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568A -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 Google Patents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568A
KR20200131568A KR1020190056359A KR20190056359A KR20200131568A KR 20200131568 A KR20200131568 A KR 20200131568A KR 1020190056359 A KR1020190056359 A KR 1020190056359A KR 20190056359 A KR20190056359 A KR 20190056359A KR 20200131568 A KR20200131568 A KR 2020013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layer
adhesive layer
power suppl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693B1 (ko
Inventor
윤종섭
이훈석
문상국
윤종환
Original Assignee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알판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주)알판트 filed Critical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93B1/ko
Priority to PCT/KR2020/006240 priority patent/WO2020231154A1/ko
Priority to EP20805924.6A priority patent/EP3971777A4/en
Priority to CN202080032288.4A priority patent/CN113785309A/zh
Publication of KR2020013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ultilayered, e.g. laminated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8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mpact or bending, e.g. protective shells or stress-absorbing layers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4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attachable to a ti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5Flexible aerials; Whip aerials with a resilien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or for vehicle ty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reinforced, e.g. by fibre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98Components for radio transmission, e.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printed or non-printed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상부의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하부에 점착되는 급전부층; 및 상기 급전부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2점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점착층은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동시에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이 모두 은폐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고, 상기 제2점착층의 급전부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 및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운용 중에 타이어의 강한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급전부층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주로 제1점착층의 크기 또는 제1점착층의 크기와 굴신완충층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Permanent mounted UHF bandwidth RFID tire tag for enhancing the cushioning performance against tire bending}
본 발명은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동시에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이 모두 은폐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고, 상기 제2점착층의 급전부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 및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한다.
타이어에 RFID 태그를 매립함으로써 타이어를 전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는 타이어 고무 속에 삽입해 타이어 제조일, 제조사, 상품번호 등 고유정보를 담아 타이어 생산공정부터 판매, 폐기에 이르는 전체 물류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타이어 삽입형 RFID 기술을 의미한다.
그러나,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시 타이어는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보다 큰 곡률변화를 겪으며, 특히 바닥과 접촉하는 면이 더 편평(FLAT)해져,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보이고, 주행이 끝나고 차량이 대기상태로 들어가면 타이어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는데, 이를 타이어의 굴신운동이라 한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는 약 200℃에 이를 정도로 높은 온도로 가온이 되며, 또한 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서 심한 굴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RFID 태그에 미치는 열적, 기계적 응력에 따라서 RFID의 손상이 야기된다. 따라서, 타이어에 매설된 RFID의 내구성을 보강하고 수명을 연장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110933호 "RFID 태그를 부착한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는데, 본 선행기술은 타이어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RFID 태그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RFID 태그는 타이어의 내부 인너라이너에 부착되고, 타이어가 차량 장착시 타이어 내부에 구성된 스틸코드, 비드와이어 및 림 등 금속 재질에 의한 전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림 끝단 지점에서부터 주행 중 발생하는 굴신운동 및 타이어 차량 장탈착시 장비의 간섭, 등에 의한 상기 RFID 태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이펙스 끝단까지의 공간이 중복되는 림 끝단 지점에서 턴업부 끝단지점까지의 인너라이너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본 선행기술의 RFID 태그 부착 위치에 의하면, 타이어 제조공정에서 타이어 수명까지 RFID 태그를 타이어에 부착한 상태로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선행기술은 타이어의 굴신운동 및 타이어 차량 장탈착시 장비의 간섭, 등에 의한 상기 RFID 태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타이어 내부 인너라이너 중 어느 위치에 설치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RFID 태그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언급이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더 나아가 RFID 태그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롭고 실효성 있는 방안의 도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1109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타이어의 운용 중에 타이어의 강한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급전부층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따른 물리적 충격은 물론 열적 충격도 완충할 수 있으므로 굳이 고내열성이면서 고가의 PI(Polyimide)를 사용할 필요없이 범용으로서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PCB를 구성하는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을 급전부층 기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전부층을 에폭시로 보호함으로써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패턴이 손상되거나 소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태그를 구성하는 계층구조 중 특히 상대적으로 경성이 높은 굴신완충층을 타이어와 급전부층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층까지 그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급전부층의 장기 수명 및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상부의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하부에 점착되는 급전부층; 및 상기 급전부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2점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점착층은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동시에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이 모두 은폐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고, 상기 제2점착층의 급전부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 및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를 제공한다.
상기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기판은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점착층 하부에는 굴신완충층이 더 부착되며, 상기 굴신완충층의 제2점착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신완충층은 제2점착층보다 연성이 낮아서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신완충층의 하부에는 제3점착층이 부착되며, 상기 제3점착층의 상기 굴신완충층과 접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신완충층은 벌크(bulk) 상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기판은 0 초과 1.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면적은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전부층은 에폭시로 도포되어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 및 소자가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이탈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운용 중에 타이어의 강한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급전부층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주로 제1점착층의 크기 또는 제1점착층의 크기와 굴신완충층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따른 물리적 충격은 물론 열적 충격도 완충할 수 있으므로 굳이 고내열성이면서 고가의 PI(Polyimide)를 사용할 필요없이 범용으로서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을 급전부층 기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급전부층의 기재인 PCB 층의 최대 1.0mm까지 두께를 두껍게 하여 안테나 패턴 및 소자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급전부층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PI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렴한 단가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전부층을 에폭시로 보호함으로써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패턴이 손상되거나 소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 태그를 구성하는 계층구조 중 특히 상대적으로 경성이 높은 굴신완충층을 타이어와 급전부층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층까지 그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급전부층의 장기 수명 및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부착된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에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100)에 있어서, 제1점착층은 타이어 내면에 부착되는 대신 그 전에 수행되는 타이어의 가류시 급전부층 부분만 타이어의 내면에 함몰되어 위치되며,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타이어의 굴신운동은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이 대기중에는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나, 주행중에는 타원형으로 형상이 일그러지고, 다시 대기중에는 원형으로 복귀하는 타이어의 일련의 운동과정을 의미한다.
즉, 타원이 원형->타원형->원형으로 변형되는 과정으로서, 타이어가 굴곡되었다 펴졌다는 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급전부층에 응력이 걸리고, 그 응력이 반복되면서 급전부층에 손상이 오는 것이다. 굴신운동에 따른 보호층과 점착층의 박리현상도 다른 하나의 문제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타이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부착된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에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10)는 동일형상의 동일 크기로 제작된 보호층(11), 점착층(12, 14), 급전부층(13)을 포함하고 있다. 타이어의 가류시 부착된 태그의 급전부층(13, 130)이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일정 정도 매립(함몰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도시되었으며, 이는 이하의 도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다만, 타이어 내면의 두께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급전부층(130)이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따라서 1.0mm를 초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최상부의 보호층(110); 상기 보호층(110) 하부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120); 상기 제1점착층(120) 하부에 점착되는 급전부층(130); 및 상기 급전부층(130) 하부에 점착되는 제2점착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점착층(120)은 급전부층(130) 및 제2점착층(140)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동시에 급전부층(130) 및 제2점착층(140)이 모두 은폐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된다. 또한, 상기 제2점착층(140)의 급전부층(130)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 및 제1점착층(120)이 급전부층(130)과 제2점착층(140)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부착된다.
즉, 본 발명의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종래의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비하여 제1점착층(120) 및 보호층(110)의 크기를 급전부층(130)보다 크게 구성하면서, 급전부층(130)의 전 영역이 제1점착층(120)과 보호층(110)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알에프아이디 태그에서 제1점착층(120)은 급전부층(130)을 커버함은 물론 타이어 내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타이어(150) 내부표면에 대한 고정효과로 인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제1점착층(120)과 보호층(110)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의 기능을 갖고, 따라서 급전부층(130)을 보호하게 된다. 제1점착층(120)은 타이어의 대기상태(비주행상태)에 타이어 내면의 곡률에 부합되게 타이어 내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이어가 주행상태인 경우, 타이어의 형상변화시 수반되는 타이어의 내부표면, 특히 제1점착층(120)과 타이어 내부표면의 계면에서 타이어의 내부표면에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대하여 제1점착층(120)이 완충작용을 하게 되므로 제1점착층(120)에 결합된 급전부층(130)에도 이러한 완충효과가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는 타이어의 내부표면과 제1점착층(120)간의 계면에서 타이어의 내부표면에 압축응력(a)이 부여되고 제1점착층(120)에 인장응력(b)이 부여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반면, 종래의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이와 같은 제1점착층(120)의 타이어 내면에 대한 고정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의 알에프아이디 태그에서의 제1점착층(120)은 보호층(110)을 고정하는 역할 및 급전부층(130)을 상면에서 보호하는 역할 이외의 역할은 수행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종래의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차별성을 갖는다.
상기 급전부층(130)을 구성하는 기판은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CB의 재질 중 하나인 FR-4는 에폭시 레진이 함침된 유리 섬유가 여러겹으로 쌓여 있는 것이다. 치수변화나 흡수성이 적으며 주파수 특성 및 열과 강도 등이 기타 다른 재질과 비교할 때, 가장 평균치에 가까운 재질이다.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점착층(140) 하부에는 굴신완충층(160)이 더 부착되며, 상기 굴신완충층(160)의 제2점착층(140)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신완충층(160)은 그 상면에 부착된 제2점착층(140)보다 연성이 낮아서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따른 효과가 급전부층(1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굴신완충층(160)의 하부에는 제3점착층(170)이 더 부착되며, 상기 제3점착층(170)의 상기 굴신완충층(160)과 접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직접 부착되는데, 제3점착층(170)보다 굴신완충층(160)의 연성이 더 작도록 한다.
상기 굴신완충층(160)은 벌크(bulk) 상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벌크(bulk)는 계면의 성질과 상관없는 것 혹은 계면과는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것을 강조하여 물질 그 자체 또는 물질이 갖는 성능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굴신완충층(160)은 그 하부의 제3점착층(170) 또는 그 상부의 제2점착층(140) 보다는 경성이므로 제2점착층(140)과 제3점착층(170)이 타이어의 굴신운동에 따라서 지나치게 수축 및 이완되는 것은 어느 정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부층(130)을 구성하는 기판은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거나 또는 PI(Polyimi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PI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전부층(130)을 구성하는 기판은 0 초과 1.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5와 6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층(130)의 두께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층(13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점착층(120)이 급전부층(130)과 제2점착층(140)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면적은 제1점착층(120)이 급전부층(130)과 제2점착층(140)을 은폐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복되는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제1점착층(120)이 타이어의 내부표면에 보다 공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이어의 내부표면과 제1점착층(120)의 계면에서 작용하는 압축응력 또는 인장응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급전부층(130)은 에폭시로 더 도포되어 에폭시층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인하여 급전부층(130)을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 및 소자가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이탈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영구 부착형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성능을 종래의 것과 함께 테스트하여 비교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태그의 조건
종래의 태그(비교예) : 제1점착층의 크기를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의 크기로 하였으며, 굴신완충층을 적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태그(실시예1) : 제1점착층의 크기를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의 크기보다 크게 하였으며, 제1점착층은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한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단단히 부착되었다. 굴신완충층은 적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태그(실시예2) : 제1점착층의 크기를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의 크기보다 크게 하였으며, 제1점착층은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한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단단히 부착되었다. 굴신완충층 또한 적용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와 함께 타이어 태그가 적용된 타이어를 테스트 하였으며, 이 때 승용차용 타이어와 버스용 타이어를 구분하였다. 타이어 테스트는 내구력 테스트와 실차 테스트로 구분되며, 내구력 테스트는 조건을 실사용조건보다 가혹하게 하여 타이어 수명이 다했다고 가정하여 단시간동안 테스트하는 것이고, 실차 테스트는 실제 차량에 장착하여 타이어 교체 시기가 될 때까지 비교적 장시간 테스트하는 것이다.
2. 승용차용 타이어 테스트 조건
a. 내구력 테스트
내구력 테스트는 타이어 수명이 다했다고 가정할 수 있는 조건을 단시간 내에 테스트하여 실차 테스트의 평가를 가늠하는 것으로, 내구력 테스트는 속도 200~240km/h, 부하(하중,Load) 440~830kg, 공기압 44~51psi, 온도 35~40℃, Running Time 60~80분의 조건으로 진행하며, 공기압은 통상 35~38psi 인데 비하여 공기압을 44~51psi 조건으로 빵빵하게 넣고 속도는 평상속도의 2배 이상인 200Km/h에서 20분간 주행하고, 이어서 속도 210Km/h에서 10분간 주행, 속도 220Km/h에서 10분간 주행, 230km/h에서 20분간 주행, 240km/h에서 10분간 주행하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즉 속도 200km/h~240km/h 로 쉬지 않고 70분간 고속 주행하는 것이다. 이 후에 태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b. 실차테스트 주행거리
한편, 실차테스트는 개인택시 차량에 태그가 부착된 타이어를 장착하여 실제 환경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 고속과 저속을 왔다갔다 하게 되며, 이 때 주행거리는 10,000Km 단위로 수행하였으며, 매 10,000Km마다 태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3. 버스 또는 트럭용 타이어 테스트 조건
a. 내구력 테스트
내구력 테스트는 타이어 수명이 다했다고 가정할 수 있는 조건을 단시간 내에 테스트하여 실차 테스트의 평가를 가늠하는 것으로, 내구력 테스트는 속도 64km/h, 공기압 120psi, 하중은 max 3550kg을 기준으로 60% 하중에서 하중 180%까지 증가시키면서 56시간을 주행하는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중 3550kg 기준에 대해 60%에서 8시간, 85%에서 16시간, 100%에서 24시간, 120%에서 2시간, 140%에서 2시간, 160%에서 2시간, 180%에서 2시간으로 총 56시간이다) 이 후에 태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b. 실차테스트 주행거리
한편, 실차테스트는 버스 또는 트럭 차량에 태그가 부착된 타이어를 장착하여 실제 환경을 주행하는 것으로서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 고속과 저속을 왔다갔다 하게 되며, 이 때 주행거리는 10,000Km 단위로 수행하였으며, 매 10,000Km마다 태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4. 결과
승용차용 타이어 테스트(주행거리)
주행거리(km)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비고
10,000 양호 양호 양호
20,000 양호 양호 부분불량
30,000 양호 양호 불량
40,000 부분불량 양호 -
50,000 불량 불량 -
버스 또는 트럭용 타이어 테스트(주행거리)
주행거리(km)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비고
10,000 양호 양호 양호
20,000 양호 양호 부분불량
30,000 양호 양호 불량
40,000 양호 양호 -
50,000 불량 부분불량 -
위 표 1 및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로 제시된 도 1의 종래의 태그는 10,000km까지는 박리상태 또는 신호전송면에서 양호하나, 20,000km를 넘어가면서 박리가 발생되고 무선인식에 장애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적어도 30,000km 에서도 부착된 태그의 이탈이 없으며, 무선 인식 상태도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승용차용 타이어 내구력 테스트(주행속도)
주행속도(km/h)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비고
200 양호 양호 양호 20분
210 양호 양호 불량 10분
220 양호 양호 불량 10분
230 양호 양호 - 20분
240 양호 양호 - 10분
위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 비교예로 제시된 도 1의 종래의 태그는 210km/h의 속도를 넘는 경우부터 불량이 발생하기 시작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240km/h의 속도에서도 불량이 발생되지 아니하였고, 부착된 태그의 이탈이 없었으며, 무선 인식 상태도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스 또는 트럭용 타이어 내구력 테스트(하중)
하중 3550kg 기준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비고
기준의 60% 양호 양호 양호 8시간
기준의 85% 양호 양호 부분불량 16시간
기준의 100% 양호 양호 불량 24시간
기준의 120% 양호 양호 2시간
기준의 140% 양호 양호 2시간
기준의 160% 양호 양호 - 2시간
기준의 180% 양호 양호 - 2시간
위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스 또는 트럭용 타이어의 경우, 비교예로 제시된 도 1의 종래의 태그는 하중 3550kg를 기준으로 85%를 넘는 경우부터 불량이 발생하기 시작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하중 3550kg를 기준으로 180%를 넘는 경우에도 불량이 발생되지 아니하였고, 부착된 태그의 이탈이 없으며, 무선 인식 상태도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110 : 보호층 120 : 제1점착층
130 : 급전부층 140 : 제2점착층
150 : 타이어 160 : 굴신완충층
170 : 제3점착층

Claims (9)

  1. 최상부의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1점착층;
    상기 제1점착층 하부에 점착되는 급전부층; 및
    상기 급전부층 하부에 점착되는 제2점착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점착층은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서 동시에 급전부층 및 제2점착층이 모두 은폐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고,
    상기 제2점착층의 급전부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 및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기판은 PCB용 에폭시 계열의 FR-4 또는 테프론(Teflo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착층 하부에는 굴신완충층이 더 부착되며, 상기 굴신완충층의 제2점착층과 점착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신완충층은 제2점착층보다 연성이 낮아서 타이어의 굴신운동이 급전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굴신완충층의 하부에는 제3점착층이 부착되며, 상기 제3점착층의 상기 굴신완충층과 접하는 면의 대향면은 타이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굴신완충층은 벌크(bulk) 상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기판은 0 초과 1.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8. 제1항에 있어서,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면적은 제1점착층이 급전부층과 제2점착층을 은폐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층은 에폭시로 도포되어 급전부층을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 및 소자가 타이어의 굴신운동에도 불구하고 이탈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KR1020190056359A 2019-05-14 2019-05-14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KR10221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59A KR102212693B1 (ko) 2019-05-14 2019-05-14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PCT/KR2020/006240 WO2020231154A1 (ko) 2019-05-14 2020-05-12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EP20805924.6A EP3971777A4 (en) 2019-05-14 2020-05-12 UHF BAND RFID TIRE LABEL WITH PERMANENT ATTACHMENT AND EXCELLENT BUFFERING PERFORMANCE REGARDING TIR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CN202080032288.4A CN113785309A (zh) 2019-05-14 2020-05-12 对轮胎屈伸运动的缓冲性能优良的永久附着型uhf频带rfid轮胎标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59A KR102212693B1 (ko) 2019-05-14 2019-05-14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68A true KR20200131568A (ko) 2020-11-24
KR102212693B1 KR102212693B1 (ko) 2021-02-05

Family

ID=7328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59A KR102212693B1 (ko) 2019-05-14 2019-05-14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71777A4 (ko)
KR (1) KR102212693B1 (ko)
CN (1) CN113785309A (ko)
WO (1) WO2020231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76A (ko) 2021-05-07 2022-11-15 (주)알판트 타이어 매설 타입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 태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675A (ko) * 2004-07-01 2007-06-28 파워아이디 리미티드 배터리 보조 후방산란 rfid 트랜스폰더
JP2008152500A (ja) * 2006-12-18 2008-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タグラベル
KR20120128922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손텍 내 환경 금속용 알에프아이디 태그
KR20130110933A (ko) 2012-03-30 2013-10-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Rfid 태그를 부착한 타이어
JP2018084654A (ja) * 2016-11-22 2018-05-3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イヤ用icタグラベルおよびタイヤへの貼り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290B2 (ja) * 2003-08-29 2008-02-27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icタグ接合方法、無線icタグ付き物品、及び車両
US7259678B2 (en) * 2003-12-08 2007-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rab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b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38914B2 (en) * 2004-03-31 2008-03-04 Intermec Ip Corp. RFID tire label
JP2007079831A (ja) * 2005-09-13 2007-03-29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タグの取付構造及びicタグ付ラベル
KR100845474B1 (ko) * 2007-03-13 2008-07-1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타이어 매설용 알에프아이디 태그
US8430142B2 (en) * 2009-02-25 2013-04-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nvironmentally resistant assembly containing an electronic device for use in a tire
JP2015184715A (ja) * 2014-03-20 2015-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Icタグラベル
JP6478901B2 (ja) * 2015-11-30 2019-03-06 ニッタ株式会社 Icタグ、icタグ収容体及びicタグ付きゴム製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675A (ko) * 2004-07-01 2007-06-28 파워아이디 리미티드 배터리 보조 후방산란 rfid 트랜스폰더
JP2008152500A (ja) * 2006-12-18 2008-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タグラベル
KR20120128922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손텍 내 환경 금속용 알에프아이디 태그
KR20130110933A (ko) 2012-03-30 2013-10-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Rfid 태그를 부착한 타이어
JP2018084654A (ja) * 2016-11-22 2018-05-3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イヤ用icタグラベルおよびタイヤへの貼り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93B1 (ko) 2021-02-05
CN113785309A (zh) 2021-12-10
WO2020231154A1 (ko) 2020-11-19
EP3971777A1 (en) 2022-03-23
EP3971777A4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8906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US7690578B2 (en) Wireless IC tag joining method, wireless IC tag-carrying article, and vehicle
JP66390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647166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20220242174A1 (en) Tire
CN110978908B (zh) 轮胎
US20200148016A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3632664B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11052622B2 (en) Tire manufacturing method
CN111376660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CN110978897B (zh) 轮胎
US20200108674A1 (en) Tire
US20200148012A1 (en) Tire
JP2020083044A (ja) タイヤ
KR102212693B1 (ko)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CN112109487A (zh) 轮胎
CN111845213B (zh) 轮胎
CN111907267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JP2022101234A (ja) タイヤ
CN111845214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US20200207161A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KR100693084B1 (ko) 초극세선 스틸코드를 적용한 트럭 및 버스용 래디얼 타이어
KR20230050212A (ko) 타이어
KR20230064524A (ko) 타이어
CN110978896A (zh) 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