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212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212A
KR20230050212A KR1020220045734A KR20220045734A KR20230050212A KR 20230050212 A KR20230050212 A KR 20230050212A KR 1020220045734 A KR1020220045734 A KR 1020220045734A KR 20220045734 A KR20220045734 A KR 20220045734A KR 20230050212 A KR20230050212 A KR 2023005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ver layer
control cover
radio wa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한솔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0212A/ko
Publication of KR2023005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2Antenna structure, control o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3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for attachment on the ty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8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mpact or bending, e.g. protective shells or stress-absorbing layers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4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attachable to a t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or for vehicle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적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본체부 및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 소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상기 타이어 본체부와 구별되고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는 전파 제어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이동 수단은, 예를들면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이동 수단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타이어는 차량 이외에도 다양한 이동 수단, 예를들면 항공기 기타 다양한 이동 수단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발전에 따라 많은 기계 부품 또는 전자 부품이 포함됨에 따라 정전기 발생이 늘어나고 있고, 특히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 증가에 따라 이러한 정전기 발생 빈도 및 발생 정전기의 크기도 커져 주행 안정성, 주행의 정밀한 제어능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
한편, 타이어의 대량 생산, 타이어의 사용 용도 증가, 타이어를 통한 다양한 정보 관리 측면에서 효율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관련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적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본체부 및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 소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상기 타이어 본체부와 구별되고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는 전파 제어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의 적어도 일 면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와 상기 타이어 본체부의 일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를 양측에서 덮도록 배치된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 및 상기 안테나부를 덮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에 더하여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의 전체적인 전기적 저항 감소를 제한하는 저항 제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제어 재료는 실리콘 산화물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제어 재료는 활석(talc)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제어 재료는 탄산 칼슘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신호 전달 또는 신호 인식 특성을 향상하고 타이어 관련 정보 관리가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소자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타이어의 설명을 위하여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P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타이어 본체부(110) 및 전자 소자 유닛(RD)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본체부(110)는 적어도 트레드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 본체부(110)의 트레드 영역은 이동 수단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영역은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 본체부(110)는 트레드 영역과 연결되는 사이드월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후 외측 및 내측을 향하는 영역에 사이드월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다양한 종류일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 항공기 기타 타이어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타이어 본체부(11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타이어 본체부(110)의 내측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전자 소자(electrical element)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전자 소자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에 이용되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칩은 하나 이상의 처리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안테나부가 IC 칩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전자 소자 유닛(RD)은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RFID의 태그의 종류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용도에 따라 상기와 달리 IC칩이 없는 태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RFID의 동작을 위한 배터리 내장 구조일 수도 있고, 배터리 없는 수동형 소자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RFID 에 구비되는 IC칩에 메모리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메모리의 읽기, 쓰기 기능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타이어(100)에 배치된 전자 소자 유닛(RD)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예를들면 RFID 태그 형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100)의 사용 관련 또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후 주행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별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기 용이하여 타이어의 제조, 판매, 사후 관리 등에 있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소자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및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소자 유닛(RD)에 포함된 전자 소자(electrical element)의 예시로서 IC 칩(RC)을 설명한다.
IC 칩(RC)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IC 칩(RC)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통하여 IC 칩(RC)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IC 칩(RC)을 보호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높은 전기적 저항을 갖고 IC 칩(RC)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전자 소자 유닛(RD)을 통한 전기적 신호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의 신호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IC 칩(RC)과 타이어 본체부(110)의 일 영역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IC 칩(RC)은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통하여 타이어 본체부(110)와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대한 더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및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의 일면에 전파 제어 커버층(CN)이 배치되고, 예를들면 IC 칩(RC)이 IC 칩(RC)보다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크기가 큰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및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을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의 일면에 제1 층(CN1)이 배치되고, 다른 일 면에 제2 층(CN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층(CN1)과 제2 층(CN2)의 사이에 IC칩(RC)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CN1)과 제2 층(CN2)의 사이에 IC칩(RC)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CN1)과 제2 층(CN2)으로 봉지되도록 IC칩(RC)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및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은 각각 폭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은 0.5 내지 2 센티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고, 4 내지 6 센티미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의 폭과 길이를 적용할 타이어의 크기와 용도에 맞춰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1 층(CN1)과 제2 층(CN2)의 사이에 IC칩(RC)이 배치되고, 예를들면 제1 층(CN1)과 제2 층(CN2)의 사이에 IC칩(RC)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IC칩(RC)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IC 칩(RC)은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의 사이에서 봉지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전자 소자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 및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RA1, RA2)는 IC 칩(RC)에 연결되어 외부, 예를들면 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는 제1, 제2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하고, 각각은 IC 칩(RC)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제1 층(CN1) 및 제2 층(CN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CN1)과 제2 층(CN2)의 사이에 IC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IC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은 제1 층(CN1) 및 제2 층(CN2)으로 덮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재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고무 계열의 베이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료 계열 베이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에 적용되어 타이어가 운동 시 타이어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에 더하여, 저항 제어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제어 재료는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도전성을 감소하도록 전기적 저항이 높은 성분을 함유하고, 예를들면 절연성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저항 제어 재료의 함량을 조절하여 높은 전기적 저항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107(Ωm)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이 고저항을 유지하여 전기적 도전성을 낮게 하여, IC칩(RC)을 통한 신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신호 감도를 향상하여 신호 인식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의 IC칩(RC)을 통한 신호 전달 시 전파 제어 커버층(CN)이 전기적 전도도가 낮을 경우 전기적 신호가 전파 제어 커버층(CN)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거나,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하여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신호 인식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이 RFID 태그 형태인 경우 리더기의 신호 인식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저항 제어 재료는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는데, 구체적 예로서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실리카(silica, silicon dioxide)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포함된 저항 제어 재료, 일 예로서 실리카는 고무 계열의 베이스 재료 대비 10 내지 55 중량 퍼센트를 가질 수 있다. 10 이상이 되도록 하여 고저항 특성을 확보하고 55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인장 강도를 확보하여 타이어에 적용 시 타이어와 함께 운동하여도 안정적 결합 특성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포함된 저항 제어 재료, 일 예로서 실리카는 고무 계열의 베이스 재료 대비 25 내지 45 중량 퍼센트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저항 제어 재료는 상기 재료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는데, 활석(talc) 또는 탄산 칼슘(CaCO3)을 함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보강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재료는 레진 계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예를들면 페놀 레진 계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보강 재료는 알킬 페놀(alkyl phenol) 계열 레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보강 재료는 알킬 페놀 포름알데히드 레진(alkyl phenol formaldehyde) 레진을 함유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CN)은 보강 재료를 함유하여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고저항 제어를 위한 저항 제어 재료 함유 시, 구체적 예로서 실리카 등과 같은 절연성 무기물이 포함될 경우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와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보강 재료로 알킬 페놀 포름알데히드 레진(alkyl phenol formaldehyde) 레진과 같은 페놀 레진 계열 재료를 함유하여 하이드록시기(hydroxyl group)와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간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고,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인장 강도를 향상하고, 결과적으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포함된 레진은 고무 계열의 베이스 재료 대비 0.5 내지 5 중량 퍼센트를 가질 수 있다. 0.5 이상이 되도록 하여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와의 결합력을 향상하고 5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절연성 무기물을 함유하는 저항 제어 재료와 함께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안정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포함된 보강 재료, 일 예로 레진은 고무 계열의 베이스 재료 대비 1 내지 3 중량 퍼센트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보강 재료는 상기 재료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석유 레진(PETROLEUM RESIN) 계열 재료, 쿠마론 인덴 레진(COUMARON INDEN RESIN) 계열 재료, 크레솔 포름알데히드 레진(CRESOL FORMALDEHYDE RESIN) 계열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의 성분 및 이에 대한 다양한 항목을 시험한 예시적 데이터를 아래 <표 1>에 개시한다.
    T1 T2 T3 T4 T5 T6 T7
PPL CB 40 50 35 15 20 5 15
AC 30 0 0 0 0 0 0
SA 0 0 15 35 80 110 35
RS 0 0 0 0 0 0 2
SU 70 50 50 50 100 115 52
TT RFD 70 50 100 120 150 150 120
ERS 1200 35100 4.0*107 4.0*1010 4.0*1012 4.0*1013 4.0*107
HD 71 61 56 60 66 70 60
MD 80 75 55 64 74 68 78
TS 110 190 150 170 170 163 200
EB 500 570 620 410 550 640 450
함량 표시(PPL)는 전술한 전파 제어 커버층(CN)에 포함되는 재료 중 고무 계열 베이스에 대한 중량 퍼센트(phr) 값을 나타낸다. 함량 표시(PPL)는 구체적으로 카본 블랙 함량(CB), 아세틸렌 카본블랙함량(AC), 실리카 함량(SA), 레진 계열 재료 함량(RS)을 포함하고, 합계(SU)는 상기의 값의 합이다.
예를들면 제1 시료(T1)는 고무 계열 베이스 대비 카본 블랙 함량(CB)이 40 중량 퍼센트, 아세틸렌 카본블랙함량(AC)이 15 중량 퍼센트이고, 제7 시료(T8)는 고무 계열 베이스 대비 카본 블랙 함량(CB)이 15 중량 퍼센트, 실리카 함량(SA)이 35 중량 퍼센트, 레진 계열 재료 함량(RS)이 2 중량 퍼센트임을 나타낸다.
특성 항목(TT)은 신호 인식 거리(RFD), 전기 저항(ERS), 경도(HD), 모듈러스(MD), 인장 강도(TS), 내피로 특성(EB)을 포함한다.
신호 인식 거리(RFD)는 예를들면 전술한 전자 소자 유닛(RD)에 대한 RFID 인식 거리를 가리킬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적인 지수(index)로 표시하였다. 전기 저항(ERS)은 단위(Ωm)를 가질 수 있고, 경도(HD)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한 경도(hardness)일 수 있고, 예를들면 쇼어 경도(Shore hardness)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모듈러스(MD)는 단위(kgf/cm2), 인장 강도(TS)는 단위(kgf/cm2), 내피로 특성(EB)은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리카 함량(SA)을 갖는 제3 시료(T3), 제4 시료(T4), 제5 시료(T5), 제6 시료(T6) 및 제7 시료(T6)는 실리카 함량(SA)을 갖지 않는 제1 시료(T1), 제2 시료(T2)에 비하여 매우 높은 전기 저항(ERS) 값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는 제3 시료(T3), 제4 시료(T4), 제5 시료(T5), 제6 시료(T6) 및 제7 시료(T6)가 실리카 함량(SA)을 갖지 않는 제1 시료(T1), 제2 시료(T2)에 비하여 신호 인식 거리(RFD)가 큰 값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전파 제어 커버층(CN)이 저항 제어 재료, 예를들면 실리카와 같은 재료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 도전성을 감소하고 이에 따라 신호 통과시 전기 에너지 변환 또는 간섭으로 인한 신호 손실을 감소하고, 이에 따라 신호 인식 거리가 늘어나는 것이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한편, 레진 계열 재료 함량(RS)을 갖는 제7 시료(T7)는 제3 시료(T3), 제4 시료(T4), 제5 시료(T5) 및 제6 시료(T6)에 비하여 인장 강도(TS)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제7 시료(T7)의 인장 강도는 200으로서, 제3 시료(T3), 제4 시료(T4), 제5 시료(T5) 및 제6 시료(T6)의 인장 강도인 150, 170, 163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7 시료(T7)의 내피로 특성(EB, elongation at break)은 450으로서, 제7 시료(T7)의 실리카 함량(SA)의 값과 동일한 실리카 함량(SA)의 값을 갖는 제4 시료(T4)의 410보다 40% 증가된 값을 갖는다. 레진 계열 재료 함량(RS)으로 인하여 동일한 실리카 함량(SA) 기준으로 내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전파 제어 커버층(CN)이 저항 제어 재료를 포함하여 고저항 및 신호 인식 거리가 증가됨과 함께 보강 재료, 예를들면 레진과 같은 재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서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형성 시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와 함께, 다양한 재료, 예를들면 저항 제어 재료 및 보강 재료를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상기 표 1의 제7 시료(T6)의 함량, 구체적 예로서 실리카 함량(SA) 및 레진 함량(R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일 영역에 전자 소자 유닛을 배치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예를들면 RFID 태그 형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별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기 용이하여 타이어의 제조, 판매, 사후 관리 등에 있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소자 유닛은 IC 칩과 같은 전자 소자 및 이와 인접하고 전자 소자의 적어도 일 면을 커버하는 전파 제어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제어 커버층은 타이어와의 결합 특성을 높이도록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은 저항 제어 재료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 저항을 증가할 수 있고, 예를들면 107(Ωm)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전파 제어 커버층(CN)에서 신호가 통과 시 전파 제어 커버층(CN)을 통하여 신호가 전기적 에너지로 일부 변환 또는 간섭을 받아 신호의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 소자를 통한 신호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신호 감도를 향상하여 신호 인식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은 보강 재료를 더 포함하고,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료와 결합력을 향상하는 레진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하여 전파 제어 커버층의 인장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타이어의 설명을 위하여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2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와 비드부(2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을 통하여 타이어(200)는 굴신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타이어(200)의 트레드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데, 일측의 사이드월(280)과 타측의 사이드월(280)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280)과 타측의 사이드월(280)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280)과 타측의 사이드월(280)의 조성물을 다르게 하여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240)가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2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어 영역 및 완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240)의 코어 영역은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비드부(240)의 완충 영역은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적어도 트레드부(2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타이어(2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가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270)은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2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2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260)가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260)는 타이어(2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너 라이너(2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접한 층과 부착되도록 고무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타이어(2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전자 소자 유닛(RD)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소자일 수 있고, 또 다른 일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전자 소자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에 이용되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IC 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은 하나 이상의 처리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전자 소자 유닛(RD)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RFID의 태그의 종류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용도에 따라 상기와 달리 IC칩이 없는 태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RFID의 동작을 위한 배터리 내장 구조일 수도 있고, 배터리 없는 수동형 소자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RFID 에 구비되는 IC칩(RC)에 메모리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메모리의 읽기, 쓰기 기능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트레드부(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트레드부(210)를 포함한 타이어(200)의 제조 과정 중에 미리 배치하여 성형 과정중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부(210)를 포함한 타이어(200)의 성형 과정을 진행한 후에 전자 소자 유닛(RD)을 삽입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소자 유닛(RD)은 다양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중에 전기적 회로가 동작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자 소자 유닛(RD)가 트레드부(210)에 삽입되어 접촉, 구체적 예로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안정적 구동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트레드부(310), 그루브(315), 사이드월(380), 비드부(340), 바디 플라이(330), 캡플라이(320), 벨트층(370) 및 이너 라이너(3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타이어(300)의 트레드부(310)의 중앙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트레드부(310)와 사이드월(380)의 연결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부(310)의 영역 중 최외곽의 그루브(315)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 소자 유닛(RD)은 숄더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숄더부의 두꺼운 두께를 통하여 전자 소자 유닛(RD)의 안정적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트레드부(310'), 그루브(315'), 사이드월(380'), 비드부(340'), 바디 플라이(330'), 캡플라이(320'), 벨트층(370') 및 이너 라이너(3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타이어(300')의 사이드월(38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이드월(380')의 내측 일면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의 외측에서도 전자 소자 유닛(RD)에 대한 신호 인식 용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P의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4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트레드부(410), 그루브(415), 사이드월(480), 비드부(440), 바디 플라이(430), 캡플라이(420), 벨트층(470) 및 이너 라이너(4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선택적 실시예로서 예를들면 비드부(440)는 비드 필러부(441) 및 비드 코어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부(442)는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 필러부(441)는 비드 코어부(442)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이너 라이너(460)와 바디 플라이(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44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바디 플라이(430)의 2중 중첩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이너 라이너(460)와 바디 플라이(4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5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5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그루브), 사이드월(580), 비드부(540), 바디 플라이(530) 및 이너 라이너(5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이너 라이너(560)와 바디 플라이(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54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바디 플라이(530)의 2중 중첩 영역에 대응된 곳에서 2중 중첩된 바디 플라이(530) 중 하나와 이너 라이너(5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6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6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680), 비드부(640), 바디 플라이(630) 및 이너 라이너(6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630)와 바디 플라이(6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64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바디 플라이(630)의 2중 중첩 영역에 대응된 곳에서 바디 플라이(630)와 바디 플라이(6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7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7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그루브), 사이드월(780), 비드부(740), 바디 플라이(730) 및 이너 라이너(7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730)와 사이드월(7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74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바디 플라이(730)의 2중 중첩 영역에 대응된 곳에서 바디 플라이(730)와 사이드월(7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8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8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그루브), 사이드월(880), 비드부(840), 바디 플라이(830), 및 이너 라이너(8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830)와 이너 라이너(8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740)와 중첩된 영역에서, 바디 플라이(830)와 이너 라이너(8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9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9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980), 비드부(940), 바디 플라이(930) 및 이너 라이너(8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930)와 비드부(9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940)와 중첩된 영역에 이너 라이너(960)를 향하도록 바디 플라이(930)와 비드부(9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940)의 비드 필러부(941)와 바디 플라이(9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10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1080), 비드부(1040), 바디 플라이(1030) 및 이너 라이너(10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10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1040)의 비드 필러부(10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20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2080), 비드부(2040), 바디 플라이(2030) 및 이너 라이너(20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2030)와 비드부(20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2040)의 면 중 이너 라이너(206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향하고 바디 플라이(2030)와 비드부(20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비드부(2040)의 비드 필러부(2041)와 바디 플라이(20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30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3080), 비드부(3040), 바디 플라이(3030) 및 이너 라이너(30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림스트립부(3045)가 사이드월(308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림스트립부(3045)는 타이어(3000)가 림(또는 휠)과 결합시 림을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비드부(3040)가 림에 대응시 비드부(3040)를 보호할 수 있고 림과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바디 플라이(3030)와 림스트립부(30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3040)와 중첩되도록 바디 플라이(3030)와 림스트립부(30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는 트레드부(미도시), 사이드월(4080), 및 전자 소자 유닛(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미도시), 그루브(미도시), 사이드월(4080), 비드부(4040), 바디 플라이(4030) 및 이너 라이너(40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부 설계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림스트립부(4045)가 사이드월(408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림스트립부(4045)는 타이어(4000)가 림(또는 휠)과 결합시 림을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비드부(4040)가 림에 대응시 비드부(4040)를 보호할 수 있고 림과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 유닛(RD)은 사이드월(4080)과 림스트립부(40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 유닛(RD)은 비드부(4040)와 중첩된 영역에서 사이드월(4080)과 림스트립부(40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전자 소자 유닛(RD)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 예를들면 IC칩을 덮는 전파 제어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파 제어 커버층은 전기적 저항을 높게 제어하도록 저항 제어 재료를 함유하여 고저항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전파 신호의 감소나 간섭을 줄여 신호 전송 효율을 증가하고 신호 인식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 소자 유닛(RD)을 타이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설계 자유도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제어 커버층은 보강 재료를 포함하고, 이러한 보강 재료는 고무 계열 재료와의 결합력을 향상하고 전파 제어 커버층의 인장 강도를 향상하여 전파 제어 커버층의 전체적인 내구성과 내피로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0, 3000, 4000: 타이어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80, 280, 380, 480, 580, 680, 780, 880, 980, 1080, 2080, 3080, 4080: 사이드월
RD: 전자 소자 유닛
CN: 전파 제어 커버층

Claims (5)

  1. 이동 수단에 장착되어 적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이동 수단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본체부; 및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자 소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상기 타이어 본체부와 구별되고 상기 타이어 본체부에 배치되는 전파 제어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 저항 제어 재료, 카본 블랙 계열 재료 및 레진 계열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제어 재료는 절연성 무기물을 함유하고 상기 고무 계열 베이스 재료 대비 25 내지 45 중량 퍼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 블랙 계열 재료는 상기 저항 제어 재료보다 작은 중량 퍼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진 계열 재료는 상기 카본 블랙 계열 재료보다 작은 중량 퍼센트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의 상기 재료들의 조합의 함량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이 107(Ωm)이상의 전기 저항의 값을 갖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의 적어도 일 면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와 상기 타이어 본체부의 일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를 양측에서 덮도록 배치된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제어 커버층은 상기 전자 소자 및 상기 안테나부를 덮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220045734A 2021-10-07 2022-04-13 타이어 KR20230050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734A KR20230050212A (ko) 2021-10-07 2022-04-13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19 2021-10-07
KR1020220045734A KR20230050212A (ko) 2021-10-07 2022-04-13 타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19 Division 2021-10-07 2021-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212A true KR20230050212A (ko) 2023-04-14

Family

ID=8368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734A KR20230050212A (ko) 2021-10-07 2022-04-13 타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11186A1 (ko)
EP (1) EP4163132A1 (ko)
KR (1) KR20230050212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1828A1 (en) * 2007-12-15 2009-06-18 Junling Zhao Tire with antenna encapsulated with rubber compound containing thermoplastic
KR101059589B1 (ko) * 2009-05-06 2011-08-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Rfid 태그 매설 타이어
US20210070110A1 (en) * 2018-03-22 2021-03-1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Heavy goods vehicle tire equipped with a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module
DE102019213190A1 (de) * 2019-09-02 2021-03-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einem leitenden Verbindungselement und Kautschukmischung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Verbindungselementes
CN114728555A (zh) * 2019-11-27 2022-07-08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2021129301A (ja) * 2020-02-17 2021-09-02 横浜ゴム株式会社 Rfid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埋設した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1186A1 (en) 2023-04-13
EP4163132A1 (en)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336B2 (en) Rubber-covered RFID module, and pneumatic tire having the it is embedded
JP66390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0055457A (ja) タイヤ
JP2020055452A (ja) タイヤ
US20230312888A1 (en) Rubber composition for covering electromagnetic tag and electromagnetic tag module
KR20230050212A (ko) 타이어
CN110978900B (zh) 轮胎
US20230264524A1 (en) Pneumatic tire
EP4177085A1 (en) Tire
US20230271459A1 (en) Pneumatic tire
KR102606333B1 (ko) 타이어
JP2022101234A (ja) タイヤ
KR102653145B1 (ko) 타이어
JP2022068675A (ja) タイヤ
KR20200131568A (ko) 타이어 굴신운동에 대한 완충성능이 우수한 영구 부착형 uhf 대역 알에프아이디 타이어태그
KR102598499B1 (ko) 타이어
KR102608620B1 (ko) 타이어 정보 제어 방법 및 타이어
KR102657758B1 (ko) 타이어
KR102635117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WO2023105815A1 (ja) タイヤ
WO2023105816A1 (ja) タイヤ
JP7272773B2 (ja) タイヤ
KR20230049229A (ko) 타이어
JP2023085087A (ja) タイヤ
JP2023041498A (ja) タイヤ、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