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30A -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30A
KR20200134730A KR1020190060599A KR20190060599A KR20200134730A KR 20200134730 A KR20200134730 A KR 20200134730A KR 1020190060599 A KR1020190060599 A KR 1020190060599A KR 20190060599 A KR20190060599 A KR 20190060599A KR 20200134730 A KR20200134730 A KR 2020013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disposed
blowing fan
air condition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212B1 (ko
Inventor
강인근
김건량
박기찬
임주영
진수용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2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공조케이스;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하면보다 상기 송풍팬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중심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낮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합차와 같은 대형 차량에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1열의 탑승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수행하는 메인 공조장치 외에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는 차실 천장에 설치되어 2열 또는 3열의 탑승 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는 차량의 루프 패널 등에 고정되는 공조케이스, 및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및 송풍팬은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 사이에 차례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증발기는 직립 상태로 설치되어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의 바닥으로 원활하게 낙하하지 않고 증발기 표면에 그대로 고여있는 문제가 있었다.
응축수가 증발기 표면에 고여있는 경우 냉방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 유동을 따라 송풍팬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응축수가 송풍팬으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될 수 있고, 차실 내로 토출된 응축수는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165호(2007.03.28.,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기조화장치)
실시 예는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기 토출구 등을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문제를 개선한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공조케이스;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하면보다 상기 송풍팬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중심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낮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에서 상면의 상단 코너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에서 상면의 하단 코너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증발기 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송풍팬의 블레이드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의 중심점과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의 상면의 하단 코너부보다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 댐 및 제2 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2 댐 각각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의 각각에는 한 쌍의 응축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응축수 배출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증발기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증발기 표면에 고여있다가 공기 유동을 따라 공기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의 중심점을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낮게 배치함으로써, 응축수의 차실 내 유입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공조장치를 X - Z 평면으로 절단하여 그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 예이고,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요소가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10)는 공조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케이스(100) 내에는 증발기, 송풍팬 등 공조유닛이 탑재될 수 있다.
공조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상부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10)는 바닥부(111), 및 바닥부(111) 상에 형성되는 측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13)는 바닥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벽부(113)는 전면부(113a), 후면부(113b), 및 전면부(113a)의 양단과 후면부(113b)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1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13a) 및 후면부(113b)는 바닥부(111)의 X축 방향의 양단에 연결되는 반면, 한 쌍의 측면부(113c)는 바닥부(111)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Z축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 또는 연직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일 수 있고, Y축 방향은 차량의 폭 방향일 수 있다.
전면부(113a) 및 후면부(113b)는 바닥부(111)에 대하여 경사지게, 예를 들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반면, 한 쌍의 측면부(113c)는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부(113a)에는 전면부(113a)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113a-1)가 형성될 수 있고, 후면부(113b)에는 후면부(113b)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113b-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거쳐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후에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의 외부, 즉 차실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113a-1) 및 공기 토출구(113b-1)에는 그릴 구조체가 결합될 수 있다.
측면부(113c)의 하부에는 측면부(113c)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응축수 배출공(113c-1)이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공(113c-1)은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고, 응축수 배출공(113c-1)에는 배출된 응축수를 이송하는 응축수 배출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111)는 Y축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향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1)는 Y축 방향으로의 중심부가 Y축 방향으로의 양단부보다 Z축 방향으로 높게 배치되는 형상, 즉 원호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 배출공(113c-1)에서의 응축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커버(12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에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케이스 내에는 증발기(200) 및 송풍팬(300)이 탑재될 수 있다.
증발기(200) 및 송풍팬(300)은 송풍팬(300)에 의한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300)은 증발기(200)보다 공기 토출구(113b-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00)는 증발기(200)에 접촉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200)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는 증발기(200)에 연결된 제1 냉매 배관(2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차례로 거쳐 저온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 후, 증발기(200)에 연결된 제2 냉매 배관(220)을 통해 증발기(200)로 재 유입될 수 있다.
제1 냉매 배관(210) 및 제2 냉매 배관(220)은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송풍팬(300)은 팬모터(310)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 흡입구(113a-1)에서 공기 토출구(113b-1)로의 공기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팬모터(310)는 전장품 와이어(3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송풍팬(300)은 회전축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
팬모터(310)의 회전 속도는 속도제어유닛(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속도제어유닛(330)은 입력부(113b-2)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팬모터(310)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속도제어유닛(330)은 복수의 전기저항소자 또는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10)는 제1 댐(115), 제2 댐(117), 배수 가이드부(118) 및 수밀격벽(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115), 제2 댐(117) 및 배수 가이드부(118)는 바닥부(111)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한 쌍의 측면부(113c)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댐(115)은 공기 흡입구(113a-1)와 증발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댐(115)은 증발기(200)에서 낙하하여 제1 댐(115)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가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차실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댐(117)은 송풍팬(300)과 공기 토출구(113b-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댐(117)은 증발기(200)로부터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유동하다가 송풍팬(300)에 충돌 후 낙하하여 제2 댐(117)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가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차실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118)는 증발기(200)와 송풍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118)는 증발기(200)에서 낙하하여 제1 댐(115)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공(113c-1)가 형성된 측면부(113c) 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바닥부(111) 상에 고인 응축수가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공기 토출구(113b-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밀격벽(119)은 바닥부(111)로부터 돌출되어 속도제어유닛(330)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11)에 고인 응축수가 속도제어유닛(330)에 유입 내지 접촉하여 속도제어유닛(330)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수밀격벽(119)은 바닥부(111) 상에 속도제어유닛(330)이 배치되는 캐비티(C)를 형성할 수 있다.
수밀격벽(119)의 양단은 한 쌍의 측면부(113c) 중 하나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캐비티(C)는 측면부(113c)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부(113c)에는 캐비티(C)에 접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에는 속도제어유닛(3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118)의 일단은 수밀격벽(119)을 통해 측면부(113c)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118)는 측면부(113c)에 형성된 한 쌍의 응축수 배출공(113c-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공조장치를 X - Z 평면으로 절단하여 그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 예이고,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증발기(200)는 바닥부(111) 상에 직립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증발기(200)의 중심점(C1)은 Z축 방향, 예를 들어 연직 방향으로 송풍팬(300)의 중심점(C2)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200)의 중심점(C1)은 증발기(200)가 직립 상태일 때 증발기(200)의 X축 방향의 중심선과 Z축 방향의 중심선이 교차하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
송풍팬(300)의 중심점(C2)은 송풍팬(300)의 회전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서 증발기(200)의 중심점(C1)과 송풍팬(300)의 중심점(C2)을 통과하는 가상의 화살표는 공기 유동의 전체적인 경향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즉, 공기는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200)의 좌 측면을 통해 증발기(20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증발기(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튜브(미도시) 사이를 X축 내지 수평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증발기(200)를 통과한 후에도 X축 내지 수평 방향의 공기 유동 방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송풍팬(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200)의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바닥부(111)로 낙하하지 않고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차실 내로 배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증발기(200)의 중심점(C1)은 Z축 내지 연직 방향으로 송풍팬(300)의 중심점(C2)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200)는 상면(200a)이 X축 내지 수평 방향으로 하면(200b)보다 송풍팬(300), 예를 들어 송풍팬(300)의 중심점(C2)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200a)의 중심점으로부터 송풍팬(300)의 중심점(C2)까지의 X축 내지 수평 방향의 거리는 하면(200b)의 중심점으로부터 송풍팬(300)의 중심점(C2)까지의 X축 내지 수평 방향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도 7에서 증발기(200)의 중심점(C1)과 송풍팬(300)의 중심점(C2)을 통과하는 가상의 화살표는 공기 유동의 전체적인 경향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즉, 공기는 공기 흡입구(113a-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200)의 좌 측면을 통해 증발기(20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증발기(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튜브(미도시) 사이를 하향 경사진 방향, 예를 들어 상면(200a)과 평행한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증발기(200)를 통과한 후에는 변곡점을 거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송풍팬(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200)의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바닥부(111)로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고, 공기 유동과 함께 이동하는 일부 응축수도 변곡점을 거치면서 관성에 의해 공기 유동 경로로부터 이탈하여 바닥부(111) 상으로 낙하할 수 있다.
송풍팬(300)은 팬모터에 의해 증발기(200) 측에서 보았을 때 송풍팬(300)의 블레이드(미도시)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300)은 팬모터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 경로는 증발기(200)와 송풍팬(300) 사이에서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118)는 X축 내지 수평 방향으로 증발기(200)의 중심점(C1)과 송풍팬(300)의 중심점(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배수 가이드부(118)는 X축 내지 수평 방향으로 증발기(200)의 상면(200a)의 하단 코너부(200a-2)보다 송풍팬(300)의 중심점(C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가이드부(118)로부터 송풍팬(300)의 중심점(C2)까지의 X축 내지 수평 방향의 거리는 하단 코너부(200a-2)로부터 송풍팬(300)의 중심점(C2)까지의 X축 내지 수평 방향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200)의 상면(200a)에서 낙하한 응축수도 제1 댐과 배수 가이드부(118) 사이에 포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증발기(200)에서 상면(200a)의 상단 코너부(200a-1)는 Z축 내지 연직 방향으로 송풍팬(300)의 상단(300a)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00)에서 상면(200a)의 하단 코너부(200a-2)는 Z축 내지 연직 방향으로 송풍팬(300)의 중심점(C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200)의 상단부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공기 유동과 함께 송풍팬(300)을 넘어 공기 토출구(113b-1)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될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는 반면, 공기 유동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공조장치 100: 공조케이스
110: 하부케이스 111: 바닥부
113: 측벽부 113a: 전면부
113a-1: 공기 흡입구 113b: 후면부
113b-1: 공기 토출구 113b-2: 입력부
113c: 측면부 113c-1: 응축수 배출공
115: 제1 댐 117: 제2 댐
118: 배수 가이드부 119: 수밀격벽
120: 상부커버 200: 증발기
200a: 상면 200a-1: 상단 코너부
200a-2: 하단 코너부 200b: 하면
210: 제1 냉매 배관 220: 제2 냉매 배관
300: 송풍팬 300a: 상단
310: 팬모터 320: 전장품 와이어
330: 속도제어유닛

Claims (10)

  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부,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공조케이스;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면이 수평 방향으로 하면보다 상기 송풍팬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중심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낮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상면의 상단 코너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상면의 하단 코너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보다 높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횡류팬(cross flow fan)인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증발기 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송풍팬의 블레이드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의 중심점과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의 상면의 하단 코너부보다 상기 송풍팬의 중심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1 댐 및 제2 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 상기 제1 댐 및 상기 제2 댐 각각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에 연결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부의 각각에는 한 쌍의 응축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응축수 배출공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KR1020190060599A 2019-05-23 2019-05-23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KR10258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99A KR102583212B1 (ko) 2019-05-23 2019-05-23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99A KR102583212B1 (ko) 2019-05-23 2019-05-23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30A true KR20200134730A (ko) 2020-12-02
KR102583212B1 KR102583212B1 (ko) 2023-09-27

Family

ID=7379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99A KR102583212B1 (ko) 2019-05-23 2019-05-23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2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625A (ja) * 1996-04-25 1997-11-11 Denso Corp 車両用天井置きクーラユニット
JP2819834B2 (ja) * 1987-10-30 199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1157329A (ja) * 1988-06-17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H11157330A (ja) * 1997-11-27 1999-06-15 Denso Corp 車両用天井置きクーラユニット
JP2000343932A (ja) * 1999-06-07 2000-12-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10029370A (ko) * 1999-09-30 2001-04-06 황한규 오버헤드형 에어컨의 증발기유닛
KR100701165B1 (ko) 2001-05-15 2007-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834B2 (ja) * 1987-10-30 199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1157329A (ja) * 1988-06-17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H09290625A (ja) * 1996-04-25 1997-11-11 Denso Corp 車両用天井置きクーラユニット
JPH11157330A (ja) * 1997-11-27 1999-06-15 Denso Corp 車両用天井置きクーラユニット
JP2000343932A (ja) * 1999-06-07 2000-12-12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10029370A (ko) * 1999-09-30 2001-04-06 황한규 오버헤드형 에어컨의 증발기유닛
KR100701165B1 (ko) 2001-05-15 2007-03-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212B1 (ko)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837B2 (en)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CN107914542B (zh) 车用空调系统
JP409849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10926604B2 (en) Air conditioner
JP200323141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US6640571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656060B1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KR20200134730A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US11142043B2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unit
JP2009257644A (ja) 熱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熱体収納装置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3622425B2 (ja) バス車両用空調装置
KR20200134731A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JP202211568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94372A (ko) 블로어 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JP4458986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2456836B1 (ko) 차량용 루프형 공조장치
KR102656055B1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JP46248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220274459A1 (en) Dual-layer flow blower unit for vehicle air-conditioner
CN113853312B (zh) 车用空调
KR101149260B1 (ko) 블로워 모터 냉각용 공기 흡입구 구조
JP2007090923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H10250344A (ja) 自動車用空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01150923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