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28A -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28A
KR20200132628A KR1020190112068A KR20190112068A KR20200132628A KR 20200132628 A KR20200132628 A KR 20200132628A KR 1020190112068 A KR1020190112068 A KR 1020190112068A KR 20190112068 A KR20190112068 A KR 20190112068A KR 20200132628 A KR20200132628 A KR 2020013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ttery pack
casing
insertion hol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용
Original Assignee
(주)경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도시스템 filed Critical (주)경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1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628A/ko
Publication of KR2020013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전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이의 제어장치와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와 통하도록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됨으로써, 배터리팩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제어를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받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케이싱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Integrated type storage device for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 전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이의 제어장치와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화석 에너지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전기 차량(EV : Electric Vehicle),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철도 분야에서는 차량에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여 가선 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 전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화석 에너지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친환경적이며, 전기수용가 적은 시간에 유휴전력을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공급 시스템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 전동차 등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배터리팩(battery pack)으로 제작되어 탑재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은 다수의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이 모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모듈은 다수의 배터리셀(battery cell)이 모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팩에는 제어장치와 냉각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팩은 보관, 운송, 설치 등의 용이함을 위해 박스 또는 랙(rack) 형태의 수납장치에 수납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배터리팩용 수납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8396호(2014.11.05.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전기 모듈용 하우징 및 이와 관련된 배터리팩"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하우징(수납장치)은 상반부와 하반부로 나누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다수의 전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전기 모듈의 점검 및 유지보수 시 하우징의 상반부와 하반부를 완전히 분리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기 모듈의 발열 시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전기 모듈의 제어를 위한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어장치의 수납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8396호(2014.11.0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차, 전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이의 제어장치와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하되, 배터리팩이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는,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와 통하도록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됨으로써, 배터리팩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배터리팩의 제어를 위한 장치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받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케이싱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를 인입 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상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방삽입공과 후방삽입공; 및 상기 트레이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에 진입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삽입공에 진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을 갖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 걸리게 되는 헤드를 갖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걸림부재의 바디는 상기 헤드가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 또는 후방삽입공에 진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바디는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헤드에는 상기 걸림홈에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바디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 또는 후방삽입공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하강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 놓이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전방삽입공 또는 후방삽입공에서 이탈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단이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연결된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인입 및 인출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 또는 상기 트레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의 인출 시 점등되고, 상기 트레이의 인입 시 소등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의 인입 시 탄성 변형되어 트레이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 의하면, 전기차, 전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이의 제어장치와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배터리팩이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팩의 발열이나 화재 시, 배터리팩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냉각시키거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서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서 고정수단의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서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서 고정수단의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는 크게 케이싱(100), 도어(200), 트레이(300), 가이드레일(400) 및 고정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100)은 배터리팩(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20)(이하, '제어장치'라고 함)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와 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부(11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13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됨으로써, 배터리팩(10)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111)와, 제어장치(20)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112)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를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 전동차 등의 대상에 탑재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브래킷(1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배터리팩(10) 및 제어장치(20)와 연결된 케이블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블고정부재(150)가 구비된다. 케이블고정부재(150)는 대략 'U'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양단부가 케이싱(10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사용자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재(150)의 내측으로 케이블이 지나가게 하거나, 케이블타이(cable tie) 등으로 케이블고정부재(150)와 케이블을 한데 묶음으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블고정부재(150)는 트레이(3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어(200)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케이싱(100)의 전면에 결합된다. 도어(200)는 케이싱(100)의 제1공간부(111) 측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1도어(210)와, 제2공간부(112) 측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2도어(220)로 이루어져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어(200)는 이의 상단부가 케이싱(100)의 전면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케이싱(100)의 전면 상단부에는 좌우로 연장되게 배치된 힌지축(160)이 형성되고, 도어(200)의 상단부에는 상기 힌지축(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30)은 상기 힌지축(160)을 감싸게 되는 단부가 'U'형상으로 이루어져 힌지축(160)에 쉽게 걸어 결합하거나, 힌지축(160)에서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수용공간부(110)에 수용된 배터리팩(10)이나 제어장치(20)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 시 도어(200)를 쉽게 분리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에는 잠금장치(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240)는 관리자가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200)를 닫힌 상태로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공지의 잠금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300)는 케이싱(100)의 제1공간부(111)에 설치되어 배터리팩(10)을 받치게 된다.
트레이(300)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100)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트레이(300)의 전면에는 트레이(300)의 인출을 위한 손잡이(310)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300)가 인입될 때에 트레이(300)의 인입 위치를 제한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레이(300)의 후방에는 완충부재(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000)는 고무로 된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트레이(300)의 후면 또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레일(400)은 트레이(300)의 양측면과 케이싱(100)의 내부 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트레이(300)를 케이싱(10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가이드레일(400)은 서랍장 등에서 서랍을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서랍용 레일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수단(500)은 트레이(300)를 인입 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삽입공(510), 후방삽입공(520) 및 걸림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삽입공(510), 후방삽입공(520) 및 걸림부(530)는 트레이(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전방삽입공(510)은 트레이(300)의 상면 전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삽입공(520)은 트레이(300)의 상면 후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530)는 케이싱(100)의 내벽에 설치된 브래킷(531); 상기 브래킷(5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532a)을 갖는 안내부재(532); 및 상기 안내부재(532)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533a)와, 상기 바디(533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걸리게 되는 헤드(533b)를 갖는 걸림부재(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헤드(533b)가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 진입하게 된다.
즉, 걸림부(530)는 트레이(3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트레이(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510)에 진입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3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삽입공(520)에 진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고정수단(500)은 트레이(300)가 걸림부(530)와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승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안내부재(532)의 안내공(532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안내부재(532)의 상면에는 걸림홈(532b)이 요입 형성되며, 걸림부재(533)의 헤드(533b)에는 상기 걸림홈(532b)에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533c)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걸림돌기(533c)가 걸림홈(532b)에 진입된 상태에서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하강하게 되고, 걸림돌기(533c)가 걸림홈(532b)에서 이탈하여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놓이게 되었을 때에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서 이탈되도록 상승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걸림부재(533)의 하부에는 바디(533a)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스토퍼(533d)가 형성되고, 안내부재(532)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533d)가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삽입되는 승강공간부(532c)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33d)와 승강공간부(532c)는 걸림부재(533)가 상승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게 됨으로써 걸림부재(533)가 안내부재(532)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에 의하면, 전기차, 전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팩(10)을 이의 제어장치(20)와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배터리팩(10)이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팩(10)을 용이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10)의 발열이나 화재 시, 배터리팩(10)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냉각시키거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는 일단이 트레이(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연결된 가스스프링(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트레이(300)를 어느 정도 인출하면 가스스프링(600)이 트레이(300)를 밀어내게 됨으로써 트레이(3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300)의 인입 시에는 트레이(300)가 급격하게 이동되어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트레이(300)의 인입 및 인출을 감지하는 센서(700); 및 상기 센서(700)와 연결되도록 케이싱(100)의 내부 또는 트레이(300)에 설치된 조명램프(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700)는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트레이(300)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조명램프(800)는 상기 센서(700)와 연결되며, 트레이(300)의 인출 시 센서(7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점등되고, 트레이(300)의 인입 시 센서(7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소등된다.
이에 의하면, 트레이(300)의 인출 시 조명램프(700)가 점등되어 배터리팩(10)과 수용공간부(110)를 비추게 됨으로써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트레이(300)의 인입 시 탄성 변형되어 트레이(30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는 스프링(9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900)은 공지의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트레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고정수단(500)과는 별도로, 트레이(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트레이(300)에 약간의 고정력을 부여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가이드레일(400)에 단턱을 형성하거나, 트레이(300)이 인입된 상태에서 부착되는 자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동방지수단에 의한 고정력은 스프링(900)의 복원력보다 크게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트레이(300)의 인출 시 상기 유동방지수단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도록 트레이(300)를 약간 당기면, 상기 스프링(900)이 탄성 복원되면서 트레이(300)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트레이(3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900)과 상기 가스스프링(600)은 함께 구비됨으로써, 트레이(300)의 인입 및 인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터리팩 20 : 제어장치
100 : 케이싱 10 : 수용공간부
111 : 제1공간부 112 : 제2공간부
130 : 격벽 140 : 고정브래킷
150 : 케이블고정부재 160 : 힌지축
200 : 도어 210 : 제1도어
220 : 제2도어 230 : 회전판
240 : 잠금장치 300 : 트레이
310 : 손잡이 400 : 가이드레일
500 : 고정수단 510 : 전방삽입공
520 : 후방삽입공 530 : 걸림부
531 : 브래킷 532 : 안내부재
532a : 안내공 532b : 걸림홈
532c : 승강공간부 533 : 걸림부재
533a : 바디 533b : 헤드
533c : 걸림돌기 533d : 스토퍼
600 : 가스스프링 700 : 센서
800 : 조명램프 900: 스프링
1000 : 완충부재

Claims (7)

  1. 내부 수용공간부(110),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와 통하도록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100);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에 결합된 도어(2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부(110)는 격벽(13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됨으로써, 배터리팩(10)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111)와, 상기 배터리팩(10)의 제어를 위한 장치(20)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공간부(111)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팩(10)을 받치는 트레이(300)와, 상기 트레이(300)를 상기 케이싱(10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이드레일(4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00)를 인입 또는 인출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트레이(300)의 상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방삽입공(510)과 후방삽입공(520); 및
    상기 트레이(3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510)에 진입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3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삽입공(520)에 진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걸림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53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벽에 설치된 브래킷(531);
    상기 브래킷(5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내공(532a)을 갖는 안내부재(532); 및
    상기 안내부재(532)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533a)와, 상기 바디(533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걸리게 되는 헤드(533b)를 갖는 걸림부재(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상기 헤드(533b)가 상기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걸리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상기 안내부재(532)의 안내공(532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재(532)의 상면에는 걸림홈(532b)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533)의 헤드(533b)에는 상기 걸림홈(532b)에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533c)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533)의 바디(533a)는 상기 걸림돌기(533c)가 상기 걸림홈(532b)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하강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533c)가 상기 걸림홈(532b)에서 이탈하여 상기 안내부재(532)의 상면에 놓이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전방삽입공(510) 또는 후방삽입공(520)에서 이탈되도록 상승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트레이(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연결된 가스스프링(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300)의 인입 및 인출을 감지하는 센서(700); 및
    상기 센서(7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또는 상기 트레이(30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300)의 인출 시 점등되고, 상기 트레이(300)의 인입 시 소등되는 조명램프(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300)의 인입 시 탄성 변형되어 트레이(30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는 스프링(9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KR1020190112068A 2019-09-10 2019-09-10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KR20200132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68A KR20200132628A (ko) 2019-09-10 2019-09-10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68A KR20200132628A (ko) 2019-09-10 2019-09-10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12A Division KR102053033B1 (ko) 2019-05-17 2019-05-17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28A true KR20200132628A (ko) 2020-11-25

Family

ID=7364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68A KR20200132628A (ko) 2019-09-10 2019-09-10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6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0A1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배터리 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396A (ko) 2012-02-01 2014-11-05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전기 모듈용 하우징 및 이와 관련된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396A (ko) 2012-02-01 2014-11-05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전기 모듈용 하우징 및 이와 관련된 배터리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0A1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553B2 (en) Battery box for railway vehicle
JP5314650B2 (ja) バッテリ装置
KR102053033B1 (ko)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US10916953B2 (en) Housing for an electricity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0129181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固定構造およびバッテリ固定方法
KR10130803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관장치
JP6820676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JP5804975B2 (ja) 二次電池の充放電装置
CN109130918B (zh) 一种快速安插的新能源汽车充电装置
KR20200132628A (ko) 배터리팩용 일체형 수납장치
JP2016004772A (ja) 蓄電池ユニット
KR20120129831A (ko)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JP5879539B2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
JP6641189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20180047511A (ko) 전력 저장 장치
JP2011159396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20180097896A (ko) 전력 저장 장치
JP6074718B2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及び充電スタンド
US20230378731A1 (en) Junction box as a protected charging socket for an electric vehicle
CN214647703U (zh) 一种自动驾驶巡逻车的电池快换装置
CN212117498U (zh) 一种储物柜
US20230216138A1 (en) Battery rack, power storage device, and data storage device
CN216270583U (zh) 一种无人值守井集成巡检系统用安防器材收纳箱
CN211607087U (zh) 功能分区的多仓机柜
CN217833607U (zh) 多功能风电运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