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설명을 위하여 일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적용하여 타이어(100)의 회전저항, 제동, 마모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110)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하여 트레드부(110)의 전기적 절연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후술할 트레드부(110)에 삽입되는 전자 소자(RD)에 대한 효과적인 절연 특성을 향상하여 전자 소자(RD)의 신호 정확도 및 간섭 발생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과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휠(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비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을 통하여 타이어(100)는 굴신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데,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조성물을 다르게 하여 모듈러스가 다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가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어 영역 및 완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40)의 코어 영역은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비드부(140)의 완충 영역은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가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160)가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접한 층과 부착되도록 고무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1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RD)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전자 소자(RD)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전자 소자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에 이용되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RD)는 IC 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은 하나 이상의 처리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는 IC 칩(RC)에 연결되어 외부, 예를들면 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는 제1, 제2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하고, 각각은 IC 칩(RC)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전자 소자(RD)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RFID의 태그의 종류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용도에 따라 상기와 달리 IC칩이 없는 태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RFID의 동작을 위한 배터리 내장 구조일 수도 있고, 배터리 없는 수동형 소자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RFID 에 구비되는 IC칩(RC)에 메모리가 포함될 경우 이러한 메모리의 읽기, 쓰기 기능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트레드부(110)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RD)는 트레드부(110)를 포함한 타이어(100)의 제조 과정 중에 미리 배치하여 성형 과정중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부(110)를 포함한 타이어(100)의 성형 과정을 진행한 후에 전자 소자(RD)를 삽입 배치할 수도 있다.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트레드부(1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 전자 소자(RD)가 삽입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RD)의 IC칩(RC)을 중심으로 제1 안테나부(RA1)는 트레드부(110)의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향하고, 제2 안테나부(RA2)는 타이어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전자 소자(RD)는 안정적 균형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신호 전달의 효율성과 잡음비를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소자(RD)가 다양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중에 전기적 회로가 동작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자 소자(RD)가 트레드부(110)에 삽입되어 접촉, 구체적 예로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안정적 구동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가 실리카 계열 재질을 함유하게 되면, 적어도 트레드부(110)의 영역 중 전자 소자(RD)를 향하거나 전자 소자(RD)와 접한 영역이 실리카 계열 재질을 함유하도록 하여 전자 소자(RD)와 인접한 영역의 절연성을 향상할 수 있어서 전자 소자(RD)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일 영역, 구체적으로 트레드부의 일 영역에 전자 소자를 삽입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전자 소자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예를들면 RFID 태그 형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별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기 용이하여 타이어의 제조, 판매, 사후 관리 등에 있어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소자를 트레드부에 삽입 형태로 배치하여 전자 소자의 안정적 위치 유지와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2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240)가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적어도 트레드부(2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가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260)가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2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트레드부(2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차량의 주행 중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노면을 향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노면과 접할 수도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노면과 접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접지되는 시간을 확보하여 정전기 제거 또는 감소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정전기 제어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대전 방지를 위한 도전성 소재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카본 블랙(carbon)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전성 카본 블랙 재질을 함유하는 복합 소재 형태를 가질수도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카본 블랙 계열 재질을 함유하도록 하여 인접한, 예를들면 접촉 또는 밀착된 트레드부(210)의 고무 계열 재질과 결합성을 향상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도전성 소재를 이용하여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2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로 둘러싸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자 소자(RD)는 IC 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은 하나 이상의 처리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 예를들면 둘러싸이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 소자(RD) 및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를, 트레드부(210)를 포함한 타이어(200)의 제조 과정 중에 미리 배치하여 성형 과정중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부(210)를 포함한 타이어(200)의 성형 과정을 진행한 후에 전자 소자(RD) 및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를 삽입 배치할 수도 있다.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트레드부(2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전자 소자(RD)가 삽입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2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전자 소자(RD)의 IC칩(RC)을 중심으로 제1 안테나부(RA1)는 트레드부(210)의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향하고, 제2 안테나부(RA2)는 타이어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전자 소자(RD)는 안정적 균형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신호 전달의 효율성과 잡음비를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소자(RD)가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삽입되고, 일 예로 접촉 또는 밀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인접한 트레드부(210)에서의 전체적인 전기적 저항 감소 특성 확보로 정전기 감소 또는 방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주변에 전기적 저항이 낮은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위치, 예를들면 전자 소자(RD)의 제1, 2 안테나부(RA1, RA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도전성을 확보하여 전기적 신호의 인식 또는 송신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주변에는 트레드부(210)가 배치되어 전체적인 절연 특성을 확보하여 전자 소자(RD)의 신호 간섭 또는 왜곡 등을 감소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210)가 실리카 계열 재질을 함유하게 되면, 적어도 트레드부(210)의 영역 중 전자 소자(RD)를 향하거나 전자 소자(RD)와 접한 영역이 실리카 계열 재질을 함유하도록 하여 전자 소자(RD)와 인접한 영역의 절연성을 향상할 수 있어서 전자 소자(RD)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길게 연장된 연장부(CNM) 및 베이스부(C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CNB)로부터 노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부(CNM)가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CNB)는 연장부(CNM)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CNM)는 베이스부(CN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노면과 멀리 떨어진, 예를들면 타이어(200)의 중심에 가까운 방향에 베이스부(CNB)가 위치하고 베이스부(CNB)가 연장부(CNM)보다 큰 폭을 갖도록 하여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트레드부(2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에도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내측에 배치된 전자 소자(RD)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일 영역, 구체적으로 트레드부의 일 영역에 정전기 제어 삽입부를 노면을 향하도록 삽입하고, 전자 소자가 정전기 제어 삽입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타이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실리카 계열 재질의 트레드부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소자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예를들면 RFID 태그 형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고, 전자 소자의 인식 특성 및 전기적 안정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쿠션 고무층(TCG),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310)는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3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340)가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적어도 트레드부(3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20)가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3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70)이 캡플라이(320)와 바디 플라이(3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360)가 바디 플라이(3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고무층(TCG)은 트레드부(310)와 중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3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길게 연장된 연장부(CNM) 및 베이스부(C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CNB)로부터 노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부(CNM)가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쿠션 고무층(TCG)의 일 영역과 중첩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타이어의 주행 중 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하중 분산을 용이하게 하여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파손 또는 이탈 등을 감소하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3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로 둘러싸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자 소자(RD)는 IC 칩(RC)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부(RA1, RA2)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RC)은 하나 이상의 처리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 기타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480), 쿠션 고무층(TCG),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410)는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4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4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4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4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4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480)은 트레드부(4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4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440)가 사이드월(480)의 영역 중 트레드부(4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400)는 적어도 트레드부(4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가 바디 플라이(430)와 트레드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4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70)이 캡플라이(420)와 바디 플라이(4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460)가 바디 플라이(4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고무층(TCG)은 트레드부(410)와 중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드부(4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4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길게 연장된 연장부(CNM) 및 베이스부(C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CNB)로부터 노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부(CNM)가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내측의 벨트층(470)의 일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벨트층(470)이 2층 이상의 복수 층 구조를 가질 때 벨트층(470)의 최상층과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일 영역으로서 베이스부(CNB)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일 영역이 쿠션 고무층(TCG)에 대응되지 않고, 예를들면 미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쿠션 고무층(TCG)의 일 영역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쿠션 고무층(TCG)을 관통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일 영역이 벨트층(47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벨트층(470)은 다양한 소재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서 스틸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스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스틸 코드들이 다발을 이루면서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금속 계열의 벨트층(470)과 접하여 타이어(400)에서 발생하는, 예를들면 표면 또는 내측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4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의 일 영역, 예를들면 제2 안테나부(RA2)가 금속 계열의 벨트층(470)과 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자 소자(RD)의 전기적 흐름의 효율성을 높여 신호 전달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500)는 트레드부(510), 사이드월(58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510)는 타이어(5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5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5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5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5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5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580)은 트레드부(5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5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540)가 사이드월(580)의 영역 중 트레드부(5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500)는 적어도 트레드부(5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520)가 바디 플라이(530)와 트레드부(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5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570)이 캡플라이(520)와 바디 플라이(5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560)가 바디 플라이(5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5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500)의 트레드부(5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트레드부(510)와 사이드월(580)의 연결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드부(510)의 영역 중 최외곽의 그루브(515)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숄더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숄더부의 두꺼운 두께를 통하여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을 용이하게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를 숄더부에 배치하여 이에 인접한 사이드월(580)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한 정전기 감소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길게 연장된 연장부(CNM) 및 베이스부(C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베이스부(CNB)로부터 노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부(CNM)가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5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가 트레드부(510)의 가장자리 인접한 영역, 예를들면 숄더부에 배치될 수 있어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외부와의 신호 송신 또는 수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M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600)는 트레드부(610), 사이드월(68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610), 사이드월(680), 비드부(640), 바디 플라이(630), 캡플라이(620), 벨트층(670), 이너 라이너(660)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 예를들면 타이어(600)의 트레드부(610)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그루브(615)와 그루브(6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일 영역, 예를들면 상면은 트레드부(610)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서 트레드부(6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자 소자(RD)의 일 영역으로서 안테나(RA)의 일 영역이 트레드부(610)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6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타이어(600')는 트레드부(61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 예를들면 타이어(600')의 트레드부(610')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600')의 폭 방향(도 17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도 17이 Y축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서 트레드부(6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안테나(RA) 및 IC 칩(RC)이 타이어(600')의 폭 방향(도 17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도 17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타이어(600")는 트레드부(61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 예를들면 타이어(600")의 트레드부(610")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600")의 원주 방향(도 18의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폭 방향(도 18의 X축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6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서 트레드부(6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소자(RD)는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안테나(RA) 및 IC 칩(RC)이 타이어(600")의 원주 방향(도 18의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의 폭 방향(도 18의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후술할 실시예들에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700)는 트레드부(710), 사이드월(780), 비드부(74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710)는 타이어(7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7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7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7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7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7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780)은 트레드부(7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7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비드부(740)가 사이드월(780)의 영역 중 트레드부(7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7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코어 영역 및 완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740)의 코어 영역은 와이어,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비드부(740)의 완충 영역은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700)는 적어도 트레드부(7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7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720)가 바디 플라이(730)와 트레드부(7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7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770)이 캡플라이(720)와 바디 플라이(7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760)가 바디 플라이(7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7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비드부(740) 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비드부(740)의 측면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완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코어 영역에 인접 또는 코어 영역의 와이어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7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자 소자(RD)가 비드부(74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외부와의 신호 송신 또는 수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 개 이상의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800)는 트레드부(810), 사이드월(880),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드부(810)는 타이어(8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8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8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무 계열 재질 베이스에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810)는 고무 계열 베이스에 실리카 계열 재료를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8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81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880)은 트레드부(8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880)은 전술한 사이드월(18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유사한 범위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내용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840)가 사이드월(880)의 영역 중 트레드부(8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800)는 적어도 트레드부(8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 플라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820)가 바디 플라이(830)와 트레드부(8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8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코드(cor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870)이 캡플라이(820)와 바디 플라이(8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너 라이너(860)가 바디 플라이(8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타이어(8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전기 제어 삽입부(CN)는 사이드월(880) 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이드월(880)의 측면에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이드월(880)의 영역 중 비드부(840)의 일 영역과 중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외측면에서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840)와 중첩되고 타이어(800)의 외측면에 인접하도록 정전기 제어 삽입부(CN)가 배치되어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소자(RD)는 타이어(80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전기 제어 삽입부(C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자 소자(RD)가 사이드월(88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외부와의 신호 송신 또는 수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전자 소자(RD)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 개 이상의 정전기 제어 삽입부(CN) 및 전자 소자(RD)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