. 경험이 없는 음악가는 12 N/mm 또는 2.4 Nm/rad로 시작한다. 그러한 연주자는 새로운 연주 방법에 단계적으로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압축된 압축 목재를 스프링 요소로 사용하면 0.6g/cm3에서 0.96g/cm3 사이의 유리한 밀도를 가진다. 소리, 무게 및 탄력성 측면에서 이러한 압축 목재는 특히 턱 받침의 스프링 요소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고정 장치는 현악기 연주자의 턱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지지면에 현악기를 연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된다.
현악기 연주자의 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현악기 용 턱 받침은 유리하게는 전술한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현악기는 유리하게 이러한 턱 받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이점은 특히 현악기의 턱받침에 탄력있는 고정 장치의 사용이 한편으로는 악기의 특히 좋은 사운드를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주자가의 경련을 방지한다는 사실에 있다. 특히 구부러진 압축된 압축 목재 또는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의 설계, 특히 유리 섬유가 장착된 특히 선호되는 설계에서 이러한 이점은 기술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은 10 년 이상 존재해온 턱받이를 더 높이고 싶다는 소망을 충족시킨다. 이것은 그러한 현악기를 연주하는 더 건강한 방법을 찾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더 낮은 어깨 지지대와 더 높은 턱 받침을 사용하는 것이 점점 더 선호되고 있다. 안타깝게도 턱받침이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훨씬 무거워지므로, 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념은 무게를 약간만 증가시키면서 매우 높은 피치를 갖는 모델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턱 받침은 쉽게 무게가 65g, 높은 버전은 85g이다. 다른 한편으로,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턱 받침은 15g의 무게를 가질 수 있으며, 높은 버전은 최대 1g 더 무게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요소는 특히 좋은 사운드를 보장한다: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턱 받침에서 머리를 떼는 경우 더 자유로운 바이올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머리는 턱 받침을 통해 간접적으로 바이올린 사운드를 감쇠시킨다. 여기에 설명된 턱 받침은 상기 효과에서 바이올린을 자유롭게 한다. 스프링은 유연하고 바이올린에 일정한 독립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이올린에서 머리를 분리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턱 받침은 교체할 수 있는 세 가지 주요 부품: 장착부, 스프링부 및 턱 받침부로 구성된다. 연주자가 다른 특성을 가진 스프링을 사용하려는 경우 스프링을 교체할 수 있고; 부착물은 턱 받침의 모델을 변경하지 않고도 특정 바이올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양의 턱받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는 타사에서 제공하거나 개인 측정에 따라 3D 프린팅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요구 사항에 맞게 턱 받침을 맞춤 제작할 수 있다. 턱 받침은 돌리고 기울여 개별적으로 유연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광대뼈에 정확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현악기, 여기서는 바이올린을 나타낸다.
도 2는 턱받침기 고정 장치에 고정된 바이올린 몸체 하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고정 장치의 스프링 요소에 대한 다른 도면을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2는 할당된 클램프 요소를 갖는 도 2에 따른 고정 장치의 스프링 요소에 대한 다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할당된 클램프 요소를 갖는 도 3 내지 7에 따른 스프링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클릭 메커니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3 내지 7에 따른 스프링 요소에 바이올린 지지판의 부착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체결부의 홀딩 블록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낸다.
동일한 부품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에 저면도로서 도시된 클래식 바이올린 (1)은 공명체를 형성하는 본체 (2), 지판이 장착된 넥 (4), 및 끝이 스크롤 (8)에 의해 형성된 페그 (6)가 있는 페그 박스를 포함한다. 본체 (2)의 목 끝 (14)에서 바이올린 (1)의 목 (4)은 상단 블록 (16)을 통해 본체 (2)에 연결된다. 바이올린 (1)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른 블록은 본체 (2)로 작업된다.
하단 블록 (18)에서 바이올린 (1)의 현은 바이올린 (1)의 윗면에 있는 테일 피스(tailpiece) 끝단에 의해 묶인다. 따라서, 하단 블록 (18)은 본체 (2)에 매우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통합된다. 넥 (4)과 지판을 운반하는 상단 블록 (16)은 또한 몸체 (2)에 매우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작용한다. 요즘에는 상기 상단 블록 (16)과 넥 (4)은 일반적으로 별도로 만들어지고 필요한 운반 특성 뿐만 아니라 사운드 및 진동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접착된다.
소위 프레임 (26)이라고 하는 측벽은 주변 바닥 가장자리 (12)의 영역에서 본체 (2)의 바닥 (10)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부 패널은 그 다음, 본체의 바닥의 반대편에 있는 이러한 프레임 (26)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분은 본질적으로 바이올린 (1)의 공명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 (2)를 형성하고 소위 외부 블록과 상단 및 하단 블록 (16, 18)의 도움으로 안정화된다.
바이올린 (1)을 연주할 때, 일반적으로 하단 블록 (18) 영역의 턱과 어깨 또는 쇄골 사이에 고정되고 목 (4)에서 한 손으로 음악가가 잡는다. 바이올린 (1)의 높은 음질을 유지하면서 바이올린 (1)의 연주시 음악가에게 편안하고 무-경련 자세를 제공하기 위해, 이른바 턱 받침 (28)이 하단 블록 (18)의 영역에 배치된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주자의 턱과 어깨/가슴 사이의 여유 공간을 연결하여 바이올린 (1)이 턱 부위에 편안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이올린 (1)의 이러한 턱받침 (28)은 도 2의 하부도에 도시된다. 턱 받침 (28)은 바이올린 (1)을 연주할 때 연주자가 턱을 얹을 수 있는 지지판 (29) 및 이를 통해 바이올린 (1)의 몸체 (2)에 지지판 (29)이 부착되는 고정 장치 (30)를 포함한다.
본체 (2)에 조립된 상태로 부착되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장치 (30)는 특히 바이올린 (1)을 연주할 때 특히 높은 음질을 유지하면서 연주자가 특히 유리한 인체 공학적 위치를 채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고정 장치 (30)의 설계는 연주자의 자세를 인체 공학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턱 받침 (28)의 지지판 (29)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특히 고려한다. 이를 위해, 구속 부 (30)는 연주자가 가하는 압력에 반응하여 지지판 (29)의 탄력적 거동을 생성하도록 설계되고, 연주자는 지지판 (29)에 가해진 압력의 결과로 이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받게된다. 이러한 탄력적인 거동은 사실 연주자에게 놀라움을 야기하고, 이는 새로운 균형을 필요로하고 따라서 자동으로 압력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고정 장치 (30)는 지지판 (29)이 한 손에 장착되고 다수의 클램프 요소 (34, 36), 나타낸 실시예에서 2개에 의해 몸체 (2)에 고정되는 스프링 요소 (32)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 (32)의 특징적인 특성, 즉 스프링 상수 및 스트로크는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목적, 즉 턱 받침 (28)에 가해진 압력의 결과로서 연주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32)는 스트로크가 5mm 인 1 내지 8N/mm의 스프링 상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스프링 요소 (32)를 갖는 고정 장치 (30)의 장비는 한편으로는 고정 장치 (30)를 위한 적절한 재료 선택에 의해 및/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요소 (32)의 선택된 공간 형상,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 방식의 디자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두 접근법, 즉 적절한 재료 선택에 의한 스프링 요소 (32)의 설계 및 적합한 3 차원 형상에 의한 스프링 요소 (32)의 설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명적이라고 간주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독립적으로 발명적이라고 간주되는 두 접근의 조합을 나타낸다.
스프링 요소 (32)의 공간 설계에 대해 도시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즉,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사시도, 도 6은 평면도 및 도 7은 저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32)는 도 3 내지 7에 따라 일체로 만들어진다.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실시예의 스프링 요소 (32)는 특히 적합한 공간 형태로 설계되며, 이는 기능 측면에서 판 스프링의 특성에 가깝다. 일체형 스프링 요소 (32)는 본질적으로 중앙 영역 (40)에서 약간 구부러 지거나 곡선을 이루며 두 단부 영역 (42, 44)에서 거의 180°로 구부러진 재료 스트립 (3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 (32)는 길이 방향 섹션의 긴 측면 중 하나에 단속된 타원을 형성한다.
이 타원형의 연속적인 긴면을 형성하는 중앙 영역 (40)과 클램프 요소 (34, 36)와의 연결을 위한 끝 발 영역에서, 재료 스트립 (38)은 넓어지며, 이는 특히 도 6의 상면도에서 명확히 확인되다. 이들 영역에서, 이것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7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mm의 최대 폭을 갖는다. 한편, 폭은 중앙 영역 (40)의 끝 전이 영역에서 감소되고, 여기서 끝 영역 (42, 44)으로 합쳐진다; 이들 영역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재료 영역은 2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mm의 특히 바람직한 최소 폭을 갖는다.
도 6의 상면도에서 특히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 (32)를 형성하는 재료 스트립 (38)의 윤곽이 있는 디자인, 즉 중앙 영역 (40)의 두꺼워 짐은 재료 스트립 (38)의 종 방향 중앙 축에 대칭이 아니다. 반대로, 독립적으로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재료 스트립 (38)의 윤곽은 스프링 요소 (32)의 조립 상태에서 뒤를 향하는, 즉 바이올린 (1)의 연주자를 향하는 제 1 에지 (45a)가 필수적으로 직선이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윤곽은 스프링 요소 (32)의 조립된 상태에서 앞을 향하도록, 즉 바이올린 (1)의 넥 (4)을 향하도록 설계된 제 2 에지 (45b)의 윤곽 설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설계의 결과는 윤곽이 넥 (4)쪽으로 스프링 요소 (32)를 더 쉽게 기울이게하고 연주자를 향해 스프링 요소 (32)를 기울이는 것을 더 어렵게하는 해방된 약화의 효과를 가진다. 어떤 경우에든 악기 (1)의 안전한 고정 및 동시에 연주자가 가하는 압력에 특히 민감한 반응 (이 압력이 넥 (4)의 방향으로 주로 작용함)이 보장되기 때문에, 연주자가 스프링 요소 (32)에 의해 특히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판 (29)을 고정하기 위해, 중앙 영역 (40)은 또한 장착 슬롯 (50)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지지판 (29)의 설치를 위해 제공된 고정 나사를 통과 할 수 있으며 - 슬롯 형 설계로 인해 - 연주자의 필요에 따라 중앙 영역 (4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설계에서, 재료 스트립 (38)은 0.5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스프링 요소 (32)는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제공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스프링 요소 (32) 또는 이를 형성하는 재료 스트립 (38)은 적절하게 선택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또는 나일론 6.6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와 혼합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발명적인 것으로도 고려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재료 스트립 (38)은 압축된 목재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압축된 목재 칩으로 만들어진 프레스 보드와 달리, 압축된 목재는 특히 단단한 목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된 목재의 밀도는 약 0.7g/cm3이다. 도시된 다른 구체예에서 그것은 0.6 내지 0.96 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 유형의 생산에서 스프링은 모양으로 눌러지지 않지만 프레스된 목재가 생산되어 보드로 절단되며, 이러한 보드로부터 성형된 본체가 절단되고, 오븐에서 건조되고 해당 모양을 따라 구부러진다.
도시된 실시예의 재료 스트립 (38)은 상기 지정된 재료 선택으로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치수 측면에서 바이올린 (1)과 함께 의도된 용도에 적합하게 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것은 최대 폭이 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 mm이고 두께가 0.5 내지 1.5 mm 인 스프링 강철 버전이다. 이 버전의 최소 폭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9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이다. 그러나 목재 또는 플라스틱 버전에서 최대 너비는 7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mm이며 두께는 1 내지 4mm이다. 이 버전에서 최소 너비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mm이다.
스프링 요소 (32)를 몸체 (2)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장치 (30)는 연결 요소로서 클램프 요소 (34, 36)를 갖는다. 이들은 스프링 요소 (32)의 발 부분 (46, 48)에 연결될 수 있고 바이올린 (1)의 몸체 (2)에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 (32)에 부착 된 클램프 요소 (34, 36)의 설계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도 8 내지 12에 도시되고, 도 8은 정면도, 도 9는 상면도, 도 10은 하면도, 도 11은 후면도, 및 도 12는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요소 (34, 36)는 각각 중간 로드 (52)를 가지며, 그 위에 유지 풋 (54) 및 유지 헤드 (56)가 각 단부에 배열된다. 본체 (2)에 대한 접촉면이 이들 각각에 성형되고, 이로 인해 언급된 구성 요소의 치수가 선택되어 본체 바닥과 몸체 상부가 있는 본체 (2)는 유지 풋 (42)과 유지 헤드 (56)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 특히 클램핑되고,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각 클램프 요소 (34, 36)의 유지 헤드 (56)는 스프링 요소 (32)의 풋 섹션 (46, 48) 중 하나에 연결되기 위해 설계되고 적절하게 성형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나사 연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도시되고 독립적으로 독창적인 설계로 간주되는 특히 바람직한 설계에서, 소위 "클릭" 연결은 연결로 제공되며, 여기서 풋 영역 (46, 48)은 평평한 표면으로 디자인되고, 유지 헤드 (56)에 대응하는 슬롯 (58)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에는 삽입 직전 상태 (도 13a)와 잠금 후 상태 (도 13b)가 도시되어 있다.
풋 영역 (46, 48)은 약간 구부러진 등 (60)과 접촉면 (62)에 인접한 스냅인 에지 (64)를 갖는다. 각각의 풋 영역 (46, 48)이 수용 슬롯 (58)에 삽입될 때, 풋 영역 (46, 48)은 이러한 설계와 스프링 요소 (32)의 재료 관련 탄성으로 인해 수용 슬롯 (58) 내부에서 일시적으로 약간 변형되고 바깥쪽으로 (등 (60)의 곡률에 대해) 구부러진다. 래칭 에지 (64)가 수용 슬롯 (58)로부터 빠져나온 이후에, 스프링 힘으로 인해 뒤로 튀어 나와 수용 슬롯 (58)의 출구 단부면 (66)과 후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프링 요소 (32)의 분리 가능한 스냅 또는 래치 연결을 각각의 고정 장치와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유지 헤드 (56)와 스프링 요소 (32)의 분리 가능한 스냅 또는 래치 연결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 (32)를 클램프 요소 (34, 36)에 확실하게 부착하는 것은 특히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달성되지만 도구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 스냅인 또는 스냅온 연결은 특히 후방 (60)에서 스프링 힘에 대하여 위치 채널 (58)로부터 돌출된 풋 부분 (46, 48)의 자유 단부 (68)를 수동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해방됨으로써, 캐치 에지 (64)와 단부면 (66) 사이의 캐치를 해방시킬 수 있다.
지지판 (29)을 스프링 요소 (32)에 부착하는 것은 특히 조립된 경우에도 지지판 (29)이 가능한 한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연주자에게 그의 희망과 요구사항에 적응하도록 특히 큰 자유도를 제공한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 지지판 (29)이 스프링 요소 (32)에 장착되는 연결 시스템 (70)이 제공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시스템 (70)은 스프링 요소 (32)의 중앙 영역 (40)을위한 수용 슬롯 (74)을 갖는 홀딩 블록 (72)을 포함한다. 슬롯 (74)의 치수, 특히 슬롯의 폭은 스프링 요소 (32), 특히 그것의 두께에 적응된다.
도 15에 사시도로 도시된 홀딩 블록 (72)은 지지 플레이트 (29)의 하부에 부착된 대응하는 볼 조인트 부분 (78)이 삽입될 수있는 구형 표면 세그먼트 형태의 상부 측면에 수용 슬롯 (76)을 가진다. 이러한 설계는 지지판 (29)이 거의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모든 요소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나사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나사는 스프링 요소 (32)의 장착 슬롯 (50)을 통과하고 고정 블록 (72)의 나사 채널 (80)을 통과하여 볼 조인트 부분 (78)의 영역에서 해상 나사에 맞물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 (32)에 의해 정의되는 스프링 상수는 대략 4 N/mm이다. 재료 스트립 (38)의 기하학적 조건 및 탄성에 따라, 스프링 상수는 0.8 내지 18 N/mm일 수 있다. 이것은 수직 하중이 5mm의 변위로 가해질 때 0.4 kg 내지 9 kg, 바람직하게는 0.6 kg 내지 7 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kg 내지 6 kg의 힘을 생성한다.
또한, 스프링 요소 (32)가 장착된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 장치 (30)는 0.8 Nm/rad의 방향 토크를 갖는다. 방향성 토크는 스프링 요소 (32)의 비틀림 각도와 그것에 의해 생성된 토크 사이의 비례 상수이다.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 토크는 0.16 내지 4.8 Nm/rad일 수 있다. 이것은 작용점이 베어링 표면 (29)에 의해 스프링 바로 위에 있지 않고 수 cm만큼 오프셋된 경우 대응하는 반력이 또한 달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기술된 방향 모멘트를 사용하면 2cm만큼 오프셋된 수직 하중에 대해 5mm 변위에서 0.2 내지 6kg,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kg의 힘이 생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요소 (30)는 턱 받침 (28)에 사용된다. 즉, 바이올린 (1)의 연주자의 턱을 위한 지지판 (29)을 바이올린 (1)의 몸체 (2)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배열로 인해, 홀딩 장치 (30)는 지지판 (29)과 바이올린 (1)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너무 많은 압력을 가하여 연주자의 비좁은 위치를 피하고 동시에 바이올린 (1)의 특히 좋은 사운드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있다.
1 바이올린
2 본체
4 넥
6 회전
8 스크롤
10 하단
12 하단 엣지
14 넥 단부
16, 18 단부 블록
20, 22 외부 불록
24 곡률
26 프레임
28 턱 받침
29 지지판
30 고정 장치
32 스프링 요소
34, 36 크램프 요소
38 재료 스트립
40 중앙 영역
42, 44 끝 범위
45a, 45b 엣지
46, 48 풋 영역
50 장착 슬롯
52 중간 로드
54 유지 풋
56 고정 헤드
58 슬롯
60 후면
62 접촉면
64 스냅인 엣지
66 전면
68 자유단
70 연걸 시스템
72 유지 블롯
74 슬롯
76 리셉터클
78 볼 조인트 부분
80 나사 채널

Claims (13)

  1. 현악기 (1)의 턱 받침 (28)을 위한 고정 장치 (30)를 통해 현악기 (1)의 연주자의 턱을 놓기 위해 제공된 지지판 (29)이 현악기 (1)의 본체 (2)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장치 (30)는 지지판 (29)을 본체 (2)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되는 것인, 고정 장치 (30).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 (32)를 포함하는 것인, 고정 장치 (3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중앙 영역 (40)에서 구부러지거나 곡선으로 되고 종 방향 단면에서 스프링 요소 (32)가 그 종 방향 측면 중 하나에서 중단된 타원형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두 끝 영역 (42, 44)에서 구부러진 재료 스트립 (38)으로 구성되는 것인, 고정 장치 (3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압축된 압축 목재로 제조되는 것인, 고정 장치 (3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압축 목재는 0.6g/cm3 내지 0.96g/cm3의 밀도를 갖는 것인, 고정 장치 (3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2 내지 25mm 폭 및/또는 1 내지 4mm 두께의 단면을 갖는 것인, 고정 장치 (3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윤곽이 형성되고 재료 스트립 (38)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다양한 폭으로 설계되고, 단면의 최대 폭은 7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mm이고, 단면의 최소 폭은 2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mm인 것인, 고정 장치 (3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높이가 1 내지 7cm 및/또는 폭이 4 내지 12cm인 것인, 고정 장치 (3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0.8 내지 18 N/mm,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N/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및 12 N/mm의 스프링 상수를 갖는 것인, 고정 장치 (30) .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 (32)는 0.16 내지 4.8 Nm/rad, 바람직하게는 0.24 내지 4 Nm/rad, 특히 바람직하게는 0.28 내지 3.6 Nm/rad의 방향 토크를 갖는 것인, 고정 장치 (30).
  11. 현악기 (1)의 연주자의 턱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지지판 (29)에 현악기 (1)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 (30)의 용도.
  12. 현악기 (1) 연주자의 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판 (29) 및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 (30)를 포함하는 현악기 (1)용 턱 홀더 (28).
  13. 제 12 항에 따른 턱 받침 (28)을 갖는 현악기 (1).


KR1020207030748A 2018-03-26 2019-03-19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KR10250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4042.6A EP3547304B1 (de) 2018-03-26 2018-03-26 Haltevorrichtung für einen kinnhalter für ein streichinstrument
EP18164042.6 2018-03-26
PCT/EP2019/056765 WO2019185396A1 (de) 2018-03-26 2019-03-19 Haltevorrichtung für einen kinnhalter für ein streich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55A true KR20200135855A (ko) 2020-12-03
KR102503764B1 KR102503764B1 (ko) 2023-02-24

Family

ID=6180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748A KR102503764B1 (ko) 2018-03-26 2019-03-19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76379B2 (ko)
EP (1) EP3547304B1 (ko)
JP (1) JP7206290B2 (ko)
KR (1) KR102503764B1 (ko)
CN (1) CN112313739A (ko)
AU (1) AU2019245782B2 (ko)
CA (1) CA3094854C (ko)
WO (1) WO2019185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9852B (zh) * 2021-04-16 2022-07-29 燕山大学 一种防止滑落的可调型小提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95A (ko) * 2000-07-12 2003-02-26 잉 강 루언 바이올린 어깨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5921C (ko) *
US775465A (en) * 1904-03-18 1904-11-22 Maria Antonia Becker Violin chin-rest.
US4534259A (en) * 1982-02-15 1985-08-13 Wilhelm Wolf Chin rest for a violin or the like
DE4137917A1 (de) * 1991-11-18 1992-04-30 Voelskow Ingo Rainer Kinnhalter fuer geiger
ATE531298T1 (de) 2007-06-15 2011-11-15 Szabo Imre Dr Energiespeichernde feder aus holz
DE102011053285B3 (de) * 2011-09-05 2012-10-25 Wittner Gmbh & Co.Kg Kinnhalter, Kinnhaltersystem und Musikinstrument
EP2717255B1 (de) * 2012-10-02 2019-03-06 Gustav Pirazzi & Comp. KG Schulterstütze
CN103943096A (zh) * 2013-01-21 2014-07-23 赵西林 一种提琴肩托
CN205069094U (zh) * 2015-08-11 2016-03-02 田雄文 支承在演奏者两肩部位的小提琴托架
CN206711581U (zh) * 2017-04-05 2017-12-05 巴托克(天津)教育科技有限公司 调节腮托的小提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395A (ko) * 2000-07-12 2003-02-26 잉 강 루언 바이올린 어깨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7304B1 (de) 2021-10-20
WO2019185396A1 (de) 2019-10-03
EP3547304A1 (de) 2019-10-02
JP2021526233A (ja) 2021-09-30
CN112313739A (zh) 2021-02-02
AU2019245782B2 (en) 2022-03-31
AU2019245782A1 (en) 2020-10-15
CA3094854A1 (en) 2019-10-03
JP7206290B2 (ja) 2023-01-17
US20210118414A1 (en) 2021-04-22
US11276379B2 (en) 2022-03-15
CA3094854C (en) 2023-03-21
KR102503764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044B1 (en) Violin shoulder cradle
KR101369218B1 (ko) 어뎁터
US7663038B2 (en) Integral saddle and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104947A (en) Capo
KR20100125323A (ko)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US8704065B2 (en) Shoulder support
JP4231482B2 (ja) バイオリン肩当て用のクランプ部材
US11043195B2 (en) Ligature for woodwind instruments
US20080156169A1 (en) Viola/Violin Shoulder Rest
KR102503764B1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US8269086B1 (en) Flute support
JP6651170B2 (ja) 弦楽器用肩当て
US9978351B1 (en) Modular apparatus for self-supported wielding of musical instruments
KR200432299Y1 (ko) 어깨걸이가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CN109074788B (zh) 弦乐器
CN111989737A (zh) 用于乐器的支撑设备
JP6893977B2 (ja) 弦楽器の支持装置用のアダプタ
EP3876225B1 (en) Violin shoulder rest with movable pad
US9336757B2 (en) Shoulder rest for violin/viola
JP3235211U (ja) 三味線の撥
WO2001071705A1 (en) Collar bone rest for a stringed instrument
WO2012126060A1 (e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20240146572A (ko) 패드 이동용 너클 클로 조립체를 갖는 바이올린 어깨 받침
SE542228C2 (en) A converte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strings on a string instrument
GB2364426A (en) A capodas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