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76A -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 Google Patents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76A
KR20200134776A KR1020190060750A KR20190060750A KR20200134776A KR 20200134776 A KR20200134776 A KR 20200134776A KR 1020190060750 A KR1020190060750 A KR 1020190060750A KR 20190060750 A KR20190060750 A KR 20190060750A KR 20200134776 A KR20200134776 A KR 2020013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ember
grip
pivot
pivot par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106B1 (ko
Inventor
박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브
Priority to KR102019006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1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두 개의 그립 턱이 상호 대칭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그립퍼는, 파일(Pile)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진동장치에 제1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그립부재,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장치에 제2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립부재와,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3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SIDE GRIPPER AND LINK MEMBER INCLUDED THEREIN}
본 발명은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을 잡고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파일을 해머링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파일(Pile)을 박는 토목공사에서는 상기 파일의 둘레를 잡고 진동을 가해 상기 파일을 지반에 박는 해머링 장치가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9778호(2014.10.10. 공개)(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조절 유닛에 의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그립 턱(gripping jaws)을 이용하여 기둥의 둘레를 잡은 후, 진동장치의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을 지반에 박을 수 있는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두 개의 상기 그립 턱이 상호 대칭을 유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그립 턱 각각에 상기 두 개의 그립 턱 사이로 연장되는 아암을 견고하게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의 끝단에 숏 아암이 피봇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두 개의 그립 턱 각각에 상기 아암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작업은 통상적으로 용접 또는 복수개의 볼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아암을 상기 두 개의 그립 턱 각각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상기 아암 및 상기 숏 아암의 복잡한 피봇 장착 구조로 인해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14-0119778호(2014.10.10.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두 개의 그립 턱이 상호 대칭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그립퍼는, 제1 그립부재와 제2 그립부재와 실린더장치와 링크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그립부재의 일단에는 파일(Pile)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그립부재는 진동장치에 제1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그립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그립부재는 상기 진동장치에 제2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에 제3 피봇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장치는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킨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그립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 사이의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제5 피봇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상기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에 홀이 형성된 막대기(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5 피봇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4 피봇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피봇부 및 상기 제4 피봇부 사이의 상기 제2 그립부재에 제6 피봇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6 피봇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재는 제1 어퍼 그립부재와 제1 로워 그립부재와 제1 연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는 제1 어퍼 그립부와 제1 로워 그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퍼 그립부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그립부는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봇부는 제1 어퍼 피봇부와 제1 로워 피봇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퍼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피봇부는 상기 제1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부재는 제2 어퍼 그립부재와 제2 로워 그립부재와 제2 연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부는 제2 어퍼 그립부와 제2 로워 그립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퍼 그립부는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워 그립부는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피봇부는 제2 어퍼 피봇부와 제2 로워 피봇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퍼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워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로워 피봇부는 상기 제2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장치는 어퍼 실린더장치와 로워 실린더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피봇부는 제3 어퍼 피봇부와 제3 로워 피봇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어퍼 피봇부는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일단을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로워 피봇부는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일단을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로워 피봇부는 상기 제3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피봇부는 제4 어퍼 피봇부와 제4 로워 피봇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어퍼 피봇부는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타단을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로워 피봇부는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타단을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로워 피봇부는 상기 제4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어퍼 링크부재와 로워 링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는 상기 제1 어퍼 피봇부를 통해 상기 진동장치에 형성된 어퍼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는 상기 제2 어퍼 피봇부를 통해 상기 어퍼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1 로워 피봇부를 통해 상기 진동장치에 형성된 로워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2 로워 피봇부를 통해 상기 로워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어퍼 바디판 및 로워 바디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일단 및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타단 및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일단 및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타단 및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내측과,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내측에는,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연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내측과,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내측에는,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연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 연결부는 상기 제1 링크 연결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재는 사이드 그립퍼에 사용될 수 있고, 제1 그립부재와 제2 그립부재와 실린더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는, 링크부재의 일단이 제1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제2 그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부재를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에 조립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재의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재의 제2 그립부가 상호 대칭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링크부재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가 포함되는 파일 해머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가 포함되는 파일 해머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300)가 포함되는 파일 해머링 장치(1)는, 본체(100)와 진동장치(200)와 사이드 그립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면에는 개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일면에 개구부(130)가 형성된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굴삭기에 장착되는 장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장치(200)는 본체(100)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는 일부가 본체(100) 내에 삽입 배치되고, 나머지부는 본체(100)의 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는 본체(100)의 양측면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의 양측면 중 본체(100)의 내에 삽입 배치된 부분은 복수개의 댐퍼(220)를 통해 본체(100)의 양측면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댐퍼(220)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양측면부(110)에는 복수개의 댐퍼(220)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홀(120)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댐퍼(220)가 복수개의 홀(120) 또는 홈에 삽입되어 본체(100)의 양측면부(11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진동장치(200)는 본체(100)의 양측면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그립퍼(300)는 진동장치(20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그립퍼(300)의 일부는 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그립퍼(300)의 나머지부는 본체(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그립퍼(300)는 파일(Pile)을 잡을 수 있다. 여기서, 파일(Pile)은 지반에 박을 수 있는 긴 막대기 형상을 가지는 모든 부재를 지칭할 수 있다.
진동장치(200) 및 사이드 그립퍼(300)는 상기 굴삭기에 설치된 유압공급장치 및 별도의 에너지공급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서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압공급장치 및 에너지공급장치는 상기 굴삭기에 설치될 수도 있고, 파일 해머링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파일 해머링 장치(1)는 사이드 그립퍼(300)를 통해 상기 파일의 외주를 잡은 후, 상기 파일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파일 해머링 장치(1)는 상기 파일을 수직으로 세운 후, 진동장치(200)가 작동되어 진동을 생성하면서 상기 파일을 지반에 압입 또는 취출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 그립퍼(300)는 제1 그립부재(310)와 제2 그립부재(320)와 실린더장치(340)와 링크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제2 그립부재(32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진동장치(200)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는 진동장치(200)의 타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의 일단에는 상기 파일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진동장치(200)에 제1 피봇부(33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31)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의 일단에는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는 진동장치(200)에 제2 피봇부(33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피봇부(332)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는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그립부(311) 중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면과, 제2 그립부(321) 중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면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 각각에는 상기 파일의 접촉면에 복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서,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가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가압력으로 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파일이 미끄러지지 않게 상기 파일을 꽉 잡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40)의 일단은 제1 그립부재(310)의 타단에 제3 피봇부(3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피봇부(333)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40)의 타단은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4 피봇부(334)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40)는 실린더(341)와 피스톤로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41)는 긴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342)는 일단이 실린더(341)의 일단으로부터 실린더(341)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타단은 실린더(34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342)의 일단은 제1 그립부재(310)의 타단에 제3 피봇부(3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실린더(341)의 타단은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실린더(341)의 타단이 제1 그립부재(310)의 타단에 제3 피봇부(333)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피스톤로드(342)의 일단이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실린더장치(34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실린더(34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피스톤로드(34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342)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실린더(341)로부터 인출되거나 실린더(34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40)는 작동 시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피스톤로드(342)가 실린더(341)로부터 인출될 시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피스톤로드(342)가 실린더(341) 내로 삽입될 시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32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일단은 제1 그립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타단은 제2 그립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는 실린더장치(340)의 작동 시 제1 그립부재(310) 및 제2 그립부재(320)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와 제1 연결부재(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그립부재(310A)는 제1 로워 그립부재(310B)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워 그립부재(310B)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C)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10C)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그립부재(310A)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 각각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연결부재(310C)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양단과,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양단은, 제1 연결부재(310C)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부(311)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어퍼 그립부(311A)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로워 그립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의 일단에는 제1 그립판(312)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그립판(31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판(312)에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1 어퍼 그립부(311A)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1 로워 그립부(311B)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봇부(331)는 제1 어퍼 피봇부(331A)와 제1 로워 피봇부(3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피봇부(331A)는 진동장치(200)에 제1 어퍼 그립부재(310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로워 피봇부(331B)는 진동장치(200)에 제1 로워 그립부재(310B)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어퍼 피봇부(331A) 및 제1 로워 피봇부(331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와 제2 연결부재(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그립부재(320A)는 제2 로워 그립부재(320B)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워 그립부재(320B)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0C)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320C)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 및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퍼 그립부재(320A) 및 제2 로워 그립부재(320B) 각각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320C)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양단과,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양단은, 제2 연결부재(320C)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립부(321)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어퍼 그립부(321A)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로워 그립부(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의 일단에는 제2 그립판(32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그립판(32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판(322)에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2 어퍼 그립부(321A)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2 로워 그립부(321B)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봇부(332)는 제2 어퍼 피봇부(332A)와 제2 로워 피봇부(3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어퍼 피봇부(332A)는 진동장치(200)에 제2 어퍼 그립부재(320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로워 피봇부(332B)는 진동장치(200)에 제2 로워 그립부재(320B)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어퍼 피봇부(332A) 및 제2 로워 피봇부(332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40)는 어퍼 실린더장치(340A)와 로워 실린더장치(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실린더장치(340A)는 로워 실린더장치(340B)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 실린더장치(340B)는 어퍼 실린더장치(340A)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실린더장치(340A) 및 로워 실린더장치(340B) 각각은 실린더(341)와 피스톤로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일단은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타단은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일단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타단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피봇부(333)는 제3 어퍼 피봇부(333A)와 제3 로워 피봇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어퍼 피봇부(333A)는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일단을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로워 피봇부(333B)는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일단을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어퍼 피봇부(333A) 및 제3 로워 피봇부(333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피봇부(334)는 제4 어퍼 피봇부(334A)와 제4 로워 피봇부(3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어퍼 피봇부(334A)는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타단을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제4 로워 피봇부(334B)는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타단을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제4 어퍼 피봇부(334A) 및 제4 로워 피봇부(334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는 어퍼 링크부재(350A)와 로워 링크부재(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는 로워 링크부재(350B)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는 어퍼 링크부재(350A)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은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은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일단은 제1 그립부재(310)의 일단 및 제1 그립부재(310)의 타단 사이의 제1 그립부재(310)에 제5 피봇부(33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5 피봇부(335)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타단은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타단은 실린더장치(340)의 타단과 함께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피봇부(335)는 제5 어퍼 피봇부(335A)와 제5 로워 피봇부(3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어퍼 피봇부(335A) 및 제5 로워 피봇부(335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어퍼 피봇부(335A)는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을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일단 및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타단 사이의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은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일단 및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타단 사이의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에 제5 어퍼 피봇부(335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은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타단에 제4 어퍼 피봇부(334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5 로워 피봇부(335B)는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을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일단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타단 사이의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일단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타단 사이의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에 제5 로워 피봇부(335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타단에 제4 로워 피봇부(334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는 막대기(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5 피봇부(335)가 삽입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4 피봇부(334)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어퍼 링크부재(350A) 및 로워 링크부재(350B) 각각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 및 로워 링크부재(350B) 각각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5 어퍼 피봇부(335A)가 삽입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4 어퍼 피봇부가 삽입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5 로워 피봇부(335B)가 삽입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4 로워 피봇부(334B)가 삽입될 수 있다.
진동장치(200)에는 수평 브라켓(231,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제1 피봇부(331)를 통해 수평 브라켓(231,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진동장치(200)에 제1 피봇부(33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는 제2 피봇부를 통해 수평 브라켓(231,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진동장치(200)에 제2 피봇부(33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평 브라켓(231,232)은 어퍼 수평 브라켓(231) 및 로워 수평 브라켓(23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수평 브라켓(231)은 로워 수평 브라켓(232)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 수평 브라켓(232)은 어퍼 수평 브라켓(23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수평 브라켓(231) 및 로워 수평 브라켓(232)은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수평 브라켓(231) 및 로워 수평 브라켓(232)은 개구부(130)를 통해 일부가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는 제1 피봇부(331)를 통해 어퍼 수평 브라켓(231) 및 로워 수평 브라켓(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진동장치(200)에 제1 피봇부(33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그립부재(320)는 제2 피봇부(332)를 통해 어퍼 수평 브라켓(231) 및 로워 수평 브라켓(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진동장치(200)에 제2 피봇부(33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어퍼 수평 브라켓(231)에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가 제1 어퍼 피봇부(331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수평 브라켓(231)에는 제2 어퍼 그립부재(320A)가 제2 어퍼 피봇부(332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수평 브라켓(232)에는 제1 로워 그립부재(310B)가 제1 로워 피봇부(331B)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워 수평 브라켓(232)에는 제2 로워 그립부재(320B)가 제2 로워 피봇부(332B)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퍼 그립부재(310A), 제1 로워 그립부재(310B), 제2 어퍼 그립부재(320A) 및 제2 로워 그립부재(320B) 각각은, 어퍼 바디판(361) 및 로워 바디판(36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판(361) 및 로워 바디판(36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에만 어퍼 바디판(361) 및 로워 바디판(362)의 도면부호를 표시하여서, 제1 어퍼 그립부재(310A)가 어퍼 바디판(361) 및 로워 바디판(36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제1 로워 그립부재(310B), 제2 어퍼 그립부재(320A) 및 제2 로워 그립부재(320B)도 어퍼 바디판(361) 및 로워 바디판(36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 및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일단은,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어퍼 바디판(361) 및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로워 바디판(36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 및 어퍼 실린더장치(340A)의 타단은,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어퍼 바디판(361) 및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의 로워 바디판(36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 및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일단은,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어퍼 바디판(361) 및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로워 바디판(36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 및 로워 실린더장치(340B)의 타단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어퍼 바디판(361) 및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의 로워 바디판(36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그립부재(310)의 내측에는 링크부재(35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371,372)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371,372)는 제1 링크 연결부(371) 및 제2 링크 연결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연결부(371) 및 제2 링크 연결부(372)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크 연결부(371)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어퍼 바디판(361) 내측과,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의 로워 바디판(362)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연결부(371)에는 어퍼 링크부재(350A)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 연결부(372)는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어퍼 바디판(361) 내측과,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의 로워 바디판(362)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 연결부(372)에는 로워 링크부재(350B)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30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링크부재(350)의 타단은 실린더장치(340)의 타단과 함께 제4 피봇부(334)를 통해 제2 그립부재(32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 링크부재(350)의 타단은 제2 피봇부(332) 및 제4 피봇부(334) 사이의 제2 그립부재(320)에 제6 피봇부(33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6 피봇부(336)는 수직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피봇부(336)는 제6 어퍼 피봇부(336A) 및 제6 로워 피봇부(3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어퍼 피봇부(336A) 및 제6 로워 피봇부(336B)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어퍼 피봇부(336A)는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을 제2 어퍼 피봇부(332A) 및 제4 어퍼 피봇부(334A) 사이의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은 제2 어퍼 피봇부(332A) 및 제4 어퍼 피봇부(334A) 사이의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에 제6 어퍼 피봇부(336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6 로워 피봇부(336B)는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을 제2 로워 피봇부(332B) 및 제4 로워 피봇부(334B) 사이의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은 제2 로워 피봇부(332B) 및 제4 로워 피봇부(334B) 사이의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에 제6 로워 피봇부(336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링크부재(350)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4 피봇부(334)가 삽입될 수 있었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 링크부재(350)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6 피봇부(336)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 어퍼 링크부재(350A)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6 어퍼 피봇부(336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로워 링크부재(350B)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제6 로워 피봇부(336B)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링크부재(350)는 사이드 그립퍼(300, 3000)에 사용될 수 있다. 링크부재(350)는 제1 그립부재(310)와 제2 그립부재(320)와 실린더장치(340)와 연동될 수 있다.
어퍼 링크부재(350A)는 제1 어퍼 그립부재(310A)와 제2 어퍼 그립부재(320A)와 어퍼 실린더장치(340A)와 연동될 수 있다.
로워 링크부재(350B)는 제1 로워 그립부재(310B)와 제2 로워 그립부재(320B)와 로워 실린더장치(340B)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이드 그립퍼(300, 3000)는, 링크부재(350)의 일단이 제1 그립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링크부재(350)의 타단이 제2 그립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부재(350)를 제1 그립부재(310) 및 제2 그립부재(320)에 조립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립부재(310)의 제1 그립부(311) 및 제2 그립부재(320)의 제2 그립부(321)가 상호 대칭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링크부재(35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파일 해머링 장치 100 : 본체
110 : 본체의 양측면부 130 : 개구부
200 : 진동장치 231 : 어퍼 수평 브라켓
232 : 로워 수평 브라켓 300, 3000 : 사이드 그립퍼
310 : 제1 그립부재 310A : 제1 어퍼 그립부재
310B : 제1 로워 그립부재 310C : 제1 연결부재
311 : 제1 그립부 311A : 제1 어퍼 그립부
311B : 제1 로워 그립부 320 : 제2 그립부재
320A : 제2 어퍼 그립부재 320B : 제2 로워 그립부재
320C : 제2 연결부재 321 : 제2 그립부
321A : 제2 어퍼 그립부 321B : 제2 로워 그립부
331 : 제1 피봇부 331A : 제1 어퍼 피봇부
331B : 제1 로워 피봇부 332 : 제2 피봇부
332A : 제2 어퍼 피봇부 332B : 제2 로워 피봇부
333 : 제3 피봇부 333A : 제3 어퍼 피봇부
333B : 제3 로워 피봇부 334 : 제4 피봇부
334A : 제4 어퍼 피봇부 334B : 제4 로워 피봇부
335 : 제5 피봇부 335A : 제5 어퍼 피봇부
335B : 제5 로워 피봇부 336 : 제6 피봇부
336A : 제6 어퍼 피봇부 336B : 제6 로워 피봇부
340 : 실린더장치 340A : 어퍼 실린더장치
340B : 로워 실린더장치 350 : 링크부재
350A : 어퍼 링크부재 350B : 로워 링크부재
361 : 어퍼 바디판 362 : 로워 바디판
371 : 제1 링크 연결부 372 : 제2 링크 연결부

Claims (10)

  1. 파일(Pile)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진동장치에 제1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그립부재;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장치에 제2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립부재;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3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실린더장치;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사이드 그립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그립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 사이의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제5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상기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는 사이드 그립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에 홀이 형성된 막대기(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5 피봇부가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4 피봇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그립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그립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 사이의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제5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피봇부 및 상기 제4 피봇부 사이의 상기 제2 그립부재에 제6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는 사이드 그립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에 홀이 형성된 막대기(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5 피봇부가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제6 피봇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그립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재는,
    제1 어퍼 그립부재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로워 그립부재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 및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어퍼 그립부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1 로워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어퍼 피봇부와,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 로워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립부재는,
    제2 어퍼 그립부재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로워 그립부재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어퍼 그립부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로워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봇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어퍼 피봇부와,
    상기 진동장치에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로워 피봇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장치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어퍼 실린더장치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로워 실린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봇부는,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일단을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3 어퍼 피봇부와,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일단을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3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3 로워 피봇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피봇부는,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타단을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4 어퍼 피봇부와,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타단을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타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4 어퍼 피봇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4 로워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퍼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워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사이드 그립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는 상기 제1 어퍼 피봇부를 통해 상기 진동장치에 형성된 어퍼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는 상기 제2 어퍼 피봇부를 통해 상기 어퍼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1 로워 피봇부를 통해 상기 진동장치에 형성된 로워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는 상기 제2 로워 피봇부를 통해 상기 로워 수평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그립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어퍼 바디판 및 로워 바디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일단 및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타단 및 상기 어퍼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2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일단 및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일단은,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타단 및 상기 로워 실린더장치의 타단은,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및 상기 제2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사이로 삽입되는 사이드 그립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내측과, 상기 제1 어퍼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내측에는, 상기 어퍼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어퍼 바디판 내측과, 상기 제1 로워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바디판 내측에는, 상기 로워 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부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링크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사이드 그립퍼.
  10. 사이드 그립퍼용 링크부재에 있어서,
    파일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진동장치에 제1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그립부재와,
    상기 파일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 그립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진동장치에 제2 피봇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립부재와,
    상기 제1 그립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제3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의 타단에 타단이 제4 피봇부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실린더장치와,
    연동되고,
    상기 제1 그립부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립부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 시 상기 제1 그립부재 및 상기 제2 그립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회전시키는 링크부재.
KR1020190060750A 2019-05-23 2019-05-23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KR10225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50A KR102259106B1 (ko) 2019-05-23 2019-05-23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750A KR102259106B1 (ko) 2019-05-23 2019-05-23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76A true KR20200134776A (ko) 2020-12-02
KR102259106B1 KR102259106B1 (ko) 2021-06-01

Family

ID=7379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750A KR102259106B1 (ko) 2019-05-23 2019-05-23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44B1 (ko) * 2021-03-08 2022-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403B1 (ko) 2021-11-26 2024-02-22 허일도 사이드 그립 진동 해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9U (ja) * 1993-04-05 1996-07-30 大成建設株式会社 型鋼梁把持車両およびその型鋼梁把持装置
JP2991634B2 (ja) * 1995-05-12 1999-12-20 鹿島建設株式会社 簡易トンネル支保鋼組立用把持装置
JP4351581B2 (ja) * 2004-05-18 2009-10-28 日立建機株式会社 把持力制御装置および解体作業機
KR101442165B1 (ko) * 2013-07-19 2014-09-22 김남규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140119778A (ko) 2012-01-27 2014-10-10 모박스 오와이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
US20150275460A1 (en) * 2014-03-25 2015-10-01 Les Produits Gilbert Inc. Vibratory apparatus for forcing members into and out of a materi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9U (ja) * 1993-04-05 1996-07-30 大成建設株式会社 型鋼梁把持車両およびその型鋼梁把持装置
JP2991634B2 (ja) * 1995-05-12 1999-12-20 鹿島建設株式会社 簡易トンネル支保鋼組立用把持装置
JP4351581B2 (ja) * 2004-05-18 2009-10-28 日立建機株式会社 把持力制御装置および解体作業機
KR20140119778A (ko) 2012-01-27 2014-10-10 모박스 오와이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
KR101442165B1 (ko) * 2013-07-19 2014-09-22 김남규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US20150275460A1 (en) * 2014-03-25 2015-10-01 Les Produits Gilbert Inc. Vibratory apparatus for forcing members into and out of a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544B1 (ko) * 2021-03-08 2022-09-15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106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4776A (ko) 사이드 그립퍼 및 그것에 포함되는 링크부재
US20150197910A1 (en) Vibratory hammer having sequentially controllable sliding gripper
KR20140119778A (ko) 지반 내로 기둥을 해머링하는 해머링 장치
CN108071115B (zh) 一种挖掘机械配套的双夹功能液压打桩锤
KR102265056B1 (ko) 사이드그립을 갖는 바이브로 해머
KR102043718B1 (ko) 진동파일 드라이버의 클램프 유닛
US20130062898A1 (en) Swivelling pile clamp
US103781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stallation of caissons
US11874029B2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joining truss foundation components
CN217896487U (zh) 一种夹桩机构
CN218745922U (zh) 一种管道焊接辅助装置
JP6753656B2 (ja) 杭引抜機
JP2002038478A (ja) 鋼製部材の溶接・圧入装置及び溶接・圧入工法
JP4435016B2 (ja) 連結鋼管杭及び連結鋼管矢板の打抜装置
EP4226097A1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joining truss foundation components
EP3926098B1 (en) Pile joint, pile link structure, and pile link method
JP6134346B2 (ja) 矢板の共下がり防止装置及び矢板の施工方法
US3785100A (en) Ground anchor
US20240093912A1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s for joining truss foundation components without mechanical fasteners
CN208023576U (zh) 桩锤组件及具有该桩锤组件的打桩机
CN217438934U (zh) 一种打桩渐进式套筒桩帽装置
CN218437002U (zh) 用于灌注桩后插筋施工的辅助工装
JPH108467A (ja) 杭打抜機用のチャック装置、および、杭のチャック方法
JPH11158907A (ja) 作業機のブーム構造
CN213898899U (zh) 油管抱钳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